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425A - 무영등 - Google Patents

무영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425A
KR20020035425A KR1020010049269A KR20010049269A KR20020035425A KR 20020035425 A KR20020035425 A KR 20020035425A KR 1020010049269 A KR1020010049269 A KR 1020010049269A KR 20010049269 A KR20010049269 A KR 20010049269A KR 20020035425 A KR20020035425 A KR 20020035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reflector
optical axis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쓰시타마사토
Original Assignee
야마다레이지로오
야마다이료오쇼오메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레이지로오, 야마다이료오쇼오메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다레이지로오
Publication of KR20020035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42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10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66Reflectors for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point like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light sources the shape of which is unspecifi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20Lighting for medical use
    • F21W2131/205Lighting for medical use for operating theat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광원을 적은 수의 전구로서 구성하는 한편, 소망의 배광특성을 얻기 위한 렌즈설계 및 제조를 용이하게 한 무영등을 제공한다.
광원으로서의 전구(427,428)와, 상기 전구로부터 출사된 빛을 원주방향으로 향해 평행광속으로서 출사하는 콘덴서렌즈(414,415)와, 상기 콘덴서렌즈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기 전구를 중심으로 한 다른 반경위치에서 각각 거의 같은 방향으로 향해 반사하는 리플렉터(3)와, 상기 리플렉터(3)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빛을 굴절시켜 소망의 배광특성으로 하는 외측렌즈(5)를 구비한다. 전구 및 콘덴서렌즈로부터 출사된 빛은 평행광속상태로서 리플렉터(3)로 반사되고, 또한 외측렌즈(5)에 입사되어 굴절되기 때문에, 소망의 배광특성을 얻기 위한 외측렌즈(5)의 렌즈스텝(55)의 설계에 있어서는, 평행 내지 평행에 가까운 빛을 굴절시켜 목적으로 하는 배광특성을 얻도록 하면 좋고, 렌즈스텝의 설계가 용이하게 되어, 목적으로 하는 배광특성의 무영등을 용이하게 설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무영등{Shadowless Lamp}
본 발명은 의료용 전등기구, 특히 수술실에 배치되어 수술대 위를 조명하기위한 무영등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무영등은 수술대 위의 환자(患者)의 환부에 수술을 행하는 의사나 보조자 등의 시술자에 의한 그림자가 생기는 일이 없도록, 더구나 환부를 균일한 밝기로 조명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무영등은, 도 13(a)에 외관도를 나타낸 바와 같이, 전등본체(101)의 표면상에 여리개의 전구(102)를 배열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각 전구(102)로부터 출사(出射)되는 빛이 각각 다른 각도방향에서 환부를 조명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전구로부터의 빛에 의해 생기는 그림자를 다른 전구로부터의 빛에 의해 상쇄(相殺)하여, 시술자에 의한 그림자의 발생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무영등으로서, 도 13(b)에 단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등하우징(111) 내에 광원으로서 하나 혹은 두개의 전구(112)를 배치하고, 이 전구(112)로부터의 빛을 집광렌즈(113)에 의해 광속(光束)을 확대시킨 후에, 확대된 광속을 전등하우징(111)의 앞면에 마련된 외측렌즈(114)에 의해 굴절시켜, 이 외측렌즈(114)로부터 확산상태로 빛을 출사하여 환부를 조명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도 13(a)의 무영등에서는, 수술대를 균일하게 또한 소정의 색광(色光)으로 조명하기 위해서는, 배설되어 있는 복수의 전구(102)의 밝기나 색상을 가지런히 할 필요가 있어, 규격에 맞는 전구를 사용해야만 한다. 특히 어느 하나의 전구가 손상되거나, 혹은 수명이 된 때에, 다른 전구와 밝기, 색상이 같은 전구를 즉시 입수하여 교환하는 것이 어려워서, 무영등의 유지관리가 번거로운 것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의 전구를 점등하기 위한 소비전력이 커진다고 하는 면에서도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3(b)의 무영등은, 도 13(a)의 무영등에 비교하면 전구 갯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전구 교환을 포함한 관리는 용이한 것으로 되고, 또한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면에서도 유리한 것으로 된다. 그러나 전구(112)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외측렌즈(114)의 넓은 면에 입사(入射)시키기 위해서, 집광렌즈(113)에 의해 광속을 확대시킬 필요가 있으나, 이와 같이 광속이 확대된 빛을 외측렌즈 (114)에 대하여 균일하게 입사시키는 것은 곤란하고, 그 때문에 무영등의 직경방향 및 원주방향에 균일한 배광특성을 얻기 위한 외측렌즈를 설계하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 또한 집광렌즈(113)로부터 외측렌즈(114)에 입사되는 각각의 빛의 입사각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입사된 빛을 굴절시키기 위해 외측렌즈(114)에 설치되는 렌즈스텝의 형상이 삼차원 방향에 복잡한 형상으로 되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그 때문에 렌즈스텝의 설계가 곤란하게 됨과 동시에, 외측렌즈(114)를 수지성형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도 곤란하게 되어, 설계대로의 배광특성의 무영등을 제조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을 적은 수의 전구로 구성하는 한편, 소망의 배광특성의 조명을 얻기 위한 렌즈설계 및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무영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영등의 일 실시형태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영등의 광축을 포함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영등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광원부를 구성하는 콘덴서렌즈 구성체 및 광원 구성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리플렉터의 일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분할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분할렌즈의 평면도와 그 AA선, BB선의 각 단면도이다.
