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0151A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보안 시스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보안 시스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0151A
KR20020030151A KR1020000060727A KR20000060727A KR20020030151A KR 20020030151 A KR20020030151 A KR 20020030151A KR 1020000060727 A KR1020000060727 A KR 1020000060727A KR 20000060727 A KR20000060727 A KR 20000060727A KR 20020030151 A KR20020030151 A KR 20020030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uetooth
password
security system
initi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이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원 filed Critical 이지원
Priority to KR102000006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0151A/ko
Publication of KR2002003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15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only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
    • G07C2009/003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only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 and the lock having only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보안 시스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장소에서 시건 장치와 접촉 없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시건 장치를 괘. 해정 또는 보안 시스템의 인식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내에 블루투스를 내장하고, 보안 시스템내에 블루투스를 내장하여 근거리 통신에 의해 보안 시스템 내의 시건 장치 작동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보안 시스템 제어 방법 {A locking security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with bluetooth}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보안 시스템(또는 시건 장치)에 있어서는 열쇠, 카드 키, 지문 인식 또는 리모트 콘트롤을 이용한 원격장치(이하 인식 도구라 약칭함) 등을 이용하여 시건 장치나 보안시스템을 인식 가능하게 하거나, 음성인식 및 영상 인식을 통해 시건 장치나 보안 시스템을 인식 가능하게 하는 것들이 소개 되고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관련장치의 인식이 필요할 때 마다 인식 장치에 접촉 시켜야 하므로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인식 도구 중 리모트 콘트롤은 인식이 필요할 때마다 별도의 버턴을 눌러야만 인식이 가능하므로 이 역시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더구나, 사용자가 예컨데 집 열쇠, 자동차 키, 사무실 카드 키 등을 각각 소지해야하는 점도 그 불편을 크게 가중시키는 요인이 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일정 거리 이격된 장소에서 시건 장치 등을 인식할 수 있으나, 인식에 필요한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이에 드는 장치 비용이 과다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지적된다.
본 발명은 일정거리 이격된 장소에서 시건 장치 등과 직접 접촉 없이 신속하게 인식이 가능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한 개의 장치로서 다수의 시건 장치나 보안 시스템을 작동시키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현재 개발 추진 중인 소형, 저출력, 저가격의 근거리(수 미터 이내)용 양방향 무선통신 장치인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양방향 무선 통신 즉, 근거리 통신을 통해 시건 장치나 보안 시스템을 제어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일반 사용자가 거의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와 시건 장치나 보안 시스템 각각 내부에 상기 블루투스를 내장하여 상호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게 하여 보안 시스템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가 내장된 시건 장치(보안 시스템)와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ID/비밀번호, 블루투스 출력모드 및 타이밍의 조건을 부여하여 근접거리에서 시건 장치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드웨어적 구성도
도 3a, 3b, 3c는 본 발명의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휴대용 단말기 11 : 블루투스
12 : 입력자판 13 : LCD
20 : 시건 장치(보안 시스템) 21 : 블루투스
22 : 중앙 처리부 24 : 시건 장치 작동부
