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7339A - 휴대 화기 - Google Patents

휴대 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339A
KR20020027339A KR1020017015709A KR20017015709A KR20020027339A KR 20020027339 A KR20020027339 A KR 20020027339A KR 1020017015709 A KR1020017015709 A KR 1020017015709A KR 20017015709 A KR20017015709 A KR 20017015709A KR 20020027339 A KR20020027339 A KR 20020027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urface
carrier
firearm
portable
a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6980B1 (ko
Inventor
바이케르트베르트홀트
기엘케게르하르트
Original Assignee
바로이더 헬무트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로이더 헬무트,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로이더 헬무트
Publication of KR20020027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A35/06Adaptation of guns to both right and left han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6Rearsights
    • F41G1/16Adjusting mechanisms therefor;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46Sighting devic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41G1/48Sighting devic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firing grenades from rif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elescopes (AREA)
  • Toy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Adornment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준 장치(21, 27)가 장착 장치(15, 17)에 의해, 그 형태 또는 그 장착이 왼손잡이 사수가 화기를 사용하기에 적어도 곤란하게 하거나 또는 왼손잡이 사수가 사용하는 것에 대해 화기(1, 5) 전환을 곤란하거나 불가능하게 하도록, 장착되는 휴대 화기(1, 5)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 화기(1, 5)상에 우측 또는 좌측 중 어느 하나에서 또는 우측 또는 좌측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는 장착 장치(15, 17)가 제공된다. 조준 장치(21, 27)는 이동될 수 있고 전방을 지시하도록 장착 장치(15, 17)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 화기(1, 5)에는 각 측면에 장착 표면(9)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 화기는 또한 조합형 화기(1, 5), 특히 소총 척탄 유닛(5)을 갖는 반자동 소총(1)이며, 2개의 장착 표면(9)은 척탄 발사기(5) 또는 소총(1) 중의 어느 하나에, 특히 그 조준 장치(33)에 가깝게 장착된다.

Description

휴대 화기{SMALL ARM WITH CENTER OR OFF-CENTER LINE OF SIGHT}
그러므로 본 발명은 중심에 맞춘 장착 표면(mounting surface)과 측방향으로 배치된 조준선의 경우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 배치된 장착 표면과 중심에 맞추거나 중심을 벗어난 조준선의 경우를 포함한다. 중심에 맞춘 조립체 표면과 중심에 맞춘 조준선의 경우는 제외한다. 본 발명이 포함하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장착 장치는, 총기의 우측 또는 좌측상에 배치된 장착 표면에만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중심에 맞춘 장착 표면의 경우에, 조준기가 전방을 지시해야 한다면 우측 또는 좌측상의 조준 장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장착 표면은 편평한 표면일 필요는 없으나, 그 대신 총기에 관하여 장착 장치의 배향을 결정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일반적인 표면[예컨대, 더브테일(dovetail)]이 된다.
종래의, 광학 또는 개방 조준 장치는 대체로 한 방향으로 보도록 설계되었고, 대향하는 방향으로는 설계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방(up)" 또는 "하방(down)"과 같은 배향 용어가 확립될 수 있도록 수평과 수직 위치에 있는 총기에 근거한다. "전방(front)"은 사격 방향을 지시한다. 장착 표면은 장착 표면이 대칭이고 그 대칭 축선이 총기의 중앙 종방향 축선 위에 수직으로 위치할 때 "중심에 맞춰진다(centered)". 이러한 종방향 중앙 축선을 통과하는 수직 종방향 중앙 평면은 하기에서 간략하게 "중심(center)"으로서 참조된다.
사냥용 또는 스포츠용 총포에 있어서, 망원 조준기 조립체는 통상 총기의 상측상에 중심에 맞춰진 위치에 장착된다. 마찬가지로 개방 조준 장치가 총기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망원 조준기는 개방 조준 장치 위로 수직으로 위치된다. 개방 조준 장치가 망원 조준기가 장착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채널이 망원 조준기의 장착 기부내에 형성되며, 사수는 개방 조준시에 시야가 방해받지 않는다.
종래의 군용 총기(즉, 자동장전 총기)에 있어서, 망원 조준기용 장착 장치는 대체로 총기의 측면상에 장착된다. 그러나, 장착 장치는 망원 조준기가 총기 위에 중심에 맞춰진 위치에 부착되도록 총기 위에서 접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망원 조준기가 충분히 높게 장착된다면, 망원 조준기 아래의 개방 조준 장치로 보는 것은 대체로 가능하다. 총기의 작동 요소, 특히, 카트리지 배출 장치가, 배출된 카트리지가 장착 장치에 부딪히지 않도록 장착 장치에 대한 장착 표면이 부착되는 측면을 결정한다.
