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0919A - 4륜 구동 자동차의 전방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 - Google Patents

4륜 구동 자동차의 전방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0919A
KR20020030919A KR1020000061282A KR20000061282A KR20020030919A KR 20020030919 A KR20020030919 A KR 20020030919A KR 1020000061282 A KR1020000061282 A KR 1020000061282A KR 20000061282 A KR20000061282 A KR 20000061282A KR 20020030919 A KR20020030919 A KR 20020030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vehicle body
arm
dustproof
body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곤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2000006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0919A/ko
Publication of KR20020030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91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91Supports comprising st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륜 구동 자동차의 전방 차동 장치로부터 차체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전방 차동 장치를 차체에 대해 마운팅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기구는 차체 브라켓과 차동 암과 제 1 및 제 2 방진 부재와 체결구를 포함한다. 차체 브라켓은 차체의 횡단 부재 일측으로부터 차동 장치 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차동 암은 차체 브라켓의 하측에 위치되고 그 하면은 개방된 원통관 형상의 수용부를 그 일측에 가지며, 그 타측은 차동 장치에 고정된다. 원판형의 제 1 방진 부재는 차체 브라켓과 차동 암의 수용부 사이에 설치되며, 차동 암의 상하 방향 진동을 흡수하고 그 진폭을 제한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그 하면에 형성된다. 원통형의 제 2 방진 부재는 차동암의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차동 암의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 진동을 흡수하며, 진폭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그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된다. 체결구는 차체 브라켓과 수용부의 상면과 제 1 및 제 2 방진 부재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들을 관통하여 브라켓과 차동 암과 제 1 및 제 2 방진 부재를 결합시킨다.

