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952A - 데이터 기록매체, 콘텐츠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기록방법과 장치, 빛 데이터 재생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기록매체, 콘텐츠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기록방법과 장치, 빛 데이터 재생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952A
KR20020020952A KR1020027001430A KR20027001430A KR20020020952A KR 20020020952 A KR20020020952 A KR 20020020952A KR 1020027001430 A KR1020027001430 A KR 1020027001430A KR 20027001430 A KR20027001430 A KR 20027001430A KR 20020020952 A KR20020020952 A KR 20020020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input
recording medium
cont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0847B1 (ko
Inventor
이노구찌타츠야
가와시마테츠지
사코요이치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20020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88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watermark, i.e. a barely perceptibl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data which can nevertheless be recognised by an algorithm
    • G11B20/0091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watermark, i.e. a barely perceptibl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data which can nevertheless be recognised by an algorithm based on a spread spectrum techniqu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19/12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involving the detection of an identification or authentication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G11B20/007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 G11B20/0076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wherein copy control information is used, e.g. for indicating whether a content may be copied freely, no more, once, or never, by setting CGMS, SCMS, or CCI fla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88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watermark, i.e. a barely perceptibl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data which can nevertheless be recognised by an algorith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6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bit detection or demodulation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59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ith ROM/RAM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1Discs having both read-only and rewritable or recordable areas containing application data; Partial ROM 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 길이를 가지는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삽입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상기 관리정보는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정보부와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등을 포함하며, 상기 재입력이 가능한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이 불가능한 정보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상기 정보부의 각각에 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기록매체, 콘텐츠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방법과 장치, 빛 데이터 재생방법과 장치 {Data recording medium, contents data,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ata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음성 콘텐츠 또는 영상 콘텐츠의 데이터가 기록매체상에 기록될 때에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복사관리정보가 콘텐츠 데이터로 다중화되어 부가정보로 삽입되도록하는 워터마크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부가정보를 신호의 저차비트내에 삽입하는 방법은 이러한 워터마크로서 알려져 있었다.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음성 데이터에서는, SCMS(Serial Copy Management System)의 복사관리정보가 콘텐츠내에 워터마크로 삽입되어 있는 복사관리정보로서 이용된다. SCMS의 복사관리정보에 따르면, "복사 자유"와 "복사 금지" 뿐만 아니라 세대에 걸친 복사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콘텐츠 데이터의 저차비트내에 삽입되며 SCMS의 복사관리정보는 워터마크의 데이터내에 기록되는 방법이 고려된다.
SCMS에서는, 복사의 세대에 대한 복사관리가 이루어질 때에, 복사관리정보를 재입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SCMS는 2비트의 정보로 표시된다. SCMS가 "00"이라면, 기록매체는 최초의 매체이며 "1세대의 복사가 가능"이 설정된다. "01"과 동일하다면, 기록매체는 복사된 매체이며 추가 복사가 금지된다. "11"과 동일하다면, "복사 자유"가 설정된다. SCMS가 "00"이라면, 복사를 실행하는 경우에, SCMS가 "00"으로부터 "01"로 재입력되어 "1세대의 복사가 가능"이 설정된다.
워터마크의 이러한 재입력과정은 워터마크의 검출보다 더 큰 부담이 된다.
