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638A - 고추씨 분리기 - Google Patents

고추씨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638A
KR20020035638A KR1020020018057A KR20020018057A KR20020035638A KR 20020035638 A KR20020035638 A KR 20020035638A KR 1020020018057 A KR1020020018057 A KR 1020020018057A KR 20020018057 A KR20020018057 A KR 20020018057A KR 20020035638 A KR20020035638 A KR 20020035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per
separator
strainer
red pepper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 택 박
Original Assignee
노 택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 택 박 filed Critical 노 택 박
Priority to KR1020020018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5638A/ko
Publication of KR20020035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63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6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defining termination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e.g. screen denying egress of oversiz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고추의 과피(열매, 껍질)와 씨를 분리하는 고추씨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고추의 과피와 씨를 비마찰식으로 영양 손실없이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추씨 분리기{Red pepper separator}
본 발명은 주로 고추의 과피(열매, 껍질)와 씨를 분리하는 고추씨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고추의 과피와 씨를 비마찰식으로 영양 손실없이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의 편의상 고추의 과피와 씨를 분리하는 기기(器機)로 그 예를 들었으나, 물론 고추뿐 만 아니라 그 이외의 농작물이나 곡물의 과피(껍질이나 열매)와 씨를 분리하는데 당연히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추의 열매는 수분이 적은 원뿔 모양의 장과로 8∼10월에 익는다. 붉게 익은 열매는 건조 및 제분하여 고추가루, 고추장 등의 조미료나 향신료로 쓰게되며, 관상용이나 약용(중풍, 신경통, 동상 등)으로도 쓰인다. 그리고, 잎은 삶아서 나물로 먹고 풋고추는 조려서 반찬으로 하거나 부각으로도 만들어 먹는다.
고추의 매운맛은 캅사이신(알칼로이드의 일종인 Capsaicin)(C18H27O3N)이라고 하는 염기 성분 때문이며, 붉은 색소의 성분은 주로 캅산틴(Carotenoid 계의 Capsanthin으로 Vit. A가 많이 포함되며, 물고추는 수분 83%, Vit. C가 많이 함유되나 건조과정에서 Vit. C가 많이 파괴된다.)이다.
재래식 고추음식으로는 고추쌈, 고추전, 고추장찌게, 고추장 지짐, 고추잎 나물, 고추잎 장아찌 등으로 사용되며, 한방에선 발한, 식용촉진, 건위제, 회충, 요충 등의 구충제로 이용되고, 양방에선 신경통, 류머티스, 기관지염의 주 원료로 사용된다.
한편, 고추는 씨와 과피를 분리하거나 또는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분쇄 또는 제분하여 사용하게 되며, 필요에 의해 과피만 분쇄 또는 제분하는 경우(또는 씨만 분리하는 경우) 고추씨 분리기를 이용하여 고추의 과피와 씨를 분리하게 된다.
종래의 고추씨 분리기는 분리된 씨가 거의 빠져나온 상태에서 걸름채로 치거나 스크류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고추씨를 배출시키는 마찰방식이므로 영양손실이 많고 생산효율이 낮은 편이며, 작업성과 안전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고추씨 분리기의 전체 덩치가 크고 무거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고추와 같은 농작물을 비 마찰방식으로 파쇄시켜 과피와 씨의 외상(外傷)과 영양(營養) 손실없이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고추씨 분리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형 바닥판의 가장자리 단턱부에 씨 배출구와 과피 배출구를 갖는 원통형 드럼을 결합하고, 고정판과 바닥판의 중앙에 축봉을 설치하고, 축봉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밀대판이 방사상으로 균일 형성된 회전밀대를 끼워 고정하고, 드럼의 내주면의 내주면에 빙둘러 형성된 단턱부에 고추씨 통과 구멍이 무수히 형성된 걸름망을 결합하고, 걸름망의 상부면에 밀대판이 닿지 않도록 일부 구간에 개방부를 갖는 격리판을 수직으로 고정하고, 보스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밀대판이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형성된 밀대판을 걸름망이 결합된 축봉에 결합하고, 보스와 림 사이에 복수 개의 아암이 연결되고 림의 저부면에 복수 개의 봉이 체결된 회전밀대를 축봉에 결합하고, 회전밀대가 설치된 축봉의 상부와 드럼의 상부에 복수 개의 회전칼과 복수 개의 고정칼 및 이들 회전칼과 고정칼이 서로 접촉(마찰)하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링으로 구성되는 분쇄부를 설치하고, 파쇄부의 상부에 가압밀대와 호퍼를 설치하여 고추씨 분리기가 구성된다.
