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764A - 아미노페놀 유도체 및 이소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화장용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미노페놀 유도체 및 이소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화장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764A
KR20020036764A KR1020010069905A KR20010069905A KR20020036764A KR 20020036764 A KR20020036764 A KR 20020036764A KR 1020010069905 A KR1020010069905 A KR 1020010069905A KR 20010069905 A KR20010069905 A KR 20010069905A KR 20020036764 A KR20020036764 A KR 20020036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minophenol
composition according
formula
ra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0199B1 (ko
Inventor
슈발리에베로니끄
팜당-만
Original Assignee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filed Critical 조지안느 플로
Publication of KR20020036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1Aromatic amines, i.e. where the amino group is directly linked to the aromatic nucl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5Amino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내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페놀 유도체 및 하나 이상의 이소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 피부용 탈색 및/또는 표백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활성제의 조합은 피부의 탈색 또는 표백에서 상승작용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아미노페놀 유도체 및 이소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화장용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MINOPHENOL DERIVATIVE AND AN ISOFLAVONOID}
본 발명은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내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페놀 유도체 및 하나 이상의 이소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인간 피부의 탈색 및/또는 표백을 위한 화장용 및/또는 피부학적 제제에서의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수년 간, 양호한 효능을 갖는 무해한 국소적 탈색물질을 제안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이 기울여져 왔다. 양호한 효능을 가진 이러한 물질의 사용은 임신 동안 생기는 특발성 기미 ("임신 마스크" 즉 간반) 또는 여성 호르몬성 - 남성 호르몬성 피임 동안 생기는 특발성 기미와 같은 멜라닌 세포의 과다 활성에 의한 국부적 과색소침착, 화학선 흑사마귀로서 알려진 노화 착색 표지와 같은 양성 멜라닌 세포의 과다 활성 및 증식에 의한 국소적 과색소침착, 광감작 또는 상처 후 반흔 형성에 의할 수 있는 우발적 과색소침착 또는 탈색, 또한 백반과 같은 특정 백피증의 치료에 대단히 요구된다. 이러한 조건 (반흔 형성이 피부에 보다 백색의 외관을 남기는 흉터를 초래하는 조건) 및 백피증의 경우, 피부 상처를 다시 색소침착시키는 능력이 결핍되어 있으면, 피부를 전체적으로 균일한 백색으로 하기 위해 나머지 정상 피부 영역이 탈색된다.
따라서, 다양한 탈색제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제안되어 왔다.
가장 널리 공지된 것 중에서 하기의 것들이 언급될 수 있다:
아르부틴 및 그 에스테르와 같은 히드로퀴논 및 그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 특히 글리코실화 유도체; 코지 산 및 그 에스테르; 엘라그산 및 그 유도체; 식물 추출물, 특히 감초, 뽕나무 또는 골무꽃의 추출물; 또한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및 그 전구체.
더구나, 본 출원인은 특정 아미노페놀 유도체가 어떠한 독성도 나타내지 않고, 낮은 농도에서도 멜라닌생성을 저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음을 밝혀냈다 (WO 99/10318).
본 출원인은 이제 예기치 않게, 이소플라보노이드와 아미노페놀 유도체의 조합이 별도로 고려되었을 때보다 탈색력이 월등함을 발견하였다. 즉, 이 조합은 피부의 표백 및/또는 탈색에 있어서 상승 효과를 일으키는 이들 화합물의 효능을 증가시킨다.
이소플라보노이드는 플라보노이드의 하위 분류이며, 다양한 치환기 및 상이한 산화 수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3-페닐크로만 골격으로부터 형성된다. 플라보노이드와 대조적으로, 이는 매우 제한된 수의 식물에만 존재한다.
용어 "이소플라보노이드"는 여러 군의 화합물을 포함하는데, 하기를 언급할수 있다: 이소플라본, 이소플라바논, 로테노이드, 프테로카르판, 이소플라반, 이소플라반-3-엔, 3-아릴코마린, 3-아릴-4-히드록시코마린, 코메스탄, 코마로노크로몬, α-메틸데옥시벤조인 또는 2-아릴벤조푸란. 이 점에 있어서, 이소플라보노이드, 그 분석 방법 및 출처를 충분히 검토하기 위해, P. M. Dewich 저, "이소플라보노이드" 제 5 장 (The Flavonoids, Harbone 발행, pp. 125-157 (1998))을 참조하는 것이 유리하다.
