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4145A - 튜브형 용기의 마개 구조 - Google Patents

튜브형 용기의 마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145A
KR20020034145A KR1020020021876A KR20020021876A KR20020034145A KR 20020034145 A KR20020034145 A KR 20020034145A KR 1020020021876 A KR1020020021876 A KR 1020020021876A KR 20020021876 A KR20020021876 A KR 20020021876A KR 20020034145 A KR20020034145 A KR 20020034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topper
tubular container
positioning
out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920B1 (ko
Inventor
용 배 최
Original Assignee
용 배 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배 최 filed Critical 용 배 최
Publication of KR2002003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 B65D47/14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threaded caps
    • B65D47/1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형 용기 본체 상단 토출구측과 내합 나사 결합되되 외주면 하단으로 플렌지가 연장 형성되고 그 플렌지 외주면으로 다수개 등간격 형성되는 위치설정홈을 갖는 내부캡과, 내주면으로 다수개의 위치설정돌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 내주면으로 상기 플렌지 두께만큼 이격되며 환형상 요홈을 갖는 이중걸림돌기가 환설되고 외측 상방 일측으로 경사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토출공이 천공되는 몸체부와; 상기 토출공을 밀/개폐하기 위한 중앙밀폐형돌부가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경사홈과 대응되는 경사홈이 일측에 형성되는 뚜껑부가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몸체부 타측과 연결되는 외부캡, 으로 구성되는 마개 구조를 제공하여,
화장품이나 오일 등 액상, 졸(sol)상의 유체(流體)를 저장하는 튜브형 용기의 제조시 원형튜브와 연결부재에 의해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 개폐되도록 하는 마개부의 개별 생산 과정을 거친 후 최종 조립단계에서 튜브형 용기 본체와 마개부간의 결합시 상기 튜브형 용기 본체의 정면 또는 배면에 정확하게 마개부의 개구부 또는 연결부재 위치의 정확한 셋팅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시에 마개의 개방시 튜브형 용기 본체의 정면부에서 배면부측으로 상기 마개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 튜브내 내용물을 용이하게 확인하며 짜내어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튜브형 용기의 마개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튜브형 용기의 마개 구조{Tube-instrumen cork structure}
본 발명은 화장품이나 오일 등 액상, 졸(sol)상의 유체(流體)를 저장함과 동시에 반복 사용하는 튜브 용기의 마개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튜브 용기의 제조시 원형튜브와 연결부재에 의해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 개폐되도록 하는 마개의 개별 생산 과정을 거친 후 최종 조립단계에서 튜브와 마개간의 결합시 상기 원형튜브의 정면 또는 배면에 마개의 개구부 또는 연결부재 위치의 정확한 셋팅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시에 마개의 개방시 튜브 용기의 정면부에서 배면부측으로 상기 마개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 튜브내 내용물을 짜내어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튜브 용기의 마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또는 졸(sol)상의 유체(流體)로 되는 화장품이나 로션, 오일 등을 저장하고 필요시마다 짜내어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튜브는 필름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와같은 튜브 상단부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마개와 체결 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와같은 튜브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마개를 튜브 용기 상단부로부터 나사결합된 상태를 해제하여 완전 분리한 후, 사용자가 튜브를 짜내어 튜브 용기 상단 토출구를 통하여 내용물을 분출하여 사용하고 있었으나, 마개의 분실 우려가 상당하고 나사 체결부위에 짜낸 뒤에 잔존하는 내용물에 의해 토출구 주변이 오염되는 현상은 물론, 오랜 시간 경과 후에는 상기 잔존물에 의해 마개와 튜브 용기간의 체결이 불완전하여 튜브 용기내부로 외기 유입에 의해 내용물이 고형화 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등 내용물의 보관상태를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튜브 용기 본체와 마개를 일체화시켜 분실의 가능성을 막고 작은 힘으로도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튜브형 용기 본체의 마개와 뚜껑을 플라스틱 스냅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형태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힌지(또는 연결부재)에 의해 뚜껑과 마개간을 연결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마개와 튜브형 용기 본체간의 나사 결합에 의해 제품을 완성하였을 경우 튜브형 용기 본체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숫나사부와 마개간의 나사 결합에 의해 완전하게 체결되었을 경우, 뚜껑과 마개간을 연결하는 힌지부(또는 연결부재)가 정확하게 튜브 용기 저면부측에 위치되지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발생된다.
