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1947A - 네트워크 광고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광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1947A
KR20020031947A KR1020000062745A KR20000062745A KR20020031947A KR 20020031947 A KR20020031947 A KR 20020031947A KR 1020000062745 A KR1020000062745 A KR 1020000062745A KR 20000062745 A KR20000062745 A KR 20000062745A KR 20020031947 A KR20020031947 A KR 20020031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ser
client software
network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김형수
(주)이디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수, (주)이디하우스 filed Critical 김형수
Priority to KR1020000062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1947A/ko
Publication of KR20020031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947A/ko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실행되고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중 키워드검색을 하여 보고파일의 형식으로 만들고 계속 업데이트하고 있다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게 전송하여 사용자프로파일을 업데이트하고 있다가 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에게 제공할 광고를 선택하고 선택된 광고의 광고파일을 포함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사용자컴퓨터로 가져오고 그 광고를 사용자가 네트워크통신브라우징 중의 로딩타임에 네트워크통신브라우져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네트워크광고방법

Description

네트워크 광고방법{Advertising method through network systems}
본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광고기법에 관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광고로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수많은 광고기법들이 발전되어 왔으며 소비자에게 좀더 강하고 확실한 인상을 남기기 위한 수많은 시도가 있어 왔다. 광고매체도 기술의 발전과 함께 신문 등의 인쇄매체에서 TV 더 나아가 인터넷광고로 발전해오고 있다. 최근 들어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것이 인터넷광고인데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도 다양해지고 있다.
기존 인터넷을 통한 광고는 그 효과에 있어 의심을 받고 있다. 소비자에 대한 인지도가 TV 등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는 현재 네트워크기술의 장점이 광고기법에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발명은 현재의 네트워크관련 기술을 십분 발휘해서 최적의 효과를 끌어내는 광고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현재의 인터넷 기술로는 양방향 통신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즉 서버로부터 정보를 받아올 뿐만 아니라 서버로 정보를 보내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고 서버는 상기 정보를 받고 다시 이에 응답하여 적절한 프로세스를 진행시키는 방식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파악하고 그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의 광고를 띄워 줌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사용자의 인터넷사용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디스플레이장치 전크기에 해당하는 전면광고를 제공하는 데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조그마한 배너광고의 한계를 극복하는 혁명적 광고방법을 제시하여 시각적인 면에서 TV광고의 효과에 근접하는 광고효과를 달성하며 또한 사용자가 관심있는 분야의 광고만을 제공함으로써 그 점에서는 TV광고 이상의 효과를 얻는 광고방식을 네트워크기술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광고에 대한 인지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을 본발명은 제공한다.
한편 본발명은 인터넷광고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스케줄 관리, 공지사항 노출 등 게시판의 역할도 할 수 있다. E-mail,이나 기업체의 인트라넷 내의 게시판, 개인정보관리 시스템내의 스케줄 등은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정보를 검색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는 단점을 안고 있다. 본발명은 사용자의 노력없이 공지사항, 게시사항, 스케줄 등을 사용자가 꼭 받아볼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 1도는 본발명의 네트워크환경을 도시한 도면
제 2도는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 자동 실행 절차를 도시한 도면
제 3도는 사용자 신상명세의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제 4도는 보고파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제 5도는 보고파일 작성과정에 관한 도면
제 6도는 사용자프로파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제 8도는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제 9도 내지 제 11도는 광고관련 정보의 데이타구성도
제 12도는 클라이언트가 방영대상광고를 선택하는 과정에 관한 순서도
제 13도는 본발명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터넷 등 디지탈컴퓨터네트워크 101 : 사용자컴퓨터
102 : 사업자 서버
본발명은 도1과 같은 네트워크 구성 환경하에서 구현된다 사용자컴퓨터(101)와 사업자와 관련된 서버(102)가 인터넷 등 네트워크(1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인터넷은 그에 접속된 컴퓨터간에 디지털 정보를 운반하는 길(route)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컴퓨터(101)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제공되어 있다.