확실히, 특정 이소플라보노이드는 탈색제로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출원인의 지식으로는 이를 아미노페놀 유도체와 조합하는 것은 고찰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주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내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페놀 유도체 및 하나 이상의 이소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이라는 표현은 피부 또는 그 외피에 국소적으로 적용하기에 적합한, 즉 피부 및 손톱과 양립할 수 있는 매질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피부용 탈색 및/또는 표백제로서의 상기 조성물의 화장용 용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인간 피부용 탈색 및/또는 표백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 피부를 탈색 및/또는 표백하는 화장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는 피부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페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에 상응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또는 염기와의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식 중:
R 은 수소 원자 또는 -COR2라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서 R2는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고리형 또는 분지형 C1-C30의 히드록실화될 수 있는 알킬 또는 알콕실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라디칼을 나타냄),
R1은 하기 화학식 2, 3 또는 4 의 라디칼로부터 선택되고:
-CO-NR3R4
-CO-O-R5
-SO2-R5
(여기서 R3은 수소 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임의로 히드록실화될 수 있는 C1-C6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또는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임의로 히드록실화될 수 있는 C1-C30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라디칼을 나타내고,
R5는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고리형 또는 분지형, 임의로 히드록실화될 수 있는 C1-C30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라디칼을 나타낸다)].
이들 화합물은 수득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특히 활성 화합물, 예컨대 R1이 화학식 2 의 라디칼인 경우 이미다졸리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R1이 화학식 3 의 라디칼인 경우 클로로포르메이트, 또는 R1이 화학식 4 의 라디칼인 경우 술포닐 클로라이드와 아미노페놀을 반응시킴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1 내지 30 의 탄소수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 중에서 하기를 언급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tert-부틸, 헥실, 옥틸, 노닐, 2-에틸헥실, 도데실, 트리데실, 헥사데실, 베헤닐, 옥타데실, 테트라코실, 헥사코실, 옥타코실, 미리실, 2-부틸옥틸 및 2-헥실데실 라디칼.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의 탄소수를 함유하는 알킬 라디칼이며, 이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tert-부틸 및 헥실 라디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알킬 라디칼이 불포화인 경우 네릴, 2-노닐-2-부테닐, 6-(1,3-펜타디에닐)-2,4,7-도데칸트리엔-9-이닐 라디칼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를 함유하는 라디칼이 바람직하며, 보다 특히 알릴 라디칼이 바람직하다.
알킬 라디칼이 고리형인 경우, 특히 시클로헥실, 콜레스테릴 또는 tert-부틸시클로헥실 라디칼을 언급할 수 있다.
히드록실화된 경우, 라디칼은 1 내지 6 의 탄소 원자 및 1 내지 5 의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히드록시알킬 라디칼 중, 바람직한 라디칼은 1 내지 3 의 탄소수를 함유하는 라디칼, 특히 히드록시메틸, 2-히드록시에틸, 또는 2- 또는 3-히드록시프로필 라디칼이 바람직하다.
폴리히드록시알킬 라디칼 중, 바람직한 라디칼은 2,3-디히드록시프로필, 2,3,4-트리히드록시부틸, 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 및 2,3,4,5,6-펜타히드록시헥실 라디칼과 같은, 3 내지 6 의 탄소 원자 및 2 내지 5 의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라디칼이다.
알콕실화 라디칼은 산소 원자가 선행하는 알킬 라디칼, 특히 상기 기재한 것과 같은 알킬 라디칼이다.
화학식 1 의 아미노페놀 유도체는 하기의 조건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그 모두를 고려하도록 선택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 R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 페닐 라디칼 상의 작용기 -OR 은 오르토 위치, 또는 유리하게는 파라 위치에 있고,
-R1은 화학식 2 또는 3 의 라디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의 화합물은 보다 특히 N-에틸옥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 N-에틸옥시카르보닐-O-에틸옥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 N-콜레스테릴옥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 및 N-에틸아미노카르보닐-4-아미노페놀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N-에틸옥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소플라보노이드는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일 수 있다. "천연 기원"라는 표현은 천연 기원의 성분, 일반적으로 식물로부터의 추출물을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득한 순수한 형태 또는 다양한 농도의 용액으로서의 이소플라보노이드를 의미한다. "합성 기원"라는 표현은 화학 합성에 의해 수득한 순수한 형태 또는 다양한 농도의 용액으로서의 이소플라보노이드를 의미한다.