도 8은 광원부에서 출사한 빛의 반사굴절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무영등에 의해 수술대 위의 환자의 환부를 조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수술대 위에 있어서의 조명그림자가 생기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11은 분할렌즈의 측면을 경사면으로 한 변형예의 주요부의 사시도와 평면도및 CC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변형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 무영등의 일예의 외관도와,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영등2 : 하우징부
3 : 리플렉터4 : 광원부
5 : 외측렌즈6 : 확산판
7 : 수술대21 : 전등하우징
25 : 원형개구 가장자리32 : 중심측 영역
32a∼32d : 구분 반사면 영역33 : 주변 반사면 영역
35 : 플랜지부41 : 콘덴서렌즈 구성체
42 : 광원 구성체414 : 제 1 콘덴서렌즈
415 : 제 2 콘덴서렌즈427 : 제 1 전구
428 : 제 2 전구51 : 분할렌즈
55 : 렌즈스텝55a : 내경측 영역 렌즈스텝
55b : 외경측 영역 렌즈스텝56 : 확산스텝
57 : 렌즈스텝의 수직면58 : 분할렌즈의 측면
본 발명의 무영등은,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원주방향을 향해 평행광속으로서 출사하는 콘덴서렌즈와, 상기 콘덴서렌즈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한 다른 반경위치에서 각각 거의 같은 방향을 향해 반사하는 거의 원추면 형상의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빛을 굴절시켜 소망의 배광특성으로 하는 외측렌즈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평행광속상태로서 리플렉터에서 반사되고, 또한 외측렌즈로 입사되어 굴절되기 때문에, 소망의 배광특성을 얻기 위한 외측렌즈의 렌즈스텝의 설계에 있어서는, 평행 내지 평행에 가까운 빛을 굴절시켜 목적으로 하는 배광특성을 얻도록 하면 좋으며, 렌즈스텝의 설계가 용이하게 되어, 목적으로 하는 배광특성의 무영등을 용이하게 설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한 다른 반경위치마다 띠형으로 된 복수의 구분 반사면 영역으로 분할되고, 또한 상기 구분 반사면 영역은 상기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계단형태로 된 단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의 폭치수를 줄일 수 있어, 무영등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렌즈에는,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빛을 직경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복수의 렌즈스텝이 직경방향에 병렬로 배치된 상태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렌즈의 외경측의 상기 렌즈스텝은, 내경측의 상기 렌즈스텝보다도 직경방향의 안쪽으로 향해 상기 빛이 굴절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확산성이 뛰어 난 조명을 실현할 수 있으며, 무영등으로서의 바람직스러운 배광특성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렌즈는,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렌즈로서 구성되고, 상기 분할렌즈는 삼각형에 가까운 평판형상의 투명부재로 형성되며, 그 표면에는 상기 직경방향의 단면이 톱니형상으로 된 상기 렌즈스텝이 접선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또한 직경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각 분할렌즈에 형성하는 렌즈스텝을 직선상태의 평면형상으로 한 경우에도 전체로서 고리형상의 렌즈스텝을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렌즈스텝의 설계를 더욱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렌즈의 렌즈스텝은 평면형상은 병렬배치된 직선형상이고, 또한 단면형상도 수직면과 경사면으로 된 톱니형상이기 때문에, 분할렌즈를 수지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금형의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수지성형에 의해 고정밀도의 분할렌즈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할렌즈의 분할면을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구성한다. 이 경우, 상기 분할면의 표면이 거친면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리플렉터의 반사광이 분할렌즈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누설광으로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외측렌즈에 직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빛을 확산하는 확산스텝을 형성함에 따라, 더욱 균일한 조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광원 및 콘덴서렌즈는, 상기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으로 나란하게 각각 2개 설치되고, 상기 리플렉터의 중심에 가까운 쪽의 제 1 광원 및 제 1 콘덴서렌즈는 상기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에서 또한 상기 리플렉터의 중심측의 영역에 대하여 빛을 출사하고, 상기 제 2 광원 및 제 2 콘덴서렌즈는 상기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보다 상기 리플렉터의 중심측으로 경사진 방향에서 또한 상기 리플렉터의 주변측의 영역에 대하여 빛을 출사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특히 주변 반사면 영역의 광축방향의 위치를 리플렉터의 후방으로 후퇴시킬 수 있어, 이 후퇴한 분량만큼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의 치수를 짧게 하여, 리플렉터 내지 무영등의 두께 치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영등의 외관도, 도 2는 그 중심위치의 단면도, 도 3은 각 부분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무영등(1)의 하우징부(2)는 원형의 우산형태를 이루는 전등하우징(21)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등하우징(21) 표면의 중심위치에는 원기둥형상의 스터드(22)가 세워져 설치되고, 이 스터드(22)를 통해 도 1에 쇄선으로 나타낸 지지아암(23)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스터드(22) 내부로 끼워 넣어지는 도시하지 않은 전기코드에 의해 외부전원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후술하는 전구를 점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등하우징(21) 내에는, 마찬가지로 원형의 우산형태를 이루는 리플렉터(3)가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리플렉터(3)의 내면측의 중심위치에는 광원부(4)가 배치된다. 