사용자컴퓨터는 유무선망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교환한다. 컴퓨터를 이동단말기에 연결하여 무선망을 통해 디지털컴퓨터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술은 국내특허공개 99-32198호, 동특허공개99-38922호 등에도 개시되어 있듯이 이미 공지되고 현재 관용되는 기술이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사용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서버로부터 설치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를 사용자컴퓨터에 설치한다.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통상 사용자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실행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실행명령을 입력하여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는 등의 방법으로) 실행시킬 수도 있으나 일일이 사용자가 실행시키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자동으로 실행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뎀사용자인 경우는 다이얼업(Dial-up)후, 랜(Lan)사용자인 경우는 접속스크립트 실행후 자동으로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실행되게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의 프로그래밍 기술로서 당업자가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이에 대한 모식도이다.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실행되면 이는 서버와 사용자컴퓨터 사이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하며 우선 서버에게 사용자인증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여 후에 각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보내오는 정보가 어느 사용자에 관한 것인지를 서버가 구별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프로파일의 작성>
서버는 사용자에 관한 프로파일을 확보 저장하고 사업자는 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광고를 골라서 각 사용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프로파일을 이루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의 신상명세 즉 나이, 직업, 주소 등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인터넷사용습성으로부터 파악되는 정보 즉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컴퓨터측에서 서버로 보내오는 키워드 적중횟수데이터도 포함한다. 사용자의 신상명세정보를 확보하는 방법 중 손쉬운 방법은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의 도움으로 사용자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신상명세를 묻는 질문사항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신상명세를 기입하여 클릭함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서 이를 저장보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최초에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때 또는 설치된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최초로 실행될 때 이러한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신상명세에 관한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서버가 사용자의 신상명세에 관한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저장하여 보관한다. 이에 의해 각 사용자별로 프로파일이 만들어지게 된다. 신상명세를 구성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들자면 도 3과 같다.
사용자의 인터넷사용습성으로부터 사용자가 관심있는 분야를 알아내고 이를 이용하여 타겟팅된 인터넷광고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인터넷사용시 웹브라우저를 사용할 것인바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페이지를 볼 때 그 웹페이지가 무슨 내용에 관한 것인지 파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발명에서는 미리 키워드에 해당하는 단어들을 정해둔다. 그리고 사용자가 보는 인터넷 페이지의 URL, 페이지를 구성하고 있는 문자열, 페이지간에 이동할 때 클릭한 문자열(링크문자열) 및 페이지 내에서 읽어들이는 파일의 이름을 구성하는 문자열에 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웹브라우져로부터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정해진 키워드에 해당하는 문자열이 있는지 있다면 몇 번 나왔는지 조사하고 이러한 키워드적중횟수에 관한 정보를 보고파일의 형태로 서버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미리 키워드리스트를 확보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는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음으로써 손쉽게 확보할 수 있다. 정기적으로 키워드리스트를 서버에게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이렇게 키워드 적중횟수를 카운팅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있는 분야가 어떤 분야인지 알 수 있다.
실시례1
서버로 전송되는 보고파일의 내용을 구성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들자면 간단하게는 도4와 같으며 데이터베이스에는 키워드와 그 적중횟수를 포함한다.
실시례2
더 진보된 실시례를 들자면, 문자열이 인터넷 페이지의 URL에 나온 경우와 페이지를 구성하고 있는 문자열에 나온 경우와 페이지간에 이동할 때 클릭한 문자열(링크문자열)에 나온 경우 및 페이지 내에서 읽어들이는 파일의 이름을 구성하는 문자열에 나온 경우 각각에 가중치를 두어 카운팅할 수도 있다. 이는 문자열이 인터넷 페이지의 URL에 나온 경우가 페이지를 구성하고 있는 문자열에 나온 경우보다 더 중요하게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유저A의 인터넷사용으로부터 다음 표와 같은 키워드 적중횟수를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검출했다고 하자.
