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376A - 삼각형태의 다리부를 가지는 돔 스위치 - Google Patents

삼각형태의 다리부를 가지는 돔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376A
KR20020025376A KR1020000057112A KR20000057112A KR20020025376A KR 20020025376 A KR20020025376 A KR 20020025376A KR 1020000057112 A KR1020000057112 A KR 1020000057112A KR 20000057112 A KR20000057112 A KR 20000057112A KR 20020025376 A KR20020025376 A KR 20020025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switch
dome
central portion
leg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9681B1 (ko
Inventor
이동환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2000005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681B1/ko
Publication of KR20020025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기판상의 이격된 콘택트들과 이들 사이의 중앙 콘택트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돔의 형태를 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이격된 콘택트상에 고정배치되며 중앙부는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탄성 변형을 하여 상기 중앙의 콘택트부와 접촉을 하여, 상기 이격된 콘택트들과 상기 중앙 콘택트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돔 스위치로서,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하방으로 밀리며 뒤집히는 탄성변형을 하는 원형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방으로 연장된 세 개의 다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를 본 발명은 개시한다.

Description

삼각형태의 다리부를 가지는 돔 스위치{Dome switch having triangle type-legs}
본 발명은 삼각형태의 다리부를 가지는 돔 스위치(dome switch)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는 안정적인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며 또한 클릭감을향상 시킨다.
돔 스위치(dome switch)는 돔(dome)형태를 하여 그 중앙부위가 상.하를 따라 탄성적 변형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돔 중앙의 키(key)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돔의 주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트(contacts)와 돔 하부의 키 패드 콘택트(key pad contact)를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돔 스위치는 회로 기판(PCB:Printed Circuit Board)상에 형성되어 두 개의 이격된 패턴을 그 중앙의 패턴 또는 키 패드 콘택트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원형의 돔 스위치의 일예의 단면도를 보인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기판(1)상에 두 개의 패턴(2),(2)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그 중앙에 키 패드(3)가 형성되어 있다. 돔 스위치(4)는 그 주변부(5)가 상기 패턴(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된다. 돔 스위치의 중앙 상부의 키(key)부분에 압력을 가하면 돔의 중앙부는 하부로 탄성변형을 하여 도 1에서 점선(4a)으로 보인 것과 같이 변형을 하고, 그 결과 두 개의 이격된 패턴(2),(2)와 키 패드(3)가 전기적으로 연결을 이룬다.
이와 같이 돔 스위치는 전체적으로 돔 형상을 하여 그 중앙부위의 키(key)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그 키부분이 탄성변형을 하고 그 결과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스위치이다. 이러한 돔 스위치는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압력등에 의하여 돔의 가장자리가 변형되었을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전기적 접속 특성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그 클릭시 사용자가 느끼는 쾌감(이하 클릭감)도 돔 스위치 작동평가의 매우 큰 요소를 차지한다.
종래의 원형의 돔 스위치와 같은 경우, 만일 돔의 가장자리가 변형이 되었을 경우 돔의 중앙부와 키 패드부가 정확히 접지되지 못하여 전기전 스위칭이 불량될 염려가 있다. 또한 이 경우 돔 스위치의 가압시 하중이 변형부분에 집중될 수 있어, 돔이 정확히 원형으로 접지되지 못하며 그 클릭감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그 클릭감을 향상시키며, 돔 스위치의 일부 변형시에도 그 전기적 접속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돔 스위치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은 돔 스위치의 가장자리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며 또한 그 클릭감을 향상하는 돔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는 원형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방으로 연장된 세 개의 다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다리부의 끝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를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는 중앙의 원형부 외곽의 다리부에 변형이 있어도 하중이 가해질 때 그 응력이 중앙의 원형부에 집중되어 중앙부위의 접촉면은 항상 원형을 유지하여 하부의 키 패드와 안정적인 전기적 접촉을 이룬다. 또한 중앙의 원형부에 응력이 집중되므로 결과적으로 동작하중(compression peak)이 증대되어 클릭감을 향상 시킨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다리부 선단의 절곡부는 다리부의 변형에 따른 다리부에의 응력집중을 방지한다. 즉 변형에 따른 응력집중은 상기 다리 선단의 절곡부에서 흡수한다. 또한 중앙의 원형부의 변형은 중앙부에서 흡수된다. 따라서, 상기 다리부에 변형이 있어도 클릭하중이 크게 변동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안정된 클릭하중을 얻는다.