Description

4륜 구동 자동차의 전방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Device for mounting a front differential in a four wheel drive car}
본 발명은 4륜 구동 자동차의 전방 차동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차동 장치의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전방 차동 장치를 차체에 대해 마운팅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동 장치는 구동력을 좌우의 차축에 균등하게 분배하고 자동차의 선회 등에 의한 좌우 구동륜의 회전수 차이를 조절하여 자동차를 원환하게 자동차를 선회시키는 장치이다.
4륜 구동 자동차의 경우,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하나씩 모두 두 개의 차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된 차동 장치(2)는 마운팅 기구(3)에 의해 엔진 룸의 현가 장치 장착용 횡단 부재(1)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전륜에 대해 구동력 분배를 행한다.
도 2는 도 1의 마운팅 기구(3)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마운팅 기구는 차체 브라켓(5)과 차동 암(6) 및 한 쌍의 방진 부재(7a, 7b)를 포함하고 있다.
차체 브라켓(5)은 대략 L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수직부가 차체의 횡단 부재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차동 암(6)은 그 일측이 차동 장치의 일측면에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차체 브라켓(5)의 수평부 위에 놓여진다. 한 쌍의 방진 부재(7a, 7b)는 차체 브라켓(5)의 수평부와 차동 암(6)의 타측 사이 및 차동 암(6) 타측 위에 각각 위치되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차체 브라켓(5)의 수평부와 차동 암(6)의 타측 및 방진 부재(7a, 7b)에는 각각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8a)가 이 관통공들을 관통하여 너트(8b)로 체결되는 것에 의해 차체 브라켓(5)과 차동 암(6) 및 한 쌍의 방진 부재(7a, 7b)는 서로 결합되며, 그 결과 차동 케이스는 차체에 지지된다. 그리고, 구동륜 또는 엔진 등으로부터 구동축을 통해 차동 장치로 전달된 진동은 방진 부재(7a, 7b)의 탄성에 의해 흡수 저감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는 상하 방향의 진동에 대한 저감하는데는 효과가 있지만, 수평 방향 진동의 경우 차동 암과 볼트의 간섭 때문에 그 효과가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차동 암과 볼트의 간섭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는 그 구조상 상측 방향으로부터 조립 및 분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엔진 룸의 부품 배치상 차동 장치 및 마운팅 기구의 상측에 엔진과 같은 다른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차동 장치의 차체에 대한 조립 작업 및 정비를 위한 분해 작업시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에 의해 그 작업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하 방향의 진동뿐만아니라 수평 방향의 진동도 저감할 수 있는 4륜 구동 자동차의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 또는 분해 작업시 다른 부품과 간섭되지 않는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4륜 구동 자동차에 있어서 전방 차동 장치가 차체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방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기구에 의해 전방 차동 장치가 차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제 1 방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제 2 방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운팅 기구 11 ; 차체 브라켓
13 ; 제 1 방진 부재 14 ; 돌기
15 ; 차동 암 16 ; 수용부
18 ; 제 2 방진 부재 19a, 19b ; 스토퍼
21 ; 볼트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는 차체 브라켓과 차동 암과 제 1 및 제 2 방진 부재와 체결구를 포함한다.
차체 브라켓은 차체의 횡단 부재 일측으로부터 차동 장치 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차동 암은 차체 브라켓의 하측에 위치되고 그 하면은 개방된 원통관 형상의 수용부를 그 일측에 가지며, 그 타측은 차동 장치에 고정된다. 원판형의 제 1 방진 부재는 차체 브라켓과 차동 암의 수용부 사이에 설치되며, 차동 암의 상하 방향 진동을 흡수하고 그 진폭을 제한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그 하면에 형성된다. 원통형의 제 2 방진 부재는 차동암의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차동 암의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 진동을 흡수하며, 진폭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그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된다. 체결구는 차체 브라켓과 수용부의 상면과 제 1 및 제 2 방진 부재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들을 관통하여 브라켓과 차동 암과 제 1 및 제 2 방진 부재를 결합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기구에 의해 전방 차동 장치가 차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기구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기구(10)는 차체 브라켓(11), 차동 암(15), 제 1 방진 부재(13), 및 제 2 방진 부재(18)를 포함하고 있다.
차체 브라켓(11)은 차체의 횡단 부재(1) 일측에 횡단 부재(1)로부터 차동 장치(2)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 차체 브라켓(11)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차동 암(15)은 대략 L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수직부가 차동 장치(2)의 차동 케이스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된다. 차동 암(15)의 수평부 끝에는 대략 원통관 형상의 수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6)의 상면에는 차체 브라켓(11)의 관통공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16)의 하면은 개방되어 있다.
제 1 방진 부재(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을 가지는 부재이며,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 1 방진 부재(13)의 중앙에는 차체 브라켓(11) 및 수용부(16)의 관통공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방진 부재(13)의 하면에는 다수의 돌기(14)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 2 방진 부재(1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상술한 부재들의관통공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제 1 방진 부재(13)와 마찬가지로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 2 방진 부재(18)는 그 상하면에 각각 스토퍼(19a, 19b)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스토퍼(19a)는 제 2 방진 부재(18)의 관통공 불레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하측 스토퍼(19b)는 제 2 방진 부재(18)의 외주면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차체 브라켓(11)의 하면에 제 1 방진 부재(13)가 위치되고, 그 하측에 차동 암(15)의 수용부(16)가 위치된다. 수용부(16) 내에는 제 2 방진 부재(18)가 수용된다.
도면에서 수용부(16)와 제 2 방진 부재(18) 사이에 개재된 원통형 부재(17)는 제 2 방진 부재(18)를 수용부(16)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즉, 통상적으로 차동 암(15)은 주물에 의해 제조되는데 고무 재질의 제 2 방진 부재(18)는 주물로 이루어진 수용부(16)의 내면에 잘 부착되지 않으므로, 프레스로 형성된 원통형 부재(17)에 제 2 방진 부재(18)를 삽입하여 부착한 다음 원통형 부재(17)를 수용부(16)에 억지끼움으로써 제 2 방진 부재(18)를 차동 암(15)의 수용부(16)에 고정한다.
차체 브라켓(11), 제 1 방진 부재(16), 차동 암(15)의 수용부(16), 및 제 2 방진 부재(18)가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배치된 다음 볼트(21)가 제 2 방진 부재(18), 수용부(16), 제 1 방진 부재(13), 및 차체 브라켓(11)의 관통공들을 차례로 관통하여 차체 브라켓(11)의 상측에서 너트(22)로 체결되는 것에 의해 마운팅 기구(10)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면 부호 23은 볼트(21)와 너트(22)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와셔이다.
이와 같이, 마운팅 기구(10)의 조립이 하측으로부터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 및 정비를 위한 분해시 엔진과 같은 다른 부품과의 간섭에 의해 작업이 방해받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10)는, 차동 장치의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즉, 상하 방향의 진동은 제 1 및 제 2 방진 부재(13, 18)에 의해 저감되며, 제 1 방진 부재(13)의 돌기들(14) 및 제 2 방진 부재(18)의 스토퍼들(19a, 19b)로 상하 방향의 진폭을 제한할 수 있다. 특히, 제 1 방진 부재(13)에 형성된 돌기들(14)의 수와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진동 주파수와 진폭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의 진동 저감은 제 2 방진 부재(18)에 의해 이루어지며, 제 2 방진 부재(18)의 스토퍼들(19a, 19b)은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의 진폭도 제한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는 상하 방향의 진동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의 진동도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기구는 그 조립 및 분해가 차체의 하측으로부터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 또는 분해 작업시 다른 부품과의 간섭에 의해 그 작업이 방해받지 않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차체의 횡단 부재 일측으로부터 차동 장치 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차체 브라켓;
    상기 차체 브라켓의 하측에 위치되고 그 하면은 개방된 원통관 형상의 수용부를 그 일측에 가지며, 타측은 차동 장치에 고정되는 차동 암;
    상기 차체 브라켓과 상기 차동 암의 수용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차동 암의 상하 방향 진동을 흡수하고 그 진폭을 제한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그 하면에 형성된 원판형의 제 1 방진 부재;
    상기 차동암의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상기 차동 암의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 진동을 흡수하며, 진폭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그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된 원통형의 제 2 방진 부재; 및
    상기 차체 브라켓과 수용부의 상면과 제 1 및 제 2 방진 부재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들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과 차동 암과 제 1 및 제 2 방진 부재를 결합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4륜 구동 자동차의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
KR1020000061282A 2000-10-18 2000-10-18 4륜 구동 자동차의 전방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 KR20020030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282A KR20020030919A (ko) 2000-10-18 2000-10-18 4륜 구동 자동차의 전방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282A KR20020030919A (ko) 2000-10-18 2000-10-18 4륜 구동 자동차의 전방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919A true KR20020030919A (ko) 2002-04-26