문자열이 인터넷 페이지의 URL에 나온 경우와 페이지간에 이동할 때 클릭한 문자열(링크문자열)에 나온 경우 및 페이지 내에서 읽어들이는 파일의 이름을 구성하는 문자열에 나온 경우와 페이지를 구성하고 있는 문자열에 나온 경우에 가중치를 각각 4, 3, 2, 1을 부여하여 키워드별로 총점을 매기면 다음 표와 같다.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이렇게 가중치를 부여하여 총점을 계산하고 키워드별 총점( 이 총점을 가중된 키워드적중횟수라고 할 수 있다)을 보고파일의 형태로 사용자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보관하면서 업데이트하다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한다.
보고파일은 실시간으로 계속 보낼 필요는 없으며 일정 기간을 정해두고 주기적으로 서버로 전송하게 한다든지 사용자의 인터넷사용시간을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파악하여 일정 시간만큼 이용하면 그 때까지 계수한 키워드적중횟수를 서버로 보냄으로 충분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보고파일작성과정을 도시하면 도5와 같다.
서버는 사용자의 신상정보에 관한 사항 및 상기 보고파일로부터 취득한 정보로부터 사용자별 프로파일을 만들어 저장한다.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데이터베이스는 가장 간단하게는 사용자의 신상정보(주소, 성별 등)과 키워드 적중횟수로 구성되어 있다. 서버는 각 사용자별로 프로파일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 컴퓨터측에서 보고파일이 보내지면 그 사용자에 관한 키워드적중횟수 데이터를 업데이트함으로써 그 사용자의 사용자프로파일을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보고파일이 보내짐에 따라 사용자 프로파일은 업데이트된다. 사용자프로파일을 구성하는 일실시례를 도6에서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프로파일은 키워드적중횟수만 계속 누적시킬 수도 있으나 본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이밖에도 키워드적중횟수를 최근의 것만 남도록 주기적으로 과거의 자료를 삭제함으로써 과거의 관심사는 현재의 프로파일에 반영되지 않게 할 수도 있고 이밖에도 최근 적중횟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프로파일업데이트시에 반영시키는 방법 등 프로파일의 관리는 다양한 변화가가능하다.
<광고노출대상 사용자의 선정>
사업자는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프로파일을 사용하여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광고만을 노출시킬 수 있는데 그러자면 각 광고마다 그 광고가 노출될 사용자에 대한 조건을 두어 그 조건을 만족시키는 프로파일에 해당하는 사용자에게 광고를 전송한다. 예를 들면 지역음식점광고는 신상명세의 주소가 일정지역인 사용자에게만 노출시킨다. 다른 예로서 자동차광고는 20대 이상이며 "자동차"라는 키워드 적중건수가 10회이상된 자에게 노출시킨다. 또 다른 예로서 증권사광고는 "주식"이라는 키워드 적중횟수가 10회 이상인 자에게 노출시킨다.
이러한 조건을 각 광고마다 설정해두고 그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을 가진 자에게만 그 광고를 노출시키는데 조건에 적합한지 여부를 조사한다. 간단하게는 서버컴퓨터의 사용자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자동 연산으로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A에 대한 조건a, 광고B에 관한 조건b, 광고 C에 관한 조건c, 광고 D에 관한 조건d가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1 , 사용자2, 사용자3, 사용자4가 있을 때의 처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서버는 기존에 각 사용자에게 보낼광고를 정하여 저장해두는 데이터베이스를 보관하고 있다. 사용자1에게 보낼 광고로 이미 정해진 것이 광고E, 광고H이고 사용자2에게 보낼 광고로 이미 정해진 것이 광고G, 사용자3에게 보낼 광고로 이미 정해진 것이 광고H 광고J, 사용자4에게 보낼 광고로 이미 정해진 것이 광고F, 광고H라면 초기상태의 전송대상 광고리스트(이하 전송리스트라고 함)는 다음 표와 같다.
이 상태에서 광고A를 노출시킬 조건a에 각 사용자의 프로파일이 해당하는지를 조사한다.
