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2220A -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32220A KR20020032220A KR1020000063262A KR20000063262A KR20020032220A KR 20020032220 A KR20020032220 A KR 20020032220A KR 1020000063262 A KR1020000063262 A KR 1020000063262A KR 20000063262 A KR20000063262 A KR 20000063262A KR 20020032220 A KR20020032220 A KR 200200322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rbitan
- emulsifier
- acid
- oil
- pentaerythrito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32—Liquid carbonaceous fuels consisting of coal-oil suspensions or aqueous emulsions or oil emulsions
- C10L1/328—Oil emulsions containing water or any other hydrophilic phas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30/0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 C10L2230/22—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for improving fuel economy or fuel efficiency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50/00—Structural features of fuel components or fuel compositions, either in solid, liquid or gaseous state
- C10L2250/08—Emulsion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질유와 물 및 유화제로 구성된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중질유 80 내지 95 부피%와 물 20 내지 5 부피%의 배합에, HLB값이 2 내지 11인 유화제를 중질유 100중량부 기준으로 0.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고, 상기 중질유와 물 및 유화제로부터 형성된 에멀젼의 크기가 1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을 연료로 사용하게 되면 중질유의 연소효율이 높아지고 오염물질의 발생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원유로부터 고급오일을 생산하고 남는 폐유(廢油)인 벙커C유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므로 연료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지구 환경 보전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질유와 물 및 유화제로 구성된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한 물성을 구비한 일정량의 유화제로 중질유와 물을 유화시켜 미세한 에멀젼을 형성하게 되면 연소시 우수한 연소효율을 얻을 수 있고 오염물질의 발생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연료는 역시 액체연료이다. 기름은 원유(crude oil)에서 출발하여 이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등급으로 나누어 지게 되며 그 최종으로 남는 것은 벙커오일(중유)이다. 벙커오일은 함유된 경유의 함량과 점도에 따라 A, B, C의 세가지로 나누어진다. 이들 벙커오일은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산업용 연료유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정된 지구의 환경하에서 벙커오일의 사용은 환영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벙커 오일의 연소시 발생하는 환경오염물질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으로 매연과 질소 산화물, 황산화물을 들 수 있다. 특히 매연은 전기 집진기와 같은 각종 후처리 장치를 추가하여 방지하도록 되어 있어 기업체들에게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개발된 방법으로는 더 이상 오염물질의 발생을 줄일 수 없어 벙커오일의사용 자체를 지양하고, 대신 오염물질의 배출이 적은 액화 천연가스(LNG)의 사용을 권장하는 상황에 있다.
액화천연가스의 사용은 기업체에게 적어도 1.5배 이상의 연료비 상승을 초래하므로 1차적으로는 생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며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 생산품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 할 수 있으나 환경오염방지라는 근본취지를 만족시키기 위해 부득이하게 전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세계 각국에서 오랫동안 벙커오일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는 가격적인 면에서 벙커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벙커오일 역시 고급오일을 생산하고 남는 폐유(廢油)라는 측면에서 어떠한 형태로라도 반드시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선진국에서는 벙커오일의 사용량이 매우 적으며, 개발도상국 및 후진국에서는 주된 산업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지구의 환경을 보전하자는 차원에서 벙커오일의 사용으로 인한 대기오염물질의 발생을 줄이는 연구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벙커오일을 연료유로 사용하고 연소시 대기오염 물질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서, 연료유와 물의 혼합물을 특정 물성의 유화제로 유화시켜 연료의 연소효율 향상 및 대기오염물질의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유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유화제란 물과 기름과 같이 서로 잘 섞이지 않는 물질을 서로 잘 섞일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 물질로서 분자 구조상으로는 친수성 관능기와 친유성 관능기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유화제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각 물질이 가진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이 있다. 이 값이 낮을수록 오일에 가까운 특성이 많으며 높을수록 물에 가까운 특성이 많다. 예를 들어, 연료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벙커오일인 벙커C유 고유 HLB는 7이나 연소의 효과적인 W/O형(기름속의 물입자)에멀젼으로 조성하려면 벙커C유의 HLB값이 4이라야 한다. HLB값이 10이상이 되면 물과 쉽게 섞이는 특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질유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고 대기오염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은,
