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7145A -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145A
KR20020027145A KR1020010008574A KR20010008574A KR20020027145A KR 20020027145 A KR20020027145 A KR 20020027145A KR 1020010008574 A KR1020010008574 A KR 1020010008574A KR 20010008574 A KR20010008574 A KR 20010008574A KR 20020027145 A KR20020027145 A KR 20020027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lient
education
educati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석범
Original Assignee
독고윤, 송필호
주식회사 사이버엠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고윤, 송필호, 주식회사 사이버엠비에이 filed Critical 독고윤, 송필호
Publication of KR20020027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14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격교육 콘텐츠의 특성을 이용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교육기관이 자의적으로 원격교육 콘텐츠를 등록하면 다수의 원격교육 콘텐츠를 구매하기 원하는 기업이 등록된 콘텐츠 중 원하는 것에 대해 구매주문을 신청하게 되고 각각의 주문에 따라 거래를 중개하여 거래를 성사시키고, 교육수료 후의 평가를 실시하여 이후 구매를 원하는 기업에게 콘텐츠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콘텐츠 구매 기업이 콘텐츠의 연수에 대한 관리를 의뢰할 경우 교육을 직접 받을 수 있는 강의실까지 제공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콘텐츠 판매사가 자신의 콘텐츠를 게시함으로써 소비자의 입장에서 자신에게 반드시 필요한 콘텐츠를 적은 노력으로 획득할 수 있게 해주며, 사이버 연수원을 통해 저작 수단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콘텐츠라도 마음대로 선택하여 연수 계획을 실현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판매사의 입장에서도 자의적으로 콘텐츠를 등록하여 많은 구매자에게 자신의 콘텐츠를 홍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좀더 많은 판매촉진을 달성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기관의 입장에서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를 등록함으로써 판로를 개척하고 비용손실을 극소화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METHOD FOR PROVIDING A REMOTE EDUCATION CONTENTS BY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수 원격 교육 콘텐츠의 거래를 원하는 기업이 연수에 필요한 교육 콘텐츠를 개별적 또는 총체적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원격 교육 방식이라 함은, 텔레비전과 같은 공중매체를 이용하거나 인터넷 및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구현되는 교육 방식을 말하며, 최근에는 기업체내에서 독자적인 인트라넷 등을 구축하여 자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기업내에서 이루어지는 원격 교육 방식은 자사의 독자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시스템을 구축하기 전에는 수강생의 개인적 또는 집단적 요구와 성향을 반영한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기 어려우며, 타사와 교육 콘텐츠를 공유할 수 없기 때문에 폐쇄적이고 제한적인 교육 내용만을 수강생에게 제공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수강생들로부터 추출된 제한적인 교육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자사의 교육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수정 및 개량하여 수강생을 관리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체계화되어 있는 특정 교육기관의 교육 콘텐츠를 이용하게 될 경우, 이러한 단점들은 부분적으로 보완될 수 있으나, 외주에 의한 교육기관은 전체적인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콘텐츠를 제작하게 되어 특정 기업에 있어 그 요구를 완전히 충족시켜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정 교육기관에서 제작된 교육 콘텐츠만으로는 교육 목적상 부족한 점이 발생하여도 외부의 다른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도입하는 방법이 전무한 형편이었다.
