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064B1 - 지뢰제거 차량 - Google Patents

지뢰제거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064B1
KR100824064B1 KR1020070119352A KR20070119352A KR100824064B1 KR 100824064 B1 KR100824064 B1 KR 100824064B1 KR 1020070119352 A KR1020070119352 A KR 1020070119352A KR 20070119352 A KR20070119352 A KR 20070119352A KR 100824064 B1 KR100824064 B1 KR 100824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ingers
coupled
removal
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835A (ko
Inventor
김기호
Original Assignee
김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호 filed Critical 김기호
Priority to KR1020070119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064B1/ko
Publication of KR20080013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F41H11/20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penetrating elements, e.g. with means for removing buried landmines from the soil
    • F41H11/22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penetrating elements, e.g. with means for removing buried landmines from the soil the elements being excavation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뢰제거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관절링크(4a,4b)에 결합되어 지뢰 제거작업 전에 지뢰 지대의 수목 등을 파지하는 파수부(10)와, 상기 다관절링크(4a,4b)와 파수부(10) 사이에 결합되어 다관절링크(4a,4b)에 대해 파수부(1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회전베어링부(40)를 포함하는 지뢰제거 차량에 있어서, 상기 회전베어링부(40)에 의해 회전하되,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핑거(15a,15b); 및 상기 한 쌍의 핑거(15a,15b)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한 쌍의 핑거(15a,15b) 외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단부에 이물을 긁어내는 긁음판(31)이 형성되어 있는 핑거커버(30a,30b)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핑거커버(30a,30b)는, 상기 긁음판(31)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배치되어 상기 핑거(15a,15b)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판부(33a,33b); 한 쌍의 외측판부(33a,33b)의 선단에 형성된 물결형 파지보강부(35a,35b); 및 한 쌍의 외측판부(33a,33b)를 배면에서 연결하는 배면판부(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수목 배치조건에 무관하게 수목을 파지할 수 있어 지뢰제거를 위한 수목 제거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지뢰, 제거, 지뢰제거 차량, 파수부, 핑거커버, 긁음판, 회전베어링부

Description

지뢰제거 차량{CAR FOR A LANDMINE REMOVAL}
본 발명은, 지뢰제거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관절링크에 대해 파수부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수목 배치조건에 무관하게 수목을 파지할 수 있어 지뢰제거를 위한 수목 제거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뢰제거 차량에 관한 것이다.
지뢰(land mine)는 지면 속에 매설하여 적군의 근접·통과시에 폭발하도록 만든 무기의 일종이다. 화약 발명에 뒤이어 화약을 이용한 무기로 제작된 것이다.
근대전에서 지뢰는 제1차 세계대전 이래 보편화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는 전차의 출현이 그에 대한 방어무기로 지뢰의 발달을 촉진시켰다. 본질적으로 방어무기이고, 넓은 의미에서는 적군의 접근을 방해하는 장애물이라고 할 수 있다.
철조망, 호(壕) 등 대부분의 장애물이 자체로는 살상, 파괴력을 갖지 못하는 데 비해, 지뢰는 자체가 지닌 살상·파괴력으로 적의 전진을 지체, 저지 또는 방해한다. 따라서 철조망 등을 사용할 때는 그것으로 인해 지체된 적군을 공격하기 위한 추가수단인 화포, 기관총 등의 화력이 필수조건이지만, 지뢰의 경우에는 반드시 그러한 추가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철조망, 호 등은 항공사진이나 기타 관측수단에 의해 존재가 비교적 쉽게 발견될 수 있으나, 지뢰는 그것이 폭발하여 피해를 입게 된 후에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지뢰탐지기나 기타의 정보에 의해 사전에 지뢰가 있는 것을 알게 된 경우에도, 그것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 절차가 복잡하고 위험하며, 상당한 시간이 소모되고, 다른 장애물보다 전투원에게 큰 심리적 영향을 주는 효과가 있다.
대한민국만 하더라도 전쟁의 상흔으로 인해, 아직도 국경지역이나 혹은 야산 등지에 지뢰가 매설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현재까지도 군 등에서는 지뢰 탐사가 꾸준히 진해되고 있다.