또한, 일부구간에 개방부를 갖는 격리판은 과피 배출구의 전체 영역을 막아주도록 함으로써 파쇄되어 걸름망으로 낙하하는 고추가 회전밀대에 의해 격리판의 내부공간에서 약 한바퀴 회전한 후에 과피 배출구로 배출되므로 대부분의 고추씨가 걸름망의 구멍을 통하여 씨 분리실로 낙하하도록 한다.
상기 걸름망의 구멍 내경은 고추씨를 분리시키는 경우 그 크기는 6㎜ 전.후로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개방부를 갖는 격리판을 2중 구조로 설치하여 완전한 분리를 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파쇄부의 상부에 호퍼로 투입되는 고추를 휘저어 주어 분산시키는 교반봉을 설치함으로서 작업자의 손이나 도구가 호퍼의 하부로 과도하게 진입하는 경우 상기 교반봉에 의해 작업자의 손이나 도구를 터치하여 가압수단으로의 진입을 방지하게 되므로 안전성이 부여된다.
도 1 - 본 발명의 전체 단면 구성도.
도 2 - 본 발명 회전밀대의 평면도.
도 3 - 본 발명 걸름망의 평면도.
도 4 - 본 발명 회전밀대 부분 평단면도.
도 5 - 본 발명 걸름망 고정편의 정면도.
도 6 - 본 발명 걸름망 부분 평단면도.
도 7 - 본 발명 걸름망 고정편 부분 단면도.
도 8 - 본 발명 회전밀대의 외관 사시도.
도 9 - 본 발명 회전밀대의 저면 사시도.
도 10 - 본 발명 가압밀대의 평면도.
도 11 - 본 발명 회전칼의 평면도.
도 12 - 본 발명 고정칼의 평면도.
도 13 - 본 발명 고정칼의 외관 사시도.
도 14 - 본 발명 고정칼의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15, 도 16 - 본 발명 간격 유지링의 평면도.
도 17 - 본 발명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18 - 본 발명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19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전체 단면도.
도 20 - 본 발명 도 19의 일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고추씨 분리기(4)--고정판
(6)--바닥판(8)--단턱부
(9)--축 베어링(10)--원통형 드럼
(12)--축봉(14)--모터
(16)(56)--회전밀대(18)(58)(78)(110)(130)--키홈
(20)(112)(132)--축공(22)(62)(80)(114)(134)--보스
(24)(64)--밀대판(26)--스페이스
(28)--단턱부(30)(118)--구멍
(32)--걸름망(33)--과피 분리실
(34)--바닥면(35)(135)--개방부
(36)--고추씨(37)(137)--격리판
(38)--씨 분리실(39)(86)(115)(123)(103)--공간부
(40)--씨 배출구(42)(70)--경사슈트
(44)(52)--통공(46)--고정홈
(48)--고정편(50)--결합돌기
(54)(142)--피스(60)(76)--결합공
(66)--고추과피(68)--과피 배출구
(72)--경사부 (72a)--공간
(74)--회전체(82)(120)--림
(84)--아암(88)(138)--봉
(90)--이완방지너트(92)--머리부
(94)--회전칼(96)(126)--고정칼
(98)(100)--링(102)--경사판
(104)--가압밀대(106)--호퍼
(108)--교반봉(116)(122)(124)(128)--커터