또한, 교육기관의 입장에서는 각 기관에 부합되는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금액의 제작비용을 들여 제작하게 되지만 이를 이용하는 인원이 한정되어 있는 바, 상당히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으며, 나아가서는, 사회 전체적으로 많은 비용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 예컨대, 교육 기관과,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 예컨대, 교육 요청 기업간의 교육 콘텐츠 상거래를 형성하여,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교육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받거나, 개별 제작된 교육 콘텐츠를 용이하게 판매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를 통해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와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간의 교육 콘텐츠 상거래를 형성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에서 임의의 교육 콘텐츠를 등록하는 제 1 단계와; 교육 콘텐츠 요청 신호에 의거하여, 등록된 임의의 교육 콘텐츠로부터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교육 콘텐츠의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2 단계와; 주문 정보에 의거하여 임의의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와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의 교육 콘텐츠 상거래를 형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의 교육 콘텐츠 등록 과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의 교육 콘텐츠 구매 주문 과정의 흐름도,
도 4는 도 1의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에 초기 접속시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 예컨대, 기업이 원격 교육 콘텐츠에 대한 구매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현재 교육이 진행중인 콘텐츠, 즉, 교육 콘텐츠 상거래가 성립될 수 없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 예컨대, 교육 기관에 의해 제휴사 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제휴사 등록 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교육기관에 의해 원격교육 콘텐츠에 대한 판매정보를 입력하기 위한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거래 당사자들, 즉,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교육기관)와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교육 요청 기업)간의 상거래 성립을 위해 제공되는 대화창 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
102 :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
104 : 인터넷망
106 :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
108 : 제휴사 정보 DB
110 : 주문 정보 DB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도 1의 시스템 블록도에 도시된 교육 콘텐츠 제공클라이언트(100) 및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102)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다수의 클라이언트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블록도로서,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100),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102), 인터넷망(104),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 제휴사 정보 DB(108) 및 주문 정보 DB(110)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100)는, 예컨대, 교육 기관으로서, 인터넷망(104)을 통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와 연결된다. 즉,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100)로부터 교육 콘텐츠 정보, 예컨대, 콘텐츠명, 강사, 교육내용, 교육시간, 콘텐츠 판매 방법 등의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들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에 등록된다. 이때, 이러한 교육 콘텐츠 판매 방법으로는, 교육 콘텐츠의 모든 소유권을 판매하는 방법, 구매회사 내에서만 응용 가능한 로열티를 지불하는 방법, 일정 인원에게만 일정 기간 교육을 실시하는 방법, 인원 제한 없이 일정 기간 로열티를 지불하는 방법, 일정 인원에게 정해진 기간 없이 판매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102)는, 예컨대, 교육 요청 기업으로서, 해당 기업이 필요로 하는 교육 콘텐츠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와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102)와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100)와의 상거래를 형성한다. 즉,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102)로부터 교육 콘텐츠 주문이 요청되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요청된 교육 콘텐츠를 보유한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해당 클라이언트로 전자 메일 등을 통해 콘텐츠 주문 요청을 통보한다. 따라서,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102)와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100)간의 계약 체결 분위기, 예컨대, 대화창을 제공하여 교육 콘텐츠 상거래를 형성한다. 이후,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에서는 클라이언트간의 교육 진행을 위한 강의실을 제공한다든지, 필요에 따라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제휴사 정보 DB(108)는 상술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에 연결되며, 서버(106)의 제어하에,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콘텐츠 등록 과정에서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입력되는 제휴사 가입 정보가 저장된다.
주문 정보 DB(110)는 상술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에 연결되며, 서버(106)의 제어하에,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 콘텐츠 구매 주문 과정에서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102)에 의해 입력되는 교육 콘텐츠 구매 정보가 저장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망(104)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을 첨부한 도 2 및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은, 상술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를 통해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100)와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102)간의 교육 콘텐츠 상거래를 형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며,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100)에서 임의의 교육 콘텐츠를 등록하는 과정과, 교육 콘텐츠 요청 신호에 의거하여, 등록된 임의의 교육 콘텐츠로부터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102)가 필요로 하는 교육 콘텐츠의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과정과, 주문 정보에 의거하여 임의의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100)와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102)의 교육 콘텐츠 상거래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100)의 교육 콘텐츠 등록 과정을 첨부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S200)에서, 임의의 클라이언트가 단말, 예컨대, PC를 이용하여 인터넷망(104)을 통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에 접속하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단계(S202)로 진행하여 접속되는 클라이언트가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인지, 혹은 교육 콘텐츠 구매 요청 클라이언트인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에 초기 접속했을 경우의 프론트 페이지 화면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콘텐츠 중 구매하고자 하는 임의의 콘텐츠를 클릭하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에서는 교육 콘텐츠 제공을 위한 클라이언트인지, 혹은 교육 콘텐츠 구매 요청을 위한 클라이언트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단계(S202)에서의 판단 결과,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100)이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단계(S206)로 진행하여 제휴사 ID 및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고 단계(S208)로 진행한다.
단계(S208)에서 교육 콘텐츠 등록 서버(106)는, 교육 콘텐츠 등록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입력되는 제휴사 ID 및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입력되는 제휴사 ID 및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단계(S210)로 진행하나, 입력되는 제휴사 ID 및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단계(S216)로 진행하여 제휴사 가입 정보 입력 메뉴 화면을 제공하고 교육 콘텐츠 상거래 제공 클라이언트(100)에 의한 제휴사 가입 정보 입력이 완료되는지를 판단한다(S218).
