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8747A - 지뢰제거용 차 - Google Patents

지뢰제거용 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8747A
KR20020028747A KR1020000068845A KR20000068845A KR20020028747A KR 20020028747 A KR20020028747 A KR 20020028747A KR 1020000068845 A KR1020000068845 A KR 1020000068845A KR 20000068845 A KR20000068845 A KR 20000068845A KR 20020028747 A KR20020028747 A KR 20020028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
coupled
machine saw
predetermined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3549B1 (ko
Inventor
김기호
이상범
Original Assignee
김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호 filed Critical 김기호
Priority to KR10-2000-0068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549B1/ko
Publication of KR20020028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5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F41H11/20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penetrating elements, e.g. with means for removing buried landmines from the soil
    • F41H11/22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penetrating elements, e.g. with means for removing buried landmines from the soil the elements being excavation bu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36Magnetic, electromagnetic, acoustic or radiation systems, e.g. ground penetrating radars or metal-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악지형에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기 위한 지뢰제거용 차에 관한 것으로,더욱 상세하게는, 차륜상부의 차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된 차량에 탑재되며 유압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전후좌우상하높낮이의 조절이 자유로운 소정 길이의 다관절링크와, 상기 다관절링크의 선단에 결합되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오므려지거나 펴지면서 수목의 소정부분을 파지하는 것과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부로 이루어진 파수부와, 상기 차량의 하부 소정위치에서 상하회동이 가능토록 일단이 결합되며 소정길이까지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된 제1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제1피스톤로드 종단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어 파수부에 파지된 수목의 하단 소정위치를 절단하도록 된 기계톱과, 상기 제1피스톤로드에 결합된 기계톱이 일측과 타측의 어느 방향이라도 자유자재로 회전하여 수목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계톱의 회전수단과, 상기 제1피스톤로드의 종단의 기계톱에 병설된 고정브라켓에 기계톱과 상응되는 방향에 결합되어 수목절단 후 매설된 지뢰를 탐색하도록 된 지뢰탐색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목이 울창한 산악지형에서 수목이 지면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 벌목할 수 있도록 하여 벌목작업시 수목이 지뢰와 접촉되어 지뢰가 폭발하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인명의 피해를 극감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지뢰가 폭발하는 만약의 사태에서도 운전자가 안전한 상태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폭발후에도 가시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지뢰제거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산악지역이나 늪지대에서도 단독으로 지뢰제거작업을 수행으로 지뢰제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지뢰제거용 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뢰제거용 차{car for removing mine}
본 발명은 지뢰제거용장치를 장착한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늪지대와 수목이 울창한 산악지형에 매설된 지뢰를 안전하게 제거하기위하여 인명피해없이 수목을 절단하고 지뢰를 탐색하여 제거하도록 하는 지뢰제거용 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널리 알려진 지뢰제거작업으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M1A1전차에 부착된 지뢰처리용 플라우MCBS(10)를 활용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통상의 사막이나 연약한 토양지에서 처리작업을 하는 것이머, 좌우의 프라우(1)로 지뢰를 양측으로 파내어 제거하고, 양 플라우 사이의 체인(2)으로 대인지뢰를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평활한 개활지에서 전시에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와 같이 산악지형에는 맞지 않는다. 즉, 산악지형의 지형을 개토하여 지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우선 수목들을 제거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수목들을 제거한 상태에서 M1A1전차가 운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병이 나무를 먼제 제거해야 하는바, 실상, 수목을 제거하는 작업도중 수목이 지뢰와 접촉되어 지뢰가 폭발할 경우 수많은 병력을 손실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있다.
