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7Y1 -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 - Google Patents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7Y1
KR200200217Y1 KR2020000014243U KR20000014243U KR200200217Y1 KR 200200217 Y1 KR200200217 Y1 KR 200200217Y1 KR 2020000014243 U KR2020000014243 U KR 2020000014243U KR 20000014243 U KR20000014243 U KR 20000014243U KR 200200217 Y1 KR200200217 Y1 KR 2002002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forklift
attachment
plate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에이치 에이 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 에이 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 에이 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4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게차의 전방에 구비된 작업대에 화물의 적재, 운반시 작업의 용도에 따라 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어태치먼트가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지게차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좌·우 슬라이딩되거나 핀결합되어 회전하는 체결부위에서 마찰에 따른 모재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금속제의 부싱이 설치되고, 상기 부싱과 접촉하는 모재의 표면에는 몰리브덴 금속코팅층이 도포 형성되며, 상기 부싱은 표면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는 고체성분인 천연흑연이 함유된 고력황동계의 윤활 및 마찰감소재가 매립 설치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어태치먼트가 지게차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되거나 회전되는 주요부위에서 무급유 상태에서도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FORKLIFT ATTACHMENT ADOPTED OILLESS METAL BUSHING}
본 고안은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게차의 전방에 설치되어 지게차를 이용해 각종 특수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게차어태치먼트가 작업수행시 각 체결부위 및 마찰부위에서 장치의 마모 및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주입되는 수용성윤활제 대신에 특수고체윤활제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매립된 금속성 재질의 부싱을 설치하여 작업장의 환경오염 방지는 물론 어태치먼트의 내구수명을 연장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게차어태치먼트는 지게차의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승강작업대에 각종의 작업용도에 따라 작업환경에 맞는 어태치먼트를 탈부착하여 사용하였었다.
이러한 종래의 어태치먼트는 주로 물건을 들어 옮겨 이동하거나, 물건을 상차 및 하차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또한 이동시키기 위한 물건의 종류에 따라 어태치먼트의 구조 및 작용이 각각 특징적으로 구성되었다.
산업현장의 많은 영역에서 지게차가 사용되고 있는 만큼 지게차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어태치먼트 또한 수십종에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산업현장에서 지게차에 부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지게차어태치먼트는 각 장치의 기능이 단순반복운동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작동부분이나 체결부위에서 각 장치의 마모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윤활제의 급유가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시로 마찰부위나 회전부위에 윤활제(구리스)를 주입하는 예방정비를 하여야 했으나, 작업자의 예방정비의식의 부족과 윤활제 급유에 따른 번거러움으로 인해 각 장치의 마모 및 부식부위의 윤활제 급유가 소홀히 이루어짐으로써 고가의 장치가 얼마가지 못해고장나거나 훼손되는 경제적인 손실을 피할 수 없었다.
또한, 작업자가 각 장치에 정기적으로 윤활제를 급유하더라도 작업진행중 장치의 각 부위에 급유된 윤활제가 장치의 동작으로 인해 장치 외부로 흘러나와 작업장 바닥에 떨어짐으로써 작업장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주변환경의 청결에 신경을 쓸수밖에 없는 작업현장에서는 지게차의 어태치먼트에서 흘러내린 윤활제(구리스)에 의해 작업장의 바닥이 오염됨으로 인해서 작업장을 관리하는 작업자 뿐만 아니라 지게차의 운전자 또한 매우 신경을 써야 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의 모색이 필요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지게차어태치먼트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는 각 장치의 내구수명 연장은 물론 운전자의 점검소홀로 인한 하자발생으로 작업손실이 초래되어 시간 및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작업장의 청결한 환경유지는 물론 정기적으로 윤활제를 급유함으로 인해 발생되었던 작업자의 번거러움을 절감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지게차 어태치먼트중 본 고안에 따른 무급유용 부싱이 적용된 힌지드버켓이 지게차에 장착된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에서 힌지드버켓에 부싱이 설치된 부분의 단면상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B부에 적용된 부싱의 외관사시도,