특히, 워터마크에 의한 복사관리는 펌웨어(firmware)에 의해 수행되어 전용집적 칩(integrated chip)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ROM 또는 EEPROM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그 복사관리가 실현되도록 해야된다는 요구가 있다. 그러나, 펌웨어의 처리능력은 매우 작으며, 만약 워터마크의 재입력처리가 펌웨어에 의해 실행된다며느, 이러한 처리는 큰 부담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콘텐츠내에 삽입된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워터마크의 재입력에 수반되는 관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충분한 처리가 펌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필요한 데이터는 고속으로 억세스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매체, 콘텐츠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방법과 장치, 및 데이터 재생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텐츠의 데이터 보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워터마크의 데이터를 설명허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a, 2b, 2c는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오프세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워터마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워터마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장치의 보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워터마크 인코더의 보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워터마크의 디코더의 보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재생장치의 보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워터마크의 재생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SCMS에 의한 관리의 보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복수의 정보단위에 분배되어 있고 콘텐츠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주사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복조처리부와,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검출회로부와,
상기 검출회로의 검출결과가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정보단위에 분배되어 기록된 상기 관리정보를 판별하며, 상기 판별된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최소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관리정보가 재입력되는지 안되는지를 제어하는 판별회로부로 구성되는 기록매체의 재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 길이를 가지는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고 콘텐츠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주사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복조처리부와,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검출회로부와,
상기 검출회로의 검출결과가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고 한 개의 패킷과 동일한 양의 상기 관리정보가 수집된 상태에서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판별된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최소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관리정보가 재입력되는지 안되는지를 제어하는 판별회로부로 구성되는 재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 길이를 가지는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부가정보가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는 상태에서 삽입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주사하는 헤드부로서, 상기 관리정보는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정보부와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입력이 가능한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상기 정보부들의 각각에 제공되어 있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복조처리부와,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검출회로부와,
상기 검출회로의 검출결과가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고 한 개의 패킷과 동일한 양의 상기 관리정보가 수집된 상태에서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판별된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최소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관리정보가 재입력되는지 안되는지를 제어하는 판별회로부로 구성되는 기록매체의 재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 길이를 각각 가지는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에 대해서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복조처리단계로서, 상기 관리정보는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정보부와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입력이 가능한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상기 정보부들의 각각에 제공되어 있는 상기 복조처리단계와,
상기 복조처리가 된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건출단계와,
상기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으며 한 개의 패킷 만큼의 상기 관리정보가 수집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록되어 있는 상기 관리정보를 판별하는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된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조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출력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관리정보가 재입력되는지 안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구비하는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 길이를 가지는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고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되어 있는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복조처리를 수행하는 복조처리단계와,
상기 복조처리가 된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으며 한 개의 패킷 만큼의 상기 관리정보가 수집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록되어 있는 상기 관리정보를 판별하는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된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최소한 상기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복조처리된 출력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관리정보가 재입력되는지 안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구비하는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복수의 정보단위에 분배되고 콘테츠 데이터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에 대해서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복조처리단계와,
상기 복조처리된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단위에 분배되고 기록되어 있는 상기 관리정보를 판별하는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된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최소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조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출력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관리정보가 재입력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구비하는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복수의 정보단위에 분배되고 콘테츠 데이터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에 대해서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복조처리단계와,
상기 복조처리된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단위에 분배되고 기록되어 있는 상기 관리정보를 판별하는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된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최소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조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출력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관리정보가 재입력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구비하는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가정보가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는 상태에서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 길이를 각각 가지는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삽입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져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개의 정보단위에 대응하는 데이터 길이를 가지는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복수의 정보단위에 분배되어 있고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부가정보를 생성시키는 생성회로부와,
상기 생성회로부의 상기 부가정보를 입력된 콘텐츠 데이터에 가산하여 복수의 정보단위로 분배되도록하는 가산회로부와,
상기 가산회로부의 출력에 대해서 기록을 하기위해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기록매체내에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을 기록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부가정보를 생성시키는 생성단계와,
상기 생성된 부가정보를 상기 입력된 콘텐츠 데이터에 가산하여 복수의 정보단위로 분배되도록하는 가산단계와,
상기 부가정보가 가산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기록을 위해서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단계와,
상기 신호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내에 기록하는 기록단계를 구비하는 기록매체의 기록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을 때에,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되어 있다.
