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8944A -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8944A
KR20020028944A KR1020020008351A KR20020008351A KR20020028944A KR 20020028944 A KR20020028944 A KR 20020028944A KR 1020020008351 A KR1020020008351 A KR 1020020008351A KR 20020008351 A KR20020008351 A KR 20020008351A KR 20020028944 A KR20020028944 A KR 20020028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valve
tap water
wat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686B1 (ko
Inventor
홍순진
정근우
Original Assignee
홍순진
정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진, 정근우 filed Critical 홍순진
Priority to KR10-2002-0008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686B1/ko
Publication of KR2002002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90Basins movable between several 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밸브손잡이(39)의 회전방향에 따라 밸브체(30)의 해당 통과수로(36a)(36b)가 개방되면서 수도관(12)으로부터의 수돗물 수압에 의한 승강실린더(20)의 작동으로 싱크대 또는 세면대(10)를 임의 높이의 해당방향으로 편리하게 무전력으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싱크대 또는 세면대(10)의 저부와 바닥(15)간에 연결 설치되어 수돗물의 공급 및 배출로 피스톤로드(21)가 승강되면서 세면대(10)를 승강 이동시키게 되는 승강실린더(20)와; 세면대(10) 저부에 설치되어 밸브스풀(32)의 회전이동으로 공급수관(23)을 통해 승강실린더(20)의 일측에 연결된 피스톤작동관(25)(26)으로 수돗물을 공급시키는 동시에 반대쪽의 피스톤작동관(26)(25)으로 수돗물을 배출시켜 승강피스톤(22)의 피스톤로드(21)를 승강 이동시키는 밸브체와(30); 공급수관(23)과 연결되어 수돗물이 공급되는 수도관(12) 및 배출수관(24)과 연결되어 수돗물이 배출되는 배수관(14)과; 세면대(10)의 전방 및 측방으로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면서 상측부위가 하측부위에 대해 전방 바깥쪽으로 승강 이동되는 장식 커버(16)(17)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A Controlled Height Device Of Water Pressure Working Type}
본 발명은 사용하는 수돗물을 이용하여 무전력에 의한 수압으로 세면대나 싱크대를 높이 조절할 수 있는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손잡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밸브체의 해당 통과수로가 개방되면서 공급되는 수도관으로부터의 수돗물 수압에 의한 승강실린더의 작동으로 세면대나 싱크대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의 해당방향으로 편리하게 무전력으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사용하는 화장실의 세면대나 주방의 싱크대는 성인을기준으로 한정된 높이로 벽면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그 설치높이에 비해 키가 크거나 작은 사람이 사용하기가 대단히 불편한 것은, 특히 어린이의 경우에는 이러한 일반적인 성인 높이의 세면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곤란함이 있다.
한편, 이러한 세면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소개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번호 제89-9081호에서는 세면대의 후방에 랙을 고정시켜 피니언으로 그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으나, 랙의 피치간격만큼씩의 높이조절을 할 수 없음은 물론 세면대를 하방으로 이동시에 래치기어를 이탈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사용중에 래치기어가 이탈되면 세면대가 히부로 떨어지는 우려를 유발하게 되는 등의 편리성 및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번호 제87-1447호에서는 실린더(2)에 형성된 피스톤(3)의 작동봉(4)에 세면대(1)를 고정편(5)으로 착설하여 압축기(6)의 작동버튼(7)(8)으로 상,하작동시켜 세면대(1)의 높이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압축기(6)를 벽체 내부에 설치구성시키는 시공작업의 번거로움은 물론 세면대(1)가 하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밀리게 되는 등의 구조적인 한계로 사용상의 편리성 및 안정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도 5에 도시한 세면대를 기계적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구조보다 상대적으로 발전된 개선 구조가 소개되고는 있으나, 대부분 세면대를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복잡한 기계적인 장치나 또는 물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전기적인 장치를 구성으로 하고 있어 불편한 점이 