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74630A1 -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74630A1
WO2018074630A1 PCT/KR2016/011859 KR2016011859W WO2018074630A1 WO 2018074630 A1 WO2018074630 A1 WO 2018074630A1 KR 2016011859 W KR2016011859 W KR 2016011859W WO 2018074630 A1 WO2018074630 A1 WO 201807463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database
ground
data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18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명철
Original Assignee
(주)고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고려엔지니어링
Priority to PCT/KR2016/01185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74630A1/ko
Publication of WO201807463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746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12Measuring magnetic properties of articles or specimens of solids or fluids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등에 유해한 요소로 작용하는 자기장 세기와 관련된 성토 및 절토 여부 분포도, 암종 구분도, 지하수위 편차도, 토양오염 분포도, 지반의 투수계수, 지반의 암반출현 분포도, 지반의 단위중량 분포도, 단층 및 구조선 등 불연속면 분포도, 갱도 및 싱크홀 예상분포도, 지진출현 과거 기록도, 현장조사 결과값를 효과적으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중첩분석하여 취약등급을 적어도 다수개 등급으로 산출하여 자기장을 효율적으로 규명하고, 그에 따라 거주지나 사무실 및 신축부지 등의 가구배치, 구조배치, 활동장소 등에 활용하여 더욱 높은 생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등에 유해한 요소로 작용하는 자기장 세기와 관련된 성토 및 절토 여부 분포도, 암종 구분도, 지하수위 편차도, 토양오염 분포도, 지반의 투수계수, 지반의 암반출현 분포도, 지반의 단위중량 분포도, 단층 및 구조선 등 불연속면 분포도, 갱도 및 싱크홀 예상분포도, 지진출현 과거 기록도, 현장조사 결과값를 효과적으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중첩분석하여 취약등급을 적어도 다수개 등급으로 산출하여 자기장을 효율적으로 규명하고, 그에 따라 거주지나 사무실 및 신축부지 등의 가구배치, 구조배치, 활동장소 등에 활용하여 더욱 높은 생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체 등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및 측정 배경에서 수맥(水脈)은 통상 지반속에 있는 지하의 물줄기, 즉 지하수의 흐름에 의하여 지하수와 경계선을 이루고 있는 토양에서 특이한 에너지 파동이 발생한다고 한다. 이때 방사되는 파동은 인체의 전자기장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독일의 물리학자 슈만 박사는 지구의 고유진동 주파수가 7.8Hz임을 증명하고, 이는 인체에 해롭지 않은 지반의 주파수라고 했다.
그러나, 수맥과 토양의 경계면에서 나오는 수맥파는 이런 정상 주파수가 아니고 전자파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비정상 파동이다. 대지의 고유 진동파가 수맥에 의해 상하로 복잡하게 진동하면 그 위에 있는 사람의 뇌파도 그와 함께 공명한다. 이는 마치 TV 옆에 자동차가 지나가면 간섭 전파가 들어와 화면이 흔들리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다. 사람의 뇌파는 숙면상태인 4Hz이하로 내려가지 못하고 수맥에 의해 공명이 되면 7~8Hz 상태에 머물러 있게 되어 의학적으로 질 좋은 수면인 렘(REM)수면이라는 깊은 잠을 이루지 못하게 된다고 한다. 집중력있게 공부하는데 쓰이는 도구로 엠씨스퀘어라는 기기가 있다. 바로 뇌파를 알파파 대역으로 유지시켜주는 장치이다. 지구의 고유진동 주파수는 7.83Hz임을 감안하면, 알파파 대역 중 가장 효과적인 대역은 8~10Hz이다.
이런 수맥을 찾는데는 수맥탐사 장비를 이용하는 것과 사람의 감지능력을 이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고 한다.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전기비저항측정기, 지진계, 음파탐지기, 자력탐지와 사람이 직접 손으로 들어 수행하는 엘로드 및 추를 이용한 탐지법이 있다.
