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823B1 - 다단형 식품 분쇄기 - Google Patents

다단형 식품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823B1
KR101864823B1 KR1020180011985A KR20180011985A KR101864823B1 KR 101864823 B1 KR101864823 B1 KR 101864823B1 KR 1020180011985 A KR1020180011985 A KR 1020180011985A KR 20180011985 A KR20180011985 A KR 20180011985A KR 101864823 B1 KR101864823 B1 KR 101864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main body
head portion
plat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철
Original Assignee
서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철 filed Critical 서영철
Priority to KR1020180011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채류(果菜類) 등 각종 식품을 세절하는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세절판(50)이 방사상(放射狀)으로 장착된 회전반(40)과, 다층의 절단판(60)이 원통형 본체(10) 내부에 순차 설치되어, 식품의 파절 및 세절이 수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분쇄 대상 식품을 작은 조각으로 파절하는 작업과 파절된 조각을 미세한 입자로 세절하는 작업을 단일 장치로 일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식품 가공 공정을 간소화하고 분쇄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형 식품 분쇄기{MULTILAYER FOOD GRINDER}
본 발명은 과채류(果菜類) 등 각종 식품을 세절하는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세절판(50)이 방사상(放射狀)으로 장착된 회전반(40)과, 다층의 절단판(60)이 원통형 본체(10) 내부에 순차 설치되어, 식품의 파절 및 세절이 일괄 수행되는 것이다.
각종 식품 또는 약품의 제조에 있어서, 원료가 되는 과채류 등을 분쇄하는 공정이 선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13-44192호 등을 들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13-44192호를 비롯한 종래의 식품용 분쇄기는 회전 절삭체를 이용하여 식품 원료를 미세한 입자로 분쇄하는 장치로서, 분쇄기로 투입된 과채류 등의 식품 원료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절삭체에 의하여 절단이 반복되면서 미세한 입자로 가공된다.
이러한 식품 분쇄에 있어서, 무, 호박 등의 대형 과채류를 직접 투입하는 경우, 분쇄 효율이 저하되고 과도한 동력이 소모될 수 있으므로, 일단 작은 조작으로 파절한 후, 분쇄기에 투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별도의 파절 장치를 구비하거나, 인력으로 절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분쇄전 전처리 장치 및 공정은 해당 완제품의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공정의 복잡화로 인하여 위생 및 품질 관리상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파절 장치 또는 인력 파절 공정의 사전 수행, 파절된 식품의 보관 및 이동 과정에서 식품 원료내 수분 및 향미가 손실되는 심각한 품질상 문제가 수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식품 분쇄기에 있어서, 하단부에 배출구(25)가 형성된 원통형 용기인 본체(10) 하부에는 구동모터(21)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20)이 수직으로 돌출되고, 회전축(20)에는 본체(10)와 동심을 이루는 원반체로서 다수의 통공(45)이 방사상으로 천공된 회전반(40)이 장착되되, 회전반(40)의 통공(45) 상부에는 다수의 세절판(50)이 방사상으로 부착되며, 회전반(40) 상부의 회전축(20)에는 다수의 절단판(60)이 적층 장착되어, 본체(10)로 투입된 식품이 절단판(60)에 의하여 파절된 후 세절판(50)에 의하여 세절되고 통공(45)을 경유하여 배출구(25)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식품 분쇄기이다.