따라서, 망원 조준기의 시축(optical axis)은 일반적으로 개방 조준 장치의 시축 위에 위치된다. 개방 조준 장치의 시축이 사수의 생리 기능에 순응한다면(이는 특히 군용 총기에 적용 가능함), 망원 조준기의 시축은 통상 다소 너무 높다. 그러나, 이러한 결점이 있는 위치는, 개방 및 광학 조준 장치(망원 조준기)의 시축이 서로에게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을 때, 허용될 수 있다.
현대의 정밀 총기에 있어서, 망원 조준기의 시축은 사수의 생리 기능에 순응한다. 따라서, 개방 조준 장치는, 망원 조준기의 하측 에지와 총포의 상측 외형 사이에 적절한 시계를 제공할 공간이 불충분할 때, 제거된다.
이미 제 1 망원 조준기가 장착된 사냥용 소총에 제 2 망원 조준기를 측방향으로 부착할 수 있는 어댑터(adapter)가 미국 특허 제 5,606,818 호에 공지되어 있다. 그상에 장착되는 어댑터 및 제 2 망원 조준기 모두 전환(switch)될 수 있어, 제 1 망원 조준기의 어느 한 측면상에 제 2 망원 조준기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총은 그 자체로서 제 1 망원 조준기에 대한 중심에 맞춘 장착 표면을 특징으로 하며, 어댑터는 이 장착 표면상에 위치된다.
현대의 자동 총기는 광학 조준 장치, 즉, 고 시계와 저 배율을 갖는 망원 조준기를 사용하며, 그 시축은 사수의 생리 기능에 순응한다. 이들 조준 장치는 일반적으로 중앙장착된 운반 손잡이의 상측 종방향 브레이스(brace)내에 위치된다.원칙상 현존하는 조준 장치 위로 제 2 조준 장치를 중앙장착하는 것이 가능할 지라도, 그러한 설치에 대하여 조건(즉, 기존의 광학 조준 장치의 소 직경)이 양호한 경우에는, 이러한 선택 사항은 야간 조준 장치 등을 장착하는데 이미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 총기상에 척탄 발사기(grenade launcher)가 또한 장착되는 경우, 그 조준 장치는 높은 사이트 각으로 설계되어 이 조준 장치가 기존의 조준 장치 위로 중앙장착 된다면 그러한 조준 장치의 조준선이 총기의 부분을 통해 단절될 것이다. 그러면 큰 위치 각으로 겨냥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척탄 발사기가 부착된 자동 총기(예컨대, 미국 M16 자동 총기)의 경우, 척탄 발사기용 조준 장치는 중심에 맞춘 위치가 아닌 측방향에 장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왼손잡이가 마치 오른손잡이인 것처럼 행동하는 경우, 즉, 왼손잡이의 경우 덜 숙달된 오른손으로 손잡이를 조작하는 경우, 왼손잡이만이 이러한 유형의 총기를 조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는 무시되어 왔다. 현대의 자동 총기[예컨대, 엔필드(Enfield) 총기 시스템] 조차도 오른손잡이에 의해서만 조작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설계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또한, 왼손잡이가 유년기부터 그들이 마치 오른손잡이처럼 모든 유형의 물체를 사용하도록 교육받았기 때문에, 부차적인 것이 되어 왔다. 군인으로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유지되었던 사람들은 모두 거의 오른손잡이 였으며, 그들의 일부는 매우 숙달되지 않았다.
최근에서야, 왼손잡이가 그들이 출생이후로 사용하는데 익숙해진 손으로 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총기를 설계하는데 관심이 기울여졌다. 지원자 일부에 대한 이러한 노력은 모든 공동 지원자에 의해 결코 분담되지는 않는다. 군용 총기 교육에 있어서, 특히, 행진 명령에서, 예컨대, 일부 군인들은 그들의 소총을 우측 어깨에 지지하나 나머지는 좌측 어깨에 지지한다는 것은 매우 고려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 장치 및/또는 조준 장치가 총기의 좌측 또는 우측상에 최적으로 배치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중심을 벗어난 조준선을 갖는 휴대 화기를 개발하는 것이다.
자동 총기에 척탄 발사기를 장착하는 것은 그 중량에 악영향을 끼쳐, 특정 강도를 갖고 가능한 한 가볍고 단순하게 되도록, 외력(그들에 작용하는 외력)에 기인하여, 필요하지 않은 모든 필수적 요소를 설계하는데 모든 노력이 가해지게 됨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언급된 목적은, 중심에 맞춘 장착 표면의 경우 조준선은 중앙의 일 측면 또는 다른 측면상에 추가적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중심을 벗어난 장착 표면의 경우, 조준선은 중심에 맞춰지거나 중앙의 일 측면 또는 다른 측면상에 연장되고, 제 2 상응 장착 표면은 중앙에 대하여 장착 표면에 대향하는 총기상에 배치되고,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조준 장치는 동일한 방향을 지시하도록, 장착 장치와 조준 장치가 설계되는 것으로 해결된다(청구항 1).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3개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a) 총기의 상측 측면상에 중심에 맞춘 장착 표면에 부착되나 중앙과 관련하여 일 측면을 향해 이동되는, 조준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동일한 장착장치와 장착 표면을 사용하면서 다른 측면에 이동될 수 있도록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 사수에 대한 조정이 가능하다.
