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210B1 -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5210B1 KR101145210B1 KR1020110071600A KR20110071600A KR101145210B1 KR 101145210 B1 KR101145210 B1 KR 101145210B1 KR 1020110071600 A KR1020110071600 A KR 1020110071600A KR 20110071600 A KR20110071600 A KR 20110071600A KR 101145210 B1 KR101145210 B1 KR 1011452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feng shui
- altitude
- unit
- drag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9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8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41000380450 Danaus melanipp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466 anti-cipat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2381 plasma Anatomy 0.000 description 22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15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4486 Hydrangea macrophy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41001092080 Hydrange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282376 Panthera tigr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1091442 Hydrang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801924 Se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69 rapi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2814 Anser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70941 Cast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36 Cas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80 Cucurbita pep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2 Cucurbita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843 Hyperther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23014 Syzygium aroma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639 Syzygium aroma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866 Ziziphus nummul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56 cinnaba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1 dimension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1 hypertherm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99 pen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26 placent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305 tax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65 tritu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지도를 이용하여 풍수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수집함으로써 풍수 정보 제공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전자 지도 상의 지형 및 지물에 대한 고도정보와 용맥 정보를 통해서 풍수적 길흉을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개인별 편차가 발생하며 시야에 의존하는 풍수가의 판단에 비해 객관성을 높이고 비용 및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맥 정보에 따른 지점들의 고도와 풍수 판단 대상이 되는 지역의 고도 및 지형물 등에 대한 전자 지도상의 정보를 기준으로 풍수 판단을 위한 정확한 지점을 스캔 방식으로 검출함으로써 단순히 2차원 지도를 이용한 풍수 판단이나 사용자 판단에 의한 제한적 정보 입력을 기준으로 하는 풍수 판단에 비해 높은 신뢰성을 가진 풍수 판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전자 지도를 이용하여 풍수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수집함으로써 풍수 정보 제공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풍수는 땅을 하나의 생명체로 보고 장소에 따라 지기(地氣)가 상이하게 분포한다고 명시한다. 이때, 외부 풍경이 한눈에 바라다보이는 조망권인 국(局) 내에서 지기가 응집된 지점을 혈(穴)이라 부르며, 혈이 맺히는 지점인 혈장(穴場)에 터를 잡으면 발복(發福: 운이 틔어 복을 얻음)해 부귀를 누리고 행운을 얻는다고 명시한다.
즉, 풍수지리란 땅을 통해 알맞은 물을 얻고, 최적의 바람을 얻어 음기와 양기가 모두 왕성하여 발복이 극대화되는 터를 구별하는 방식을 이르는 것이다.
예로부터 땅의 길흉을 판단하고 혈처를 찾는 방법이 풍수적으로 전승 발전한 것에는 형기풍수론(形氣風水論), 물형론(物形論) 그리고 이기풍수론(理氣風水論)이 있다. 이 중에서 물형론은 학문적인 방법이 아닌 비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풍수적 논리가 정형화되지 못하였으므로 학문적으로 논할 수 없으나 형기풍수론과 이기풍수론은 비교적 학문적인 방법으로 체계화되어 있다.
상기 형기풍수론의 경우 나경을 사용하지 않고 사람의 눈으로 산천지세의 모향이나 형세상 아름다움을 유추하여 혈이 맺힌 터를 찾는 방식으로 주산에서 뻗어나간 용맥, 물길, 봉우리와 혈이 맺힌 혈장을 살펴 땅의 길흉을 판단한다. 이러한 형기풍수의 경우 산에 저장된 지기가 용맥을 통해 이동하여 물을 만나 그 흐름이 멈추게 될 때 주변 봉우리의 형상이 바람을 가두어 지기를 보존하는지 파악하여 지기가 맺히는 혈을 찾는 방식을 학문적 체계로 정리하고 있으나 풍수 전문가의 주관적인 의견이 개입될 여지가 많아 사람마다 그 결과가 상이한 경우가 빈번하고, 양에 해당하는 물(바람)을 무시하고 음에 해당하는 산의 형상만을 통해 혈의 길흉을 판단한다는 점에서 음양이 부합되어야 하는 자연의 이치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론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가장 과학적인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풍수론은 이기풍수론으로, 바람과 물의 순환 궤도와 양을 나경을 통해 측정하여 혈을 찾고, 좋은 좌향(坐向)까지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음양을 모두 고려할 뿐만 아니라 나경을 통한 정밀 측량과 이론적 배경을 통해 객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풍수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기풍수론은 단순히 묏자리를 잡는 방법이 아니라 개발 지역을 결정하거나, 집터를 정하거나 혹은 대문을 내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어 그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풍수 전문가의 답사를 통한 풍수 판단에 의존하고 있어 그 비용이 높을 뿐 아니라 풍수가의 객관적인 신뢰성을 평가하기 어려워 쉽게 일반화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이러한 이기풍수론에 따른 전문적인 풍수 판단을 풍수 전문가의 답사가 아닌 지도를 이용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 역시 고배율 축척의 종이 지도를 기준으로 수작업을 통해 진행되고 있으므로 평면 지도 해석의 한계에 의해 정확한 입체적 지세 판단이 어려워 사실상 경험이 많은 전문가라 하더라도 지세 판단에 있어 종이 지도상의 단절된 정보만을 이용하게 되므로 신뢰성이 극히 낮은 문제가 있다.
다른 접근 방식으로, 풍수지리 정보 제공을 전자 지도와 연계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 또한 있었으나 단순히 만들어진 풍수 정보를 위치에 따라 제공하거나, 구체적 풍수 판단이 어려운 수준의 단순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요구하여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풍수 결과를 제공하는 기술만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 10-2006-0017937호 '풍수지리인터넷 전자 지도를 이용한 부동산 정보제공방법'은 풍수지리를 기반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구비한 인터넷 전자 지도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단순히 풍수지리 DB를 구축한 후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부동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내용만 언급하고 있을 뿐, 풍수지리 정보를 어떻게 획득할 것인지에 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10-426082호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가 산형지세와 국세 등의 입지조건을 입력하면 그에 따른 주택 건축 터의 풍수 판단 결과와 가상의 동서사택 판단을 수행하여 가상현실 방식으로 제공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문답식으로 지형에 대한 지세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산과 들 및 강의 흐름에 따른 지형, 인공 지형 지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근거로 풍수 판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반인이 정확한 지세나 풍수적 의미를 가진 지형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는 것을 기대하기 어려워 신뢰성이 극히 낮다. 더불어, 국(局) 판단의 경우 단순히 강이나 하천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풍수 판단의 신뢰성이 극히 낮아 사실상 지기와 생기가 높은 혈자리를 찾는 방식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그 외에 한국 공개특허 10-2003-0042525호 '지피에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역별 풍수지리정보제공방법'은 GPS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풍수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의 풍수 정보를 추출하여 실시간 제공하도록 한 것이나, 이는 단순히 데이터베이스 내의 풍수 정보를 단순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일 뿐이므로 모든 지점에 대한 풍수 정보를 미리 구축해 두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러한 풍수 정보를 어떻게 얻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풍수 전문가의 답사 없이도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풍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인도 신뢰할 수 있는 풍수 정보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풍수 정보 제공 방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목적은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와 용맥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원하는 지역에 대한 산세를 고도 정보를 활용하여 입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득수여부와 장풍에 대한 판단을 자동화하고 용맥 끝자락의 상태 및 월수 여부, 백호와 청룡의 높이 등을 용맥 고도 정보 스캔 및 주변 정보 확인을 통해 실시하도록 하여 정확한 수구를 파악한 후 그에 따라 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풍수 판단을 자동화하면서도 그 신뢰성을 높이도록 한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지형물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함으로써, 수구 파악 시 기준 용맥의 끝 부분과 외당수 사이 영역에 위치한 지형물에 의한 장풍까지도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일반 지도를 통해서는 확인이 불가능한 정확한 수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내룡의 마지막 과협 즉, 결인처(結咽處)에서 혈자리까지 뻗어온 내룡이 휘고 꺽이는 지점마다 예상 혈을 설정한 후 각 예상 혈마다 나경의 적용을 통해 정확한 국 판단 후 정확한 쌍산 배합 비율을 자동적으로 산출하도록 하고, 상기 설정한 예상 혈 중 가장 생기있는 혈을 찾아내도록 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한 입수룡의 생기 판단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판단 정확도를 높인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국 결정과 입수룡의 쌍산 배합 판단 및 득수 판단을 위한 나경 적용 시 전자 지도를 통해 물리적 부피가 없는 지점이나 선에 대한 위치 정보만을 기준으로 나경의 사용 층에 대한 방위 정보를 대비시킴으로써 실측 시 발생하는 측정 오차나 편차 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판단 정확도를 높이도록 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지도를 통해 제공되는 풍수 판단 영역의 고도 정보 중 불연속적인 고도 정보를 포함한 영역의 고도 확인이 필요한 경우 고도 정보가 없는 위치는 인접한 고도 정보들의 변화 정도에 따른 추정 연산 값으로 보간하여 연속적인 고도 정보를 통한 풍수 판단이 가능하도록 한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지도상에 일정한 영역을 지정하는 경우 해당 영역을 구분하여 각 구분 영역에 대한 기 설정된 일련의 절차에 따른 풍수 판단을 통해 지정된 일정 영역 내에서 풍수적으로 길한 혈자리나 기 설정된 목적에 적합한 혈자리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방대한 조사와 답사가 필요한 풍수적 판단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공하도록 한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풍수 판단 중에 얻어지는 단계별 풍수 판단 정보를 통해 특정 지역에 대한 풍수 판단을 제공함에 있어, 고도 정보 비교를 통해 수정된 측정 지점을 통해 얻어지는 풍수 판단 결과가 기 설정된 수준 이하로 좋지 않거나 특정한 방향에 대한 차단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전자 지도 상의 고도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장풍을 보강하거나 특정 방위에 대한 나쁜 기운 차단을 위한 비보책의 적용 가능성을 판단하여 가능한 비보책을 제시하도록 한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은 풍수 판단 지역에 대한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와 산능선에 대한 용맥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지도 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전자 지도와 용맥 정보를 기초로 형세와 장풍을 판단하는 형세 및 장풍 판단부와; 상기 전자 지도의 방위 정보와 상기 용맥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측정 종류에 따라 상이한 층을 기준으로 방위 정보를 제공하는 나경측정부와; 상기 형세 및 장풍 판단부에서 판단한 내룡의 예상 혈을 기준으로 수구를 결정한 후 상기 나경측정부를 통한 측정으로 파와 국을 결정하는 국결정부와; 상기 국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국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예상 혈에 대한 입수룡의 방위를 상기 나경측정부를 통해 파악하여 내룡의 지기를 판단하는 입수룡 판단부와; 상기 전자 지도와 용맥 정보를 기초로 측정 대상 및 인접 영역에 대한 고도를 비교하는 고도정보 비교부와;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전자 지도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풍수 판단 지역에 대한 전자 지도와 용맥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형세 및 장풍 판단부, 국결정 부 및 입수룡 판단부를 통해 풍수 판단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며,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를 통해 상기 형세 및 장풍 판단부의 판단 기준을 보정하거나 상기 국결정부의 수구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 개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수룡 판단부의 판단 이후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와 상기 나경측정부를 통해 측정한 기 설정 대상의 높이와 방향 및 사용자 개인 정보에 따라 정국 입향이나 변국 입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향을 정하는 입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향부는 기 산출된 득수한 용맥과 결정된 파 및 상기 입향의 배치가 정삼각형에 가깝게 구성되도록 입향을 정하는 삼합오행 운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풍수 판단 대상에 대한 국과 득수 및 향을 정한 후 상기 나경측정부를 통해 내룡 상에 묘나 주택을 지었을 경우 예상되는 좋지 않은 바람의 방위를 파악하는 팔요풍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풍수 판단 정보와 상기 팔요풍 판단 정보를 통해 기 설정된 비보책을 선별하고 이를 상기 전자 지도의 고도와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적용 가능 여부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수 판단 대상의 영역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 넓은 경우 상기 풍수 판단 대상의 영역을 세분화하여 각 분할된 영역을 기준으로 풍수 판단을 실시하거나 상기 입력한 영역에서 세밀한 영역으로 축적을 가변하면서 풍수 판단을 점차 정밀하게 실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혈자리를 제공하거나 기 설정된 용도에 적합한 지점 및 방향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형세 및 장풍 판단부는 상기 용맥 정보를 기준으로 그 종단이 평야나 물과 만나는 지룡을 선별하고, 해당 지룡에 대응되는 전자 지도 상의 고도 정보들을 통해 상하 기복과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부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내룡에 대한 지형을 분석한다.
