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118A -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118A
KR20020024118A KR1020020004608A KR20020004608A KR20020024118A KR 20020024118 A KR20020024118 A KR 20020024118A KR 1020020004608 A KR1020020004608 A KR 1020020004608A KR 20020004608 A KR20020004608 A KR 20020004608A KR 20020024118 A KR20020024118 A KR 20020024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put
virtual reality
database
feng shu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082B1 (ko
Inventor
성기만
Original Assignee
이창진
한일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진, 한일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창진
Priority to KR10-2002-0004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082B1/ko
Publication of KR2002002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0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별주택이나 공동주택의 단지배치 및 개별 세대의 평면설계에 있어 풍수지리에 입각하여 최소한의 기초적인 지리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해 가장 최적의 자연환경에 순응하는 양택의 조건을 도출해 내고, 이를 실제 건설에 적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풍수지리의 기초자료인 산형지세(山形地勢), 작국(作局) 데이터, 인조지형지물(人造地形地物) 데이터 등을 입력하면 그 자료를 토대로 풍수관련 요소 데이터베이스와의 연산을 통해 적정방위, 동·서사택, 내부평면의 방위 등을 결정한다.
이렇게 도출된 각 방위결정 자료와 기초자료를 토대로 건축적인 보정 단계를 거쳐 세부 도면자료를 제작하게 되며, 이것을 가상현실엔진(virtual reality engine)에서 가상현실데이터로 구현하여, 직접적으로 고객에게 화상으로 보여줌으로써, 소비자에게 풍수지리를 반영한 단지배치 및 평면설계의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The system and method of house design service using geomancy}
본 발명은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풍수지리를 살피기 위한 지리오결의수법과 향법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 상태에서 아파트를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지도정보를 입력시키면 그에 따라 지도상의 지리환경을 조사하여 풍수지리의 양택을 위한 지세(地勢) 및 국세(局勢)의 입지조건을 인식하면서 주거용 주택 건축을 위한 터의 상(相) 및 가상(家相), 동·서사택(東·西舍宅) 등의 판단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화상으로 출력하여 고객에게 가시적으로 보여주도록 한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생활을 영위하는 다양한 공간 중에 가장 중요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주거주택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어 왔다. 오늘날 문명의 발전과 더불어 수많은 새로운 건축자재가 나오고 다양한 건축 재료들만큼이나 다양한 주거문화가 있지만, 그 근본적인 토대는 자연에서 발생함은 변함없는 진리일 것이다.
땅을 기반으로 집을 짓고 주위의 자연과 더불어 존재하는 주택은 그 땅의 기운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의 조상들은 항상 주택을 입지하는 터 자체의 지형과 지세를 따져보고, 이것과 조화를 이루며 순응하는 지혜를 보여왔다.
그러나 우리는 60~80년대에 이르는 개발의 함성아래 무분별한 택지개발로 태고의 자연이 가진 기운을 인위적으로 변형시키고, 가치와 유행에 의해 인간의 주거형태를 규정 지어 왔다.
이제는 토지 이용상의 효율성이나 생활편의성 만큼이나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위의 자연과 어울러지는 주거문화를 만드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므로 우리 선조들의 오랜 통계적 혜안인 풍수지리를 현대적인 디지털 시스템으로 승화시켜,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지형지세의 기초자료만으로 최상의 양택의 단지배치 및 평면설계를 이끌어 낼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소비자들이 풍수지리를 미신적 태도로 인식하지 않도록 가상현실로 구현하여 보여줌으로써 자연과의 조화와 순응의 이로움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사람들이 생활하는 가택의 길흉판단을 정하는 풍수지리는 중국의 고전을 근거로 하여 조정동의 지리오결의 수법과 향법을 근거로 하여 작성한 해석판이며, 향법과 수법의 고전으로는 유일무이한 고서이고, 저자의 참고 자료로는 장경, 청남경, 옥척경, 설심부, 피로간담, 일업률, 옥수경, 천오경, 천옥경, 흑남경, 황남경, 선파집, 효사집, 탁옥부, 정문침, 전기회원, 인자수지, 일관감여, 삼재발비, 사마수법, 지리정종, 지리대성, 사탄자 등으로 동양에서 사용되는 수결, 향결편으로 풍수지리역학의 고전이다.