b) 측방향 장착 표면을 갖는 총기에 있어서, 제 2 장착 표면이 대향 측면상에 제공된다. 중심을 벗어난 조준 장치와 장착 장치는 총기의 일 측면 또는 다른 측면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 사수에 대한 조정이 또한 가능하다.
c) 측방향 장착 표면을 가지나 중심에 맞춘 조준선을 갖는 총기에 있어서, 조준 장치와 장착 장치는 일 측면에서 다른 측면으로 조준선이 중심에 맞춘채로 유지되면서 이동 될 수 있다. 표준적인 우측 카트리지 배출기에서 좌측 카트리지 배출기로 전환될 수 있는 총기에 있어서, 배출 전환 도중 장착 장치가 또한 이동될 수 있어, 배출기를 방해하지 않게된다. 불펍(Bullpup) 총포(탄창의 전방에 위치한 손잡이를 갖는 총포)는 당해 분야[예컨대, 에이유지 77(AUG 77)]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배출 방향은 왼손잡이 사수를 위해 우측에서 좌측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및 조준 장치의 상세한 구조체는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그들의 종래의 지식에 근거하여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b)의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조립체와 조준 장치는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고 그 하측면상에 2개의 구멍을 특징으로 하며, 2개의 장착 표면은 편평하고 서로에게 평행하며, 나사 구멍의 2개의 상응하는 쌍을 각각 형성한다. 장착 및 조준 장치는 총기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 선택적으로 단순히 나사결합 된다.
총기에 2개의 장착 및 조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장점이 된다. 조준 장치는 개방 또는 광학 조준 장치로서 설계될 수 있다.
개방 조준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제거 가능한 가늠자(rear sight)와 가늠쇠(front sight)를 설계하고, 또한 장착 장치의 전환 도중, 2개의 조준기를 교환하거나 또는, 중심을 벗어나게 부착된 가늠자와 이와 상응하게 중심을 벗어나게 부착된 가늠쇠의 경우, 다른 측면을 향해 중심을 벗어나게 배치되도록 이들을 전환하는 것이 또한 장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준기 캐리어가 부착되지만 제거될 수 있는 캐리어 요소를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로서, 조준기 캐리어는 조준 장치의 일 부분인 것이 바람직한, 상기 장착 장치의 경우와, 조준기 캐리어가 2개의 대향하는 방향으로 캐리어 요소에 부착되는 경우, 특히 장점이 된다(청구항 2).
본 실시예의 특별한 장점은, 캐리어 요소가 접어질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조준기 캐리어와 캐리어 장치는 서로에게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교적 큰 소총 척탄 발사기의 양 측면상에 장착 표면을 제공하지만, 조준선을 내측으로, 소총 척탄 발사기가 부착되는 총신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가능한 멀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장착 장치에는 장착 표면의 상보적 대응 형상과 결합하는 클램핑(clamping) 또는 로킹(locking)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장착 표면(또는 각각의 장착 표면)내에 나사 구멍을 제공하는 것(청구항 3)이 바람직하며, 장착 장치는 그곳에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개방 조준 장치는 총기상에 유지될 수 있고, 망원 조준기와는 달리, 사용하지 않을 때 반드시 제거될 필요는 없으므로, 안정적이고 단순한 부착이 가능해진다. 장착 장치를 장착 표면내의 대응 형상에 부착하고 나사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히 개방 조준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장착 장치를 2개의 나사로 장착 표면에 부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가장 용이하다. 나사 핀이 나사 구멍의 마우스(mouth)에서 장착 장치내의 끼워맞춤 구멍을 관통할 수 있어, 장착 장치와 장착 표면의 공간 위치는 항상 명확하며 나사 핀에 의해 반복적으로 지시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장착 표면은 더브테일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단순한 장착 나사가 장착 장치를 장착 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장착 표면은 편평한 표면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연속일 필요는 없으나, 그 대신, 가장 바람직하게는, 각각이 나사 구멍 둘레에 배치되는, 적어도 또한 바람직하게는 2개의 부분 표면으로 구성된다(청구항 4). 