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367A -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367A
KR20020035367A KR1020000065618A KR20000065618A KR20020035367A KR 20020035367 A KR20020035367 A KR 20020035367A KR 1020000065618 A KR1020000065618 A KR 1020000065618A KR 20000065618 A KR20000065618 A KR 20000065618A KR 20020035367 A KR20020035367 A KR 20020035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ur
pulverized
powder
raw material
internal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1510B1 (ko
Inventor
최태규
차상윤
윤인화
Original Assignee
최태규
삼보종합식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규, 삼보종합식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태규
Priority to KR10-2000-0065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5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5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술담금에 있어서 2단 담금에서의 덥밥 증자공정을 생략하여 증자노력과 증자에너지를 절감하고 숙성시간을 단축하고 제성수율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쌍축형 압출 성형기에 맥류분을 공급하고, 맥류분의 수분함량이 20∼25wt%가 되도록 물을 공급하며, 쌍축형 압출 성형기의 제1 몸통의 내부온도가 60∼90℃, 제2 몸통의 내부온도가 100∼140℃, 제3 몸통의 내부온도가 140∼177℃가 되도록 유지하면서 맥류분을 13∼15초간 압출팽화하고, 절단, 건조, 분쇄하여 팽화 맥류분을 제조하며, 팽화 맥류분을 1차 발효된 배지에 투입하고 2단 담금 발효시켜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를 제조한다. 박력 1급품이나 중력 1급품 밀가루 또는 60메쉬로 분쇄한 보리가루가 맥류분으로 사용되며, 1차 발효된 배지는 증자 후 과립화한 밀가루에 백국균, 효모 및 물을 넣고 발효된 것이다. 또한, 2단 담금 발효 단계에 투입되는 팽화 맥류분은 총원료의 약 2/3가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 {Method For Producing Refined Rice Wine Made From Swelled Barley}
본 발명은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가루와 보리가루를 쌍축형 압출 성형기(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습식으로 팽화시킨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하여 약·탁주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밀가루를 이용한 종래의 탁·약주 제조방법은 밀가루를 증자하여 입국을 만들고, 1단 담금에 주모 담금을 하고, 2단 담금에도 덥밥으로 밀가루를 증자하여 발효제로 사용하여 양조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1991-0004360호에 개시된 밀가루를 이용한 탁주 제조방법은 밀가루를 증자시킨 후 과립한 밀가루에 백국균(Aspergillus kawachii), 효모(Saccharomyces Coreanus) 및 물을 넣고 1차 발효시킨 다음, 여기에 수분함량이 약 25%가 물을 가한 후 비닐 봉지에 넣고 약 5℃에서 12시간 방치해 반죽한 밀가루를 단축 압출기(내부온도 100∼120℃)로 압출시켜 압출조리(Extrusion Cooking)된 압출물과 물을 첨가하고 2차 발효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은 기존의 생밀가루 양조 방법에 비하여 노동력 절감과 양조공정의 간편화 및 원료 밀가루 절감의 효과가 있는 반면, 밀가루에 반드시 물을 뿌려서 물에 부풀 때까지 5℃에서 12시간 방치하였다가 압출팽화를 해야 하므로 전체 양조 시간이 길어지고 전처리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술담금에 있어서 2단 담금에서의 덥밥 증자공정을 생략하여 팽화 맥류분을 간편하고 손쉽게 생산하고, 이 팽화 맥류분을 2단 담금에 곧바로 투입하므로써 증자 노동력과 증자 에너지를 절감하고 숙성기간을 단축하며 제성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쌍축형 압출 성형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탁주 제조 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0: 쌍축형 압출 성형기11: 구동모터
12: 기어박스13: 원료공급부
14: 원료내림통15: 급수부
16: 몸통17: 스크류
18: 냉각자켓19: 가열자켓
20: 압출부21: 절단부
22: 제어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쌍축형 압출 성형기에 맥류분을 공급하고, 상기 맥류분의 수분함량이 20∼25wt%가 되도록 물을 공급하며, 쌍축형 압출 성형기의 제1 몸통의 내부온도가 60∼90℃, 제2 몸통의 내부온도가 100∼140℃, 제3 몸통의 내부온도가 140∼177℃가 되도록 유지하면서 상기 맥류분을 13∼15초간 압출팽화하고, 절단, 건조, 분쇄하여 약·탁주 양조용 팽화 맥류분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팽화 맥류분을 1차 발효된 배지에 투입하고 2단 담금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쌍축형 압출 성형기에 공급되는 맥류분은 박력 1급품이나 중력 1급품 밀가루 또는 60메쉬로 분쇄한 보리가루가 바람직하며, 상기 1차 발효된 배지는 증자 후 과립화한 밀가루에 백국균, 효모 및 물을 넣고 발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단 담금 발효 단계에 투입되는 팽화 맥류분은 총원료의 약 2/3가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약·탁주 제조용 팽화 맥류분 제조에 사용되는 쌍축형 압출 성형기(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쌍축형 압출 성형기(10)는 구동모터(11), 기어박스(12), 원료공급부(13), 원료내림통(14), 급수부(15), 몸통(16), 스크류(17), 냉각자켓(18), 가열자켓(19), 압출부(20), 절단부(21), 제어부(22)로 구성된다.
