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1209A -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 - Google Patents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1209A
KR20020031209A KR1020000062236A KR20000062236A KR20020031209A KR 20020031209 A KR20020031209 A KR 20020031209A KR 1020000062236 A KR1020000062236 A KR 1020000062236A KR 20000062236 A KR20000062236 A KR 20000062236A KR 20020031209 A KR20020031209 A KR 20020031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aring
cylinder
roll
ch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문
한상빈
정철욱
Original Assignee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6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1209A/ko
Publication of KR20020031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20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7Adaptation of roll neck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냉간압연라인에서 소재의 압연을 수행하는 워크롤을 지지하는 백업롤의 고속회전을 수행토록 롤쵸크에 설치되는 롤베어링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간편하게 수행토록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쵸크(12) 상측에 이동토록 설치되는 이동프레임(22)과 그 하측으로 수직 설치된 제 1 실린더(24)의 하부에 가이드바아(26)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연결판(28)을 갖춘 베이스부(20);와, 상기 연결판(28)의 하부에 중앙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2)로서 모터 구동토록 설치된 회전판(46)과, 상기 고정볼트(42)로서 하측에 연결된 타격판(48)을 갖추어 베어링(10)을 타격토록 하는 베어링 타격부(40); 및, 상기 타격판(48)의 하측으로 스프링(62a)을 개재하여 볼트(62) 연결된 가이드판(64)의 저부에 설치된 제 2 실린더(66)와 상기 실린더(66)에 스크류 결합되는 고정볼트(68)에 스프링(70)을 개재하여 상,하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링(72)의 외측으로 링크(74) 연결되는 베어링 인출판(76)을 갖춘 베어링 인출부(60);로서 구성된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BEARING FROM ROLL CHOCK}
본 발명은 냉간압연라인에서 사용하는 백업롤(BACK UP ROLL)의 고속회전을 가능토록 롤쵸크(ROLL CHOCK)에 장착되는 롤베어링(ROLL BEARING)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냉간압연라인에서 압연기의 워크롤과 밀착하여 소재를 압연토록 사용되는 백업롤의 네크부분이 삽입되어 백업롤의 고속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쵸크의 베어링을 치구를 이용한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롤쵸크에 부터 내장된 베어링을 분해토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롤 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간압연라인에서 사용되는 압연기는 소재(강판)와 밀착되어 소재의 압연을 수행하는 워크롤과 상기 워크롤과 밀착되어 이를 지지하는 백업롤로서 이루어 지는데, 상기와 같은 백업롤은 그 네크부분이 롤쵸크에 내장된 롤베어링에 지지되어 고속회전이 가능하게 되는데, 설비의 보수 및 유지작업 즉, 롤베어링의 마모정도, 그리스 주입상태 및 새로운 그리스의 보충을 위하여 상기 롤베어링을 롤쵸크에서 부터 분해하는 작업이 주기적으로 수행되는데, 도 1 및 도 2에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롤베어링 분해작업을 위한 치구 및 작업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종래의 롤베어링 분해작업을 위한 치구를 살펴보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의 와이어로프(112)가 연결되는 샤프트(110)가 상부 고정판(120)을 통하여 하부 지지판(130)에 볼트 고정되고, 상기 하부 지지판(130)의 양단부에는 장홈(142)을 통하는 볼트(144)로서 고정되는 베어링 인출판(140)이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베어링 분해용 치구(100)를 이용하여 롤베어링을 분해하고, 이와 같은 종래의 롤 베어링 분해작업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 와이어로프(112)를 하강시키어 치구(100)의 상부 고정판(112)을 베어링(150a) 상부에 밀착시킨 다음, 하부 지지판 (130)의 인출판(140)을 망치등으로 때려서 상부 베어링(150a)의 하부에 끼운후에, 망치등으로 베어링(150a)의 외곽부분을 내려 치면서 이때 발생되는 롤쵸크(152)와 베어링(150a) 사이의 틈새를 이용하여 상부 베어링(150a)을 인출하는 것이다.
