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001A -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 Google Patents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3001A
KR20020033001A KR1020000064093A KR20000064093A KR20020033001A KR 20020033001 A KR20020033001 A KR 20020033001A KR 1020000064093 A KR1020000064093 A KR 1020000064093A KR 20000064093 A KR20000064093 A KR 20000064093A KR 20020033001 A KR20020033001 A KR 20020033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consonant
character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엽
양기호
Original Assignee
황재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엽 filed Critical 황재엽
Priority to KR1020000064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3001A/ko
Publication of KR2002003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00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10개 이하의 문자입력키와, 모니터와, 키입력에 따라 문자입력처리를 하는 프로그램부를 갖는 문자코드발생장치에 있어서, 문자가 중국어음소 단위로 입력되도록 할당되어 있고, 하나의 키에 자음군과 모음군이 이중으로 할당된 문자입력키를 갖고 있으며, 각 음소군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음소를 선택하는 입력규칙은 해당키를 누르면 디폴트입력문자가 입력되고,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디폴트입력문자가 아닌 경우는 상기 디폴트입력문자로부터 배열되어 있는 방향과 같은 쉬프트키를 눌러 선택하도록 되어 있고, 중국어 발음표기상 자음과 모음이 교대로 출현하므로 처음의 키입력은 자음으로 받아들이고 자음의 뒤에 입력되는 키입력은 모음으로 받아들이도록 프로그램되어진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Description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이하 설명에서 중국어의 발음 용어인 성모는 자음으로, 운모는 모음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또한 문자입력키란 입력할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키를 말한다.
디폴트입력문자란 복수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문자입력키가 1회 눌러졌을 때 나타나는 문자를 말한다.
종래에 전화기의 다이얼 키보드와 같은 소형 장치에서 중국어를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중국어를 발음대로 표기하는 라틴어로 된 '한어병음자모'를 표준 영문자판을 이용하여 입력한 후 한자로 변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도 1은 표준 영문자판이다.
표 1은 한어병음자모 및 기존 전화기에서 입력방법이다.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방법으로 中華民國을 입력하는 예를 들면, 그 발음을 한어병음자모인 zhong(中)을 입력한 후 한자로 변환하고, hua(華)를 입력하고 한자로 변환하고, min(民)을 입력한 후 한자로 변환하고, guo(國)을 입력한 후 한자로 변환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 영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버튼에 배열되어 있는 순대로 누르는 횟수에 따라 입력되는 연속누르기 방식이다. 즉, 위의 zhong hua min guo는 9번키 4회(z), 4번키 2회(h), 6번키 3회(o), 같은 버튼상의 문자 구분키 1회(#), 6번키 2회(n), 4번키 1회(g), 4번키 2회(h), 8번키 2회(u), 2번키 1회(a), 6번키 1회(m), 4번키 3회(i), 6번키 2회(n), 4번키 1회(g), 8번키 2회(u), 6번키 3회(o)로 버튼을 총 30회 눌러야 한다.
종래의 방법은 입력타수가 과다하여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표준 영문자판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전화기의 현실에 맞게 간략표기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한어병음자모를, 그 표기도구인 영문자를 문자단위로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발음단위로 입력토록 한 것이 주된 특성으로서, 버튼 별로 배열된 발음은 표 2와 같다.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음의 배치는 모든 문자입력키가 자음군과 모음군이 각각 할당되어 있다. 표에서 각 버튼의 윗줄에 표기된 것은 자음군이고 아랫줄에 표기된 것은 모음군이다.
또한, 문자입력키가 아닌 별표키와 샵키에는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쉬프트 작용을 하는 기능키를 할당하였다.
표 2에서 대문자로 표시된 발음은 해당 버튼이 1회 눌러졌을 때 디폴트로 입력되는 디폴트입력문자이다.