몸통(16)은 제1 몸통(16a), 제2 몸통(16b), 제3 몸통(16c)으로 구성되며, 이들 몸통(16a, 16b, 16c)의 외주면에는 각각 가열자켓(19)과 냉각자켓(18)이 감겨져 있다. 가열자켓(19) 내에는 전기저항식 전열기가 있어서 몸통(16)을 가열하며, 냉각자켓(18) 내에 냉각수가 흐르면서 몸통(16)의 온도를 설정온도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몸통(16a, 16b, 16c)의 양단에는 각각 플랜지가 형성되고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제1 몸통(16a)은 기어박스(12)에 볼트로 고정되며, 마찬가지로 제3 몸통(16c)은 압출부(20)와 연결된다.
한편, 몸통(16) 내에는 스크류(17)가 설치되어 기어박스(12)에 연결된다. 특히, 스크류(17)는 상호 회전가능하게 맞물린 쌍축 스크류이며, 약 15 정도의 직경 대비 길이비(length by diameter ratio)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다. 스크류 구조는 3조 나사식의 연속한 플라이트(flight)와 동형상의 컷 플라이트 스크류(cut flight screw) 등의 혼연 스크류 인자를 조합하고, 원료의 특성과 가공 목적에 따라 스크류 조나사를 선택하여 조합한다.
몸통(16)의 내부는 쌍축 스크류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이중 환형의 단면 구조를 가진다. 또한, 몸통(16)의 내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며 스크류(17)와의 간격을 극소화하여 원료가 몸통(16) 내주면에 부착, 잔유하는 것을 방지한다. 원료는 몸통(16) 내주면의 요(凹)부와 스크루(17)의 골 사이를 따라 이송된다. 한편, 압출부(20)에는 복수개의 압출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로 제3 몸통(16c)에 연결,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쌍축형 압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약·탁주 제조용 팽화 맥류분이제조되고, 이를 주원료로 하여 약·탁주가 제조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그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제 1 공정: 맥류분 습식팽화가공
도 1에 도시된 쌍축형 압출 성형기(10)의 원료공급부(13)에 맥류분으로서 박력 1급품 또는 중력 1급품 밀가루 또는 60메쉬 정도로 분쇄한 보리가루를 넣고, 모터(11)의 구동에 의하여 스크류(17)가 회전하면서 맥류분이 원료내림통(14)을 통하여 내려올 때 급수부(15)에서 맥류분의 수분함량이 20∼25wt%가 되도록 물을 공급한다. 맥류분은 몸통(16) 내부로 공급되고 스크류(17)에 의하여 몸통(16) 내부를 따라 이송된다. 이 때 몸통(16) 외부에 감싸고 있는 냉각자켓(18)과 가열자켓(19)으로 제1 몸통(16a)의 내부온도를 60∼90℃, 제2 몸통(16b) 내부온도를 100∼140℃, 제3 몸통(16c) 내부온도를 140∼177℃로 13∼15초 동안 유지하게 되면, 제1 몸통(16a)에서는 물과 맥류분의 혼합과 동시 호화가 시작되고, 제2 몸통(16b)에서는 α화(익힘)되며, 제3 몸통(16c)에서는 호화물이 고온고압에 의해 압축되고, 압축된 맥류분은 압출부(20)로 사출되면서 다공성의 분상질로 팽화된다.
이와 같이 맥류분을 고온고압에 의하여 처리하면, 맥류분 중의 β-전분의 미셀 구조가 녹아 미셀 사이가 넓은 간격으로 팽윤, 호화되는 팽화 현상이 일어나, 용해성 분산성이 커져서 양조 발효가 잘 된다. 압출부(20)를 통하여 외부 상압으로 사출 팽창되는 것을 압출부(20)의 회전칼로 1∼2㎝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고, 실온에서 10시간 또는 50∼60℃의 열풍건조기에서 20∼30분 건조하여 10∼20메쉬로 분쇄한 후 약·탁주 양조 원료로 사용한다.