아울러, 자주식(自走式) 지뢰처리 시스템(20)이라 하여 자위대가 장비하는 치뢰처리 시스템차의 경우에는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87식 포측탄약차를 기본으로 하여 지뢰처리 로켓을 발사하는 로켓 런처 2기를 탑재하고 발사를 조정하기 위한 기재를 별도로 장비하고 있어야 하며, 상기한 지뢰처리 시스템차는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켓을 발사하여 로켓의 폭발과 더불어 지뢰가 폭발되도록 한 것으로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며, 고가의 로켓이 필요이상 많이 소요되어 과다한 경비가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현재 개발된 다수개의 지뢰제거용 차량이 있지만, 우리나라의 지리적 현실에서 상기한 수목제거의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그 효용가치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산악지형을 직접 운행할 수 없다는 가장 큰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을 수행함에 있어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이를 도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병들이 직접 방호구(30)에 승차하고, 크레인(31)을 이용하여 수목(32)이 있는 곳까지 방호구(30)를 안내하면, 사병은 수목(32)에 다이나마이트, TNT, 도폭선,도전선 등과 같은 폭약(33)을 설치하는 일단계의 작업을 진행한 후, 다시 원거리에서 상기 수목(32)에 설치한 폭약을 폭파하여 수목을 절단하는 이단계작업을 진행한다.
그리고, 다시 사병이 방호구(30)에 실려 절단된 수목(32a)으로 안내되어 크레인(31a)이 수목(32a)을 들어올려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결속작업을 직접 수행해야 하는 바, 이때, 자칫 사병이 실수를 하거나 결속상태가 올바르지 않을 경우 나무(32a)가 지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뢰(34)가 나무(32a)에 접촉하게 되면 지뢰(34)가 폭발하게 되어 상술한 작업을 하던 사병이 큰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상기와 같은 복잡한 절차와 문제점을 안고 수목(32)를 제거한 후에야 비로서 고가로 구입한 지뢰제거장비가 투입되어 지뢰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고가의 지뢰제거장비는 실제 몇십억을 호가하는 것으로서 이를 수입하여 제기능을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은 국가적으로 큰 낭비임은 물론이거니와, 고가의 장비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인명피해의 발생은 국가적,개인적으로 큰 손실이라 할 수 있겠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산악지형에 매설되어 있는 지뢰를 제거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처리되어야 할 수목제거작업을 더욱 안전하면서도 간단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목제거작업과 병행하여 지뢰를 탐지하고, 탐지된 지뢰를 색출하여 분리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목이 우거진 산악지형에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기 위한 지뢰제거용 차에 있어서, 차륜상부의 차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된 차량에 탑재되며 유압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전후좌우상하높낮이의 조절이 자유로운 소정 길이의 다관절링크와, 상기 다관절링크의 선단에 결합되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오므려지거나 펴지면서 수목의 소정부분을 파지하는 것과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부로 이루어진 파수부와, 상기 차량의 하부 소정위치에서 상하회동이 가능토록 일단이 결합되며 소정길이까지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된 제1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제1피스톤로드 종단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어 파수부에 파지된 수목의 하단 소정위치를 절단하도록 된 기계톱과, 상기 제1피스톤로드에 결합된 기계톱이 일측과 타측의 어느 방향이라도 자유자재로 회전하여 수목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계톱의 회전수단과, 상기 제1피스톤로드의 종단의 기계톱에 병설된 고정브라켓에 기계톱과 상응되는 방향에 결합되어 수목절단 후 매설된 지뢰를 탐색하도록 된 지뢰탐색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계톱의 회전수단은 제1피스톤로드에 결합된 제2유압실린더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제2피스톤로드의 일측 외주면 종단부 소정영역에 형성된 레크와, 상기 레크에 치합되어 회전되며 기계톱을 회전축선상의 일측에 결합고정한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니언의 중심 회전축선상의 기계톱 반대방향으로 지뢰탐지기를 결합고정시켜 제2프스톤로드의 전후진에 따라 피니언이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기계톱과 지뢰탐지기를 교번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관절링크의 종단에 결합된 파수부과 교체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소정깊이까지 매설된 지뢰를 흙과 함께 긁어 올리도록 된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로 수거된 흙과 지뢰 중 지뢰만이 선택되도록 소정폭의 철망이 형성된 지뢰수거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레퍼들 사이의 간격과 지뢰수거함의 철망간의 간격을 적어도 5Cm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파수부로 지뢰제거 시 지뢰매설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파수부의 소정위치에 무비 카메라를 설치하고 운전실 소정위치에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고, 상기 차량의 차체 상부에 형성되어 각 장비를 조작하도록 된 운전실의 전면과 전면하부와 후면,좌측면,우측면의 각 프레임을 12mm 철판으로 제작설치하고, 전면과 전면하부와 후면,좌측면,우측면의 각 프레임에 설치된 30mm 방탄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종래 지뢰처리용 MCBS를 도시한 도면.