중질유 80 내지 95 부피%와 물 20 내지 5 부피%의 배합에, HLB값이 2 내지 11인 유화제를 중질유 100중량부 기준으로 0.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고, 상기 중질유와 물 및 유화제로부터 형성된 에멀젼의 크기가 1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연소시 분사되는 오일 입자를 에멀젼의 형태로 만들고 그 크기를 상기와 같이 매우 작게 함으로써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데, 미세한 에멀젼 내부의 물이 오일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급속히 가열되어 미세폭발(Microexplosion)을 일으키고, 미연소의 오일을 더욱 더 작은 크기로 분산시킴으로써, 공기와의 접촉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오일의 전체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원리로 한다. 이러한 미세폭발 이론(Microexplosion)은 러시아의 이바노프(Ivanov) 박사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서, 극소의 물입자의 미폭으로 인해 물의 일부가 수소기 및 수산기로 분해되고, 그로 인한 라디칼 연쇄반응(Radical Chain Reaction)에 의해 궁극적으로 연료의 연소효율이 최대로 된다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중질유는 원유의 분별증류 또는 개질 과정 등에서 얻어진 중질 유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벙커오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벙커C유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의 유화제로는 (a)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또는 당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b) 이들 에스테르 화합물과 폴리옥시에틸렌의 축합물, 또는 (c) 이들 에스테르 화합물과 축합물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이들 화합물(a)이나 축합물(b) 또는 그것의 혼합물(c)은 적어도 HLB값이 2 내지 11를 가져야 한다. HLB값은 각각의 화합물 또는 축합물들 고유의 HBL값을 감안하여 이들을 적당히 혼합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상기 (a)에서 고급 지방산은 탄소수 10 내지 22개의 지방산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라우르산(Lauric acid: 탄소수 12개),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탄소수 14개), 팔미트산(Palmitic acid: 탄소수 16개), 스테아르산(Stearic acid: 탄소수 18개), 이소스테아르산(Iso-stearic acid), 올레산(Oleic acid: 탄소수 18개), 리놀레산(Linoleic acid: 탄소수 18개), 베헨산(Behenic acid: 탄소수 22개), 리놀렌산(Linoleic acid: 탄소수 18개), 팔미토올레인산(Palmitoleic acid: 탄소수 16개) 등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a)에서 고급 알코올 또는 당알코올로는 글리세린(Glycelin), 글리콜(Glycol), 펜타에리스리톨(Pentaerythritol), 솔비탄(Sorbitan), 만니탄(Mannitan), 리비톨(Ribitol)등이 있고, 경우에 따라서 혼합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a)에서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또는 당알코올)의 축합반응에 의해 생성된 에스테르 화합물로는 각각의 지방산과 고급알코올(또는 당알코올)의 모든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 중, 당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솔비탄 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oleate), 솔비탄 디올레이트(Sorbitan dioleate), 솔비탄 트리올레이트(Sorbitan trioleate), 솔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Sorbitan tristearate),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Sorbitan monopalmitate),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만니탄 모노올레이트(Mannitan monooleate), 만니탄 디올레이트(Mannitan dioleate), 만니탄 트리올레이트(Mannitan trioleate), 만니탄 트리스테아레이트(Mannitan tristearate), 만니탄 모노스테아레이트(Mannitan monostearate), 만니탄 모노팔미테이트(Mannitan monopalmitate), 만니탄 모노라우레이트(Mannitan monolaurate), 펜타에리트리톨-모노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ol-monostearate), 펜타에리트리톨-모노카프레이트(Pentaerythritol-monocaprate), 펜타에리트리톨-소이빈 지방산 에스테르(Pentaerythritol-soyabean fatty acid ester), 펜타에리트리톨-모노라우레이트(Pentaerythritol-monolaurate), 펜타에리트리톨-모노올레이트(Pentaerythritol-monooleate), 펜타에리트리톨-모노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ol-monostearate), 펜타에리트리톨-모노카프레이트(Pentaerythritol-monocaprate), 펜타에리트리톨 모노라우레이트(Pentaerythritol-monolaurate), 폴리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Polyglycol-fatty acid ester), 디글리콜-라우레이트(Diglycol-laurate), 디글리콜-올레이트(Diglycol-oleate), 디글리콜-스테아레이트(Diglycol-stearate), 디에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Diethylene-glycollaurate),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Propylene-glycolmonolaurate), 프로필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Propylene-glycol monooleate),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Propylene-glycolmonostearate),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ol-Monostearate), 글리세롤-모노올레이트(Glycerol-Monooleate),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ol-Monostearate) 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축합물(b)은 상기 고급 지방산/고급 알코올(또는 당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과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과의 축합물이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은 HO-(CH2CH20)n-H로서 n이 5 내지 30이다.