많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밸브손잡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밸브체의 해당 통과수로가 개방되면서 공급되는 수도관으로부터의 수돗물 수압에 의한 승강실린더의 작동으로 세면대 또는 싱크대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의 해당방향으로 정확하고 안정되면서 편리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무전력의 수량 개폐만으로 세면대가 높이 조절될 수 있게 기본 실시예의 밸브체가 세면대 저부에 설치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로 사용된 슬라이드 밸브형태의 수량개폐수단인 밸브체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로 사용된 밸브체의 수량공급 방향조절로 승강실린더가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세면대를 승강 이동시키는 작동상태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로 사용된 밸브체의 수량공급 방향조절에 의해 세면대가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되는 작동상태 구조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기계적인 동력 전달로 높이 조절되는 세면대 작동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세면대 11 : 수도꼭지
12 : 수도관 13 : 벽체
14 : 배수관 15 : 바닥
16,17 : 장식커버 18 : 고정브래킷
20 : 승강실린더 21 : 피스톤로드
22 : 승강피스톤 23 : 공급수관
24 : 배출수관 25,26 : 피스톤작동관
27 : 리턴스프링 28 : 베어링
30 : 밸브체 31 : 밸브하우징
32 : 밸브스풀 33a,33b : 밀폐패킹
34 : 밸브커버 35 : 손잡이체결구
36a,36b : 통과수로 37a,37b : 물통과홈
38a,38b : 물통과공 39 : 밸브손잡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는, 싱크대 또는 세면대의 저부와 바닥간에 수직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무전력에 의한 수돗물의 공급 및 배출로 피스톤로드가 승강 동작되면서 상기 싱크대 또는 세면대를 승강 이동시키게 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싱크대 또는 세면대 저부에 설치 고정되어 밸브손잡이의 회전동작에 따른 밸브스풀의 회전이동으로 공급수관을 통해 상기 승강실린더의 일측에 연결된 피스톤작동관으로 수돗물을 공급시키는 동시에 반대쪽의 피스톤작동관으로 수돗물을 배출시켜 상기 싱크대 또는 세면대 저부에 연결된 승강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승강 이동시키는 밸브체와; 상기 공급수관과 연결되어 수돗물이 공급되는 수도관 및 상기 배출수관과 연결되어 수돗물이 배출되는 배수관과; 상기 싱크대 또는 세면대의 전방 및 측방으로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면서 상측부위가 하측부위에 대해 전방 바깥쪽으로 승강 이동되는 장식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밸브체는 승강실린더의 승강피스톤에 대해 위쪽으로 상승 및 바닥쪽으로 하강 이동시키는 양방향의 통과수로가 직각방향으로 각각 관통형성된 원통형상의 밸브스풀과, 상기 밸브스풀의 손잡이체결구에 결합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동작시킬 수 있게 파지하는 밸브손잡이와, 상기 밸브스풀의 양방향 통과수로에 대응되어 수돗물이 공급 및 배출될 수 있게 물통과 홈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밸브스풀의 외측과 상측에 삽입 및 안착되면서 밀폐되는 밀폐패킹과, 상기 밸브스풀이 원활하게 회전 동작되면서 보호될 수 있게 상기 상측의 밀폐패킹 위에 안착되는 베어링 및 밸브커버와, 상기 밸브스풀이 삽입되어 회전 동작되면서 해당 방향으로 수돗물이 공급 및 배출될 수 있게 상기 밀폐패킹의 물통과홈에 대응되는 해당 물통과공이 각각 관통 형성된 밸브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밸브체는 승강실린더의 승강피스톤에 대해 위쪽으로 상승 및 바닥쪽으로 하강 이동시키게 되는 수돗물 수압이 통과될 수 있게 양방향의 통과수로가 관통 형성된 밸브스풀이 봉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밸브스풀을 상하 회전을 통해 왕복 이동시키는 밸브손잡이가 상기 밸브스풀의 중앙 또는 일단에 축결합되면서 밸브하우징과의 작동 틈새 한쪽 또는 양쪽으로는 작동 후에 중립위치로 자동 복귀되는 리턴스프링이 탄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무전력에 의한 수돗물 수압으로 세면대 또는 싱크대를 높이 조절할 수 있는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쉽게 전달 이해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1에서 보는 바와같이, 벽체(13)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싱크대 또는 세면대(10)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바닥(15)으로부터 임의 높이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싱크대 또는 세면대(10)의 저부에 수돗물 수압의 방향을 무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밸브체(30)가 설치 고정되는 한편, 상기 밸브체(30)를 통한 수돗물 수압으로 상기 싱크대 또는 세면대(10)가 수직방향으로 승강 이동될 수 있게 승강실린더(20)가 바닥(15)에 설치되면서 상기 승강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1) 일단은 상기 싱크대 또는 세면대(10)의 저부에 연결 구성된다.