(140)--너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호퍼로 투입되는 곡물을 휘저어주는 회전봉과,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다단 회전커터와 다단 고정커터로 과피와 씨로 분리되게 파쇄하는 파쇄부와, 고추씨 크기보다 조금 큰 정도의 구멍이 무수히 형성되어 낙하하는 파쇄 고추를 씨와 과피로 분리하는 걸름망과, 걸름망의 상부면에 떨어진 고추의 과피(껍질)는 회전력 및 원심력을 이용하여 고추씨 분리기의 바깥으로 쓸어내고, 고추씨는 걸름망의 하부로 떨어뜨리는 회전밀대와, 걸름망의 구멍을 통과하여 씨 분리실로 하강한 고추씨를 회전력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고추씨 분리기의 바깥으로 쓸어내고, 고추씨는 걸름망의 하부로 떨어뜨리는 회전밀대와, 회전밀대에 의해 걸름망의 상부면 가장자리 부분으로 이동중인 고추의 과피와 씨를 이동시켜 씨는 걸름망의 구멍으로 완전히 흘러내리도록 하는 회전밀대와, 고추씨가 배출되는 씨 배출구와 고추 과피가 배출되는 과피 배출구로 크게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 고추씨 분리기(2)의 단면 구성도로, 고정판(4)의 상부에 원형 바닥판(6)이 고정되고, 바닥판(6)의 가장자리 부분 단턱부(8)에 원통형 드럼(10)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고정판(4)과 바닥판(6)의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고, 바닥판(6)의 축공에 축베어링(9)이 결합되고, 축베어링(9)에는 축봉(12)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축봉(12)의 하부에는 스위치(switch)에 의해 온/오프(ON/OFF)되거나 또는 인버터(inverter)에 의해 회전속도가 가변되는 감속모터(14) 또는 기어드 모터가 커플링으로 축결합되거나 체인과 체인 스프라켓, 풀리와 벨트 등과 같은 통상의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축봉(12)이 한쪽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축봉(12)의 회전수는 곡물에 따라 물론 상이하나 30RPM ~ 150RPM이 적당하다.
그리고, 축봉(12)의 외주면에는 회전밀대(16)가 끼워져 키(key)로 고정된다.
상기 회전밀대(16)는 도 2와 같이 키홈(18)과 축공(20)이 형성된 보스(22)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밀대판(24)이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형성된다.
축봉(12)을 따라 회전하는 밀대판(24)은 고추씨(36)를 씨 배출구(40)로 밀어낼 수 있게 고추씨(36) 크기 이상, 이를테면 6㎜ ~ 20㎜의 높이 또는 두께를 갖는다.
그리고, 밀대판(24)의 끝 부분은 드럼(10)의 내주면에 닿지 않도록 설치되며, 축봉(12)에 결합되는 스페이스(26)에 의해 밀대판(24)의 저부면은 바닥면(34)에 닿지 않게 된다.
상기 밀대판(24)은 곡물의 대상에 따라 또는 씨 배출압 정도에 따라 2개 내지 10개 범위로 배열시켜 고정하거나 형성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드럼(10)의 내주면에 빙둘러 형성되는 단턱부(28)에는 도 3과 같이 고추씨(36) 크기보다 조금 큰 크기의 구멍(30)이 무수히 형성된 걸름망(32)의 가장자리 부분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걸름망(32)과 바닥면(34) 사이에는 상기 회전밀대(16)가 비 마찰 구조로 위치하는 씨 분리실(38)이 형성되고, 걸름망(32)의 상부에는 과피 분리실(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름망(32)의 구멍(30)을 통하여 바닥면(34)으로 낙하하게되는 고추씨(36)는 밀대판(24)의 회전력 및 원심력에 의해 씨 분리실(38)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밀리면서 도 4와 같이 드럼(10)의 전면에 형성된 씨 배출구(40)와 경사슈트(42)를 통하여 씨 분리기(2)의 바깥으로 배출된다.