사용자2와 사용자3의 프로파일만이 이에 해당하였다면 상기 전송대상리스트는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된다.
이 상태에서 광고B를 노출시킬 조건b에 각 사용자의 프로파일이 해당하는지를 조사한다. 사용자1의 프로파일만 광고B에 관한 조건b에 해당하였다면 전송대상리스트는 다시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된다.
이 상태에서 광고C를 노출시킬 조건c에 각 사용자의 프로파일이 해당하는지를 조사한다. 사용자3, 사용자4의 프로파일만 광고C에 관한 조건c에 해당하였다면 전송대상리스트는 다시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된다
이 상태에서 광고D를 노출시킬 조건d에 각 사용자의 프로파일이 해당하는지를 조사한다. 사용자1, 사용자4의 프로파일만 광고D에 관한 조건d에 해당하였다면 전송대상리스트는 다시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된다
<광고의 노출>
이러한 방식으로 서버는 각 사용자에게 보낼 광고가 무엇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면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를 통해 그 사용자에게 전송할 광고의 광고파일을 포함하는 광고와 관련된 정보(이하 광고관련정보라고 함)를 사용자컴퓨터로 가져간다.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이를 사용자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관리하다가 사용자가 네트워크통신브라우징 중 로딩타임에 그 광고를 네트워크통신브라우져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네트워크통신브라우져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의해 서버 등 외부로부터 정보를 가져와 이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일종의 솔루션을 총칭하는 개념이며 당연히 웹브라우져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광고관련정보를 가져가는 시기는 인터넷에서 교신을 5분이상 안할 때, 마우스가 3분동안 안 움직일 때 등등 적용하기 나름이다.
클라이언트가 가져가는 광고관련정보 및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리스트는 본발명을 적용시키는 실시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시례1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를 통해 가져가는 광고관련정보는 가장 간단하게는 도7(a)와 같이 광고파일만으로 되어 있다. 광고파일은 HTML, MPG파일, SWF 플래시 파일, GIF 그림파일, Txt 문서, 다중컷 GIF (움직이는 GIF) 등 광고의 내용을 담은 파일이다.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이를 사용자컴퓨터에 저장하고 관리하고 있다가 목적페이지(사용자가 인터넷 페이지간 이동을 할 때 이동하려는 페이지)가 다운로드되는 시간에 사용자컴퓨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나 스피커 등의 사운드전달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전달한다. 보다 복잡하게는 도7(b)와 같이 방영할 횟수(702)나 방영에 소요되는 시간(703)에 관한 정보를 둘 다 포함하거나 둘 중에 하나를 포함한다. 광고관련정보를 가져온 후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리스트(이하 광고저장리스트라고 함)는 광고파일은 당연히 포함하고 그 외에 방영해야 하는 총횟수, 이미 방영한 횟수, 방영여부, 방영에 소요되는 시간 등의 데이터베이스로 되어 있으며 서버로부터 가져온 광고관련정보와 본발명의 적용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전송받은 광고관련정보를 사용자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광고저장리스트는 광고내용파일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그 외에 서버로부터 가져온 광고관련정보와 본발명의 적용방법에 따라서 방영해야 하는 총횟수, 현재까지 방영한 횟수, 방영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 포함한다. 광고저장리스트에 방영해야 하는 총횟수, 현재까지 방영한 횟수가 포함된 경우에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광고를 방영할 때마다 리스트상의 현재까지 방영한 횟수를 1 증가시키고 방영해야 하는 총횟수과 현재까지 방영한 횟수가 같게 되면 더 이상 그 광고는 방영하지 않는다. 한편 서버에서는 각 광고마다 방영에 걸리는 시간이 다르므로 대략 방영에 필요한 시간를 예측하여 방영에 소요되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광고관련정보에 포함시켜 그 정보를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가져오는 경우 이를 광고저장리스트에 포함시키고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예상 로딩시간에 맞는 방영시간의 광고 혹은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가 볼 사이트에 접속을 요청할 때 해당 사이트의 응답시간의 길이에 로딩시간이 비례한다고 가정하고 응답시간에 따라 로딩시간을 예상하고 그에 적합한 광고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도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통신브라우져에서 목적페이지가 다운로드되는 동안 화면 상으로 광고저장리스트의 광고파일을 화상정보로 표시해주며 광고파일이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MPG파일 등인 경우는 음성정보도 전달한다. 