도 5는 지게차 어태치먼트중 본 고안에 따른 무급유용 부싱이 적용된 사이드크램프의 외관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고정판과 레일고정프레임과의 결합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일부 단면상태도,
도 7은 도 5의 고정레일 내측에 설치되는 부싱의 외관사시도,
도 8은 지게차 어테치먼트중 본 고안이 따른 무급유용 부싱이 적용된 사이드쉬프터의 외관사시도,
도 9는 지게차에서 분리된 사이드쉬프터의 외관사시도,
도 10은 사이드쉬프터의 고정판과 이동판과의 결합상태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사이드쉬프터에 적용된 부싱의 외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50 : 힌지드버켓 35,35′,68,78,78′: 무급유용 부싱
36 : 관통공 38 : 윤활 및 마찰감소제
60 : 사이드크램프 63 : 고정레일
66 : 이동레일 70 : 사이드쉬프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는 지게차의 전방에 구비된 작업대에 화물의 적재, 운반시 작업의 용도에 따라 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어태치먼트가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지게차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좌우 슬라이딩되거나 핀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체결부위에서 마찰로 인한 모재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금속제의 부싱이 설치되고, 상기 부싱과 접촉하는 모재의 표면에는 몰리브덴 금속코팅제가 도포되며, 상기 부싱은 표면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는 고형(固形)성분인 천연흑연이 함유된 고력황동계(係)의 윤활 및 마찰감소재가 매립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무급유용 부싱이 적용된 지게차어태치먼트의 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 내지 도 4에는 지게차의 어태치먼트중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힌지드버켓이 지게차에 장착된 사용상태도와 힌지드버켓의 일부확대단면도 및 이에 적용된 부싱의 일실시예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10) 및 지게차(10)의 전면에 구비되어 부착되는 각종 어태치먼트를 승강시키는 수직승강작업대(15), 수직승강작업대(15) 전방으로 취부되어 어태치먼트가 부착된 작업장치고정대(30)가 고정되는 작업장치이동대(20)의 구성은 통상의 지게차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지게차(10)에 힌지드버켓(50)이 고정 설치되는 구조는 작업장치고정대 (30)의 전방에 구비된 한쌍의 포크(도시안됨)가 버켓(40)의 저면에 형성된 포크고정부(42)에 끼워진 후에 버켓(40)이 작업장치고정대(30)에 고정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작업장치고정대(30)의 상단에는 버켓(40)의 지나친 후방 회전방지와 버켓(40) 내부에 채워진 화물의 후방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보호대(31)가 구비되고, 하단 양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2)가 형성되며, 이 돌출부(32)에는 체결공(3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3)에는 포크가 구비된 포크고정대(45) 후방이 체결핀(37)에 의해 핀고정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힌지드버켓(50)은 작업장치고정대(30)의 양측 수직부재 사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39)의 일단이 포크고정대(45)의 후방에 핀결합되어 유압장치의 동작에 의해 유압실린더(39)가 신축되므로써 포크고정대(45)를 회전 시키며, 이로 인해 버켓(40)이 상향, 하향 동작이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공(33)에 끼움 설치되는 체결핀(37)의 외주연과 유압실린더의 양단이 결합되는 포크고정대(45) 후단부와 작업장치고정대(30)상단부의 핀체결부위에는 무급유용 원통형 부싱(35)(3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부싱(35)(35′)의 외주연과 접촉되는 체결공(33)의 내주연과 포크고정대(45) 후방에 형성된 관통공(도시안됨)의 내주연에는 몰리브덴금속코팅층(34)이 도포되어 모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작업장치고정대(30)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32)와 포크고정대(45) 양단에 핀결합되는 체결공(33)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형의 무급유용부싱(35)이 끼움 설치되며, 유압실린더 상·하단의 체결부위에는 플랜지가 없는 원통형 부싱(35′)이 끼움 설치된다.
상기 부싱(35)(35′)은 외주연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관통공(36)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이 관통공(36)에는 고형(固形)성분인 천연흑연이 함유된 고력황동계의 윤활 및 마찰감소재(38)가 매립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 부싱(35)(35′)의 표면에 매립형성된 마찰감소제(38)는 부싱(35)(35′)의 1/4회전시 체결공(33)의 내주연 전면에 마찰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열 설치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는 지게차어태치먼트중 물건을 좌우에서 압착하여 운반, 적재할 수 있도록 전방 양측에 크램프(61)가 구비된 사이드크램프(60)의 개략적인 구성과 일부측단면도 및 여기에 사용된 부싱(68)이 도시되어 있다.
지게차어태치먼트중 상기 사이드크램프(60)의 경우에는 지게차(10)의 전방 수직승강작업대(15)에 부착되는 고정판(17)과, 이 고정판(17) 상하부에 걸림 고정되는 후크(62)(62′)가 상하부에 각각 구비된 고정레일프레임(64)과, 이 고정레일프레임(64) 전방에 구비되어 상하부에 각각 한쌍의 레일이 이동하기 위한 레일이동홈(67)이 형성된 고정레일(63)과, 이 고정레일(63)에 끼워져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고 전방 양측으로 물건의 좌우를 압착하여 들 수 있는 크램프(61)가 구비된 복수개의 이동레일(66)로 구성된다.