또한,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베어링(150a)의 인출이 완료되면상기 롤쵸크(152)의 허부에 장착된 하부 베어링(150b)의 저부측에 와이어로프(110)를 하강시킨후, 하부 지지판(130)의 양단부에 설치된 인출판(140)을 작업봉(160)을 이용하여 강제로 전진시키어 인출판(140)이 하부 베어링(150b)의 하측에 끼우면, 상기 와이어로프(110)를 재차 당기어 하부 베어링(150b)을 롤쵸크(152)로부터 인출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롤베어링 분해작업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크레인을 운전하면서 경험치로서 치구(100)를 쵸크(152)내의 상,하부 베어링 (150a)(150b)에 상부 고정판(120) 및 하부 인출판(140)을 고정시키어 베어링의 분해작업을 수행하여 베어링 분해작업이 지연되는 것은 물론, 작업자가 망치등으로 베어링을 타격하면서 베어링의 불량은 물론, 롤표면도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별도의 작업자가 치구등을 사용하는 작업중에 기타 설비사이에 작업자가 협착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특히 하부 베어링의 인출시에는 별도의 작업봉을 사용하게 되어 베어링의 분해작업이 상당히 지연되고, 이는 원활한 백업롤의 라인투입을 지연시키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냉간압연라인에서 소재의 압연을 수행하는 워크롤을 지지하는 백업롤의 고속회전을 수행토록 롤쵸크에 설치되는 롤베어링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간편하게 수행토록 한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압연롤 쵸크에서부터 베어링을 분해하기 위한 치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종래 치구를 이용한 압연롤 쵸크의 베어링 분해작업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의 베이스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의 베어링 타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의 베어링 인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의 베어링 인출판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10... 베어링
12.... 롤 쵸크(ROLL CHOCK)20.... 베이스부
22.... 이동프레임24,30,66.... 실린더
28.... 연결판34.... 대차
40.... 베어링 타격부46.... 회전판
48.... 타격판60....인출부
64.... 가이드판72.... 가이드링
76.... 인출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백업롤 쵸크에 장착된 롤 베어링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대차 이송되는 쵸크의 상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과 그 하측으로 수직 설치된 제 1 실린더의 하부에 가이드바아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연결판을 갖추어 실린더 작동시 상하 이동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연결판의 하부에 중앙을 관통하는 고정볼트로서 베어링을 개재하여 모터 구동토록 설치된 회전판과, 상기 고정볼트로서 하측에 연결된 타격판을 갖추어 모터 구동시 각판이 이격 및 밀착되어 베어링을 타격토록 하는 베어링 타격부; 및,
상기 타격판의 하측으로 스프링을 개재하여 볼트 연결되고, 외곽에는 연결판과 케이스 고정되는 가이드판의 저부에 설치된 제 2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스크류 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상,하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링의 외측으로 링크 연결되어 가이드판의 저부를 따라 직선 운동하여 베어링에 맞물리는 인출판을 갖춘 베어링 인출부;로서 구성되는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베어링 분해장치의 베이스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베어링 분해장치의 베어링 타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베어링 분해장치의 베어링 인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의 베어링 인출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장치(1)는 크게 롤쵸크(12)의 이동 위치에서 쵸크(12)내의 베어링 (10)까지 인출판(76)을 이동시키는 베이스부(20)와 상기 베이스부(20)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베어링(10)의 외곽부분을 타격하여 베어링(10)의 쵸크(12) 분해작동을 원활토록 하는 베어링 타격부(40) 및, 상기 타격부(40)의 하측으로 실질적인 베어링(10) 인출작동을 하는 베어링 인출부(60)로서 이루어 지는데, 상기의 각 구성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 에서는 상기 베이스부(2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베이스부(20)는 대차 이송되는 쵸크(12)의 상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22)과 그 하측으로 수직 설치된 제 1 실린더(24)의 하부에 가이드바아(26)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연결판(28)을 갖추어 실린더 작동시 상하 이동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쵸크(12)는 저부에 설치된 제 3 실린더(30)로서 레일(3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휠(33)이 장착된 대차(34)상부에 안착 이동하며, 상기 이동프레임 (22)은 상기 대차 이동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이동대(36)상에 모터 구동되는 피니언기어 및 랙기어의 맞물림으로 이동토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실린더(24)는이동프레임(22)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판(24a)의 저부에 수직 설치되어 상기 연결판(28)은 실린더(24) 작동시 상,하 이동토록 된다.