중국어 발음의 특성상 중국어 음절은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 거의 자음으로시작하여 자음과 모음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장치는 먼저 눌러진 문자입력키는 자음입력으로, 뒤이어 눌러지는 문자입력키는 모음입력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6번키를 누르면, 중국어는 대부분 자음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같이 할당된 모음은 입력되지 않고 자음중에서 디폴트입력문자인 m이 입력된다. 그 다음 다시 6번키를 한 번 더 누르면 한어병음자모 규칙상 자음 다음에는 반드시 모음을 입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번에는 6번키가 모음입력키로 받아들여져서 자동으로 모음중의 디폴트입력문자인 o가 입력이 되어지는 것이다. 즉, mo는 6번키를 연이어 2회 눌러 입력할 수 있다. 종래 방법으로는 1회(m), 구분키(#), 3회(o) 총 5회의 버튼을 눌러야 한다.
다음, 쉬프트키가 작동하는 것을 0번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현재 자음입력 순서라 가정하고 디폴트입력문자는 sh이므로 0번키를 한 번 누르면 sh가 입력된다. 여기서 만약 zh를 입력하고자 의도한다고 하면, zh가 현재 입력된 sh의 우측에 배열된 발음이므로 우측방향의 쉬프트키인 샵키를 한 번 눌러서 sh를 zh로 쉬프트시키며, 반대로 sh가 입력된 상태에서 반대방향의 쉬프트키인 별표키를 누르면 sh는 ch로 쉬프트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의 zhong hua min guo(中華民國)를 입력하면, 0번키 1회와 우쉬프트 1회(zh), 6번키 1회와 우쉬프트 1회(ong), 4번키 1회와 우쉬프트 1회(h), 6번키 1회(m), 7번키 1회(in), 4번키 1회(g), 8번키 1회와 우쉬프트 3회(uo)를 차례로 누르면 된다. 즉, 총 15회의 키입력으로 가능한 것이다. 이는 종래보다 입력 타수를 무려 50%나 줄인 것이다.
다음은 모음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입력하는 방법을 1번키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중국어에서 모음만으로 이루어진 음절은 매우 드물지만 愛(ai), 安(an) 등과 같은 것들이 쓰이고 있다. 본 발명은 음절의 시작을 입력하는 버튼은 항상 자음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음절의 시작단계에서 누르는 1번키는 자동으로 q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각 버튼의 마지막 자음 다음에는 함께 배열된 모음이 인접하도록 되어 있어서 q에서 우쉬프트키를 연속하여 누르면 차례로 z을 거쳐 an, ang이 출현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wo ai ni(I love you)를 입력하려면, 9번키 1회와 좌쉬프트 1회(w), 6번키 1회(o), 2번키 1회와 우쉬프트 2회(ai), 6번키 1회와 우쉬프트 1회(n), 4번키 1회(i)를 차례로 누르면 된다.
또한, 兒(er), ニ(er)에 쓰이는 er은 모음이면서 항상 자음과 결합하지 않고 단독으로 쓰이는 특이한 음이므로, 자음입력순서에서 입력되도록 자음군에 배열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표준 영문자판을 충실히 따르고 있어 사람들에게 익숙하고 영문자판과 중국어 자판을 따로 표기하는 불편이 없다.
단모음이면서 영문자를 이용한 표기로는 복수의 문자가 필요한 an, ang, en, eng, in, ing, un 등의 끝에 비음운모 즉, -n이나 -ng를 포함하는 모음과, 역시 -n이나 -ng로 끝나는 다른 복모음 들을 같은 성질끼리 군으로 묶어 표준영문자판이 모음을 포함하지 않는 버튼(1, 5, 7, 9, 0번)에 적절히 할당하여 본 발명의 특징인 자모 교대출현규칙을 최대한 활용하였다.
영문자판에는 없으면서도 파생복모음이 꽤 있는 움라우트가 있는 u도 그 모음이 이끄는 모음들을 군으로 묶어 역시 같은 방법으로 적절히 할당하였다.
자음 중에서는 ch, sh, zh와 같은 2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권설음을 따로 묶어 역시 자음이 배열되지 않은 0번버튼에 할당하였다.
이렇게 할당함으로써 다음의 할당규칙이 지켜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표준영문자판에 있는 자음은 해당 버튼에 그대로 할당되어 있다.
둘째, 표준영문자판에 없는 자음(ch, sh, zh)은 자음이 없는 0번키에 배열되어 있다.