상기 형세 및 장풍 판단부는 상기 전자 지도의 지형 정보와 용맥 정보를 기준으로 용맥 중 평지와 접한 지룡 중에서 내룡과 상기 내룡의 좌우측에 위치한 백호와 청룡을 선별하고, 그 앞쪽의 물길인 외당수의 방향과 상기 백호나 청룡으로부터 내룡으로 향하는 물길이나 바람길인 내당수의 방향을 통해 자연순행과 자연황천을 구분한다.
상기 국결정부는 상기 형세 및 장풍 판단부의 장풍 판단 결과에 따라 청룡이나 백호 중 하나의 끝자락을 초기 수구로 결정하고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를 통해 상기 예상 혈에서 초기 수구가 위치한 용맥의 진행 방향으로 가상 연장된 지점을 지나 그 앞에 위치한 물길인 외당수를 고도 비교로 확인할 때 상기 전자 지도 내의 지형물에 의해 상기 외당수가 보이지 않을 경우 상기 지형물에 의해 장풍이 된 것으로 판단하여 수구를 재설정한다.
또한, 상기 국결정부는 상기 형세 및 장풍 판단부의 장풍 판단 결과에 따라 청룡이나 백호 중 하나의 끝자락을 초기 수구로 결정하고,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를 통해 상기 초기 수구가 위치한 용맥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예상 수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예상 혈과 고도를 비교하며, 전자 지도 정보를 통해 상기 예상 혈에서 예상 수구 너머로 기 설정된 전자 지도 상의 대상이 확인되는 월수 여부를 파악하여 수구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용맥 정보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향하는 3차원 벡터 정보들의 집합을 포함하며, 상기 나경 측정부는 측정 대상이 되는 용맥 상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하여 상기 수구의 방향을 진북에 대해 7.5도 우측으로 기울어진 24방위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 대상이 되는 용맥을 이루는 단위 벡터의 방향은 진북을 기준으로 하는 24방위로 측정한다.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는 상기 전자 지도 정보에 고도를 측정할 지점에 대한 고도 정보가 없는 경우 인접한 고도 정보의 변화를 통해 고도 정보가 부족한 지점에 대한 고도를 추정하여 보간하는 보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은 풍수 판단 지역에 대한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와 용맥 정보를 기준으로 형세, 장풍, 국, 득수 여부를 판정하여 길흉 정보를 제공하는 풍수 판단부와; 상기 풍수 판단부에서 국과 득수 판단을 위해 상기 용맥 상의 기준점과 비교점, 혹은 기준점과 용맥의 통과 방향을 땅과 물을 기준으로 상이한 축 배치 기준으로 측정하여 방향을 설정하는 나경측정부와; 상기 풍수 판단부에서 형세, 장풍 및 국을 판정할 경우 상기 전자 지도 내에 포함된 상기 용맥 정보에 따른 위치의 고도와 상기 용맥 인근 물길과 풍수 판단 지역에 대한 구조물 정보를 이용하여 형세나 장풍을 판단하고, 국 판정 시 용호 고도 스캔에 의한 월수 파악이나 예상 혈과 외당수 사이 영역에 위치한 지형물 파악에 따른 수구 위치 조정을 수행하는 고도정보 비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전자 지도 상의 지형 및 지물에 대한 고도정보와 용맥 정보를 통해서 풍수적 길흉을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개인별 편차가 발생하며 시야에 의존하는 풍수가의 판단에 비해 객관성을 높이고 비용 및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용맥 정보에 따른 지점들의 고도와 풍수 판단 대상이 되는 지역의 고도 및 지형물 등에 대한 전자 지도상의 정보를 기준으로 풍수 판단을 위한 정확한 지점을 스캔 방식으로 검출함으로써 단순히 2차원 지도를 이용한 풍수 판단이나 사용자 판단에 의한 제한적 정보 입력을 기준으로 하는 풍수 판단에 비해 높은 신뢰성을 가진 풍수 판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종이지도를 통해서는 확인이 불가능한 인공물에 의한 장풍 상태까지도 전자 지도상의 지형물 정보와 풍수 판단 지역에 대한 고도 정보를 활용하여 확인함으로써 풍수 원리에 더 부합되는 풍수 판단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지형 변화에 따른 갱신이 용이한 용맥 정보 및 전자 지도 정보를 통해서 풍수 판단 지역의 최신 정보를 기준으로 지점들의 고도 및 거리 비교에 따른 정확한 형세나 장풍 판단, 수구 설정이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정확한 방위 판정을 통해 국, 쌍산 배합 및 득수 판단, 향설정, 팔요풍 확인 등을 통한 길흉 파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은 내룡의 지기를 판단한 후 고도 정보, 나경의 방위 정보 및 풍수 측정을 요청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나 사용 용도를 수집하여 사용자 개인에 따른 풍수적 판단(향 설정 등)이나 용도에 따른 판단을 실시한 결과를 반영한 풍수 정보를 저렴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전자 지도에 포함된 각종 지형물이나 인공물에 대한 길지나 흉지 정보를 추출하여 풍수 판단 지역에 위치한 길지나 흉지 정보를 길흉 판단에 더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지역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는 풍수 전문가에 비해서도 더욱 정확한 길흉 판단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풍수 이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나경의 구성도.
도 3은 풍수 판단 방식의 예를 설명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도정보 비교부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수 판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수 판단 지역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구 결정 방식의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도 정보를 이용한 측정 방식의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경측정부의 측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산 배합 판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수 정보 제공 방식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2는 나경의 구성도.
도 3은 풍수 판단 방식의 예를 설명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도정보 비교부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수 판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수 판단 지역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구 결정 방식의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도 정보를 이용한 측정 방식의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경측정부의 측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산 배합 판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수 정보 제공 방식을 설명하는 순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예측이 불가능한 비기나 주관적 견해가 포함된 내용이 아닌 정확한 측정과 산술적 판단을 기준으로 특정 장소의 기(氣)를 논리적 기준을 근거로 판단한 결과에 따라 해당 장소에 대한 상태를 길흉 정보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학문적으로 알려져 있는 이기풍수론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논리적 구체성을 가지는 이의 변형이나 혈자리가 아닌 개발 예정지, 택지 혹은 대문의 방향 등을 설정하기 위한 응용의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임에 주의한다.
전통적인 풍수 판단 방식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형기풍수론(形氣風水論), 물형론(物形論) 그리고 이기풍수론(理氣風水論)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하였으나, 이 중에서 객관적인 판단 기준을 가진 이기풍수론의 경우 실제 풍수 전문가의 판단 정확성의 한계를 극복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다양한 판단의 근거와 판단 결과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판단 결과 중 하나만 잘못되더라도 엉뚱한 결과가 나타나게 되므로 각 판단의 신뢰성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이기풍수론을 2차원 종이 지도에 적용하여 해당 지역의 지기를 파악하고자하는 시도가 있으나 이 경우 입체적인 형상을 쉽게 구체화하기 어렵고 지도에 나타나지 않은 각종 지형물이나 인공물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제한된 정보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일부 예측이나 추정이 개입하게 되므로 전문가라 하더라도 그 정확도가 60% 이하임을 자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풍수 전문가가 답사한다 하더라도 여러 자연적인 지형이나 나무 등에 의해 시야가 가리기 때문에 전체적인 지형을 조망하기 어렵고 여러 인공물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워 판단 근거에 대한 신뢰성이 낮을 수 있다. 당연하게도 단순한 몇몇 정보만 입력받아 이를 근거로 신뢰성 있는 풍수적 결과를 도출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풍수적 판단의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그 원리에 입각하여 풍수 대상에 대한 정확한 방위 측정, 정확한 데이터 분석은 물론이고, 각종 판단 지형에 대한 고도 정보를 통한 입체적 분석과 장풍의 원리에 의한 인공 지형물 고려, 여러 인공물에 대한 길흉 특성 고려, 비보책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판단 등을 고도정보가 포함된 전자 지도와 정확한 용맥에 대한 정보를 가진 용맥 정보를 기준으로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지점에 대한 풍수적 판단, 원하는 영역 내의 혈자리 파악, 원하는 용도에 적합한 지점의 제공, 거주자의 개인 정보에 따른 적합한 영역 파악 등 다양한 풍수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풍수 용어들과 그 판단의 원리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풍수적 판단에서는 땅을 하나의 생명체로 보고 그 지기의 왕성함을 파악하게 되는데, 그 지기가 왕성한 곳과 쇠약한 곳도 존재한다. 이렇게 땅을 살아있는 생명체로 볼 때 지기의 길흉을 판단하기 위해 구분한 가장 기본이 되는 최소의 범위를 국(局)이라 한다. 이러한 국 내에서 지기가 가장 왕성한 곳을 혈(穴)이라 부르고, 그 혈에 묘를 쓰거나 집을 짓고 살면 묘의 후손이나 거주자에게 좋은 영향을 제공한다고 믿는다. 이렇게 혈자리에 대한 발복의 믿음은 통계적인 주장이라고 하더라도 혈 자리에서 거주자가 평안하게 지낼 수 있음은 풍수적 판단의 근거가 땅의 음기와 물(바람)의 양기의 조화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며, 이는 적절한 통풍과 적절한 수분을 가진 땅이 사람이 살기에 적합하다는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다.