단계(S218)의 판단 결과, 제휴사 가입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단계(S220)로 진행하여 현재 교육 콘텐츠 상거래 제공 클라이언트(100)를 회원으로 등록하고 제휴사 정보 DB(108)에 입력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단계(S208)의 판단 결과, 입력되는 제휴사 ID 및 비밀번호가 일치하거나, 제휴사 정보 DB(108)에 입력 정보가 저장되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단계(S210)로 진행하여 교육 콘텐츠 정보 입력 메뉴를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100)에게 제공하고 단계(S212)로 진행한다.
단계(S212)에서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소정 교육 콘텐츠 정보 입력이 완료되는지를 판단하고,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단계(S214)로 진행하여 입력 완료된 교육 콘텐츠 정보를 제휴사 정보 DB(108)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102)의 교육 콘텐츠 구매 주문 과정을 첨부한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단계(S204)에서의 판단 결과, 교육 콘텐츠 구매 요청 클라이언트(102)이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단계(S300)로 진행하여 교육 콘텐츠 구매 정보 입력 메뉴를 교육 콘텐츠 구매 요청 클라이언트(102)에게 제공하고, 단계(S302)로 진행하여 소정 정보 입력이 완료되는지를 판단한다. 즉, 교육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기업이 자신의 PC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한 다음, 본 발명의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에 접속하여 검색과 교육 콘텐츠 평가 등을 통해 자사가 필요로 하는 원격 교육 콘텐츠의 상세한 정보를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검색 방법으로는 회사별로 검색하는 방법, 과목별로 검색하는 방법, 세부 내용별로 검색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이렇게 검색된 교육 콘텐츠를 클릭하면, 그 콘텐츠에 대한 평가 항목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이 콘텐츠를 통해 연수를 받은 연수생과 그 연수 관리자가 평가한 것으로 객관성을 지니고 있다.
단계(S302)의 판단 결과, 소정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단계(S304)로 진행하여 구매 방법이 "모든 소유권 구매"인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구매 방법은 도 1에서 기술한 판매 방법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S304)의 판단 결과 구매 방법이 "모든 소유권 구매"가 아니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단계(S310)로 진행하여 입력된 정보를 주문 정보 DB(110)에 기록한다.
그러나, 단계(S304)의 판단 결과 구매 방법이 "모든 소유권 구매"이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단계(S306)로 진행하여 요청된 교육 콘텐츠가 교육 진행중인 콘텐츠인지를 판단한다.
단계(S306)의 판단 결과, 요청된 교육 콘텐츠가 교육 진행중인 콘텐츠이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단계(S308)로 진행하여 "교육 진행중"이라는 문자 메시지를 교육 콘텐츠 구매 요청 클라이언트(102)에게 제공하고 단계(S310)로 진행한다.
그러나, 요청된 교육 콘텐츠가 교육 진행중인 콘텐츠가 아니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단계(S310)로 진행하여 입력된 정보를 주문 정보 DB(110)에 기록하고, 단계(S312)로 진행한다.
단계(S312)에서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입력된 주문 정보와 매칭되는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100)에게 교육 콘텐츠 판매 여부를 통보한다. 즉, 이러한 과정은 입력/저장된 교육기관 및 기업의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에서 콘텐츠를 보유한 교육기관에 전자 메일 등을 통해 통보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통보 과정이 수행되면,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단계(S314)로 진행하여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100)와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102)간의 상거래를 형성한다. 즉, 거래 당사자간 약정된 시간에 서로 각자 자신의 PC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한 다음,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를 통해서, 예컨대, 채팅 등의 방법을 통하여 서로의 의견을 조정하고, 의견 조정후 계약 체결을 위한 계약서를 작성함으로써 거래를 성사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은,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102)에 의해 구매된 교육 콘텐츠를 통한 강의실을 제공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구매된 교육 콘텐츠는 기업이 원하는 방법을 통해 연수생들에게 교육될 수 있는데, 만약, 콘텐츠 제작의 저작 수단이 다른 여러 개의 콘텐츠를 기업이 구매하게 된 경우, 이를 판매한 교육 기관에게 개별적으로 교육 진행과 관리를 위임할 수도 있지만 더욱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통합적인 관리를 원할 때, 또는 개별적으로 구입한 경우라도 그 관리를 요청할 때에는 강의실과 관리모드를 제공하여 연수 교육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저작 수단이 다른 모든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연수를 의뢰한 기업의 독자적인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연수생들은 각각의 저작 수단에 따른 실행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각 연수 과목에 대해 링크로 처리함으로써 각각의 연수생들은 그 링크가 된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채 저작 수단이 다른 각 과목을 한 사이트만을 접속함으로 연수받을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관리자에게는 각각의 교육기관에서 출력되는 성적의 분포를 독자적인 홈페이지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일목요연하게 연수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방법은, 교육을 받은 교육 요청 업체로부터의 평가 및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각 과정별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도 1의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에 초기 접속시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기업이 인터넷망(104)을 통해서 본 발명에 의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에 접속하면 서비스의 프론트 페이지가 기업의 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된 콘텐츠 중 클라이언트에 의해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과목명이 선택되면, 도 5와 같은 기업의 주문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5와 같은 구매주문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구매방법, 연수인원, 연수계획일자 등을 입력한 다음 등록한다. 이 정보를 주문 정보 DB(110)에 기억시키고 거래를 종료한다.