노출되는 광고 혹은 정보는 네트워크통신브라우저 내에서 표시가 되기 때문에 네트워크통신브라우저에서 표시 가능한 모든 형태로 표시 가능하다.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로딩타임의 시작과 끝을 감지하는 것은 간단하게 구현가능하다. 익스플로러라는 네트워크통신브라우저를 사용할 때를 예로 들면,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익스플로러에게 요청하면 되며 함수호출로 해결된다. 광고를 기존 네트워크통신브라우저에 띄우는 것도 기술적으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마찬가지로 익스플로러라는 네트워크통신브라우저를 사용할 때를 예로 들면, 익스플로러에 인터럽트를 걸어서 현재 화면을 백그라운드에 실행시키고 보이는 것에는 광고를 개재하는 기술로 익스플로러에서 제공하는 함수를 이용해서 실현시킨다.
실시례2
이 실시례는 웹브라우져를 통해 광고를 뿌려주는 경우에 국한된다.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가져가는 광고관련정보는 간단하게는 도9와 같이 광고내용파일(901) 및 그 광고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키워드로 된 태그(902)만을 포함하며 복잡하게는 도10과 같이 광고를 노출시키는 빈도 내지 횟수에 관한 사항(1003), 광고노출에 소요되는 시간(1004), 광고노출 우선 순위(1005) 등의 정보 중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광고파일(901, 1001)은 HTML, MPG파일, SWF 플래시 파일, GIF 그림파일, Txt 문서, 다중컷 GIF (움직이는 GIF) 등 광고의 내용을 담은 파일이고 도면부호 902, 1002는 각 광고와 관련된 키워드 부분이다.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전송받은 광고관련정보를 사용자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광고저장리스트는 광고내용파일(1101)과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키워드들(1102)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그 외에 서버로부터 가져온 광고관련정보와 본발명의 적용방법에 따라서 방영해야 하는 총횟수(1103), 현재까지 방영한 횟수(1104), 방영에 소요되는 시간(1105) 등을 포함하여 도11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광고저장리스트에 방영해야 하는 총횟수(1103), 현재까지 방영한 횟수(1104)가 포함된 경우에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광고를 방영할 때마다 리스트상의 현재까지 방영한 횟수(1104)를 1 증가시키고 방영해야 하는 총횟수(1103)과 현재까지 방영한 횟수(1104)가 같게 되면 더 이상 그 광고는 방영하지 않는다. 한편 서버에서는 각 광고마다 방영에 걸리는 시간이 다르므로 대략 방영에 필요한 시간(1105)를 예측하여 방영에 소요되는 시간(1105)에 관한 정보를 광고관련정보에 포함시켜 그 정보를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가져오는 경우 이를 광고저장리스트에 포함시키고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예상 로딩시간에 맞는 방영시간의 광고 혹은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가 볼 사이트에 접속을 요청할 때 해당 사이트의 응답시간의 길이에 로딩시간이 비례한다고 가정하고 응답시간에 따라 로딩시간을 예상하고 그에 적합한 광고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광고저장리스트를 구성하는 정보들을 사용자컴퓨터에 저장하고 관리하고 있다가 목적페이지(사용자가 인터넷 페이지간 이동을 할 때 이동하려는 페이지)가 다운로드되는 시간에 사용자컴퓨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나 스피커 등의 사운드전달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전달한다. 실시례2의 경우는 실시례1의 경우와 달리 웹브라우저를 통해 광고를 방영하는 경우에 국한되며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로딩타임에 리스트의 광고들을 리스트 순서대로 방영하거나 무작위로 방영하는 것이 아니라 리스트의 관련키워드에 해당하는 문자열이 현재 또는 직전의 페이지에서 검색될 때 방영한다. 즉 보고파일을 작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보는 인터넷페이지의 URL, 페이지를 구성하고 있는 문자열, 페이지간에 이동할 때 클릭한 문자열(링크문자열) 및 페이지 내에서 읽어들이는 파일의 이름을 구성하는 문자열에 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웹브라우져로부터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키워드리스트에 해당하는 문자열이 있는지 있다면 몇 번 나왔는지 조사할 때 광고저장리스트의 태그부분(902, 1002)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문자열이 있는지 조사하고 소정의 기준값 이상 나온 경우 그에 해당하는 광고를 로딩타임에 방영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 사용자가 지금 또는 직전에 보고 있던 페이지와 연관성 있는 광고를 보게 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도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목적페이지가 다운로드되는 동안 화면 상으로 화상정보를 표시해주며 광고파일이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MPG파일 등인 경우는 음성정보도 전달한다.