이렇게 살기 좋은, 즉 지기가 충만한 땅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땅의 특성을 잘 알아야는데, 실제로 땅의 특성은 생명체의 특성을 그대로 대입할 수 있다. 생명체의 특성인 먹고, 소화하고, 배설하는 일련의 생명유지 활동을 땅에 적용하게 되면 혈이 위치하는 혈장은 판단의 근거가 되는 땅의 외부와 내부에서 제공되는 바람이나 물의 양기(먹는 행위)에 의해 지형과 지질이 변화되고(소화하는 행위), 이렇게 땅을 변화시킨 양기는 순환 궤도를 거쳐 더 이상 혈장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않는 지점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배설하는 행위).
결국, 이러한 특성을 파악한다면 외부적인 양기의 상황과 땅 자체가 가진 흐름(산으로부터 뻗어나온 맥)이 물을 만나 멈추어 적절한 수분을 머금을 조건을 가지는 음기의 상황을 통해 양과 음의 조화가 적절하게 이루어진 지점을 찾을 수 있게 되며, 이것이 곧 풍수 판단의 기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풍수 판단의 기본이 되는 혈은 아무 곳에서나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산의 지기가 물을 만나 전진을 멈추고 기가 응집되는 곳에서만 발생하게 되므로, 풍수 판단을 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국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기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지형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혈을 형성하는 지기는 산줄기(산능선)인 용맥(龍脈)을 따라 들과 내쪽으로 흘러가며, 용맥을 타고 흘러가던 지기는 물을 만나 전진을 멈추고 기를 응집하여 혈을 맺는데, 용맥은 간룡(幹龍)과 지룡(地龍)으로 분류되며 줄기에 해당하는 간룡은 지기가 흘러가는 통로에 불과한 과맥지(過脈地)이므로 혈을 맺지 못하고, 가지에 해당하는 지룡만이 혈을 맺을 수 있다.
한편, 혈이 맺히는 용맥의 경우 여러 방위의 바람이나 물이 침범하게 되면 그 특성이 변화되어 기가 모이지 않기 때문에 적절하게 외부의 바람이 차단되어야 하는데 이렇게 적절하게 외부 바람을 차단하고 내부적인 양기의 흐름을 만들기 위해 혈장의 좌우에 담을 치듯이 원만하게 흘러 혈장을 보호하는 산줄기, 즉 용맥이 널리 알려져 있는 좌청룡, 우백호이다. 이렇게 기본적으로 주산(主山)에서 뻗어나온 용맥 중 혈이 맺히는 용맥을 내룡, 그 좌우의 용맥을 청룡과 백호라 하고, 혈장 앞쪽에 낮게 있는 산을 안산이라 한다. 이렇게 주산(북현무), 청룡(좌청룡), 백호(우백호), 안산(남주작)을 사신사라 한다.
이렇게 사신사가 갖추어진 지형이라면, 용호에 의해 장풍이 되는 영역 앞쪽에 위치하여 산자락 밖에서 안쪽으로 영향을 주어 땅을 변화시키는 양기(물길)를 외당수라 하고, 내부의 산자락 좌우측에서 생겨서 땅을 변화시키는 양기(바람길)를 내당수라 한다.
이러한 내당수와 외당수에 의한 양기는 일정한 순환 궤도를 가지면서 산자락에 영향을 미치고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렇게 빠져나가는 양기는 더 이상 혈장의 모양과 지질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이때 양기가 최종적으로 빠져나가는 지점을 수구(水口)라 한다.
국(局)은 파(破)에 의해 결정되는데, 혈에서 수구 방향을 파라 하고, 국은 파의 방향에 따라 4가지 종류 중 하나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풍수판단에서는 혈장에서 수구를 직선으로 이어서 나경을 통해 방위를 측정하는 것으로 5행의 어떠한 국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국을 결정한다. 즉, 풍수판단에서 국은 물리적인 영역이 아닌 어떠한 오행에 속하는지를 파악하여 후속되는 풍수판단의 기준으로 삼는다. 여기서, 오행 중 토(土)는 개성이 없으므로 수국, 목국, 금국, 화국의 4개 국으로 구분한다.
이렇게 구분된 국을 기준으로 해당 내룡의 지기를 파악하는데, 땅의 기운을 12가지로 구분한 12포태법(胞胎法)을 기준으로 하는 12운성법을 통해 나경의 측정 방위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입수룡의 득수 여부와 길흉을 판단한다.
이후, 88향법에 의한 입향이나 삼합오행의 운용, 팔요풍 방위 분석 등을 통한 추가적인 풍수 정보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 도 1을 통해서 상기 설명한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산(1)으로부터 뻗어나온 용맥들(2, 4, 5)에 대한 지형을 파악하여 혈이 존재할 수 있는 예비적 지형에 대한 정보를 얻으며, 판단의 대상이 되는 지점(혈(3))이나 영역이 결정되면 장풍을 파악하게 되는데, 청룡과 백호에 의해 적절하게 둘러싸이더라도 내당에서 생긴 바람이 순조롭게 빠져나가지 못할 경우 장풍이 온전하지 못하는 자연황천(自然黃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파악한다.
이는 해당 영역에 대한 우선수와 좌선수를 파악하여 판단하게 되는데, 도시된 산자락 외부의 물줄기인 외당수(6)의 방향과 산줄기 내부에서 부는 바람인 내당수(7)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양기에 해당하는 물이나 바람의 방향이 우측에서 불어서 좌측으로 빠지는 경우 우선수라 하고, 그 반대를 좌선수라 한다.
외당수(6)의 경우 물길의 방향을 의미하므로 도시된 경우 우선수이며, 내당수(7)의 경우 내룡을 기준으로 백호와의 거리 및 청룡과의 거리 중 사이의 거리가 더 먼쪽을 기준으로 하므로(바람이 오랫동안 불면 산자락의 방향이 휘어지게 됨) 이 경우 역시 우선수로 동일하다. 이렇게 내당수와 외당수의 방향이 동일한 경우 자연순행이라 하여 장풍이 잘 된 것으로 파악하고, 방향이 반대인 경우 내당수와 외당수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 역풍이 발생되어 바람이 되돌아와 내룡의 지기를 흩어지게 하므로 내룡에서 혈을 맺을 수가 없기 때문에 이 경우 장풍이 매우 취약한 자연황천으로 판단한다.
이렇게 장풍이 판단되면 국을 결정하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외당수가 우선수의 경우 좌측의 청룡의 끝자락을 수구(8)로 한다. 즉, 우선수에 따른 양기가 순환하여 좌측 산자락 끝으로 빠져나가는 것이다. 상기 수구(8)는 다양한 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구(8)에 의해 파가 결정되고 그에 따라 국이 결정되기 때문에 수구의 판단은 대단히 중요하다. 하지만, 이는 2차원 지도를 통해서 쉽게 파악될 수 없으며, 답사를 가더라도 날씨나 주변 상황에 의해 쉽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 결정에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이렇게 수구(8)가 결정되면 혈(3)에서 수구(8)를 잇는 파가 결정되며, 해당 혈(3)을 중심으로 나경을 통해 파의 방위를 확인하는 것으로 국을 결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나경(10)은 일반적인 9층 나경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층으로 구성된 방위 정보들과 중심의 자침(11)을 통해 풍수적인 방위를 측정하게 되는데, 측정할 풍수 판단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층이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4층의 지반정침(12)은 실제 진북을 기준으로 24방위가 배열되어 땅에 대한 방위를 측정할 때 사용하고, 6층의 인반중침(13)은 실제 진북에서 좌측으로 7.5도 기울어져 24방위가 배열되어 주변 산의 방위를 측정할 때 사용되며, 8층의 천반봉침(14)은 실제 진북에서 우측으로 7.5도 기울어져 24방위가 배열되어 물이나 바람에 대한 방위를 측정할 때 사용된다.
다시 도 1에서, 파의 방위는 나경(10)의 8층을 기준으로 측정하며 그에 따라 90도 단위로 파가 속한 위치에 따라 수국, 목국, 금국, 화국 중 하나의 국을 결정한다.
이후, 해당 국을 기준으로 내룡의 방위를 다시 나경(10)의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여 그 방위의 기운의 정도를 파악한 후 그 방향을 12종류의 기준으로 구분하여 길흉을 판단하게 된다.
그 다음에도 88향법에 의해 입향을 정하거나 천산 72룡 판단에 의한 길흉 분석, 팔요풍의 방위 분석 등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특정한 목적이나 소유자의 생년월일시와 같은 개인 정보 등에 의한 길흉을 확인하거나 특별히 비보할 방향을 결정하는 등의 보다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도 1을 통해 설명한 이기풍수론의 기본적인 풍수 판단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풍수 판단 대상이 되는 지역에 대해서 용맥 판단을 통해 지룡여부를 판단하고, 지세 판단을 통해 사신사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후, 용호의 형상과 외당수와 내당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장풍 상태를 판단한다.
장풍 판단 후 내룡에 대한 쌍산 배합을 판단하고, 수구를 결정하여 파와 국을 결정한다. 여기서, 쌍산 배합에 대한 판단은 국 결정이나 내룡의 지기 파악 후에 할 수도 있다.