특히 밸브체(30)는 곡면 형태인 세면대(10) 저부에 직접 부착 고정되기 곤란하므로 별도의 고정브래킷(18)으로 부착 고정되며, 승강실린더(20)는 승강피스톤(22)쪽의 일단이 바닥(15)에 직접 볼트체결 등으로 부착 고정되고, 이들 밸브체(30)와 승강실린더(20)간에는 수돗물이 공급되어 순환 배출되면서 상기 승강실린다(20)의 승강피스톤(22)을 해당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게 피스톤작동관(25)(26)이 각각 설치 배설된다.
또한 밸브체(30)는 중앙 또는 일단에 축결합된 밸브손잡이(39)의 회전 조작을 통해 별도의 전기적인 제어 없이도 무전력으로 수돗물이 공급되어 승강실린더(20)쪽으로 공급 순환될 수 있게 수도꼭지(11)가 연결된 벽체(13)의 수도관(12)에서 공급수관(23)이 분기 연결되는 한편, 상기 세면대(10)의 배수관(14)으로 사용된 수돗물이 배출될 수 있게 배출수관(24)이 분기 연결되며, 상기 밸브체(30)의 적용으로 이들 수도관(12)과 배수관(14)은 승강실린더(20)의 승강 동작에 따라 함께 그 높이가 부드럽게 조절될 수 있게 유동 가능한 호스구조로 구성되거나 인입출 가능한 안테나 형태의 다관절로 구성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세면대(10) 또는 싱크대 저부 공간에 설치되어 수돗물 수압으로 상기 세면대(10)를 높이 조절하게 되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장치가 그대로 외부 노출되지 않게 벽체(13)쪽을 제외한 상기 세면대(10)의 정면쪽 및 측면쪽 3방향에 전체적으로 2단 구조의 장식커버(16)(17)가 설치되며, 상대적으로 상측부위인 위쪽의 장식커버(16)가 하측부위인 아래 바닥(15)쪽의 장식커버(17)에 대해 전방 바깥쪽으로 승강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세면대(10)로부터의 사용된 수돗물이 밖으로 흘러나오더라도 상기 장식커버(16)(17)의 틈새를 통해 장치 안쪽으로 스며드는 것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무전력에 의한 수돗물의 공급 방향조절로 승강실린더(20)를 승강 작동시키는 밸브체(30)는 도 2와 도 3a 및 도 3b의 기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밸브손잡이(39)의 회전동작에 따른 밸브스풀(32)의 회전이동으로 공급수관(23)을 통해 상기 승강실린더(20)의 일측에 연결된 피스톤작동관(25)(26)으로 수돗물을 공급시키는 동시에, 반대쪽의 피스톤작동관(26)(25)으로 수돗물을 배출시켜 상기 세면대(10) 저부에 연결된 상기 승강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1)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게 슬라이드 밸브형태로 구성된다.
즉, 통상 X형 게이트밸브라 불리우는 슬라이드 밸브형태의 밸브체(30)는 밸브하우징(31)에 대해 밸브스풀(32)이 좌우로 움직일 경우 유체의 흐름을 이동시켜 주는 장치로, 상기 밸브스풀(32)의 일측에 밸브손잡이(39)가 손잡이체결구(35)를 매개로 축결합되면서 상기 밸브스풀(32)의 회전방향에 따라 해당방향의 피스톤작동관(25)(26)으로 수돗물이 공급 및 배출될 수 있게 양방향의 통과수로(35a)(35b)가각각 "ㄱ" 자 형태로 절곡되게 관통 형성된다.
아울러 밸브스풀(32)이 회전되면서 양방향의 통과수로(36a)(36b)에 대한 해당 피스톤작동관(25)(26)의 연결방향이 선택 조절될 수 있도록 밸브손잡이(39)의 해당방향 회전반경이 설정됨은 물론이며, 상기 밸브스풀(32)과 밸브하우징(31)간의 조립틈새로 수돗물이 누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밸브스풀(32)의 외측과 상측에 통상 테트론재질의 밀폐패킹(33a)(33b)이 삽입 및 안착 구성된다.