2. 제 2 공정: 약·탁주 담금 (원료 110㎏ 담금 기준)
박력 1급품 밀가루 22㎏을 살수, 증자한 것에 시판 백국균(Asp. kawachii)의 종국 55g(원료 밀가루의 0.25%)을 파종시키고 36∼40시간 배양시켜 입국을 만든다. 이 입국 10㎏에 급수 14ℓ, 분말효모(Saccharomyces Coreanus) 40∼60g을 넣고 25∼28℃에서 4∼5일 발효시켜 주모를 제조한다.
숙성된 주모에 입국 잔량 15㎏ 및 급수 180%를 가하고, 온도 30℃ 이하에서 48시간 1차 담금 발효를 한다. 1차 발효된 배지에 상기 제 1 공정에서 생산된 팽화 맥류분 88㎏, 급수 180%, 발효제 곡자 1∼2%, 정제효소 0.02∼0.08% 및 조효소 0.5∼2%를 투입하여, 30∼32℃에서 2∼3일 2단 담금 발효시킨다. 이렇게 제조한 탁주의 주정분을 8%로 할 때 제성비율은 496%이다.
비교예 1 (종래의 방법)
증자 후 분쇄 사별된 밀가루 25㎏에 시판 배국균(Asp. kawachii) 62.5g을 접종하여 40시간 배양시키고, 배양된 입국 2.3㎏에 급수 2.9ℓ(129%)를 가하여 시판 효모균(Saccharomyces Coreanus) 14.6g을 투입하고, 25∼26℃ 품온에서 3∼4일 발효시킨 후, 입국 22.7㎏ 및 급수 40.5ℓ(179%)를 가하여 25∼28℃ 품온에서 48시간 1차 발효시킨다.
여기에 증자 후 분쇄 선별한 밀가루 75㎏(건조기준) 및 급수 136ℓ(181%)와 발효제(sp1200) 625g을 투입하고 25∼30℃에서 48∼72시간 2차 발효시킨다. 이렇게 제조한 탁주는 주정분 8%로 할 경우 제성비율이 480%이다.
비교예 2 (밀가루 25% + 팽화밀가루 75%)
종래의 방법을 개선한 방법으로, 밀가루를 증자 후 분쇄 선별된 밀가루 25㎏(원료의 25%)에 시판 백국균(Asp. kawachii)의 종국을 62.5g을 접종시켜 40시간 배양시킨다. 이 때 배양된 입국 중에서 2.3㎏에 물 2.9ℓ(129%)를 가하고 시판 효모(Saccharomyces Coreanus)를 14.6g 투입하고 25∼28℃의 품온에서 3∼4일 발효시켜 주모를 제조한다.
숙성된 주모에 입국 잔량 22.7㎏ 및 급수 40.5ℓ(179%)를 가하고 25∼28℃의 품온에서 48시간 1차 발효시킨다. 1차 발효된 배지에 밀가루 압출물 75㎏(건조기준) 및 물 161ℓ(215%)와 발효제(sp1200) 625g을 투입하고 25∼30℃에서 48∼72시간 2차 발효시킨다. 이렇게 제조한 탁주는 주정분 8%로 할 때 제성비율이 495%이다.
이상의 실시예, 비교예 1,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성비율이 비교예 1에 비하여 3% 정도 높으며, 비교예 2와는 비슷하였으나 제조기간이 12시간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에 따르면, 2단 담금에서의 덥밥 증자공정을 생략하여 팽화 맥류분을 간편하고 손쉽게 생산하고, 이 팽화 맥류분을 2단 담금에 곧바로 투입하므로써 증자 노동력과 증자 에너지를 절감하고 숙성기간을 단축하며 제성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쌍축형 압출 성형기에 맥류분을 공급하고, 상기 맥류분의 수분함량이 20∼25wt%가 되도록 물을 공급하며, 상기 쌍축형 압출 성형기의 제1 몸통의 내부온도가 60∼90℃, 제2 몸통의 내부온도가 100∼140℃, 제3 몸통의 내부온도가 140∼177℃가 되도록 유지하면서 상기 맥류분을 13∼15초간 압출팽화하고, 절단, 건조, 분쇄하여 약·탁주 양조용 팽화 맥류분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팽화 맥류분을 1차 발효된 배지에 투입하고 2단 담금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쌍축형 압출 성형기에 공급되는 상기 맥류분은 박력 1급품이나 중력 1급품 밀가루 또는 60메쉬로 분쇄한 보리가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발효된 배지는 증자 후 과립화한 밀가루에 백국균, 효모 및 물을 넣고 발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단 담금 발효 단계에 투입되는 상기 팽화 맥류분은 총원료의 약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방법.