앞서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유화제에는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과 폴리옥시에틸렌 축합물의 혼합물(c)도 포함되고, 그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예로는 솔비탄 트리올레이트(Sorbitan triolate)/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트리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trioleate),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만니탄 모노올레이트(Manitan monooleate)/폴리에틸렌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솔비탄 트리올레이트(Sorbitan trioleate)/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등이 있다. 이들은 HLB값을 맞추는데 특히 적합한 유화제들이다.
유화제의 HLB값은 앞서의 설명과 같이 2 내지 11이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이다. HLB값이 2 이하이거나 11 이상이면 에멀젼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어 연소효율의 향상이 어렵다.
중질유와 물의 배합비는, 앞서의 설명과 같이, 중질유 80 내지 95 부피%와 물 20 내지 5 부피%이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질유 85 내지 90 부피%와 물 15 내지 10 부피%이다. 중질유의 배합량이 80 부피% 이하(역으로, 물의 배합량이 20 부피% 이상)이면 연소 자체가 어려울 수 있고, 반대로 중질유의 배합량이 95 부피% 이상(역으로, 물의 배합량이 5 부피% 이하)이면 적절한 에멀젼을 형성할 수 없어 연소효율의 향상이 어렵다.
유화제가 중질유에 첨가되어 물과의 에멀젼을 형성함으로써 연소효율을 높이지만, 본 발명자들의 연구결과, 연소효율의 증가는 유화에 의해 생성된 에멀젼의 입자크기에 매우 큰 의존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연료유에서의 에멀젼의 크기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 내지 80㎛일 때 중질유의 연소효율이 높아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일 때 매우 높은 연소효율이 얻어진다. 에멀젼의 크기가 1㎛ 이하이거나 80㎛이상이면 연소효율의 향상이 미미해진다.
유화제의 첨가량은 앞서의 설명과 같이 중질유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1.5 중량부이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 중량부이다. 유화제의 첨가량이 0.01 중량부 이하이면 중질유와 물의 에멀젼이 형성되기 어렵고, 유화제의 첨가량이 1.5 중량부 이상이면 유화제 가격이 높아 에멀젼 연료유의 원가가 올라가게 되므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렵다.
유화제를 첨가하여 생성된 에멀젼은 유화방법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물에 소량의 유화제를 첨가하여 생성된 에멀젼은 "물속의 오일"(Oil in Water: O/W)의 형태가 되며, 기름에 소량의 유화제를 첨가하여 생성된 에멀젼은 "오일속의 물"(Water in Oil: W/O)의 형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의 하나의 제조예로는 유화제를 먼저 물과 유화시켜 O/W의 에멀젼을 만들고 이를 다시 중질유와 혼합하여 O/W/O 형태의 에멀젼을 생성한다. 이는 사용하는 유화제의 HLB값을 조절할 경우 W/O/W형태의 에멀젼이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에멀젼의 형태는 사용하는 유화제의 종류와 그 양에 따라 달라지므로, 본 설명에 의하여 유화된 에멀젼의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멀젼의 생성을 위한 설비("유화기")로는 일반적인 회분식 유화기, 연속식 유화기 등이 모두 사용가능하며 에멀젼의 형태 및 성상은 유화기의 종류에 의존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회분식 유화기의 경우 2000 내지 4000rpm으로 0.5 내지 5분 동안 유화시켜 상기 입자크기의 에멀젼을 생성할 수 있다. 