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995A -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 - Google Patents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995A
KR20020025995A KR1020027002539A KR20027002539A KR20020025995A KR 20020025995 A KR20020025995 A KR 20020025995A KR 1020027002539 A KR1020027002539 A KR 1020027002539A KR 20027002539 A KR20027002539 A KR 20027002539A KR 20020025995 A KR20020025995 A KR 20020025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cal spring
antenna
support element
antenna radiator
antenna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2447B1 (ko
Inventor
밀리츠우베
빌켄하인리히
호른안드레아스
슈미트크리스티안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20025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5Flexible aerials; Whip aerials with a resilient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32Vertical arrangement of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32Vertical arrangement of element
    • H01Q9/34Mast, tower, or like self-supporting or stay-supported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한 짧은 전기적 길이를 갖도록 안테나 방사기(1)를 개량하여, 넓은 송신 및/또는 주파수 수신 범위를 허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1)는, 한편으로는 안테나 로드(10)를 보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나선형 스프링(5)과 나사 결합된 지지 요소(15)를 이용하여 안테나 로드(10)를 수용하기 위한 나선형 스프링(5)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요소(15)에는 안테나 로드(10)를 위한 관형상 수용부(20)가 제공된다. 상기 관형상 수용부(20)의 외부 표면에는 나선형 스프링(5) 안으로 나사 결합된 나사산형 프로파일(25)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FLEXIBLE ANTENNA RADIATOR}
항해-, 무선- 및 라디오 방송 응용을 위한 조합 안테나를 의미하는 보쉬-안테나 "멀티-NTR 101"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 안테나는 나선형 스프링을 포함하는데, 한편으로는 차량 차체에 부착하기 위한 나사 볼트가 다른 한편으로는 안테나 로드를 보유하는 지지 볼트가 상기 나선형 스프링 안으로 끼워진다.
본 발명은 독립항의 상위 개념에 따른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를 통한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독립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는 지지 요소가 안테나 로드를 위한 관형상 수용부를 포함하며, 관형상 수용부는 그 외측에 나선형 스프링 안으로 끼워지는 나사산형 프로파일(profile)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테나 로드(rod)의 지지 장치는 나선형 스프링 안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지지 요소는 나선형 스프링 밖으로 매우 미미하게 돌출하고 나선형 스프링의 외부 또는 지지 요소의 외부에서 안테나 로드 위에 장착된 코일과 나선형 스프링 사이의 최소 간격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나선형 스프링에 대해 필요한 최소 길이에도 불구하고, 가능한 한 고주파수의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안테나 방사기의 가능한한 작은 전기적 길이가 구현될 수 있다.
종속항에 기재된 특징을 통해 독립항에 제시된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의 유리한 다른 형성 및 개선이 가능하다.
그 내경이 거의 안테나 로드의 외경과 일치하는 변형 가능한 소켓으로서 지지 요소를 형성하여, 안테나 로드가 삽입되는 경우 소켓의 외측이 나사산형 프로파일이 생성되도록 변형되는 것은 특히 유리하다. 그런 소켓은, 그 나사산이 안테나 로드를 삽입할 때 변형됨으로써 자동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별도로 제작될 필요가 없는 특히 값싼 대량 생산품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를 제작할 때 경비 및 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장점은, 나선형 스프링의 내부에서 안내되고 나선형 스프링에 전기적 브릿지(bridge)를 형성하는 전도 밴드가 안테나 로드와 관형상 수용부 사이에 동봉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요소는 전도 밴드를 지지하고 전도 밴드를 나선형 스프링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지지 요소의 기능성은 더욱 향상된다. 전도 밴드를 통해 나선형 스프링에 전기적 브릿지를 형성함으로써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의 전기적 길이는 나선형 스프링이 구부러질 때 변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어,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의 송신- 및 수신 특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유리한 것은 안테나 로드 위에 설치된 전자 코일이 전도 밴드(conduction band)와 결합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전기적 중간 연결자 없이 전기 코일과 전도 밴드 사이의 전기적 직접 접촉은 가능하여, 재료가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며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1에는 나선형 스프링(5)을 포함하는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1)가 도시된다. 나선형 스프링(5)은 예를 들면 차량 차체에 부착될 수 있는 나사 볼트(40)에 장착된다. 그러면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1)는 차량 안테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나사 볼트(40)는, 거의 나선형 스프링(5)의 감김(winding) 윤곽과 거의 일치하고 나선형 스프링(5)의 제1 단부(50) 안으로 끼워진 나사산(45)을 포함한다. 나사 볼트(40)의 나사산(45)의 골 지름은 나선형 스프링(5)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이로 인해 나선형 스프링(5)과 나사 볼트(40) 사이의 형상 및 힘에 입각한 결합이 발생한다. 나선형 스프링(5)과 나사 볼트(40)의 나사산(45) 사이에는 전도 밴드(30)가 삽입된다. 나선형 스프링(5) 및 전도 밴드(30) 모두는 전기 전도성 재료, 예를 들면 금속으로 형성된다. 나선형 스프링(5)과 전도 밴드(30) 사이에서 나선형 스프링(5)의 제1 단부(50)에는 전기 전도성 결합이 형성된다.