도2A는 종래 자주식 지뢰처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2B는 종래 자주식 지뢰처리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종래 산악지형의 수목을 제거하는 작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산악지형의 수목을 제거하는 작업을 도시한 도면.
도5은 본 발명에 의한 수목제거 후 지뢰을 탐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는 본 발명에 의한 지뢰탐색 후 지뢰를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 레크와 피니언에의한 기계톱과 지뢰탐지기의 결합상태를도시한 도면.
도8은 제1유압실린더가 차량에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 부호의 설명-
101-다관절링크102-파수부103-기계톱
104-캡피스톤로드105-제1유압실린더106-회전축
107-유압모터108-구동스프라켓109-체인
110-연동스프라켓111-제1피스톤로드112-지뢰탐지기
113-피니언114-제2유압실린더115-제2피스톤로드
116-레크117-고정브라켓118-지뢰수거함
118a-스크래퍼120-철망130-카메라
131-프레임132-방탄유리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4 내지 도9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압으로 작동되는 다관절링크(101)는 일반적으로 링크크레인이나 굴삭기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유압의 공급상태에 따라 각 링크가 펴지거나 접혀짐으로써 거리조절은 물론 상하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다관절링크(101)의 종단에 결합되는 파수부(102)는 후술하는 기계톱(103)이 나무의 하단부를 절단할 때, 나무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나무가 절단된 후에는 안전한 장소로 나무를 파지하여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이 공급되면 캡피스톤로드(104)의 전진과 동시에 일측 파수부(102a)와 타측 파수부(102b)가 동시에 오므려지게 되는 구성이며, 이와 같이 파수부(102)이 오므려질때 나무를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관절링크(101)를 장착한 차량의 하부 소정위치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유압실린더(105)의 일단을 차량에 결합시키는 바, 상기 제1유압실린더(105)의 일단에 회전축(106)을 형성하여 제1유압실린더(105)가 상,하부를 향하여 소정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바, 일측에 설치된 유압모터(107)의 회전력이 구동스프로켓(108)과 체인(109)을 통해 제1유압실린더(105)의 회전축(106)에 축설된 연동스프로켓(110)으로 전달되어 제1유압실린더(105)가 상하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압모터(107)는 유압을 사용하는 다관절링크(101)의 유압을 사용하여 별도의 유압발생장치의 추가에 의한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유압실린더(105)의 상호회동운동은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설계상의 편의에 따라 조정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에 장착된 제1유압실린더(105)의 제1피스톤로드(111) 종단에는 기계톱(103)과 지뢰탐지기(112)가 장착되는 바, 상기 기계톱(103)의 일단은 피니언(113)과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11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유압실린더(114)의 제2피스톤로드(115)에 형성된 레크(116)가 피니언(113)에 치합되어 제1피스톤로드(111)의 하부에 도7과 같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기계톱(103)의 일단으로는 지뢰탐지기(112)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117)을 피니언(113)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피스톤로드(115)의 전진에 따라 레크(116)가 피니언(113)을 회전시키면 피니언(113)과기계톱(103)이 회전하면서 지뢰탐지기(112)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그 사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계톱(103)과 