도 1은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되어 있는 워터마크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콘텐츠 데이터(좌측(L)과 우측(R)채널의 음성 데이터)는 샘플당 2바이트(16비트)씩 처리된다. 워터마크의 데이터(도 1에서 사선으로 표시됨)는 콘텐츠 데이터의 최하위 비트내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뫄측 채널의 한 개의 샘플과 우측채널의 한 개의 샘플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2비트의 비율로 삽입되어 있다. (2바이트 + 2바이트 = 4 바이트)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48 비트들은 한 개의 정보단위(information unit)(패킷)로 설정함으로써 처리된다.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2비트의 비율로 좌우측 채멀들의 한 개의 샘플의 4바이트에 삽입되므로, 1패킷(48 비트)의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좌우측 채널의 24개 샘플들의 콘텐츠 데이터에 삽입된다. (24 샘플 * 4바이트 = 96 바이트)
나중에 설명이 되지만, 48비트들로 구성된 한 개의 패킷으로서는, 페이로드가 기술되어 있는 패킷과 페이로드(payload)의 한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이 존재한다. 페이로드가 기술되어 있는 패킷과 페이로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이 식별될 수 있는 식별자 ID가 제공된다.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의 식별자 ID는 (ID = 0)으로 설정된다. 페이로드의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의 식별자 ID는 (ID = 1)로 설정된다. 보기에서는, 패킷번호 PCK (PCK =0)는 페이로드가 기술되어 있는 패킷을 나타낸다. (ID의 패킷 = 0) 패킷번호 PCK (PCK = 1 - 2449는 페이로드의 패킷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패킷들을 지시한다. (ID의 패킷 = 1)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 (ID의 패킷 = 0)은 2450 패킷들마다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패킷들 사이의 모든 패킷들은 페이로드의 패킷(ID의 패킷 = 1)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패킷들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같이, 워터마크로 삽입된 1패킷(48 비트들)의 데이터는 16비트의 동기, 4비트의 식별자 ID, 12 비트의 데이터와 16비트의 CRC코드로 구성된다.
패킷의 헤드의 동기(sync)는 패킷의 헤드를 검출하고 동기를 얻기위해서 이용된다. 이러한 동기는 예를 들어, 5555h(h는 16진수 표시)와 같은 고정패턴이다.
동기의 뒤에는, 패킷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ID가 제공된다. 패킷의 종류로서는,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도 2b)과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도 2c)이 있다.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의 경우에는, 식별자 ID가 (ID = 0)으로 설정된다.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의 경우에는, 식별자 ID가 (ID= 1)로 설정된다.
이러한 식별자 ID를 제공하는 대신에,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도 2b)과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도 2c)이 동기 패턴에 의해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한 개의 패킷의 동기패턴을 5555h로 설정하고 다른 패킷의 동기패턴을 9999h로 성정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킷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자 ID의 뒤에 데이터가 제공된다.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의 데이터와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의 데이터의 구조가 다르다.
도 2b는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ID의 패킷 = 0) 도 2b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러한 패킷에 따르면, 페이로드는 12비트의 데이터로 기술된다.
12비트의 페이로드내에 있는 최초의 8비트들은 미정의되어 있다(reserved).
다음의 2비트들은 최초의 기록매체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OMD(Original Media Descriminator)로 이용된다. OMD에 따르면, 예를 들면, "00"은 최초의 기록매체가 독출전용매체(CD 또는 CD-ROM)라는 것을 나타내며, "01"은 최초의 매체가 일회 입력형 기록매체(write once type recording medium : CD-R)라는 것을 나타내며, "10"은 최초의 매체가 기록가능/재생가능한 기록매체(CD-RW)라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11"은 최초의 매체가 임의의 디스크라는 것을 나타낸다.
OMD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최초의 기록매체가 실제의 기록매체라면, 최초의 매체가 이용되므로,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만약 최초의 기록매체와 실제의 기록매체가 다르다면, 실제의 기록매체는 복사된 기록매체이므로, 요금이 부과되며 매체는 재생이 된다. 그리고 OMD는 과금(charge)과 재생의 관리를 위해이용될 수 있다.