천연 기원의 이소플라보노이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 하기를 언급할 수 있다:
다이드진, 게니스틴, 다이드제인, 포르모노네틴, 큐네아틴, 게니스테인, 이소프루네틴 및 프루네틴, 카자닌, 오로볼, 프라텐세인, 산탈, 주니페게닌 A, 글리시테인, 아프로르모신, 레투신, 텍토리게닌, 이리솔리돈 및 자마이신, 및 이들의 유사체 및 대사산물, 및 그의 혼합물.
이소플라본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이 용어는 이소플라본의 아글리콘 형태 (다이드제인, 게니스테인 및 글리시테인) 및 글리코실화 형태 (다이드진, 게니스틴, 글리시틴) 양자를 모두 포괄한다.
이소플라본의 제조 방법은 특히 WO 95/10530, WO 95/10512, US-5 679 806, US-5 554 519, EP-812 837 및 WO 97/26269 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Maruzen 사에 의해 Fujiflavones P40 의 명칭으로 판매되는 이소플라본 37 % 적정농도를 갖는 대두 추출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미노페놀 유도체 및 이소플라보노이드는, 이들 화합물 중 단 하나만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수득되는 것보다 탈색효과에 있어 탁월한 상승효과를 조성물에 부여할 수 있는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아미노페놀 유도체는 특히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3 중량%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이 중량부에 대해, 이소플라보노이드는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1 중량%를 바람직하게 나타낸다. 말할 필요도 없이, 만약 이소플라보노이드가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용액의 형태로 존재한다면, 당업자는 상기 농도 범위의 이소플라보노이드를 수득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에 이 용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적 적용을 위해 보통 사용되는 임의의 약제학적 형태, 특히 수성, 수성-알콜성 또는 오일성 용액, 수중유 또는 유중수 또는 다중 에멀젼, 수성 또는 오일성 겔, 액체, 페이스트성 또는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수성 상에의 오일 분산물 (이들 소구체는 나노구체 및 나노캡슐과 같은 중합체 나노입자일 수 있다) 의 형태일 수 있으며, 또는 보다 좋게는 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형태의 지질 소포체의 형태일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다소 유체일 수 있으며, 백색 또는 유색 크림, 연고, 밀크, 로션, 유액 (serum), 페이스트 또는 무스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형태로 피부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는 또한 고체 형태 예컨대, 스틱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는 피부용 케어 제품 및/또는 메이크업 제품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공지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인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20 중량%이다. 그 성질에 따라, 이 보조제는 지방 상, 수성 상, 지질 소포체 및/또는 나노입자에 도입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탈색제 조합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에멀젼인 경우, 지방 상의 비율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범위일 수 있다. 에멀젼 형태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오일, 유화제 및 공유화제 (coemulsifier) 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중에서 선택된다. 유화제 및 공유화제는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3%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의 비율로 조성물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오일로서, 미네랄 오일 (액체 석유 젤리) 및 그 에스테르, 식물 기원의 오일 (아보카도 오일, 대두유), 동물 기원의 오일 (라놀린), 합성 오일 (퍼히드로스쿠알렌), 실리콘 오일 (시클로메티콘) 및 플로오로 오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를 언급할 수 있다. 지방성 알콜 (세틸 알콜), 지방산 및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오조케라이트) 또한 지방성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 및 공유화제로서, 예컨대 PEG-20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글리세롤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언급할 수 있다.
친수성 겔화제로서 특히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카르보머), 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사카라이드, 천연 검 및 점토를 언급할 수 있고, 친지성 겔화제로서 벤톤과 같은 변성 점토, 지방산의 금속 염, 소수성 실리카 및 폴리에틸렌을 언급할 수 있다.