튜브 용기를 원형의 형태를 갖는 튜브 용기 제작시 그 튜브형 용기 본체의 정면부 및 배면부측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광고면으로 할애되어 각종 광고문구나 도형등이 인쇄되고 배면부측으로는 그 내용물의 성분이나 사용방법 또는 사용상 주의 사항등이 인쇄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즉, 이와같은 문제점은 튜브의 형상이 마개측에는 원형상이고, 그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평면(또는 저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ㅡ"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사용시 그 "ㅡ"자 형상의 배면측과 정면부측을 눌러 짜내어 내용물을 사용하게 되므로, 튜부 용기 본체의 정면부과 배면부측에 각각 마개의 개구부와 연결부재가 위치되는 것이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위치 설정이 되며, 일반 판매점 등에 전시되는 경우에도 개구부측이 튜브형 용기 본체의 정면부에 가지런히 위치되는 것이 미관상 깨끗하고 깔끔한 감각을 제공할 수 있어, 제작 과정시 이와같은 위치 설정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튜브 용기를 제품 출하 후 실소비자에 의해 사용될 경우, 보통 힌지 역할을 하는 연결부재가 튜브 용기의 배면부측에 위치되고, 마개와 뚜껑간을 개방시키기 위한 개구부는 튜브 용기의 정면부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출하되어지고 있어, 튜브 용기 및 마개 등의 결합 공정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튜브 용기와 마개간의 정확한 위치 셋팅 결합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바, 대부분 튜브 용기 본체와 마개의 생산 라인 즉 그 각 부위의 생산자가 다른 것이 보통이므로 최종 결합 사업장내에서 튜브 용기와 마개간의 결합 작업시 마개가 완전하게 체결된 상태의 정지위치와 튜브 용기 본체 정면 또는 배면부측과 일치되지 않는 위치상에서 마개와 튜브 용기간의 결합이 완료되더라도 용기본체와 마개간의 위치 설정이 비틀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예컨데 마개가 최종적으로 닫혀진 상태가 튜브 용기의 정면부측에서 비스듬하게 비틀어진 상태라면, 튜브 용기의 마개를 젖힌 상태 또한 비스듬하게 비틀어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튜브를 짜내게 되는데 젖혀진 마개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는 경우가 발생되어 유출되는 내용물의 확인이 용이하지 못하고, 손목을 돌려 그 유출되는 내용물을 확인하거나 또는 마개를 약간 헐겁게 체결하여 마개의 개구부와 튜브 용기 본체의 정면부를 맞춘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므로, 내용물이 완전하게 밀봉되지 않은 상태의 마개와 튜브 용기 본체 상단의 간극을 통하여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튜브 용기 본체 외주면으로 흐르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내용물의 유출을 확인하기 위해서 튜브 용기 본체의 정면부와 배면부를눌러 짜내는 것이 아니라, 개구부측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튜브 용기 본체를 비스듬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튜브 용기의 측면부측을 눌러 짜내게 되므로 유출량의 조절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한 것으로,
튜브형 용기 본체와,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활개 회동 개폐되는 뚜껑부를 갖는 마개부를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할 때 상기 마개와 뚜껑간이 개폐되는 개구부가 항상 튜브형 용기 본체 정면부측에 정위치되도록 하고, 반면에 마개와 뚜껑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항상 튜브형 용기 본체 배면부측에 정위치 되도록 하여 튜브형 용기 본체와 마개간의 체결작업 과정을 손쉽게 함으로써 마개와 튜브형 용기 본체간의 정위치 설정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하고,
사용자가 튜브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짜내어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항상 튜브형 용기 본체의 정면측 정위치에 고정된 마개의 개구부를 타측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활개 개방시킨 후 내용물의 배출량 확인이 용이한 상태에서 사용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튜브형 용기 본체 정면부와 마개간의 정위치 설정이 잘못되었을 경우 간단하게 마개의 외부캡만을 잡아당겨 좌우 자유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구부의 위치를 간단하게 보정, 설정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내부캡 및 외부캡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마개부의 개구부와 튜브형 용기 본체의 정면부측이 일치되지 않았을 때 마개부의 외부캡을 회동시켜 정위치에 셋팅시키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마개부의 셋팅작업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외부캡을 잡아당겨 내부캡의 플렌지가 외부캡의 위치설정돌부로 부터 이탈되어 상기 내부캡이 자유회동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정위치 셋팅후 재차 외부캡을 밀어 플렌지의 위치설정홈과 외부캡의 위치설정돌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마개부의 외부캡과 내부캡의 결합 상태를 평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마개부의 외부캡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외부캡과 내부캡 및 용기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의한 내부캡 및 외부캡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9 a,b는 도 7에 의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9a는 외부캡을 들어올려 