상기 광원부(4)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상기 리플렉터(3)의 광축방향(도 2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된 2개의 전구와 2개의 콘덴서렌즈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원통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플렉터(3)의 앞면위치에는, 다수의 분할렌즈(51)에 의해 전체적으로 정수리의 각도가 크고 평탄에 가깝게 원추면 형상으로 조립된 외측렌즈(5)가 배치되고, 또한 그 바깥쪽에 겹쳐져서 마찬가지 형상인 원추면 형상으로 형성된 확산판 (6)이 배치되며, 이들 외측렌즈(5)와 확산판(6)은 그 둘레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전등하우징(21)의 원형개구 가장자리(25)에 대하여 원고리형상을 이루는 장식테 (24)로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광원부(4)는, 도 4에 일부를 파단한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콘덴서렌즈 구성체(41)와 광원 구성체(42)를 가지고 있다. 상기 콘덴서렌즈 구성체 (41)는, 원형판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렌즈홀더(411)와, 원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제 2 렌즈홀더(412) 및 제 3 렌즈홀더(413)를 가지고 있으며, 제 1 렌즈홀더(411)와 제 2 렌즈홀더(412)의 사이에 원고리형상을 이루는 제 1 콘덴서렌즈(414)가 끼워넣어지고, 제 2 렌즈홀더(412)와 제 3 렌즈홀더(413)의 사이에 마찬가지로 원고리형상을 이루는 제 2 콘덴서렌즈(415)가 끼워넣어지며, 원주방향의 3개소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홀더(411)로부터 제 3 렌즈홀더(413)까지에 걸쳐서 원통의 축방향으로 체결로드(416)를 끼워넣고, 그 양 끝단부에서 너트(417)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 1∼3 렌즈홀더(411∼413)와 제 1 및 제 2 콘덴서렌즈(414,415)를 일체화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콘덴서렌즈 구성체(41)는, 상기 리플렉터(3)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구멍(31)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렌즈홀더(411)에 있어서 전등하우징(21) 내면의 중심영역에 고정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및 제 2 콘덴서렌즈 (414,415)는,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콘덴서렌즈(414,415)의 직경방향에 따른 단면형상이, 상기 콘덴서렌즈의 고리형상 중심을 집광초점으로 하는 단면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콘덴서렌즈 구성체(41) 내에 내장지지되어 있는 상기 광원 구성체(42)는, 원형기판(421)의 아래면쪽에, 2매의 제 1 및 제 2 지지판(422,423)과 3개의 기둥재(424)를 조립한 격자체가 구성되며, 이 격자체 내의 상기 제 1 지지판 (422)에 제 1 전구소켓(425)이 지지되고, 상기 제 2 지지판(423)에 제 2 전구소켓 (426)이 지지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구소켓(425,426)에는 각각 할로겐 램프로 구성되는 제 1 전구(427)와 제 2 전구(428)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광원 구성체 (42)는 상기 콘덴서렌즈 구성체(41)의 제 1 렌즈홀더(411)의 고리형상구멍으로부터 내부에 까지 삽입되고, 상기 원형기판(421)이 상기제 1 렌즈홀더(411)의 고리형상 내부를 막도록 배치한 뒤에, 상기 제 1 렌즈홀더(413)에 대하여 나사구멍(411a, 421a)에 끼워맞춤되는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광원부(4)가 구성되고, 이와 같이 조립된 광원부(4)는,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전구(427)는 상기 제 1 콘덴서렌즈(414)의 초점에 위치되고, 상기 제 2전구(428)는 상기 제 2 콘덴서렌즈(415)의 초점에서도 원통 축방향, 즉 리플렉터(3)의 광축방향을 따라 제 2 지지판(423) 쪽으로 약간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리플렉터(3)는, 표면이 광반사면으로서 구성되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우산형태로 형성한 것이며, 도 5에 광축을 포함하여 우측 절반의 확대단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축을 포함하는 중심부에 중심구멍(31)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광원부(4)가 관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3)의 반사면 영역중, 상기 중심위치로부터 반경방향의 거의 3/4의 길이까지 이르는 중심측 영역(32)은, 복수의 원고리형상을 이루는 면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또한 각 구분된 면영역은 직경방향의 단면형상이 계단형태를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분된 면영역중, 내경측에서 외경측을 따라 리플렉터의 앞쪽으로 향해 경사져 있는 각 면영역, 여기서는 4개의 면영역이 각각 구분 반사면 영역(32a∼32d)으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전구(427) 및 제 1 콘덴서렌즈(414)로부터 출사되어 오는 빛을 리플렉터(3)의 앞쪽으로 향해 반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4개의 구분 반사면 영역(32a∼32d)은 각각 상기 리플렉터(3)의 광축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경사진 원추면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3)의 상기 중심측 