전방에 구비된 크램프(61)를 이용해 좌우에서 압착한 물건을 운반, 적재하기 위해 이동레일(66)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고정레일(63)의 내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부싱(68)이 설치되며, 설치된 부싱(68)의 외측으로 이동레일(66)이 끼움 장착되고, 상기 부싱(68)은 레일이동홈(67)의 일측에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싱(68) 또한 표면에 관통공(36)과 상술한 윤활 및 마찰감소제(38)가 매립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으로만 윤활 및 마찰감소제(38)가 구비된 부싱(68)이 복수개의 고정레일(63)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이동레일(66)과 고정레일(63)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부싱(38)은 작업시 고정레일(63) 내측에서 이동레일(66)이 주로 슬라이딩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한다.
즉, 좌측의 크램프를 지지 이동시키는 이동레일(66)이 설치된 고정레일(63)에는 레일이동홈(67)의 좌단에 상기 부싱(68)이 설치되고, 우측의 크램프를 지지, 이동시키는 이동레일(66)이 설치된 고정레일(63)에는 레일이동홈(67)의 우단에 상기 부싱(68)이 설치되도록 하여 이동레일(66)이 작업시 주로 슬라이딩되는 작업영역대에서의 마찰감소 및 윤활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싱(68)과 접촉되는 이동레일(66)의 표면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몰리브덴 금속코팅층(34)이 도포되어 형성된다.
한편, 도 8에는 지게차의 어태치먼트중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사이드쉬프터가 지게차에 장착된 사용상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 및 도 10은 사이드쉬프터의 분해사시도와 요부 단면도, 그리고 도 11 및 도 12는 사이드쉬프터에 적용된 부싱의 외관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지게차의 다른 어태치먼트가 고정판(17) 전방에 구비되는 포크 및 다른 작업장치를 상하, 좌우이동시켜 물건의 운반 및 상하차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반해, 상기 사이드쉬프터(70)는 포크나 다른 작업장치가 부착된 이동판(72)이 고정판(17) 전면에 체결된 상태에서 이동판(72) 자체가 좌우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지게차(10)의 수직승강작업대(15)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고정판(17)은 상단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소정의 깊이로 복수개의 결합홈(18)이 형성되고, 이 고정판(17)의 상단으로 하단부에 유압실린더(77)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단부에 끼움공(73)이 형성된 보조고정판(74)이 장착되어 상기 결함홈(18)이 형성된 고정판(17) 상단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보조고정판(74)의 상단으로 도 11에 도시 된 무급유용 부싱(78)이 설치되어 고정판 (17)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18)에 부싱(78)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73)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부싱(78) 상단으로 이동판(72)이 걸림설치된다.
또한, 이동판(72)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걸림후크(75′)의 내측면에는 도 12에 도시된 평판재의 부싱(78′)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결합된 사이드쉬프터(70)는 보조고정판(74) 하단에 설치된 유압실린더(77)의 동작으로 이동판(72)이 좌우 소정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이동판(72)의 좌우 이동시 상기 부싱(78)과 직접 접촉되는 상부 걸림후크(75) 내측 상면에는 상술한 몰리브덴금속코팅층(34)이 도포 형성된다.
상기 부싱(78)(78′) 또한 상술한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윤활 및 마찰감소제(38)가 표면에 형성된 관통공(36)에 다수 매립설치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무급유용 부싱(35)(35′)(68)(78)(78′)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는 어태치먼트(50)(60)(70)의 중요회전부위와 슬라이딩되는 마찰부위에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되어 마찰에 따른 모재의 마모방지 및 윤활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각 장치의 중요부분에 정기적으로 윤활유를 급유하여야 하는 불편을 없애고, 각 어태치먼트에 급유된 윤활제(구리스)가 어태치먼트의 동작에 따라 외부로 흘러나와 작업장의 바닥에 떨어져 작업장의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더럽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운전자의 정비의식 결여로 인한 윤활제의 미급유로 인해서 각 장치가 마모되어 내구수명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어태치먼트에 적용된 무급유용 부싱(35)(35′)(68)(78)(78′)은 표면에 형성된 관통공(36)에 미세한 분말형태로 이루어진 천연흑연이 함유된 고력활동계의 윤활 및 마찰감소제(38)가 매립설치되므로, 각 장치의 슬라이딩 및 회전시 부싱의 외면과 각 모재 사이의 마찰운동에 따라 천연흑연의 미립자가 마찰표면에 미세한 윤활막을 형성하게 되어 윤활제의 무급유 상태에서도 각 장치의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어태치먼트의 중요 부분에 각각 설치된 무급유용 부싱은 일정기간 사용하여 부싱 및 마찰감소제가 마모된 경우에 다시 새로운 부싱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이의 사용 또한 간편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상술되지 않은 구성이나 작용은 종래의 어태치먼트에 적용된 구성과 작용이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 어태치먼트는 어태치먼트의 마찰부위에 윤활 및 마참감소제가 매립 설치된 부싱을 간단하게 설치가능하고, 부싱을 한번 설치한 경우에는 부싱이 마모되는 기간 동안 윤활제를 급유하여야 하는 불편이 없으며, 윤활제(구리스)를 급유하지 않아도 되므로 각 장 비를 항상 청결히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청결한 작업장을 유지하는데 일조를 할 수 있다. 