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733A - 유기피복 강판용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유기피복 강판용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733A
KR20020021733A KR1020000054465A KR20000054465A KR20020021733A KR 20020021733 A KR20020021733 A KR 20020021733A KR 1020000054465 A KR1020000054465 A KR 1020000054465A KR 20000054465 A KR20000054465 A KR 20000054465A KR 20020021733 A KR20020021733 A KR 20020021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gear
suction
bubbles
shaft
resin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제
탁흥렬
정병원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54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1733A/ko
Publication of KR20020021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73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36Flash degas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05Degasification of liquids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써크레이션 탱크 내부에 거품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것을 흡입팬을 통하여 흡입하여 가는 철심으로 거품을 터트려 액화시킴으로써 거품을 제거하고 용액으로 재사용하도록 한 유기피복 강판용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피복 강관용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4개의 흡입관(16) 내부에 4개의 날개를 가진 흡입팬(17)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 축(31) 및 흡입관(16) 내부에 흡입된 거품(19)을 터트리는 철심(또는 가는 바늘)(30)이 설치되며, 상기 흡입관(16)을 부레(14)와 지지대(15)로서 연결 고정하고, 상기 부레(14)의 내부를 부레(14)와 연결된 흡입관(16)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사각형(14-1)으로 가공 설치하고, 피동축(18)을 사각으로 가공 설치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하며, 교반기의 구동축(12)에 피니언 기어(20-1)를 설치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20-1)에 탱크 상판부(10)의 베어링을 매개로 하는 피니언 기어(20-2)를 장착하고 그 하부에 피니언 기어(20-3)를 설치하며, 상기 탱크 상판부(10)의 고정된 축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는 피니언 기어(20-4)를 장착하여 상기 피동축(18)의 피니언 기어(20-5)를 회전하도록 하여 교반기의 구동축(12)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유기피복 강판용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bubble removal apparatus in desertion covering grater resin solvent}
본 발명은 유기피복 강판용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연-니켈 도금강판의 수지용액이 용액의 성분요인 및 수지용액 순환과정의 낙차 등에 의하여 형성된 거품과 기포로 인하여 써크레이션 탱크 내부에 거품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것을 흡입팬을 통하여 흡입하여 가는 철심으로 거품을 터트려 액화시킴으로써 거품을 제거하고 용액으로 재사용하도록 한 유기피복 강판용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아연-니켈(Zn-Ni) 도금강판의 수지용액(2)을 믹싱하여 저장하는 믹싱탱크(3)로부터 수지용액(2)을 공급받아 써크레이션 탱크(1)에서 펌프(4)를 이용하여 공급관(9)으로 드립팬(5)에 공급하고 다시 써크레이션 탱크(1)로 순환되게 리턴관(8)이 배관된다.
상기와 같은 수지용액(2)의 순환구조는 용액을 구성하는 용액성분과 믹싱탱크(3)에서 수지용액(2)을 써크레이션 탱크(1)로 공급하고, 드립팬(5)에서 써크레이션 탱크(1)로 리턴시 써크레이션 탱크(1) 내부의 교반기(11)등 수위차에 의한 낙차 및 교반기(11) 사용으로 인한 와류현상 등으로 인하여 거품(19)이 과다하게 발생되어 교반기(11)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른 써크레이션 탱크(1) 내부에 수지용액(2)의 정체현상으로 인하여 용액내의 고형분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고, 이러한 거품(19)이 써크레이션 탱크(1) 상부로 넘쳐 흘러 탱크 상부를 오염시키고, 이를 물로 세척하는 과정에서 고농도의 폐수를 증가시키고 또한 써크레이션 탱크(1) 상부에 설치된 믹싱탱크(3)의 용액공급관(10) 및 드립팬(5)에서의 리턴관(8)에 붙어 경화됨으로써 공급관(10) 및 리턴관(8)을 막는 작용을 하며, 용액중에 기포가 용액도포시 기포가 터져 스트립 결함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교반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하여 수지용액의 고형분 발생을 억제시켜 수지용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과다한 거품이 써크레이션 탱크 외부로 흘러 나오지 않도록 하여 써크레이션 탱크의 외부오염 및 고농도 폐수, 환경오염 감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