셋째, 비음운모가 없는 모음은 그 시작하는 글자가 표준 영문자판상에 할당된 버튼에 배열되어 있다.
넷째, 비음운모가 붙은 모음은 표준영문자판에서 모음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키에 배열되어 있다.
다섯째, 같은 군에서는 두 개의 음소로 이루어진 군은 좌측 음소, 세 개 이상의 음소로 이루어진 군은 중앙의 음소가 디폴트입력문자가 된다.
도 2는 본 발명을 전화기의 현실에 맞게 간략표기한 예시도이다.
자판에 표기된 방식을 설명하면, 대문자 표시는 디폴트입력문자의 표시이다. 모음표기에서 n이 붙어 있는 것은 비음운모가 있는 음소군임을 나타낸다. 또한 대쉬(-)는 대쉬가 있는 방향으로 다른 음소가 더 배열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1번 버튼의 AN-이라는 표시는, 자음이 입력되고 나서 연이어 1번 버튼을 누르면 an이 자동으로 입력되고 그 상태에서 우측쉬프트키를 누르면 ang가 입력됨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2번 버튼의 i-A-라는 표시는 모음모드에서 a가 디폴트로 입력되고 좌측쉬프트키를 누르면 i가 붙는 복모음이 나오고 반대편으로는 i가 아닌 다른 모음이 붙는 복모음이 더 배열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즉, a로 시작되는 비음운모가 없는 복모음은 ai와 ao인데, ai는 a의 좌측, ao는 a의 우측에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lao를 입력하는 과정을, 입력하고자 하는 사람의 반응과 함께 설명하면, 먼저 l은 6번키에 있으므로 6번키를 누르면 본 장치는 처음 입력이므로 자동으로 자음입력으로 받아들여 자음군에서 디폴트입력문자인 k를 모니터에 표시한다. 입력하는 사람은 l이 k의 우측에 있으므로 우측쉬프트를 누르고 본 장치는 그에 따라 모니터에 k를 지우고 l을 표시한다. 그 다음 ao는 비음이 없고 a로 시작하므로 2번 키를 누르면, 본 장치는 자음이 입력된 후에 2번 키가 눌러졌으므로 자동으로 모음입력으로 받아들여서 화면에 2번키의 디폴트모음문자인 a를 표시한다. 입력하고자 하는 사람은 ao가 a에 i가 이어지는 모음이 아니므로 i-표시가 있는 반대 방향의 우측쉬프트키를 누르게 된다. 그리고 그에 따라 본 장치는 모니터의 a를 지우고 ao를 표시하게 되어 lao를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표 3은 중국어 음소별로 필요한 입력타수를 종래의 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비교한 것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종래방법에 따른 중국어 발음의 총입력타수는 235타였는데, 표 3에서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장치로는 109타밖에 소요되지 않아 종래의 방법보다 54%나 단축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장치의 입력타수(총 109타)는 놀랍게도 전체 문자의 수(108개)와 거의 같은데 이는 컴퓨터키보드의 입력타수와 같을 정도로 뛰어난 효율을 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려면 각 키에 할당된 음소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적절히 표기된 키버튼과, 입력과정을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문자입력과정을수행하는 프로그램과 기억장치가 필요함은 자명하다.
도 3은 본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S10에서 키입력이 일어나면 S20에서 상기 키입력이 일어난 키가 문자입력키인지 쉬프트키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문자입력키라면 현재의 자모음모드를 판단하는 S30으로 진행하고, 만약 쉬프트키라면 현재 입력키의 직전에 입력된 문자의 다음 문자로 갱신하는 S35로 진행한다. S35는 입력된 문자의 다음 문자로 갱신한 다음 S50으로 진행한다. S30에서 자음모드로 판단되면 눌린 키의 디폴트자음을 입력처리하는 S40으로 진행하고, 모음모드로 판단되면 눌린 키의 디폴트모음을 입력처리하는 S45로 진행한다. 또한 S30에는 새로운 문자의 시작시점에서는 항상 자음모드라고 미리 세팅되어 있다. S40과 S45는 각각 S50으로 진행하여 현재 입력된 문자가 자음이면 모음모드로, 모음이면 자음모드로 전환한다. S50은 문자입력이 계속되면 다시 S10으로 진행한다.