그리고 밀폐패킹(33a)(33b)중 밸브스풀(32)의 외측에 삽입 위치하게 되는 아래쪽의 밀폐패킹(33a)은 환테 형태로 상기 밸브스풀(32)의 통과수로(36a)(36b)에 대응되게 해당 물통과홈(37a)(37b)이 상측에 요홈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하측부위만 개방된 위쪽의 밀폐패킹(33b) 역시 상기 밸브스풀(32)의 통과수로(36a)(36b)에 대응되게 해당 물통과홈(37a)(37b)이 요홈 형성된다.
또한 밸브스풀(32)은 회전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밀폐패킹(33b) 위쪽으로 베어링(28)이 안착 조립되면서 그 위로는 별도의 밸브커버(34)가 장착되어 마감 처리됨이 바람직하며, 밸브하우징(31) 역시 상기 밀폐패킹(33a)(33b)과 마찬가지로 상기 밸브스풀(32)의 통과수로(36a)(36b)에 대응되게 해당 물통과공(38a)(38b)이 관통 형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세면대(10) 또는 싱크대를 무전력에 의한 수돗물 수압으로 높이조절할 수 있게 수돗물의 공급방향을 조절하게 되는 밸브체(30)는 도 4의 응용 실시예에서와 같이, 통과수로(36a)(36b)가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기본 실시예와는 달리 밸브스풀(32)이 봉형상이면서 통과수로(36a)(36b)가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상대적으로 단순 구조인 슬라이드 스풀밸브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승강실린더(20)의 승강피스톤(22)에 대해 위쪽으로 상승 및 바닥(15)쪽으로 하강 이동시키게 되는 수돗물 수압이 통과될 수 있게 양방향의 통과수로(36a)(36b)가 봉형상의 밸브스풀(32)에 관통 형성되는데, 이들 통과수로(36a)(36b)의 간격은 중립위치일 때 피스톤작동관(25)(26) 사이에 위치하면서 임의의 한쪽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들 통과수로(36a)(36b)가 함께 개방되면서 상승 또는 하강 동작된 승강피스톤(22)쪽으로 수돗물이 공급 및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즉, 밸브손잡이(39)을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승강피스톤(22)를 기준으로 승강실린더(20) 위쪽 공간으로 수돗물을 공급시키고자 하면, 밸브스풀(32)의 통과수로(36a)(36b)가 각각 상기 승강실린더(20)의 위쪽 공간과 공급수관(23)에 연결된 피스톤작동관(25)만 개방되면서 상기 승강실린더(20)의 위쪽 공간과 배출수관(24)에 연결된 피스톤작동관(25)은 개방되지 않게 되며, 동시에 상기 승강실린더(20)의 아래쪽 공간과 공급수관(23)에 연결된 피스톤작동관(26)은 반대로 개방되지 않으면서 상기 승강실린더(20)의 아래쪽 공간과 배출수관(24)에 연결된 피스톤작동관(26)은 개방 동작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상기 밸브손잡이(39)의 회전 조작에 따라 해당방향으로 상기 승강피스톤(22)이 승강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수돗물의 공급 및 배출방향이 조절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로 적용된 밸브체(30)는 밸브스풀(32)의 통과수로(36a)(36b)를 임의 방향으로 한번에 이동시킬 수 있게 밸브손잡이(39)가 상기 밸브스풀(34)의 중앙 또는 일단에 축결합되는데, 이때 밸브하우징(31)과의 작동 틈새 한쪽 또는 양쪽으로는 작동 후에 상기 밸브손잡이(39)가 중립위치로 자동 복귀될 수 있도록 리턴스프링(27)이 탄설되며, 상기 밸브손잡이(39)가 상기 리턴스프링(27)에 의해 중립위치로 자동 복귀되는 작동구조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장식커버(16)(17) 밖으로 노출된 밸브손잡이(39)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시키게 되면, 승강 이동되는 승강피스톤(22)의 방향에 맞게 밸브체(30)의 통과수로(36a)(36b)에 연결된 해당방향의 피스톤작동관(25)(26)이 각각 배출수관(24)과 공급수관(23)으로 연결되어 승강실린더(20)쪽으로 수돗물이 공급 및 배출 동작되면서 상기 승강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1)가 수돗물 수압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동작될 수 있다.