자유회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용기의 전면과 일치되는 상태로 회전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와 같이 외부캡을 회전시켜 일정 위치에 셋팅되면, 외부캡을 눌러 상기 외부캡과 내부캡간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 a,b,c,d는 외부캡 상단 저면으로 위치설정돌부가 방사상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내부캡 상면으로 위치설정홈이 방사상 형성되어 외부캡의 상하 위치 이동에 따라 외부캡의 자유회동 및 고정되는 것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외부캡의 가이드부재 상측 내주연측으로 위치설정돌부를 길이방향 적정하게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내부캡의 상단 외주연으로 위치설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토출구의 직경이 큰 용기에 사용되기 위한 본 발명의 채택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외부캡의 가이드부재 하단부를 요철형상으로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내부캡의 플렌지 내주연에 위치설정홈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외부캡의 가이드부재 내측면에 돌부를 이격 환설하고, 이와 대응되는 내부캡 토출구커버부 외측면에 걸림돌부를 형성하여 타 실시예의 환설돌부와 그 기능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튜브형 용기 본체 110; 토출구 120; 정면부
200; 마개부 210; 내부캡 211; 플렌지
212; 위치설정홈 213; 유출공 214; 유출구
215; 보강리브 216; 토출구커버부 217,217'; 환설돌부
218; 돌부 219,219'; 걸림돌부
220; 외부캡 221; 몸체부 222; 위치설정돌부
223; 이중걸림돌기 224; 요홈 225; 경사홈
225a; 결합홈 225b; 결합돌부 226; 토출공
227; 가이드부재 230; 뚜껑부 231; 경사홈
231a; 결합돌부 232; 중앙밀폐형돌부 240; 연결부재
A; 개구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튜브형 용기 본체(100)와, 일측 연결부재(240)를 중심으로 회동 개방되는 마개부(200)에 의해 나사 체결 되는 튜브 용기의 마개 구조에 있어서,
튜브형 용기 본체(100) 상단 토출구(110)측과 내합 나사 결합되되 외주면 하단으로 플렌지(211)가 연장 형성되고 그 플렌지(211) 외주면으로 다수개 등간격 형성되는 위치설정홈(212)을 갖는 내부캡(210)과,
내주면으로 다수개의 위치설정돌부(222)가 형성되고 그 하단 내주면으로 상기 플렌지(211) 두께만큼 이격되며 환형상 요홈(224)을 갖는 이중걸림돌기(223)가 환설되고 외측 상방 일측으로 경사홈(225)이 형성되고, 중앙에 토출공(226)이 천공되는 몸체부(221)와; 상기 토출공(226)을 밀/개폐하기 위한 중앙밀폐형돌부(232)가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221)의 경사홈(225)과 대응되는 경사홈(231)이 일측에 형성되는 뚜껑부(230)가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재(240)에 의해 상기 몸체부 (221) 타측과 연결되는 외부캡(220),
으로 형성되어 마개 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튜브형 용기 본체(100)와 마개부 (200)로 구성되되, 상기 마개부(200)는 상호 분리 및 체결 결합되는 내부캡(210) 및 외부캡(220)에 의한 이중캡으로 구성한다.
상기 튜브형 용기 본체(100)는 일반적인 튜브형 용기 본체(100) 형상을 갖는바, 하단부측은 통상 "ㅡ"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단부로 갈수록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110)는 통상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튜브형 용기 본체(100) 상단부의 토출구(110)를 밀폐 하며, 사용시 개방하기 위한 마개부(200)를 형성하는데, 이와같은 마개부(200)는 상기한 토출구(110)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내부캡(210)과 상기 내부캡(210)에 덧씌워지며 결합되는 외부캡(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캡(210)은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하단부에 플렌지(211)가 환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으로 일체로 돌출되는 원통형상의 토출구커버부(216)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유출공(213)이 통공된 유출구(214)가 돌출되고, 상기 토출구커버부 (216) 중간지점으로부터 플렌지(211) 상단면으로 다수개의 보강리브(215)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토출구커버부(216) 외주면에서 플렌지(211)측으로 보강리브 (215)가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플렌지(211) 외주면으로 평면상 "∩" 형상으로 움푹 들어가며 형성되는 위치설정홈(212)이 등간격 다수개 형성되어 기어치차와 같은형상을 갖는다.
상기의 위치설정홈(212)은 마개부(200)를 튜브형 용기 본체(100)의 토출구 (110)와 결합시 튜브형 용기 본체(100) 정면부측에 마개부(200)의 개구부(A) 위치 설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하는 외부캡(220) 위치설정돌부(222)에 의해 고정되는바, 예컨데 튜브형 용기 본체(100)의 정면부측에 상기 개구부(A) 위치가 정확하게 셋팅되지 않으면, 외부캡(220)을 상방으로 잡아당겨 위치설정홈 (212)으로부터 상기 외부캡(220)의 위치설정돌부(222)가 이탈되어 자유회동 가능한 상태에 이르도록 한 다음, 외부캡(220)을 정확한 위치로 회동시켜 재차 위치설정돌부(212)가 위치설정홈(212)에 끼워지도록 밀어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외부캡(220)은 도면에서 보듯이 원통체의 몸체부(221)와 그 몸체부 (221) 일측에 연결부재(240)에 의해 활개 회동되는 뚜껑부(230)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외부캡(220)의 몸체부(221)는 내주면 하단으로 상기 플렌지(211)의 두께만큼 상하 이격되어 요홈(224)을 갖으며 환설되는 이중걸림돌기 (223)가 형성되고, 그 상단 내주면으로 위치설정돌부(222)가 다수조 형성된다.