상기 국 정보를 기준으로 쌍산 배합과 입수룡의 방위 정보를 토대로 내룡의 지기를 파악하여 득수여부나 길흉을 판단하며, 이때 12포태법을 기준으로 하는 12운성법에 의해 길흉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정보에 따라 해당 내룡의 혈자리가 진룡인지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각 단계별로 풍수적인 길흉 정보가 도출될 수 있으며, 이들을 조합하여 해당 혈자리에 대한 길흉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정보를 더 수집하여 더욱 상세한 풍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교적 간단해 보이는 판단과 방위 결정은 실제 자연의 지형에 적용할 경우 다양한 경우의 수에 따라 그 결정이 쉽지 않게 되는데, 장풍의 경우만 하더라도 용호의 중간이 꺼져 그 너머가 보이는 월수가 발생하면 해당 부분으로 바람이 들이쳐 장풍이 되지 않으므로 해당 지점을 기준으로 수구를 재설정해야 하고, 온전한 용호가 위치하더라도 그 높이가 내룡보다 너무 높을 경우 위압감을 주어 장풍이 오히려 좋지 않게 되며, 일반 종이 지도에 없는 다양한 인공물이 존재하는 경우 그에 의해 장풍이 변화되어 수구가 재설정되어야 하는 등 실제 감안해야 하는 요인들이 산적하게 된다.
이는 2차원 지도를 통해서 확인하기는 대단히 어렵고, 전자 지도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풍수 원리에 입각하여 일반적인 풍수 입문서에서 언급되지 않은 상황까지도 고려해야 하므로 단순히 학문적 판단 등을 시스템화하는 것으로는 정확한 풍수 판단이 어렵다. 물론, 이를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은 풍수적 지식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판단들을 객관적 정보들을 통해서 제공하기 위해서 산능선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가진 용맥 정보와 고도 정보와 각종 지형이나 인공물 등에 대한 정보를 구비한 전자 지도를 기반으로 풍수적 판단을 위한 스캔 방식의 고도 비교와 부피가 없는 위치만을 기준으로 하는 전자 나경을 적용하여 풍수 원리에 입각한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정확한 풍수 판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수 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풍수 판단 지역에 대한 고도 정보와 지형물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 제공부(160), 지도 정보로부터 산능선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하거나 기 설정된 용맥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용맥을 이루는 일련의 위치 정보들의 집합 정보를 포함하는 용맥 정보를 제공하는 용맥 정보 획득부(150), 상기 수신된 전자 지도와 용맥 정보를 기초로 지룡 여부와 사신사에 의한 형세를 판단하는 형세 판단부(121), 상기 수신된 전자 지도와 용맥 정보를 기준으로 장풍을 판단하는 장풍 판단부(122), 상기 전자 지도의 방위 정보와 상기 용맥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측정 종류에 따라 상이한 층을 기준으로 방위 정보를 제공하는 나경측정부(140), 상기 형세 판단부(121) 및 장풍 판단부(122)에서 판단한 내룡의 예상 혈을 기준으로 수구 및 파를 결정한 후 상기 나경측정부(140)를 통한 측정으로 국을 결정하는 국결정부(123), 상기 국결정부(123)에 의해 결정된 국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예상 혈에 대한 입수룡의 방위를 상기 나경측정부(140)를 통해 파악하여 득수를 판단하는 입수룡 판단부(124), 상기 전자 지도와 용맥 정보를 기초로 측정 대상 및 인접 영역에 대한 고도를 비교하는 고도정보 비교부(170),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지도 정보 제공부(160) 및 용맥 정보 획득부(150)를 통해 상기 풍수 판단 지역에 대한 전자 지도와 용맥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형세 판단부(121), 장풍 판단부(122), 국결정부(123) 및 입수룡 판단부(124)를 통해 풍수 판단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며,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170)를 통해 상기 장풍 판단부의 판단 기준을 보정하거나 상기 국결정부의 수구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각 판단부나 결정부(121, 122, 123, 124)를 통해 수집한 풍수 관련 정보들을 제공받아 그 조합에 의해 길흉을 판단하는 길흉 판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길흉 판단부(130)는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170)나 나경 측정부(140), 상기 지도정보 제공부(160)의 지도 정보, 상기 제어부(110)를 통한 사용자 개인 정보 등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더 세부적인 길흉 정보를 판단하거나 비보책을 제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길흉 판단부(130)는 정국 입향이나 변국 입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향을 정하는 입향부나 기 산출된 득수한 용맥과 결정된 파의 정보를 기초로 입향이 결정될 때 삼합오행을 판단하여 입향을 조정하는 삼합오행 운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추후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길흉 판단부(130)는 나경측정부(140)를 통해 내룡 상에 묘나 주택을 지었을 경우 예상되는 좋지 않은 바람의 방위를 파악하는 팔요풍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110)는 기 수집된 풍수 판단 정보와 상기 팔요풍 판단부를 통한 판단 정보를 통해 기 설정된 비보책을 선별한 후 이를 상기 전자 지도의 고도와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적용 가능 여부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비록, 도시한 구성에서는 제어부(110)가 독립적으로 구성되었으나, 실제로 상기 제어부(110)의 기능은 상기 풍수를 판단하기 위한 각부(121, 122, 123, 124)에 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17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맥 정보나 측정 기준이 제공되면 그 고도를 상기 전자 지도로부터 획득하여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를 결과 제공부(175)를 통해 제공하게 되는데, 만일 측정 지점에 대한 고도 정보가 전자 지도에 없는 경우 인접한 고도 정보의 변화를 통해 고도 정보가 부족한 지점에 대한 고도를 추정하여 보간하는 고도 정보 연산부(173)를 포함하며, 기 설정된 판단 대상을 스캔하면서 측정해야 할 경우 지도정보 및 용맥 정보를 기준으로 스캔할 방향의 다음 위치를 재설정하여 고도 비교부(171)에 제공하는 비교대상 변경부(172)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대상 변경부(172)나 고도 비교부(171)에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할 경우 주변 정보를 확인하여 그 대상에 대한 정보(크기, 위치, 종류, 고도 등)를 제공하는 주변 정보 확인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과 제공부(175)는 상기와 같이 단순히 비교할 두 지점에 대한 고도 차이만 제공하거나, 요청 정보의 종류에 따라 특정한 용맥에 대한 고도를 기준 위치와 스캔하면서 인접한 지형의 노출 여부를 확인하여 월수 여부를 판단하거나, 특정한 지형물까지도 고려하면서 스캔하여 장풍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파악하거나, 용맥들의 고도 정보를 비교하여 풍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은 구성의 구체적인 동작 방식을 실질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풍수 정보 제공 장치(100)의 지도 정보 제공부(160)를 통해 제공한 지도에서 선택된 풍수 판단 지역 정보를 제어부(110)가 수집한 후 대응되는 지역의 용맥 정보를 용맥 정보 획득부(150)를 통해 획득한다. 도시된 경우 주산(201)으로부터 시작되는 용맥들(202, 203, 204)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전자 지도 정보로부터 물길 정보를 확인하여 외당수(208) 및 그 흐름 정보를 얻는다.
이러한 도 6의 개념도는 사실상 도 7과 같은 실제 지형에 대한 전자 지도 정보를 통해서 얻어질 수 있는데, 도시된 예는 참조를 위한 것으로 도 6의 형세와는 다른 예라는 점에 주의한다. 도 7의 경우 간룡(211)에서 뻗어나온 지룡(212, 213, 214)에 대한 용맥 정보를 전자 지도의 고도정보(도시되는 경우는 등고선 형태로 나타내었으나 실제로는 위치별 고도 정보 이용)를 통해 분석하여 그 단면 형상과 사신사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내룡(213)을 이루는 용맥 정보에서, 주산에서 급한 경사로 흘러내린 용맥이 경사를 급히 변환하며 완만하게 변하는 곳이나, 내룡이 기를 묶듯이 낮고 좁으며 좌우 측으로 골이 파인 과협(過峽) 즉, 결인처(結咽處)에서 혈자리까지 뻗어온 내룡이 휘고 꺽이는 지점마다 예상 혈을 설정하여 풍수 판단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비교하는 것으로 해당 내룡에서 풍수적 결과가 가장 좋은 예상 혈을 실제 혈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용맥 정보는 일정한 위치 정보들의 집합이거나, 주산으로부터 평야쪽으로 진행하는 백터들의 집합일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산의 코드, 부모 산 코드, 용맥 코드, 부모 용맥 코드, 라인의 정점 벡터 정보, 정점 고도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용맥 정보들과 고도 정보를 상기 형세 판단부(121)에 제공하면 각 용맥들(202, 203, 204)의 구성과 고도 등에 대한 형세 정보를 통해서 사신사를 파악하고 내룡을 판단하여 혈이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 풍수 판단 대상을 기 설정된 영역에서 선별한다. 혹은 풍수 판단 대상으로 지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한 상기 형세 정보를 판단하여 해당 영역을 중심으로 하는 사신사를 파악한다.
일반적으로 내룡(204)의 경우 필수적으로 지룡이어야만 하고 호롱박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단면에 대한 고도 정보를 이용하여 경사가 급히 변환하며 완만하게 변하는 곳이나 내룡이 기를 묶듯이 낮고 좁으며 좌우측으로 골이 파인 곳이 있는지(귀룡의 조건, 각각 비율 등을 통한 기준과 비교), 좌우로 요동이 있는지 등을 통해서 형세를 파악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2차원 지도에서는 확인이 쉽지 않으나 용맥에 대한 정확한 위치 정보와 전자 지도를 통한 위치별 고도 정보를 활용할 경우 비교적 낮은 연산량으로도 정확한 형세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즉, 용맥 자체와 그 주변에 대한 고도 정보만 있으면 되므로 완전한 입체적 모델링 등은 필요하지 않다)
상기 형세 판단부(121)의 판단에 의해 얻어진 풍수 판단 대상에 대해서, 상기 제어부(110)는 장풍 판단부(122)에 장풍 판단을 요청하는데, 상기 장풍 판단부(122)는 기본적으로 상기 고도 정보 비교부(170)를 통해서 각 용맥에 대한 고도 정보를 이용하여 내룡(204)을 감싸는 용호(202, 203)의 고도를 내룡의 고도와 비교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내룡에 해당하는 산자락(231)의 높이(h1)와 청룡에 해당하는 산자락(232)의 높이(h2) 및 백호에 해당하는 산자락(233)의 높이(h3)를 비교하여 h2나 h3가 h1 보다 낮은 경우가 발생하면 월수가 발생한 것으로 장풍이 좋지 않다고 판단하고, 그 반대로 h2나 h3과 h1의 편차(h4, h5)가 기 설정된 높이 이상 크다면 그 역시 위압감이 들어 장풍이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월수 판단의 경우 발생 위치와 우선수 또는 좌선수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이후 설명한다.