이러한 고전을 기초로 풍수지리를 살피고자 할 때에는 패철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측정판에 24방위를 기준으로 하여 그 안에 풍수지리에서 이용되고 있는 문자나 용어 명칭을 간단히 나열하므로 간접적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각 소의 다른 해석판의 문항과 연계하여 풀이하여야 해독이 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기존 패철의 첫 간에 인(寅), 신(申), 묘(卯), 유(酉), 사(巳), 오(午), 진(辰), 해(亥)의 여덟 자가 쓰여 있다. 이는 팔(八) 요수라 하여 물이 들고 나는 것을 주의 관찰하라는 것이나, 여덟 방위를 한번에 다 보라는 것이 아니고 지반정침의 갑(甲), 묘(卯), 을(乙), 방위(方位)로 묘의 좌(坐)를 정했을 때 이미놓여져 있는 구묘라면 신자(申字)방위만 주의하여 보라는 뜻이 된다.
따라서 9층이라면 모두 각층의 특수한 뜻의 글을 풀어 연계하여 계산하여야만 결론을 얻을 수 있을 뿐더러 기재된 사항이 한정되어 별도로 학술적 이론을 공부하여야 이용가능하며 기타 중요한 사항이 요구되면 충족할 수 없게 되어 이론적 학문을 몇 년 혹은 수십 년에 걸쳐 연구하여야 겨우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초보자나 일반인은 패철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그 이용이 불가능하도록 만들어져 있음은 물론, 패철 자체를 해독하기는 더욱 어렵게 되여 풍수지리를 연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발전이 없고 기존 패철로는 길지를 흉지로 해석하는 실수를 범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일부 풍수지리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패철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2000년 11월 28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0-0033255호 출원하여 등록번호 20-0230087호로 등록을 받은 " 풍수지리 방향지시 패철 " 등과 같은 여러 구성의 패철이 제안되어 사용하도록 하였다.
즉, 풍수지리의 학술적 이론과 기존의 10층패철의 활용법을 접목하여 원관통규법술(元關通竅法術)로 풀이하여 필요한 향을 정하고 확인하는데 있어 직접 지시케하는 회전식 해석판을 11층간해석판서부터 16층간해석판을 설치 구성하되 각 해석판의 상면을 회전시키면, 쉽고 간단명료하게 도식화하고 초보자도 간단히 식별, 사용할 수 있도록 색상끼리 맞추는 방식으로 즉시 원하는 향방을 정하고, 길흉판단이 용이하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요즈음 건축되는 건축물은 일정 가옥 이상의 주거지역을 건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간혹 개인주택을 건설한다 하더라도 자신의 위치에서 건물의 방향이나 위치를 풍수지리에 따라서 설계하여 건축하기에는 많은 번거로움이 있으며, 전문가를 현장에 초대하여 살피도록 하여야 하므로 실제로 많은 번거로움이 있게 되고, 그로 인해 거의 모든 주택에 풍수지리학을 이용하지 못하였다.