또한, 상기 절단판(60)의 회전축(20) 결합부(43)에는 두께가 확대된 적판부(65)가 형성되어, 다수의 절단판(60)이 측면상 상, 하로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식품 분쇄기이며, 상기 세절판(50)은 회전반(40)과 결속되는 두부(51)와, 양측의 날부(52)로 구성되어, 두부(51)가 회전반(40)의 중심을 향하도록 장착되되, 회전반(40) 내부에는 세절판(50) 두부(51)와 일치하는 형상의 결합부(43) 다수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세절판(50) 양측의 날부(52) 중 일측 날부(52)와 두부(51) 중심선간 거리와 타측 날부(52)와 두부(51) 중심선간 거리에 편차가 형성되어, 세절판(50)의 부착면을 변경함에 따라 평면상 통공(45)의 개방 면적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식품 분쇄기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분쇄 대상 식품을 작은 조각으로 파절하는 작업과 파절된 조각을 미세한 입자로 세절하는 작업을 단일 장치로 일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식품 가공 공정을 간소화하고 분쇄 효율을 제고할 뿐 아니라, 가공 과정에서 수반되는 수분 및 향미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공정의 간소화를 통하여 완제품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위생 및 품질관리상 이점 또한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분절단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부분절단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대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절단판 및 회전반 발췌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절단판 일 실시예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반 발췌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세절 입경 조절 방식 설명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 원리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원통형 본체(10)가 장착대(27) 상단에 설치되고, 장착대(27) 일 측면에는 분쇄물이 배출되는 슬라이더(28)가 설치되며, 본체(10) 상단에는 다수의 투입구(73)가 절개된 상단커버(72)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하단부에 배출구(25)가 형성된 원통형 용기인 본체(10) 하부에는 구동모터(21)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20)이 수직으로 돌출되고, 회전축(20)에는 식품을 절단 및 분쇄하는 회전반(40) 및 절단판(60) 등이 장착되어, 구동모터(21)가 가동됨에 따라 회전축(20) 및 회전축(20)에 장착된 회전반(40) 등이 회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장착대(27)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1)와 회전축(20)이 벨트 및 풀리를 통하여 연결되어, 구동모터(21)의 동력이 회전축(20)으로 전달되고 있으나, 이 밖에도 기어 또는 체인 등 다양한 동력 전달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장착대(27) 상단에 설치되는 원통형 본체(10)는 가공 대상 식품이 투입 및 적재되는 용기로서, 상부가 개방된 중공(中空)의 원통체가 수직 회전축(20)과 평행한 기립 상태로 설치되며, 평면상 본체(10)와 회전축(20)은 동심(同心)을 이룬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0) 하단부에는 평면상 본체(10) 내측 일부분이 개방된 배출구(25)가 형성되어, 장착대(27) 일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더(28)와 연통되며, 이들 배출구(25) 및 슬라이더(28)를 통하여 분쇄 가공된 식품이 본체(10) 외부로 배출된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0) 중심부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20)에는 본체(10)와 동심을 이루는 원반체로서 다수의 통공(45)이 방사상으로 천공된 회전반(40)이 장착되되, 회전반(40)의 통공(45) 상부에는 다수의 세절판(50)이 방사상으로 부착된다.
회전반(40)은 본체(10) 및 회전축(20)과 평면상 동심을 이루면서, 도 4에서와 같이, 회전축(20)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원반체로서,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평면상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통공(45)이 회전반(40) 외곽부에 천공 형성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일렬로 등간격 배열된 3개의 통공(45)이 회전반(40) 중심을 축으로 등각(等角)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있다.