도 1은 종래의 원형의 돔 스위치의 일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를 보이는 도면으로서, 도 2의 (a)는 그 사시도를, (b)는 그 평면도를, (c)는 그 측면도를 각각 보이며;
도 3은 도 2의 (b)의 3-3선을 따른 단면도에 대하여 기판상에 배치되는 형태를 보이는 도면이고;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의 중앙부의 키부에 하중을 가하여 돔 스위치가 작동하는 것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돔 스위치20: 중앙 원형부
21, 22, 23: 다리부211, 212, 213: 절곡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를 보인다. 여기서 도 2의 (a)는 그 사시도를, (b)는 그 평면도를, (c)는 그 측면도를 각각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10)는 원형의 중앙부(20)를 가지며, 상기 중앙부(2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방으로 연장된 세 개의 다리부(21, 22, 2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돔 스위치(10)는 상기 다리부들(21, 22, 23)의 끝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211, 212, 213)를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삼각형의 다리부를 가지는 돔 스위치(10)는 도 3에서와 같이 기판상에 고정배치된다. 도 3은 도 2의 (b)의 3-3선을 따른 단면도에 대하여 기판(50)상에 배치되는 형태를 보인다. 도 3을 참고로 하여, 상기 돔 스위치(10)의 다리부 선단의 절곡부(211, 212, 213)는 각각 서로간 전기적으로 접촉되어야 할 콘택트(52, 52)상에 각각 고정 배치되어 이들과 전기적 접촉을 이룬다. 여기서 돔 스위치(10)의 제 3 의 다리부(23) 및 이와 접촉하는 기판상의 콘택트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10)의 중앙부(20)의 키(key)부에 하중을가하여 돔 스위치가 작동하는 것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로 하여, 중앙의 원형부(20)에 하중을 가하면,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돔 스위치는 탄성변형을 하여, 원형의 중앙부(20)는 본래의 U형태에서 뒤집혀 역 U의 형상(inversed U-shape)을 하며 그 하부의 키패드(51)와 접촉을 이루고, 이에 따라서, 상호간 이격된 콘택트(52)들과 기판(50)상의 키패드(51)를 전기적으로 스위칭한다. 이때, 만일 중앙의 외곽부의 다리부(21, 22, 23)에 변형이 있어도, 상기 하중은 원형부(20)에 집중되고 중앙부위의 접촉면은 항상 원래의 원형을 유지한다. 그 결과, 주변부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항상 하부의 키패드부(51)와 안정적인 전기적 접촉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는 클릭감을 향상 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의 경우 중앙의 원형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동작하중(compression peak)이 증대된다. 일반적으로 클릭감은 클릭율에 따르는데, 클릭율(CLICK RATIO)은 하기의 식에 의하여 정의된다.
여기서 CP는 Compression Peak의 약자로 돔(dome)을 눌러서 압력의 최고점에서의 하중을 의미한다. 또한 CL은 Compression Low의 약자로 스위치가 ON되는, 즉 돔의 중앙부가 바닥에 닿았을 때의, 하중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종래의 원형의 돔 스위치와 비교하여, 중앙부의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돔을 푸쉬(push)하는 것으로서 더욱 큰 클릭하중(CP)가 필요하다. 그 결과 상기의 식에서와 같이, 클릭율이 증대되어 결국 클릭감을 향상 시킨다.
또한 종래의 원형의 돔과 비교하여 주변부의 변형이 있을 경우, 종래의 원형돔에서는 그 변형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클릭하중이 분산되고 그 결과 클릭감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중앙의 원형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이러한 클릭하중의 문산에 따른 클릭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다리부 선단의 절곡부(211, 212, 213)는 다리부(21, 22, 23)의 변형에 따른 다리부에의 응력집중을 방지한다. 즉 변형에 따른 응력집중은 상기 다리 선단의 절곡부에서 흡수한다. 또한 중앙의 원형부의 변형은 중앙부에서 흡수된다. 따라서, 상기 다리부에 변형이 있어도 클릭하중이 크게 변동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안정된 클릭하중을 얻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돔 스위치의 가장자리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며 또한 그 클릭감을 향상하는 돔 스위치가 제공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기판상의 이격된 콘택트들과 이들 사이의 중앙 콘택트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돔의 형태를 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이격된 콘택트상에 고정배치되며 중앙부는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탄성 변형을 하여 상기 중앙의 콘택트부와 접촉을 하여, 상기 이격된 콘택트들과 상기 중앙 콘택트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돔 스위치로서,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하방으로 밀리며 뒤집히는 탄성변형을 하는 원형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방으로 연장된 세 개의 다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다리부의 끝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상기 이격된 콘택트상에 고정배치되는 절곡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KR1020000057112A 2000-09-28 2000-09-28 삼각형태의 다리부를 가지는 돔 스위치 KR100669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112A KR100669681B1 (ko) 2000-09-28 2000-09-28 삼각형태의 다리부를 가지는 돔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112A KR100669681B1 (ko) 2000-09-28 2000-09-28 삼각형태의 다리부를 가지는 돔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376A true KR20020025376A (ko) 2002-04-04
KR100669681B1 KR100669681B1 (ko) 2007-01-17