다음, 도 3 및 도 5에서는 상기 베어링 타격부(4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베어링 타격부(40)는, 상기 연결판(28)의 하부에 중앙을 관통하는 고정볼트 (42)로서 베어링(49a)(49b)을 개재하여 모터(44) 구동토록 설치된 회전판 (46)과, 상기 고정볼트(42)로서 하측에 연결된 타격판(48)을 갖추어 모터 구동시 각판이 이격 및 밀착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46)의 외주면에는 케이스(64a)의 내측에 브라켓트로서 고정된 모터(44)의 핀니언기어(44a)가 맞물리는 랙기어(46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46)과 그 하측의 타격판(48) 저부 및 상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경사면 (50a)(52a)이 형성되는 돌부(50)(52)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46)의 회전에 따라 타격판(48)이 이격 및 밀착되면서 하부에 돌출 형성된 타격면(48a)이 베어링(10)을 타격토록 된다.
다음, 도 3 및 도 6,7 에서는 상기 베어링 인출부(6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베어링 인출부(60)는, 상기 타격판(48)의 하측으로 스프링(62a)을 개재하여 볼트(62) 연결되고, 외곽에는 연결판(28)과 케이스(64a) 고정되는 가이드판 (64)의 저부에 설치된 제 2 실린더(66)와 상기 실린더(66)에 스크류 결합되는 고정볼트(68)에 스프링(70)을 개재하여 상,하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링(72)의 외측으로 링크(74) 연결되어 가이드판 (64)의 저부를 따라 직선 운동하여 베어링(10)에 맞물리는 인출판(76)을 갖춘다.
그리고, 상기 인출판(76)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링(72)에 연결된 링크(74) 단부가 핀 고정되는 브라켓트(76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인출판(76)의 상단부는 상기 가이드판(64)의 저부에 90도 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홈(64a)에 삽입 지지되는 고정단(76b)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출판(76)의 하다부에는 베어링 (10)에 끼워지는 인출단(76c)이 일체로 형성되어 제 2 실린더(66) 작동시 상기 인출판(76)이 수평 이동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대차(34)의 저부에 설치된 제 3 실린더(30)를 작동시키게 되면 대차(34)는 그 저부에 설치된 이동휠(33)이 레일(32)을 따라 이동하다가, 대차(34)와 레일(32)에 설치된 센서(S1)(S2)가 만나게 되어 작동되면, 상기 제 3 실린더(30)의 작동은 중지되어 대차(34)는 정지하는데, 이와 같은 대차(34)의 이동후 중지위치는 이동대(36)를 따라 이동하는 장치(1)의 작업위치와 일치되도록 사전에 설정해둔다.
한편, 도 3에서는 상기 이동대(36)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프레임(22)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이동프레임(22)에는 모터가 연결되고 모터에 설치된 피니언기어가 이동대(36)에 설치된 랙기어에 맞물리어 모터 구동시 이동프레임(22)은 이동대(36)를 따라 이동하고, 결국 대차(34)와 이동프레임(22)의 이동방향으로 서로 직각이 되면서, 다음에 설명하는 베어링(10) 인출후에는 상기 이동프레임(22)이 이동하여 베어링(10)을 검사위치 또는 적치대에 적치되고, 대차(34)는 계속이동하여 베어링(10)이 분해된 쵸크(12)만이 전진하게 된다.
한편, 대차(34)의 이동으로 베어링 해체위치에 쵸크(12)가 도달하면, 상기 이동프레임(22)의 하측에 수직 설치된 제 1 실린더(24)가 작동하여, 상기 실린더 (24)의 로드 하단부에 고정된 연결판(28)이 그 양측으로 이동프레임(22)을 통하도록 수직 설치된 가이드바아(26)로서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판(28)이 하강하면 상기 연결판(28)의 저부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볼트(42)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아래에서 위로 연결된 타격판(48)과 회전판(46)이 일체로 하강 또는 상승하게 된다.