만일, 기본적인 장풍 판단이 이루어진 경우 외당수(208)와 내당수(207)의 방향을 통해 외당수(208)와 내당수(207)의 흐름이 서로 같은 방향인 자연순행인지 반대로 흐름이 서로 다른 방향인 자연황천인지를 구분하게 되는데, 상기 장풍 판단부(122)는 내당수(207)의 방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내룡(204)을 이루는 용맥의 휘어진 상태와 구분된 기준 길이에서 상기 백호(202)와 청룡(203)까지의 거리 및 그 사이의 계곡 상태를 기준으로 해당 절곡부를 포함하는 단위 길이 영역에 대한 내당수 방향을 결정한다. 즉, 하나의 내룡에 대해서 하나의 내당수만 있는 것이 아니라, 혈이 위치할 수 있는 단위 길이, 즉 결인처부터 혈장까지 뻗어온 내룡이 휘고 꺽인 지점마다 각 절곡 지점 간을 직선으로 연결한 영역(마디)을 기준으로 각각 그 선에 수직한 방향의 백호(202)와 청룡(203)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더 긴 거리를 가진 부분을 해당 단위 길이(즉, 마디)에 대한 내당수 방향으로 정한다.
도시된 경우 소정의 마디(205)를 기준으로 내당수를 측정한 결과 백호(202)까지의 거리가 더 길기 때문에 해당 계곡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한 영향이 더 많은 것으로 판단하여 내당수(207)는 우선수가 된다. 도시된 외당수(208) 역시 우선수이므로 자연순행이 되므로 장풍이 좋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시된 경우에는 하나의 마디에 혈(206)이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결인처부터 혈장까지 뻗어온 내룡이 휘고 꺽인 지점마다 예상 혈을 두어 각각 풍수 판단을 수행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상기 장풍 판단부(122)는 이렇게 판단된 결과를 상기 제어부(110)에 제공하며, 제어부(110)는 장풍 판단 결과를 추후 풍수 판단 결과로 제공하거나 풍수 판단 결과를 산출하는데 이용한다.
이렇게 장풍이 판단되었으면, 이제 수구를 파악하여 국을 결정해야 하는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장풍 판단 결과를 국 결정부(123)에 제공하여 국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상기 국 결정부(123)는 청룡이나 백호 중 하나의 끝자락을 초기 수구로 결정하게 되는데, 상기 장풍 판단의 결과 외당수가 우선수이므로 수구는 좌측의 청룡(203)의 끝자락을 기준으로 파악한다. 만일 외당수가 좌선수인 경우 백호(202)의 끝자락을 기준으로 수구를 결정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수구의 결정은 풍수 판단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부분으로 수구가 잘못 선택되면 후속되는 파와 국의 결정이 잘못되며, 국 결정이 올바르지 않을 경우 길흉 판단을 위한 12포태나 삼합을 적용할 경우 잘못된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수구를 정확하게 판단해야 하는데 이러한 수구 판단은 그 원리 상 양기가 순환한 후 빠져나가는 곳이라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좌우선수에 따른 용호의 끝자락이 되겠지만, 혈의 좌우 계곡에서 흘러나온 물이 합수되는 지점, 용호에 양기가 빠져나가는 월수가 보이지 않는 주산 쪽 지점, 도로나 저수지 등이 용호의 일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경우 도로나 저수지 등과 접하는 용호의 주산 쪽 지점 등 다양한 수구 판단 방식에 따라 재설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청룡이 백호를 껴안은 형국이 될 경우, 수구는 내당수의 좌우선수에 관계없이 백호의 끝자락을 수구로 결정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국 결정부(123)는 지도정보와 용맥 정보를 기준으로 형세를 판단한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9와 같이 청룡이나 백호 중간에 그 고도가 낮아져 내룡에서 관찰했을 때 그 너머로 집, 들판, 물이 보이는 월수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월수가 발생하면 그쪽에서 바람이 불어오거나 순환되는 바람이 해당 부분으로 빠져나가 혈의 생기를 약화시키게 되므로 수구와 같은 역할을 한다. 다만, 내당수 방향과 같은 위치에 월수가 생기는 경우 애초에 바람이 불어오는 곳이기 때문에 단순히 장풍이 된것으로 본다. 예를 들어 자연 흐름이 우선수이고 청룡 너머로 월수가 보이면 해당 월수를 수구로 하고 좌선수라면 득수에 불과하므로 본래의 수구를 기준으로 파를 정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구가 결정되는 용맥의 끝자락이 너무 낮아 혈에서 볼 때 그 너머로 외당수가 보인다면 이 역시 월수가 발생한 것으로 보아 외당수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주산 방향으로 수구를 재조정해야 한다.
즉, 이러한 판단을 위해서 상기 국 결정부(123)는 고도정보 비교부(170)를 통해서 용호를 이루는 용맥의 고도를 내룡의 고도(그 중에서도 예상 혈의 고도)를 기준으로 끝자락에서 주산 방향으로 스캔하면서 비교하고, 지도정보 상의 주변 고도를 이용하여 내룡에서 용호를 너머 평야나 집, 물이 보이는지 판단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170)의 비교대상 변경부(172)에서는 고도 판단의 기준이 되는 용맥의 끝 부분에서 거슬러 올라가면서 측정 위치를 변경하여 해당 위치의 고도를 확인하여 고도 비교부(171)에 제공하고, 고도 비교부(171)의 비교 결과 그 차이가 일정 수준 이하라면 주변 정보 확인부(174)를 통해 인접 지형이나 인공물의 고도를 상기 고도 비교부(171)에서 확인하여 그 결과를 결과 제공부(175)에 제공하는 것으로 월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0과 같이 용호 중간이나 끝자락에 도로가 건설되면서 용맥이 절개되거나 댐이나 저수지가 형성되는 경우라면 수구를 용맥과 도로가 만나는 지점이나 물과 만나는 지점으로 재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역시 국 결정부(123)에서 고도정보 비교부(170)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도 9에 예로 든 월수 판단 방식에서의 고도정보 비교부(170)의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도 12는 내룡(241)과 청룡(242)을 비스듬한 방향에서 살펴본 경우로, 우선수의 터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기본적인 수구의 위치는 청룡의 끝자락 위치(hb1)가 된다. 이후, 내룡의 예상 혈(ha)을 기준으로 청룡에 대한 용맥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 지도 상의 고도 정보를 청룡의 끝자락 위치(hb1)로부터 주산 방향으로 거슬러 올라가도록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170)의 비교대상 변경부(172)에서 위치를 변경(용맥 정보 기준)(hb2)하고, 해당 위치에 대한 전자 지도 상의 고도 정보를 얻어 예상 혈(ha)의 고도와 비교한다. 만일, 상기 변경된 위치에 대하여 상기 전자 지도 상의 고도 정보가 없는 경우, 고도정보 연산부(173)에서 인접한 고도 정보들을 기준으로 해당 위치의 고도를 추정하여 고도 비교부(171)에 제시할 수 있다.
상기 비교대상 변경부(172)는 청룡에 대한 위치를 계속하여 변경(예를 들어 hb3 내지 hb7, 실질적으로는 더 세밀한 간격)하면서 예상 혈(ha)과의 고도를 비교한다. 그 와중에 특정한 위치에 대한 고도가 기 설정된 기준(예를 들어 예상 혈(ha)의 고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등)에 해당하면 그 너머 위치에 대한 지형 혹은 인공물의 고도나 높이 정보를 주변 정보 확인부(174)를 통해 수집하여 고도 비교부(171)를 통해 월수 여부를 판단한다.
도시된 경우 상기 고도 비교부는 소정 위치(hb5)에서 월수가 발생함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월수의 영향이 끝나 예상 혈(ha)에서 그 너머가 보이지 않게 되는 위치(hb6)를 파악하여 이를 결과 제공부(175)에 제공하면, 상기 결과 제공부(175)는 월수 여부와 월수가 끝나는 위치를 재조정될 수구 위치 정보로 출력한다.
상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용호의 월수 여부나 도로 혹은 물이 존재하는 경우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재조정되어야 하는 수구에 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일반적인 2차원 지도 정보의 등고선을 통해 완벽한 3차원 구조를 예상하여 이를 기반으로 수구를 판단하더라도 얻을 수 없는 인공물에 의한 수구위치 변경까지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풍수 원리에 따라 파악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170)를 통해 내룡(251)의 예상 혈(252)에서 초기 수구(254)가 위치한 청룡(253)의 진행 방향으로 가상 연장된 지점(점선 화살표)을 지나 그 앞에 위치한 물길인 외당수(256)를 고도 비교로 확인할 때 상기 전자 지도 내의 지형물(360)에 의해 상기 외당수(256)가 보이지 않을 경우 상기 지형물(360)에 의해 장풍이 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지형물(360)을 지나 상기 외당수(256)가 보이게 되는 지점(255)을 수구로 재설정한다.
이는 지형물이나 인공물에 대한 정보를 구비한 전자 지도의 정보를 풍수적인 관점에서 새롭게 활용하여 실질적인 장풍을 파악하여 의미 있는 수구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를 통해서 실질적인 수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역으로 생각할 때 수구의 위치가 좋지 않을 경우 소정의 인공물을 용호의 끝자락에 배치하는 것으로 원하는 배출 위치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혈의 지기를 개선할 수 있는 비보책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즉, 상기 파악된 수구에 의해 결정되는 국에 의한 풍수 판단이 좋지 않을 경우 국을 변경했을 때의 풍수를 판단해 본 후 이렇게 국을 변경하기 위한 수구를 얻기 위한 인공물의 조건을 확인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국 결정부(123)는 고도정보 비교부(170)를 통해서 수구의 위치를 재조정하면서 풍수의 원리에 입각한 실질적인 수구를 결정할 수 있어 그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비보책을 제시하기 위한 정보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6을 통해서 상기 국 결정부(123)의 동작을 더 설명하면, 상기 국 결정부(123)는 전술한 방식으로 수구를 결정한 후 예상 혈(206)에서 수구(209)를 연결한 파(210)를 결정하고, 상기 예상 혈(206)을 중심으로 나경 측정부(140)를 적용하여 그 방위를 얻는다. 이때, 상기 나경 측정부(140)는 양기의 배출 방향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진북에 대해 7.5도 우측으로 기울어진 24방위(천반봉침)로 측정하여 국을 결정한다.