더구나 아파트와 같은 대단위 주택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햇볕과 주변 풍경과의 조화를 살피는 선에서 단지의 설계가 이루어지고 그렇게 건축된 아파트에 임의로 입주하는 방식이므로 개인적으로 풍수지리에 대해 따지고 싶어도 이를 실행에 옮기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풍수지리를 살피기 위한 지리오결의 수법과 향법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 상태에서 아파트를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지도정보를 입력시키면 그에 따라 지도상의 지리환경을 조사하여 풍수지리의 양택을 위한 지세(地勢) 및 국세(局勢)의 입지조건을 인식하면서 주거용 주택 건축을 위한 터의 상(相) 및 가상(家相), 동·서사택(東·西舍宅) 등의 판단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화상으로 출력하여 고객에게 가시적으로 보여주도록 한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은
본 발명은 주택을 시공하고자 하는 건설업체는 물론 주택을 짓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들에게 풍수의 전문가를 만나지 않아도 지도의 데이터나 지리적 정보를 입력하면, 풍수를 반영한 단지배치 및 평면설계를 얻어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일반인들이 대체로 알고 있는 배산임수(背山臨水)와 좌청룡 우백호 등의 지형지세 형상에 대한 데이터와 주변의 도로나 옹벽, 건물 등 인공지물에 대한 정보 등 기초적인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 자료와 풍수지리의 판단을 위한 괘상, 방위, 삼합오행, 육친관계 등에 대한 각종 풍수자료 데이터베이스와의 연산작용을 통해 세부적인 단지와 개별주택, 평면에 대한 방위를 결정짓고 이것을 가상현실엔진을 통해 각각의 라이브러리를 조합하여, 현실감 있는 가상현실로 구현하도록 한다.
그리고 기초 정보를 입력하는 <풍수지리 기초자료 입력 컨트롤러>가 있어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산형지세, 작국, 인조지형. 지물 등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한다.
상기 자료를 이용하여 풍수지리를 살피기 위한 지리오결의 수법과 향법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정보와의 연산작용을 이용해 방위를 결정하게 되며, 이렇게 결정된 방위에 따라 평면상의 설계도면을 제작하고, 가상현실로 이를 표현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판단을 위한 자료를 입력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풍수지리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방위 데이터베이스 2 : 패철 데이터베이스
5 : 시스템 콘트롤러 7 : 방위결정 처리부
8 : 동·서사택결정 처리부 9 : 내부평면결정 처리부
10 : 3차원 가상현실엔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방위와 평면설계 및 내부인테리어의 상태를 판단하기위한 풍수지리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입력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시키는 정보에 의하여 풍수지리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출력을 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한 것으로서,
용맥의 길흉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24방위의 24운성으로 구분한 신(辛), 술(戌), 건(乾), 해(亥), 임(壬), 자(子), 계(癸), 축(丑), 간(艮), 인(寅), 신(申), 묘(卯), 을(乙), 진(辰), 손(巽), 사(巳), 병(丙), 오(午), 정(丁), 미(未), 곤(坤), 신(申), 경(庚), 유(酉)의 정보를 방위 데이터베이스(1)에 입력시키고,
상기의 방위 데이터베이스(1)의 정보에 의하여 지세를 판단하면서 우주의 생성된 천체의기를 태어나고, 자라고, 왕성하고, 쇠하고, 병들고, 죽어가는 순환의 원리를 풍수지리의 방위학에 접목하여 양택이나 음택에 적용하도록 하는 정보를 패철 데이터베이스(2)에 입력시키고,
사용자가 건축이나 개발을 원하는 지역을 표시하면서 인근의 지형을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입력시키면 지도정보에 의하여 건축할 터와 주위지세를 판단하도록 하는 지도인식정보를 지도정보인식 데이터베이스(3)에 입력시키도록 하고,
사용자가 건축할 터, 주위의 산과 들 및 강의 흐름에 따른 지형, 주변의 인공지형이나 지물에 등에 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입력시키도록 질문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입력유도정보를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4)에 입력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방위데이터베이스 및 패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의하여 상기의 지도정보인식 데이터베이스(3)를 통하거나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4)를 통하여 입력시킨 정보를 분석판단하는 방위결정 처리부(7)에서는 시스템 콘트롤러(5)의제어에 의하여 프로그램메모리(6)에 저장된 처리방법 및 순서에 의하여 전체 건물의 방위와 개별주택의 방위 및 부속건물의 방위를 각각 결정하도록 하고,