따라서, 부분 표면이 비용이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한 부분 표면이, 예컨대, 연속적인 장착 표면을 필요로 했던 큰 기부보다 경량이므로, 중량 절감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총기 조합, 예컨대 자동 총기 또는 자동 권총(machine pistol)과 조합된 자동장전 대구경 소총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유일한 조건은, 2개의 모듈에 의해 발사된 총탄의 탄도가 매우 다르거나, 또는, 쌍발총(double barrel)의 경우에 있어서, 매우 고가인 상호 조정이 필요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소총 척탄 발사기가 바람직하게는 그 총렬의 아래에 부착되는 자동 총기에 관한 것이다. 소구경이고 매우 빠른 총탄(gun bullet)과 비교적 느리나 매우 큰 구경의 척탄 탄피(shell)의 탄도는 매우 상이하므로 총포 조준기는 척탄의 발사 도중 만족할만한 겨냥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한 선택은 장착 표면을 소총 척탄 발사기의 장전 지지부상에 형성하거나(청구항 5), 바람직하게는 핸드 가드(hand guard)의 하측 에지 부근에 또한 총기의 양 측면상에 형성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특별한 장점은 조준 장치가 상응하는 척탄 장치상에 장착될 수 있어, 소총 척탄 장치가 공차를 가지고 총포에 부착되거나 또는 다른 연결 요소가 소총 척탄 장치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총포에 부착될 지라도, 조준 장치는 항상 조정된 채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준 장치는 광학 거리가 눈과 조준 장치 사이에 비교적 큰 거리로 조정되는 광학 조준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개방 조준 장치는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비교적 큰 광학 거리를 필요로 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청구항 6). 그러한 개방 조준 장치, 즉, 한편으로는, 가늠쇠와, 다른 한편으로는, 가늠자, 프레임 조준기 등을 포함하는 조준 장치는 튼튼하고 제조가 용이하지만, 미숙한 사수에게는 겨냥 에러를 일으킨다.
따라서, 이러한 겨냥 에러가 제거되어야 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하게는 조명 조준 또는 발광 스폿과 함께 광학 조준기가 사용되어야하는 경우, 또는 전자 조준 장치(야간 조준기)가 사용되어야하는 경우에는, 장착 표면을 총포의 하우징상에(청구항 7), 바람직하게는 총포의 조준 장치의 양 측면상에, 또한 바람직하게는 조준 장치 또는 소총 척탄 장치의 아이피스(eyepiece)가 총포의 조준 장치의 아이피스 또는 관측 피스의 우측 또는 좌측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방식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 조준 장치의 경우에는, 조준기 캐리어와 캐리어 요소는 일체로 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그러나, 장착 장치는 그 배향을 유지하면서 한 쪽의 장착 표면에서 다른 쪽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따라서 접어질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조준기 캐리어는, 접어진 요소가 또한 회전될 수 있을지라도, 캐리어 요소가 장착 장치의 전환 도중 회전될 수 있도록, 캐리어 요소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준기 캐리어는 캐리어 요소에 나사결합되고 캐리어 요소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8). 조준기 캐리어는, 나사와 끼워진 핀 또는 총기의 종방향 축에 대칭인 조준기 캐리어의 융기된 부분과 캐리어 요소상의 상보적 홈으로 자연적으로 중심이 맞춰져야 한다. 조준기 캐리어는 그 측방향 벽이 양 측면상의 캐리어 요소를 타이트하게 에워싸는 종방향 홈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 조준 장치는 가늠쇠와 가늠자 블레이드를 특징으로 하며, 이들 2개의 요소는 조준기 캐리어상으로 아래로 기울어질 수 있고, 그 때 각각은 그 자신의 보호 홈내에 박히게 된다(청구항 9). 따라서, 조준 장치는 사용하지 않을 때 손상에 대하여 보호된다. 조준기 캐리어상의 홈내로 삽입되므로, 총기를 떨어뜨릴 때조차도 조준 장치는 오조정을 일으킬 수 없다.