회전반(40)의 통공(45) 상부에 설치되는 세절판(50)은 양측 단부에 예리한 날부(52)가 형성된 판체로서, 회전반(40)이 회전됨에 따라 세절판(50)이 식품을 미세한 입자로 세절하고, 세절된 입자는 도 4에서와 같이, 통공(45)을 통과하여 본체(10) 내측 하단면에 안착된 후 배출구(25) 및 슬라이더(2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회전반(40) 하부의 회전축(20)에는 하단부가 본체(10) 내부 하단면에 접촉되는 판체인 블레이드(30)가 장착되어, 본체(10) 내측 하단면에 안착된 식품 분쇄물을 수집하여 배출구(25)로 회전 이송하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회전반(40) 상부의 회전축(20)에는 다수의 절단판(60)이 적층 장착되되, 절단판(60)은 평면상 등각 방사상으로 배치되는데, 여기서 절단판(60)은 일단에는 회전축(20)이 결합되는 적판부(65)가 형성되고, 타 단부는 예리한 수평 판체로 형성되어, 회전축(20)이 회전함에 따라 절단판(60)이 본체(1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투입된 식품을 일차 파절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절단판(60)의 회전축(20) 결합부(43)에는 두께가 확대된 적판부(65)가 형성되어, 다수의 절단판(60)이 측면상 상, 하로 이격됨으로써, 대형 과채류 등의 가공 대상 식품이 신속하게 절단될 수 있으며, 적판부(65)의 두께를 조절함에 따라 상, 하 절단판(60)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가공 대상 식품의 1차 절단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도 6에서와 같이, 절단판(60)과 적판부(65)를 분리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절단판(60) 전체의 교체 없이 다양한 두께의 적판부(65)를 교체 결합하거나, 적판부(65)의 결합 개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 하 절단판(60)간 이격 거리를 자유롭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10) 상단에는 상단커버(72)가 결합되고, 본체(10) 내부에는 내부호퍼(71)가 설치되어, 가공 대상 식품의 투입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고, 분쇄 과정에서 분쇄물이 본체(10) 외부로 비산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체(10)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커버(72)에는 다수의 투입구(73)가 절개 형성되는데, 상단커버(72) 외곽부에는 다수의 투입구(73)가 평면상 방사상으로 절개 형성되어, 도 4에서와 같이, 본체(10) 상단의 중앙부가 아닌 외곽부로 가공 대상 식품을 최초 투입하게 되고, 본체(10) 내부에는 중앙부가 개방된 깔대기 형태의 내부호퍼(71)가 설치되는 바, 상단커버(72)의 투입구(73)를 통과한 가공 대상 식품은 내부호퍼(71)를 통과하면서 본체(10) 중심측으로 안정적으로 유도되며, 평면상 상단커버(72)의 중심부가 폐쇄되어 있는 바, 작업자의 신체가 우발적으로 본체(10) 내측 심부(深部)로 진입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투입된 식품의 최초 절단이 이루어지는 부분은 다수의 절단판(60)으로서, 이들 절단판(60)은 평면상 본체(10)의 외곽부에 위치하고 있는 바, 평면상 중심부가 개방되고 외곽부는 폐쇄된 구조의 내부호퍼(71)로 인하여, 분쇄물의 본체(10) 외측 비산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렇듯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4에서와 같이, 대형 과채류 등의 분쇄 대상 식품이 본체(10) 내부로 투입되면, 일단 절단판(60)에 의하여 파절된 후, 세절판(50)에 의하여 세절되고, 세절된 분쇄물은 통공(45)을 경유하여 배출구(25)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반(40) 및 세절판(50)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세절판(50)의 비대칭 구조를 통하여 통공(45)의 개구부 면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써 최종 세절되는 분쇄물의 입경(粒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세절판(50)을 회전반(40)과 결속되는 두부(頭部)(51)와, 양측의 날부(52)로 구성하되, 날부(52)를 비대칭으로 형성하여, 세절판(50)의 부착면에 따라 통공(45) 상 날부(5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세절판(50)의 두부(51)는 회전반(40)의 중심을 향하도록 장착되되, 회전반(40) 내부에는 세절판(50) 두부(51)와 일치하는 형상의 결합부(43) 다수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부(43)에 세절판(50)의 두부(51)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나사 등을 체결하여 세절판(50)을 회전반(40)에 부착하게 된다.
도 8에서와 같이, 세절판(50) 양측의 날부(52) 중 일측 날부(52)와 두부(51) 중심선간 거리와, 타측 날부(52)와 두부(51) 중심선간 거리에 편차가 형성되는데, 이로써 세절판(50)의 부착면을 변경함에 따라 평면상 통공(45)의 개방 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8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되어 있던 세절판(50)을 분리하여, 뒤집은 후, 동 도면의 우축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함으로써, 평면상 노출되는 통공(45)의 개방부 면적을 조절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부(51)의 중심선에서 멀리 이격된 날부(52)가 통공(45) 상부에 위치하는 동 도면 좌측의 회전반(40)에서는 통공(45)이 노출면적이 축소되어 식품이 세립(細粒)으로 분쇄되고, 두부(51)의 중심선에서 가깝게 이격된 날부(52)가 통공(45) 상부에 위치하는 동 도면 우측의 회전반(40)에서는 통공(45)이 노출면적이 확대되어 식품이 조립(粗粒)으로 분쇄된다.