영역(32)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주변측 영역(33)은, 여기서는 하나의 주변 반사면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플렉터(3)의 광축에 대하여 소망의 각도, 예컨대 45도의 각도로 경사진 원추면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이러한 리플렉터 (3)의 형상은, 동 도면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45도의 각도로 경사진 원추면을 광축방향으로 분할하여, 각 분할면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킨 뒤에, 각 분할면을 연속한 면이 되도록 연결한 구성과 같으며, 원래대로인 원추면의 광축방향의 길이 L2를 짧은 광축길이 L1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리플렉터(3)는 상기 중심구멍(31)의 개구가장자리부(34)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렌즈 구성체(41)의 제 1 렌즈홀더(411)와 전등하우징(21)의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전등하우징(21) 내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3)에는 바깥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부(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35)는 상기 전등하우징(21)의 원형개구 가장자리 (25)를 따라 안쪽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외측렌즈(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렌즈, 여기에서는 원주방향으로 36개로 분할된 36매의 분할렌즈(51)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정수리 각도가 150도 정도를 이루는 편평한 원추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36매의 분할렌즈(51)는 모두 동일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도 6에 사시도를, 도 7(a)에 평면도, 도 7(b),(c)에 AA선, BB선의 각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그 정수리 각도가 대략 10도로 설계된 삼각형 내지는 사다리형, 혹은 부채형을 이루는 투명수지의 판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좁은 폭의 내경끝단부(52)가 상기 콘덴서렌즈 구성체(41)의 제 3 렌즈홀더(413)의 바깥둘레부에 따른 표면상에 접촉되고, 또한 폭치수가 큰 외경끝단부(53)가 상기 리플렉터(3)의 플랜지부(35)에 접촉된 상태에서, 36매의 분할렌즈(51)는 원주방향으로 매우 미소한 간극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이 간극은 무영등을 점등하였을 때의 열로서 분할렌즈(51)가 열팽창하였을 때에 분할렌즈(51)가 원주방향으로 접촉하여 변형, 내지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도 3에서 같이, 상기 콘덴서렌즈 구성체(41)의 제 3 렌즈홀더(413)의 광축방향의 위치가, 리플렉터(3)의 플랜지부(35)와의 광축방향의 위치보다도 앞쪽에 위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36매의 분할렌즈(51)로 구성되는 상기 외측렌즈(5)는 전체적으로 원추형상으로 구성되게 된다. 또 분할렌즈(51)의 바닥 주변에 설치된 절결부(54)는 해당 분할렌즈(51)를 원주방향으로 배열할 때의 위치결정에 이용된다.
또한, 상기 분할렌즈(51)의 위쪽으로 향한 내면에는, 평면방향에는 외경끝단부(53)를 따른 바닥 주변에 평행한 방향, 즉 외측렌즈(5)의 접선방향으로 이어지는직선형상을 이루며, 두께방향의 단면형상으로 외경쪽이 경사면이고 내경쪽이 수직면을 이루는 톱니형상으로 된 다수의 렌즈스텝(55)이 병렬상태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할렌즈(51)의 아래쪽으로 향한 바깥면에는, 상기 외측렌즈(5)의 직경방향, 바꾸어 말하면 상기 분할렌즈(5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이것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병렬배치된 복수개의 확산스텝(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산스텝(56)은, 여기에서는 폭방향에 원호면으로서 구성된 볼록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할렌즈(51)를 투과하는 빛은, 내면측의 상기 렌즈스텝(55)과, 외면측의 상기 확산스텝(56)으로 각각 구획되는 사각형의 영역마다 개개의 광속이 구분되고, 또한 각 광속의 굴절, 확산이 행해지는 것으로 된다.
여기에서, 상기 렌즈스텝(55)은, 상기 리플렉터(3)의 구분 반사면 영역(32a∼32d) 및 주변 반사면 영역(33)에 대응하여, 이들 영역에서 반사되어 온 빛을 원하는 배광특성으로 하기 위한 형상, 치수로 되도록, 컴퓨터를 이용한 광선추적의 시뮬레이션에 의거하여 설계되어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상기 구분 반사면 영역(32a∼32d)에 대향하는 내경측 영역의 렌즈스텝(55a)은, 경사면의 각도나 병렬방향에 따른 폭치수가 다른 여러가지의 렌즈스텝이 혼재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나, 상기 주변 반사면 영역(33)에 대향하는 외경측 영역의 렌즈스텝(55b)은, 경사면의 각도나 폭치수가 비교적 갖추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경측 영역의 렌즈스텝(55b)의 경사면의 각도는 내경측 영역의 렌즈스텝(55a)의 경사면의 각도보다 거의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렌즈스텝(55)의 수직면(57)에는, 빛을 투과하지 않은 재료, 예컨대 크롬, 니켈 등의 금속이나 불투광성 수지 등을 도포, 혹은 증착된 빛의 불투과막을 형성하여, 상기 수직면(57)을 통해서 빛이 외부로 출사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분할렌즈 (51)는, 분할면 즉 삼각형의 경사변에 해당하는 부분의 측면(58)에 잔주름가공을 실시하여 빛의 바닥투과면으로서 형성하고 있으며, 이 측면(58)을 투과하는 빛의 광량이 저감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잔주름가공 대신에, 빛투과율이 낮은 재료를 도포, 혹은 증착하더라도 좋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36매의 분할렌즈(51)를 원주방향으로 배열하여 상기 외측렌즈(5)를 구성한 때에는, 각 분할렌즈(51)의 각 렌즈스텝(55)이 원주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로 되어, 외측렌즈(5) 전체로서는, 36각 형상을 이루는 렌즈스텝(55)이 동심 배치된 구성으로 된다.