활성제로서, 본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 및/또는 각질용해제 및/또는 피부 박리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로서, 비제한적 방식으로 예를 들어 하기의 군을 언급할 수 있다 (당해 화합물명은 차단제의 CTFA 명명법에 상응한다):
안트라닐레이트, 특히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 특히 벤조페논-1, 벤조페논-3, 벤조페논-5, 벤조페논-6, 벤조페논-8, 벤조페논-9, 벤조페논-12 및, 바람직하게는 벤조페논-2 (옥시벤존), 또는 벤조페논-4 (Uvinul MS40, BASF 사제); 벤질리덴캄포르, 특히 3-벤질리덴캄포르, 벤질리덴캄포르술폰산, 캄포르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벤질리덴캄포르, 테레프탈릴리덴디캄포르술폰산 및, 바람직하게는 4-메틸벤질리덴캄포르 (Eusolex 6300, Merck 사제); 벤즈이미다졸, 특히 벤즈이미다질레이트 (Neo Heliopan AP, Haarmann and Reimer 사제), 또는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Eusolex 232, Merck 사제); 벤조트리아졸, 특히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또는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Tinosorb M, Ciba 사제); 신나메이트, 특히 신녹세이트, DEA 메톡시신나메이트, 디이소프로필 메틸신나메이트, 글리세릴 에틸헥사노에이트 디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 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 신나메이트 및, 바람직하게는 에토크릴렌 (Uvinul N35, BASF 사제),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Parsol MCX, Hoffmann La Roche 사제) 또는 옥토크릴렌 (Uvinul 539, BASF 사제); 디벤조일메탄, 특히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Parsol 1789); 이미다졸린, 특히 에틸헥실디메톡시벤질리덴디옥소이미다졸린; PABA 류, 특히 에틸디히드록시프로필 PABA, 에틸헥실디메틸 PABA, 글리세릴 PABA, PABA, PEG-25 PABA 및, 바람직하게는 디에틸헥실부트아미도트리아존 (Uvasorb HEB, 3V Sigma 사제), 에틸헥실트리아존 (Uvinul T150, BASF 사제) 또는 에틸 PABA (벤조카인); 살리실레이트, 특히 디프로필렌 글리콜 살리실레이트,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또는 TEA 살리실레이트; 트리아진, 특히 아니소트리아진 (Tinosorb S, Ciba 사제).
본 발명은 이제 하기의 비제한적 실시예를 사용하여 예증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상승효과의 실증
시험관 내 생물학적 시험 (진균류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 저해) 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조합의 탈색 활성을 실증한다.
본 시험은 각각의 피험 탈색 활성제에 대해 시간의 함수로서 475 nm 에서의 흡광도 (광학 밀도 OD)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활성제는 인산 완충액, 인산 완충액 중 2.0 ×10-3M의 L-타이로신 1 ㎖, 인산 완충액 중 1.0 ×10-4M의 L-도파 0.1 ㎖, 및 인산 완충액 중 1 g/ℓ 의 진균류 타이로시나아제 용액 50 ㎕ 의 존재 하에, 적절한 용매 중에 (다양한 농도로) 용해되며, 사용된 용매가 인산 완충액 중에 같은 농도로 구성된 대조군과 비교된다. 이어서 저해율이 하기 식에 의해 결정된다:
이어서 연구된 각 활성 화합물에 대해, 25 % 에 가까운 저해 수치가 관찰되는 몰 농도 (이론적 IC)를 결정한다. 따라서 단독으로 사용된 각 활성제에 상응하는 농도 C1및 C2가 수득된다. 이어서 농도 C1및 C2에서 수득된 실제 저해 수치를 검토한다 (수득된 IC).
이어서 상기 발견된 농도 C1및 C2의 이들 두 활성제를 함께 혼합한다. 이어서 개별적인 화합물에 대해 수득된 저해율의 합에 상응하는 혼합물의 이론적 저해율 (즉 이론적 IC)을 계산하고, 수득된 저해율 (즉 측정된 IC) 이 같은 실험 조건 하에서 별개로 시험된 화합물에 대해 측정된다.
