KR20020037016A -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 Google Patents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016A
KR20020037016A KR1020020024171A KR20020024171A KR20020037016A KR 20020037016 A KR20020037016 A KR 20020037016A KR 1020020024171 A KR1020020024171 A KR 1020020024171A KR 20020024171 A KR20020024171 A KR 20020024171A KR 20020037016 A KR20020037016 A KR 20020037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fragrance
water tank
steam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7889B1 (ko
Inventor
오인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권사영
주식회사 세일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권사영, 주식회사 세일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889B1/ko
Publication of KR2002003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injection of steam into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는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는, 저면에 진동자 또는 히터 등의 증기발생장치(60)를 구비하고 있으며 가습기케이스(50)의 상면(51)에 성형되는 수조부(56)의 저면 또는 가장자리에 장착되고, 향기가 증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성 물질을 보관할 수 있는 형태로 성형되는 방향제 안착부(64)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Humidifier having emitting aroma function}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기능과 방향기능을 모두 갖춘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에는 증기를 만들어내는 방식에 따라서, 대표적으로 가열식 가습기와 초음파식 가습기가 있다. 히터식 가습기는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증발시키는 방식의 가습기이고, 초음파식 가습기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을 아주 미세한 물방울로 분해시키는 방식의 가습기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가습기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은 초음파식 가습기에서 물탱크가 올려지는 가습기케이스의 상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케이스(1)의 상면에는 물탱크안착부(2)와, 진동자(12)가 하부에 체결되어 수증기를 생성하는 수조부(4)가 오목한 형태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안착부(2)는, 물탱크가 상기 가습기케이스(1)의 상면에 장착되면, 물탱크의 저면에 형성된 물의 출구가 위치하게 되면서, 물탱크 내부의 물이 흘러나오는 부분이다.
이러한 물탱크안착부(2)에서의 물은 수조부(4)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상기 수조부(4)의 저면에는 진동자(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진동자(12)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을 미세한 물방울로 만들어서 물을 기화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4)의 가장자리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송풍구(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습기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습기케이스(1)의 상면에 성형되어 있는 물탱크안착부(2)에 물탱크가 장착되면, 상기 물탱크의 저면에 있는 물탱크안착부(2)를 통해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이 흘러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탱크안착부(2)에서 흘러나온 물은 상기 가습기케이스(1)의 일측상면에 성형되어 있는 수조부(4)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조부(4)로 흘러들어온 물은, 상기 수조부(4)의 일측저면에 설치된 진동자(12)에 의해 증발되어 증기로 된다. 그리고 그 증기는, 상기 수조부(4)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통풍구(14)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와 함께 에어플로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플로가 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출되는 것에 의해 가습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가습기에 대해 좀더 다양한 기능을 부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가 있다.
도 2에서는 공개번호 91-1087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로 공개된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가 도시되고 있다. 상기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향기나는 스폰지가 삽입된 케이스(22)의 일측에 송풍모터(20)를 설치하여, 상기 송풍모터(20)에서 발생시키는 에어플로가 상기 케이스(22)를 거치게 되고, 상기 에어플로는 상기의 향기나는 스폰지에서 발생하는 향기와 함께 노즐(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고, 송풍모터(20) 등의 별도의 기기가 설치되어야 하고, 그러한 기기들로 인해 가습기의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도 3에서는 공개번호 실1992-0021386의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에서 공개된 바 있는,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노즐부(3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30)는 가습기에서 분무되는 증기를 안내해주는 수평안내부(31)와 경사안내부(32)가 일체로 형성된 안내판(33), 상기 안내판(33)의 착탈이 용이토록 노즐(30)내에 형성된 걸림턱(46), 그리고 분사되는 증기와 함께 향기를 내뿜을 수 있는 향기발산부(4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향기발산부(42)는 증기가 유입되도록 수평안내부(31)에 성형된 유입구(36), 방향제를 담아두는 보관함(40), 그리고 방향제의 향기와 함께 증기가 배출되도록 경사안내부(32)에 성형되는 배출구(3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에서 배출되는 증기는, 상기의 수평안내부(31)와 경사안내부(32)의 안내를 받으면서, 노즐(30)의 분사구(44)를 통해 외부로 분무된다. 이 때 ,상기 증기의 일부가 유입구(36)를 통해 상기의 향기발산부(42)로 유입되고, 상기와 같이 향기발산부(42)내로 유입된 증기는 보관함(40)에 있는 방향제의 향기와 함께 배출구(38)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가습기에서 분무되어 노즐(30)의 분사구(44)로 배출되는 증기와 합류된다.