연속식 유화기의 경우에는바람직하게는 인-라인 믹서(In-line mixer)를 사용하며 2000 내지 4000rpm으로 5 내지 20초 동안 유화시켜 상기 입자크기의 에멀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유화 오일(Emulsion oil)은 10℃의 저온에서도 6개월 이상 다시 층분리가 되지 않을 정도로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에는 연료로서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하여 기타 공지된 화합물 등이 더 첨가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에멀젼 연료유를 연속식으로 보일러에 투입하거나 회분식으로 생성 후 저장조에 보관하면서 보일러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연소시킨 결과, 연소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물의 증발량을 기준으로 하여 연소효율을 확인한 결과, 동일한 량의 벙커C유에 대해 5 내지 15%에서 연소효율이 증가하였다. 이는 동일한 벙커C유를 사용하여 증발시킬 수 있는 물의 양이 5 내지 15%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에멀젼 연료유의 연소시 배출되는 매연과 오염 물질의 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벙커C유를 기준으로 할 때, 배출되는 매연의 양은 적게는 80%에서 많게는 95%까지 감소하였고, 오염 물질인 질소산화물은 5 내지 25% 감소하였으며, 황 산화물은 10 내지 30%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중질유의 사용으로 인한 대기오염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도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물 15ℓ와 솔비탄 모노올레이트와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의 축합물을 섞어 HLB 값을 4로 한 유화제 10g을 섞어 유화시킨 후, 이를 85ℓ의 벙커C유와 연속식 유화기로 3600rpm에서 체류시간을 15초로 하여 유화시켰다. 생성된 에멀젼의 입자크기는 30㎛였으며, 이를 10톤 크기의 보일러에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물의 증발량을 기준으로 14.9%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배기가스 중 매연의 양은 87% 줄었으며 질소 화합물의 양은 17%, 황 화합물의 양은 19%가 줄어들었다.
(실시예 2)
유화제로서 솔비탄 모노올레이트와 솔비탄 트리올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의 축합물을 섞어 HLB값을 6으로 맞춘 후 20g을 물 15ℓ와 섞어 유화시킨 후, 이를 85ℓ의 벙커C와 연속식 유화기로 유화시키면서 10톤의 보일러에 투입하면서 물의 증발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에멀젼의 입자크기는 30㎛이었고, 물의 증발량을 기준으로 13.5%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배기가스 중 매연의 양은 89% 줄었으며, 질소 화합물의 양은 11%, 황 화합물의 양은 15%가 줄어들었다.
(실시예 3)
물 10ℓ와 만니탄 모노올레이트와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의 축합물을 섞어 HLB값을 10으로 맞춘 10g을 섞어 유화시킨 후, 90ℓ의 벙커C유와 연속식 유화기로 유화하면서 보일러에 공급하였다. 생성된 에멀젼의 입자의 크기는 20㎛였고, 연소효율은 13.2%가 증가하였으며, 매연의 양은 81%가 줄어들었고, 질소산화물의 양은 13%, 황 화합물의 양은 11% 각각 줄어들었다.
(실시예 4)
유화제로서 글리콜리놀레이트와 솔비탄 디올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의 축합물을 섞어 HLB값을 8로 맞추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에멀젼 입자 크기는 15㎛이었고, 연소효율은 17.3%가 증가하였으며, 매연은 88%, 질소 산화물은 14%, 황 산화물은 12% 각각 줄어들었다.
(실시예 5)
물의 양을 5ℓ로 하고 벙커C유의 양을 95ℓ로 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연소효율은 1.8%가 증가하였고, 매연의 양은 12%가 감소하였다. 반면에, 질소 산화물 및 황 산화물의 양은 줄지 않았다.