즉,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1)를 상승 동작시키고자 밸브손잡이(39)을 회전 조작하여 밸브체(30)의 밸프스풀(32)을 해당방향으로 회전 동작시키게 되면, 공급수관(23)이 승강실린더(20) 아래쪽의 피스톤작동관(26)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승강실린더(20) 위쪽의 피스톤작동관(25)은 배출수관(24)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공급수관(23)을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이 아래쪽의 피스톤작동관(26)을 거쳐 승강실린더(20) 하부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승강실린더(20)의 승강피스톤(22)을 위쪽으로 밀어올리게 되고, 동시에 상기 승강피스톤(22) 위쪽의 상기 승강실린더(20) 상부 공간에 이미 채워져 있던 수돗물은 반대편의 피스톤작동관(25)을 통해 배출수관(24)으로 배출되며, 결과적으로 아래쪽 피스톤작동관(26)을 통해 상기 승강실린더(20)의 하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돗물 수압에 의한 피스톤로드(21)의 상승 동작에 따라 세면대(10) 또는 싱크대가 위쪽으로 승강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1)를 하강 동작시켜 세면대(10)를 아래쪽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동작은 밸브손잡이(39)의 해당방향 회전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밸브체(30)를 매개로 무전력의 수돗물 수압에 의한 승강실린더(20)의 승강 동작을 통해 세면대(10) 또는 싱크대를 정확하게 부드럽게 높이 조절할 수 있는 상기 밸브체(30)의 응용 실시예는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설명되지 않았으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상하 2단구조의 장식커버(16)(17) 안쪽으로 세면대(10) 또는 싱크대에 대한 높이 조절 및 지지수단으로 적용된 승강실린더(20)와는 별도로 보조지지대(도면부호 생략)를 구성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보조지지대는 상기 승강실린더(20)에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세면대(10)에 대한 수직방향 지지수단은 물론 수평방향의 유동 방지수단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에 의하면, 무전력으로 작동되는 밸브체를 이용하여 수돗물의 수압에 의한 피스톤의 정확한 승강 운동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세면대의 사용높이를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높이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면대의 높낮이가 물에 의한 압력으로 조절됨에 따라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도 극대화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사용자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세면대 또는 싱크대에 대한 높이 조절을 밸브손잡이의 회전 조작을 통한 수돗물 수압으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세면대의 경우에는 어린이가 어른의 도움을 받거나 별도의 발판을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없앨 수 있고, 더 나아가 무전력으로 작동되는 밸브체의 적용으로 물에 의한 전기적인 안전사고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작동상의 구조적인 고장이 거의 없으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3)

  1. 싱크대 또는 세면대(10)의 저부와 바닥(15)간에 수직방향으로 연결설치되어 무전력에 의한 수돗물의 공급 및 배출로 피스톤로드(21)가 승강동작되면서 상기 싱크대 또는 세면대(10)를 승강 이동시키게 되는 승강실린더(20)와;
    상기 싱크대 또는 세면대(10) 저부에 설치 고정되어 밸브손잡이(39)의 회전동작에 따른 밸브스풀(32)의 회전이동으로 공급수관(23)을 통해 상기 승강실린더(20)의 일측에 연결된 피스톤작동관(25)(26)으로 수돗물을 공급시키는 동시에 반대쪽의 피스톤작동관(26)(25)으로 수돗물을 배출시켜 상기 세면대(10) 저부에 연결된 승강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1)를 승강 이동시키는 밸브체와(30);
    상기 공급수관(23)과 연결되어 수돗물이 공급되는 수도관(12) 및 상기 배출수관(24)과 연결되어 수돗물이 배출되는 배수관(14)과;
    상기 싱크대 또는 세면대(10)의 전방 및 측방으로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면서 상측부위가 하측부위에 대해 전방 바깥쪽으로 승강 이동되는 장식커버(16)(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되는 세면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30)는 승강실린더(20)의 승강피스톤(22)에 대해 위쪽으로 상승 및 바닥(15)쪽으로 하강 이동시키는 양방향의 통과수로(36a)(36b)가 직각방향으로 각각 관통 형성된 원통형상의 밸브스풀(32)과, 상기 밸브스풀(32)의손잡이체결구(35)에 결합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 동작시킬 수 있게 파지하는 밸브손잡이(39)와, 상기 밸브스풀(32)의 양방향 통과수로(36a)(36b)에 대응되어 수돗물이 공급 및 배출될 수 있게 물통과홈(37a)(37b)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밸브스풀(32)의 외측과 상측에 삽입 및 안착되면서 밀폐되는 밀폐패킹(33a)(33b)과, 상기 밸브스풀(32)이 원활하게 회전 동작되면서 보호될 수 있게 상기 상측의 밀폐패킹(33a)(33b) 위에 안착되는 베어링(28) 및 밸브커버(34)와, 상기 밸브스풀(32)이 삽입되어 회전동작되면서 해당 방향으로 수돗물이 공급 및 배출될 수 있게 상기 밀폐패킹(33a)(33b)의 물통과홈(36a)(37b)에 대응되는 해당 물통과공(38a)(38b)이 각각 관통 