상기 외측렌즈(5)의 바깥쪽에 겹쳐져 있는 상기 확산판(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기 외측렌즈(5)와 마찬가지인 원추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렌즈(5) 내지 상기 리플렉터(3)의 앞면 전체를 덮는 형상을 이루는 1매의 빛투과성 수지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판(6)의 표면에는,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은 미세한 확산용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확산판의 표면에 잔주름가공이 실시되고, 그 잔주름에 의해 빛의 확산성이 얻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확산판(6)은 상기 외측렌즈(5)의 바깥면쪽에서 씌워지고, 그 둘레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3)의 플랜지부(35)와 함께, 원고리형상을 이루는 장식테(24)에 의해 상기 전등하우징(21)의 원형개구 가장자리(25)에 고정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이 하여 확산판(6)이 전등하우징(21)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분할렌즈(51)의 외경끝단부(53)는 상기 확산판(6)과 상기 리플렉터(3)의 사이에 끼워지고, 내경끝단부(52)는 상기 확산판(6)과 제 3 렌즈홀더(413)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지지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무영등에서는, 도 8에 모식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구(427), 제 2전구(428)를 점등하면, 각 전구로부터 출사되는 빛중, 리플렉터(3)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된 빛은 각각 제 1 콘덴서렌즈 (414), 제 2 콘덴서렌즈(415)에 의해 집광되어, 평행광속 내지 평행광속에 가까운 상태로 광축 둘레방향에 360도의 방향으로 출사된다. 이 때 제 1전구(427)는 제 1 콘덴서렌즈(414)의 초점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출사되는 빛은 광축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된다. 한편 제 2 전구(428)는 제 2 콘덴서렌즈 (415)의 초점위치보다 약간 광축방향의 앞쪽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출사되는 빛은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약간 리플렉터(3)의 후방으로 향한 방향으로 출사된다.
그리고, 제 1 콘덴서렌즈(414)로부터 출사된 빛은, 리플렉터(3)의 중심측 영역(32)의 구분 반사면 영역(32a∼32d)으로 투사되고, 각 구분 반사면 영역(32a∼ 32d)에서 90도 방향, 즉 리플렉터(3)의 광축방향의 앞쪽으로 향해 반사되어, 외측렌즈(5)에 입사된다. 이 때 각 구분 반사면 영역(32a∼32d)은 원고리형상에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각 구분 반사면 영역(32a∼32d)에서 반사된 빛은 원고리형상을 이루는 광속으로서 외측렌즈(5)에 입사된다. 또한 제 2 콘덴서렌즈(415)로부터 출사된 빛은, 리플렉터(3)의 주변측 반사면 영역(33)으로 투사되고, 여기에서 90도 방향, 즉 리플렉터(3)의 광축방향에서 약간 광축중심으로 향한 방향으로 향해 반사되어, 직경방향의 폭치수가 큰 원고리형상의 광속으로서 외측렌즈(5)에 입사된다.
상기 외측렌즈(5)로 입사된 빛은, 외측렌즈(5)의 렌즈스텝(55)이 36각 형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개개의 렌즈스텝(55)의 단면이 외경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의 톱니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므로, 렌즈스텝(55)에 의해 광축중심으로 향한 광속으로서 굴절된다. 이 때 내경측 영역의 렌즈스텝(55a)은, 톱니형상의 각도나 치수가 다른 렌즈스텝이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스텝(55a)에서 굴절된 빛의 방향은 각각 미소한 각도로서 서로 다르게한다. 또한 외경측 영역의 렌즈스텝(55b)은, 그 경사면의 각도가 내경측 영역의 렌즈스텝(55a)의 경사면 각도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렌즈 전체로서는, 외경측 영역에서 출사되는 빛의 굴절각도는 내경측 영역에서 출사되는 빛의 굴절각도보다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외측렌즈(5)를 투과한 빛은, 광속 전체로서는 광축방향의 소정영역으로 향해 굴절되고, 그 한쪽에서 리플렉터(3)의 구분 반사면 영역(32a∼32d)에서 반사된 복수의 원고리형상의 광속은, 각각 외측렌즈(5)에 있어서 굴절된 뒤에 서로 내경측의 영역과 외경측의 영역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혼합되는 상태로 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된다. 한편 리플렉터(3)의 주변 반사면 영역(33)으로 반사된 빛은, 외측렌즈(5)의 외경측 영역의 렌즈스텝(55b)의 형상, 치수가 비교적으로 가지런한 형상이기 때문에, 광축을 따라 거의 같은 방향에 향해, 즉 무영등을 통상 사용하는 높이위치에 설치하였을 때에 수술대 위에 소망의 직경치수 영역 내에 집광하는 방향으로 향해 굴절되어 외측렌즈(5)로부터 출사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측렌즈(5)의 바깥면에 폭방향으로 볼록형태로서 거의 직경방향으로 신장하는 다수조의 확산스텝(56)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렌즈(5)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상기 확산스텝(56)에 의해 외측렌즈(5)의 원주방향으로 확산된다. 이에 더하여 외측렌즈(5)가 36매의 분할렌즈(51)를 원주방향으로 배열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렌즈스텝(55)은 36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렌즈스텝이 연속한 원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교하면, 각 분할렌즈(51)의 경계부에서 상기 렌즈스텝(55)으로 굴절되는 빛은 인접하는 분할렌즈의 상호간에 간섭하여 결과적으로 확산성이 생기는 것으로 되어, 균일한 조명을 실현하는 데에 더욱 유리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렌즈(5)로부터 출사된 각각의 빛은, 확산판(6)에 의해 확산된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렌즈(5)의 렌즈스텝(55)에서 굴절된 빛은 각각 다른 각도로 출사된 뒤에, 더욱 확산판(6)에 의해 확산되어 수술대(7) 위로 투사되고, 수술대(7) 위의 도면 이외의 환자의 환부를 조명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수술대(7) 위의 환자의 환부는 다수의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빛이 확산된 상태로 조사되어 조명이 행해지기 때문에, 하나의 광에 의해 생기는 시술자의 그림자가 다른 빛에 의해 없어지게 되고, 또한 다수의 빛이 확산상태이기 때문에 균일한 조명이 행해짐으로써, 무영등으로서의 적합한 조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무영등에서는, 제 1 전구(427) 및 제 2 전구(428)로부터 출사된 빛을 제 1 콘덴서렌즈(414) 및 제 2 콘덴서렌즈(415)에 의해 평행 내지 평행에 가까운 광속으로 한 뒤에, 리플렉터(3)에서 반사하여, 외측렌즈(5)에 입사되고 있다. 그 때문에 소망의 배광특성을 얻기 위한 외측렌즈(5)의 렌즈스텝(55)의 설계에 있어서는, 평행 내지 평행에 가까운 빛을 굴절시킬 목적으로 하는 배광특성을 얻도록 하면 좋으며, 렌즈스텝(55)의 설계가 용이한 것으로 된다. 