상기의 방위데이터베이스 및 패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의하여 상기의 지도정보인식 데이터베이스(3)를 통하거나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4)를 통하여 입력시킨 정보를 분석판단하는 동·서사택결정 처리부(8)에서는 좌향의 방위와 대문의 방위 및 기타 공간들의 방위를 결정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의 방위데이터베이스 및 패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의하여 상기의 지도정보인식 데이터베이스(3)를 통하거나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4)를 통하여 입력시킨 정보를 분석판단하는 내부평면결정 처리부(9)에서는 건물 실내의 평면구조와 내부의 가구배치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시스템 콘트롤러(5)의 제어를 받으면서 방위결정 처리부(7)와 동·서사택결정 처리부(8) 및 평면결정 처리부(9)로부터 출력정보를 전달받는 3 차원 가상현실엔진(10)에서는 3차원 화상출력부(11)를 통하여는 주위의 지형에 의해 위치하는 단지나 주택의 외형을 3차원 가상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3 차원 가상현실엔진(10)에서는 평면설계 화상출력부(12)를 통하여는 단지나 주택의 평면의 가상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3 차원 가상현실엔진(10)에서는 인테리어 화상출력부(13)를 통하여는단지나 주택의 실내에 배치되는 가구와 내부 구조물의 위치 및 방향을 평면의 가상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의 시스템 콘트롤러에서(5)를 포함하는 관리서버(A)는 인터넷망(B)을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C)를 통하여 풍수지리에 관한 정보를 입력시키면서 출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은 도 2 내지 도 3의 과정에 의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력시키거나 출력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내부의 방위 데이터베이스(1), 패철 데이터베이스(2), 지도정보인식 데이터베이스(3) 및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4)에 풍수지리의 모든 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입력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용맥의 길흉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24방위의 24운성으로 구분한 신(辛), 술(戌), 건(乾), 해(亥), 임(壬), 자(子), 계(癸), 축(丑), 간(艮), 인(寅), 신(申), 묘(卯), 을(乙), 진(辰), 손(巽), 사(巳), 병(丙), 오(午), 정(丁), 미(未), 곤(坤), 신(申), 경(庚), 유(酉)의 정보를 방위 데이터베이스(1)에 입력시킨다(단계 21).
다음에 전후좌우에 있는 네 개의 산이 있는 가의 유무에 따라 풍수를 판단하기 위한 사신사(四神砂)에 대한 정보를 패철 데이터베이스(2)에 입력시킨다(단계 22).
그리고 주위에 강이나 하천 등에 의해 물이 흐르는 가의 여부 및 방향에 의해 풍수를 판단하기 위한 작국에 대한 정보를 상기의 패철 데이터베이스(2)에 입력시킨다(단계 23).
상기의 방위 데이터베이스(1)의 정보에 의하여 지세를 판단하면서 우주의 생성된 천체의기를 태어나고, 자라고, 왕성하고, 쇠하고, 병들고, 죽어가는 순환의 원리를 풍수지리의 방위학에 접목하여 양택이나 음택에 적용하도록 판단하는 정보를 패철 데이터베이스(2)에 입력시킨다(단계 24).
그리고 사용자가 건축이나 개발을 원하는 지역을 표시하면서 인근의 지형을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입력시키면 지도에 도시한 산의 파고와 들의 상태 및 강이나 하천의 흐름에 따른 정보에 의하여 건축할 터와 주위지세를 판단하도록 하는 지도인식정보를 지도정보인식 데이터베이스(3)에 입력시킨다(단계 25).
만약 사용자가 지도를 입력시키기 어려운 경우에 대비하여 사용자가 건축을 수행할 터는 물론, 그 주위의 산과 들 및 강의 흐름에 따른 지형, 주변의 인공지형이나 지물에 등에 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입력시키도록 질문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입력유도정보를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4)에 입력시킨다(단계 26).
상기의 데이터베이스들에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유도하면서 사용자가 입력시키는 모든 정보를 판단하여 풍수지리의 판단에 따른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 3의 플로우차트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C)를 사용하는 중에 인터넷망(B)를 통하여 관리서버(A)에 접속한 후(단계 31) 풍수지리 사이버 서비스 사이트를 선택하면(단계32), 필요에 의하여 회원인 가의 여부를 확인하여(단계 33) 회원의 가입을 위한 절차를 안내하여 원하는 사용자가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34).