Family

ID=1969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282A KR20020030919A (ko) 2000-10-18 2000-10-18 4륜 구동 자동차의 전방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09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342B1 (ko) * 2007-12-05 200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디퍼렌셜 마운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342B1 (ko) * 2007-12-05 200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디퍼렌셜 마운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9479A (en) Suspension system for an engine and transmission assembly mounted transversely in a vehicle
EP1800914A1 (en) Strut mount
US5887843A (en) Dynamic damper structure
KR20010050365A (ko) 진동흡수체 및 이것을 사용한 주행차체용 진동흡수 지지장치
US4815556A (en) Vibration-proof apparatus for a vehicle
JP2540081B2 (ja) 後車軸伝動装置用支持装置
KR20020030919A (ko) 4륜 구동 자동차의 전방 차동 장치용 마운팅 기구
KR101034019B1 (ko) 다이나믹 댐핑장치
JPH09263143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の取付構造
JPH05125745A (ja) オペレータキヤビンの弾性支持装置
JPS5885716A (ja) 自動車用パワ−ユニツトのマウンテイング装置
JPH02117472A (ja) フロントフレームにおけるボデーマウント構造
JP3591210B2 (ja) 四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ァ固定装置
KR100475889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보강구조
KR100440007B1 (ko) 종감속 차동장치의 드라이브 샤프트
JPH0249057Y2 (ko)
KR100803819B1 (ko) 차량의 바디 마운트
KR970003669Y1 (ko) 자동차용 뒷바퀴 축을 고정시키는 새시크로스 멤버구조
KR20020048489A (ko) 차량의 바디 마운트 구조
JPS6346249Y2 (ko)
CN118107327A (zh) 悬架装置和车辆
KR19980040373U (ko) 자동차의 후론트 쇽 업쇼버 하우징
KR19980056518A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KR19980016521U (ko) 추진축 지지용 베어링 어셈블리
JPH02266138A (ja) 防振支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