조준 장치에 매우 적합한 가늠자 블레이드는 소위 프레임 조준기, 즉, 가늠자를 유지하는 슬라이드가 그 측면 돌출부(limb)를 따라 연장하는 기다란 수직 프레임이다. 프레임 돌출부상에 슬라이드의 설정 높이에 근거하여 사격 거리를 확인하는 표시(writing)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다른 변형 실시예가 특히 장점적으로 고려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늠자 블레이드는 투명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청구항 10). 이 경우에 있어서, 가늠자 블레이드는 단순히 그러한 재료의 기본적인 스트립(strip)이다. 가늠자의 윤곽 및 상응하는 도안(lettering)이 이 스트립상에 부가된다. 따라서, 사수에게는, 정상적인 경우에서는, 표적은 본질적으로 가늠자에 의해 덮여지지 않으며, 그 대신, 망원 조준기를 갖는 경우에는, 전체 표적이 보일 것이다. 그러나, 가늠자 선이 표적상에 겹쳐지게 된다. 이러한 가늠자 블레이드의 또 다른 장점은 먼지가 박힐 수 있는 임의의 홈을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투명한 가늠자 블레이드가 빛을 흡수하며, 오랜 사용 후 가늠자 블레이드가 긁혀짐에 따라 교체되어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 된다. 유리가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긁힘은 최소로 될 수 있지만, 유리의 사용은 다른 방식으로 단점이 될 것이다. 투명한 플라스틱, 특히 폴리카보네이트가 가늠자 블레이드에 대한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그러한 플라스틱 가늠자 블레이드는 저가의 주입 성형 부품이다. 다수의 가늠자 블레이드는 때때로 교체될 수 있도록 각각의 신규한 총기에 포함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가늠자 블레이드는 불투명한 재료로 제조되며(청구항 11), 부가되는 홈이 그 내로 도입되고, 그 각각은 가늠자 형상의 에지에 의해 바닥에서 형성된다. 도안은 홈 또는 천공된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비용 및 중량의 이유로, 이 가늠자 블레이드는 또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에 근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총포상에 형성된 장착 장치에 의해 조준 장치를 갖고, 중심에 맞춘 조준선 또는 중심을 벗어난 조준선을 갖는 휴대 화기에 관한 것으로, 장착 표면과 조준선은, 장착 표면이 중심에 맞춰져 있고 조준선이 중심을 벗어나 있거나 또는 장착 표면이 중심을 벗어나 있고 조준선이 중심에 맞춰져 있거나 중심을 벗어나 있다(청구항 1).
도 1은 자동 총기의 전방 부분을 통하는 종방향 단면도로서, 그 총렬 아래에 소총 척탄 발사기가 부착된, 종방향 단면도,
도 2는, 후방에서 본, 총기와 본 발명의 소총 척탄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장착 장치와 조준 장치의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가늠자 블레이드의 제 1 실시예의 도면,
도 5는 가늠자 블레이드의 제 2 실시예의 도면.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핵심 역할을 하지 않는 부품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참조부호는 모든 도면에 적용된다.
도 1은 자동 총기(1)의 전방 부분을 도시하며, 총렬(2)과 총포 조준기(33)(도 2에 도시됨)를 특징으로 한다. 총렬 아래에, 소총 척탄 발사기(5)가 부착되며, 이것은 회전형(swing-out) 총렬(13)을 특징으로 한다. 핸드 가드(7)가 소총 척탄발사기(5)와 총신(3) 위에 배치된다. 소총 척탄 장치(5)상에, 장착 표면이 총렬(13)의 각 측면상에 핸드 가드(7)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장착 표면은 2개의 부분 표면을 포함하며, 중심에 맞춘 나사 구멍(11)이 그 각각에 제공된다.
총기(1, 5)의 각 측면상의 2개의 부분 표면(9)의 각각은 공유된 편평한 형상의 표면에 위치된다. 모든 부분 표면(9)은 2개의 총렬(3, 13)의 보어의 2개의 축선을 수용하는 수직 종방향 중앙 표면에 평행하다. 부분 표면(9)의 2개의 쌍은 이러한 종방향 중앙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나사 구멍(11)은 정렬 구멍을 형성하는 입구 세그먼트를 특징으로 한다.
나사 구멍(11)에 나사결합된 장착 및 조준 장치는 도 2에 횡단면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 종방향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장착 장치는, 수평 캐리어와 그 바닥이 직각으로 각이진 2개의 수직 진행 발(foot)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요소(15)를 포함한다. 총기(1, 5)를 향하는 발의 수직 단부 표면은 부분 표면(9)과 같이 미세 가공되고, 이들 표면에 접하며, 정렬 구멍에 의해 관통된다. 캐리어 요소(15)의 상기 언급된 단부 표면은 부분 표면(11)에 접하게 위치되고, 정렬 구멍은 나사 구멍(11)과 정렬되며, 캐리어 요소(15)는 척탄 발사기(5)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각 나사의 축은, 캐리어 요소(15)의 발내의 수평 정렬 구멍을 통과하고, 나사 구멍(11)의 개구로 들어가며, 각 나사 구멍을 각 정렬 구멍과 완전하게 정렬시키는, 정렬 핀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캐리어 요소(15)는 척탄 발사기(5)에 정확하게 반복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캐리어 요소(15)의 상측 부분은 평행 플랭크용의 직선의 수평 레일을 형성한다. 하측이 중공인 종방향 홈(31)을 갖는 조준기 캐리어(17)가 이 레일상에 끼워진다. 따라서, 조준기 캐리어(17)는, 조준기 캐리어(17)가 선택적으로 전방 또는 후방을 지시하도록 캐리어 요소(15)상에 위치될 수 있다. 2개의 나사가 조준기 캐리어(17)를 수직으로 관통하고 캐리어 요소(15)내의 나사 구멍과 결합하며, 나사 구멍은 종방향 홈(31)의 가장 가까운 단부와 동일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조준기 캐리어(17)의 상측에는 2개의 오목부(recess)(19)가 제공된다. 전방 오목부(19)의 전방 단부 상에, 가늠쇠(27)가 수직 위치와 수평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결합된다. 수평 위치에 있어서, 가늠자(27)는 조준기 캐리어의 오목부(19)내에 본질적으로 완전히 수납된다. 이러한 이유로, 그 측벽은, 가늠자 블레이드(21)가 그 수직 위치로부터 그 수평 위치로 기울어질 때 가늠자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내측 오목부(19)의 측벽보다 높다.