Family

ID=1969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112A KR100669681B1 (ko) 2000-09-28 2000-09-28 삼각형태의 다리부를 가지는 돔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6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9732A1 (en) * 2003-06-07 2004-12-16 Soo Ho Lee Printed circuit board tact switch
KR100492097B1 (ko) * 2001-01-18 2005-06-01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클릭감이 양호한 돔 형상 접점판 및 접점판이 장착된 시트
KR100790455B1 (ko) * 2006-11-02 2008-01-02 주식회사 두성테크 메탈 돔
CN100421197C (zh) * 2003-06-07 2008-09-24 李水镐 印刷电路板触摸开关
KR102107421B1 (ko) * 2019-02-28 2020-05-07 주식회사 마그마 키패드용 메탈 돔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70Y1 (ko) 2008-04-25 2010-08-09 주식회사 마그마 메탈 돔 스위치
KR200466734Y1 (ko) 2012-01-09 2013-05-06 주식회사 마그마 메탈 돔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23A (en) * 1860-12-18 Valve-gear fob
JP2882878B2 (ja) * 1990-11-30 1999-04-12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用クリックバネ
JPH0831266A (ja) * 1994-07-14 199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薄形プッシュスイッチ
KR100569205B1 (ko) * 2004-05-06 2006-04-10 주식회사 디스텍 전자 제품의 키패드 스위치용 돔 스위치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097B1 (ko) * 2001-01-18 2005-06-01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클릭감이 양호한 돔 형상 접점판 및 접점판이 장착된 시트
WO2004109732A1 (en) * 2003-06-07 2004-12-16 Soo Ho Lee Printed circuit board tact switch
CN100421197C (zh) * 2003-06-07 2008-09-24 李水镐 印刷电路板触摸开关
KR100790455B1 (ko) * 2006-11-02 2008-01-02 주식회사 두성테크 메탈 돔
KR102107421B1 (ko) * 2019-02-28 2020-05-07 주식회사 마그마 키패드용 메탈 돔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9681B1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8524B2 (ko)
JPH0684426A (ja) スイッチ
US5803243A (en) Latching rocker switch
KR970003318A (ko) 다양한 전기 장치 제어용 레버 스위치
KR20070078058A (ko) 슬라이드 조작식 스위치
US20040256211A1 (en) Resilient switch contact for a key switch device
US7841866B2 (en) Electrical contact having stamped contact pins movably assembled within enclosure member thereof
KR100669681B1 (ko) 삼각형태의 다리부를 가지는 돔 스위치
JP2002237233A (ja) タクトスイッチ
JP2002343178A (ja) 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20590B2 (ja) スイッチ部材及びプッシュスイッチ
GB2178237A (en) Push button switch
US7878867B2 (en) Electrical contact having an upper contact with a thickened base portion
US4325102A (en) Variable capacitor for use in a keyboard
JP2000260256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11676782B2 (en) Dome-actuator structure for use in a dome switch, and a dome switch comprising such a structure
CN111292989B (zh) 按键装置及键盘装置
JP2001250450A (ja) 押釦スイッチ
JP2003014560A (ja) 加重センサ
JP2000260259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H0749701Y2 (ja) 押釦スイツチ
KR200379155Y1 (ko) 푸쉬스위치용 컨덕터
JPS6213304Y2 (ko)
JPH0635336Y2 (ja) スイッチ
JP2001242988A (ja) キー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