걸름망(32)의 중앙부에는 도 3과 같이 축봉(12)에 접촉하지 않는 통공(44)이 형성되어 걸름망(32)이 축봉(12)을 따라 회전하지 않게되며, 걸름망(3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바깥방향으로 개방되는 복수 개의 고정홈(46)이 빙둘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46)에는 도 5와 같이 고정편(48)의 결합돌기(50) 부분을 결합한 다음 도 1, 도 6, 도 7과 같이 고정편(48)의 통공(52)에 피스(54)를 끼워 드럼(10)의 내주면에 체결하면 걸름망(32)이 드럼(10)에 고정된다. 따라서, 걸름망(32)의 상.하 유동이나 회전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고추씨가 통과하도록 걸름망(32)에 무수히 형성되는 구멍(30)은 조밀한 간격이지만 걸름망(32)의 쳐짐이나 구조약화를 방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크기는 분리 대상 곡물의 크기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나 고추씨(36)와 고추 과피(66)를 분리시키는 경우 구멍(30)의 크기는 6㎜ 전.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고추씨(36)의 크기가 달라지거나 또는 일반 곡물의 씨 크기가 고추씨보다 크기가 작은 경우 그에 상응하는 내경의 구멍(30) 크기를 갖는 걸름망(32)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피스(54)를 이완 및 분리시켜 고정편(48)을 제거하고, 걸름망(32)을 분리시킨 후에 구멍(30)의 크기가 달라진 새로운 걸름망(32)으로 교환한 다음 상기 걸름망(32)의 고정홈(46)에 고정편(48)의 결합돌기(50) 부분을 결합한 다음 피스(54)로 고정편(48)(52)을 드럼(10)의 내주면에 체결하면 걸름망(32)이 드럼(10)에 견고히 고정되므로 걸름망(32)의 상.하 유동이나 회전이 방지된다.
걸름망(32)의 상부면에는 도 1 및 도 6과 같이 일부 구간에 개방부(35)를 갖는 원형 상태의 격리판(37)을 수직으로 고정시켜 후술하는 파쇄부에 의해 씨와 과피로 분리된 파쇄상태의 고추가 낙하하는 공간과 그렇지 않는 공간을 구분하여 격리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파쇄상태의 고추가 낙하하면 밀대판(64)의 회전력 및 원심력에 의해 고추씨(36)와 고추 과피(66)가 과피 분리실(33)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밀리게 되나, 밀대판(64)의 끝 부분과 닿지 않을 정도로 근접하는 격리판(37)에 의해 격리판(37) 안쪽 영역(지역)으로 낙하하는 고추(파쇄상태)는 개방부(35)를 벗어날 때까지는 상기 격리판(37)의 안쪽을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 고추씨(36)가 걸름망(32)의 구멍(30)을 통과하여 씨 분리실(38)로 대부분 낙하하게된다.
상기 격리판(37)은 과피 배출구(68)의 전체 영역을 막아주도록 하고, 개방부(35)는 60°전.후로 형성함으로써 고추 과피(66)의 배출저항을 증대시켜 고추씨(36) 분리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즉, 격리판(37) 안쪽의 걸름망(32) 상부로 낙하하는 파쇄상태의 고추가 회전밀대(56)에 의해 격리판(37)의 내부공간에서 약 한바퀴 회전한 후에 과피 배출구(68)로 배출되므로 대부분의 고추씨가 걸름망(32)의 구멍(30)을 통하여 씨 분리실(38)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개방부(35)를 통하여 격리판(37)과 드럼(10) 사이의 공간부(39)(파쇄상태의 고추가 낙하하지 않는 영역)로 이동되는 대부분의 고추 과피(66)와 소량의 고추씨(36)는 도 9에 도시된 회전체(74)의 봉(92)들에 의해 배출저항과 회전압력을 받아 공간부(39)로 흩어지게 되므로 거의 전부의 고추씨(36)가 공간부(39)상에 위치하는 걸름망(32)의 구멍(30)을 통과하여 씨 분리실(38)로 낙하하게된다.
한편, 걸름망(32)이 결합된 축봉(12)의 외주면에는 회전밀대(56)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회전밀대(56)는 도 8과 같이 키홈(58)과 결합공(60)이 형성된 보스(62)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밀대판(64)이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어 축봉(12)을 따라 회전하면서 걸름망(32)의 상부로 낙하하는 고추 과피(66)를 격리판(37)의 개방부(35)로 밀어내게된다.