지뢰탐지기(112)가 피니언(113)의 상부에서 대칭되게 결합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피니언(113)을 중심으로 기계톱(103)이 180°회전하게 됨에 따라 기계톱(103)과 지뢰탐지기(112)의 위치가 상호 대응되게 변경되어 기계톱(103)의 사용후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지뢰탐지기(112)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기술을 도4내지 도8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이 다관절링크(101)의 종단에는 파수부(102)을 장착하고, 상기 다관절링크(101)를 조정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나무의 3/2지점을 파수부(102)으로 도4와 같이 파지시키고, 상기한 나무를 파지한 상태에서는 다관절링크(10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105)에 유압을 공급하여 제1피스톤로드(111)를 파수부(102)가 파지한 나무의 하단으로 전진하게 하여 기계톱(103)이 나무를 절단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기계톱(103)이 나무의 하단 소정위치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면, 기계톱(103)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제2유압실린더(114)에도 유압을 공급하여 제2피스톤로드(115)가 전진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때, 제2피스톤로드(115)에 형성된 레크(116)는 피니언(113)과 치합되어 있으므로, 제2피스톤로드(115)의 직선운동은피니언(113)을 회전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113)의 하부에 결합된 고정브라켓(117)과 기계톱(103)이 피니언(113)을 회전축으로 하여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계톱(103)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감속기어(도시하지 않음)를 피니언(113)에 장착하는 기술적 사양이 제공되면 더욱 더 안정된 상태에서 나무를 절단할 수 있게 되며, 나무를 파지한 상태에서 고정하고 있는 다관절링크(101)가 소정의 힘으로 상부를 향하여 끌어올리는 상태가 되면, 기계톱(103)날이 기계톱(103)날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면에 끼이지 않게 되어 더욱 안정된 작업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진행에 의하여 나무가 절단되면, 주변에 있는 수목들의 환경에 따라 제2피스톤로드(115)를 원위치로 후퇴시키거나 제1피스톤로드(111)를 원위치로 후퇴시킨다.
그리고, 차량이 후진을 하거나 차체를 회전시켜 파수부(102)로 파지한 나무를 지뢰가 매설되지 않은 안전한 곳에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일련에 작업에 의하여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곳으로부터 소정반경내의 수목들을 절단한 후에는, 다관절링크(101)의 종단에 결합된 파수부(102)을 해체하고 지뢰제거용 지뢰수거함(118)을 다관절링크(101)의 종단에 결합한다.
그리고,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곳까지 차량을 진입시킨 후 제1유압실린더(105)에 유압을 공급하여 제1피스톤로드(111)를 소정길이 만큼 전진시키고, 제2유압실린더(114)에 유압을 공급하여 기계톱(103)과 상응되는 위치에 조립된 지뢰탐지기(112)가 전면을 향할 수 있도록 하고, 제1유압실린더(105)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향회동될 수 있도록 유압모터(107)를 구동시켜 소정각도 만큼 하향회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지뢰탐지기(112)가 지상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차체를 회전시키면, 차량을 중심축으로 하여 지뢰탐지기(112)가 회전하면서 지뢰를 탐지하게 되며, 지뢰탐지기(112)에 의해서 지뢰가 탐지되면, 지뢰탐지기(112)의 종단에 연결된 노즐(도시하지 않음)로 페인트를 분사하여 지뢰의 위치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차량을 중심으로 소정폭의 회전반경내의 지뢰를 탐사한 후에는 제1유압실린더(105)에 소정의 유압을 재공급하여 제1피스톤로드(111)와 지뢰탐지기(112)가 소정길이 만큼 전진하게 한후 차량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다시금 지뢰를 탐지한다.