그러나 상기의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비록, 상기와 같은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는, 도 2에서 도시된 가습기에 비해서는 그 구조가 간단하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분사구(44)로 직접 배출되는 증기가, 배출구(38)에서 배출되는 향기와 함께 분사구(44)를 통해 분무된다는 것이 상기 가습기의 기본적인 목적이라고는 하지만, 상기 증기가 유입구(36)를 통해서만 향기발산부(42)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배출구(38)를 통해서도 유입될 위험이 있고, 그렇게 되면 향기가 역류하게 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없게 된다.
그 외에도, 가습기에서 발생하는 증기중 일부의 증기만이 유입구(36)로 들어가서 방향제의 향기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상기 방향제에서 충분한 양의 향기를 발생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지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고 정신적 및 육체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도록 증기와 함께 향기를 배출하는 것과,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해 충분한 양의 향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습기의 가습기케이스를 보이는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노즐을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가습기케이스의 상면을 보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보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가습기케이스 51.....가습기케이스의 상면
52.....물탱크안착부 56.....수조부
60.....증기발생장치 62.....통풍구
64.....방향제 안착부 66.....가이드유로
68.....노즐부 70.....노즐부의 분사구
72.....안내플레이트 74.....물탱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면에 진동자 또는 히터 등의 증기발생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가습기케이스의 상면에 성형되는 수조부와, 상기 수조부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방향성 물질이 보관될 수 있는 방향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향기를 발산하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기기를 필요로하지 않으며, 가습기에서 발생하는 증기 또는 통풍구에서 흡입되는 외부 공기 전부가 상기 향기를 발산하는데 이용되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향기가 발산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가습기케이스의 상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기케이스(50)의 상면(51)에는 물탱크가 안착될 수 있는 물탱크안착부(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기케이스(50)의 다른측 상면(51)에는 물을 증발시킬 수 있는 진동자 또는 히터 등의 증기발생장치(60)가 구비되어 있는 수조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기케이스(50)의 상면(51)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통풍구(62)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통풍구(62)의 일측면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제 안착부(64)가 부착되어 진다. 상기의 방향제 안착부(64)에는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성 물질이 보관되어 진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일측면에 상기 방향제 안착부(64)가 부착되어져 있는 통풍구(62)가 상기 가습기케이스(50)의 상면(51)에 오목하게 성형된 수조부(56)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져 있으나, 상기 방향제 안착부(64)의 위치가 반드시 상기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통풍구(62)에서 흡입되는 외부 공기가, 증기발생장치(60)에서 발생되는 증기 및 방향제 안착부(64)에서 발산되는 향기를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가습기의 하부에서 상부의 노즐부(68) 방향으로 에어플로를 형성하게 하므로, 가급적이면 상기 통풍구(62) 또는 증기발생장치(60)로부터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상기 방향제 안착부(64)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에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작동에 대해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케이스(50)의 상면(51)에 형성된 물탱크안착부(52)의 상면에 물탱크(74)가 안착되면, 상기 물탱크안착부(52)를 통하여 물탱크(74)의 하부로 물이 흘러나오게 되고, 상기와 같이 물탱크안착부(52)에서 흘러나온 물은 수조부(56)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조부(56)로 흘러들어가서 저장된 물의 일부는 즉, 상기 수조부(56)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증기발생장치(60)로 흘러들어간 물은,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 또는 진동자에서 발생하는 초음파 등의 증기발생장치(60)의 작용에 의해 증기로 증발된다.
그리고, 상기 증기발생장치(60) 근처에 장착되어져 있는 통풍구(62)를 통해서, 흡입되는 외부 공기가 가습기 내부에 에어플로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플로가 상기 증기발생장치(60)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노즐부(68)를 향해 상승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통풍구(62)의 일측면에 부착되어져 있는, 방향제 안착부(64)의 내부에 보관되어지는 방향성 물질에서 향기가 발생되고, 상기 향기는 상기의 에어플로를 통하여 증기와 함께 노즐부(68)를 향해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기케이스(50)의 상면(51)에서발생된 에어플로는, 노즐부(68)와 가습기케이스(50)를 연결하는 가이드유로(66)를 거쳐서 노즐부(68)로 가게되고, 노즐부(68)의 분사구(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노즐부(68)와 가이드유로(66) 사이에는, 상기 에어플로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서 안내플레이트(72)가 성형되어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제 안착부(64)는 직육면체의 형태로서, 상부가 개구되도록 성형되어져 있다. 그러나, 방향제 안착부(64)가 반드시 상기와 같은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직육면체가 아니라 타원형 등의 형태라도, 향기를 낼 수 있는 방향성 물질을 보관할 수 있으면 어떤 형태라도 족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지 않고 사방이 모두 막혀있어도, 방향제 안착부(64)의 일면 또는 다면에 복수개의 미세한 구멍이 뚫려있어서, 상기 방향성 물질에서 향기가 외부로 발산될 수 있으면 된다.