그렇지만 지금까지의 기존 수맥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것이 해외의 수상도시 베니스나 암스테르담 등이다. 이는 지반공학에 대한 과학적 접근과는 거리가 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5896호는 데이터로거(10)가 최대 128 채널의 아날로그 입력채널을 갖는 A/D 파트와 PCS(30)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파트, 실시간으로 시간관리를 하는 실시간 클럭, 센서의 전원을 제어하는 센서 전원제어부, 로거에 파워를 공급하는 배터리(Battery)가 구비된 태양전지판(20), 그리고 현장의 모든 센서를 관리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그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중앙제어부, 계측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로거(10)의 PCS(30)의 신호에 의거한 데이터수집 및 처리하는 자동화서버(40)는 인터넷 방송망(50; internet broadcasting system)과 경보장치(60; warning messaging systeem)에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자동 계측시스템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을 세기별로 산출하지 못하기에 실생활 등에 적용하기 힘들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체 등에 유해한 요소로 작용하는 자기장 세기와 관련된 성토 및 절토 여부 분포도, 암종 구분도, 지하수위 편차도, 토양오염 분포도, 지반의 투수계수, 지반의 암반출현 분포도, 지반의 단위중량 분포도, 단층 및 구조선 등 불연속면 분포도, 갱도 및 싱크홀 예상분포도, 지진출현 과거 기록도, 현장조사 결과값를 효과적으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중첩분석하여 취약등급을 적어도 다수개 등급으로 산출하여 자기장을 효율적으로 규명하고, 그에 따라 거주지나 사무실 및 신축부지 등의 가구배치, 구조배치, 활동장소 등에 활용하여 더욱 높은 생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요소로 작용하는 자기장 세기와 관련된 고항공사진, 지질도, 시추조사, 지하수위, 배수등급, 광산정보, 지진기록, 점오염원(point pollution source, 點汚染源), 현장조사의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평가인자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반 및 인위적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평가등급을 산출하고, 설정된 자기장의 평가등급을 초과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선정하는 자기장평가모듈과;
상기 자기장평가모듈에서 산정된 자기장의 세기에 대하여 상기 평가인자에 기초한 정비 및 개량사업에 따른 비용대비효과를 산출하여 정비 및 개량사업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우선순위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선정모듈은 상기 평가인자에 의거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중첩분석을 통해 1, 2, 3, 4, 5등급으로 산출하여 자기장의 세기 및 위치선정과, 자기장 세기에 따른 실내 가구배치 및 활동장소의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의 고항공사진, 지질도, 시추조사, 지하수위, 배수등급, 광산검색, 지진기록은 국가기관 종합정보시스템에서 각 데이터가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의 점오염원는 포털맵 지원 온라인사이트에서 데이터가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의 현장조사는 현장에서 물리탐사 또는 시추조사에 의해 직접 측정된 데이터가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장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고항공사진의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여 성토 및 절토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원지반과 성토한 지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성토 및 절토여부 분포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질도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巖)종별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암종 구분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질도의 데이터 및 시추조사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층 및 구조선의 불연속면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단층 및 구조선의 불연속면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시추조사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반에 암반출연 심도가 깊은지 낮은지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지반 암반출연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하수위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하수위의 높고 낮은지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지하수위 편차도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하수위의 데이터 및 배수등급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반의 각 지층별 투수계수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지반의 투수계수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광산정보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반의 폐갱도 및 갱도유무, 하부 암반이 금속광산인지 비금속광산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갱도 및 싱크홀 분포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진기록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기장 세기의 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인 지반의 불연속면 활동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과거 