나선형 스프링(5)의 제1 단부(50)의 반대쪽에 있는 나선형 스프링(5)의 제2 단부(55)에서는 지지 요소(15)가 나선형 스프링(5) 안으로 삽입된다. 지지 요소(15)는 관형상 수용부(20)를 포함하는데, 이 관형상 수용부(20) 안으로 안테나 로드(10)가 삽입된다. 관형상 수용부(20)는 그 외측에 예를 들면 나사산형 프로파일(25)을 포함하는데, 이 나사산형 프로파일(25)은, 나선형 스프링(5)의 감김 윤곽과 거의 일치하고 나선형 스프링(5)의 제2 단부(55) 안으로 끼워진다. 나사산형 프로파일(25)의 골 지름은 나선형 스프링(5)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삽입된 안테나 로드(10)를 구비하는 지지 요소(15)는 나선형 스프링(5)과 형상 및 힘에 입각하여 결합된다. 지지 요소(15)는 그 내경이 안테나 로드(10)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는 변형 가능한 소켓, 예를 들면 주석 도금된 결합 소켓으로서 형성될 수 있어서, 안테나 로드(10)가 수용되는 경우 그 외측은 나사산형 프로파일(25)이 생성되도록 변형된다. 안테나 로드(10)를 지지 요소(15)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서, 지지 요소(15)의 단부는 확대된 직경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요소(15)의 이 단부는 매우 조금 또는 전혀 변형되지 않아서, 이 단부는 나선형 스프링(5) 안으로 삽입되지 않고 나선형 스프링(5) 밖으로 돌출된다. 지지 요소(15)를 통해 안테나 로드(10)는 나선형 스프링(5) 안에 유지되고 이 나선형 스프링(5) 안으로 돌출된다.
본 도면에 따르면 전도 밴드(30)는 안테나 로드(10)와 관형상 수용부(20) 사이에 동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도 밴드(30)는 안테나 로드(10)를 관형상 수용부(20) 안으로 삽입하기 전에 미리 동봉되었다. 안테나 로드(10)를 관형상 수용부(20) 안으로 삽입함으로써 전도 밴드(30)는 관형상 수용부(20)에 대항하여 가압된다. 관형상 수용부(20)를 구비하는 지지 요소(15) 및 전도 밴드(30)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될 때, 이로 인해 전도 밴드(30)와 관형상 수용부(20) 사이에 전기 전도성 결합이 형성된다. 나선형 스프링(5)도 또한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므로, 이로 인해 지지 요소(15) 영역의 나선형 스프링(5)과 지지 요소(15) 사이그리고 나선형 스프링(5)의 제2 단부(55)에는 전기 전도성 결합이 형성된다. 전도 밴드(30)는 나선형 스프링(5)의 내부에서 안내된다. 전도 밴드(30)가 나선형 스프링(5)의 제1 단부(50) 및 제2 단부(55)에서 전기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나선형 스프링(5)은 전도 밴드(30)를 통해 전기적 브릿지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유리 섬유 로드로서 형성될 수 있는 안테나 로드(10) 위에는 예를 들면 철사 형상의 전기 코일(35)이 제공된다. 전기 코일(35)은 안테나 로드(10)를 관형상 수용부(20) 안으로 삽입하기 전에 안테나 로드(10) 위에 미리 제공될 수 있다. 안테나 로드(10)를 관형상 수용부(20) 안으로 삽입한 후에는 코일(35)의 나선형 스프링(5) 또는 지지 요소(15)에 대면한 단부는 나선형 스프링(5)의 외부 그리고 또한 관형상 수용부(20)의 외부에 놓이게 된다. 안테나 로드(10)는, 전기 코일(35)의 지지 요소(15)쪽 단부가 지지 요소(15)로부터 가능한 한 적게 이격되도록, 가능한 한 관형상 수용부(20) 안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이 단부는 또한, 전도 밴드(30)가 나선형 스프링(5) 외부의 관형상 수용부(20)로부터 충분히 돌출될 때 전도 밴드(30)와 직접 납땜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되는, 전기 코일(35)과 전도 밴드(30) 사이의 직접적인 결합은 추가의 중간 연결자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재료가 절약된다.