풍수지리 사이버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정보의 입력모드를 선택하면(단계 35) 관리서버(A)의 시스템 콘트롤러(5)에서 지도정보를 입력시킬 것인가 또는 지형정보를 입력시킬 것인가를 선택하도록 디스플레이 한다(단계 36).
사용자가 지도를 스캐닝한 지도정보나 디지털지도의 정보를 입력시키면(단계 37) 이를 전달받은 시스템 콘트롤러(5)에서는 지도정보인식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낸 후 사용자가 입력시킨 지도정보를 분석하도록 한다(단계 38).
한편, 상기의 단계 37에서 지도정보를 입력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거나(단계 39), 사용자가 지형정보를 입력시키기로 선택한 경우에는(단계 40) 사용자가 건축을 수행한 지형의 중심인 터와 주변의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디스플레이한다(단계 41).
즉, 건축할 지형이 어느 모양의 평지인가에 따른 정보를 선택하도록 디스플레이한 후(단계 42) 혈에 해당하는 중심의 지형을 선택하였으면(단계 43) 다시 주위 지형의 지세인 국세를 입력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사방에 산이 있는 가의 여부를 입력시키도록 디스플레이하여(단계 44) 사용자가 주위에 산이 있는 가의 여부를 입력시키도록 한다(단계 45).
상기의 산이 어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인가를 입력시키도록 디스플레이하면서(단계 46) 산이 뾰쪽하거나 완만한 정도를 비롯한 풍수의 판단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디스플레이하여(단계 47) 사용자가 여러 단계에 의하여 산형지세에 대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한다(단계 48).
사용자가 산형지세에 대한정보의 입력을 완료하였으면(단계 49), 사용자가 주위를 흐르는 강이나 하천이 있는 가의 여부를 입력시키도록 디스플레이하여(단계 50) 사용자가 주위에 강이나 하천이 있는 가의 여부를 입력시키도록 한다(단계 51).
상기의 강이나 하천이 어느 방향에서 어느 방향으로 흐르는 가에 대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디스플레이하면서(단계 52) 강이나 하천이 흐르는 방향을 비롯한 풍수의 판단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디스플레이하여(단계 53) 사용자가 여러 단계에 의하여 작국에 대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한다(단계 54).
사용자가 작국에 대한정보의 입력을 완료하였으면(단계 55) 사용자가 건축할 지역의 주변의 도로나 옹벽, 건물 등 인공지물이 있는 가의 여부를 입력시키도록 디스플레이하여(단계 56) 사용자가 주위에 인공지물이 있는 가의 여부를 입력시키도록 한다(단계 57).
상기의 인공지물이 있는 경우에는 그 위치와 방향에 대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디스플레이하면서(단계 58) 인공지물에 의하여 풍수의 판단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디스플레이하여(단계 59) 사용자가 여러 단계에 의하여 인공지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한다(단계 60).
상기 지형지세와 작국 및 인공지물에 대한 정보입력을 완료하였으면(단계 61) 이를 인식한 관리서버(A)의 시스템 콘트롤러(5)에서 프로그램 메모리(6)에 저장된 방법과 순서에 의하여 풍수의 판단을 수행한다(단계 62).
즉, 방위결정 처리부(7)를 통하여는 풍수의 연산방법에 의하여 전체 건물의 방위를 결정하고(단계 63), 전체 건물에서 각 개별주택의 방위를 결정한 다음(단계 64) 부속건물의 방위를 결정한다(단계 65).
상기의 방위가 결정되었으면(단계 66) 동·서사택결정 처리부(8)를 통하여 좌향의 방위를 결정하고(단계 67), 대문의 방위를 결정한 후(단계 68) 부속 건물을 포함하는 기타 공간들의 방위를 결정한다(단계 69).
상기의 방위들의 결정이 완료되었으면(단계 70), 내부평면결정 처리부(9)를 통하여 건물 실내의 평면구조를 결정한 후(단계 71) 상기 각 실내 내부의 가구배치에 따른 결정을 한다(단계 72).