25 : 기억 장치부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10)내부에 블루투스(11)를 내장하고, 이 휴대용 단말기(10)내의 블루투스(11)와 수 미터 이격된 아파트/단독주택 내의 시건 장치(20) 또는 회사 내의 보안 시스템(20) 각각의 블루투스(21) 상호간 근거리 통신이 가능함을 보여 주는 것이다. 상기에서, 시건 장치(20)와 보안 시스템(20)을 동일 부호로 사용한 것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며, 동일한 장치 또는 시스템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의 실시예는 편의적으로 시건 장치를 대상으로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하드웨어적 구성도로서, 휴대용 단말기 (10)내부에는 단말기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하드웨어적 구성(미 도시)이외에 입력자판(12) 및 LCD(13)가 블루투스(11)와 연계되어 구성되며, 입력자판(12)을 통해 입력된 신호는 블루투스(11)를 통해 시건 장치(20)측으로 무선 전송되거나, LCD(13)에 표시된다. 상기 시건 장치(20)는 휴대용 단말기(10)내부의 블루투스(11)와 무선통신 가능한 브루투스(21)와, ID/비밀번호, 블루투스 RF 출력모드 및 타이밍 조건을 제어 처리하는 중앙 처리부(22)와, 상기 중앙 처리부(22)의 제어 신호에 의해 온/오프 처리되는 제어 회로부(23) 및 시건 장치 작동부(24)로 구성된다. 도면 중 25는 기억 장치부 이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서 휴대용 단말기(10)는 브루투스(11)RF 출력모드가 사전 설정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며, 휴대용 단말기(10)의 ID/비밀번호, 블루투스 RF 출력모드, 타이밍 기간 등의 정보가 자동 전송 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시건 장치(20)는 잠김 상태를 전제로 하되, 휴대용 단말기(10)의 ID/비밀번호, 타이밍 정보가 저장된 상태로 하며, 주기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에 캐리어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즉, 사용하기 전에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블루투스(11)가 내장 된 휴대용 단말기(10)에서 휴대용 단말기 고유 ID번호(블루투스가 고유 ID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장치 ID번호)또는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휴대용 단말기 ID번호, 비밀번호, 블루투스 출력모드, 타이밍 기간 등의 초기 데이터를 시건 장치(20)내의 기억장치(25)에 입력시키고, 휴대용 단말기(10)가 시건 장치(20)의 통신 가능 거리이내로 접근하면 시건 장치(20)에서 휴대용 단말기(10)의 ID 확인만으로 시건 장치(20)를 자동으로 작동 되게 하며, 비밀번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 작동 모드로 되게 한다. 그리고, 비밀번호는 시건 장치(20)에서 휴대용 단말기 (10)가 확인된 경우에도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에만 시건 장치(20)가 수동 작동 모드로 작동되게 하고, 블루투스 RF 출력모드는 근거리 통신 또는 원거리 통신을 선택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저 출력모드(0 ㏈m)일 경우에는 아파트/회사 내의 시건 장치(20)작동을 위한 근거리(수 미터에서 10m이내), 고 출력모드(수 ㏈m)일 경우에는 원격 차량 시동 및 시건 장치(20) 작동 등을 위한 원거리(수 십 미터에서 100미터 이내) 통신용으로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기간은 휴대용 단말기(10)가 시건 장치(20)와 통신 가능 범위 내에 계속해서 체류하는 경우 시건 장치(20)의 연속 동작 방지를 위한 시간 간격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기반으로 도 3a, 3b, 3c의 흐름도를 통해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시건 장치(20)내의 블루투스(21)에서 일정 주기로 캐리어 신호가 송출되어 휴대용 단말기(10)에서 이를 감지(이 경우는 휴대용 단말기가 시건 장치의 블루투스와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이다)하는 단계(S10)와, 휴대용 단말기(10)내에 사전 지정된 휴대용 단말기 ID 번호와 블루투스(11)RF 출력모드를 시건 장치(20)측에 전송하고, 수신하는 단계(S20)와, 시건 장치(20)가 캐리어 신호 송출을 중단하고, 기억 장치부(25)에 저장된 휴대용 단말기의 ID와 수신된 단말기의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비정상 사용으로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S30)와, 상기 단계에서 일치하는 경우에는 타이밍 확인을 통해 주어진 시도가 연속 동작을 요구하는가를 판단하여 주어진 타이밍 기간 이내로 연속 동작을 요구한 경우에는 비정상 작동(연속작동)요구로 초기상태 복귀하는 단계(S40)와, 단말기 ID번호가 일치하고 연속작동 요구가 아닌 정상적인 시도인 경우(타이밍 기능 작동 기간이 아닌 경우)수신된 블루투스 출력모드를 확인하는 단계(S50)와, 블루투스 모드가 원거리 통신모드(단계 : S60)인 경우에는 단말기에 작동명령(예 : 시동명령, 시건 장치 작동명령 등)을 입력하도록 요구하고(단계 : S61), 단말기에서 작동명령 입력요구 신호를 수신(단계 : S62)하면 단말기 LCD에 작동명령 입력 요구를 표시함과 동시에 단말기 입력자판에서 작동명령을 입력(비밀번호 요구시 비밀번호 포함)(단계 : S63)하여 시건 장치에 송출하여 수신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S64)와, 블루투스 출력모드가 근거리 통신모드(단계 : S70)인 경우(원거리 통신 모드인 경우도 포함) 해당 단말기에 대한 비밀번호가 기억 장치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71)와, 사전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연속작동 방지를 위한 타이밍 기능을 작동시키고(단계 : S72), 시건 장치를 작동(자동작동 모드)시킨 후 초기상태로 복귀하는 단계(S73)와, 사전에 비밀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비밀번호 입력요구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74)와, 단말기에서 비밀번호 입력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기의 LCD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S75)와, 단말기의 입력자판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비밀번호를 입력된 비밀번호를 시건 장치로 송출하는 단계(S76)와, 시건 장치에서 입력된 비밀번호를 수신하면 사전에 기억 장치부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비교하는 단계(S77)와,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정상 사용으로 초기상태로 복귀하는 단계(S78)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시건장치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S80)를 통하여 수행된다.