또한, 전기 코일(35)의 나선형 스프링(5)에 대면한 단부가 안테나 로드(10)와 관형상 수용부(20) 사이에 놓인 전도 밴드(30)에 대항하여 가압되어 이 방식으로 전기 코일(35)과 전도 밴드(30) 사이의 전기 전도성 결합이 구현되도록, 미리 설치된 코일(35)을 구비하는 안테나 로드(10)를 관형상 수용부(20) 안으로 삽입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경우, 전기 코일(35)의 나선형 스프링(5)에 대면한 단부는 관형상 수용부(20) 내부에 존재하고 안테나 로드(10)를 통해 이 관형상 수용부(20) 안으로 삽입 결합된다.
전기 코일(35)과 전도 밴드(30) 사이의 결합이 납땜을 통해 형성되고 전기 코일(35)의 나선형 스프링(5)에 대면한 단부가 관형상 수용부(20)의 외부에 놓이는 경우, 전기 코일(35)은 안테나 로드(10)가 관형상 수용부(20) 안으로 삽입된 후에 안테나 로드(10)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전기 코일(35)의 나선형 스프링(5)에 대면한 단부가 관형상 수용부(20) 안의 전도 밴드(30)와 접촉하여 삽입 결합되어야 하는 경우, 전기 코일(35)은 안테나 로드(10)가 관형상 수용부(20) 안으로 삽입되기 전에 미리 안테나 로드(10) 위에 장착되어야 한다. 그 외에 이러한 경우 적어도 전기 코일(35)의 나선형 스프링(5)에 대면한 단부를 평평한 철사로서 형성하는 것이 추천되는데, 그로써 관형상 수용부(20) 내부에 삽입 결합된 경우 전도 밴드(30)와의 가능한 한 양호한 접촉을 가능케 한다.
나선형 스프링(5) 내부의 전도 밴드(30)는 나선형 스프링(5)의 가요성- 및 연성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찢어지지 않고 이 움직임을 따라갈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선택된다.
나선형 스프링(5)은 안테나 방사기(1)의 전기적 길이에 영향을 준다. 나선형 스프링(5)이 구부러지거나 늘어나면, 안테나 방사기(1)의 전기적 길이는 증가한다. 이것은 수신 가능한 주파수 영역과 안테나 임피던스 및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 다른 수신 회로에의 적응에 영향을 준다. 전도 밴드(30)를 사용함으로써 나선형스프링(5)은 전기적 브릿지가 형성되어, 나선형 스프링(5)이 구부러지거나 늘어나는 경우, 구부러지지 않거나 늘어나지 않은 상태와 비교하여 안테나 방사기(1)의 전기적 길이는 증가되지 않는다.
나사 볼트(40)는 마찬가지로 전기 전도성 재료, 예를 들면 금속으로 형성되어, 나사 볼트(40)의 나사산(45), 나선형 스프링(5) 그리고 나선형 스프링(5)과 나사 볼트(40)의 나사산(45) 사이에 삽입 결합된 전도 밴드(30) 사이의 전기 전도성 결합이 나선형 스프링(5)의 제1 단부(50)에 존재하게 된다.