이하에서는 새로운 문자입력이 시작된 시점에서 '87*'의 순으로 키입력이 일어났을 때 본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10에서 8이 눌리면 S20에서는 문자입력키라고 판단되므로 S30으로 진행시킨다. 새로운 문자입력의 시작이므로 S30은 입력된 키를 자음으로 판단하여 S40으로 진행시킨다. S40은 8번키의 자음디폴트입력문자인 t를 입력처리하고 S50으로 진행시킨다. S50은 현재의 입력모드를 바꾸어 모음입력모드로 전환시킨다. 다시 S10에서 7이 눌리면 S20에서는 문자입력키라고 판단되므로 S30으로 진행시킨다. S30은현재 모음입력모드이므로 S45로 진행시킨다. S45는 7번키의 모음디폴트입력문자인 in을 입력처리하고 S50으로 진행시킨다. S50은 현재의 입력모드를 바꾸어 자음입력모드로 전환시킨다. 다시 S10에서 *이 눌리면 S20에서는 좌측쉬프트키라고 판단되므로 S35로 진행시킨다. S35는 직전에 입력된 문자인 in을 지우고 in의 좌측문자인 ian을 입력처리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87*'의 키입력은 'tian(天의 한어병음자모 표기)'이라고 입력처리가 되는 것이다.
표 4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표 4의 실시예는 q와 z을 국제표준에 맞추어 각각 7번키와 9번키에 배열하고, ch와 sh와 zh는 각각 c와 s와 z이 있는 키의 가장 좌측에 배열하고, 비음운모 즉, -n과 -ng를 분리하여 독립된 키의 자음위치에 할당한 점이 특징이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표 2의 실시예에서는 모음키를 찾을 때 비음운모의 유무를 항상 판단해야 했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일단 비음운모를 제외한 모음을 입력한 다음 비음운모를 덧붙이면 되는 것이다. 또한 비음운모는 모음의 일부이기 때문에 모음 다음에 오게 되므로 자음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자음입력모드에서 비음운모키가 눌리면 모음의 일부이지만 비음운모의 디폴트입력문자인 -n이 입력된다. 이 실시예에 따라 shang을 입력하려면, '7**20#'을 차례로 입력하면 된다.
표 5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표 5의 실시예가 갖는 음소할당 규칙은 첫째, 음소단위로서 표준영문자판에 온전하게 마련되어 있는 음소들은 모두 표준자판의 배열을 그대로 따라 배열하고, 둘째, 표준영문자판에 2개의 키 이상을 눌러야 되는 음소 중에서 모음은 비음운모를 분리한 부분이 각각 그 시작하는 음소가 있는 버튼에 함께 할당하고, 셋째, ch,sh, zh의 자음과 비음운모 즉, -n과 -ng, 그리고 표준영문자판에는 없는 움라우트가 있는 u와 그 음소로 시작하는 음소들을 표준영문자판에서 영문이 배열되지 않은 1번키와 0번키에 적절히 나누어 배열하였다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표 4의 실시예의 장점을 그대로 갖으면서 표4의 실시예보다 입력타수가 조금은 줄어든다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따라 shang을 입력하려면, '020#'을 차례로 입력하면 되어 표 4의 실시예보다 2타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타수 단축효과와, 또한 iao, iang 등과 같이 하나의 음소를 입력하기 위해 여러 문자를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입력하던 것을 하나의 버튼에서 단순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와, 입력속도를 빠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소형키보드와, 모니터와, 키입력에 따라 문자입력처리를 하는 프로그램부를 갖는 문자코드발생장치에 있어서,
    문자가 중국어의 음소단위로 할당되고, 하나의 키에 자음군과 모음군이 이중으로 할당된 문자입력키 수단과,
    상기 문자입력키가 아닌 다른 키에 할당된 쉬프트키 수단과,
    중국어 음소단위의 문자코드테이블수단과,
    상기 문자입력키별로 자음의 디폴트입력문자코드 및 모음의 디폴트입력문자코드가 정의된 디폴트문자코드테이블수단과,
    상기 문자입력키 및 쉬프트키가 눌러졌을 때, 킷값을 발생시키는 킷값발생수단과,
    상기 킷값이 발생했을 때 현재의 모드가 자음입력모드인지 모음입력모드인지 판단하는 모드판단수단과,
    상기 킷값이 문자키값일 때는 상기 모드판단수단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디폴트문자코드테이블수단을 참조하여, 자음입력모드일 때는 자음의 디폴트입력문자코드를 발생하고, 모음입력모드일 때는 모음의 디폴트입력문자코드를 발생하고,
    상기 킷값이 쉬프트키값일 때는 직전에 입력된 문자코드로부터 상기 쉬프트키의 방향에 할당된 인접코드를 발생하는 음소코드발생수단을 포함하는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자음군의 배치는 (b, c), (d, f), (g, h), (j, k, l), (m, n), (p, r, s), (t), (w, x, y)가 각각 2번키, 3번키, 4번키, 5번키, 6번키, 7번키, 8번키, 9번키에 할당되고, 모음군의 배치는 (a, ai, ao), (e, ei), (i, ia, iao, ie, iu), (o, ou), (u, ua, ue, ui, uo)가 각각 2번키, 3번키, 4번키, 6번키, 8번키에 할당된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3.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비음운모가 포함된 음소는 그 시작하는 문자별로 분류되어 표준영문자판에 모음이 없는 키에 적절히 나누어 할당한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4.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비음운모는 1번키나 0번키의 자음위치에 따로 할당된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5.