가늠쇠(27)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높이 조정 장치(29)가 가늠쇠(27)에 제공되어 있다. 가늠자 블레이드(21)의 측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측방향 조정 장치(25)가 가늠자 블레이드(21)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가늠자 블레이드(21)를 그 수직 또는 수평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로킹 스프링(23)이 가늠자 블레이드(21)에 제공되어 있다. 도 2는 중간 위치에 있는 가늠자 블레이드(21)를 도시한다.
도 2에 있어서, 2개의 조준 장치(21, 27)를 갖는 2개의 장착 장치(15, 17)가 척탄 발사기(5)에 부착되어 있으며, 각 측면상에 하나씩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배치가 본질적으로 가능하며 일부 경우에 있어서 장점이 되나, 일반적으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 대신, 이들 소조립체 중 하나만이 사수의 사격 습관(즉, 오른손잡이 사수 또는 왼손잡이 사수)에 속하는 장착 표면[부분 표면(9)]에 부착된다. 캐리어 요소(15)는, 그 발의 각이진 부분이 우측을 지시하는가 또는 좌측을 지시하는가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을 지시한다. 따라서, 조준기 캐리어(17)와 조준 장치(21, 27)는 캐리어 요소(15)에 고정되고 가늠쇠가 항상 전방을 지시하도록 배향된다.
도 4는 또한, 그 작동 위치에서의, 특히 종방향 중심 축선에 수직인 수직 섹션내에서의, 가늠자 블레이드(21)의 약간 뒤에서 후방으로부터 본, 장착 및 조준 장치를 도시한다. 가늠자 블레이드(21)는 그 에지가 표적에 대해 명확한 윤곽으로서 구별되도록 충분히 불투명한 재료로 제조된다.
가늠자 블레이드의 재료에 의해 차단된 겹쳐진 리세스가 겹쳐진 가늠자, 즉, 각각이 중심에 맞춘 노치를 갖는 개개의 수평 에지를 설명한다. 각각의 리세스 부근에, 사수가 겨냥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가늠자을 사용하여 점사(point shot)를 행하는 거리를 지시하는 숫자가 첨부되어 있다. 명확한 바와 같이, 하측의 밀집하게 겹쳐진 리세스가 서로 합해져 있다. 이러한 유형의 가늠자 블레이드는, 예컨대, 금속 시트 또는 플라스틱 스트립으로부터 천공함으로써, 또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5는 가늠자 블레이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가늠자 블레이드(21')는 투명한 재료로 제조되며, 조준선(linear aim)이 그상에 부가되어있고, 거리 코드가 각각의 조준선에 제공되어 있다. 가늠자 블레이드(21')는 유리와 같이 투명한(glass-clear)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로,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늠자 블레이드(21)에 리세스가 없기 때문에 가늠자 블레이드(21')는 우수한 강도를 갖는다. 또한, 표적 영역의 일부가, 불투명한 가늠자 블레이드의 경우와 달리, 가늠자 블레이드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다. 그 대신, 전체 표적 영역이 항상 사수의 시계내에 완전히 유지된다.
선 형상의 조준선과 도안이 다이캐스팅 도중 깊은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배터리 작동형 조명 장치를 조준기 캐리어(17)내에 구조적으로 합체시키거나, 또는 그러한 장치를 가늠자 블레이드(21') 위로 위로부터 위치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모든 오목 선이 비추어져서, 조준선이 조명되므로, 화광(muzzle flash) 또는 조명된 차량과 같이, 어둑어둑하거나 또는 어두울 때 여전히 보이는 표적에 대해, 정확하게 발사할 수 있다.