안테나 방사기(1)의 전기적 길이는 나사 볼트(40)의 나선형 스프링(5) 반대쪽 단부와 지지 요소(15)의 나선형 스프링(5) 반대쪽 단부 사이의 거리의 최소값으로서 주어진다. 나선형 스프링(5)의 길이는 나선형 스프링(5)이 구부러질 때 변형되지 않고 그 최초 위치로 다시 반동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나선형 스프링(5)의 그러한 변형은 나선형 스프링(5)의 길이 및 외경이 충분히 클 때 피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5)이 구부러질 때 발생하는 변형을 피하기 위해 나선형 스프링(5)의 외경을 증가시킴으로써 나선형 스프링(5)의 길이가 어느 정도 감소되는 것은 보상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5)의 길이가 36mm이고, 나선형 스프링(5) 외부의 나사 볼트(40)의 길이가 12mm이고 나선형 스프링(5) 외부의 지지 요소(15)의 길이가 5mm인 경우 안테나 방사기(1)의 전기적 길이에 대한 최소값으로서 53mm의 값이 주어진다. 람다/4-방사기로서 안테나 방사기(1)를 사용할 때 전기적 길이가 상기 최소값인 경우 1364 MHz 주파수의 신호가 특히 잘 송신 및 수신된다. 그러한 전기적 길이의 경우 1800 MHz에서의 E-네트웍의 신호가 또한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안테나 방사기(1)가 복수의 주파수 영역을 위한 조합 안테나로서 설치되면, 지지 요소(15)의 바로 위에 E-네트웍의 신호에 대한 차단 코일(60)이 안테나 로드(10)에 장착되어, 전기 코일(35)에 의해 수신된 예를 들면 E-네트웍의 신호는 차단 코일(60)의 위쪽에서 차단되고 나사 볼트(40)의 하류에 연결된 수신회로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대략 900 MHz의 주파수 영역의 D-네트웍의 신호에 대한 차단 코일이 나사 볼트(40)의 나선형 스프링(5) 반대쪽 단부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900 MHz의 주파수의 1/4-파장의 높이로 안테나 로드(10)에서 E-네트웍에 대한 차단 코일(60)의 위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 실시예의 경우는 약 8.3 cm 이다. 안테나 방사기(1)는 E-네트웍에 대한 차단 코일(60)과 나사 볼트(40)의 나선형 스프링(5) 반대쪽 단부 사이에서 예를 들면 E-네트웍의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안테나 방사기(1)는 D-네트웍에 대한 차단 코일과 나사 볼트(40)의 나선형 스프링(5) 반대쪽 단부 사이에서 예를 들면 D-네트웍의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두 개의 차단 코일은 전기 코일(35)의 일부분이다. 전기 코일(35)이 안테나 로드(10)의 상응하는 길이에서 나선형 스프링(5)의 반대쪽에 D-네트웍에 대한 차단 코일을 통해 연장할 때, 이로 인해 실현될 수 있는 전기적 길이에서 D-네트웍 이하의 주파수 영역의 신호가 송신 및 수신되는데, 예를 들면 상응하는 전기적 길이에서 안테나 방사기(1)에 의해 라디오 방송 신호도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사기(1)를 통해, 나선형 스프링(5)의 소정의 특성의 경우에 적어도 필요한 전기적 길이를 최소한으로 줄이고 수신 및/또는 송신할 최대한의 주파수 영역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한편으로는 안테나 로드(10)를 보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나선형 스프링(5)과 나사 결합된 지지 요소(15)를 이용하여 안테나 로드(10)를 수용하기 위한 나선형 스프링(5)을 구비하는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1)에 있어서,
    지지 요소(15)는 안테나 로드(10)를 위한 관형상 수용부(20)를 포함하며, 관형상 수용부(20)는 그 외측에 나선형 스프링(5) 안으로 끼워지는 나사산형 프로파일(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15)는 그 내경이 안테나 로드(10)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는 변형 가능한 소켓으로서 형성되어, 안테나 로드(10)가 수용되는 경우 그 외측은 나사산형 프로파일(25)이 생성되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안테나 로드(10)와 관형상 수용부(20) 사이에는, 나선형 스프링(5)의 내부에서 안내되고 나선형 스프링(5)에 전기적 브릿지를 형성하는 전도 밴드(30)가 동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테나 로드(10)는 유리 섬유 로드로서 형성되고 전기 코일(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전기 코일(35)은 전도 밴드(3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
KR1020027002539A 1999-08-31 2000-08-17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 KR100752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41501.3 1999-08-31
DE19941501A DE19941501C1 (de) 1999-08-31 1999-08-31 Biegsamer Antennenstrah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995A true KR20020025995A (ko) 2002-04-04
KR100752447B1 KR100752447B1 (ko) 2007-08-24

Family

ID=792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539A KR100752447B1 (ko) 1999-08-31 2000-08-17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18966B1 (ko)
JP (1) JP4469530B2 (ko)
KR (1) KR100752447B1 (ko)
DE (2) DE19941501C1 (ko)
TW (1) TW541756B (ko)
WO (1) WO2001017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3862A1 (de) * 2005-10-18 2007-05-09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Antennenrute für eine Antenne mit Glasfaserstab, der eine Ausnehmung aufweist