또한, 윤활제 급유의 미흡으로 발생되었던 각종 장치의 하자발생을 최소화하여 어태치먼트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1. 지게차의 전방에 구비된 작업대에 화물의 적재, 운반시 작업의 용도에 따라 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어태치먼트가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지게차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좌·우 슬라이딩되거나 핀결합되어 회전하는 체결부위에서 마찰에 따른 모재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금속제의 부싱이 설치되고, 상기 부싱과 접촉하는 모재의 표면에는 몰리브덴 금속코팅층이 도포 형성되며, 상기 부싱은 표면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는 고체성분인 천연흑연이 함유된 고력황동계의 윤활 및 마찰감소재가 매립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중 지게차의 이동판에 걸림 설치되고 양측에 유압실린더가 장착되는 작업장치고정대와, 이 작업장치고정대 양측에서 체결핀에 의해 핀결합되고 전방에 버켓이 결합되며 후방 중앙에 상기 유압실린더 하단이 핀결합되는 포크고정대로 이루어지는 힌지드버켓은 체결핀에 의해 핀결합되는 체결부위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양단이 고정 설치되는 핀체결부위에 원통형상의 부싱이 끼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중 유압장치의 동작에 의해 양측에 크램프가 구비된 복수개의 이동레일이 레일이동홈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화물의 좌우를 압착하여 화물을 운반 및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사이드크램프는 이동레일의 왕복운동시 레일이동홈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된 마찰열을 감소시키기 위해 레일이동홈의 좌·우 양단중 양측 크램프의 주요 이동영역대인 일측 내면에 [ 형상의 부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중 작업대의 고정판 상단에 형성된 고정홈에 전방에 포크가 구비되고 상·하단에 걸림후크가 구비된 이동판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판을 좌·우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가 구비된 보조고정판이 상기 이동판과 고정판 사이에 설치되는 사이드쉬프터는 상기 보조고정판 상단과 이동판 상부 걸림후크 내면 사이에 기역자 형상의 부싱이 구비되고, 이동판의 하부 걸림후크 내측면에는 평판재의 부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
KR2020000014243U 2000-05-19 2000-05-19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 KR200200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243U KR200200217Y1 (ko) 2000-05-19 2000-05-19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243U KR200200217Y1 (ko) 2000-05-19 2000-05-19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7Y1 true KR200200217Y1 (ko) 2000-10-16

Family

ID=1965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243U KR200200217Y1 (ko) 2000-05-19 2000-05-19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213B1 (ko) * 2008-10-24 2016-05-10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가전 제품용 설비 및 윤활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213B1 (ko) * 2008-10-24 2016-05-10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가전 제품용 설비 및 윤활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37992A1 (en) Two component pin seal
US6783129B2 (en) Sealing device
US5468376A (en) Pressure sealed chain
KR200200217Y1 (ko) 무급유용 부싱이 구비된 지게차어태치먼트
EP0489486B1 (en) Bearing mounting arrangement for a lift mast
US5143198A (en) Turnable cylinder for a conveyor system
KR101618774B1 (ko) 마찰력 저감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공작기계
JP5090033B2 (ja) 高所作業車
KR101309731B1 (ko) 크레인 차륜용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
JP6948380B2 (ja) スライドベアリングアセンブリ
CN205117976U (zh) 铰接自润滑结构及具有其的泵车
US20050023112A1 (en) Track system for tow-line conveyors
CN107553712B (zh) 翻转支架
CN213445908U (zh) 导向机构及伸缩履带架式履带起重机
CN111747344A (zh) 一种防晃堆垛机
KR20040013649A (ko) 천정 크레인 차륜이 접하는 레일 측면의 도유 장치
CN215000885U (zh) 一种可加注润滑脂的调整滑块机构
KR101657780B1 (ko) 궤도차 차륜
Jocanović et al. Impact of exploitation conditions on the types of wear of the excavator slew bearing toothed race
CN219865904U (zh) 一种重载式直线导轨
CN210589122U (zh) 对位平台机构
CN210973754U (zh) 一种钢管夹
WO2023018541A1 (en) Wear pad, telescopic boom assembly and work machine
CN210849178U (zh) 一种数控摇臂铣床的鞍座
RU185570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очленения грузовых вагон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