즉, 과피 분리실(33)의 상부에 위치하는 파쇄부로 부터 걸름망(32)의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고추 과피(66)가 밀대판(64)의 회전력 및 원심력에 의해 과피 분리실(33)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밀리면서 격리판(37)에 의해 격리판(37)의 내부공간에서 약 한바퀴 회전한 후에 과피 배출구(68)로 배출되므로 대부분의 고추씨(36)는 걸름망(32)의 구멍(30)을 통하여 씨 분리실(38)로 낙하하게 하게 되고, 고추 과피(66)는 도 1, 도 6과 같이 드럼(10)의 측면에 형성된 과피 배출구(68)와 경사슈트(70)를 통하여 씨 분리기(2)의 바깥으로 배출된다.
상기 밀대판(64)은 수직으로 형성하거나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으며, 경사도가 심하면 과부하 요인이 있으므로 수직이나 수직에 가까운 정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대판(64)은 도 1, 도 8과 같이 가장자리 상부면에 경사부(72)를 형성함으로써 과피 분리실(33)의 과피가 후단의 밀대판과 밀대판 사이의 공간(72a)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고추씨(36)와 고추과피(66)가 효과적이면서 능률적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회전밀대(56)가 결합된 축봉(12)의 외주면에 또 다른 형상과 구조의 회전체(74)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74)는 도 9와 같이 회전축봉(12)에 결합되는 결합공(76)과 회전축봉(12)에 고정시킬 수 있는 키홈(78)이 각각 형성된 보스(80)와, 회전체(74)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림(82) 사이에 복수 개의 아암(84)이 방사상으로 연결되며, 아암(84)과 아암(84) 사이에는 파쇄상태의 고추 과피(66) 및 고추씨(36)가 걸름망(32)으로 낙하할 수 있는 공간부(86)가 각각 형성되고, 림(84)의 저부면에는 복수 개의 봉(88)이 지그재그로 체결되어 하향 돌출된다.
그리고, 림(82)의 저부면에 설치되는 상기 봉(88)은 도 1과 같이 걸름망(32)의 상부면에 닿지 않도록 돌출정도(길이)가 조정되며, 또한 이완방지너트(90)로 견고히 체결되어 동작중 봉(88)의 분리가 방지된다.
상기 봉(88)은 용접방식으로도 견고히 고정할 수 있으며, 봉(88)의 하부에는 봉체보다 다소 큰 크기의 머리부(92)를 형성하여 밀대판(64)의 회전작용에 의해 격리판(37)의 안쪽영역을 회전하다가 개방부(35)를 통하여 격리판(37)과 드럼(10) 사이의 공간부(39)로 이동하게 되는 대부분의 고추 과피(66)와 소량의 고추씨(36)가 흩어지게 되므로 고추씨(36)가 걸름망(32)의 구멍(30)을 통과하여 씨 분리실(38)로 대부분 낙하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74)가 설치된 축봉(12)의 상부와 드럼(10)의 상부에 복수 개의 회전칼(94)과 복수 개의 고정칼(96) 및 이들 회전칼(94)과 고정칼(96)이 서로 접촉(마찰)하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링(98)(100)으로 구성되는 분쇄부가 설치된다.
상기 분쇄부의 상부 축봉(12)에는 도 10과 같이 복수 개의 경사판(102)을 갖는 가압밀대(104)가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호퍼(106)로 투입된 고추를 복수 개의 회전칼(94)과 고정칼(96)로 가압 공급하게된다.
상기 회전칼(94)과 고정칼(96)의 상호작용에 의해 그 상부로 투입되는 고추(곡물)가 파쇄되어 과피와 씨로 분리되며, 회전칼(94)과 고정칼(96)이 고추를 파쇄할 때 고추씨(36)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과피(66)를 파쇄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밀대(104)의 상부에는 씨 분리 대상 고추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106)가 설치되고, 가압밀대(104)의 일측에는 가압밀대(104)를 따라 회전하면서호퍼(106)로 투입되는 고추를 휘저어 주는 교반봉(108)이 경사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교반봉(108)은 작업자의 손이나 도구가 호퍼(106)의 하부로 과도하게 진입하는 경우 작업자의 손이나 도구를 터치하여 가압밀대(104)로의 진입을 방지하게 되므로 안전성이 부여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칼(94)은 도 11과 같이 키홈(110)과 축공(112)이 형성된 보스(114)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커터(116)가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고, 커터(116)와 커터(116) 사이에는 파쇄된 고추가 자중에 의해 밑으로 낙하할 수 있는 공간부(115)가 형성된다.