DE102006006923A1 (de) * 2005-10-18 2007-04-19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Antennenrute für eine Antenne mit Glasfaserstab, der eine Ausnehmung aufweist
DE102006029488A1 (de) * 2006-02-04 2007-08-09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Antennenstab mit Gewindeverbindung zum Antennensockel
DE102008002673A1 (de) * 2008-06-26 2009-12-31 Robert Bosch Gmbh Stabantenne
US8963786B2 (en) * 2012-07-11 2015-02-24 Laird Technologies, Inc. Antenna mast assemblies
WO2017153571A1 (de) * 2016-03-11 2017-09-14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abantenne
DE102017114365B4 (de) 2016-06-29 2024-04-25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abantenn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9698A (en) * 1977-12-13 1979-12-18 American Antenna Corporation Mobile antenna with adjustable radiating element
US4163981A (en) * 1978-03-27 1979-08-07 Wilson Thomas J Spring tunable helical whip antenna
DE3036084A1 (de) * 1980-09-25 1982-04-29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tabantenne, insbesondere fuer ukw-rundfunkempfang
DE3205750C2 (de) * 1982-02-18 1990-03-29 Hans Kolbe & Co, 3202 Bad Salzdetfurth Biegestück für einen Antennenstab einer Kfz-Antenne
GB2148604B (en) * 1983-10-18 1988-01-06 Plessey Co Plc Monopole aerial
US4914450A (en) * 1985-01-31 1990-04-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High frequency whip antenna
DE68926655T2 (de) * 1988-11-22 1996-12-05 Harada Ind Co Ltd Antennenbefestigung mit einer Schraubkupplungsvorrichtung
DE3842854A1 (de) * 1988-12-20 1990-06-21 Bosch Gmbh Robert Stabantenne fuer den fernsehempfang
FR2693038B1 (fr) * 1992-06-29 1994-09-16 Ernest Pizon Antenne émettrice et/ou réceptr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69530B2 (ja) 2010-05-26
DE19941501C1 (de) 2001-06-28
WO2001017060A1 (de) 2001-03-08
EP1218966B1 (de) 2003-05-14
EP1218966A1 (de) 2002-07-03
KR100752447B1 (ko) 2007-08-24
TW541756B (en) 2003-07-11
JP2003508949A (ja) 2003-03-04
DE50002213D1 (de)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858B1 (ko) 휴대용 무선기기 안테나
US5990848A (en) Combined structure of a helical antenna and a dielectric plate
US5661496A (en) Capacitive coupled extendable antenna
US7248227B2 (en) Dipole antenna
US4200874A (en) Car antenna mounting means
US20090284887A1 (en) Protective device
KR20140075067A (ko) 차량용 소형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52447B1 (ko) 가요성 안테나 방사기
US5057849A (en) Rod antenna for multi-band television reception
KR100272790B1 (ko) 초고주파 안테나 시스템
US20030112203A1 (en) GSM/DCS Stubby antenna
JP2605607Y2 (ja) アンテナの取付構造
US4999642A (en) Transmission line coupling device with closed impedance matching loop
US7717743B2 (en) Coaxial connector fixed to a housing with a pipe member
US6091369A (en) Telescopic antenna assembly for portable phone
GB2300307A (en) Antenna connecting device for portable radio sets
US20010023178A1 (en)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and its associated antenna
US4749999A (en) Transmitting-receiving antennas for vehicles
US10770796B2 (en) Antenna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tenna device
JP2001230616A (ja) ガラスアンテナ装置
WO1999056343A1 (fr) Antenne pour communication radio-mobile
KR0174114B1 (ko) 자동차용 안테나
EP1786063B1 (en) Dipole antenna for broadband transmission
US20030003948A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power supply device thereof
CN215771539U (zh) 一种可调节的vhf车载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