10 : 본체
20 : 회전축
21 : 구동모터
25 : 배출구
27 : 장착대
28 : 슬라이더
30 : 블레이드
40 : 회전반
43 : 결합부
45 : 통공
50 : 세절판
51 : 두부
52 : 날부
60 : 절단판
65 : 적판부
71 : 내부호퍼
72 : 상단커버
73 : 투입구

Claims (3)

  1. 식품 분쇄기로서, 하단부에 배출구(25)가 형성된 원통형 용기인 본체(10) 하부에는 구동모터(21)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20)이 수직으로 돌출되고, 회전축(20)에는 본체(10)와 동심을 이루는 원반체로서 다수의 통공(45)이 방사상으로 천공된 회전반(40)이 장착되되, 회전반(40)의 통공(45) 상부에는 다수의 세절판(50)이 방사상으로 부착되며, 회전반(40) 상부의 회전축(20)에는 다수의 절단판(60)이 적층 장착되어, 본체(10)로 투입된 식품이 절단판(60)에 의하여 파절된 후 세절판(50)에 의하여 세절되고 통공(45)을 경유하여 배출구(25)로 배출되는 다단형 식품 분쇄기에 있어서,
    세절판(50)은 회전반(40)과 결속되는 두부(51)와, 양측의 날부(52)로 구성되어, 두부(51)가 회전반(40)의 중심을 향하도록 장착되되;
    회전반(40) 내부에는 세절판(50) 두부(51)와 일치하는 형상의 결합부(43) 다수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세절판(50) 양측의 날부(52) 중 일측 날부(52)와 두부(51) 중심선간 거리와 타측 날부(52)와 두부(51) 중심선간 거리에 편차가 형성되어, 세절판(50)의 부착면을 변경함에 따라 평면상 통공(45)의 개방 면적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식품 분쇄기.
  2. 삭제
  3. 삭제
KR1020180011985A 2018-01-31 2018-01-31 다단형 식품 분쇄기 KR101864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985A KR101864823B1 (ko) 2018-01-31 2018-01-31 다단형 식품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985A KR101864823B1 (ko) 2018-01-31 2018-01-31 다단형 식품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823B1 true KR101864823B1 (ko) 2018-06-05

Family

ID=6263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985A KR101864823B1 (ko) 2018-01-31 2018-01-31 다단형 식품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8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547A (ko) * 2010-08-30 2012-03-08 전병우 야채 분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547A (ko) * 2010-08-30 2012-03-08 전병우 야채 분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6762B2 (en) Juice extractors
KR101586464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WO2015192744A1 (zh) 定量投料的慢速榨汁系统及方法
CN101123904A (zh) 食品加工机的粉碎盘
CN103417096A (zh) 滤网机构及其使用该滤网机构的果蔬榨磨机
KR101864823B1 (ko) 다단형 식품 분쇄기
KR20200001640U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KR101170618B1 (ko) 과일분쇄장치
CN213966974U (zh) 一种高效食品加工原料粉碎机
CN110252475A (zh) 一种具有去除辣椒籽功能的辣椒切碎机
KR101837528B1 (ko) 과일용 생즙 분쇄기
KR20090059581A (ko) 고추 과피 분리기
KR200376615Y1 (ko) 식품 분쇄기
CN210411437U (zh) 一种切片西洋参筛选装置
CN210753143U (zh) 碎料机
KR100883369B1 (ko) 소채류 분쇄장치
JP2613174B2 (ja) 多機能ミル
KR100441829B1 (ko) 맷돌형 착즙기
KR101803914B1 (ko) 채소류 분쇄장치
KR101611734B1 (ko) 삼중커터가 구비된 분쇄기
CN111450949A (zh) 一种用于复合食材的粉碎打浆装置
JP2554236B2 (ja) 簡便型多用途解砕機
KR200287455Y1 (ko) 맷돌형 착즙기
KR102482957B1 (ko) 김 형태의 야채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원료를 생산하는 식품 분쇄기
CN220780585U (zh) 一种营养膳食食品加工用研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