이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 상기 고정볼트(42)에는 베어링(49a)(49b)을 개재하여 회전판(46)이 안착 고정되고, 상기 회전판(46)의 양단부에 수직 고정되는 고정볼트(62)는 스프링(62a)을 개재하여 가이드판(64)이 볼트(62)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결판(28)과 가이드판(64)의 외곽에는 케이스(64a)가 볼트 고정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64a)의 내측 일부분에는 구동모터(44)가 고정되고, 결국 상기 구동모터(44)가 구동하면, 상기 구동모터(44)에 장착된 피이언기어(44a)가 회전판(46)의 원주면에 형성된 랙기어(4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44)를 구동시키면 상기 회전판(46)은 고정볼트(42)상에 베어링(49a)(49b)으로서 안정적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회전판(46)의 저부와 그 하측에 고정볼트(68)로서 연결된 타격판(48)의 상부에 설치된 돌부(50)(52)의각 경사면(50a)(52a)이 서로 밀착하거나 또흔 회전판(46)의 역회전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돌부들의 견사만큼 상기 타격판(48)은 상하 유동하게 되고, 그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타격판(48))의 외주면에 일체로 수직 형성된 타격면(48a)은 상기 모터(44)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62a)의 탄성으로 베어링(10)의 외곽부분을 타격하게 되고, 이와 같은 타격작동은 베어링(10)의 쵸크(12) 분해시 틈새를 발생시키어 분해작업을 원활하게 하는데, 종래 망치등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베어링(10)을 일정하게 자동적으로 타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타격판(48)의 하측으로 스프링(62a)을 개재하여 볼트(62) 연결되고, 외곽에는 연결판(28)과 케이스(64a) 고정되는 가이드판(64)의 저부에 설치된 제 2 실린더(66)를 작동시키면, 상기 실린더(66)와 스크류 결합되는 고정볼트(68)상에 스프링(70)을 개재하여 상,하측에 연결된 가이드링(72)은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제 2 실린더(66)가 전진하면 가이드링(72)사이의 간격은 좁하지면서 상기 가이드링(72)에 3단의 링크(74a)(74b)(74c) 즉, 끝단 링크(74c)가 후면에 설치된 지지판(76a)에 핀 고정되는 인출판(76)은 베어링(10)측으로 밀어진다,
따라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64)의 저부에 형성된 가이드홈(64a)에 상단의 고정단(76b)이 삽입된 인출판(76)은 일정하게 직선운동하여 베어링(10)에 밀착되면서 상기 인출판(76)의 하단부에 형성된 인출단(76c)이 베어링(10)의 인출부에 끼워지는데, 상기 인출판(76)은 베어링(10)의 내주면에 밀착토록 호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인출판(76)의 중앙에는 센서(S3)가 설치되어 있어 인출판(76)의 베어링 밀착을 감지하여 제 1 실린더(24)의 상승을 준비시킨다.
따라서, 상기 이동프레임(22)의 하측에 설치된 제 1 실린더(24)를 상승시키게 되면, 상술한 타격판(48)의 작동과 함께 상기 베어링(10)은 인출판(76ㅛ)의 상승과 함께 롤쵸크(12)로 부터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분해될 수 있고, 분해가 완료되면 제 1 실린더(24)는 상승된 상태에서 이동대(36)를 따라 이동프레임(22)이 이동하여 분해된 베어링(10)은 검사위치에 적치된다.
다음, 상기 대차(32)는 이동하여 롤쵸크(12)부분의 검사작업도 수행된후, 롤쵸크(12)와 베어링(10)의 조립 또는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되고, 다시 베어링(10)의 분해작업을 위한 초기 위치로 이동프레임(22) 및 대차(32)는 이동하여 대기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종래 수작업으로 치구(100)를 이용하여 베어링(10)을 쵸크(12)에서 분해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자동적으로 그리고 신속하면서도 연속적으로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베어링(10)을 분해할 수 있오 작업성이 향상되는 한편, 백업롤의 작동성이 향상되어 이를 이용한 압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에 의하면, 냉간압연라인에서 소재의 압연을 수행하는 워크롤을 지지하는 백업롤의 고속회전을 수행토록 롤쵸크에 설치되는 롤베어링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간편하게 수행토록 하는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백업롤의 롤쵸크에서 부터 베어링을 분해하는 데에 별도의 치구 및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필요없어 베어링 분해작업시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특히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롤베어링 분해작업으로 백업롤의 작동성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어 압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백업롤 쵸크(12)에 장착된 롤베어링(10)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
    대차 이송되는 쵸크(12)의 상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22)과 그 하측으로 수직 설치된 제 1 실린더(24)의 하부에 가이드바아(26)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연결판(28)을 갖추어 실린더 작동시 상하 이동하는 베이스부(20);와,
    상기 연결판(28)의 하부에 중앙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2)로서 베어링(49)을 개재하여 모터(44) 구동토록 설치된 회전판(46)과, 상기 고정볼트 (42)로서 하측에 연결된 타격판(48)을 갖추어 모터 구동시 각판이 이격 및 밀착되어 베어링(10)을 타격토록 하는 베어링 타격부(40); 및,