다음의 2비트들은 저작권의 관리를 위해 SCMS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만약 SCMS데이터가 "00"이라면, 디스크는 최초의 디스크가 되며 "1세대 복사 가능"이 설정된다. 만약 "01"이 설정되며, 디스크는 복사된 디스크가 되며 "복사금지"가 설정된다. 만약 "11"이 설정되면, "복사 자유"가 설정된다.
SCMS에 따르면, 복사의 발생관리는 상술한 SCMS데이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ID= 0)의 패킷은 재입력의 필요성이 있는 패킷으로 간주될 수 있다.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ID = 1의 패킷) 내의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에서는, 페이로드의 패킷(ID = 0의 패킷)에 대한 거리를 나타내는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가 데이터로서 기술된다.
이 보기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ID = 0의 패킷)이 2450 패킷마다에 배열되어 있다. (PCK = 0)과 동일한 패킷번호(PCK)의 패킷은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ID =0)의 패킷이다. (PCK = 1 - 2449)와 동일한 패킷번호(PCK)의 패킷들은 페이로드의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ID = 1의 패킷)의 패킷들이다. 그러므로,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는,
Offset_Info = 2450 - PCK로 기술된다.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ID = 0)은 재입력이 필요한 경우의 패킷으로 간주될 수 있다. 페이로드의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ID = 1)은 재입력이 불필요할 때의 패킷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2a에서는, 에러검출을 위한 CRC코드가 한 개의 패킷의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다. 에러검출용 CRC코드로서는,
G(x) = X16 + X15 + X2 + 1이 생성 다항식으로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48비트를 한 개의 패킷으로 설정함으로써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되었다. 한 개의 패킷의 48비트들은 콘텐츠 데이터의 24 샘플(96 바이트)에 대응한다. 페이로드를 기술하기 위한 패킷(ID = 0의 패킷)은 2450 패킷마다 배열되어 있으며 다른 패킷들(ID = 1의 패킷)은 페이로드를 기술하기 위한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들이다.
워터마크의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경우에, 콘텐츠 데이터의 최하위 비트내에 삽입된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추출된다. 즉, 48비트로 구성된 한 개의 패킷의 데이터가 독출된다.
식별자 ID는 독출된 워터마크의 데이터로부터 검출되며 패킷의 종류는 판별된다.
만약 검출된 식별자 ID가 (ID = 0)이라면, 이러한 패킷은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도 2b)이 되므로, 처리는 패킷의 기술에 근거하여 실행된다.
만약 검출된 식별자 ID가 (ID = 1)이라면, 이러한 패킷은 페이로드의 패킷이 존재하는 위치를 기술하는 패킷(도 2c)이 되므로,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가 독출된다.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러한 패킷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패킷이 독출된다.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러한 패킷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이 패킷은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도 2b)이 되므로, 패킷의 기술에 근거하여 처리가 실행된다.
죽,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킷 번호(PCK = 0)의 패킷은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이다. 그 패킷이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이 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 ID(ID = 0)는 패킷번호(PCK =0)의 패킷에 가산되었다. 페이로드로서는, 최초의 기록매체의 종류를 식별하는 OMD와 저작권 관리를 위한 SCMS가 이러한 패킷내에 기록되어져 있다.
이어지는 패킷들은 페이로드의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들이다. 패킷 번호(PCK = 1 - 2449)는 순차적으로 상기 패킷들에 부가되어진다. 식별자 ID(ID = 1)는 상기 패킷들에 부가되어지며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는 상기 패킷들에 재입력되어진다. 페이러드의 패킷(ID = 0의 패킷)의 위치는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에 의해 발견될 수 있다.
즉, 다음의 페이로드의 패킷까지의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로서는, (2450 - 1 = 2449)가 패킷번호(PCK=1)의 패킷내에 입력되어 있다. 다음의 페이로드의 패킷까지의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로서는, (2450 - 2 = 2448)가 패킷번호(PCK=2)의 패킷내에 입력되어 있다. 다음의 페이로드의 패킷까지의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로서는, (2450 - 3 = 2447)가 패킷번호(PCK=3)의 패킷내에 입력되어 있다.
