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711A -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711A
KR20020021711A KR1020000054426A KR20000054426A KR20020021711A KR 20020021711 A KR20020021711 A KR 20020021711A KR 1020000054426 A KR1020000054426 A KR 1020000054426A KR 20000054426 A KR20000054426 A KR 20000054426A KR 20020021711 A KR20020021711 A KR 20020021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call
base station
termina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54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1711A/ko
Publication of KR20020021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711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전화 수신자가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허락하거나 혹은 금지하는 통화요청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수신자 거부를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기지국은 어떤 가입자가 상기 비밀번호를 설정한 가입자와 통화를 희망할 때, 상기 비밀번호를 설정한 가입자로부터 비밀번호 설정에 따른 통화제한 기능이 설정되었다는 메시지와 비밀번호를 받는다. 기지국은 통화를 희망하는 가입자에게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한다. 이때 통화를 희망하는 가입자의 비밀번호 입력을 발신측에 소정의 설정된 횟수만큼 허용하고, 그 허용 횟수 이내에 옳바른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못하면 발신자의 통화요청을 거부(차단)한다. 기지국은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수신측 단말기에 벨을 울려주고 발신측과 수신측 사이의 통화선로를 이루어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측에서 발신측을 제어하여, 장난전화나 잘못 걸려온 전화 등을 차단하여 호출(벨이 울리거나 진동 발생 등의 착신 알림) 그 자체를 거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 제어방법{CALLER ACCESS DENIED 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신측에서 발신측의 통화요청을 거부하거나 허용하는 제어를 기지국을 통해서 수행하며, 발신측에서 통화요청을 하였을 때 수신측에서 통화를 허용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된 비밀번호를 입력한 경우에만 기지국에서 수신측에 벨을 울려주고 발신측과 수신측 사이의 통화선로를 이루어줌으로써, 수신측에서 발신측의 통화요청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이동통신 시스템 특히, 이동 전화 시스템에서 기지국(101)과 단말기(102)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전화 단말기(102)에는 기지국과의 RF통신을 위한 송수신부(103), 신호 송수신 및 단말기 제어를 위한 제어부(104), 단말기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05),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 조작을 위한 키입력부(106), 그리고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107)를 포함하고 있다.
전화 통화를 위해서는 단말기(102)의 키입력부(106)를 이용해서 통화를 희망하는 상대방 가입자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제어부(104)가 송수신부(103)를 제어하여 기지국(101)으로 해당 정보를 보낸다.
기지국(101)은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통화를 희망하는 무선 또는 유선 가입자 단말기(108)를 호출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지게 한다.
즉, 발신자가 전화번호를 누르고 통화버튼을 누르면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액세스 채널 발신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보내고, 기지국은 페이지 메시지(page message)를 수신측에 보낸다. 수신측은 페이지 응답 메시지(page response message)를 기지국에 보내고, 기지국은 이 메시지를 받아 양방향으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연결하고 경보 메시지(Alert with information message)를 통해서 링(ring)을 울린다.
이와같이 종래에는 통화를 희망하는 가입자의 요구에 대하여 상대방 가입자가 일방적으로 호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방적인 피호출은 장난전화나 잘못 걸려온 전화 까지도 일일이 받아야 하므로 불편하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발신자 정보(Caller ID)를 제공하고 또 이 것을 수신하는 기능을 이용해서, 상대방의 번호를 확인한 후 전화를 받지 않도록 하는 기능의 단말기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 기능의 단말기에서도 일방적으로 울리는 전화벨 소리(또는 진동) 자체를 거부할 수는 없었다.
즉, 일단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이 이루어지면 단말기의 전원을 꺼놓지 않는 이상, 전화벨이 울리거나 착신을 알리는 진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수신측에서 발신측의 통화 요청에 대하여 통화요청(가입자 단말기의 착신음(진동) 출력) 자체를 거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통화 제어를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기지국에서 이 가입자와의 통화를 희망하는 다른 가입자의 통화요청에 대하여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가입자를 호출(가입자 단말기의 착신음(진동)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수신측에서 발신측의 통화 요청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도1은 이동 전화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 전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단말기와 기지국 및 발신 단말기의 동작과 제어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3은 본 발명에서 기지국의 제어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4는 본 발명에서 수신 단말기의 제어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5는 본 발명에서 발신 단말기의 제어수순을 나타내 플로우차트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 제어방법은, (a). 수신측 단말기에서 통화 제한 기능 및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b). 발신측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요청시, 기지국에서 해당 수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 제한 기능 설정 정보 및 비밀번호를 전송받는 단계, (c). 발신측 단말기에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비밀번호를 상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비교하는 단계, (d). 기지국에서 상기 비교 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수신측 가입자를 호출하여 통화로를 이루어주고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송신측 및 수신측 모두 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 제어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 제어방법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에 대하여 소정의 설정된 허용횟수 이내의 재입력을 받아 비밀번호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 제어방법에서, 상기 발신측에 비밀번호 송출을 요구하는 메시지, 비밀번호가 일치 또는 불일치 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 발신측에서 입력한 비밀번호를 담은 메시지, 대기 상태로 돌아가라는 메시지가 정보 메시지 플래쉬(flash with information message)의 레코드 타입(record type)에 따라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 전화 가입자가 통화를 허용할 특별한 다른 사용자에게 미리 비밀번호를 알려준 것을 전제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단말기와 기지국 및 발신 단말기의 동작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수신측의 가입자 단말기는 본 발명을 위하여 통화 제한 기능과 비밀번호 설정이 이루어진다.