    상기 타격판(48)의 하측으로 스프링(62a)을 개재하여 볼트(62) 연결되고, 외곽에는 연결판(28)과 케이스(64a) 고정되는 가이드판(64)의 저부에 설치된 제 2 실린더(66)와 상기 실린더(66)에 스크류 결합되는 고정볼트(68)에 스프링(70)을 개재하여 상,하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링(72)의 외측으로 링크(74) 연결되어 가이드판 (64)의 저부를 따라 직선 운동하여 베어링(10)에 맞물리는 인출판(76)을 갖춘 베어링 인출부(6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12)는 저부에 설치된 제 3 실린더(30)로서 레일(3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휠(33)이 장착된 대차(34)상부에 안착 이동하며, 상기 이동프레임(22)은 상기 대차 이동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이동대(36)상에모터 구동되는 피니언기어 및 랙기어의 맞물림으로 이동토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실린더(24)는 이동프레임(22)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판(24a)의 저부에 수직 설치되어 상기 연결판(28)은 실린더(24) 작동시 상,하 이동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46)의 외주면에는 케이스(64a)의 내측에 브라켓트로서 고정된 모터(44)의 핀니언기어(44a)가 맞물리는 랙기어(46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46)과 그 하측의 타격판(48) 저부 및 상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경사면(50a)(52a)이 형성되는 돌부(50)(52)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 (46)의 회전에 따라 타격판(48)이 이격 및 밀착되면서 하부에 돌출 형성된 타격면 (48a)이 베어링(10)을 타격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판(76)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링(72)에 연결된 링크(74) 단부가 핀 고정되는 브라켓트(76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인출판(76)의 상단부는 상기 가이드판(64)의 저부에 90도 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홈(64a)에 삽입 지지되는 고정단(76b)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출판(76)의 하다부에는 베어링 (10)에 끼워지는 인출단(76c)이 일체로 형성되어 제 2 실린더(66) 작동시 상기 인출판(76)이 수평 이동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
KR1020000062236A 2000-10-23 2000-10-23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 KR20020031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236A KR20020031209A (ko) 2000-10-23 2000-10-23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236A KR20020031209A (ko) 2000-10-23 2000-10-23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209A true KR20020031209A (ko) 2002-05-01

Family

ID=1969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236A KR20020031209A (ko) 2000-10-23 2000-10-23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12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4937A (zh) * 2018-03-31 2019-10-11 上海东新冶金技术工程有限公司 用于冷轧设备轧辊轴承座拆卸的自动夹具及其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4937A (zh) * 2018-03-31 2019-10-11 上海东新冶金技术工程有限公司 用于冷轧设备轧辊轴承座拆卸的自动夹具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47291A (zh) 辊子快速拆装装置及拆装方法
CN101758074B (zh) 一种轧管机的芯棒夹持装置
CN105517719A (zh) 滚轧机轧边器
KR20020031209A (ko) 롤쵸크의 베어링 분해장치
KR100423429B1 (ko) 소둔로 롤 교체장치
CN203764700U (zh) 一种三辊式卷板机
CN108543837B (zh) 一种高质量卷板机
CN116833699A (zh) 一种球磨机衬板自动更换装置
CN105416910A (zh) 一种便于叉车搬运和倾倒的渣屑转运箱及操作方法
CN215236931U (zh) 一种操作侧移动式矫直机组合机架
CN210780453U (zh) 高压卧式电动机抽转子专用工具
UA76267C2 (en) Plant for continuous longitudinal welding of pipes and method for changing sets of rolls in welding chamber of the plant
CN210060982U (zh) 一种更换烧结机台车轮轴承的装置
CN109746358B (zh) 一种多倍力自对中轧制机
US3552171A (en) Roll changing device for rolling mills
CN206168954U (zh) 一种轧机液压推床
CN220635823U (zh) 一种圆钢输送辊道辅助压料装置
US3635066A (en) Roll assembly extractor for a rolling mill
CN219075103U (zh) 环锻件自动化生产线中的制坯加热单元
CN216669914U (zh) 一种锻件热处理后探伤专用承载机构
CN106238497B (zh) 制造金属管的方法、无缝管设备操作方法、顶管机、无缝管设备
CN111195827A (zh) 一种宽度限位的板材送料机
CN212239862U (zh) 一种焊接h型钢用翻滚架结构
KR200167524Y1 (ko)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
CN218460451U (zh) 一种轧辊拆辊装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