실시례3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전송받은 광고관련정보 및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사용자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광고저장리스트에 상기 실시례에서 기술한 것 외에 우선순위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이다. 긴급히 방영해야 하는 광고는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주어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이를 긴급히 방영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여러 실시례에서 예를 든 방식에 의해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광고를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웹브라우져를 통해 사용자에게 방영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보의 노출이 너무 많아 사용자의 짜증을 유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일차적으로 마지막 노출이 일어났을 때부터 현재의 시간을 최소 요구되는 간격과 비교하여 최소간격이 경과했을 때만 정보의 노출을 진행한다.
우선순위가 있고 광고별 키워드가 있는 경우 광고를 선별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내면 도12와 같다.
광고를 노출하는 시간은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동안 방영하는 방식, 광고의 방영이 완료될 때까지 방영하는 방식, 광고의 방영이 완료된 후 일정 시간동안 방영하는 방식, 목적페이지의 로딩이 완료될 때가지 방영하는 방식, 광고의 방영이 완료될 때까지 방영하되 목적페이지의 로딩이 완료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방영을 중지하는 방식,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동안 방영하되 목적페이지의 로딩이 완료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방영을 중지하는 방식 등을 채택할 수 있다.
<광고 방영후>
일단 광고가 방영되면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두 가지 후속조치를 취한다. 첫째는 노출사실을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게 알리는 것이다. 서버는 노출결과에 대한 통계를 작성하여 시스템운영자가 광고게시의뢰자에게 광고제공 수수료징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로 방영된 광고는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에 의해 후에 재참조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컴퓨터 내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다. 이 때 정보와 같이 전송된 추가 정보도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맞게 함께 전송되어 더욱 효과적이고 유용한 정보가 되도록 도와준다. 추가정보는 광고하고자하는 제품의 지역판매점연락처, 구매방법, 구매가능사이트로의 연결 등이 있다.
<광고의 내용>
이상에서 광고라고 표현하였으나 반드시 상업적 광고만에 본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공지사항 등 정보의 전달도 본발명의 방식에 의해 전달하는 한 본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순서도>
이상 기술한 본발명의 과정을 순서도로 표시하면 도13과 같다. 보고파일의 전송(1301)은 실시간으로 계속할 필요는 없으며 소정의 기간을 정해두고 주기적으로 서버로 전송하게 한다든지 사용자의 인터넷사용시간을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파악하여 일정 시간만큼 이용하면 그 때까지 계수한 키워드적중횟수를 서버로 보냄으로 충분함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다. 도면부호1303의 과정은 모든 실시례에서 필요한 것이 아니고 사용자컴퓨터에 저장관리되는 광고관련 정보리스트에 광고의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키워드에 관한 데이터가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관련키워드에 해당하는 문자열이 현재 또는 직전의 페이지에서 검색될 때 방영하는 실시례에서 필요한 것이다.