특히 외측렌즈(5)를 복수매의 거의 삼각형상을 이루는 분할렌즈(51)로 구성하고, 이들 복수의 분할렌즈(51)를 배열하여 원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각 분할렌즈(51)에 형성하는 렌즈스텝(55)을 직선형태의 평면형상으로 한 경우에도, 외측렌즈(5)의 전체로서 고리형상에 가까운 평면형상의 렌즈스텝을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렌즈스텝(55)의 설계를 더욱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스텝(55)의 단면형상은, 수직면과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톱니형상이기 때문에, 분할렌즈(51)를 수지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금형의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수지성형에 의해 고정밀도의 분할렌즈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외측렌즈(5)에 마련된 톱니형상의 렌즈스텝(55)은, 수직면(57)에 형성된 빛의 불투과막에 의해 리플렉터(3)로부터의 빛을 차광하기 때문에, 수직면(57)을 투과하여, 혹은 수직면(57)에 있어서 굴절된 빛이 수술대에 조사되지 않게 되어, 수술담당자에 대한 현혹이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빛의 불투과막을 유색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함에 따라, 외측렌즈(5)를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 즉 무영등(1)을 쳐다 보았을 때에, 상기 빛의 불투과막의 빛깔에 의해 마치 무영등의 광조사면이 착색된 것과 같은 외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무영등의 돋보임을 높이는 면에서도 유효하게 된다. 또한 분할렌즈(51)의 각 측면(58)은 빛의 바닥투과면으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플렉터로부터의 빛이 각 분할렌즈(51)의 측면(58)을 투과하여 수술대에 조사되는 빛을 저감하여, 이 면에서도 수술담당자에 대하는 현혹를억제하거나, 혹은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리플렉터(3)는, 특히 중심측 영역의 복수의 구분 반사면 영역(32a∼ 32d)을 계단형태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리플렉터(3)의 광축방향의 치수를 짧게 하여, 두께 치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분 반사면 영역 (32a∼32d)을 계단형태로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5의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방향으로 필요한 반사면 영역을 확보하면, 리플렉터의 두께치수 L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플렉터의 두께치수 L1보다 커지게 된다. 또한 주변 반사면 영역(33)에 대해서는, 제 2 전구(428)로부터 출사된 빛을 제 2 콘덴서렌즈(415)에 의해 리플렉터(3)의 광축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약간 리플렉터(3)의 후방으로 향해 출사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 반사면 영역(33)의 광축방향의 위치를 리플렉터의 후방으로 후퇴시킬 수 있어, 이 후퇴한 양만큼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의 치수를 짧게 하여, 리플렉터(3) 내지 무영등(1)의 두께치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분할렌즈(51)를 원주방향으로 배열하여 외측렌즈(5)를 구성한 때에는, 분할렌즈(51)의 열팽창에 의한 원주방향의 치수변화를 흡수하기 위해서,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분할렌즈(51)의 분할면 사이, 즉 측면(58) 사이에 원주방향의 간극 d를 확보하고 있으나,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분할렌즈(51)의 측면을 리플렉터(3)의 광축과 평행한 면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리플렉터(3)에서 반사된 빛중 광축과 평행하게 향한 빛이 상기한 분할렌즈(51)의 측면 사이의 간극 d를 지나치게 되고, 이것이 누설광 Lx로서 외측렌즈(5)를 투과하여 출사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누설광 Lx는 외측렌즈(5)의 렌즈스텝(55)에 의해 굴절되는 일이 없기때문에, 수술대(7)의 상면에 직접 조사되는 것으로 되고, 외측렌즈(5)를 방사상에 분할한 복수의 분할렌즈(51)의 각 측면 사이에서의 누설광에 의해, 도 10(b)에 수술대의 상면에서의 조명상태를 나타낸 바와 같이, 누설광 Lx에 의해서 수술대(7)의 상면에 방사상의 밝은 조명그림자가 생기거나, 혹은 수술담당자에 대한 현혹광으로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도 11(a),(b)(c)에 분할렌즈(51)의 변형예의 일부 사시도와 그 평면도 및 CC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렌즈 (51)의 측면(58)을 리플렉터(3)의 광축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58a)으로서 형성한다. 즉 각 분할렌즈(51)의 양 측면을 각각 같은 원주방향으로 향한 경사면(58a)으로서 형성한다. 이 경사면(58a)의 경사각도는, 리플렉터(3)의 치수에도 의하지만, 분할렌즈(51)의 평면과 수직인 수직면에 대하여 1∼2°정도로 한다. 이 경우, 각 분할렌즈(5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스텝(55)의 측면에 있어서는 경사면으로서 형성하지 않고, 성형시의 금형의 제거구배에 요구되는 각도 이내에서 가급적으로 리플렉터(3)의 광축에 평행한 수직면으로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분할렌즈(51)의 각 경사면(58a)에는, 빛이 특정한 방향으로 반사되지 않도록 표면처리,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인 잔주름가공 등과 같이, 잔주름에 의해 빛을 확산상태로 반사하도록 거친면으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구성의 분할렌즈를 원주방향으로 배열하였을 때에는,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분할렌즈(51)의 각 측면은 서로 경사면(58a)이 대향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도 12(b)에서와 같이, 리플렉터(3)로 반사된 빛중, 광축방향의 빛은 분할렌즈(51)의 경사면(58a) 사이의 간극 d를 그대로 지나칠 수 없게 되어, 광축방향의 빛이 누설광으로서 외측렌즈(5)에서 출사되는 것은 없다. 또 일부의 빛은 경사면(58a) 사이의 간극 내로 진입하는데, 각 분할렌즈(51)의 경사면 (58a)에서 반사, 굴절되면서 감쇠되기 때문에, 누설광으로서 출사되는 것은 거의 없다. 또한 이 경우 경사면(58a)을 거친면 가공처리하고 있는 것에 의해, 특정한 방향으로 빛이 반사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며, 상기 반사광에 의한 누설광을 거의 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간극의 경사방향에 따른 빛은, 분할렌즈 (51)의 경사면 사이의 간극 내에 돌출위치되어 있는 렌즈스텝(55)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 간극을 그대로 지나치지 않아, 누설광으로서 출사되는 일은 없다.
이와 관련하여, 분할렌즈(51)의 측면사이의 간극 d로부터의 누설광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58b)을 계단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생각되는데, 이 구성에서는 동 도면에서와 같이, 광축과 수직인 면에서의 빛의 반사가 현저하게 되어, 이 영역의 빛투과율이 다른 영역보다 떨어져서 도 10(b)에 나타낸 상황과는 반대로, 수술대(7)의 상면에 있어서 방사상의 어두운 조명그림자가 생겨 버릴 염려가 있어, 바람직하지는 않다.