상기 위치설정돌부(222)는 상기의 위치설정홈(212)에 끼워지는 두께로 형성되고, 몸체부(221) 내주면에 전반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대략 4등분 내지 8등분 되는 위치에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이와같은 몸체부(221) 일측면으로 반발력 및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재(240)가 일체로 연결되고 그 단부에 중앙밀폐형돌부(232)가 중앙 내부에서 돌출되는 뚜껑부(230)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240) 타측편으로 개구부(A)를 형성하여 외부캡(220)의 몸체부(221)로부터 뚜껑부(230)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는바, 연결부재(240) 타측 몸체부(221) 상단부에 테이퍼지며 깍여지는 형상의 경사홈(225)을 형성하고, 경사홈(225) 상단부측에 결합홈(225a) 및 결합돌부(225b)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221) 경사홈(225)과 대응되는 뚜껑부(230) 일측으로 테이퍼지며 깍여지는 형상의 경사홈(231)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221) 경사홈(225)의 결합홈(225a)에 끼워지는 결합돌부(231a)가 형성된다.
따라서 뚜껑부(230)를 연결부재(240)를 중심으로 타측 개구부(A)측으로 회동시켜 누르게 되면 뚜껑부(230)와 몸체부(221)의 경사홈(225)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225a) 및 결합돌부(225b,231a) 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일반적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40)는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들어 도 6에서 보듯이 마개부(200)의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뚜껑부(230)를 몸체부(221)로부터 밀어올리면서 회동시켜 반발력 상쇄지점까지 회동되어지면, 이와 반대되는 탄성력이 발생하여 뚜껑부 (230)가 뒤쪽으로 일시에 젖혀지도록 한다.
한편 뚜껑을 닫을 때에는 뚜껑부(230)가 복원력 상쇄지점까지 회동된 후 더 회동시키면 탄성력이 반대로 작용하여 뚜껑부(230) 타단이 몸체부(221)측으로 일시 회동되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튜브형 용기 본체(100) 및 마개부(200)는 통상 각각 다른 생산공장 또는 다른 생산라인에서 별도 제작된 후 튜브형 용기 본체(100)내에 내용물을 충진 하고 마개부(200)를 튜브형 용기 본체(100) 토출구(110)와 결합하여 완성되는데, 마지막 최종 결합공정에서 마개부(200)를 튜브형 용기 본체(100)에 결합할 때 상기 마개부 (200)의 개구부(A)가 튜브형 용기 본체(100) 정면부(120)측에 위치되도록 셋팅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마개부(200)의 내부캡(210)과 튜브형 용기 본체(100) 토출구 (110)와 먼저 나사결합한 후 외부캡(220)을 임의의 위치에서 내부캡(210)과 결합하는바, 외부캡(220)의 몸체부(221) 내주면에 다수조 돌출되는 위치설정돌부(222)가 내부캡(210) 플렌지(211) 외주면으로 등간격 형성되는 위치설정홈(212)에 삽입되며 끼워지도록 한다.
그런다음 튜브형 용기 본체(100)의 정면부(120)와 외부캡(220)의 개구부(A)가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면, 간단하게 외부캡(220)을 잡은 상태에서 위로 잡아당겨 위치설정을 하게 되는데 도 4a,b에서 보듯이 외부캡(220) 몸체부(221)의 위치설정돌부(222) 하단부가 내부캡(210) 플렌지(211)의 위치설정홈(212)으로부터 이탈되되, 상기 플렌지(211) 외주면은 내부캡(210)의 내측 하단에 플렌지(211) 외주면 두께만큼 이격되는 이중걸림돌기(223) 사이의 요홈(224)으로 위치되어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플렌지(211)가 내부캡(210) 하단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외부캡(220)을 강한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잡아당기지 않는 한 항상 내부캡(210)은 외부캡(220) 내부에 존재하게 된다.