지뢰는 우선, 탐사기에 의해 발견된 후에, 지뢰 제거장치에 의해 제거된다. 현재까지 널리 알려진 지뢰 제거장치의 경우, 평활한 개활지에서 전시에 주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한민국과 같은 산악 지형에는 맞지 않는다.
즉, 산악지형의 지형을 개토하여 지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우선 수목들을 제거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수목들을 제거한 상태에서 지뢰 제거장치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병이 나무를 먼저 제거해야 하는바, 실상 수목을 제거하는 작업 도중 수목이 지뢰와 접촉되어 지뢰가 폭발할 경우 수많은 병력을 손실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02-0028747호에는 수목 제거작업과 병행하여 지뢰를 탐색하고, 탐지된 지뢰를 색출하여 분리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기술은 수목 제거, 탐색 및 제거라는 일련의 작업을 하나의 장비로 호환할 수 없었기에, 다소 불편할 수 있었다.
이에, 대안으로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36311호에 보면, 다용도 지뢰제거용 차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의 공보에 개시된 지뢰제거용 차(10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나무) 제거를 위한 장비 및 지뢰 제거수단을 다양한 형태로 교체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손가락 형태의 파수부(115)를 벌려서 나무를 파지한 후에, 파지된 나무를 뽑거나 부러뜨림으로써 해당 나무를 제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36311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따르면, 나무를 파지하기 위한 손가락 모양의 파수부(115)가 다관절링크(104)의 단부 영역에 단순히 고정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파수부(115)의 활용도가 극히 낮다. 즉, 수목이 배치된 상태에 맞게 파수부(115)를 회전시키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다관절링크(104)에 대해 파수부(115)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면 다양한 형태의 수목 배치조건에 무관하게 수목을 파지할 수 있어 지뢰제거를 위한 수목 제거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관절링크에 대해 파수부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수목 배치조건에 무관하게 수목을 파지할 수 있어 지뢰제거를 위한 수 목 제거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뢰제거 차량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뢰제거 차량의 다관절링크에 결합되어 지뢰 제거작업 전에 지뢰 지대의 수목 등을 파지하는 파수부와, 상기 다관절링크와 파수부 사이에 결합되어 다관절링크에 대해 파수부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회전베어링부를 포함하는 지뢰제거 차량에 있어서, 상기 지뢰제거 차량은, 상기 회전베어링부에 의해 회전하되,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핑거; 및 상기 한 쌍의 핑거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한 쌍의 핑거 외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단부에 이물을 긁어내는 긁음판이 형성되어 있는 핑거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제거 차량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핑거커버는, 상기 긁음판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배치되어 상기 핑거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판부; 상기 한 쌍의 외측판부의 선단에 형성된 물결형 파지보강부; 및 상기 한 쌍의 외측판부를 배면에서 연결하는 배면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관절링크에 대해 파수부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수목 배치조건에 무관하게 수목을 파지할 수 있어 지뢰제거를 위한 수목 제거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들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수부 회전장치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지뢰제거 차량의 사시도들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 및 도 3의 정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지뢰제거 차량(1)은 마치, 굴삭기(포크레인)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지뢰제거 차량(1)에 대해 먼저 소개하면, 지뢰제거 차량(1)은, 운전실(2a)이 마련된 차량본체부(2)와, 차량본체부(2)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3)와, 차량본체부(2)의 일측에 결합되는 다관절링크(4a,4b)를 구비한다.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다관절링크(4a,4b)에는 각기 서로 다른 위치에 실린더(5a~5c)가 결합되어 다관절링크(4a,4b)를 유연하게 동작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참조부호 5a의 실린더는 지뢰제거 차량(1)에 대해 참조부호 4a의 다관절링크를 동작시키고, 참조부호 5b의 실린더는 참조부호 4a의 다관절링크에 대해 참조부호 4b의 다관절링크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참조부호 5c의 실린더는 다관절링크(4b)에 대해 파수부(10)를 상하로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파수부(10)는 아래의 파수부 회전장치(50)에 의해 현위치에서 회전할 수도 있다. 이 때의 실린더(5a~5c)는 주로, 유압 실린더가 사용되나, 공압 실린더나 혹은 유공압 복합 실린더가 채용될 수도 있다. 다관절링크(4b) 및 실린더(5c)에 의한 파수부(1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보면, 바퀴(3)가 탱크식 레일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통상의 원형 바퀴로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뢰제거 차량(1)에서 다관절링크(4a,4b)의 선단 영역에는 파수부(1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파수부(10)는 해당 위치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수목을 파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수목 외에도 기둥이나 비석 등과 같은 것들을 모두 파지하여 뽑거나 부러뜨리는 역할을 하는데, 이하에서는 이들을 모두 통틀어 수목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파수부(10)는 상호 이격배치된 한 쌍의 핑거(15a,15b)로 이루어져 있다. 각 핑거(15a,15b)들은 마치 사람의 손가락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반원의 구조를 가지며 상호 대칭된다.