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ch, sh, zh)는 1번키나 0번키의 자음위치에 따로 할당된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6.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움라우트가 있는 모음들은 1번키나 0번키의 모음위치에 따로 할당된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7.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키 버튼에 자음군과 모음군을 적절히 분리하여 마킹하고, 디폴트입력음소는 다른 음소와 구분이 될 수 있도록 적절한 표시를 한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KR1020000064093A 2000-10-25 2000-10-25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KR20020033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093A KR20020033001A (ko) 2000-10-25 2000-10-25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093A KR20020033001A (ko) 2000-10-25 2000-10-25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001A true KR20020033001A (ko) 2002-05-04

Family

ID=1969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093A KR20020033001A (ko) 2000-10-25 2000-10-25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300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7660A (ja) * 1995-04-25 1996-11-12 Sophia Syst:Kk 中国語漢字の入力装置
JPH11175240A (ja) * 1997-12-17 1999-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機での漢字入力方法と漢字入力機能付き電話機
JPH11327766A (ja) * 1998-03-03 1999-11-3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数値キ―ボ―ドを有する電子装置及びそのキ―入力方法
KR20000010379A (ko) * 1998-07-31 2000-02-15 강병호 통신단말기용 문자입력장치
JP2000049923A (ja) * 1998-07-31 2000-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機のための漢字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7660A (ja) * 1995-04-25 1996-11-12 Sophia Syst:Kk 中国語漢字の入力装置
JPH11175240A (ja) * 1997-12-17 1999-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機での漢字入力方法と漢字入力機能付き電話機
JPH11327766A (ja) * 1998-03-03 1999-11-3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数値キ―ボ―ドを有する電子装置及びそのキ―入力方法
KR20000010379A (ko) * 1998-07-31 2000-02-15 강병호 통신단말기용 문자입력장치
JP2000049923A (ja) * 1998-07-31 2000-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機のための漢字入力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549B1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JP2002290510A (ja) 特殊文字を用いて情報を携帯装置に入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242210B1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216840B1 (ko)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KR20020033001A (ko) 중국어 입력용 소형 키보드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0154150B1 (ko) 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열 입력방법
KR1004868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10045120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JPS63278114A (ja) 相対母音法日本語入力方式
KR200217167Y1 (ko) 컴퓨터 키보드상에서 연속 2타법을 이용한 상단 문자의 효율적인 입력장치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371869B1 (ko)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30097823A (ko) 형태에 기반한 텍스트 입력 시스템
KR20030089190A (ko)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KR100392353B1 (ko)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KR20020035698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문자입력 키패드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JP3109642U (ja) 携帯韓国語入力装置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KR20070000648U (ko)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KR100852020B1 (ko) 문자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