이 경우 적용되는 나경 측정부(140)의 방위 측정 상태는 도 14와 같다. 예를 들어, 파가 속하는 방위가 을진, 손사, 병오방에 속하면 수국(水局)이라 하고, 정미, 곤신, 경유방에 속하면 목국(木局), 신술, 건해, 임자방에 속하면 화국(火局), 계축, 간인, 갑묘방에 있으면 금국(金局)이라 한다. 이렇게 국은 4가지 중 하나가 된다.
실제 측정에 있어 나경의 자체적인 오차와 이를 측정하는 사람의 오차에 의해서 파가 국 간 경계에 위치할 경우 국을 결정하기 어렵지만, 나경 측정부(140)는 물리적인 부피나 크기, 눈대중 등에 의한 오차가 없는 완전한 위치 정보 만을 기반으로 방위를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국의 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시된 도 6의 예에서는 하나의 마디에 대한 예상 혈(206)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나, 전술했던 바와 같이 결인처부터 혈장까지 뻗어온 내룡이 휘고 꺽인 지점마다 예상 혈을 지정하여 각 예상 혈에 대한 풍수적 판단을 실시하여 풍수적으로 가장 좋은 혈을 파악하는 것으로 해당 내룡에서 풍수적으로 가장 좋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결정된 수구를 기준으로 하여 결인처부터 혈장까지 뻗어온 내룡이 휘고 꺽인 지점을 연결한 마디 사이 다수의 지점을 예상 혈로 하여 파와 국을 결정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결인처부터 혈장까지 뻗어온 내룡이 휘고 꺽인 지점을 연결한 마디 사이 다수의 지점마다 앞서 설명했던 방식을 전부 재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으로 수구의 위치는 잘 바뀌지 않기 때문에 한 번의 과정으로 얻어진 수구의 위치를 기준으로 결인처부터 혈장까지 뻗어온 내룡이 휘고 꺽인 지점을 연결한 마디 사이 다수의 예상혈 지점에 대한 국을 결정하여 풍수 판단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국이 결정된 경우 입수룡 판단부(124)를 통해서 내룡의 지기를 파악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나경 측정부(140)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 내룡의 지기는 상기 얻어진 국 정보를 기준으로 입수룡의 방위를 측정하여 땅의 기운을 12 단계 중 하나로 판단한다.
즉, 땅을 생명에 비유하여 태어나고, 자라고, 왕성해지고, 쇠해져 병들고, 죽어가는 과정을 12단계의 운성으로 정한 후 용과 수(음기와 양기)를 12 운성을 통해 설명한 것이 12포태법(胞胎法)으로 이를 기준으로 내룡의 지기를 파악하게 된다. 12포태법은 절, 태, 양, 장생, 목욕, 관대, 임관, 제왕, 쇠, 병, 사, 묘의 12가지 과정으로 내룡의 지기를 구분한다.
도 15는 수국의 경우 12운성법에 의해서 지기를 판단하는 방식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국 결정부(123)의 판단 결과 수국으로 판단될 경우 적용되는 나경 측정부(140)의 적용 상태에 대한 예이다.
여기서 입수 방향은 주산에서 예상 혈로 입수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결인처부터 혈장까지 뻗어온 내룡이 휘고 꺽인 지점을 연결한 마디의 방위이다. 실제로는 내룡이 꺽어지는 지점에 말뚝을 세우고 각 말뚝마다 실을 연결하여 나경으로 방위를 측정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정확한 용맥의 위치 정보와 나경 측정부를 통해서 신속하고 정확한 방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수국의 12 운성법에 관해 살펴보면 수국은 파(破)가 을진, 손사, 병오방에 해당되는 땅으로 12포태법상의 기준인 묘(墓)의 위치가 음기와 양기 모두 을진(乙辰)에 있다. 따라서, 수국일 때 을진방에서 용이 입수했다면 묘룡이 된다.
12운성법에 따르면 음기인 용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역행시켜 12포태와 대비하고, 수(水)나 향(向)(추후 설명)은 양기로 시계방향으로 순행시켜 12포태와 대비한다.
예를 들어, 북쪽에서 남쪽으로 뻗어 내린 임자룡의 경우, 12포태법을 적용시키면 수국에서는 장생룡이고 목국에서는 임관룡으로 생기를 가진 땅이 되지만, 화국에서는 병룡, 금국에서는 절룡에 해당되어 생기를 가질 수 없는 땅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내룡의 방위를 통해서 해당 혈의 지기를 12가지 방식 중 하나로 확인하여 길흉을 짐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수룡 판단부(124)는 나경을 통해서 내룡이 휘고 꺽인 지점을 연결한 마디에 대한 입수룡의 지기를 파악하게 되는데, 내룡의 모든 절점간 마디에 대해 이를 실시할 필요 없이 실질적으로 혈이 있을 가능성이 높은 영역 즉, 결인처부터 혈장까지 뻗어온 내룡이 휘고 꺽인 지점을 연결한 마디에 대해서만 이러한 입수룡의 지기를 판단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도 16은 내룡(281)에서 혈이 있을 가능성이 높은 영역(282)을 선정하여 이를 실질적인 내룡의 측정 범위로 설정한 예를 보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내룡의 폭이 좁아지는 영역(과협)에서 끝자락의 급한 경사 부분을 제외한 영역을 측정 범위로 설정하는데, 이를 위해 내룡의 용맥 정보와 전자 지도의 고도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장풍 판단을 위한 과정에서 기 수행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입수룡 판단부(124)는 내룡의 측정 범위 내의 각 마디에 대한 입수룡의 지기를 판단하는데, 이러한 입수룡은 단순히 24개 방위 별로 동일한 지기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입수한 방위 정보를 기반으로 쌍산 배합 여부를 판단하여 그 생기를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쌍산 배합 여부는 상기 12포태법에 의한 지기 판단 전에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7은 쌍산 배합을 확인하는 예를 보인 것으로, 입수룡 판단부(124)는 상기 나경 측정부(140)를 통해서 입수한 방위에 대한 음양 조화를 판단한다. 즉, 입수룡이 도시된 바와 같이 둘씩 짝을 지어 나누어진 동궁(同宮)(굵은 선으로 구분)의 사이를 지나는 경우 배합룡으로 판단하고, 짝지어진 방위들 사이를 지날 경우 불배합룡으로 판단하여 이를 잠룡이라 하여 흉한 땅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입수룡이 계자와 축자 사이로 입수(a)하거나 임자와 자자 사이로 입수(c)한 경우는 음양이 맞는 쌍산 배합룡으로 판단하고, 자자와 계자 사이(b)나 해자와 임자 사이(d)로 입수한 경우 쌍산 불배합룡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12포태로 구분할 수 없으므로 잠룡으로 판단한다.
한편, 이러한 입수에 따른 각 방위의 분금 정도도 중요한데, 정확하게 동궁의 중간을 지나는 경우(a, c)에는 상격으로 구분하고, 동궁 중 일부 방위의 중간 정도를 지나는 경우(e)에는 중격으로 구분하며, 점점 동궁의 중간에서 멀어질 수록 하격으로 구분한다. 이는 지기의 생기 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결인처부터 혈장까지 뻗어온 내룡이 휘고 꺽인 지점을 연결한 마디의 지기와 생기를 통해 최상의 혈을 찾아야 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경 측정부(140)를 통해 정확한 치우침 정도를 측정하여 이를 생기에 따른 격의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세 판단부(121), 장풍 판단부(122), 국 결정부(123), 입수룡 판단부(124)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110)는 각각의 풍수 판단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들의 연속적인 판단 결과로 입수룡 판단부(124)가 제공하는 결인처부터 혈장까지 뻗어온 내룡이 휘고 꺽인 지점을 연결한 마디에 대한 지기와 생기 정보를 수집하여 길흉 판단부(130)를 통해서 그 결과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길흉 판단부(130)는 사용자 개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수룡 판단부(124)의 판단 이후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170)와 상기 나경측정부(140)를 통해 측정한 기 설정 대상의 높이와 방향 및 사용자 개인 정보에 따라 정국 입향이나 변국 입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향을 정하는 입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향부는 기 산출된 득수한 용맥과 결정된 파 및 상기 입향의 배치가 정삼각형에 가깝게 구성되도록 입향을 정하는 삼합오행 운용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국 입향이나 변국 입향, 삼합 오행 운용은 풍수 판단을 위한 후속적인 판단 작업들로, 풍수에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향법론을 통해서 길한 기운을 취하고 흉한 기운을 피할 수 있는 좌향(坐向)을 결정한다. 이러한 좌향 결정을 통해서 가능한 좋은 기운을 받는 방향을 정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향법들이 존재하고 있으나, 포태법에 의한 88향법이나 구성법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88향법의 경우 물의 득수와 파의 방위를 기준으로 하며, 자신의 국을 기준으로 입향을 판단하는 정국 입향과 소정의 기준에 해당하여 자기 국의 정향을 이용할 수 없을 경우 다른 국의 향을 빌려 입향하는 변국 입향에 의해 향을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진룡이 아닌 흉룡이나 미득수한 길용에 입향할 경우, 고도 판단에 의해 안산의 고도나 형세가 좋지 않을 경우로 판단될 경우, 내룡이 지반정침의 방위에서 혈로 입수한 경우(용상팔살), 거주자의 개인 정보(생년월일시)에 따른 기와 상극인 방위가 입향의 방위가 되는 경우, 집과 묘가 서로 바라보는 경우, 정국 향법의 경우 기 설정된 살인황천수인 경우 등이 있으며, 이는 기 설정된 테이블, 고도정보 비교부, 나경 측정부, 전자 지도의 정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용, 향, 수구가 정삼각형을 이루게 되면 삽합이라 하여 귀하게 여기므로 향을 결정할 경우 기 설정된 용과 수구를 기준으로 해당 삼합에 대한 정보가 나타나 있는 나경의 3층을 이용하여 향을 결정하도록 한다.