상술한 방향제 안착부(64)에 보관되어지는 방향성 물질에 대해서도,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즉 상기 방향성 물질이 고상, 액상, 기상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방향성 물질의 성질도, 그 자체적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물질이라도 되지만, 외부의 증기 또는 에어플로의 자극을 받아야만 향기를 발산하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방향제 안착부(64)가 통풍구(62)의 일측면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상기 방향제 안착부(64)가 증기발생장치(60)를 구비하고 있는 수조부(56)의 가장자리 또는 저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할 것이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본 발명은, 증기발생장치(60)에서 발생되는 증기와 방향제 안착부(64)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따로따로 생성되다가, 통풍구(62)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형성하는 에어플로에 의해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통풍구(62) 이외의 다른 수조부(56)의 가장자리 또는 수조부(56)의 일측저면에 상기 방향제 안착부(64)가 형성되어도, 상기 방향제 안착부(64)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상기 통풍구(62)에서 흡입되는 외부 공기 및 증기발생장치(60)에서 발생되는 증기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플로에 합류될 수 있으면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되어졌던 곳과 다른 가습기케이스(50)의 상면(51)의 일측에 방향제 안착부(64)가 장착되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만 달성될 수 있다면 무방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습기케이스(50)의 상면(51)에 오목하게 성형되어 있는 수조부(56)의 가장자리 또는 저면에,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성 물질이 보관되어 질 수 있는 방향제 안착부(64)가 부착되어져서, 통풍구(62)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플로에 의해 증기와 함께 향기가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고 있는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기대된다.
향기의 발산을 위해 별도의 복잡한 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조원가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방향제 안착부(64)가 증기발생장치(60)를 구비하고 있는 수조부(56)의 가장자리 또는 저면에 형성됨으로써, 증기발생장치(60)에서 발생되는 증기 또는 통풍구(6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전부가 상기의 방향제 안착부(64)에 대해 자극을 가하게 되어 충분한 양의 향기가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고 정신적 및 육체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저면에 진동자 또는 히터 등의 증기발생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가습기케이스의 상면에 성형되는 수조부와,
    상기 수조부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방향성 물질이 보관될 수 있는 방향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KR1020020024171A 2002-05-02 2002-05-02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KR100657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171A KR100657889B1 (ko) 2002-05-02 2002-05-02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171A KR100657889B1 (ko) 2002-05-02 2002-05-02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016A true KR20020037016A (ko) 2002-05-17
KR100657889B1 KR100657889B1 (ko) 2006-12-15

Family

ID=1972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171A KR100657889B1 (ko) 2002-05-02 2002-05-02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747A (ko) * 2015-05-28 2016-12-07 염광영 공기정화용 가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185B1 (ko) 2020-03-20 2022-04-12 주식회사 숲에서 초미세 향 발생 가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747A (ko) * 2015-05-28 2016-12-07 염광영 공기정화용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889B1 (ko) 200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21757C (en) Constant humidity evaporative wicking filter humidifier
US7350773B2 (en) Vortex humidifier
US20070257130A1 (en) Apparatus for Emitting a Chemical Agent
JP7328708B2 (ja) 加湿器
WO2012147221A1 (ja) エアフレッシュナー
JP2019130030A (ja) アロマディフューザ
KR100657889B1 (ko)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JP4844035B2 (ja) 加湿器
KR100509630B1 (ko)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JP6087232B2 (ja) 加湿装置
KR102385185B1 (ko) 초미세 향 발생 가습기
KR200483926Y1 (ko) 가습기의 분무노즐
CN114222593B (zh) 液体喷雾装置
JP5132465B2 (ja) 照明装置
KR100812356B1 (ko) 방향제 휘산장치
JPH0530762Y2 (ko)
JP2005003304A (ja) 加湿機
KR102482882B1 (ko) 아로마 디퓨저 기능을 구비하는 가습기
JP4274878B2 (ja) 加湿器
JP7455031B2 (ja) 加湿装置
KR102543795B1 (ko) 가습장치
KR200447044Y1 (ko) 살균기능을 향상시킨 가습기
JP2004347211A (ja) 加湿器
JPH11351619A (ja) 加湿器
JP2013242071A (ja) 加湿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114

Effective date: 200611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