통화 제한 기능과 비밀번호 설정은 도1에서 키입력부(106)로 이루어지며, 제어부(104)에서 약속된 메뉴에 따른 키입력을 인식함으로써 구현된다.
통화 제한 기능의 설정과 비밀번호는 메모리(107)에 저장된다. 메모리(107)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발신측의 가입자 단말기는 통화를 희망하는 상대방 가입자(수신측)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발신 단말기에서는 기지국으로 액세스 채널 발신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송신한다. 기지국은 이 메시지로부터 발신 단말기가 통화를 희망하는 상대방 수신 단말기를 호출한다. 수신 단말기의 호출은 페이지 메시지(page message 또는 slotted page message)를 사용해서 이루어진다.
기지국으로부터 호출을 받은 단말기의 제어부는 메모리를 참조하여, 현재 단말기가 통화 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
통화 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수신 단말기는 통화 제한 기능 설정 정보와 함께 비밀번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도록 한다.
이 메시지는 정보 메시지 플래쉬(Flash with information message)를 이용해서 전달되며, 레코드 타입(record type)에 따른다.
통화 제한 기능 설정 정보와 비밀번호 메시지를 받은 기지국에서는 수신 단말기가 통화 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발신 단말기에게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한다.
비밀 번호의 입력 요구는 정보 메시지 플래쉬(Flash with information message)를 이용해서 전달되며, 레코드 타입(record type)에 따른다.
또한, 발신 단말기에게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할 때 기지국에서는 미리 준비되어 있는 음성 멘트를 이용한다.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받은 발신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비밀번호는 정보 메시지 플래쉬(Flash with information message)를 이용해서 기지국으로 전달되며, 레코드 타입(record type)에 따른다.
발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전달된 비밀번호에 대하여 기지국에서는 입력된 비밀번호와 수신 단말기의 상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가를 비교한다.
상기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수신 단말기에 설정된 비밀번호와 발신 단말기에서 입력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소정의 설정된 허용 횟수, 예를 들어 3회에 걸쳐서 비밀번호의 재입력을 요구한다.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기지국에서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양쪽에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로서 대기 상태로 돌아갈 것을 정보 메시지 플래쉬의 레코드 타입을 통해서 보낸다.
이 것에 의해서 발신 단말기가 수신 단말기측으로 통화하지 못하도록 차단되며, 수신 단말기는 호출음(벨이나 진동 등) 조차도 일어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수신 단말기에 설정된 비밀번호와 발신 단말기에서 입력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기지국은 수신 단말기에 정보 메시지 플래쉬의 레코드 타입을 통해서 비밀번호가 일치함을 알린다.
비밀번호 일치 메시지를 받은 수신 단말기는 페이지 응답 메시지(page response message)를 보내고, 기지국은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의 통화로를 구축하여 발신자와 수신자가 통화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3은 본 발명에서 기지국의 제어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이다.
기지국은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액세스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면 비밀번호 입력 안내를 위한 허용 횟수 카운터를 '0'으로 클리어시키고, 수신 단말기를 호출하여 수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제한 기능설정 및 비밀번호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비밀번호 입력을 발신 단말기에 음성 멘트로 요구한다.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비밀번호를 상기 수신 단말기의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카운터값을 '1' 증가시키고 카운터값을 허용횟수 '3'과 비교한다.
허용횟수(3회) 이내인 경우에는 발신 단말기에 비밀번호 재입력을 요구하고, 허용횟수 이내에도 발신 단말기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발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에게 대기 상태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전송한다.
그러나, 기지국에서 수신한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입력 비밀번호가 허용된 횟수 이내에서 수신 단말기의 설정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수신 단말기에게 비밀번호가일치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보내서 수신 단말기의 페이지 응답 메시지를 받고, 기지국은 이 메시지를 받아 양방향으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연결하고 경보 메시지(Alert with information message)를 통해서 링(ring)을 울려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에서 수신 단말기의 제어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이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단말기로 단말기 호출 메시지가 전달되면 현재 단말기가 통화 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 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페이지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보내주고, 기지국은 이 메시지를 받아 양방향으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연결하고 경보 메시지(Alert with information message)를 통해서 링(ring)을 울려서 발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통화 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면 수신 단말기는 통화 제한 기능 설정 메시지 및 비밀번호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해 준다.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비밀번호 일치를 알리는 메시지가 전달되어 오는가를 판단한다.