Claims (11)

  1. 중심을 벗어난 조준선을 갖는 휴대 화기로서, 조준 장치가 장착 장치에 의해 총기에 형성된 장착 표면에 부착되지만 제거 가능한, 상기 휴대 화기에 있어서,
    상기 장착 표면은 중심을 벗어나게 배치되고,
    상기 조준선은 상기 장착 표면과 동일한 중심 측면상에 위치되고,
    제 2 대응 장착 표면은 중심에 대하여 상기 장착 표면에 대향하게 상기 총기상에 배치되며,
    상기 조준 장치는 상기 조준 장치가 한 쪽의 장착 표면 또는 다른 쪽의 장착 표면에 부착되는 가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방향을 지시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장치(15, 17)는 조준기 캐리어(17)가 부착되지만 제거될 수 있는 캐리어 요소(15)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준기 캐리어(17)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준 장치(21, 27) 또는 상기 캐리어 요소(15)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 요소(15) 또는 상기 조준 장치(21, 27)에 2개의 대향하는 방향으로 부착되는 상기 조준기 캐리어(17)는 상기 조준기 캐리어(17)상에 2개의 대향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는
    휴대 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장치(15, 17)를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11)이 각각의 장착 표면(9)내에 제공되는
    휴대 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장착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 구멍(11)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부분 표면(9)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분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총기(1, 5)의 적용 가능한 측면상에 공통 평면내에 놓이는
    휴대 화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화기는 총렬(3) 아래에 부착된 소총 척탄 발사기(5)를 갖는 자동 화기(1)로서 설계되며, 상기 휴대 화기의 양 측면상에 또한 자동 화기(1)의 핸드가드에 인접하게 장착 표면(9)이 형성되는
    휴대 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 장치가 개방 조준 장치(21, 27)로서 형성되는
    휴대 화기.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화기가 부착 장치(5)를 갖는 자동 화기(1)로서 설계되고, 상기 장착 장치(15, 17)는 자동 화기(1)의 양 측면상에, 바람직하게는 그 디옵터 또는 광학 조준기(33) 부근에 형성되는
    휴대 화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기 캐리어(17)가 나사로 상기 캐리어 요소(15)에 고정될 수 있는
    휴대 화기.
  9.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틸팅 가늠쇠(27)가 상기 조준기 캐리어(17)의 전방측에 부착되고 틸팅 가늠자 블레이드(21)가 그 후방측에 부착되며, 상기 조준기 캐리어(15)의 상측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19)에서 상기 틸팅 가늠쇠(27)와 가늠자 블레이드(21)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늠자 블레이드(21')는 투명한 재료로,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플리스틱으로 제조되고, 표적 표시가 그 상에 부가되는
    휴대 화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늠자 블레이드(21)는 금속 시트 또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스트립으로 제조되고, 부가되는 표적 표시가 그 상에 각인되는
    휴대 화기.
KR10-2001-7015709A 1999-06-07 2000-05-30 휴대 화기 KR100486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25863.5 1999-06-07
DE19925863A DE19925863B4 (de) 1999-06-07 1999-06-07 Handfeuerwaffe mit mittiger oder außermittiger Visierlin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339A true KR20020027339A (ko) 2002-04-13
KR100486980B1 KR100486980B1 (ko) 2005-05-03

Family

ID=791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709A KR100486980B1 (ko) 1999-06-07 2000-05-30 휴대 화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594937B2 (ko)
EP (1) EP1183493B1 (ko)
KR (1) KR100486980B1 (ko)
AT (1) ATE361455T1 (ko)
CA (1) CA2373046C (ko)
DE (2) DE19925863B4 (ko)
ES (1) ES2286025T3 (ko)
PT (1) PT1183493E (ko)
WO (1) WO2000075597A1 (ko)
ZA (1) ZA20010929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910B1 (ko) * 2020-02-17 2021-03-10 대한민국 유탄발사기용 영점 조준 장치 및 그 조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3365A1 (de) * 1999-11-05 2001-05-23 Heckler & Koch Gmbh Verankerungselement für ein Schuzwaffensystem sowie Schußwaffensystem mit einem solchen Verankerungselement
US20050241207A1 (en) * 2004-03-10 2005-11-03 Raytheon Company,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Common aperture time-division-multiplexed laser rangefinder
US7269920B2 (en) * 2004-03-10 2007-09-18 Raytheon Company Weapon sight with ballistics information persistence
US7171776B2 (en) * 2004-03-10 2007-02-06 Raytheon Company Weapon sight having analog on-target indicators
US7490430B2 (en) 2004-03-10 2009-02-17 Raytheon Company Device with multiple sights for respective different munitions
US8375620B2 (en) * 2004-03-10 2013-02-19 Raytheon Company Weapon sight having multi-munitions ballistics computer
BE1016761A3 (fr) * 2005-09-12 2007-06-05 Fn Herstal Sa Systeme de visee ameliore pour une arme.
US7726229B2 (en) * 2006-10-25 2010-06-01 Crane Tactical Llc Rotatable and retractable rear gun sight
US7797875B1 (en) * 2008-04-29 2010-09-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icatinny rail attachment
US8393107B2 (en) * 2008-08-26 2013-03-12 Adcor Industries, Inc. Firearm assembly including a first weapon and a second weapon selectively mounted to the first weapon
US9574853B2 (en) * 2014-01-13 2017-02-21 Leupold & Stevens, Inc. Removable aiming sight and sight mounting shoe with pitch and yaw adjustment for pistols and other weapons
US9746286B2 (en) 2015-06-09 2017-08-29 William J. Piepmeyer System and method for target engagement
US20190328869A1 (en) 2016-10-10 2019-10-31 Transgene Sa Immunotherapeutic product and mdsc modulator combination therapy
US11035646B2 (en) * 2018-12-21 2021-06-15 Wilcox Industries Corp. Grenade launcher with modula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011A (en) * 1902-03-26 1903-01-27 Alexander Kennedy Range-finder.