따라서, 사람이 직접 지뢰탐지기(112)를 이용하여 지뢰를 탐사할 경우 누락될 수 있는 지역이 기계산된 회전반경내에서 정밀하게 탐사가 이루어 짐으로써 더욱 안전하고 정밀한 탐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 반경내의 지뢰탐사작업이 끝난 후에는 다관절링크(101)에 결합된 지뢰제거용 지뢰수거함(118)를 페인트로 표시된 땅속으로 소정깊이 삽입한 후 훑어 올리면 지뢰가 스크레퍼(118a)에 의해 긁어지게 되어 지뢰수거함(118)에 모아지는 바, 이때, 상기 스크레퍼(118a)와 스크레퍼(118a)와의 간격은 약5Cm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작하여, M14대인지뢰(발목지뢰 : 직경 5.5Cm)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뢰제거용지뢰수거함(118)의 저면에도 철망(120)이 5Cm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지뢰제거용 스크레퍼(118a)에서 지뢰와 같이 흙을 퍼올리면 흙은 철망(120)을 통과하여 지면으로 내려 앉게 되며, 철망(120)보다 큰 돌이나 지뢰는 지뢰수거함(118)에 그대로 남아 았게 되어 지뢰를 안전하게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거된 지뢰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켜 완전폭파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수목을 제거한 후에는 지뢰탐색기(112)로 지뢰를 탐색하여 페인트로 표시된 지면부분을 상기 다관절링크(101) 종단의 파수부(102)가 지면을 파고들어 오므려지면서 지뢰들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상기 파수부(102)에는 카메라(1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130)는 운전실의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어 운전자가 지뢰제거를 위한 조작 시 파수부(102)가 지뢰매설위치로 정확히 이동하여 지뢰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수목제거 후에 곧바로 지뢰를 탐색하여 지뢰매설위치를 페인트로 표시한 후, 파수부(102)로 직접 땅속에 있는 지뢰를 수거하여 안전한 위치로 옮겨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뢰수거함(118)을 다관절링크(101) 교체결합시키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운전실의 전면과 전면하부의 소정영역과 후면,좌우측면에는 12mm 철판으로 프레임(131)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131)과 프레임(131)에는 30mm 방탄유리(132)를 설치하여 지뢰제거 작업 시 지뢰가 폭발하는 만약의 사태가 발생하더라도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가시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산악지형에 매설되어 있는 지뢰를 제거하기 위해 수목을 제거하는 작업을 설비된 장비로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지뢰폭발발생시에도 작업인원이 안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가의 지뢰제거장비를 수입하여도 우리나라의 지형과 여건에 맞지 않기 때문에 제대로 활용할 수 없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금의 낭비를 급감시킬 수 있고, 수목제거작업과 지뢰제거작업을 각각 분리작업하던 것을 하나의 장비로 일괄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효율적인 지뢰제거작업을 이룰 수 있는 매우 훌륭한 발명이다.

Claims (7)

  1. 수목이 우거진 산악지형에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기 위한 지뢰제거용 차에 있어서,
    차륜상부의 차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된 차량에 탑재되며 유압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전후좌우상하높낮이의 조절이 자유로운 소정 길이의 다관절링크와,
    상기 다관절링크의 선단에 결합되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오므려지거나 펴지면서 수목의 소정부분을 파지하는 것과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부로 이루어진 파수부와,
    상기 차량의 하부 소정위치에서 상하회동이 가능토록 일단이 결합되며 소정길이까지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된 제1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제1피스톤로드 종단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어 파수부에 파지된 수목의 하단 소정위치를 절단하도록 된 기계톱과,
    상기 제1피스톤로드에 결합된 기계톱이 일측과 타측의 어느 방향이라도 자유자재로 회전하여 수목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계톱의 회전수단과,
    상기 제1피스톤로드의 종단의 기계톱에 병설된 고정브라켓에 기계톱과 상응되는 방향에 결합되어 수목절단 후 매설된 지뢰를 탐색하도록 된 지뢰탐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제거용 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톱의 회전수단은 제1피스톤로드에 결합된 제2유압실린더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제2피스톤로드의 일측 외주면 종단부 소정영역에 형성된 레크와,
    상기 레크에 치합되어 회전되며 기계톱을 회전축선상의 일측에 결합고정한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제거용 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의 중심 회전축선상의 기계톱 반대방향으로 지뢰탐지기를 결합고정시켜 제2프스톤로드의 전후진에 따라 피니언이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기계톱과 지뢰탐지기를 교번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제거용 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링크의 종단에 결합된 파수부과 교체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소정깊이까지 매설된 지뢰를 흙과 함께 긁어 올리도록 된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로 수거된 흙과 지뢰 중 지뢰만이 선택되도록 소정폭의 철망이 형성된 지뢰수거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제거용 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들 사이의 간격과 지뢰수거함의 철망간의 간격을 적어도 5Cm로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제거용 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수부로 지뢰제거 시 지뢰매설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파수부의 소정위치에 무비 카메라를 설치하고 운전실 소정위치에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제거용 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체 상부에 형성되어 각 장비를 조작하도록 된 운전실의 전면과 전면하부와 후면,좌측면,우측면의 각 프레임을 12mm 철판으로 제작설치하고, 전면과 전면하부와 후면,좌측면,우측면의 각 프레임에 설치된 30mm 방탄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제거용 차.