이와같이 외부캡(220)을 고정하는 내부캡(210) 플렌지(211)와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캡(220)의 이중걸림돌기(223) 사이에 걸려진 내부캡(210)의 플렌지(211) 외주면에 의해 가이딩되며 좌우 자유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면, 작업자는 외부캡(220)을 좌우로 회전시켜 외부캡(220)의 개구부(A)가 정확하게 튜브형 용기 본체(100) 정면부(120)측에 위치되어도록 한 후 재차 상기 외부캡(220)을 하방으로 눌러, 상기 위치설정돌부(222)가 내부캡(210)의 위치설정홈(212)에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뚜껑부(230)의 중앙밀폐형돌부(232)를 소정길이로 길게 형성하여, 몸체부(221)의 토출공(226)을 관통하여 내부캡(210)의 유출공(213)을 밀폐 결합되도록 하되 그 관통되는 길이가 외부캡(220)을 상방으로 잡아당겼을 때 내부캡(210)의 플렌지(211)가 상기 이중걸림돌기(223) 요홈(224) 사이에 위치되더라도, 상기 내부캡(210) 유출공(213)으로부터 상기 중앙밀폐형돌부(232)가 이탈되지 않는 길이로 적정하게 인출 성형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서 보듯이 내부캡(210)의 유출구(214) 외주면이 외곽측으로 테이퍼지며 돌출되도록 하고(C) 이와 대응되는 외부캡(220)의 몸체부(221) 토출공(226) 내주면 상단측이 테이퍼지도록 하여 내부캡(210)의 유출구(214) 외주면과 몸체부 (221) 내주면 토출공(226) 상단측이 걸쳐지며 내합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는 이유는 뚜껑부(230)가 회동되어 닫혀질때 상기 뚜껑부(230)의 중앙밀폐형돌부(232)가 몸체부(221)의 토출공(226)측으로 삽입될 때 그 미는 힘에 의해 내부캡(210)이 하방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이 간단한 위치설정작업에 의해 정확하게 외부캡(220)의 개구부(A)와 튜브형 용기 본체(100) 정면부(120)간의 셋팅을 완료할 수 있으며, 아울러 수요자에 의해 내용물을 사용할 경우에도 튜브형 용기 본체(100)의 정면부(120)측에 위치된 마개부(200)의 외부캡(220) 개구부(A)측을 누르며 연결부재(240)를 축으로 뚜껑부(230)를 활개 개방한 후 사용자가 내용물의 토출량을 정확하게 확인하며 짜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사용 완료후에는 뚜껑부(230)를 다시 연결부재(240)를 축으로 닫아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 형상으로 뚜껑부(230)와 몸체부(221)간을 연결하게 되는데 뚜껑부(230)가 어느 시점까지 회동되면 반대로 작용되는 반발력에 의해 뒤로 일시에 젖혀지도록 하여 사용시 한번의 개방 작동에 의해 뚜껑부(230)가 완전하게 활개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 2 실시예)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될 수 있는 타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외부캡(220) 몸체부(221)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향 입설되는 가이드부재(227)를 몸체부(221) 내측벽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고 몸체부(221) 내측벽에 도 8에서 보듯이 위치설정돌부(222)를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조를 형성하여 적정간격 다수개 형성시킨다.
한편 이와 대응되는 내부캡(210)은 제1실시예와는 달리 토출구커버부(216) 외주면으로 형성된 보강리브(215)를 삭제한 상태에서 유출구(214)를 일정길이 연장하여 외부캡(220)의 토출공(226)내에서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하되, 내부캡(21)의 유출구(214) 외주면 상하에 각각 이격되며 환설되는 환설돌부(217,217')를 형성하고, 플렌지(211) 외주연으로 방사상 위치설정홈(212)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플렌지(211)를 관통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환설돌부(217, 217')는 외부캡(220)의 토출공(226)에 끼워져 내부캡(210)의 고정 및 자유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도 7에서 보듯이, 환설돌부(217,217') 중 상부측 환설돌부(217)는 상기 토출공(226) 상측에 항상 위치되는 상태이고, 하부측 환설돌부(217')는 외부캡(220)을 잡아당기게 되면 하부측 환설돌부(217')가 토출공(226)으로부터 이탈되어 하단으로 빠지게 되어 외부캡(220)과 내부캡(210)간 자유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외부캡(220)을 누르게 되면, 하단측 환설돌부(217')가 토출공(226) 상면으로 돌출되며 걸려지는 상태와 더불어 외부캡(220) 및 내부캡(210)이 위치설정돌부(222) 및 위치설정홈(212)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보강리브(215)를 삭제한 것은 가이드부재(227)의 형성에 의한 간섭작용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가이드부재(227)는 내부캡(210)의 토출커버부 (216)를 외합하며 내부캡(210)이 튜브형 용기 본체(100) 토출구(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캡(220)의 상하 승강작동에 따라 상기 토출커버부(216)에 의해 가이드되며 외부캡(220)의 좌우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환설돌부(217)는 외부캡(220)의 상하 승강에 따라 외부캡(220) 토출공(226)내에 걸려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강제로 외부캡(220)을 잡아당기면 토출공(226)에 걸려져 있던 내부캡(210) 유출구(214)의 하측 환설돌부(217')가 토출공(226) 아래로 강제 이탈되어 내부캡(210)의 플렌지(211) 외주연측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설정홈(212)으로부터 외부캡(220)의 위치설정돌부(222)가 이탈되어 내부캡(210)이 자유회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된 상태에서 외부캡(220)을 좌우로 회전시켜 경사홈(225)이 튜브형 용기 본체(100)의 정중앙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다시 외부캡(220)을 강제로 누르게 되면, 가이드부재(227)가 내부캡(210)의 토출구커버부(216)를 가이드하며 상기 외부캡(220)이 아래로 하강하면서, 외부캡(220) 내주면에 형성된 위치설정돌부(222)가 내부캡(210) 플렌지(211)에 형성된 위치설정홈(212)에 끼워져 외부캡(220)과 내부캡(210)간 고정이 완료된다.