그리고, 드럼(10)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칼(96)은 도 12와 같이 중앙부에 회전축봉(12) 및 회전체가 접하지 않도록 구멍(118)이 형성되고, 고정칼(96)의 가장자리 부분에 빙둘러 위치하는 림(120)에는 상기 구멍(118)으로 향하는 길고 짧은 길이의 커터(122)(124)가 교대로 형성되고, 커터(122)와 커터(124) 사이에는 파쇄된 고추가 자중에 의해 밑으로 낙하할 수 있는 공간부(123)가 형성된다.
도 13은 상기 고정칼(96)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14는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고정칼(126)의 평면도이다.
상기 고정칼(126)은 길이가 긴 커터(122) 사이에 길이가 짧은 2개 또는 그 이상 복수 개의 커터(128)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고추가 부드럽게 파쇄된다.
즉, 도 12와 같이 길이가 짧은 커터(122)가 한 개 형성된 고정칼(96)의 경우 고추가 거칠게 파쇄되지만, 도 14와 같이 길이가 짧은 커터(128)가 복수 개로 형성된 고정칼(126)의 경우 상기 도 12의 고정칼(96) 보다는 부드럽게 파쇄된다.
도 10은 가압밀대(104)의 외관 사시도로, 키홈(130)과 축공(132)이 형성된 보스(134)의 외주면에 45° 전.후의 기울기를 갖는 복수 개의 경사판(102)이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며, 경사판(102)과 경사판(102) 사이에는 호퍼(106)내의 고추가 진입할 수 있도록 공간부(103)가 형성된다.
도 15, 도 16은 회전칼(94)과 고정칼(96)이 서로 접촉(마찰)하지 않도록 이들의 상.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링(98)(100)의 평면도로, 상기 회전칼(94)과 고정칼(96)의 측면이 맞은편 링(98)(100)의 측면에 닿지 않도록 좌.우 간격이 유지된다.
도 17은 분쇄부를 구성하는 회전칼(94)과 고정칼(96)을 보여주기 위한 본 발명 도 1의 A-A'선 평면도이고, 도 18은 분쇄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압밀대(104)를 보여주는 B-B'선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고, 도 20은 그 평면도로, 공간부(39)의 중간에 개방부(135)가 형성된 외부 격리판(137)을 설치하고, 회전체(74)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림(84)의 저부면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봉(88)(138)을 2열로 설치하여 고추씨(36)의 완전분리를 달성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즉, 개방부(35)를 통하여 격리판(37)과 드럼(10) 사이의 공간부(39)로 이동되는 대부분의 고추 과피(66)와 소량의 고추씨(36)는 도 9에 도시된 회전체(74)의 봉(92)들에 의해 배출저항과 회전압력을 받아 공간부(39)에서 대부분 흩어지게 되므로 잔류하는 고추씨(36)가 걸름망(32)의 구멍(30)을 통과하여 씨 분리실(38)로낙하하게되며, 개방부(35)를 통하여 바깥에 위치하는 공간부(139)로 이동하는 대부분의 고추 과피(66)와 미량의 고추씨(36)는 또 다른 회전밀대(138)의 작용에 의해 배출저항과 회전압력을 받게되므로 외부 공간부(139)에서 대부분 흩어지게 되고 미량 잔류하는 고추씨(36)는 걸름망(32)의 구멍(30)을 통과하여 씨 분리실(38)로 낙하하게되고, 과피 배출구(68)로는 고추 과피(66)만 배출된다.
상기에서 내부 격리판(37)는 과피 배출구(68)의 전체 영역을 막아주도록 하고, 내부 격리판(37)의 개방부(35)의 전체영역은 상기 외부 격리판(137)이 막아주도록 하면 고추 과피(66)와 고추씨(36)가 격리판(37)(137)에 의해 바로 배출되지 아니하므로 고추씨(36)의 완전분리가 달성된다.