이때, 구매 방법이 '콘텐츠의 모든 소유권 구매'인 경우, 해당 콘텐츠의 다른 주문이 체결되어 아직 교육이 끝나지 않은 경우, 도 6과 같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경우, 구매 주문에 대하여 교육기관에게 통보하여 콘텐츠 구매의사를 밝힌 기업과 협의하여, 기존의 교육거래를 파기하고 이 거래를 체결할 수도 있고, 해당 교육이 끝날 때까지 현재 등록된 계약을 유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세부적인 모든 사항은 거래당사자의 협의에 따르며, 이때 발생하는 모든 책임과 권한은 거래당사자에게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구매자, 즉,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102)가 프론트 페이지에서 바로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할 경우에는 "Buy" 메뉴바를 클릭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주문을 체결할 수 있다.
교육기관, 즉,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100)가 인터넷망(104)을 통해서 본 발명에 의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에 접속하면 서비스의 프론트 페이지가(도 4)가 교육기관의 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된다. 교육기관은 프론트 페이지 중의 "제휴사 가입" 메뉴바를 클릭하면 도 7과 같이 제휴사로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된다. 판매자는 여기에 회사명, 사업자등록번호, 업종, 우편번호, 회사주소, 담당자 이름, 담당 부서, 직위, 연락처 등을 입력하면 이 정보는 제휴사 정보 DB(108)에 입력된다. 간단한 인증절차 후 회원번호를 부여받으면 그때부터 판매주문을 입력할 수 있는데 프론트페이지(도 4)에서 "Sell" 메뉴바를 클릭하면 도 8과 같은 판매자의 판매주문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8과 같은 판매주문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회사명, 회원번호/ 비밀번호, 담당자명(부서 및 직위), 담당자 연락처, 과목명, 교육목표, 교육대상, 교육시간, 강사소개, 교육내용, 교육평가방식, 강의계획서, 제작일, 콘텐츠 제작방법, 교육비용, 고용보험 환급여부, 판매방식 등을 입력한 다음 등록하여, 상기 입력된 판매정보를 주문 정보 DB(110)에 입력시키고 거래를 종료한다.
한편,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106)는 주기적으로 주문 정보 DB(110)에 기억된 각각의 정보를 검색하여 특정 콘텐츠의 주문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거래가 성립될 당사자들(교육기관 및 기업)에게 전자 메일 등의 방법으로 주문 정보를 통보하여 원활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중개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계약실을 통해 서로가 교섭할 시간을 조정한다.
설정된 시간에 각 거래 당사자들이 도 5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약실에 입장하면, 도 9와 같은 대화창이 뜨게 되는데, 여기서 서로의 의견을 조정하여 계약을 성사되도록 한다. 서로 의견이 조정이 되면, 하단에 있는 "계약하기" 메뉴바를 눌러 계약서를 작성함으로 거래를 완료한다. 거래가 완료되면 입력된 구매 주문 정보만을 삭제한 뒤 잔존한 정보는 저장한다.