지진출연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점오염원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기장 세기의 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인 오염원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토양오염 분포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장조사 결과값을 수신하여 자기장 세기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를 등급으로 구분하는 현장조사 측정결과 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층 및 구조선의 불연속면은 지자기장이 급격히 변동되는 구간이며, 지하수의 주요 이동통로 및 흐름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은 인체 등에 유해한 요소로 작용하는 자기장 세기와 관련된 성토 및 절토 여부 분포도, 암종 구분도, 지하수위 편차도, 토양오염 분포도, 지반의 투수계수, 지반의 암반출현 분포도, 지반의 단위중량 분포도, 단층 및 구조선 등 불연속면 분포도, 갱도 및 싱크홀 예상분포도, 지진출현 과거 기록도, 현장조사 결과값를 효과적으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중첩분석하여 취약등급을 적어도 다수개 등급으로 산출하여 자기장을 효율적으로 규명하고, 그에 따라 거주지나 사무실 및 신축부지 등의 가구배치, 구조배치, 활동장소 등에 활용하여 더욱 높은 생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타를 수신하는 DB서버 및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GIS로 중첩하는 분석 서버에 의하여 지자기장의 세기를 등급별로 산출하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로 중첩하는 분석 서버에 의하여 지자기장의 세기를 등급별로 산출하는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타를 수신하는 DB서버 및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GIS로 중첩하는 분석 서버에 의하여 지자기장의 세기를 등급별로 산출하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로 중첩하는 분석 서버에 의하여 지자기장의 세기를 등급별로 산출하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은 인체에 유해한 요소로 작용하는 자기장 세기와 관련된 고항공사진(110), 지질도(120), 시추조사(130), 지하수위(140), 배수등급(150), 광산정보(160), 지진기록(170), 점오염원(point pollution source, 點汚染源,180), 현장조사(190)의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평가인자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00)와; 상기 각각의 DB에 기초하여 지반 및 인위적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평가등급을 산출하고, 설정된 자기장의 평가등급을 초과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선정하는 자기장평가모듈(미도시)과; 상기 자기장평가모듈에서 산정된 자기장의 세기에 대하여 상기 평가인자에 기초한 정비 및 개량사업에 따른 비용대비효과를 산출하여 정비 및 개량사업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우선순위선정모듈(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국가기관 종합정보시스템의 고항공사진(110), 지질도(120), 시추조사(130), 광산정보(160), 지진기록(170), 지하수위(140), 배수등급(150) 온라인 포털맵(20)에서 제공되는 점오염원(180), 현장조사의 DB(210)를 DB서버(100)에 수집한 다음 분석서버(200)를 통해 DB별 다수 단계의 배점을 기본 지정(220)한 뒤, GIS중첩기능으로 적어도 5등급을 산출하여 지자기장 세기를 등급별로 구분하여 정밀조사를 수행시켜 GIS 중첩 분석도(230)가 생성된다. 한정된 조사물량은 이러한 선택과 집중의 결과로 이전보다 더 효율적으로 지자기장 세기를 규명하게 되며, 그 결과는 지자기장 세기에 따라 주거공간, 사무실 등의 실내(40)에 가구배치 및 활동장소의 우선순위 대상 선정시 활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우선순위선정모듈의 평가인자는 고항공사진(110), 지질도(120), 시추조사(130), 지하수위(140), 배수등급(150), 광산정보(160), 지진기록(170), 점오염원(180), 현장조사(190)이며, 상기 우선순위선정모듈은 상기 평가인자에 의거 1, 2, 3, 4, 5등급으로 산출하여 자기장의 세기 및 위치선정의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의 고항공사진(110), 지질도(120), 시추조사(130), 지하수위(140), 배수등급(150), 광산정보(160), 지진기록(170)은 국가기관 종합정보시스템(10)에서 각 데이터가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의 점오염원(180)는 포털맵 지원 온라인사이트(20)에서 데이터가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맵이 지원되는 온라인사이트면 협약후, 정보를 제공받는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의 현장조사(190)는 현장(30)에서 물리탐사 또는 시추조사에 의해 직접 측정된 데이터가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는데, 상기 물리탐사는 중력탐사, 자력탐사, 전기비저항탐사, 자연전위탐사, 탄성파탐사, 전자탐사, 물리검층, 레이다 탐사, 다우징 탐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시추조사는 지반에 소구경으로 천공하여 지반내용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거나 실내(40) 시험을 통하여 그 성상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현장 조사 측정 방법은 자기장 세기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와 상관성이 높으므로 현장의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자기장평가모듈인 분석서버(200)에서는 성토 및 절토여부 분포 분석부(211), 암종 구분 분석부(212), 단층 및 구조선의 불연속면 분석부(212a), 지반 암반출연 분석부(213), 지하수위 편차도 분석부(214), 지반의 투수계수 분석부(214a), 갱도 및 싱크홀 분포 분석부(215), 과거 지진출연 분석부(216), 토양오염 분포 분석부(217), 현장조사 측정결과 분석부(21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성토 및 절토여부 분포 분석부(211)는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고항공사진(110)의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여 성토 및 절토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원지반과 성토한 지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하는데, 이때, 도심지의 원지반이 개발이전하고 틀리다는데 있다. 