상기에서, 시건 장치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80)는 시건 장치 작동 및 수신된 장치 작동 명령 수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회로에 송출하는 단계(S81)와, 지정 시간동안 시건 장치를 작동시켜 단말기에 정상완료 통보를 수행하는 단계(S82)와, 단말기에 전상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 LCD에 전상완료 상태를 표시하고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S83)로 이루어지며, 단계(S30, S40, S73, S78)에서는 단말기에 비정상 사용 통보를 수행함과 동시에 초기상태로 복귀하는 단계(S91)와, 단말기에 비정상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기 LCD에 비정상 완료 상태를 표시하고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S9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원거리 통신모드(단계 : S60)를 이용하면 차량의 비정상 시건장치 작동 등의 돌발상황 발생시 시건 장치 작동 상황을 단말기에 통지하여 경보음 등을 발생 시키므로써 원격 차량 검지 시스템으로도 사용 가능하게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시건 장치(보안 시스템 포함)를 화상 인식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하면 화상 인식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보다 보안성이 뛰어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평소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단말기내에 블루투스를 내장 시켜 시건 장치나 보안 시스템에 열쇠나 카드 키 등을 직접 접촉시킴이 없이 자동으로 작동시키게 하는 것으로, 한 개의 블루투스 내장 단말기로 여러개의 보안 시스템 작동이 가능하여 별도의 열쇠나 카드 키 등의 소지가 불필요 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인식 시간의 단축 및 장치 가격의 저렴성을 제공하여 생산성 향상은 물론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원격 차량 검지 시스템 및 화상 인식장치 등에 적용 가능하는 등 범용적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휴대용 단말기(10)내부에 블루투스(11)를 내장하고, 이 휴대용 단말기(10)내의 블루투스(11)와 시건 장치(20)내의 블루투스(21) 상호간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게 하여 시건 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시건 장치(20)는 휴대용 단말기(10)내부의 블루투스(11)와 무선통신 가능한 브루투스(21)와, ID/비밀번호, 블루투스 RF 출력모드 및 타이밍 조건을 제어 처리하는 중앙 처리부(22)와, 상기 중앙 처리부(22)의 제어 신호에 의해 온/오프 처리되는 제어 회로부(23) 및 시건 장치 작동부(2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2. 시건 장치내의 블루투스에서 일정 주기로 캐리어 신호가 송출되어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휴대용 단말기내에 사전 지정된 휴대용 단말기 ID 번호와 블루투스 RF 출력모드를 시건 장치측에 전송하고, 수신하는 단계(S20)와, 시건 장치가 캐리어 신호 송출을 중단하고, 기억 장치부에 저장된 휴대용 단말기의 ID와 수신된 단말기의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비정상 사용으로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S30)와, 상기 단계에서 일치하는 경우에는 타이밍 확인을 통해 주어진 시도가 연속 동작을 요구하는가를 판단하여 주어진 타이밍 기간 이내로 연속 동작을 요구한 경우에는 비정상 작동요구로 초기상태 복귀하는 단계(S40)와, 단말기 ID번호가 일치하고 연속작동 요구가 아닌 정상적인 시도인 경우 수신된 블루투스 출력모드를 확인하는 단계(S50)와, 블루투스 출력모드가 원거리 통신모드 및 근거리 통신모드에 따라 시건 장치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블루투스 모드가 원거리 통신모드(단계 : S60)인 경우에는 단말기에 작동명령을 입력하도록 요구하고(단계 : S61), 단말기에서 작동명령 입력요구 신호를 수신(단계 : S62)하면 단말기 LCD에 작동명령 입력 요구를 표시함과 동시에 단말기 입력자판에서 작동명령을 입력(단계 : S63)하여 시건 장치에 송출하여 수신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S64)와, 블루투스 출력모드가 근거리 통신모드(단계 : S70)(단계 : S60포함)인 경우 해당 단말기에 대한 비밀번호가 기억 장치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71)와, 사전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연속작동 방지를 위한 타이밍 기능을 작동시키고(단계 : S72), 시건 장치를 작동시킨 후 초기상태로 복귀하는 단계(S73)와, 사전에 비밀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비밀번호 입력요구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74)와, 단말기에서 비밀번호 입력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기의 LCD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S75)와, 단말기의 입력자판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비밀번호를 입력된 비밀번호를 시건 장치로 송출하는 단계(S76)와, 시건 장치에서 입력된 비밀번호를 수신하면 사전에 기억 장치부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비교하는 단계(S77)와,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정상 사용으로 초기상태로 복귀하는 단계(S78)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시건 장치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S8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시건 장치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80)는 시건 장치 작동 및 수신된 장치 작동 명령 수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회로에 송출하는 단계(S81)와, 지정 시간동안 시건 장치를 작동시켜 단말기에 정상완료 통보를 수행하는 단계(S82)와, 단말기에 전상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 LCD에 전상완료 상태를 표시하고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S8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000060727A 2000-10-16 2000-10-16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보안 시스템 제어방법 KR20020030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727A KR20020030151A (ko) 2000-10-16 2000-10-16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보안 시스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727A KR20020030151A (ko) 2000-10-16 2000-10-16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보안 시스템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151A true KR20020030151A (ko) 2002-04-24