그러므로, 페이로드의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의 경우에서는, 페이로드의 데이터를 기술하는 패킷(ID = 0의 패킷)이 단지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의 정보가 이러한 패킷의 패킷번호(PCK)에 부가되어 있는 위치에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 보기에서는,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48비트를 한 개의 패킷으로 설정함으로써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되어진다. 그리고 48 비트로된 한 개의 패킷은 콘텐츠 데이터의 24 샘플(96 바이트)에 대응한다.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은 2450 패킷마다 배열되어 있다. 다른 패킷들은 페이로드의 패킷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패킷들이다(ID=1의 패킷). 재입력이 필요한 패킷은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이다. 페이로드의 패킷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패킷들(ID=1의 패킷)의 경우에서는, 재입력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그러므로, 재입력을 필요로하는 패킷들은 2450 패킷마다 1패킷의 비율로 발생한다.
2450 패킷들은
24 샘플 * 2450 패킷 = 58800 샘플과 대응한다.
한 개의 샘플은 4 바이트로 구성되므로,
58800 * 4바이트 = 235200 바이트가 된다.
CD에서는, 98 프레임들이 한 개의 섹터(보조코드 블록)로 처리된다. CD의 한 개의 섹터의 용량은 2352 바이트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페이로드의 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한 패킷(ID=0의 패킷)에 대해서는, 한 개의 패킷이 콘텐츠 데이터의 100 섹터마다 존재하게 된다.
그러므로, 재입력을 필요로하는 패킷들이 2450 패킷마다 1패킷의 비율로 발생한다는 사실은 한 개의 패킷(48 비트들)의 처리가 100섹터마다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처리는 약 2섹터마다 1비트의 처리를 가능하게 하며 펌웨어에 의해 이러한 처리속도를 완전히 처리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은 펌웨어에 의해 처리가 완전히 실행될 수 있는 각 구간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술한 패킷들 사이에 배열된 패킷들은 페이로드의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ID=1의 패킷)이 된다. 그러므로, 페이로드의 재입력 과정은 펌웨어에 의해 완전히 수행될 수 있다.
페이로드를 각각 기술하는 패킷들 사이에 배열된 패킷들(ID=0의 패킷)은 페이로드의 패킷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페킷(ID=1의 패킷)이 되므로, 목표는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에 곧 도달하며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페이로드를 각각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은 2450 패킷마다 배열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간은 이러한 보기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 사이의 구간은 워터마크의 재입력 처리를 완전히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도 1의 보기에서는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콘텐츠 데이터의 각 샘플내에 삽입되어 있지만, 모든 콘텐츠 데이터의 각 샘플내에 워터마크의 데이터를 삽입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한 개의 패킷에대응하는 24 샘플의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된 후에,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몇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각 샘플내에 삽입되지 않게 된다. 도 3의 보기에서는,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24 샘플의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된 후에,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9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각 샘플내에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에서는, 워터마크가 삽입되어 있는 패킷의 각각의 사이의 구간은 콘텐츠 데이터의 경우에 (24 * 10 = 240)샘플에 대응한다. 한 개의 샘플은 4 바이트로 구성되므로, 이러한 구간은
24 샘플 * 10 패킷 * 4바이트 = 960 바이트에 대응한다.
상술한 보기와 비슷한 방법에 의해,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이 100 섹터들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구간에 제공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은 245 패킷마다 배열된다. 패킷번호(PCK)는 (PCK = 0 - 244)와 동일하다.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24 샘플의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된 후에,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몇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각 샘플내에 삽입되지 않게 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워터마크가 삽입되지 않는 콘텐츠 데이터의 샘플들의 수는 증가하게 되어, 음질이 개선되게 된다. 즉, 워터마크가 저차비트를 이용함으로써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되므로, 특히, 고정패턴이 워터마크의 데이터내에 포함되므로, 이러한 고정패턴은 잡음으로 나타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워터마크가 삽입되지 않는 콘텐츠 데이터의 샘플들의 수가 증가하게될 때에, 이러한 잡음의 발생은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워터마크가 삽입되지 않는 콘텐츠 데이터의 샘플들의 수가 증가하게 될 때에,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패킷(ID = 1의 패킷)의 수는 감소한다. 그러므로, 목표가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ID= 0의 패킷)에 도달할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은 길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이 이용되더라도, 최악의 경우에는,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패킷들(ID = 1의 패킷) 사이의 구간(100 섹터들의 구간)에서는,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패킷들(ID = 1의 패킷)이 확실히 검출되며 목표(target)가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처리시간을 실제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어렵다.