산이 있던 곳은 깎아서 평평하게 하고, 골짜기 및 하천은 인근의 흙들로 메워서 평평하게 만들어 도심지를 형성하게 된다. 전자는 지표하 바로 밑의 흙의 투수계수(지하수가 토양이나 암반을 통과하는 속도)가 낮으므로 지반침하(일명 싱크홀)발생이 낮다. 반면 후자는 골짜기를 인근 흙으로 메웠기 때문에 흙의 투수계수가 높으므로 지하수의 주요 이동통로가 되어 지반침하(일명 싱크홀)를 유발할 수 있다. 이는 국가기관 종합정보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고항공사진(110)의 결과로 성토 및 절토여부를 파악 할 수 있으며, 원지반과 성토한 신규지반은 지자기장세기 차이값이 발생하므로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암종 구분 분석부(212)는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지질도(12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巖)종별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한다. 즉, 국가기관 종합정보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지질도(120)의 결과로 암종별 지자기장세기 차이값이 발생므로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단층 및 구조선의 불연속면 분석부(212a)는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지질도(120)의 데이터 및 시추조사(13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층 및 구조선의 불연속면을 등급으로 구분한다. 즉, 국가기관 종합정보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지질도(120)와 시추조사(130) 결과로 단층 및 구조선의 불연속면은 지자기장이 급격히 변동되는 구간이며, 지하수의 주요 이동통로 및 흐름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지반 암반출연 분석부(213)는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시추조사(13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반에 암반출연 심도가 깊은지 낮은지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한다. 즉, 국가기관 종합정보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시추조사(130) 정보도의 결과로 지표에서 암반출연 심도가 깊은지 낮은지에 따라서 지자기장세기 차이값이 발생므로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지하수위 편차도 분석부(214)는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지하수위(14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하수위(140)의 높고 낮은지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한다. 즉, 국가기관 종합정보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지하수위(140) 데이터베이스의 결과로 지하수위(140)가 높고 낮은지 여부에 따라 지자기장세기 차이값이 발생므로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지반의 투수계수 분석부(214a)는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지하수위(140)의 데이터 및 배수등급(15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반의 각 지층별 투수계수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한다. 즉, 국가기관 종합정보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지하수위(140) 및 배수등급(150) 데이터베이스의 결과로 지반의 각 지층별 투수계수가 틀리므로 이에 따라 지자기장 세기 차이값이 발생하여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갱도 및 싱크홀 분포 분석부(215)는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광산정보(16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반의 폐갱도 및 갱도유무, 하부 암반이 금속광산인지 비금속광산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한다. 즉, 국가기관 종합정보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광산정보(160)에 의거하여 지반 하부에 폐갱도 및 갱도유무와 하부 암반이 금속광산인지 비금속광산인지의 정보는 지자기장 세기 차이값이 발생므로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과거 지진출연 분석부(216)는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지진기록(17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기장 세기의 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인 지반의 불연속면 활동을 등급으로 구분한다. 즉, 국가기관 종합정보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과거 지진 기록은 지반 하부의 불연속면 활동과 관련되어 있다는 증거이고 이는 지자지장 세기 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이므로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토양오염 분포 분석부(217)는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점오염원(18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기장 세기의 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인 오염원을 등급으로 구분한다. 즉, 포털맵 지원 온라인사이트(20)에서 제공하는 점오염원(180) 정보는 지반에 각종 토양오염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크며 이는 지자지장 세기 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이므로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현장조사 측정결과 분석부(218)는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현장조사(190) 결과값을 수신하여 자기장 세기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를 등급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현장(30)에서 직접 측정하는 방법으로 물리탐사와 시추조사가 있다.