축공(12)의 상부에는 상부로 향 할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고 하부는 링(98)의 외경과 거의 비슷한 크기를 갖는 너트(140)가 결합되고, 상기 너트(140)의 상부에는 피스(142)가 체결되어 가압밀대(104), 회전칼(94), 회전밀대(16)(56), 회전체(74) 등을 수리할 때 분리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에서 와셔(140)는 밑으로 향 할수록 그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이므로 고추의 투입이 쉬우며, 너트(142)는 축봉(12)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체결되어 있어서 회전 중 풀림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금속분말이 발생하지 않는 비(非) 마찰식으로 곡물을 파쇄시켜 과피와 씨를 손상없이 거의 전부(99.9%) 분리하므로 효율이 우수하고 위생적이며, 고추의 영양파괴와 소음이 감소되고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기를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속도와 회전토크를 조정하여 대상 곡물에 따라 파쇄 및 분리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비단 고추 뿐만 아니라 여타의 각종 곡물의 과피와 씨를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축봉을 따라 회전하는 교반봉에 의해 호퍼로 투입되는 고추가 교반되며, 또한 작업자의 손이나 도구가 호퍼의 하부로 과도하게 진입하는 경우 상기 교반봉이 작업자의 손이나 도구를 터치하여 가압밀대로의 진입을 방지하게 되므로 안전성이 부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름망(32)을 고정하는 고정편(48)은 체결구조이므로 분리 대상 곡물의 씨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이에 합당하는 크기의 구멍을 갖는 걸름망(32)으로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름망으로 낙하하는 파쇄상태의 고추가 회전밀대와 격리판에 의해 격리판의 내부공간에서 약 한바퀴 회전한 후에 과피 배출구로 배출되므로 거의 전부의 고추씨가 걸름망의 구멍을 통하여 씨 분리실로 낙하하여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고추씨 분리기에 있어서 ; 바닥판(6)의 중앙에 축 설치된 축봉(12)에 고추씨(36)를 씨 배출구(40)로 배출시키는 회전밀대(16)와, 고추 과피(66)를 과피 배출구(68)로 배출시키는 회전밀대(56)와, 과피 배출구(68)로 이동하는 파쇄상태의 고추를 흩어지게 하는 회전체(74)와, 링(98)으로 간격이 유지되는 복수 개의 회전칼(94)과, 호퍼의 고추를 분쇄부로 가압 이동시키는 가압밀대(104)를 각각 끼워 고정하고, 바닥판(6)의 가장자리부에 씨 배출구(40)와 과피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 드럼(10)을 고정하고, 드럼(10)의 내주면 단턱부에 통공(44)과 고추씨(36) 통과구멍(30)이 무수히 형성된 걸름망(32)을 설치하고, 걸름망(32)의 상부면에 개방부(35)를 갖는 격리판(37)을 고정하고, 드럼(10)의 상부에 링(100)으로 간격이 유지되고 회전칼(94)과 비 마찰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고정칼(96)을 고정하여서 된 고추씨 분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 회전밀대(16)는 키홈(18)과 축공(20)이 형성된 보스(22)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밀대판(24)을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형성하여서 된 고추씨 분리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 밀대판(24)의 높이는 6㎜ ~ 20㎜ 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씨 분리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걸름망(32)의 고정홈(46)에 고정편(48)의 결합돌기(50)를 결합하고, 고정편(48)의 통공(52)에 피스(54)를 끼워 드럼(10)의 내주면에 체결시켜 걸름망(32)을 고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씨 분리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회전밀대(56)는 키홈(58)과 결합공(60)이 형성된 보스(62)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밀대판(64)을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형성하여서 된 고추씨 분리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회전체(74)는 결합공(76)과 키홈(78)이 형성된 보스(80)와, 림(82)과 보스(8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아암(84)과, 아암(8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86)와, 림(84)의 저부면에 지그재그로 체결되는 복수 개의 봉(88)으로 구성하여서 된 고추씨 분리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회전칼(94)은 키홈(110)과 축공(112)이 형성된 보스(114)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커터(116)가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고, 커터(116)와 커터(116) 사이에 공간부(115)가 형성하여서 된 고추씨 분리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고정칼(96)은 중앙부에 회전축봉(12) 및회전체가 접하지 않도록 구멍(118)이 형성되고, 고정칼(96)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림(120) 부분에 상기 구멍(118)으로 향하는 길고 짧은 길이의 커터(122)(124)를 교대로 형성하고, 커터(122)와 커터(124) 사이에 공간부(123)를 형성하여서 된 고추씨 분리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 고정칼은 길이가 긴 커터(122) 사이에 길이가 짧은 2개 이상 복수 개의 커터(128)를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씨 분리기.