핑거(15a,15b)의 일단부(20a, 도 5 참조)는 다관절링크(4a,4b)의 선단 영역에 마련된 브래킷(8)에 힌지(25) 결합되는데, 이러한 핑거(15a,15b)는 브래킷(8) 내에 마련된 구동수단, 예를 들어 유압실리더와 링크 등(미도시)의 구성들 간에 상호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동작된다.
따라서 핑거(15a,15b)는 힌지(25) 결합된 일단부(20a)를 축심으로 하여 타단부(20b, 도 5 참조)가 상호 접근(도 2 및 도 3 참조) 및 이격(도 3 및 도 5 참조)되는 형태를 취한다.
상호 접근(도 2 및 도 4 참조)될 때, 수목 등을 파지한다. 물론, 파지한 후 에는, 실린더(5a~5b)의 구동에 의한 다관절링크(4a,4b)의 동작에 의해 해당 위치에서 뽑히거나 잘린다. 즉, 다관절링크(4a)에 대해 다관절링크(4b)가 상측으로 동작되는 유압의 힘에 의해 수목 등은 뽑히거나 잘릴 수 있다.
이에, 도 3 및 도 5와 같이, 파수부(10)를 이루는 한 쌍의 핑거(15a,15b)를 벌린 상태에서, 수목에 배치하고 도 2 및 도 4와 같이 한 쌍의 핑거(15a,15b)를 오므려서 수목을 파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린더(5a~5b)가 구동하여 다관절링크(4a,4b)를 작동시키고, 브래킷(8)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미도시)에 의하여 한 쌍의 핑거(15a,15b)를 작동시켜 파지된 나무는 뽑히거나 잘릴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실린더(5c)의 경우 다른 링크결합부(42a)(42b)의 구조와 함께 파수부(10)를 굴절시키는데 사용된 다.
이러한 파수부(10)는 도 2 내지 도 5와는 달리, 도 6 및 도 7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뢰제거 차량에서 파수부 영역의 확대 사시도들이고,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핑거와 핑거커버 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각각 파수부 영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15a,15b)의 외측에는 핑거커버(30a,30b)가 더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핑거(15a,15b)는 마치 사람의 손가락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반원의 구조를 가지며 상호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핑거커버(30a,30b)는 한 쌍의 핑거(15a,15b)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핑거(15a,15b) 외측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핑거(15a,15b)가 한 쌍으로 마련되므로, 핑거커버(30a,30b) 역시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해당하는 핑거(15a,15b)와 결합된다.
도 8 및 도 9를 주로 참조할 때, 핑거커버(30a,30b)는 지뢰 지대 상에 떨어진 낙엽이나 덤불 등의 이물을 긁어내는 긁음판(31)과, 긁음판(31)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배치되어 핑거(15a,15b)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판부(33a,33b)와, 한 쌍의 외측판부(33a,33b)의 선단에 형성된 물결형 파지보강부(35a,35b)와, 한 쌍의 외측판부(33a,33b)를 배면에서 연결하는 배면판부(37)를 포함한다.
물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 바와 같이, 물결형 파지보강부(35a,35b)는 별도로 제작된 후에, 해당 위치에 개별적으로 볼트(36a,36b) 결합되어도 좋고, 혹은 구성상 제외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핑거커버(30a,30b)는 핑거(15a,15b)에 볼트(28) 결합되는데, 볼트(28) 결합을 위해, 핑거(15a,15b)와 핑거커버(30a,30b)에는 각각 볼트공(28a,28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공(28a,28b)들을 상호 연통시킨 상태에서 볼트(28)를 체결함으로써 핑거커버(30a,30b)를 핑거(15a,15b)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핑거커버(30a,30b)를 핑거(15a,15b)의 외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볼트공(28a,28b)들을 상호 연통시키고, 이후에 볼트(28)를 체결하여 핑 거커버(30a,30b)를 핑거(15a,15b)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로 나무 등을 파지하여 뽑는데 사용할 수 있다.