[부호의 설명]
10 : 국가기관 종합정보시스템 20 : 포털맵 지원 온라인사이트
30 : 현장 40 : 실내
100 : 데이터베이스, DB서버 110 : 고항공사진
120 : 지질도 130 : 시추조사
140 : 지하수위 150 : 배수등급
160 : 광산정보 170 : 지진기록
180 : 점오염원 190 : 현장조사
200 : 분석서버 211 : 성토 및 절토여부 분포 분석부
212 : 암종 구분 분석부 212a : 단층 및 구조선의 불연속면 분석부
213 : 지반 암반출연 분석부 214 : 지하수위 편차도 분석부
214a : 지반의 투수계수 분석부 215 : 갱도 및 싱크홀 분포 분석부
216 : 과거 지진출연 분석부 217 : 토양오염 분포 분석부
218 : 현장조사 측정결과 분석부 210 : 평가 DB별 다수단계 배점 기본지정
220 : GIS 중첩 분석도

Claims (6)

  1. 인체에 유해한 요소로 작용하는 자기장 세기와 관련된 고항공사진(110), 지질도(120), 시추조사(130), 지하수위(140), 배수등급(150), 광산정보(160), 지진기록(170), 점오염원(point pollution source, 點汚染源,180), 현장조사(190)의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평가인자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00)와;
    상기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반 및 인위적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평가등급을 산출하고, 설정된 자기장의 평가등급을 초과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선정하는 자기장평가모듈과;
    상기 자기장평가모듈에서 산정된 자기장의 세기에 대하여 상기 평가인자에 기초한 정비 및 개량사업에 따른 비용대비효과를 산출하여 정비 및 개량사업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우선순위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선정모듈은 상기 평가인자에 의거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중첩분석을 통해 1, 2, 3, 4, 5등급으로 산출하여 자기장의 세기 및 위치선정과, 자기장 세기에 따른 실내(40) 가구배치 및 활동장소의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의 고항공사진(110), 지질도(120), 시추조사(130), 지하수위(140), 배수등급(150), 광산정보(160), 지진기록(170)은 국가기관 종합정보시스템(10)에서 각 데이터가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의 점오염원(180)은 포털맵 지원 온라인사이트(20)에서 데이터가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의 현장조사(190)는 현장(30)에서 물리탐사 또는 시추조사에 의해 직접 측정된 데이터가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고항공사진(110)의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여 성토 및 절토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원지반과 성토한 지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성토 및 절토여부 분포 분석부(211)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지질도(12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巖)종별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암종 구분 분석부(212)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지질도(120)의 데이터 및 시추조사(13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층 및 구조선의 불연속면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단층 및 구조선의 불연속면 분석부(212a)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시추조사(13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반에 암반출연 심도가 깊은지 낮은지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지반 암반출연 분석부(213)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지하수위(14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하수위(140)의 높고 낮은지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지하수위 편차도 분석부(214)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지하수위(140)의 데이터 및 배수등급(15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반의 각 지층별 투수계수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지반의 투수계수 분석부(214a)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광산정보(16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반의 폐갱도 및 갱도유무, 하부 암반이 금속광산인지 비금속광산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의 차이값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갱도 및 싱크홀 분포 분석부(215)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지진기록(17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기장 세기의 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인 지반의 불연속면 활동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과거 지진출연 분석부(216)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점오염원(18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기장 세기의 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인 오염원을 등급으로 구분하는 토양오염 분포 분석부(217)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현장조사(190) 결과값을 수신하여 자기장 세기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를 등급으로 구분하는 현장조사 측정결과 분석부(218);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 및 구조선의 불연속면 분석부(212a)의 단층 및 구조선의 불연속면은 지자기장이 급격히 변동되는 구간이며, 지하수의 주요 이동통로 및 흐름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PCT/KR2016/011859 2016-10-21 2016-10-21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WO201807463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1859 WO2018074630A1 (ko) 2016-10-21 2016-10-21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1859 WO2018074630A1 (ko) 2016-10-21 2016-10-21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74630A1 true WO2018074630A1 (ko) 2018-04-26