상기의 방위 및 배치에 따른 결정이 완료되었으며(단계 73), 시스템 콘트롤러(5)의 제어를 받는 3 차원 가상현실엔진(10)에 상기의 방위결정 처리부(7)와 동·서사택결정 처리부(8) 및 평면결정 처리부(9)로부터의 출력정보를 전달하여 주위의 지형에 의해 위치하는 단지나 주택의 외형을 3차원 가상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단계 74).
그리고 상기의 3 차원 가상현실엔진(10)에서는 평면설계 화상출력부(12)를 통하여 단지나 주택의 평면의 가상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단계 75).
상기의 3 차원 가상현실엔진(10)에서는 인테리어 화상출력부(13)를 통하여 단지나 주택의 실내에 배치되는 가구와 내부 구조물의 위치 및 방향을 평면의 가상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단계 76).
상기 관리서버(A)의 시스템 콘트롤러(5)는 인터넷망(B)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C)로 상기 3차원 가상현실엔진(10)으로부터의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풍수지리의 판단에 따른 결과를 출력한다(단계 77).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에 의하여서는 풍수지리에 정통하지 않은 비전문가가 일반적인 지형, 지세에 대한 기초데이터만을 입력하면서 양택에 필요한 방위자료를 산출하고, 그 방위자료를 근거로 단지배치, 주택의 좌향 및 대문에 대한 방위결정을 통해 내부평면구조의 방위 등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로 인해 풍수지리가 반영된 단지배치 및 평면/ 입면 설계를 하여, 이를 실제 주택 분양과 시공에 그대로 반영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인 주택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단지배치 및 주택의 좌향결정, 평면구조설계 등이 어떠한 풍수지리의 판단에 의해 결정되었는지를 가상현실 데이터로 보여줌으로써 가시적으로 보이지 않는 풍수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보여주게 된다.
이 가상현실은 입면이나 단지 모양 등의 외부와 평면구조 및 내부인테리어 등의 내부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지형의 모양과 더불어 지세(地勢)와 국세(局勢)를 함께 표현하며 방위를 표현함으로써 지형에 따른 보이지 않는 <氣의 흐름>을 표현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은 자신의 주거공간이 주변 자연과 어떻게 교감하고 있는 지와 그로부터 어떠한 기운을 받게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24방위의 24운성으로 구분한 방위 데이터베이스(1)에 입력시키고,
    상기의 방위 데이터베이스(1)의 정보에 의하여 지세를 판단하면서 양택에 적용하도록 하는 정보를 패철 데이터베이스(2)에 입력시키고,
    사용자가 입력시키는 지도정보를 판단하도록 하는 지도인식정보를 지도정보인식 데이터베이스(3)에 입력시키도록 하고,
    사용자가 건축할 지형정보를 입력시키도록 질문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입력유도정보를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4)에 입력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입력정보를 분석판단하는 방위결정 처리부(7)에서는 프로그램메모리(6)에 저장된 처리방법 및 순서에 의하여 전체 건물의 방위와 개별주택의 방위 및 부속건물의 방위를 각각 결정하도록 하고,
    상기의 입력정보를 분석판단하는 동·서사택결정 처리부(8)에서는 좌향의 방위와 대문의 방위 및 기타 공간들의 방위를 결정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의 입력정보 분석판단하는 내부평면결정 처리부(9)에서는 건물 실내의 평면구조와 내부의 가구배치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시스템 콘트롤러(5)의 제어를 받으면서 방위결정 처리부(7)와 동·서사택결정 처리부(8) 및 평면결정 처리부(9)로부터 출력정보를 전달받는 3 차원 가상현실엔진(10)에서는 3차원 화상출력부(11)를 통하여는 주위의 지형에 의해 위치하는 단지나 주택의 외형을 3차원 가상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3 차원 가상현실엔진(10)에서는 평면설계 화상출력부(12)를 통하여는 단지나 주택의 평면의 가상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3 차원 가상현실엔진(10)에서는 인테리어 화상출력부(13)를 통하여는 단지나 주택의 실내에 배치되는 가구와 내부 구조물의 위치 및 방향을 평면의 가상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의 시스템 콘트롤러에서(5)를 포함하는 관리서버(A)는 인터넷망(B)을 통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C)를 통하여 풍수지리에 관한 정보를 입력시키면 그 판단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