그 외에, 팔요풍을 판단할 수도 있는데, 내룡 위에 묘나 주택을 지을 경우 다량의 산소를 포함하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위를 팔요풍이라 한다. 나경의 2층은 팔요풍과 8대황천의 방위를 표시하는데, 팔요풍이 부는 방향을 잘 막아 주어야 바람에 의한 나쁜 영향을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나경 4층의 임자 아래 2층에는 건자가 있는데, 이는 건해를 의미한다. 그 의미는 나경 4층의 임자방이나 신술방에서 내룡이 뻗어오는 경우 건해방에서 팔요풍이 불어오니 건해방을 튼튼히 막아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팔요풍을 판단하는 것으로도 비보책을 제시할 수 있다. 이때, 비보책이란 인공물이나 방풍림 등을 조성하도록 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비보책의 구성이 가능한 지점을 적절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지도의 형세와 고도 정보를 활용하여 비보책의 적용 가능 지점들을 선별하여 이를 지도 상에 제시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천산 72룡에 의해 과협(내룡의 경사가 급격하게 변화하여 완만하게 변하는 곳이나, 내룡이 기를 묶듯이 낮고 좁으며 좌우 측으로 골이 파인 곳)의 지기를 판단하고 생기맥과 왕기맥을 선별하는 등의 부가적인 풍수적 판단을 실시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여러 가지 부가적인 풍수적 판단은 앞서 설명한 형세 판단부(121), 장풍 판단부(122), 국 결정부(123), 입수룡 판단부(124)의 판단 결과와 나경 측정부(140) 및 고도 정보 비교부(170)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구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자 지도에는 인공적인 지형지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현재 대부분의 전자 지도에 구성된 POI(Point Of Information)에는 각종 건물이나 해당 건물에 입주한 입주자의 업종, 업태 등을 포함하는 여러 정보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해당 정보를 이용할 경우 발전소, 병원의 영안실, 시체보관소, 도축장, 쓰레기 처리장, 감옥, 묘지 공원 등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지도에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정보(고속도로, 철도, 다리, 댐, 발전소, 공원, 녹지 등)로부터 풍수적 판단을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 외에도 풍수적 판단을 위하여 소정의 정보들(예를 들어, 송신탑, 송전기, 광고판, 대형 사진, 분수, 둥근 지붕의 건물, 둥근 바위, 급류, 폭포 등)을 전자 지도 상에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중에서 분수, 공원, 녹지, 얕은 시내나 호수, 둥근 지붕 건물, 둥근 표면의 바위 등의 지역은 길지이고, 고속도로, 철도나 다리, 깊게 고인 물, 급류나 폭포, 송신탑, 송전기, 대형 광고판, 묘지, 교도소, 요양원, 시체 관련 건물, 발전소, 쓰레기 처리장 등의 지역은 흉지이므로, 풍수 판단 시 이러한 지역과 근접한 지점의 경우 풍수적 가중치를 달리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방식으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내룡에서 가장 지기가 왕성한 혈을 찾거나 기 설정된 지점에 대한 풍수적 판단을 제공할 수 있고, 추가적인 풍수 판단을 통해서 비보책을 제시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풍수 판단 대상의 영역이 마을, 대단지 아파트, 공원 등과 같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 넓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수 판단 대상의 영역을 세분화하여 각 분할된 영역을 기준으로 풍수 판단을 실시하는 과정을 전 영역에 이르도록 반복하여 복수의 혈자리를 제공하거나 기 설정된 용도에 적합한 지점 및 방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상기 제어부는 풍수 판단 대상의 넓을 경우 축적을 줄여서 대략적인 정보를 기준으로 풍수를 판단하다가 부지 선정 목적에 부합하거나 풍수적 의미가 있는 영역들을 판단하면 해당 영역에 대해서는 축적을 높여 더 세밀한 정보를 토대로 풍수 판단을 정밀하게 실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수 판단의 기본 동작 과정을 보인 것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구 판단 과정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수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판단 대상의 주소 또는 구역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정보를 기준으로 전자 지도로부터 관련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영역에 대한 용맥 정보를 산등성이 정보를 통해 생성하거나 기 설정된 용맥 DB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렇게 판단 지역에 대한 전자 지도 정보와 용맥 정보를 얻으면 우선적으로 용맥들에 대한 전자 지도의 고도 정보 및 지형 정보를 활용하여 형세를 판단하여 사신사를 정한다.
이후 결정된 사신사를 기준으로 지도 및 용맥 정보를 기준으로 장풍을 판단하여 좌우선수나 자연 순행, 자연 황천 등의 장풍 판단 정보를 얻고, 이를 풍수 판단을 위한 정보로 관리한다.
이후, 용맥 끝자락에서 주산 방향으로 스캔하면서 예상 혈 고도와 비교하여 월수 여부를 판단하고 용맥의 형상이나 인공물과의 접점 등을 파악하여 수구를 결정한 후 그에 따라 파와 국을 결정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서 얻어진 풍수 정보와 수구 정보 등을 이후 풍수 판단을 위한 풍수 정보로 관리한다. 필요한 경우 내룡의 측정 범위를 결정하여 해당 범위 내의 내룡에 대한 마디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얻어진 수구를 기준으로 결인처부터 혈장까지 뻗어온 내룡이 휘고 꺽인 지점을 연결한 마디에 대한 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각 마디 마다 파와 국 정보를 얻은 후 지도 정보 및 전자 나경을 이용하여 각 마디에 대한 나경 측정을 국 정보를 기준으로 실시하여 쌍산 배합에 따른 생기 정도와 12 포태를 기준으로 한 내룡의 지기를 측정하여 득수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통해서 해당 내룡에서 가장 풍수적 특성이 좋은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만일, 특정 지점에 대한 풍수 판단인 경우 상기 내룡의 다른 마디에 대한 풍수 판단은 생략될 수 있고, 판단 대상이 넓은 경우라면 해당 판단 대상을 셀로 분할한 후 상기 형세 판단 단계부터 반복하여 모든 셀들에 대해 풍수 판단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9는 국을 결정하기 위한 수구 판단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의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룡의 고도 정보와 용호의 고도 정보를 획득한다. 해당 정보는 장풍 판단을 위한 이전 단계를 통해 확보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내룡과 청룡 및 백호의 고도를 확인함에 있어 내룡의 예상 혈을 기준으로 청룡 또는 백호 중 수구가 속한 용호의 고도를 스캔 방식으로 확인하여 월수 의심 구간을 발견하면 해당 청룡이나 백호 너머를 예상 혈에서 관찰했을 때 물, 평야, 집 등이 보이는지 전자 지도의 인접 지역 정보(지형 및 고도)를 통해 확인하여 월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장풍 판단 과정을 통해 얻어진 수구를 기준으로 해당 수구가 속한 용맥만의 월수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월수가 발생한 경우라면 수구 지점을 기존 용호의 끝자락 부분에서 해당 월수가 끝나는 주산 방향의 지점으로 조정한다.
상기 고도 비교의 결과 월수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라도 만일 예상 혈에 비해 용호의 고도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라면 위압적인 상황이므로 오히려 장풍이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따른 고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월수 여부를 파악하여 수구 지점을 조정했다면 해당 지점을 수구로 결정하지만, 만일 월수가 없다면 수구 예상점 주변 정보가 이상 기준에 해당하는 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청룡이 백호를 감싸거나 그 반대의 경우, 용호의 일부에 도로가 지나는 경우, 용호의 끝자락에 물이 있는 경우, 그리고 용호를 연장한 연장선 상에 지형물이나 구조물이 위치하여 장풍 되는 경우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상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수구의 지점을 조정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기준으로 파와 국을 결정할 수 있다. 월수와 상기 이상 기준이 겹치는 경우 월수를 기준으로 수구를 결정한다.
일반적인 풍수 판단은 풍수가의 답사나 2차원 종이 지도를 이용한 전문 풍수가의 해석을 기초로 하는 경우, 비용과 시간 및 정밀도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어설픈 사용자 정보 입력을 기반으로 하는 풍수 판단시스템의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풍수 판단과 비교의 대상이 될 수 없을 정도로 신뢰성이 낮다. 하지만,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지도의 기능과 고도 정보를 인접 영역을 고려하여 스캔 방식으로 비교하고, 정확한 나경 활용을 통한 결과로 신뢰성 있는 풍수적 판단이 가능하도록 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할 경우 임의의 풍수 판단 대상에 대해 저렴하고 신속하며 정확한 풍수 판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일반 대중도 쉽게 풍수에 따른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내용이 전자 지도에 결합될 경우 그 시너지 효과는 크게 높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00: 풍수 정보 제공 장치 110: 제어부
121: 형세 판단부 122: 장풍 판단부
123: 국 결정부 124: 입수룡 판단부
130: 길흉 판단부 140: 나경측정부
150: 용맥 정보 획득부 160: 지도정보 제공부
170: 고도정보 비교부
121: 형세 판단부 122: 장풍 판단부
123: 국 결정부 124: 입수룡 판단부
130: 길흉 판단부 140: 나경측정부
150: 용맥 정보 획득부 160: 지도정보 제공부
170: 고도정보 비교부
Claims (18)
- 풍수 판단 지역에 대한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와 산능선에 대한 용맥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지도 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전자 지도와 용맥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따라 형세와 장풍을 판단하는 형세 및 장풍 판단부와;
상기 전자 지도의 방위 정보와 상기 용맥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측정 종류에 해당하는 층을 기준으로 방위 정보를 제공하는 나경측정부와;
상기 형세 및 장풍 판단부에서 판단한 내룡의 예상 혈을 기준으로 수구를 결정한 후 상기 예상 혈에서 상기 수구를 연결하여 파를 결정하고, 상기 나경측정부를 통해 상기 파의 방위를 측정하여 측정된 상기 파의 방위에 따른 국을 결정하는 국결정부와;
상기 국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국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예상 혈에 대한 입수룡의 방위를 상기 나경측정부를 통해 파악한 후, 파악된 상기 입수룡의 방위에 따른 내룡의 지기를 판단하는 입수룡 판단부와;
상기 전자 지도와 용맥 정보를 기초로 측정 대상 및 인접 영역에 대한 고도를 비교하는 고도정보 비교부와;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전자 지도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풍수 판단 지역에 대한 전자 지도와 용맥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형세 및 장풍 판단부, 국결정부 및 입수룡 판단부를 통해 풍수 판단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며,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를 통해 상기 형세 및 장풍 판단부의 판단 기준을 보정하거나 상기 국결정부의 수구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 개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수룡 판단부의 판단 이후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와 상기 나경측정부를 통해 측정한 기 설정 대상의 높이와 방향 및 사용자 개인 정보에 따라 정국 입향이나 변국 입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향을 정하는 입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향부는 기 산출된 득수한 용맥과 결정된 파 및 상기 입향의 배치가 삼각형이 되도록 입향을 정하는 삼합오행 운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수 판단 대상의 영역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 넓은 경우 상기 풍수 판단 대상의 영역을 세분화하여 각 분할된 영역을 기준으로 풍수 판단을 실시하거나 대상 영역의 축적을 가변하면서 풍수 판단을 점차 정밀하게 실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혈자리를 제공하거나 기 설정된 용도에 따른 지점 및 방향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경측정부는 측정 종류에 따라 진북을 기준으로 한 24방위와 진북을 기준으로 7.5도씩 좌측, 우측으로 기울어진 24방위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세 