예컨대, N-에틸옥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 및 적정농도 37 %의 이소플라본을 가진 대두 추출물 (Fujiflavone P40, Maruzen 사제) 로 수득된 결과는 하기와 같다:
활성제 농도 C 이론적 IC (%) 수득된 IC (%)
N-에톡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 / 에탄올 C1= 1.25 ×10-4M 24.8 23.5
대두 추출물 (Fujiflavone P40) / DMSO C2= 0.04 % 24.0 31.4
활성제의 조합 예상한 이론적 IC (%) 측정된 IC (%)
N-에톡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 및 대두 추출물 54.9 72.6
활성제의 혼합물에 있어서 측정된 IC 는, 이론적인 IC 보다 현저하게 크다는 것이 명백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주어진 본 시험의 정확도 (약 5 %)에서, 조합된 두 화합물의 상승효과는 명백하게 실증된다.
실시예 2: 올레오좀-형 O/W 유체
하기 조성물이 제조된다.
제시된 양은 중량 백분율이다.
상 A
N-에틸옥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0.5%
스테아릴 헵타노에이트 및 스테아릴 옥타노에이트5.5%
식물 오일11.6%
UVA 차단제1.9%
시클로펜타실록산3.7%
수크로스 트리스테아레이트2.0%
옥시에틸렌화 (4 EO)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1.35%
스테아르산1.0%
옥시에틸렌화 (60 EO) 수소화 피마자유2.5%
토코페릴 아세테이트0.5%
상 B
Fujiflavone P40 (Maruzen 사제)0.1%
보존제0.29%
트리에탄올아민0.50%
2나트륨 EDTA0.05%
글리세롤3.0%
물qs100.0%
얼굴용 표백 유체를 수득한다.
이는 하기 방식으로 수득될 수 있다:
상 A 및 B를 별도로 65 ℃ 까지 가열하고 나서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어서 상 B를 상 A 에 도입하여, W/O 에멀젼을 수득하여, 이를 고압 균질기 (500 b, 1 내지 3 회 처리)에서 균질화시킨다.
실시예 3: 올레오좀-형 O/W 유체
상 A
N-에틸옥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0.5%
스테아릴 헵타노에이트 및 스테아릴 옥타노에이트5.5%
식물 오일11.6%
UVA 차단제1.9%
시클로펜타실록산3.7%
수크로스 트리스테아레이트2.0%
옥시에틸렌화 (4 EO)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1.35%
스테아르산1.0%
옥시에틸렌화 (60 EO) 수소화 피마자유2.5%
토코페릴 아세테이트0.5%
상 B
Flavosterone SB (Ichimaru Pharcos 사제)10.0%
보존제0.29%
트리에탄올아민0.50%
2나트륨 EDTA0.05%
글리세롤3.0%
물qs100.0%
얼굴용 표백 유체를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4: 탈색 겔
상 A
UVB 차단제0.5%
시클로헥사실록산5.0%
상 B
Soy Life 150 NGMO (Schouton 사제)0.5%
보존제0.65%
2나트륨 EDTA0.1%
수산화나트륨0.11%
글리세롤10.0%
에탄올2.5%
N-에틸옥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0.5%
물qs100.0%
상 C
카르보머0.4%
물14.6%
이 겔은 당업자에게 통상적인 방식에 따라 수득될 수 있다.
실시예 5: 계면활성제가 없는 O/W 에멀젼
상 A
N-에틸옥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0.5%
식물 오일12.0%
UVA 차단제2.0%
UVB 차단제4.0%
시클로펜타실록산6.0%
상 B
Flavosterone SB (Ichimaru Pharcos 사제)2.0%
2나트륨 EDTA0.05%
디글리콜/CHDM/이소프탈레이트/SIP 공중합체
(Eastman AQ 38S, Eastman Chemical 사제)2.0%
글리세롤5.0%
에탄올10.0%
물qs100.0%
민감성 또는 반응성 피부에 특히 적합한 표백용 크림을 수득한다.
이 크림은 당업자에게 통상적인 방식에 따라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양호한 효능을 가지고 무해한 국소적 탈색물질로서 이소플라보노이드와 아미노페놀 유도체의 조합은 별도로 고려되었을 때보다 탈색력이 월등하였으며, 이 조합은 피부의 표백 및/또는 탈색에 있어서 상승 효과를 일으키는 이들 화합물의 효능을 증가시킨다.