워터마크가 삽입되지 않은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는 부분의 구간이 설정되어 있는 패킷들의 수는 처리시간과 콘텐츠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인 경우의 음질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콘텐츠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인 경우에, 음질 대신에 화질에 의해 상기 패킷들의 수가 결정된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알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24 샘플의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된 후에,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몇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각 샘플내에 삽입되지 않게 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삽입되지 않는 샘플들은 그들 사이에서 생성된다. 워터마크의 다른 종류는 이러한 부분을 이용하여 또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을 이용하여 삽입된 워터마크내에 삽입된 정보로서는, 과금정보, 암호키 정보등이 있다.
상기 보기에서는,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삽입되지 않은 구간이 소정의 수의패킷들에 대응하는 구간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간을 항상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은 항상 불필요하다. 예를 들면,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삽입되지 않은 구간은 N 패킷, (N+2)패킷, (N-2)패킷, (N+4)패킷과 (N-4) 패킷등과 같이 소정의 패턴에 의해 구간을 설정하는 동시에 설정될 수 있다.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삽입되지 않은 구간은 또한 랜덤수를 생성함으로써 랜덤수로 설정될 수 있다.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삽입되지 않은 구간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이러한 성분들이 잡음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삽입되지 않은 구간을 변화시킴으로써, 이러한 잡음성분의 발생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보기에서는,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삽입되지 않은 구간이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24 샘플들의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 개의 단위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삽입되지 않은 구간이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24 샘플들의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 개의 단위로 설정되는 것은 항상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면, 워터마크의 데이터를 저차비트내에 삽입하는 경우에, 한 개의 샘플은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삽입되는 한 개의 단위가 되므로, 그 샘플은 또한 한 개의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의 한 개의 섹터(2352 바이트)를 한 단위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5는 한 개의 구간이 한 개의 섹터에 대응하도록 허용되는 경우의 보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서는, 한 개의 패킷의 구간은
2352 바이트(2352/96) = 24.5 패킷에 대응한다.
만약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ID = 0의 패킷)이 100섹터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제공된다면, 패킷번호(PCK)는 (PCK = 0 - 99)로 설정된다.
상기 방법을 이용하면, 48비트로 구성된 한 개의 패킷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삽입된다. 이 경우에서는, 48비트로 구성된 한 개의 패킷의 워터마크의 데이터의 구간이 각 24.5패킷의 구간으로 설정되지만, 일정한 구간에서 워터마크의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은 항상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면, 워터마크가 삽입되지 않는 구간의 간격은 소정의 패턴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므로 다음의 48비트로 구성된 한 개의 패킷의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한 개의 섹터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로 우선 상비되며, 그 후에, 다음의 48비트로 구성된 한 개의 패킷의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1섹터 + 2 패킷들)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로 우선 삽입되며, 그 후에, 다음의 48비트로 구성된 한 개의 패킷의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1섹터-2패킷0만큼 떨어져 잇는 위치에 삽입된다. 워터마크가 삽입되지 않은 구간은 무작위로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워터마크를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함으로써 데이터를 기록매체내에 기록하는 기록장치가 기술될 것이다.
도 6은 이러한 기록장치의 보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보기에서는,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예를 들면, CD-R 광디스크 또는 CD-RW광디스크)가 기록매체로 이용된다.