기지국으로부터 비밀번호 일치를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때에 비로소 수신 단말기는 페이지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에 보내고, 기지국은 이 메시지를 받아 양방향으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연결하고 경보 메시지(Alert with information message)를 통해서 링(ring)을 울려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기지국으로부터 비밀번호 불일치를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 단말기는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도5는 본 발명에서 발신 단말기의 제어수순을 나타내 플로우차트 이다.
발신 단말기는 통화를 희망하는 상대방 가입자(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전송한다.
상대방 수신 단말기가 통화 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면 기지국으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음성 멘트를 수신(청취)하게 된다.
이 음성 멘트에 대한 응답으로 발신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전송한다. 기지국에서의 비밀번호 판단 결과 발신 단말기가 입력한 비밀번호와 수신 단말기의 설정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일치하지 않으면 통화가 차단된다.
따라서, 통화를 희망하는 상대방 가입자의 비밀번호를 사전에 알고있는 경우, 즉 통화가 허용된 사용자만 해당 가입자와의 통화가 가능하게 되며, 비밀번호를 알지 못하는 한 상대방 가입자의 호출 그 자체 마저도 차단되므로, 장난전화나 잘못 걸려온 전화가 있더라도 벨이 울리거나 진동이 발생하는 등의 불필요한 단말기 수신 알림 동작이 배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난전화 또는 잘못 걸린 전화, 또는 통화를 희망하지 않는 사용자로부터의 발신을 금지시킬 수 있고, 또한 통화를 희망하지 않는 사용자로부터의 전화에 대해서는 전화벨을 울리기 위한 경보 메시지(Alert with information message)를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없으며 벨소리 자체도 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족이나 친지, 친구 같은 중요한 사람들에게는 미리 비밀번호를 알려줌으로써 이들과는 전화 통화가 가능하지만, 전화기를 꺼 놓지 않고도 통화를 원하지 않는 사람으로부터의 호출 그 자체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수신측 기지국은 트래픽 채널을 셋업 하지 않고도 발신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트래픽 채널을 점유하는 가입자를 감소시키지 않아도 된다.

Claims (2)

  1. (a). 수신측 단말기에서 통화 제한 기능 및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b). 발신측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요청시, 기지국에서 해당 수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 제한 기능 설정 정보 및 비밀번호를 전송받는 단계, (c). 발신측 단말기에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비밀번호를 상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비교하는 단계, (d). 기지국에서 상기 비교 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수신측 가입자를 호출하여 통화로를 이루어주고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송신측 및 수신측 모두 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에 대하여 소정의 설정된 허용횟수 이내의 재입력을 받아 비밀번호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 제어방법.
KR1020000054426A 2000-09-16 2000-09-16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제어방법 KR20020021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426A KR20020021711A (ko) 2000-09-16 2000-09-16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426A KR20020021711A (ko) 2000-09-16 2000-09-16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711A true KR20020021711A (ko) 2002-03-22

Family

ID=1968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426A KR20020021711A (ko) 2000-09-16 2000-09-16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17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694B1 (ko) * 2005-06-29 2007-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 번호에 상관없이 스팸 호를 차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958521B1 (ko) * 2003-05-23 2010-05-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 imt-2000망에서의 비밀번호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521B1 (ko) * 2003-05-23 2010-05-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 imt-2000망에서의 비밀번호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100723694B1 (ko) * 2005-06-29 2007-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 번호에 상관없이 스팸 호를 차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2421B1 (en) A method of remotely chang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s device
US6377795B1 (en) Cellular phone with special standby feature
US62088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hibition of calls while roaming
KR100859360B1 (ko)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
KR0164372B1 (ko)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KR100438454B1 (ko)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착신전환에 의한 호 연결 방법
KR20020021711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자에 의한 발신자의 통화 요청제어방법
KR2001004863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착신 호 대기 방법
KR100698292B1 (ko) 휴대폰 통화제어 방법 및 장치
KR950009426B1 (ko) 발신자 전화번호 표시방법
KR1004002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응답신호를 이용한 통화 연결정보표시장치 및 그 방법
JP3275267B2 (ja) 着信応答可変端末
JPH02159859A (ja) 自動車電話移動機の着信表示制御装置
JP2005197915A (ja) 通話機器および通話機器の呼出方法
KR2003009573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화상 통화 방법
JPS5919653B2 (ja) 移動体搭載用電話機の信号方式
JP2001127913A (ja) 移動通信端末
KR960003972B1 (ko) 종합정보 통신망에 있어서 전화기의 발신번호 송출 제어 방법
KR20010026170A (ko) 사설교환기에서 상대방 정보 표시방법
KR20030002965A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KR100193858B1 (ko) 키폰시스템에서 단계적 호출 전환 방법
KR20030028202A (ko) 휴대정보 단말기의 착신 제어방법
JPH10164185A (ja) 端末機器での発呼者番号情報を利用した着信自動転送方法
JPH01288027A (ja) 通信装置
KR20030049828A (ko) 휴대폰의 특정수신번호에 대한 차등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