(실시예 6)
유화제로서 솔비탄 모노올레이트와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의 축합물을 섞어 HLB값을 6으로 맞추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연소효율은 14.1%가 증가하였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설명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을 연료로 사용하게 되면 중질유의 연소효율을 높이고 오염물질의 발생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원유로부터 고급오일을 생산하고 남는 폐유(廢油)인 벙커C유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므로 연료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지구 환경의 보존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8)
- 중질유 80 내지 95 부피%와 물 20 내지 5 부피%의 배합에, HLB값이 2 내지 11인 유화제를 중질유 100중량부 기준으로 0.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고, 상기 중질유와 물 및 유화제로부터 형성된 에멀젼의 크기가 1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질유가 벙커C유이고, 상기 유화제가 (a)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또는 당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b) 이들 에스테르 화합물과 폴리옥시에틸렌의 축합물, 또는 (c) 이들 에스테르 화합물과 축합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a)에서 고급 지방산은 탄소수 10 내지 22개의 지방산으로서, 라우르산(Lauric acid: 탄소수 12개),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탄소수 14개), 팔미트산(Palmitic acid: 탄소수 16개), 스테아르산(Stearic acid: 탄소수 18개), 이소스테아르산(Iso-stearic acid), 올레산(Oleic acid: 탄소수 18개), 리놀레산(Linoleic acid: 탄소수 18개), 베헨산(Behenic acid: 탄소수 22개), 리놀렌산(Linoleic acid: 탄소수 18개), 팔미토올레인산(Palmitoleic acid: 탄소수 16개) 등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상기 (a)에서 고급 알코올 또는 당알코올로는 글리세린(Glycelin), 글리콜(Glycol), 펜타에리스리톨(Pentaerythritol), 솔비탄(Sorbitan), 만니탄(Mannitan), 리비톨(Ribitol) 등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상기 (a)에서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또는 당알코올)의 축합반응에 의해 생성된 에스테르 화합물은 솔비탄 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oleate), 솔비탄 디올레이트(Sorbitan dioleate), 솔비탄 트리올레이트(Sorbitan trioleate), 솔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Sorbitan tristearate),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Sorbitan monopalmitate),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만니탄 모노올레이트(Mannitan monooleate), 만니탄 디올레이트(Mannitan dioleate), 만니탄 트리올레이트(Mannitan trioleate), 만니탄 트리스테아레이트(Mannitan tristearate), 만니탄 모노스테아레이트(Mannitan monostearate), 만니탄 모노팔미테이트(Mannitan monopalmitate), 만니탄 모노라우레이트(Mannitan monolaurate), 펜타에리트리톨-모노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ol-monostearate), 펜타에리트리톨-모노카프레이트(Pentaerythritol-monocaprate), 펜타에리트리톨-소이빈 지방산 에스테르(Pentaerythritol-soyabean fatty acid ester), 펜타에리트리톨-모노라우레이트(Pentaerythritol-monolaurate), 펜타에리트리톨-모노올레이트(Pentaerythritol-monooleate), 펜타에리트리톨-모노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ol-monostearate),펜타에리트리톨-모노카프레이트(Pentaerythritol-monocaprate), 펜타에리트리톨 모노라우레이트(Pentaerythritol-monolaurate), 폴리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Polyglycol-fatty acid ester), 디글리콜-라우레이트(Diglycol-laurate), 디글리콜-올레이트(Diglycol-oleate), 디글리콜-스테아레이트(Diglycol-stearate), 디에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Diethylene-glycollaurate),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Propylene-glycolmonolaurate), 프로필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Propylene-glycol monooleate),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Propylene-glycolmonostearate),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ol-Monostearate), 글리세롤-모노올레이트(Glycerol-Monooleate),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ol-Monostearate) 등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상기 축합물(b)에서 폴리옥시에틸렌은 HO-(CH2CH20)n-H로서 n이 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솔비탄 트리올레이트(Sorbitan trioleate)/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트리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trioleate),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만니탄 모노올레이트(Manitan monooleate)/폴리에틸렌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솔비탄 트리올레이트(Sorbitan trioleate)/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 조성물의 HLB값이 4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중질유와 물의 배합비가 중질유 80 내지 90 부피%와 물 20 내지 10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의 크기가 5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의 첨가량이 중질유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5 내지 0.2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3262A KR20020032220A (ko) | 2000-10-26 | 2000-10-26 |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3262A KR20020032220A (ko) | 2000-10-26 | 2000-10-26 |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2220A true KR20020032220A (ko) | 2002-05-03 |