만약, 나무를 뽑는 용도가 아니라면, 도 7 및 도 11과 같이 한 쌍의 핑거(15a,15b)를 벌린 상태에서, 지뢰 지대에 존재하는 낙엽이나 덤불 등의 이물을 긁어낸 후, 도 6 및 도 10과 같이 한 쌍의 핑거(15a,15b)를 오므림으로써 이물을 걷어 내거나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 때에는 긁음판(31) 및 물결형 파지보강부(35a,35b)로 인해 낙엽이나 덤불 등의 이물 제거 작업이 보다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한 쌍의 핑거(15a,15b)로 이루어거나 혹은 핑거커버(30a,30b)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파수부(10)가 해당 위치에서 고정되는 고정식이 전부였다.
따라서 그 활용도가 다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수목 등에 대한 파수부(10)의 배치에 있어 그 각도가 잘 맞지 않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현저히 낮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파수부 회전장치(50)를 마련함으로써 파수부 회전장치(50)에 의해 파수부(10)가 원하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도 1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지뢰제거 차량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회전베어링부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부분 분해도이며, 도 16은 도 13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부 분 분해도이다.
파수부 회전장치(50)는 앞서서 자세히 기술한 파수부(10)와, 다관절링크(4b)의 선단 영역과 파수부(10) 사이에 결합되어 다관절링크(4a,4b)에 대해 파수부(1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회전베어링부(40)를 구비한다.
파수부(10)에 대한 구조는 생략하기로 하고, 회전베어링부(40)의 구조를 살펴보면, 회전베어링부(40)는, 고정체(41)와, 고정체(41)에 결합되되, 고정체(41)에 대해 회전가능한 원반형상의 회전체(43)와, 고정체(41) 측에 결합되는 유압모터(44)와, 회전체(43)에 결합되고, 유압모터(44)의 회전축(44a)과 맞물림 결합되어 유압모터(44)의 동작에 기초하여 고정체(41)에 대해 회전체(43)를 회전시키는 회전보스(45)와, 일측은 파수부(10)에 결합되고 타측은 회전체(43) 측에 결합되어 파수부(10)를 회전체(43)에 연결하는 연결부(46)를 구비한다.
고정체(41)는 해당 위치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고정체(41)에는 다관절링크(4a,4b)와 실린더(5c) 측에 결합되는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된 한 쌍의 링크결합부(42a,42b)가 결합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결합부(42a,42b)에서 일측단(141a)은 다관절링크(4b)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141b)은 실린더(5c) 측에 결합된다.
이 때, 실린더(5c)의 단부 영역에는 별도의 링크지지바아(5d)가 더 결합되어 있다. 링크지지바아(5d)의 일단은 다관절링크(4b) 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실린더(5c) 측에 결합된다. 이에, 참조부호 5c의 실린더가 동작하여 그 앞단의 로드 길이가 연장되면, 다관절링크(4b)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일측단(141a)을 축 으로 하여 파수부(10)는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링크결합부(42a,42b)에 의해 다관절링크(4a,4b)와 실린더(5c) 측에 결합되는 고정체(41) 역시 회전체(43)와 마찬가지로 원반 형상을 갖는다.
회전체(43)는 고정체(41)의 하부에 결합된다. 원반형상을 가지며, 고정체(41)에 대해 회전한다. 물론, 고정체(41)와 회전체(43)는 반드시 원반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족하다.
유압모터(44)는 실질적으로 회전체(43)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고정체(41) 측에 결합되어 있는데, 고정체(41)에 형성된 모터장착부(41a)에 볼트(B1) 결합된다.
유압모터(44)는 회전체(43) 측에 결합되어 회전체(43)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보스(45)에 맞물려 있다. 보통 기어식으로 결합되는데, 다른 결합 방식이어도 무방하다. 이 때, 유압모터(44) 및 회전보스(45)는 회전체(43)의 중심축선에서 편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유압모터(44)의 온오프(On/Off) 동작 및 회전 속도는 도시 않은 모터제어부에 의해 수행된다.