도 2는 본 발명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의 상세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써크레이션 탱크 2 : 수지용액 3 : 믹싱 탱크
4 : 펌프 5 : 드립팬 6 : 오토 밸브
7 : 구동모터 11 : 교반기 날개 12 : 구동축
14 : 부레 15 : 지지대 16 : 흡입관
17 : 흡입팬 18 : 피동축 19 : 거품
30 : 철심(바늘) 31 : 흡입팬 축 32 : 베어링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피복 강관용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4개의 흡입관(16) 내부에 4개의 날개를 가진 흡입팬(17)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 축(31) 및 흡입관(16) 내부에 흡입된 거품(19)을 터트리는 철심(또는 가는 바늘)(30)이 설치되며, 상기 흡입관(16)을 부레(14)와 지지대(15)로서 연결 고정하고, 상기 부레(14)의 내부를 부레(14)와 연결된 흡입관(16)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사각형(14-1)으로 가공 설치하고, 피동축(18)을 사각으로 가공 설치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하며, 교반기의 구동축(12)에 피니언 기어(20-1)를 설치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20-1)에 탱크 상판부(10)의 베어링을 매개로 하는 피니언 기어(20-2)를 장착하고 그 하부에 피니언 기어(20-3)를 설치하며, 상기 탱크 상판부(10)의 고정된 축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는 피니언 기어(20-4)를 장착하여 상기 피동축(18)의 피니언 기어(20-5)를 회전하도록 하여 교반기의 구동축(12)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의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써크레이션 탱크(1) 내부에 발생되는 거품(19)을 제거하기 위한 4개의 거품 흡입관(16)과, 상기 흡입관(16)과 부레(14)를 연결해주는 지지대(15)와, 상기 부레(14)와 연결된 흡입관(16)을 회전시키기 위한 교반기(11)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동축(18)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써크레이션 탱크(1)내에 상기 교반기(11)를 구비하고, 상기 교반기(11)의 구동축(12)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사각형의 피동축(18)에 부레(14)와 거품(19)을 흡입하는 흡입관(16)과,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팬(17)과, 흡입된 거품(19)을 터트리는 철심(30)으로 구성된다.
써크레이션 탱크(1) 내부의 거품제거장치는 4개의 흡입관(16)과, 상기 흡입관 (16) 내부에 4개의 날개를 가진 흡입팬(17)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 축(31) 및 흡입관(16) 내부에 흡입된 거품(19)을 터트리는 역할을 하는 철심(또는 가는 바늘)(30)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관(16)을 부레(14)와 지지대(15)로서 연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부레(14)의 내부에 부레(14)와 연결된 거품(19) 흡입관(16)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사각형(14-1)으로 가공 설치하고, 피동축(18) 또한 사각으로 가공 설치하여 회전이가능하다.
또한, 상기 피동축(18)을 거품(19) 흡입이 원활하도록 교반기(11) 구동축(12)과 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동축(12)에 큰 피니언 기어(20-1)를 설치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20-1)에 탱크 상판부(10)에 베어링부를 매개로 하는 피니언 기어(20-2)를 장착하고 그 하부에 피니언 기어(20-3)를 설치하고, 다시 베어링부를 매개로 하는 피니언 기어(20-4)를 장착하여 피동축(18)의 중간 피니언 기어(20-5)를 회전하도록 하여 교반기(11) 구동축(12)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거품제거장치를 구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교반기(11)의 구동축(12)에 피니언 기어(20-1)를 사용하여 써크레이션 탱크(1) 상판부(40)에 고정된 축(22)의 상,하부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는 피니언 기어(20-2)(20-3)를 설치하고, 다시 탱크 상판부(40)에 고정된 축에 피니언 기어(20-4)와 피동축(18)에 피니언 기어(20-5)를 설치함으로써 구동모터(7)에 의한 교반기(11) 가동시 교반기(11)와 역방향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동축(18)의 구동에 따라 회전함에 있어서 피동축(18)을 사각형으로 가동하고, 그 외부에 거품제거장치가 회전할 수 있도록 부레(14) 안쪽을 사각형으로 가공하여 회전하며, 이 회전하는 부레(14) 외곽에 거품(19)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관(16)이 있다.
상기 흡입관(16) 입구는 거품이 원활히 흡입할 수 있도록 넓게하고, 또한 원심력에 의한 회전이 가능한 흡입팬(17)이 가동되어 거품(19)이 흡입되어 흡입관(16) 내부에 설치된 첨심(16) 출구로 액화되어 써크레이션 탱크(1)로 돌아간다.