Claims (17)

  1.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내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페놀 유도체 및 하나 이상의 이소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페놀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
    [식 중:
    R 은 수소 원자 또는 -COR2라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서 R2는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고리형 또는 분지형의, 임의로 히드록실화될 수 있는 C1-C30알킬 또는 알콕실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라디칼을 나타냄),
    R1은 하기 화학식 2, 3 또는 4 의 라디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2]
    -CO-NR3R4
    [화학식 3]
    -CO-O-R5
    [화학식 4]
    -SO2-R5
    (여기서 R3은 수소 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임의로 히드록실화될 수 있는 C1-C6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또는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고리형 또는 분지형, 임의로 히드록실화될 수 있는 C1-C30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라디칼을 나타내고,
    R5는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고리형 또는 분지형, 임의로 히드록실화될 수 있는 C1-C30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라디칼을 나타낸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페놀 유도체가 하기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R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 페닐 라디칼 상의 작용기 -OR 은 오르토 위치 또는 파라 위치에 있고,
    -R1은 화학식 2 또는 3 의 라디칼로부터 선택된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페놀 유도체가 N-에틸옥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 N-에틸옥시카르보닐-O-에틸옥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 N-콜레스테릴옥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 및 N-에틸아미노카르보닐-4-아미노페놀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페놀 유도체가 N-에틸옥시카르보닐-4-아미노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아미노페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5 중량% 내지 3 중량%의 아미노페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이소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01 중량% 내지 1 중량%의 이소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보노이드가 천연 기원의 이소플라보노이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보노이드가 다이드진, 게니스틴, 다이드제인, 포르모노네틴, 큐네아틴, 게니스테인, 이소프루네틴 및 프루네틴, 카자닌, 오로볼, 프라텐세인, 산탈, 주니페게닌 A, 글리시테인, 아프로르모신, 레투신, 텍토리게닌, 이리솔리돈 및 자마이신, 및 이들의 유사체 및 대사산물,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보노이드가 이소플라본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각질용해제 및/또는 피부 박리제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피부의 탈색 및/또는 표백제로서, 화장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간 피부의 탈색 및/또는 표백제를 제조하기 위해 화장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인간 피부를 탈색 및/또는 표백하는 화장 방법으로, 피부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화장 방법.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페놀 유도체가 하기의 조건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R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 페닐 라디칼 상의 작용기 -OR 은 오르토 위치 또는 파라 위치에 있고,
    -R1은 화학식 2 또는 3 의 라디칼로부터 선택된다.
KR10-2001-0069905A 2000-11-10 2001-11-10 아미노페놀 유도체 및 이소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화장용조성물 KR100530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4479A FR2816502B1 (fr) 2000-11-10 2000-11-10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derive d'aminophenol et un isoflavonoide
FR0014479 2000-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764A true KR20020036764A (ko) 2002-05-16
KR100530199B1 KR100530199B1 (ko) 2005-11-22

Family

ID=885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905A KR100530199B1 (ko) 2000-11-10 2001-11-10 아미노페놀 유도체 및 이소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화장용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107282A1 (ko)
EP (1) EP1205179A1 (ko)
JP (1) JP2002193726A (ko)
KR (1) KR100530199B1 (ko)
CN (1) CN1205915C (ko)
FR (1) FR2816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60314A1 (de) * 2004-12-08 2006-08-31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en aus einem oder mehreren Isoflavonoiden und Carnitin und/oder einem oder mehreren Acyl-Carnitinen
JP5129130B2 (ja) * 2005-06-29 2013-01-23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イソフラボンのナノ粒子を含む局所組成物
WO2008047758A1 (fr) * 2006-10-17 2008-04-24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Agent anti-inflammatoire contenant du 2-aminophénol ou un dérivé de celui-ci en tant que principe actif