또한, 각 기업이 원하는 바에 따라 교육이 실시된 이후에는 콘텐츠 평가 질의서를 요청하고, 표시된 평가질의서에 콘텐츠의 평가를 위해 교육설문 등을 실시하여 교육 콘텐츠의 평가의 산정근거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술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에 기술하는 특허청구범위내에서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에는 필요에 따라 방화벽, 제어부, 응용프로그램, DB저장을 위한 기억장치와 같은 각종의 주변기기가 설치될 수 있고, 거래성사여부를 통보하기 위하여 웹서버에서 거래당사자로의 일 방향성 메일 서버를 별도로 둘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콘텐츠 판매사가 자신의 콘텐츠를 게시함으로써 소비자의 입장에서 자신에게 반드시 필요한 콘텐츠를 적은 노력으로 획득할 수 있게 해주며, 사이버 연수원을 통해 저작 수단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콘텐츠라도 마음대로 선택하여 연수 계획을 실현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판매사의 입장에서도 자의적으로 콘텐츠를 등록하여 많은 구매자에게 자신의 콘텐츠를 홍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좀더 많은 판매촉진을 달성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기관의 입장에서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를 등록함으로써 판로를 개척하고 비용손실을 극소화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를 통해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와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간의 교육 콘텐츠 상거래를 형성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에서 임의의 교육 콘텐츠를 등록하는 제 1 단계와;
    교육 콘텐츠 요청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등록된 임의의 교육 콘텐츠로부터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교육 콘텐츠의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주문 정보에 의거하여 임의의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와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의 교육 콘텐츠 상거래를 형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임의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에 접속되면, 접속되는 클라이언트가 교육 콘텐츠 등록 클라이언트인지 교육 콘텐츠 구매 요청 클라이언트인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교육 콘텐츠 등록 클라이언트이면, 제휴사 ID및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제 5 단계와;
    입력되는 제휴사 ID 및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제 6 단계의 판단 결과, 입력되는 제휴사 ID 및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교육 콘텐츠 정보 입력 메뉴를 상기 교육 콘텐츠 등록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소정 교육 콘텐츠 정보 입력이 완료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제 7 단계의 판단 결과, 소정 교육 콘텐츠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 완료된 교육 콘텐츠 정보를 제휴사 정보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제 6 단계의 판단 결과, 입력되는 제휴사 ID 및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제휴사 가입 정보 입력 메뉴를 상기 교육 콘텐츠 등록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제휴사 가입 정보 입력이 완료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9 단계와;
    상기 제 9 단계의 판단 결과, 제휴사 가입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교육 콘텐츠 등록 클라이언트를 회원으로 등록하고, 입력 완료된 제휴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10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임의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교육 콘텐츠 상거래 서버에 접속되면, 접속되는 클라이언트가 교육 콘텐츠 등록 클라이언트인지 교육 콘텐츠 구매 요청 클라이언트인지를 판단하는 제 10 단계와;
    상기 제 10 단계의 판단 결과, 교육 콘텐츠 구매 요청 클라이언트이면, 교육 콘텐츠 구매 정보 입력 메뉴를 상기 교육 콘텐츠 구매 요청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소정 정보 입력이 완료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11 단계와;
    상기 제 11 단계의 판단 결과, 소정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요청된 교육 콘텐츠가 교육 진행중인 콘텐츠인지를 판단하는 제 12 단계와;
    상기 제 12 단계의 판단 결과, 요청된 교육 콘텐츠가 교육 진행중인 콘텐츠이면 교육 진행중이라는 문자 메시지를 상기 교육 콘텐츠 구매 요청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요청된 교육 콘텐츠가 교육 진행중인 콘텐츠가 아니면 입력된 정보를 주문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1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입력된 주문 정보와 매칭되는 교육 콘텐츠 제공 클라이언트에게 교육 콘텐츠 판매 여부를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교육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에 의해 구매된 교육 콘텐츠를 통한 강의실을 제공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교육을 받은 교육 요청 업체로부터의 평가 및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대화창을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010008574A 2000-10-05 2001-02-21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 KR200200271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434A KR20010000529A (ko) 2000-10-05 2000-10-05 네트워크를 이용한 연수 원격교육 컨텐츠 상거래 시스템및 서비스 방법
KR1020000058434 2000-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145A true KR20020027145A (ko) 2002-04-13

Family

ID=196919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434A KR20010000529A (ko) 2000-10-05 2000-10-05 네트워크를 이용한 연수 원격교육 컨텐츠 상거래 시스템및 서비스 방법
KR1020010008574A KR20020027145A (ko) 2000-10-05 2001-02-21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434A KR20010000529A (ko) 2000-10-05 2000-10-05 네트워크를 이용한 연수 원격교육 컨텐츠 상거래 시스템및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005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104B1 (ko) * 2004-12-22 2012-01-16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롤러 가이드
KR20200137914A (ko) * 2019-05-31 2020-12-09 황재동 일정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29A (ko) * 2000-10-05 2001-01-05 방석범 네트워크를 이용한 연수 원격교육 컨텐츠 상거래 시스템및 서비스 방법