Family
ID=1969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63262A KR20020032220A (ko) | 2000-10-26 | 2000-10-26 |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3222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7889A (ko) * | 2001-08-25 | 2003-03-04 | 이엔이테크(주) | 에멀젼 연료유의 제조방법 |
KR100482203B1 (ko) * | 2002-11-01 | 2005-04-14 | 범우화학공업 주식회사 | 압연유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46071A (ja) * | 1993-06-03 | 1994-12-20 | Kao Corp | エマルジョン燃料 |
KR950001407A (ko) * | 1993-06-03 | 1995-01-03 | 김주용 | 반도체 소자의 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 |
KR960013612A (ko) * | 1994-10-11 | 1996-05-22 | 남일 | 시트 고무의 디핑 및 건조장치 |
KR19990064753A (ko) * | 1999-05-06 | 1999-08-05 | 강전봉 | 경유 또는 중유를 이용한 유화유연료(에멀션연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KR19990085956A (ko) * | 1998-05-23 | 1999-12-15 | 문상영 | 벙커-씨유를 원료로 하는 정제연료유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
-
2000
- 2000-10-26 KR KR1020000063262A patent/KR2002003222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46071A (ja) * | 1993-06-03 | 1994-12-20 | Kao Corp | エマルジョン燃料 |
KR950001407A (ko) * | 1993-06-03 | 1995-01-03 | 김주용 | 반도체 소자의 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 |
KR960013612A (ko) * | 1994-10-11 | 1996-05-22 | 남일 | 시트 고무의 디핑 및 건조장치 |
KR19990085956A (ko) * | 1998-05-23 | 1999-12-15 | 문상영 | 벙커-씨유를 원료로 하는 정제연료유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
KR19990064753A (ko) * | 1999-05-06 | 1999-08-05 | 강전봉 | 경유 또는 중유를 이용한 유화유연료(에멀션연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7889A (ko) * | 2001-08-25 | 2003-03-04 | 이엔이테크(주) | 에멀젼 연료유의 제조방법 |
KR100482203B1 (ko) * | 2002-11-01 | 2005-04-14 | 범우화학공업 주식회사 | 압연유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47395B2 (en) | Surfactant package and water in hydrocarbon emulsion using same | |
US5004479A (en) | Methanol as cosurfactant for microemulsions | |
US20080060258A1 (en) | Water in hydrocarbon emulsion useful as low emission fuel and method for forming same | |
US6827841B2 (en) | Low viscosity, high carbon yield pitch product | |
US4199326A (en) | Emulsified fuel composition and surfactant useful therein | |
CN1128857C (zh) | 柴油机用粘稠烃包水乳液燃油以及制法 | |
JP7555947B2 (ja) | 乳化剤およびエマルジョン | |
JP4870905B2 (ja) | ディーゼル燃料エマルジョン | |
US5160506A (en) | Liquid fuel mixture,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is use for two-stroke engines | |
OA13176A (en) | Water/hydrocarbon emulsified fuel preparation and use thereof. | |
KR20020032220A (ko) |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 |
CA2120241A1 (en) | Emulsification system for light fuel oil emulsions | |
CN102899106A (zh) | 一种新型低碳甲醇柴油及其添加剂以及其制备方法 | |
KR20040106282A (ko) | 피셔-트로프 유도된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저배출 연료 유제 | |
CA2543906A1 (en) | Heavy oil emulsion stabilizers containing saccharide based emulsion stabilizer | |
US20150027035A1 (en) | Compositions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s and methods of forming and using such compositions | |
CN1401738A (zh) | 乳化燃料油的制造方法和制造装置 | |
CN1149618A (zh) | 柴油乳化添加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KR19990085956A (ko) | 벙커-씨유를 원료로 하는 정제연료유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 |
KR102580224B1 (ko) | 폐유를 이용한 재활용 연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형 연료유 | |
RU2041246C1 (ru)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опливной композиции | |
EA044631B1 (ru) | Эмульгатор и эмульсии | |
KR960013612B1 (ko) | 폐윤활유를 원료로 하는 정제연료유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 |
CN1054096A (zh) | 消烟节油乳化剂 | |
JPH0578677A (ja) | エマルジヨン燃料用添加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