  2.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풍수지리의 서비스를 수행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C)로 인터넷망(B)을 통하여 관리서버(A)에 접속한 후 풍수지리 사이버 서비스 사이트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풍수지리 사이버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정보의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지도정보를 입력시킬 것인가 또는 지형정보를 입력시킬 것인가를 선택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지도를 스캐닝한 지도정보나 디지털지도의 정보를 입력시키면 지도정보인식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된 정보에 의해 지도정보를 분석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지형정보를 입력시키기로 선택하면 건축을 수행한 지형의 터와 주변정보를 입력시키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건축할 지형이 어느 모양인가에 따른 정보를 선택하도록 디스플레이하여 선택하면 주위 지형의 지세인 국세를 입력시키도록 하는 단계와,
    주위에 산이 있는 가의 여부를 입력시키도록 디스플레이하면서 산의 형상이 뾰쪽하거나 완만한 정도에 따른 풍수의 판단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하여 산형지세에 대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주위를 흐르는 강이나 하천이 있는 가의 여부를 입력시키도록 디스플레이하면서 강이나 하천이 어느 방향에서 어느 방향에서 어느 방향으로 흐르는 가에 대한 정보를 비롯한 풍수의 판단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하여 사용자가 여러 단계에 의하여 작국에 대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주변의 도로나 옹벽, 건물 등 인공지물이 있는 가의 여부를 입력시키도록 디스플레이하면서 그 위치와 방향에 대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하면서 인공지물에 의하여 풍수의 판단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지형지세와 작국 및 인공지물에 대한 정보의 입력을 완료하였으면 풍수의 판단을 수행하는 단계와,
    방위결정 처리부(7)를 통하여 풍수의 연산방법에 의하여 전체 건물의 방위를 결정하고 전체 건물에서 각 개별주택의 방위를 결정한 다음 부속건물의 방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동·서사택결정 처리부(8)를 통하여 좌향의 방위를 결정하고 대문의 방위를 결정한 후 부속 건물을 포함하는 공간들의 방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내부평면결정 처리부(9)를 통하여 건물 실내의 평면구조를 결정한 후 상기 각 실내 내부의 가구배치에 따른 결정을 하는 단계와,
    상기의 방위 및 배치에 따른 결정이 완료되었으며, 3 차원 가상현실엔진(10)에 상기의 방위결정 처리부(7)와 동·서사택결정 처리부(8) 및 평면결정 처리부(9)로부터의 출력정보를 전달하여 주위의 지형에 의해 위치하는 단지나 주택의 외형을 3차원 가상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의 3 차원 가상현실엔진(10)에서는 평면설계 화상출력부(12)를 통하여 단지나 주택의 평면의 가상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의 3 차원 가상현실엔진(10)에서는 인테리어 화상출력부(13)를 통하여 단지나 주택의 실내에 배치되는 가구와 내부 구조물의 위치 및 방향을 평면의 가상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들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 방법.