US2345801A (en) * 1942-07-06 1944-04-04 Clyde B Ferrel Day and night sight for firearms
US2777203A (en) * 1953-06-03 1957-01-15 Frederick R Clift Rear gun sight
BE549447A (ko) * 1955-10-20
US3156992A (en) * 1961-09-29 1964-11-17 Beretta Armi Spa Combination gas-operated firearm and bomb or grenade thrower
US3165836A (en) * 1962-10-12 1965-01-19 Robert F Magardo Auxiliary sighting device for grenade launching firearms
DE1944650A1 (de) * 1969-09-03 1971-03-25 Heckler & Koch Gmbh An einer Handfeuerwaffe befestigbarer Granatwerfer
US3986285A (en) * 1975-05-16 1976-10-19 Krisay Robert J Detachable top side mount
US4016652A (en) * 1975-11-24 1977-04-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Bi-axial leaf sight
DE2736598A1 (de) * 1976-08-16 1978-02-23 Colin Albert Murdoch Fadenkreuz fuer optische vorrichtungen
DE3202806C2 (de) * 1982-01-28 1985-05-30 Heckler & Koch Gmbh, 7238 Oberndorf Granatwerfer-Zusatzwaffe zum Anbau an Schnellfeuergewehre
US4689910A (en) * 1986-03-06 1987-09-01 N I Industries Front sight for projectile launchers
US4962589A (en) * 1989-09-26 1990-10-16 Larosa Michael J Offset sight
FR2654820A1 (en) * 1989-11-17 1991-05-24 Luchaire Defense Sighting device for firing rifle grenades
JP3153603B2 (ja) * 1991-12-28 2001-04-09 任天堂株式会社 射撃ゲーム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銃装置
US5606818A (en) * 1995-04-21 1997-03-04 Hardee; Timothy G. Multi-purpose ambidextrous rifle scope mount
US5659965A (en) * 1995-08-14 1997-08-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mbination optical and iron sight system for rocket launcher
US5590484A (en) * 1995-08-17 1997-01-07 Mooney, Deceased; Aurelius A. Universal mount for rifle
CA2246988C (en) * 1997-09-11 2004-04-27 R/M Equip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supplemental device to a minimally altered host firea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910B1 (ko) * 2020-02-17 2021-03-10 대한민국 유탄발사기용 영점 조준 장치 및 그 조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86025T3 (es) 2007-12-01
CA2373046C (en) 2008-10-07
US20020092224A1 (en) 2002-07-18
PT1183493E (pt) 2007-05-31
EP1183493B1 (de) 2007-05-02
DE19925863A1 (de) 2000-12-21
CA2373046A1 (en) 2000-12-14
US6594937B2 (en) 2003-07-22
WO2000075597A1 (de) 2000-12-14
ATE361455T1 (de) 2007-05-15
EP1183493A1 (de) 2002-03-06
DE19925863B4 (de) 2006-08-03
DE50014296D1 (de) 2007-06-14
KR100486980B1 (ko) 2005-05-03
ZA200109292B (en) 200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2179B2 (en) Backup gunsights
US7743546B2 (en) Firearm adapted for use in low light, illuminating rear sight, and method for aligning sights in low light environments
US9835411B2 (en) Integrated rail and sight system for firearm
US7765730B2 (en) Assault rifle back-up sight rib and support structure
US7260910B2 (en) Laser gunsight system for a firearm handgrip
US6418657B1 (en) Sight mount for a firearm
US5584137A (en) Modular laser apparatus
US6568118B1 (en) Grenade launcher sighting assembly
US7140142B2 (en) Mirror sight apparatus for guns
KR20020027339A (ko) 휴대 화기
US20080092424A1 (en) Adjustable night sight for a pistol
US8151510B2 (en) Partial optical sighting device
US20090077855A1 (en) Rifle mount
US11841209B2 (en) Reflective sight for a firearm
CN112739973B (zh) 可调节的反射式瞄准器
US10935347B2 (en) Scope mount for accessory attachments
US20060123687A1 (en) Aiming sight
US7062876B2 (en) Rifle scope mounting means
US5933972A (en) Sight for firearms
EP0256173B1 (en) Improved gun sight
US4143465A (en) Sighting device
US2225037A (en) Telescope sight for rifle firearms
US5720111A (en) Boresight
WO2023249525A1 (en) Sight mounting system, sight, and adapter plate
WO2020246911A1 (ru) Прицел механический с коробчатой мушк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