Family

ID=1969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727A KR20020030151A (ko) 2000-10-16 2000-10-16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보안 시스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01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983A (ko) * 2001-08-23 2003-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기능을 가진 방문자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05111882A1 (en) * 2004-05-15 2005-11-24 Kbc Inc. Digital card loaded on mobile device and system for billing using by the digital card and method thereof
CN111445603A (zh) * 2020-03-25 2020-07-24 上海银基信息安全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蓝牙的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2776A (ja) * 1994-05-18 1995-11-28 Shimizu Corp 簡易型携帯電話利用ビル管理システム
JPH0988396A (ja) * 1995-05-04 1997-03-31 Kiekert Gmbh & Co Kg 自動車のドアを開く権利を有する者だけに自動車のドアを開くことを許容する、自動車における安全装置
KR970047805A (ko) * 1995-12-13 1997-07-26 김태구 대형차량용 프론트액슬의 u-볼트 취부구멍 위치 측정장치
KR19980072384A (ko) * 1997-03-05 1998-11-05 김광호 양방향 무선 호출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장치와 그 제어방법
JP2000129978A (ja) * 1998-10-28 2000-05-09 Hitachi Ltd ドアロック開閉システム
US6072402A (en) * 1992-01-09 2000-06-06 Slc Technologies, Inc. Secure entry system with radio communications
KR20000051224A (ko) * 1999-01-15 2000-08-16 신동원 무조작열쇠에 의한 자물쇠의 괘해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2402A (en) * 1992-01-09 2000-06-06 Slc Technologies, Inc. Secure entry system with radio communications
JPH07312776A (ja) * 1994-05-18 1995-11-28 Shimizu Corp 簡易型携帯電話利用ビル管理システム
JPH0988396A (ja) * 1995-05-04 1997-03-31 Kiekert Gmbh & Co Kg 自動車のドアを開く権利を有する者だけに自動車のドアを開くことを許容する、自動車における安全装置
KR970047805A (ko) * 1995-12-13 1997-07-26 김태구 대형차량용 프론트액슬의 u-볼트 취부구멍 위치 측정장치
KR19980072384A (ko) * 1997-03-05 1998-11-05 김광호 양방향 무선 호출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장치와 그 제어방법
JP2000129978A (ja) * 1998-10-28 2000-05-09 Hitachi Ltd ドアロック開閉システム
KR20000051224A (ko) * 1999-01-15 2000-08-16 신동원 무조작열쇠에 의한 자물쇠의 괘해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983A (ko) * 2001-08-23 2003-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기능을 가진 방문자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05111882A1 (en) * 2004-05-15 2005-11-24 Kbc Inc. Digital card loaded on mobile device and system for billing using by the digital card and method thereof
CN111445603A (zh) * 2020-03-25 2020-07-24 上海银基信息安全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蓝牙的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445603B (zh) * 2020-03-25 2022-11-18 上海银基信息安全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蓝牙的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71928A1 (en) Usb memory device connected with smart phone
US20030199267A1 (en) Security system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7627904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locking function
US6081704A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2005025044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220556A1 (en) Remote disabling of a mobile phone device
KR100321853B1 (ko) 도어록 장치
JP2007036647A (ja) 端末自動設定システム、制御エリア情報発信装置、サーバ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20030151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보안 시스템 제어방법
AU723224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6033552A (ja) 携帯通信端末装置、外部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切替方法
KR20140118532A (ko) 이동단말기 분실 방지 시스템
CN112383953A (zh) 便携式组网协助装置和无线传感器组网系统
WO2001069557A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YING A PERSON&#39;S LIFE
CN202611356U (zh) 电子钥匙与电子锁
KR10023405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상태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CN214475088U (zh) 一种教学信息录入系统
KR100758634B1 (ko)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0171831B1 (ko) 버스방식을 이용한 집합주택 관리 시스템에서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및 방법
KR20190042325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에티켓 시스템
JP3461489B2 (ja) 携帯無線端末の発信/着信規制システム
KR100797123B1 (ko) 근거리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82725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장치 및 방법
JPWO2006117908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ユニット並びに携帯端末装置の置き忘れ検出システム
KR200224834Y1 (ko) 무인경비시스템의 리드스위치를 이용한 무선리모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