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가압밀대(104)는 키홈(130)과 축공(132)이 형성된 보스(134)의 외주면에 45° 전.후의 기울기를 갖는 복수 개의 경사판(102)이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고, 경사판(102)과 경사판(102) 사이에 공간부(103)를 형성하여서 된 고추씨 분리기.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격리판(37)의 개방부(35)는 과피 배출구(68)의 전체 영역을 막아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씨 분리기.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개방부(35)(135)를 갖는 내.외부 격리판(37)(137)을 걸름망(32)의 상부면에 2중 구조로 설치하되, 내.외부 격리판(37)(137)의 개방부(35)(135)가 교차하지 않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씨 분리기.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걸름망(32)의 구멍(30) 내경은 고추씨를 분리시키는 경우 그 크기는 6㎜ 전.후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씨 분리기.
KR1020020018057A 2002-04-02 2002-04-02 고추씨 분리기 KR20020035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057A KR20020035638A (ko) 2002-04-02 2002-04-02 고추씨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057A KR20020035638A (ko) 2002-04-02 2002-04-02 고추씨 분리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936U Division KR200284158Y1 (ko) 2002-04-02 2002-04-02 고추씨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638A true KR20020035638A (ko) 2002-05-13

Family

ID=1972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057A KR20020035638A (ko) 2002-04-02 2002-04-02 고추씨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56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843B1 (ko) * 2006-08-16 2008-03-03 백성기 고추씨 제거장치
KR20160087085A (ko)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경은 씨 분리기
CN115193719A (zh) * 2022-06-09 2022-10-18 大连理工大学 一种喷丸丸粒质量检测与筛选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843B1 (ko) * 2006-08-16 2008-03-03 백성기 고추씨 제거장치
KR20160087085A (ko)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경은 씨 분리기
CN115193719A (zh) * 2022-06-09 2022-10-18 大连理工大学 一种喷丸丸粒质量检测与筛选装置
CN115193719B (zh) * 2022-06-09 2023-07-25 大连理工大学 一种喷丸丸粒质量检测与筛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528703A (ja) 油抽出用のオリーブ・ペースト作成装置およびその方法
ES2250865T3 (es) Dispositivo para triturar y extraer jugo o pulpa de productos alimenticios.
KR102513927B1 (ko) 압박에 의해 식품 쥬스를 준비하는 전기 기기
KR101011731B1 (ko) 다단 여과 바스켓을 가진 주스 추출기
WO2015192284A1 (zh) 慢速榨汁机
CN110280357B (zh) 一种调味品原材料粉碎机
WO2016047915A1 (ko) 전동식 푸드 그레이터
KR100777224B1 (ko) 은행껍질 파쇄시스템 및 그 방법
CN208526864U (zh) 一种高效的蒜粉碎装置
KR200284158Y1 (ko) 고추씨 분리기
CN112304055B (zh) 一种食品加工用谷物干燥粉碎装置
KR20020035638A (ko) 고추씨 분리기
CN106492943B (zh) 一种双螺旋磨粉机构
CN104983289A (zh) 蒜泥机
CN106334603B (zh) 一种食材颗粒粉碎的方法
KR20090059581A (ko) 고추 과피 분리기
CN210275796U (zh) 一种去皮去核打浆机
KR20180111262A (ko)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0425545B1 (ko)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CN219092204U (zh) 一种红甜菜破碎机
KR102393611B1 (ko) 씨선별분리장치
KR101042735B1 (ko) 유자씨 배출장치
KR101864823B1 (ko) 다단형 식품 분쇄기
JP2554236B2 (ja) 簡便型多用途解砕機
CN212882778U (zh) 一种食品加工用离心搅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