Family

ID=6201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1859 WO2018074630A1 (ko) 2016-10-21 2016-10-21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7463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4324A (ja) * 2000-07-06 2002-01-25 Misawa Homes Co Ltd 住宅街環境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20020024118A (ko) * 2002-01-26 2002-03-29 이창진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KR20080005699A (ko) * 2006-07-10 2008-01-15 임철식 상수도관망 노후도 성능평가 및 정비개량계획수립 시스템과그 방법
KR20130063705A (ko) * 2011-12-07 2013-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장 정보를 이용하여 자기장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73638A (ko) * 2014-12-17 2016-06-2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열자원정보관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4324A (ja) * 2000-07-06 2002-01-25 Misawa Homes Co Ltd 住宅街環境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20020024118A (ko) * 2002-01-26 2002-03-29 이창진 풍수지리에 의한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평면설계 및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KR20080005699A (ko) * 2006-07-10 2008-01-15 임철식 상수도관망 노후도 성능평가 및 정비개량계획수립 시스템과그 방법
KR20130063705A (ko) * 2011-12-07 2013-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장 정보를 이용하여 자기장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73638A (ko) * 2014-12-17 2016-06-2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열자원정보관리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19364B (zh) 煤矿开采过程中底板突水预警系统及方法
CN105911603B (zh) 基于天然电场的四维物探方法
Priolo et al. Seismic monitoring of an underground natural gas storage facility: The Collalto Seismic Network
Bianchi et al. The Brazilian seismographic network (RSBR): improving seismic monitoring in Brazil
CN106150554B (zh) 一种基于地层施工的电气通信检测预警系统
CN107861157A (zh) 一种地下水封洞库运营期微震监测方法
Ashenden et al. Some challenges of monitoring a potentially active volcanic field in a large urban area: Auckland volcanic field, New Zealand
Cara et al. Temporary dense seismic network during the 2016 Central Italy seismic emergency for microzonation studies
Wong et al. Joint spacing distribution of granites in Hong Kong
CN107144883A (zh) 地震预测监测交变电磁场观测台网
Qaddah et al. GIS-based site-suitability modeling for seismic stations: Case study of the northern Rahat volcanic field, Saudi Arabia
JPH0711577B2 (ja) 地電流検出装置
Che et al. On the use of a dense network of seismo-acoustic arrays for near-regional environmental monitoring
Lund et al. The Modern Swedish National Seismic Network: two decades of intraplate microseismic observation
Clinton et al. The current state of seismic monitoring in Puerto Rico
GB2183038A (en) Process for the prediction and detection of earthquakes
KR101832400B1 (ko)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Popa et al. Romanian Seismic Network since 1980 to the present
WO2018074630A1 (ko)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 분석 시스템
Chiaraluce et al. The shallow boreholes at The AltotiBerina near fault Observatory (TABOO; northern Apennines of Italy)
Thompson et al. Seismic monitoring of volcanoes
Holub et al. Long-term development of seismic monitoring networks in the Ostrava-Karvina coal mine district
House et al. Seismicity Monitoring in North‐Central New Mexico by the Los Alamos Seismic Network
CN115185013A (zh) 一种基于航道疏浚工程的管线探测方法
Xiao et al. Microseismic monitoring method of the rockburst evolu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193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193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