연결부(46)는 회전체(43) 측에 결합되어, 파수부(10)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연결부(46) 회전체(43) 측에 볼트(B2) 결합된다. 연결부(46)에 대한 파수부(10)의 결합 방식은 나사 결합방식 등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운전실(2a) 내에 위치한 작업자가 별도의 제어버튼(미도시)을 구동하면, 제어버튼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제어부는 유압모 터(44)에 전원을 인가한다.
인가된 전원에 의해 유압모터(44)의 회전축(44a)이 정역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축(44a)과 맞물림 결합되어 있는 회전보스(45)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물론, 이 때의 회전속도는 극히 미약하다.
회전보스(45)가 회전하면, 회전보스(45)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체(43)가 동회전하고, 결국, 연결부(46)에 의해 회전체(43) 측에 결합되어 있는 파수부(10)가 회전체(43)와 함께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핑거(15a,15b)에 벌어진 각도나 그 방향 등을 수목 등의 배치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수목의 배치 방향에 맞게 파수부(10)의 회전이 완료되면, 모터제어부에 의해 회전베어링부(40)의 동작이 중지된다.
이어, 도 3 및 도 5와 같이 한 쌍의 핑거(15a,15b)가 벌려져 있는 상태에서, 도 2 및 도 4와 같이 한 쌍의 핑거(15a,15b)를 오므림으로써 수목을 파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린더(5a~5c)가 구동하여 다관절링크(4a,4b)를 동작시킴으로써, 한 쌍의 핑거(15a,15b)에 의해 파지된 나무는 뽑히거나 잘릴 수 있다.
만약, 나무를 뽑는 용도가 아니라면, 도 7 및 도 11과 같이 한 쌍의 핑거(15a,15b)를 벌린 상태에서, 지뢰 지대에 존재하는 낙엽이나 덤불 등의 이물을 긁어낸 후, 도 6 및 도 10과 같이 한 쌍의 핑거(15a,15b)를 오므림으로써 이물을 걷어 내거나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 때에는 긁음판(31) 및 물결형 파지보강부(35a,35b)로 인해 낙엽이나 덤불 등의 이물 제거 작업이 보다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관절링크(4a,4b)에 대해 파수부(10)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수목 배치조건에 무관하게 수목을 파지할 수 있어 지뢰제거를 위한 수목 제거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수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수목이 우거진 산악지형에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기 위한 지뢰제거용 차에 있어서, 차륜(201) 상부의 차체(202)가 회전장치(300)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된 차량에 탑재되며 유압발생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전후 좌우 상하 높낮이의 조절이 자유로운 상부링크(111a)와 하부링크(111b)로 이루어지는 소정 길이의 다관절링크(101)와, 상기 다관절링크(101)에는 상부제1유압실린더(112a)와 하부제2유압실린더(112b)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관절링크(101)의 선단에 결합되는 파수부(102)는 좌측파수부(102a)와 우측파수부(10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측파수부(102a)(102b)에는 수목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보강부재(103a)(103b)가 좌우양측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볼트(104a)(104b)로 체결되어 있으며, 우측파수부(102b)에는 캡피스톤로드(104)형성되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오므려지거나 펴지면서 수목의 소정부분을 파지하는 것과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수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파수부(102)로 지뢰제거시 지뢰매설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파수부(102)의 연결 철판 일측에 무비카메라(130)를 설치하고 운전실에는 통상의 디스 플레이부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차량의 차체(202) 상부에 형성되어 각 장비를 조작하도록 된 운전실의 전면과 전면하부와 후면, 좌측면, 우측면의 각프레임(131)을 12㎜ 철판으로 제작 설치하고, 전면과 전면하부와 후면, 좌측면, 우측면의 각 프레임(131)에 설치된 30㎜방탄유리(132)로 형성된 지뢰제거용 차량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산악지형에 매설되어 있는 지뢰를 제거하기 위해 수목을 제거하는 작업을 설비된 장비로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지뢰폭발발생시에도 작업인원이 안전할 수 있도록 함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굴삭기(포크레인)와 같은 지뢰제거 차량에 파수부 회전장치가 결합되는 것에 관해 상술하였으나, 차량의 형태는 반드시 첨부된 도면과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적절한 다른 차량으로 대체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뢰제거 차량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수부 회전장치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지뢰제거 차량의 사시도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 및 도 3의 정면도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뢰제거 차량에서 파수부 영역의 확대 사시도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핑거와 핑거커버 간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각각 파수부 영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들,