여기에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측렌즈를 36분할하여 분할렌즈를 형성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분할수를 증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할렌즈에 형성하는 렌즈스텝이나 확산스텝의 형상, 치수에 대해서도, 요구되는 무영등의 조명영역에 대응하여 여러가지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리플렉터를 구성하는 구분 반사면 영역의 수나 치수 등에 대해서도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영등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콜렉터 렌즈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향해 평행광속으로서 출사하고, 콘덴서렌즈로부터 출사된 빛을 리플렉터에 있어서 광원을 중심으로 한 다른 반경위치에서 각각 거의 같은 방향으로 향해 반사하며, 리플렉터에서 반사되어 오는 빛을 외측렌즈에 의해 굴절시켜 소망의 배광특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소망의 배광특성을 얻기 위한 외측렌즈의 렌즈스텝의 설계에 있어서는, 평행 내지 평행에 가까운 빛을 굴절시킬 목적으로 하는 배광특성을 얻도록 하면 좋고, 렌즈스텝의 설계가 용이하게 되어, 목적으로 하는 배광특성의 무영등을 용이하게 설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한 다른 반경위치마다 띠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구분 반사면 영역으로 분할되고, 또한 상기 구분 반사면 영역은 상기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계단형태를 이루는 단면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의 폭치수를 저감할 수 있어, 무영등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렌즈에 있어서는, 외경측의 렌즈스텝은, 내경측의 렌즈스텝보다 직경방향의 안쪽을 향해 빛이 굴절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확산성이 뛰어난 조명을 실현할 수 있고, 무영등으로서의 바람직한 배광특성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측렌즈에, 직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빛을 확산하는 확산스텝을 마련함으로써, 한층 더 균일한 조명이 실현된다. 또한 외측렌즈를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렌즈로 구성하는 것으로, 렌즈스텝의 형상을 단순화하고, 렌즈스텝의 설계를 용이한 것으로 함과 동시에, 그 제조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이 경우에, 분할렌즈의 분할면을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구성함에 따라,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빛중, 광축방향의 빛이 분할렌즈의 측면사이의 간극을 그대로 지나쳐서 누설광으로 되는 일이 없어, 조명그림자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분할면을 거친면으로 가공처리하고 있는 것에 의해, 특정한 방향으로 광이 반사하는 것을 방지하여, 간극 내로 진입한 빛에 의한 조명그림자를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Claims (10)

  1.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원주방향으로 향해 평행광속으로서 출사하는 콘덴서렌즈와, 상기 콘덴서렌즈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한 다른 반경위치에서 각각 거의 같은 방향으로 향해 반사하는 거의 원추면 형상의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빛을 굴절시켜 소망의 배광특성으로서 조사하는 외측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영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한 다른 반경위치마다 띠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구분 반사면 영역으로 분할되고, 또한 상기 구분 반사면 영역은 상기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계단형태를 이루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영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및 콘덴서렌즈는, 상기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으로 나란하게 각각 2개 설치되며, 상기 리플렉터의 중심에 가까운 쪽의 제 1 광원 및 제 1 콘덴서렌즈는 상기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각각 수직인 방향에서 또한 상기 리플렉터의 중심측의 영역에 대하여 빛을 출사하고, 상기 제 2 광원 및 제 2 콘덴서렌즈는 상기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보다 상기 리플렉터의 중심측으로 경사진 방향에서 또한 상기 리플렉터의 주변측의 영역에 대하여 빛을 출사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영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렌즈에는,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빛을 직경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복수의 렌즈스텝이 직경방향으로 병렬배치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렌즈의 외경측의 상기 렌즈스텝은, 내경측의 상기 렌즈스텝보다 직경방향의 안쪽으로 향해 상기 광을 굴절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영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렌즈는,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분할렌즈는 삼각형에 가까운 평판형태의 투명부재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는 상기 직경방향의 단면이 톱니형상을 이루는 상기 렌즈스텝이 접선방향에 따른 직선형태로 또한 직경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영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스텝은 수직면과 경사면으로서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면은 빛이 투과하지 않는 빛의 불투과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영등.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렌즈는, 상기 분할면이 빛투과율이 낮은 빛의 바닥투과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영등.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렌즈는,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분할면이 상기 리플렉터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영등.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렌즈는, 상기 분할면의 표면이 거친면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영등.