및 장풍 판단부는 상기 용맥 정보를 기준으로 그 종단이 평야나 물과 만나는 지룡을 선별하고, 해당 지룡에 대응되는 전자 지도 상의 고도 정보들을 통해 상하 기복과 경사를 이루는 부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내룡에 대한 지형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세 및 장풍 판단부는 상기 전자 지도의 지형 정보와 용맥 정보를 기준으로 용맥 중 평지와 접한 지룡 중에서 내룡과 상기 내룡의 좌우측에 위치한 백호와 청룡을 선별하고, 그 앞쪽의 양기(물길)인 외당수의 방향과 상기 백호나 청룡으로부터 내룡으로 향하는 양기(바람길)인 내당수의 방향을 통해 상기 외당수의 방향과 내당수의 방향이 일치하면 자연순행으로 판단하고, 상기 외당수의 방향과 내당수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경우 자연황천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를 통해 내룡의 고도를 기준으로 상기 백호 및 청룡의 고도를 비교하여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장풍이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형세 및 장풍 판단부는 상기 내룡을 이루는 용맥 정보 내의 절곡 상태와 해당 부분에서 상기 백호와 청룡까지의 거리 및 그 사이의 계곡을 기준으로 해당 절곡부를 포함하는 마디 영역에 대한 내당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국결정부는 상기 형세 및 장풍 판단부의 장풍 판단 결과에 따라 청룡이나 백호 중 하나의 끝자락을 초기 수구로 결정하고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를 통해 상기 예상 혈에서 초기 수구가 위치한 용맥의 진행 방향으로 가상 연장된 지점을 지나 그 앞에 위치한 물길인 외당수를 고도 비교로 확인할 때 상기 전자 지도 내의 지형물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상기 지형물에 의해 장풍이 된 것으로 판단하여 수구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국결정부는 상기 형세 및 장풍 판단부의 장풍 판단 결과에 따라 청룡이나 백호 중 하나의 끝자락을 초기 수구로 결정하고,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를 통해 상기 초기 수구가 위치한 용맥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예상 수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예상 혈과 고도를 비교하며, 전자 지도 정보를 통해 특정한 위치에 대한 고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에 해당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월수 여부를 파악하여 수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맥 정보는 주산에서 평야 쪽으로 향하는 3차원 벡터 정보들의 집합을 포함하며, 상기 나경 측정부는 측정 대상이 되는 용맥 상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하여 상기 수구의 방향을 진북에 대해 7.5도 우측으로 기울어진 24방위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 대상이 되는 용맥을 이루는 단위 벡터의 방향은 진북을 기준으로 하는 24방위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는 상기 전자 지도 정보에 고도를 측정할 지점에 대한 고도 정보가 없는 경우 인접한 고도 정보의 변화를 통해 고도 정보가 부족한 지점에 대한 고도를 추정하여 보간하는 보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풍수 판단 지역에 대한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와 용맥 정보를 기준으로 형세, 장풍, 국, 득수 여부를 판정하여 길흉 정보를 제공하는 풍수 판단부와;
상기 풍수 판단부에서 국과 득수 판단을 위해 상기 용맥 상의 기준점과 비교점, 혹은 기준점과 용맥의 통과 방향을 땅(음기)과 바람(양기)을 기준으로 한 축 배치 기준에 따라 측정하여 방향을 설정하는 나경측정부와;
상기 풍수 판단부에서 형세, 장풍 및 국을 판정할 경우 상기 전자 지도 내에 포함된 상기 용맥 정보에 따른 위치의 고도와 상기 용맥 인근 물길과 풍수 판단 지역에 대한 구조물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따라 형세나 장풍을 판단하고, 국 판정 시 용호 고도 스캔에 의한 월수 파악이나 예상 혈과 외당수 사이 영역에 위치한 지형물 파악에 따른 수구 위치 조정을 수행하는 고도정보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고도정보 비교부는 상기 전자 지도 정보에 고도를 측정할 지점에 대한 고도 정보가 없는 경우 인접한 고도 정보의 변화를 통해 고도 정보가 부족한 지점에 대한 고도를 추정하여 보간하는 보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풍수 판단부는 상기 전자 지도에 포함된 인공적인 흉지나 길지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길흉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길지는 분수, 공원, 녹지, 시내나 호수, 둥근 지붕 건물, 둥근 표면의 바위 중 하나를 포함하는 지역이며, 흉지는 고속도로, 철도나 다리, 고인 물, 급류나 폭포, 송신탑, 송전기, 대형 광고판, 묘지, 교도소, 요양원, 시체보관소, 발전소, 쓰레기 처리장 중 하나를 포함하는 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1600A KR101145210B1 (ko) | 2011-07-19 | 2011-07-19 |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PCT/KR2012/005718 WO2013012245A2 (ko) | 2011-07-19 | 2012-07-18 |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1600A KR101145210B1 (ko) | 2011-07-19 | 2011-07-19 |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45210B1 true KR101145210B1 (ko) | 2012-05-24 |
Family
ID=4627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1600A KR101145210B1 (ko) | 2011-07-19 | 2011-07-19 |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5210B1 (ko) |
WO (1) | WO2013012245A2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1070B1 (ko) | 2015-10-26 | 2016-02-03 | 안효명 | 인터넷을 이용한 풍수정보제공 시스템 |
KR101623105B1 (ko) | 2014-12-23 | 2016-05-20 | 김가임 | 준공일 기준 진북 파악 시스템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736938B (zh) * | 2019-07-17 | 2021-08-21 | 李尚禹 | 基於遠端堪輿之方位定向系統及方位定向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4118A (ko) * | 2002-01-26 | 2002-03-29 | 이창진 |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
JP2002157352A (ja) | 2000-11-17 | 2002-05-31 | Nekusasu:Kk | 情報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並びに記録媒体 |
JP2006293668A (ja) | 2005-04-11 | 2006-10-26 | Media Kobo:Kk | 風水情報提供システム |
KR20090000817A (ko) * | 2007-04-05 | 2009-01-08 | 강정수 | 양택풍수 좌향측정 및 9궁 분할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2011
- 2011-07-19 KR KR1020110071600A patent/KR10114521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
- 2012-07-18 WO PCT/KR2012/005718 patent/WO2013012245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57352A (ja) | 2000-11-17 | 2002-05-31 | Nekusasu:Kk | 情報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並びに記録媒体 |
KR20020024118A (ko) * | 2002-01-26 | 2002-03-29 | 이창진 |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
JP2006293668A (ja) | 2005-04-11 | 2006-10-26 | Media Kobo:Kk | 風水情報提供システム |
KR20090000817A (ko) * | 2007-04-05 | 2009-01-08 | 강정수 | 양택풍수 좌향측정 및 9궁 분할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3105B1 (ko) | 2014-12-23 | 2016-05-20 | 김가임 | 준공일 기준 진북 파악 시스템 및 방법 |
KR101591070B1 (ko) | 2015-10-26 | 2016-02-03 | 안효명 | 인터넷을 이용한 풍수정보제공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012245A2 (ko) | 2013-01-24 |
WO2013012245A3 (ko) | 2013-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tocking et al. | Land degradation–Guidelines for field assessment | |
KR101145210B1 (ko) | 전자 지도를 이용한 풍수 정보 제공 시스템 | |
Turnbull | The Augustine site: a mound from the Maritimes | |
Dmitriyev et al. | Regional aspects of creation complex routes ecological tourism on the territory of North Kazakhstan region | |
Ianăş et al. | Quantifying landscape changes and fragmentation in a National Park in the Romanian Carpathians | |
Siebert et al. | Agricultural, architectural and archaeological evidence for the role and ecological adaptation of a scattered mountain oasis in Oman | |
Pap et al. | Finding the tomb of Suleiman the Magnificent in Szigetvár, Hungary: historical, geophysical and archeological investigations | |
Cooper et al. | The effects of livestock grazing and recreation on Irish machair grassland vegetation | |
Reinhold et al. | The Kislovodsk basin in the North Caucasian piedmonts–archaeology and GIS studies in a mountain cultural landscape | |
Deadman et al. | Hafit tombs in ash‐Sharqiyah, Oman: Assessing the accuracy and precision of Google Earth remote‐sensing survey and analysing their distribution in the landscape | |
Bede et al. | Complex characterization of kurgans in the Csanádi-hát region, Hungary | |
Cicilloni et al. | New approaches in landscape analysis of the bronze age in Central-Western Sardinia: the area of Mogoro (Oristano–Italy) | |
Demir et al. | Evaluation of Tortum Waterfall According to the Criteria Used in the Selection of Protected Areas in Turkey. | |
Bernardi et al. | Monti Lucretili Landscape Project. Surveying an upland landscape around the Montefalco castle (2020-2022) | |
Reichert et al. | Overlooked—Enigmatic—Underrated: The City Khar Khul Khaany Balgas in the Heartland of the Mongol World Empire | |
Korwel-Lejkowska | Transformation of the Landscape Structure of the Selected Testing Grounds in the Tri-city Agglomeration in the Years 1985–2012 | |
MITITELU-IONUȘ et al. | Spatial and temporal dynamics of human pressure within the Preajba catchment area, Romania. | |
CN117236543B (zh) | 一种藏羌传统村落最佳观景路线规划方法 | |
Patton | Geophysical Surveys and Spatial Analysis: Late Prehistoric Period Site Patterning at the Junction Site (DkPi-2) | |
Zimmermann | NEW LIGHT ON OLD SURFACE FINDS FROM MADISON COUNTY, ILLINOIS. | |
Kovačev et al. | Trips as primary and associated forms of other tourist Deliblato Sands movement | |
Zhao | Addressing Urban Sustainability Challenges in a Changing Environment: Insights Into Park Usage, Heat Mitigation and Green Space Sensing | |
Pederson Weinberger | Ohio Hopewell Earthworks: an examination of site use from non-mound space at the Hopewell Site | |
Ridge | Sociocultural and Demographic Change in Villages on the Great Hungarian Plain, c. 4500-3600 BCE | |
Tušlová | Systematical Field Survey in Sherabad District, South Uzbekista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