US9472114B2 (en) 2003-05-01 2016-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implemented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 educational program
US7371070B2 (en) 2003-12-05 2008-05-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erationalizing a learning solution
US7281219B2 (en) 2003-12-05 2007-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lended learning experience tool and method
US7914288B2 (en) 2004-10-07 2011-03-29 International Bussiness Machines Corporation On demand learning
KR100604064B1 (ko) * 2005-11-09 2006-07-24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인력양성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0759374B1 (ko) * 2007-02-26 2007-09-20 류성현 복지쇼핑몰을 이용한 교육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59375B1 (ko) * 2007-02-26 2007-09-19 류성현 복지쇼핑몰을 이용한 모바일 교육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880762B1 (ko) * 2007-04-02 2009-01-30 임권택 해외 교육 연수의 더블 중개 시스템 및 그 더블 중개 방법
KR102394048B1 (ko) 2021-08-17 2022-05-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열을 이용한 산악철도용 랙 궤도의 융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057A (ko) * 2000-04-06 2000-07-05 노정열 통일된 연결도메인을 통한 다자대 다자간 인터넷컨텐츠제공 및 전자상거래 통합운용 방법
KR20000049927A (ko) * 2000-05-08 2000-08-05 신홍기 대화식 실시간 원격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KR20010000529A (ko) * 2000-10-05 2001-01-05 방석범 네트워크를 이용한 연수 원격교육 컨텐츠 상거래 시스템및 서비스 방법
KR20010093037A (ko) * 2000-03-28 2001-10-27 김재호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5519A (ko) * 2000-05-12 2001-11-29 김태진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자료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037A (ko) * 2000-03-28 2001-10-27 김재호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37057A (ko) * 2000-04-06 2000-07-05 노정열 통일된 연결도메인을 통한 다자대 다자간 인터넷컨텐츠제공 및 전자상거래 통합운용 방법
KR20000049927A (ko) * 2000-05-08 2000-08-05 신홍기 대화식 실시간 원격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KR20010105519A (ko) * 2000-05-12 2001-11-29 김태진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자료 제공 방법
KR20010000529A (ko) * 2000-10-05 2001-01-05 방석범 네트워크를 이용한 연수 원격교육 컨텐츠 상거래 시스템및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104B1 (ko) * 2004-12-22 2012-01-16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롤러 가이드
KR20200137914A (ko) * 2019-05-31 2020-12-09 황재동 일정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529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n et al. Exploring the impact of digital platforms on SME internationalization: New Zealand SMEs use of the Alibaba platform for Chinese market entry
Singh E‐services and their role in B2C e‐commerce
US58622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ryptographically-assisted commercial network system designed to facilitate and support expert-based commerce
Urumsah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to use E-services in Indonesian airline companies
US200501021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in a group participant purchasing environment
JP4963886B2 (ja) 取引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処理プログラム
US8326730B2 (en) System and method of clearing services for risk management trading
KR20020027145A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
US20020072992A1 (en) Matching and assisting a buyer and a vendor from an inquiry, through a proposal, and to an order
Mariga Managing e-commerce and mobile computing technologies
US202203750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n online platform with computing system infrastructur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US202203276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n online platform with computing system infrastructur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KR20010100674A (ko) 맞춤형 창업 지원 포탈 사이트 운영 방법
KR20000063162A (ko) 지식관리시스템 및 지식관리방법
KR20010095634A (ko) 인터넷 경매를 이용한 원격교육방법 및 그 장치
Meepung et al. Virtual Commerce Management Using Design Thinking Process to Promote Digital Entrepreneurship for Education Studies.
KR102607823B1 (ko) 멘토링 매칭 및 콘텐츠 판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72065A (ko) 체험여행 프로그램 중개 시스템
Mitchell E-Competent Australia: Report on the Impact of E-Commerce on the National Training Framework.
JP2002157474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McCubbrey Designing an electronic commerce curriculum
Ngogo Design of ICT Procurement Process Model for Secondary Schools Tanzania
Mitchell The impact of e-commerce on online learning systems in the VET sector
KR20010069742A (ko) 통합 서비스 홈페이지 서버 및 이에 연동하는 검색포탈사이트를 통한 통합 서비스 홈페이지의 등록, 생성,검색, 활용 및 서비스를 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Bane Reports on Conferences, Institutes, and Semin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