US20100158829A1 (en) * 2008-12-24 2010-06-24 Conopco, Inc., D/B/A Unilever Method and Composition for Color Modulation
EP2593079B1 (en) * 2010-05-25 2016-11-16 Symrise AG Menthyl carbamate compounds as skin and/or hair lightening actives
JP5838498B2 (ja) * 2010-05-25 2016-01-06 シムライズ アーゲー 皮膚及び/又は毛髪のライトニング活性物質としてのシクロヘキシルカルバメート化合物
CN102631362B (zh) * 2012-01-19 2013-04-24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 射干异黄酮类化合物在制备预防和治疗紫外线致皮肤损伤药物中的应用
KR101602629B1 (ko) 2015-03-30 2016-03-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오로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10118272A (ko) * 2020-03-19 2021-09-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카칼라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885B2 (ja) * 1982-06-23 1985-05-18 一丸フアルコス株式会社 イソフラボン化合物含有美白化粧料
IL99291A (en) * 1991-08-23 1997-04-15 Fischer Pharma Ltd Cosmetic preparations
JPH06321752A (ja) * 1993-05-07 1994-11-22 Kao Corp 美白剤
JP3271840B2 (ja) * 1993-12-06 2002-04-08 花王株式会社 新規イソフラボン配糖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DE4432947C2 (de) * 1994-09-16 1998-04-09 New Standard Gmbh Mittel zur Behandlung der Haut und seine Verwendung
JPH0977655A (ja) * 1995-09-14 1997-03-25 Mikimoto Pharmaceut Co Ltd 皮膚外用剤
FR2767823B1 (fr) * 1997-08-27 1999-10-15 Oreal Composes derives d'aminophenol et leur utilisation en cosmetique
US5858997A (en) * 1997-12-04 1999-01-12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skin lightening
JPH11269066A (ja) * 1998-03-20 1999-10-05 Kao Corp 経口用美白剤及び美白用食品
FR2796838B1 (fr) * 1999-07-26 2003-05-23 Oreal Composition a base de vesicules lamellaires lipidiques incorporant un derive d'amino-phenol,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s
FR2802415B1 (fr) * 1999-12-20 2002-07-19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le n-ethyloxycarbonyl-4- amino-phenol et l'arbutine ou ses derives et/ou l'acide ellagique ou ses der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5915C (zh) 2005-06-15
US20020107282A1 (en) 2002-08-08
KR100530199B1 (ko) 2005-11-22
CN1352935A (zh) 2002-06-12
FR2816502A1 (fr) 2002-05-17
FR2816502B1 (fr) 2003-04-11
EP1205179A1 (fr) 2002-05-15
JP2002193726A (ja)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8204B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extract of mulberry, at least one extract of skullcap and at least one salicylic acid derivative
KR101089071B1 (ko) 백모증 처리를 위한 엘라그산의 용도
JP3606858B2 (ja) 少なくとも一のn−ビニルイミダゾールポリマー又はコポリマーによって安定化された少なくとも一の酸化感受性親水性活性剤を含む組成物の美容及び/又は皮膚科における使用
KR100308330B1 (ko) 아미노페놀 유도체 및 이의 화장품에의 용도
US6326014B1 (en) Use of oxamate derivatives as depigmenting agents
KR100530199B1 (ko) 아미노페놀 유도체 및 이소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화장용조성물
KR19990029381A (ko) 포스폰산 유도체 및 메타바이설파이트에 기초한 아스코르빈산안정화용 시스템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US7056498B2 (en) Composition containing aminophenol derivative, use thereof, and process for dissolving aminophenol derivative
KR101921043B1 (ko) 마르타곤 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921044B1 (ko) 마르타곤 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E19638534A1 (de) Verwendung von Tocopherylferulat zur Hautaufhellung oder zur Verhinderung der Hautbräunung, insbesondere der durch UV-Strahlung hervorgerufenen Hautbräunung
KR20070120914A (ko) 백모증 치료를 위한, 쿠마린 및 그의 유도체, 부틸화하이드록시아니솔 및 에톡시퀸의 용도
US20070059269A1 (en) Administration of 8-hexadecene-1,16-dicarboxylic acid for promoting cohesion of the epidermal horny layer
BRPI1107134B1 (pt) Composições e máscara facial que compreendem extratos de lilium siberia
US6228350B1 (en) Method of depigmenting and/or bleaching skin and/or body hair or head hair
US2001005335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N-ethyloxycarbonyl-4-amino-phenol and arbutin or its derivatives and/or ellagic acid or its derivatives
US6960347B2 (en) Composition based on N-cholesteryloxycarbonyl-4-para-aminophenol and hydroquinone or one of its derivatives
US20020168328A1 (en) Cell photoprotective complex anti-pollution agent
CH703818A2 (de) Neue Hautaufheller.
CH700523A1 (de) Neue Hautaufheller.
KR20040108405A (ko) 라스베리케톤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