형성된 밸브하우징(3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30)는 승강실린더(20)의 승강피스톤(22)에 대해 위쪽으로 상승 및 바닥(15)쪽으로 하강 이동시키게 되는 수돗물 수압이 통과될 수 있게 양방향의 통과수로(36a)(36b)가 관통 형성된 밸브스풀(32)이 봉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밸브스풀(32)을 상하 회전을 통해 왕복 이동시키는 밸브손잡이(39)가 상기 밸브스풀(32)의 중앙 또는 일단에 축결합되면서 밸브하우징(31)과의 작동 틈새 한쪽 또는 양쪽으로는 작동 후에 중립위치로 자동 복귀되는 리턴스프링(27)이 탄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KR10-2002-0008351A 2002-02-16 2002-02-16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KR100426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351A KR100426686B1 (ko) 2002-02-16 2002-02-16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351A KR100426686B1 (ko) 2002-02-16 2002-02-16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441U Division KR200298946Y1 (ko) 2002-09-19 2002-09-19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944A true KR20020028944A (ko) 2002-04-17
KR100426686B1 KR100426686B1 (ko) 2004-04-13

Family

ID=1971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351A KR100426686B1 (ko) 2002-02-16 2002-02-16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6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405B1 (ko) * 2007-05-14 2008-12-11 주식회사 높낮이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KR101966025B1 (ko) * 2018-11-22 2019-04-03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일체형 높낮이 조절 세면장치
KR102156847B1 (ko) 2019-04-10 2020-09-16 (주)코스모 수압식 절수형 높이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765B1 (ko) * 2020-06-01 2021-11-23 홍순진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405B1 (ko) * 2007-05-14 2008-12-11 주식회사 높낮이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KR101966025B1 (ko) * 2018-11-22 2019-04-03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일체형 높낮이 조절 세면장치
WO2020105816A1 (ko) * 2018-11-22 2020-05-28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일체형 높낮이 조절 세면장치
CN111465740A (zh) * 2018-11-22 2020-07-28 株式会社宇帝系统 一体式高低调节盥洗装置
EP3722524A4 (en) * 2018-11-22 2020-10-28 Ud System Co., Ltd INTEGRATED HEIGHT ADJUSTABLE LAVATORY DEVICE
US11220811B2 (en) 2018-11-22 2022-01-11 Ud System Co., Ltd Integrated height adjusting washstand device
KR102156847B1 (ko) 2019-04-10 2020-09-16 (주)코스모 수압식 절수형 높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6686B1 (ko) 2004-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216B1 (ko) 스프링 밀봉식 배수구 장착구
MX2007010264A (es) Control para un drenaje de agua residual de bañera.
CN216689619U (zh) 一种远距离操作式排水栓装置
KR200250703Y1 (ko) 높이조절되는 세면대
KR100426686B1 (ko)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JP2006181336A (ja) 高さ調節が可能な洗面台
KR200298946Y1 (ko)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CA2457750C (en) Drain assembly and sink
GB2595764A (en) Thermostatic valve with push for opening/closing and rotation for temperature regulation and faucet device
KR100873405B1 (ko)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KR101954938B1 (ko) 높이 조절형 급수 조절장치
WO2006102662A1 (en) Offset grid drain and drain closure mechanism
JP4553626B2 (ja) 混合水栓
JP6971507B2 (ja) 一体型高低調節洗面装置
KR100754806B1 (ko)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
GB2352393A (en) Bath having a door
JPH01250534A (ja) 水槽付キャビネット
EP1873317B1 (en) Flat drain
KR20034751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100641871B1 (ko) 배수장치
KR102472865B1 (ko) 승하강 디버터밸브
CN218861685U (zh) 升降台盆的下水器及升降台盆
KR102330765B1 (ko)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
KR100475248B1 (ko) 유체를 차단하는 밸브의 응용 방법
CN214423485U (zh) 一种多功能洗面器水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