KR10-2002-0004608A 2002-01-26 2002-01-26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방법 KR100426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608A KR100426082B1 (ko) 2002-01-26 2002-01-26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608A KR100426082B1 (ko) 2002-01-26 2002-01-26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118A true KR20020024118A (ko) 2002-03-29
KR100426082B1 KR100426082B1 (ko) 2004-04-06

Family

ID=1971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608A KR100426082B1 (ko) 2002-01-26 2002-01-26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0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567B1 (ko) * 2005-03-26 2007-12-07 삼성물산 주식회사 법규 및 환경 분석결과가 반영된 공동주택 단지의배치설계방법
KR101145210B1 (ko) * 2011-07-19 2012-05-24 김가임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CN106875874A (zh) * 2017-02-27 2017-06-20 新乡学院 一种平面设计电控动感展示系统
WO2018074630A1 (ko) * 2016-10-21 2018-04-26 (주)고려엔지니어링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436B1 (ko) 2020-04-28 2020-08-28 경태욱 공동 주택의 공간 배치 설계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3010A (en) * 1996-01-24 1999-11-09 Jeffrey Earl Murdock Method of describing a building structure
JP2002024324A (ja) * 2000-07-06 2002-01-25 Misawa Homes Co Ltd 住宅街環境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20020012733A (ko) * 2000-08-08 2002-02-20 문광민 자동 건축 설계 및 자동 컨설팅을 위한 전문가시스템 및방법
KR20010000959A (ko) * 2000-10-31 2001-01-05 김득영 온라인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설계 방법
KR20020023876A (ko) * 2001-12-26 2002-03-29 이육훈 풍수지리를 이용한 온라인 인테리어 모델링 서비스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567B1 (ko) * 2005-03-26 2007-12-07 삼성물산 주식회사 법규 및 환경 분석결과가 반영된 공동주택 단지의배치설계방법
KR101145210B1 (ko) * 2011-07-19 2012-05-24 김가임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WO2013012245A2 (ko) * 2011-07-19 2013-01-24 Kim Ga Lim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WO2013012245A3 (ko) * 2011-07-19 2013-03-14 Kim Ga Lim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WO2018074630A1 (ko) * 2016-10-21 2018-04-26 (주)고려엔지니어링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CN106875874A (zh) * 2017-02-27 2017-06-20 新乡学院 一种平面设计电控动感展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6082B1 (ko) 2004-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ust The rural community in ancient Israel during Iron Age II
Croix Permanency in early medieval emporia: reassessing Ribe
Bertocci et al. Digital survey and documentation of the archaeological and architectural sities
Stöger Roman neighbourhoods by the numbers: a space syntax view on ancient city quarters and their social life
Suprapti et al. The spatial concepts of cultural heritage village toward a tourism development; A case study of Kadilangu Demak Indonesia
Battistin Space Syntax and buried cities: The case of the Roman town of Falerii Novi (Italy)
KR100426082B1 (ko)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방법
Achille et al. Learning geomatics for restoration: ICOMOS summer school in Ossola Valley
Beiglu et al. Infill Architecture as a Solution for Livability and Historical Texture Quality Promotion
Liu Regeneration of Liangzhu culture: multimedia exhibition, simulated restoration, innovative cultural products, nearby area integrati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Has Determining density in the historical region with space syntax analysis, Erzurum city center example
Galor et al. Apollonia-Arsuf between past and future
Hall A new paradigm for local development plans
De Lorenzo Being an engineer and being an architect in eighteenth-century Italy: professional identity as a reflection of political fragmentation
Shannon Evolving tourist topographies: The case of Hue, Vietnam
Nofal Towards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Egyptian Cultural Landscape Sites–Case Study: Siwa Oasis
Dilauro et al. Hypogean Architecture: Apparent Simplicity and Effective Complexity
Rohland et al. Karabalgasun and Karakorum: Nomad Cities as Means of Communnication between Nomad Elites and the Multicultural Subjects
Makhzoumi et al. The Beirut Dozen: Traditional domestic garden as spatial and cultural mediator
Chen et al. Applying augmented reality to visualize the history of traditional architecture in Taiwan
Semeraro Methods and Practices in Studies of the Economy of Messapia
Zeng The Renewal Strategy of Public Space in Traditional Kaifong Community Based on the Concept of Community Building----A Case Study of Nanhuaxi Area in Guangzhou
Boulesnane et al. Urban Heritage and Tourism Development, Role of Civil Society Institutions “Deshra of Menaa” in Aures Region, Algeria
Sebastiani Digital Artifacts and Landscapes. Experimenting with Placemaking at the Impero Project. Heritage 2021, 4, 281–308
Hasibuan The Implementation of Neo Vernacular Architecture on the Design of Information and Recreation Center of Lake Toba Tourism at Ambarita, Samosir Reg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