또한, 써크레이션 탱크(1) 레벨에 따라 거품제거장치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7)와 믹싱탱크(3) 하부에 설치된 오토밸브(6)와의 인터록 구성에 있어서, 써크레이션 탱크(1)의 레벨은 레벨 포인트에 의해 믹싱탱크(3)의 오토밸브(6)가 작동되므로 오토밸브(6) 오픈시 구동모터(7)가 스톱되어 거품제거장치가 상부로 올라가며, 오토밸브(6) 클로즈시 구동모터(7)가 재가동되어 거품제거작업을 하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용액 거품제거장치는 수지용액의 용액성분 및 공급과정, 순환과정의 수위 낙자 등으로 인해 형성된 거품을 신속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거품 발생시 공기와의 접촉 등으로 인하여 써크레이션 탱크 상부에 설치된 믹싱탱크로부터의 공급관 및 드립팬의 리턴관의 막힘현상을 방지하여 수지용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수지용액의 공급이 원활함에 따라 고형분 발생이 적어 수지코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4개의 흡입관(16) 내부에 4개의 날개를 가진 흡입팬(17)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 축(31) 및 흡입관(16) 내부에 흡입된 거품(19)을 터트리는 철심(또는 가는 바늘)(30)이 설치되며, 상기 흡입관(16)을 부레(14)와 지지대(15)로서 연결 고정하고, 상기 부레(14)의 내부를 부레(14)와 연결된 흡입관(16)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사각형(14-1)으로 가공 설치하고, 피동축(18)을 사각으로 가공 설치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하며, 교반기의 구동축(12)에 피니언 기어(20-1)를 설치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20-1)에 탱크 상판부(10)의 베어링을 매개로 하는 피니언 기어(20-2)를 장착하고 그 하부에 피니언 기어(20-3)를 설치하며, 상기 탱크 상판부(10)의 고정된 축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는 피니언 기어(20-4)를 장착하여 상기 피동축(18)의 피니언 기어(20-5)를 회전하도록 하여 교반기의 구동축(12)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피복 강관용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
KR1020000054465A 2000-09-16 2000-09-16 유기피복 강판용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 KR20020021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465A KR20020021733A (ko) 2000-09-16 2000-09-16 유기피복 강판용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465A KR20020021733A (ko) 2000-09-16 2000-09-16 유기피복 강판용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733A true KR20020021733A (ko) 2002-03-22

Family

ID=1968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465A KR20020021733A (ko) 2000-09-16 2000-09-16 유기피복 강판용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173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002B1 (ko) * 2001-10-12 2008-01-28 주식회사 포스코 알칼리액 저장탱크의 거품제거장치
KR100920587B1 (ko) * 2002-09-26 2009-10-0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피복용 유기용액의 거품 및 응고용액 제거장치
KR101309170B1 (ko) * 2013-05-20 2013-09-23 주식회사 에스아이테크 조 내의 거품 제거 장치
CN111617517A (zh) * 2020-06-16 2020-09-04 马鞍山采石矶涂料有限公司 一种油漆除泡装置
CN112482333A (zh) * 2020-11-16 2021-03-12 浙江省海洋科学院 一种海洋生物泡沫去除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002B1 (ko) * 2001-10-12 2008-01-28 주식회사 포스코 알칼리액 저장탱크의 거품제거장치
KR100920587B1 (ko) * 2002-09-26 2009-10-0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피복용 유기용액의 거품 및 응고용액 제거장치
KR101309170B1 (ko) * 2013-05-20 2013-09-23 주식회사 에스아이테크 조 내의 거품 제거 장치
CN111617517A (zh) * 2020-06-16 2020-09-04 马鞍山采石矶涂料有限公司 一种油漆除泡装置
CN112482333A (zh) * 2020-11-16 2021-03-12 浙江省海洋科学院 一种海洋生物泡沫去除系统
CN112482333B (zh) * 2020-11-16 2022-02-11 浙江省海洋科学院 一种海洋生物泡沫去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3972A (en) Floating mixer apparatus with foam dispersing spray
KR101440535B1 (ko) 자흡식 미세기포 발생장치
JP6082348B2 (ja) 自吸式遠心ポンプ装置
KR20140134905A (ko) 공기 분사 추진력을 이용한 폭기조용 산소 공급장치
JP3649080B2 (ja) 水中曝気撹拌装置
KR20020021733A (ko) 유기피복 강판용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
CN201199753Y (zh) 消泡装置
JPS5852686B2 (ja) タテガタコンゴウリユウ ハネグルマ
JP4754586B2 (ja) 曝気攪拌機
WO2004098755A1 (en) Rotating member for mixing and introducing gas into a large body of liquid
JP2010167328A (ja) 曝気攪拌機
JP2013017924A (ja) 汚泥消化装置
KR20010111996A (ko) 수처리용 혼합 및 순환장치
KR102030971B1 (ko) 부유물 및 거품제거기능을 갖는 교반장치
JP2004188260A (ja) 水中曝気装置
JP2004188259A (ja) 水中曝気装置
CN209442720U (zh) 一种基于mbr污水处理池的曝气装置
JPS6136476B2 (ko)
KR100798002B1 (ko) 알칼리액 저장탱크의 거품제거장치
CN214936345U (zh) 一种曝气装置
JPH09314176A (ja) 曝気噴水装置
JP2006189016A (ja) 揚水ポンプ
JP2013257082A (ja) 浴水循環装置の内部洗浄装置
KR100812146B1 (ko) 유기피복 수지용액 탱크의 거품 제거장치
CN220328967U (zh) 一种具有高效率的浮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