본발명은 현재 발달한 네트워크기술을 십분발휘해서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속하는 광고를 제공하여 광고인지도를 높이되 로딩타임을 이용하므로 사용자의 시간을 빼앗지도 않고 기존 브라우져에 띄워주므로 사용자의 거부감도 거의 없다. 또한 화면을 가득 채우는 광고로 인해 기존배너광고와는 비교할 수 없는 생생한 영상을 제공하며 역동적인 동영상광고도 가능하므로 획기적인 광고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1)

  1. 사용자컴퓨터(101)와 사업자와 관련된 서버(102)가 인터넷 등 네트워크(1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는 그에 접속된 컴퓨터간에 디지털 정보를 운반하는 길(route)을 제공하며, 사용자컴퓨터(101)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제공되어 있고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소정의 키워드리스트를 사용자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하면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실행되고; 사용자가 웹브라우져 등을 통해 방문하는 웹사이트의 도메인네임,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문자열, 링크를 통해 다른 웹페이지를 불러올 때 링크를 구성하는 문자열 및 페이지 내에서 읽어들이는 파일명을 구성하는 문자열 중 적어도 한 종류의 문자열에 상기 사용자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된 키워드리스트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있는지 몇 번 나오는지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조사하여 그 결과를 보고파일의 형식으로 만들고 계속 업데이트하고 있다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보고파일을 전송받은 후 이를 토대로 그 사용자에 관한 서버에 저장중인 사용자프로파일을 업데이트하고; 사용자들에게 전송할 광고마다 전송조건을 사업자는 정하고 상기 사용자프로파일이 그 전송조건에 해당하는지를 조사하여 각 사용자에게 제공할 광고를 선택하고; 선택된 광고의 광고파일과 그 광고의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광고관련정보를 상기 서버에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상기 서버로부터 그 사용자에게 전송할 것으로 선택된 광고파일과 그 광고의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광고관련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컴퓨터로 가져오고;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가져온 광고파일과 그 광고의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광고저장리스트로서 사용자컴퓨터에 저장관리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웹브라우져를 통해 방문하는 웹사이트의 도메인네임,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문자열, 링크를 통해 다른 웹페이지를 불러올 때 링크를 구성하는 문자열 및 페이지 내에서 읽어들이는 파일명을 구성하는 문자열 중 적어도 한 종류의 문자열에 상기 저장관리하고 있는 광고의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키워드들이 있는지 조사하여 소정의 기준값 이상 나온 경우에 그 광고를 사용자가 웹브라우징 중의 로딩타임에 웹브라우져 상에 디 스플레이하는 네트워크광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리스트는 상기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의 작용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것인 네트워크광고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프로파일은 사용자의 신상명세에 관한 정보와 키워드별 적중횟수에 관한 정보로 구성된 네트워크광고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관련정보 및 광고저장리스트에는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우선순위가 설정된 광고를 다른 광고보다 우선하여 사용자가 웹브라우징 중의 로딩타임에 웹브라우져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네트워크광고방법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관련정보 및 광고저장리스트에는 각 광고마다 방영할 횟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그 횟수만큼 광고를 방영하는 네트워크광고방법
  6. 사용자컴퓨터(101)와 사업자와 관련된 서버(102)가 인터넷 등 네트워크(1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는 그에 접속된 컴퓨터간에 디지털 정보를 운반하는 길(route)을 제공하며, 사용자컴퓨터(101)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제공되어 있고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소정의 키워드리스트를 사용자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하면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실행되고; 사용자가 웹브라우져 등을 통해 방문하는 웹사이트의 도메인네임,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문자열, 링크를 통해 다른 웹페이지를 불러올 때 링크를 구성하는 문자열 및 페이지 내에서 읽어들이는 파일명을 구성하는 문자열 중 적어도 한 종류의 문자열에 상기 사용자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된 키워드리스트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있는지 몇 번 나오는지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조사하여 그 결과를 보고파일의 형식으로 만들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보고파일을 전송받은 후 이를 토대로 그 사용자에 관한 서버에 저장중인 사용자프로파일을 업데이트하고; 사용자들에게 전송할 광고마다 전송조건을 사업자는 정하고 상기사용자프로파일이 그 전송조건에 해당하는지를 조사하여 각 사용자에게 제공할 광고를 선택하고; 선택된 광고의 광고파일들을 포함하는 광고관련정보를 상기 서버에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가 상기 서버로부터 그 사용자에게 전송할 것으로 선택된 광고파일을 포함하는 광고관련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컴퓨터로 가져오고;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가져온 광고파일을 포함하는 정보를 광고저장리스트로서 사용자컴퓨터에 저장관리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네트워크통신브라우징 중의 로딩타임에 광고파일에 담겨 있는 광고내용을 네트워크통신브라우저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네트워크광고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통신브라우저는 웹브라우저인 네트워크광고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리스트는 상기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의 작용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것인 네트워크광고방법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프로파일은 사용자의 신상명세에 관한 정보와 키워드별 적중횟수에 관한 정보로 구성된 네트워크광고방법