(제 3 실시예)
한편 본 실시에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좀더 변화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 10의 각각의 도면에서 보듯이 외부캡(22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기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가이드부재(227)를 일정길이 하향 일체로 외부캡(220)의 내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상태로 입설하고 도 10b에서 보듯이 제1,2실시예에 구성된 외부캡(220) 몸체부(221)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위치설정돌부(222)를 제거한 상태에서 외부캡 내측 상저면 즉 가이드부재(227) 내측 저면부에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도 10b에서와 같은 위치설정돌부(222)와 대응되는 내부캡(210)의 토출구커버부(216) 상면측에 위치설정홈(212)을 방사상 등간격 이격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때에는 내부캡(210)의 플렌지(211)측에는 위치설정홈(212)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작동상태는 제1,2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되며 상세한 작동관계는 도 10 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캡(220)을 튜브형 용기 본체(100)의 토출구(110)와 완전하게 결합시킨 상태에서 튜브형 용기 본체(100)의 정면부(120)와 마개부(200) 개구부(A)간 정확하게 셋팅이 되지 않으면, 외부캡(220)을 잡아당겨 위치설정돌부(222)가 내부캡(210)의 위치설정홈(212)으로부터 이탈되어 자유회동 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그런다음,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캡(220)을 자유회동시켜 튜브형 용기 본체(100)의 정면부(120)와 셋팅시킨 후 외부캡(220)을 누르게 되면, 외부캡(220)이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내부캡(210)의 유출구(214)측 하단의 환설돌부(217')가 외부캡(220) 몸체부(221)의 토출공(226) 하단으로 이탈되면서, 가이드부재(227)가 내부캡(210)의 토출구커버부(216)에 가이딩되며 하강하고 아울러 상기 위치설정돌부(222)가 내부캡 토출구커버부(216) 상면에 방사상 형성된 위치설정홈(212)에 끼워져 외부캡(220)의 고정상태를 완료하여 정확한 셋팅작업을 이룰수 있게 된다.
(제 4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도록 하는데 도면에서 보듯이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외부캡(220) 내측의 이중걸림돌기(223)를 삭제하고, 상측 저면으로부터 몸체부(221) 내측과 이격되며 일체로 하향 입설되는 가이드부재(227)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재(227) 상부 내측면에 위치설정돌부(222)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한 위치설정돌부(222)와 대응되는 위치설정홈(212)을 내부캡(210) 토출구커버부(216) 상단 외주연측에 등간격 형성하여 외부캡(220)의 상하 승강에 따라 상기 위치설정돌부(222)가 위치설정홈(212)에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튜브형 용기 본체(100)의 정면부(120)와 마개부(200)의 개구부(A)간의 정확한 셋팅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첨부한 도면 도 13에서 보듯이 외부캡(220) 내측으로 일체 하향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재(227)의 하단부에 요철형상으로 되는 위치설정돌부(222)를 형성하고, 상기 요철형상의 위치설정돌부(222)와 결합 및 탈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와 대응되는 내부캡(210)의 플렌지(211) 내주연 즉 플렌지(211)로부터 일체 입설되는 토출구커버부(216) 하단측 플렌지(211)에 상기 요철형상의 위치설정돌부(222)가 끼워지기 위한 적정 크기를 갖는 위치설정홈(212)을 방사상 다수개 등간격 천공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서 되는 제 5 실시예에 의해 튜브형 용기 본체(100) 정면부(120)와 마개부(200)의 개구부(A)와의 정확한 셋팅 작업을 위해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외부캡(220)을 잡아당겨 가이드부재(227) 하단의 요철형상의 위치설정돌부(222)가 내부캡(210) 플렌지(211) 내주면으로 등간격 방사상 다수개 천공된 위치설정홈(212)으로부터 이탈되어 자유회동 가능상태를 이룬 다음, 개구부(A)와 정면부(120)간을 일치되도록 셋팅하고 재차 외부캡(220)을 눌러 내부캡(210) 유출구(214)의 하측 환설돌부(217')가 외부캡(220) 토출공(226) 하단으로 빠지면서 요철형상의 위치설정돌부(222)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위치설정홈(212)에 끼워져 외부캡(220) 및 내부캡(210)간의 고정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와는 달리 첨부한 도면 도 12에서 보듯이 튜브형 용기 본체(100)의 토출구(110)의 직경이 상당할 경우에는 내부캡(210)의 플렌지(211)가 삭제된 상태에서 토출구커버부(216)의 직경이 이와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튜브형 용기 본체(100)의 토출구(110)와 나사결합되고, 토출구커버부(110) 외주연측으로 방사상 위치설정홈(212)을 다수개 등간격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설정돌부(222)를 외부캡(220)의 내주연에 각각 형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 6 실시예)
한편 본 발명을 도 14에서 보는바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즉, 지금까지는 외부캡(220) 토출공(226)으로 상하 이송되며 외부캡(220)과 내부캡(210)간의 고정 및 자유회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내부캡(210) 유출구(214) 상하에 각각 형성되는 환설돌부(217,217')를 제거하고,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외부캡(220) 가이드부재(227) 내측면에 돌부(219)를 돌출 환설 시킨다.