  10. 제 4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렌즈에는, 상기 렌즈스텝이 형성된 면과 반대쪽 면에, 상기 직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빛을 확산하는 확산스텝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영등.
KR1020010049269A 2000-11-06 2001-08-16 무영등 KR200200354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36956 2000-11-06
JP2000336956 2000-11-06
JPJP-P-2001-00154939 2001-05-24
JP2001154939A JP2002203406A (ja) 2000-11-06 2001-05-24 無影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425A true KR20020035425A (ko) 2002-05-11

Family

ID=2660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269A KR20020035425A (ko) 2000-11-06 2001-08-16 무영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2203406A (ko)
KR (1) KR20020035425A (ko)
CN (1) CN1353268A (ko)
HK (1) HK1046724A1 (ko)
TW (1) TW56567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886B1 (ko) * 2006-06-19 2008-04-17 (주)에스디엠 무영등
CN108253380A (zh) * 2016-12-28 2018-07-06 苏州欧普照明有限公司 一种光学元件以及具有该光学元件的照明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2505B2 (ja) * 2006-04-19 2011-11-09 株式会社東芝 無影灯
JP2009140835A (ja) * 2007-12-08 2009-06-25 Citizen Electronics Co Ltd 発光装置及び面状ライトユニット並びに表示装置
JP2011254960A (ja) * 2010-06-08 2011-12-22 Osada Res Inst Ltd 歯科用無影灯
CN102878443B (zh) 2011-07-15 2016-07-06 欧司朗股份有限公司 调焦单元和具有该调焦单元的光引擎和照明装置
CN103363447B (zh) * 2012-03-28 2015-10-28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反射器及含有该反射器的灯具
KR101300732B1 (ko) 2012-09-11 2013-08-27 김병환 무영등을 겸할 수 있는 병원 진료용 조명장치
FR3015002B1 (fr) * 2013-12-17 2018-07-13 Legrand France Dispositif d'eclairage
EP3356875B1 (en) * 2015-09-29 2021-04-14 Signify Holding B.V. Led module with output lens
EP3597993B1 (en) * 2017-03-15 2022-06-01 Nanjing Mindray Bio-Medical Electronics Co., Ltd. Light-emitting device and surgical lamp
CN109185829B (zh) * 2018-10-18 2024-05-14 温州博盛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导光块以及汽车侧转向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886B1 (ko) * 2006-06-19 2008-04-17 (주)에스디엠 무영등
CN108253380A (zh) * 2016-12-28 2018-07-06 苏州欧普照明有限公司 一种光学元件以及具有该光学元件的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03406A (ja) 2002-07-19
HK1046724A1 (zh) 2003-01-24
TW565674B (en) 2003-12-11
CN1353268A (zh) 200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94023B (en) Reflective illumination device
KR100432045B1 (ko) 선상조명장치
JP5885326B2 (ja) ターゲット平面を照明するled照明器具
US7410274B2 (en) Light guiding unit, light guiding unit assembly, and lamp comprising the same
US8475012B2 (en) Lamp
CZ278791B6 (en) Lighting system for lamps, projection and enlarging apparatus
US8789983B2 (en) Free-form catadioptric illumination lens
CN103969918B (zh) 照明设备
CN108036277B (zh) 一种车灯及其光路传导装置
KR20020035425A (ko) 무영등
CN111207366A (zh) 一种分光透镜、全周发光灯具及其工作方法
EP3366990A1 (en) Led lamp
KR920001215B1 (ko) 차량용 램프조립체
US9655508B2 (en) LED light Placido disc projector for a corneal topography system
CN212226945U (zh) 一种分光透镜及全周发光灯具
JP2004134357A (ja) 表示機能を発揮する光学片を備える表示灯
JP4361931B2 (ja) 照明装置
CN113251384A (zh) 光准直组件和发光装置
JP2012123984A (ja) 照明装置
CN221054865U (zh) 光源扩散结构及照明灯具
JPS61270720A (ja) 暗視野照明装置
JPH09231809A (ja) 灯 具
CN210511511U (zh) 一种光学反射器件及无重影灯具
JPH033921Y2 (ko)
JP2018152177A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