  10.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관련정보 및 광고저장리스트에는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우선순위가 설정된 광고를 다른 광고보다 우선하여 사용자가 네트워크통신브라우징 중의 로딩타임에 광고파일에 담겨 있는 광고내용을 네트워크통신브라우저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네트워크광고방법
  11.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관련정보 및 광고저장리스트에는 각 광고마다 방영할 횟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는 그 횟수만큼 광고를 방영하는 네트워크광고방법
KR1020000062745A 2000-10-24 2000-10-24 네트워크 광고방법 KR20020031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745A KR20020031947A (ko) 2000-10-24 2000-10-24 네트워크 광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745A KR20020031947A (ko) 2000-10-24 2000-10-24 네트워크 광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947A true KR20020031947A (ko) 2002-05-03

Family

ID=1969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745A KR20020031947A (ko) 2000-10-24 2000-10-24 네트워크 광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19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513B1 (ko) * 2006-02-24 2008-01-1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망에서의 표적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118009A1 (ko) * 2019-12-12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513B1 (ko) * 2006-02-24 2008-01-1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망에서의 표적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118009A1 (ko) * 2019-12-12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8737B (zh) 一种互联网关键字符相关信息的发布方法和系统
US75938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xtual advertising information via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833728B1 (ko) 기준 위치에 의해 배너 광고별 우선순위가 결정되고 타인의 온라인 페이지에 결합되는 광고 서비스 시스템
US70891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duced cost online service and adaptive targeting of advertisements
KR101331581B1 (ko) 원격 장비에 대한 발송 시스템
US8205167B2 (en) Analyzing user viewership of advertisements appearing in a screen display in a user terminal
EP15611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information based on web page content
US7143160B2 (en) Event-driv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event-driv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20040225647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JP5242507B2 (ja) 広告配信システム、広告配信サーバー、広告配信方法および広告配信プログラム
WO2005045623A2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ng advertisements
JP2009530705A (ja) 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的を絞ったコンテンツの配信
JP6679250B2 (ja) 決定装置、決定方法および決定プログラム
US20090013288A1 (en) Video Promotion for Online Directory Listings and Other Search Engine Websites that List Advertisers
CN1971568A (zh) 一种互联网关键字符相关信息的发布方法和系统
WO2009026341A1 (en) Increasing website revenue generation through distribution of interactive web content
JP2002073545A (ja) 情報送受信システム、情報送受信方法、及び情報送受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4461059B2 (ja) Www上の疑似プッシュ型情報配信システム
KR20020031947A (ko) 네트워크 광고방법
JP2006330984A (ja) 広告情報リンク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030187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centives to users who browse information through a computerized network
JP4418190B2 (ja) メディア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782597B1 (ko) 통합 인트로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07237A (ko) 인터넷 네트워크에서 차일드 윈도우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49233A (ko) 에이피아이를 이용한 광고 대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광고 대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