아울러, 상기 걸림돌부(219,219')와 대응되는 위치상 즉 내부캡(210)의 토출구 커버부(216) 측 외주면으로 상기한 실시예의 내부캡(210) 유출구(214)와 동일 기능을 갖을 수 있는 걸림돌부(219,219')를 상하 이격 환설시킨다.
따라서 내부캡(210) 토출구커버부(216)의 걸림돌부(219,219') 중 상측 걸림돌부(219)는 항상 외부캡(220)의 가이드부재(227) 내측면에 환설된 돌부(218) 상측에 위치되고, 외부캡(2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돌부(218) 상측으로 이송되거나 또는 하측으로 이송되는 하측 걸림돌부(219')에 의해 외부캡(220)과 내부캡 (210)간의 고정 및 자유회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술한 실시예에서 내부캡(210)의 환설돌부(217,217')를 제거하고 이와 동일한 기능을 갖을 수 있도록 내부캡(210) 토출구커버부(216) 외측면의 걸림돌부(219,219')를 형성하고, 대응되는 외부캡(220) 가이드부재(227) 내측면에 돌부(218)를 형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각기 다른 생산공정·생산라인·생산장소에 의해 개별적으로 생산되는 각각의 부품인 튜브형 튜브형 용기 본체와 마개부간을 최종 결합 공정에서 결합 작업시 튜브형 용기 본체의 정면부측에 항상 마개부의 개구부가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위치설정 셋팅 작업이 간단하며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효율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7)

  1. 튜브형 용기 본체(100)와, 일측 연결부재(240)를 중심으로 활개 회동 개방되는 마개부(200)에 의해 체결 되는 튜브 용기의 마개 구조에 있어서,
    튜브형 용기 본체(100) 상단 토출구(110)측과 내합 나사 결합되되 외주면 하단으로 플렌지(211)가 연장 형성되고 그 플렌지(211) 외주면으로 다수개 등간격 형성되는 위치설정홈(212)을 갖는 내부캡(210)과,
    내주면으로 다수개의 위치설정돌부(222)가 형성되고 그 하단 내주면으로 상기 플렌지(211) 두께만큼 이격되며 환형상 요홈(224)을 갖는 이중걸림돌기(223)가 환설되고 외측 상방 일측으로 경사홈(225)이 형성되고, 중앙에 토출공(226)이 천공되는 몸체부(221)와; 상기 토출공(226)을 밀/개폐하기 위한 중앙밀폐형돌부(232)가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221)의 경사홈(225)과 대응되는 경사홈(231)이 일측에 형성되는 뚜껑부(230)가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재(240)에 의해 상기 몸체부 (221) 타측과 연결되는 외부캡(22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용기의 마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21) 토출공(226) 상단 내주면이 내측으로 테이퍼지고(B), 이와 대응되는 내부캡(210)의 유출구(214) 외주면 상단이 테이퍼져(C)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의 마개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220) 내측면의 이중걸림돌기(223)를 삭제된 상태에서 내부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부재(227)를 형성하고, 보강리브(215)를 삭제한 상태의 상기 내부캡(210) 유출구(214) 외주면 상하에 각각 환설돌부(217)를 형성하고 플렌지(211) 외주면으로 위치설정홈(212)이 방사상 등간격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의 마개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돌부(222)를 외부캡(220) 상측 저면에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설정홈(212)을 내부캡(210)의 토출구커버부(216) 상면측에 방사상 등간격 이격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의 마개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돌부(222)는 외부캡(220) 가이드부재(227) 상부 내측면에 복수조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설정홈(212)을 내부캡(210) 토출구커버부(216) 상단 외주연에 등간격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의 마개구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27) 하단부측을 요철형상을 갖는 위치설정돌부(222)로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설정홈(212)를 내부캡(210) 토출구커버부(216) 하단의 플렌지(211) 내주연에 등간격 다수개 방사상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의 마개구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220) 가이드부재(227) 내측면에 돌부(218)를 환설하고, 이와 대응되는 내부캡(210) 토출구커버부(216) 외주면에 상하 이격되는 걸림돌부 (219,219')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의 마개구조.