도 1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지뢰제거 차량의 부분 측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회전베어링부에 대한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부분 분해도,
도 16은 도 13의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부분 분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수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뢰제거 차량 4a,4b : 다관절링크
5a~5c : 실린더 10 : 파수부
15a,15b : 핑거 30a,30b : 핑거커버
31 : 긁음판 33a,33b : 외측판부
35a,35b : 물결형 파지보강부 37 : 배면판부
40 : 회전베어링부 41 : 고정체
42a,42b : 링크결합부 43 : 회전체
44 : 유압모터 44a : 회전축
45 : 회전보스 46 : 연결부
50 : 파수부 회전장치

Claims (2)

  1. 지뢰제거 차량의 다관절링크(4a,4b)에 결합되어 지뢰 제거작업 전에 지뢰 지대의 수목 등을 파지하는 파수부(10)와, 상기 다관절링크(4a,4b)와 파수부(10) 사이에 결합되어 다관절링크(4a,4b)에 대해 파수부(1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회전베어링부(40)를 포함하는 지뢰제거 차량에 있어서,
    상기 회전베어링부(40)에 의해 회전하되,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핑거(15a,15b); 및
    상기 한 쌍의 핑거(15a,15b)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한 쌍의 핑거(15a,15b) 외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단부에 이물을 긁어내는 긁음판(31)이 형성되어 있는 핑거커버(30a,30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제거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커버(30a,30b)는,
    상기 긁음판(31)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배치되어 상기 핑거(15a,15b)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판부(33a,33b);
    상기 한 쌍의 외측판부(33a,33b)의 선단에 형성된 물결형 파지보강부(35a,35b); 및
    상기 한 쌍의 외측판부(33a,33b)를 배면에서 연결하는 배면판부(37)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제거 차량.
KR1020070119352A 2007-11-21 2007-11-21 지뢰제거 차량 KR100824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352A KR100824064B1 (ko) 2007-11-21 2007-11-21 지뢰제거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352A KR100824064B1 (ko) 2007-11-21 2007-11-21 지뢰제거 차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802A Division KR100843660B1 (ko) 2006-08-08 2006-08-08 지뢰제거 차량용 파수부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835A KR20080013835A (ko) 2008-02-13
KR100824064B1 true KR100824064B1 (ko) 2008-04-21

Family

ID=3934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352A KR100824064B1 (ko) 2007-11-21 2007-11-21 지뢰제거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0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4747A (ja) * 1989-06-30 1991-02-14 Seikosha Co Ltd コードレス電話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4747A (ja) * 1989-06-30 1991-02-14 Seikosha Co Ltd コードレス電話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34747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835A (ko)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2990A (en) Tracked vehicle
US6435071B1 (en) Vehicle for traveling through hostile environments
KR100843660B1 (ko) 지뢰제거 차량용 파수부 회전장치
KR100824064B1 (ko) 지뢰제거 차량
EP0922193B1 (de) Minenräum-system
US8371203B2 (en) Mine and explosive clearing machine and implement
DE10018248B4 (de) Minenräumfahrzeug
KR100383549B1 (ko) 지뢰제거용 차
JP3899343B2 (ja) 地雷処理装置
JP3734480B2 (ja) 地雷処理装置
JP3809422B2 (ja) 地雷処理装置
KR200223017Y1 (ko) 지뢰제거용 차
JP3737805B2 (ja) ロータリーカッタ式地雷処理装置
KR101725732B1 (ko) 재난구호장치
DE3928082A1 (de) Verfahren und fahrzeug zum freilegen von landminen
KR20120019092A (ko) 굴삭기를 이용한 프레일 타입의 지뢰 및 초목 제거장치
JP3911500B2 (ja) 地雷処理装置
KR100788480B1 (ko) 지뢰탐사용 지뢰제거기
KR200334747Y1 (ko) 지뢰제거장비
CN216689519U (zh) 一种地下未爆物挖掘机
JP2001091200A (ja) 地雷除去用前処理装置
RU2185591C2 (ru) Навес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танка
RU2202095C2 (ru) Инженерная дорожная машина
JPH11257894A (ja) 地雷除去装置
CN112012261A (zh) 一种战场用功能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