KR10-2000-0065618A 2000-11-06 2000-11-06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 KR100391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618A KR100391510B1 (ko) 2000-11-06 2000-11-06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618A KR100391510B1 (ko) 2000-11-06 2000-11-06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367A true KR20020035367A (ko) 2002-05-11
KR100391510B1 KR100391510B1 (ko) 2003-07-16

Family

ID=1969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618A KR100391510B1 (ko) 2000-11-06 2000-11-06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5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5520A (zh) * 2013-11-15 2014-02-05 江南大学 一种挤压处理黄酒糟的闭路循环式黄酒酿造方法
CN105296275A (zh) * 2015-09-23 2016-02-03 黑龙江省科学院 一种火麻保健白酒及其酿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223B2 (ja) * 1977-11-18 1985-04-24 日清製粉株式会社 製麹用原料
JPS62118880A (ja) * 1985-11-19 1987-05-30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醸造用加工原料の製造法
JPS6471474A (en) * 1987-09-11 1989-03-16 Japan Maize Prod Granular gelatinized starch and preparation thereof
JP2613400B2 (ja) * 1987-10-12 1997-05-28 株式会社中埜酢店 醸造用原料の製造法
US5049363A (en) * 1989-08-03 1991-09-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covery of scandium, yttrium and lanthanides from titanium ore
KR910004360B1 (ko) * 1989-08-29 1991-06-26 대선제분 주식회사 밀가루를 이용한 탁주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5520A (zh) * 2013-11-15 2014-02-05 江南大学 一种挤压处理黄酒糟的闭路循环式黄酒酿造方法
CN105296275A (zh) * 2015-09-23 2016-02-03 黑龙江省科学院 一种火麻保健白酒及其酿造方法
CN105296275B (zh) * 2015-09-23 2018-05-15 黑龙江省科学院 一种火麻保健白酒及其酿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1510B1 (ko)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28657B2 (ko)
CN102391927B (zh) 一种用挤压加工的不加酶或加酶的白酒原料固态发酵酿造白酒的方法
CN100462014C (zh) 通过挤压制作冷面用面条的方法和设备
CN110406072B (zh) 一种淀粉基多通道气流单元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655683A (zh) 生产膨胀成形的颗粒半成品的方法
KR100391510B1 (ko) 팽화 맥류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
WO2001037682A3 (en) Process for expanded pellet production
KR100391511B1 (ko) 팽화 미곡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
EP0910961B1 (en) Extrusion of hydrolysed proteins
CN111955595A (zh) 一种大米蛋白制备干法低过敏原拉丝蛋白的生产工艺
RU2371313C2 (ru) Способ низкотемпературного формован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вердых биоразлагаемых изделий
US5569482A (en) Process for producing edible proteinaceous film
KR100391509B1 (ko) 팽화 잡곡분을 주원료로 한 약·탁주 제조 방법
KR20150001057A (ko) 즉석 편이식 제조를 위한 효소압출팽화미분의 제조방법
JPS6471474A (en) Granular gelatinized starch and preparation thereof
CN108624635A (zh) 一种膨化麦芽糊精的制备方法
KR20020092096A (ko) 압출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뻥튀기용 인조미 제조방법
KR910004360B1 (ko) 밀가루를 이용한 탁주제조방법
CN104172135B (zh) 一种用于生产面酱的小麦粉挤出处理方法
CN204640883U (zh) 单螺杆食品挤出机
KR910002269B1 (ko) 압출성형공법을 이용한 곡류 인스탄트식혜의 제조방법
JP2530173B2 (ja) 高膨化性の米菓、スナック類の食品用生地の製造方法
KR930005195B1 (ko) 식물성 단백질 조직을 이용한 대두 인조육의 제조방법
JPH0775516B2 (ja) スナツク食品用生地の製造法及び製造装置
KR20110106784A (ko) 반제품 막걸리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제품 막걸리 및 그 제조 방법에 적용되는 팽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