KR10-2002-0021876A 2001-12-21 2002-04-22 튜브형 용기의 마개 구조 KR100407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718 2001-12-21
KR2020010039718U KR200270753Y1 (ko) 2001-12-21 2001-12-21 튜브형 용기의 마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145A true KR20020034145A (ko) 2002-05-08
KR100407920B1 KR100407920B1 (ko) 2003-12-01

Family

ID=197117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718U KR200270753Y1 (ko) 2001-12-21 2001-12-21 튜브형 용기의 마개 구조
KR10-2002-0021876A KR100407920B1 (ko) 2001-12-21 2002-04-22 튜브형 용기의 마개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718U KR200270753Y1 (ko) 2001-12-21 2001-12-21 튜브형 용기의 마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7075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885B1 (ko) * 2006-03-14 2007-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미백장치 및 치아 미백제 용기
KR101475153B1 (ko) * 2013-07-12 2014-12-22 최종서 화장품 용기용 캡의 구조
KR102500557B1 (ko) * 2022-05-31 2023-02-16 정준원 액상물 포장용기용 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631Y1 (ko) 2008-10-13 2010-12-31 (주)영진팩 이중 구조의 저장용기
KR20150004664U (ko) 2014-06-23 2015-12-31 문현미 화장품용기 뚜껑
KR20180082903A (ko) * 2017-01-11 2018-07-19 박내덕 점성용액 내용물 토출용 용기뚜껑
KR200490155Y1 (ko) 2017-08-30 2019-10-04 주식회사 더말코리아 유연성을 갖는 용기
KR102515975B1 (ko) * 2021-09-07 2023-03-30 박영란 튜브형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310A (ja) * 1994-11-08 1996-05-28 Kao Corp 倒立用キャップ
JP3677757B2 (ja) * 1997-03-18 2005-08-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チューブ容器
KR200161035Y1 (ko) * 1997-09-09 1999-12-01 성재갑 튜브용기의 마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885B1 (ko) * 2006-03-14 2007-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미백장치 및 치아 미백제 용기
KR101475153B1 (ko) * 2013-07-12 2014-12-22 최종서 화장품 용기용 캡의 구조
KR102500557B1 (ko) * 2022-05-31 2023-02-16 정준원 액상물 포장용기용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7920B1 (ko) 2003-12-01
KR200270753Y1 (ko) 200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4620A (en) Frangible plastic closure
US3135441A (en) Spout type container closure
DE60129959T2 (de) Abgabeverschluss mit originalitätsdeckel
US4516691A (en) Pierce turn tap
US4413753A (en) Dispenser for cyanoacrylate adhesives
EP2554488B1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a fitment and method of dispensing materials using said container
CN105531194A (zh) 具有可缩回倾倒口的容器封盖
JP2012514567A (ja) 折り畳み式容器用のダックビル型フリップキャップ取り付け具
JP3768567B2 (ja) 第1部材と第2部材との間に液体の通路を設けるアセンブリ
KR100407920B1 (ko) 튜브형 용기의 마개 구조
US3768698A (en) Pour spout
US2969161A (en) Bung for beer barrels and the like
EP3583065B1 (en) Delivering tap with cam-and-follower-type opening mechanism
JP2014088206A (ja) ノズルキャップ付き容器
US11365112B2 (en) Delivering tap with internal valve with flexible edges and multiple seals
KR200300272Y1 (ko) 마개와 용기본체간 정위치 조정이 용이한 튜브형 용기
DK2408675T3 (en) Pouring nozzle and method of mounting a pouring nozzle on a pin
JP6377977B2 (ja) 紙製容器用の注出装置
JP3124569U (ja) 容器の口栓装置
GB2068884A (en) Dispensing tip
JP2589213Y2 (ja) ノズル兼用中栓付き容器
CN208503601U (zh) 一种螺旋水龙头盖
JPH076140Y2 (ja) 2剤混合容器
JP2018034849A (ja) 安全キャップ
US20210130050A1 (en) Flip-top closure for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