KR10-2000-0068845A 2000-11-20 2000-11-20 지뢰제거용 차 KR100383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845A KR100383549B1 (ko) 2000-11-20 2000-11-20 지뢰제거용 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845A KR100383549B1 (ko) 2000-11-20 2000-11-20 지뢰제거용 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360U Division KR200223017Y1 (ko) 2000-10-10 2000-11-20 지뢰제거용 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747A true KR20020028747A (ko) 2002-04-17
KR100383549B1 KR100383549B1 (ko) 2003-05-12

Family

ID=1969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845A KR100383549B1 (ko) 2000-11-20 2000-11-20 지뢰제거용 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5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7333A (zh) * 2012-04-30 2012-07-25 郭广乾 排雷车
US20130255574A1 (en) * 2009-04-07 2013-10-03 John Cunningham Sensor system for explosive detection and removal
KR102299872B1 (ko) * 2020-09-07 2021-09-07 오병후 지뢰탐지 및 제거용 드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5574A1 (en) * 2009-04-07 2013-10-03 John Cunningham Sensor system for explosive detection and removal
US9488450B2 (en) * 2009-04-07 2016-11-08 John Cunningham Sensor system for explosive detection and removal
CN102607333A (zh) * 2012-04-30 2012-07-25 郭广乾 排雷车
KR102299872B1 (ko) * 2020-09-07 2021-09-07 오병후 지뢰탐지 및 제거용 드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3549B1 (ko) 200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2990A (en) Tracked vehicle
FI112398B (fi) Miinanraivausajoneuvo
EP0964221A1 (en) Land mine explo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555991B1 (ko) 다용도 지뢰제거용 차
KR100383549B1 (ko) 지뢰제거용 차
KR200223017Y1 (ko) 지뢰제거용 차
SK14999A3 (en) Mine clearing system
JP3683771B2 (ja) 地雷・灌木等処理装置
JP3734480B2 (ja) 地雷処理装置
KR200334747Y1 (ko) 지뢰제거장비
JP3809422B2 (ja) 地雷処理装置
KR101725732B1 (ko) 재난구호장치
JP3177737B2 (ja) 地雷処理装置
EP1488186A2 (en) On-site land mine removal system
JP3899343B2 (ja) 地雷処理装置
JP3737805B2 (ja) ロータリーカッタ式地雷処理装置
KR100843660B1 (ko) 지뢰제거 차량용 파수부 회전장치
JPH09311000A (ja) 地雷処理装置
KR100824064B1 (ko) 지뢰제거 차량
WO1996037751A1 (en) Mine clearing machines
JP2003042698A (ja) 地雷処理兼耕耘装置
JP3096847B1 (ja) 地雷処理兼農地改良装置
JP4205728B2 (ja) チェーン式地雷爆破装置
JP2002340499A (ja) 自走車用地雷除去装置
JP4205729B2 (ja) チェーン式地雷爆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0804

Effective date: 200704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