도 6에서는, 콘텐츠 데이터가 입력단자(1)에 공급된다. 콘텐츠 데이터는예를 들면, 16 비트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지고 좌측과 우측패널을 포함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이다. 콘텐츠 데이터는 입력단자(1)로부터 워터마크 가산회로(2)로 공급된다.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입력단자(3)에 공급된다.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워터마크 발생회로(4)에 공급된다. 워터마크 발생회로(4)의 출력은 워터마크 가산회로(2)에 공급된다.
워터마크 가산회로(2)에 의해, 워터마크의 발생회로(4)의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입력단자(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워터마크는 48비트에 의해 한 개의 패킷으로 처리된다.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이 예를 들면, 2450 패킷마다 제공되며, 페이로드의 패킷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패킷들(ID=1의 패킷)이 제공된다. 워터마크 발생회로(4)는 이러한 두 종류의 패킷들을 생성한다.
워터마크로서는, 예를 들면, 워터마크를 콘텐츠 데이터의 저차비트내에 삽입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다른 워터마크로서는, 다음의 워터마크들이 공지되어 있다. 즉, 압축시에 고차계수내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에 의해 삽입되는 워터마크, 확산 스펙트럼에 의해 워터마크의 데이터의 스펙트럼이 부가정보로 분배되어 콘텐츠 데이터내에 다중화되는 방법에 의해 삽입되는 워터마크, 제 1의 피크 또는 제 2의 피크와 인접한 부분 또는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제 1의 피크 또는 제 2의 피크에 워터마크의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에 의해 삽입되는 워터마크등이 있다. 다른 워터마크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SCMS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사의 발생관리를 하기 위해서, 워터마크를 재입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워터마크의 재입력을 고려하면, 워터마크의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의 저차비트내에 삽입하는 방법 또는 워터마크의 데이터를 압축시에 고차계수내에 부가정보로서 삽입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확산 스펙트럼에 의해 워터마크의 데이터의 스펙트럼이 부가정보로 분배되어 콘텐츠 데이터내에 다중화되는 방법 또는 제 1의 피크 또는 제 2의 피크와 인접한 부분 또는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제 1의 피크 또는 제 2의 피크에 워터마크의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에 따라,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콘텐츠 데이터에 따라 가산되어져야 된다. 그러므로, 워터마크를 재입력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마스킹 효과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대한 영향을 방지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워터마크 가산회로(2)의 출력은 에러정정 부호화회로(5)에 공급된다. 에러정정처리는 에러정정 부호화회로(5)내에서 실행된다. 에러정정 부호화회로(5)의 출력은 변조회로(6)에 공급되며 기록을 위해 신호처리된다. 변조회로(6)의 출력은 기록증폭기(7)를 통해 광픽업(8)으로 공급된다.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는 광픽업(8)에 의해 광디스크(9)상에 기록된다.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는 CD 또는 CD-ROM과 같은 독출전용 디스크로 보통 판매되거나 또는 분배된다. 이 경우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형성된 광디스크가 최초 디스크(mother disc)로 사용되며 판매 또는 분배를 위한 광디스크가 제작된다.
도 7은 콘텐츠 데이터내에 워터마크를 삽입하기 위한 인코더의 보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보기에 따르면, 워터마크의 정보는 콘텐츠 데이터의 저차비트내에 삽입된다. 도 7에 도시한 보기에서는, 워터마크의 정보가 청각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주파수 밴드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인코더는 도 6의 워터마크 가산회로(2)로 이용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최초 데이터가 입력단자(11)에 공급된다.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입력단자(12)에 공급된다.
입력단자(12)의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랜덤화 회로(13)로 공급된다. 공급된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랜덤화 회로(13)에 의해 백색잡음(white noise)으로 변환된다. 랜덤화 회로(13)의 출력은 감산회로(14)와 가산회로(15)에 공급된다.
입력단자(11)의 데이터는 감산회로(16)에 공급된다. 감산회로(16)의 출력은 감산회로(14)와 감산회로(17)에 공급된다. 감산회로(14)의 출력은 양자화회로(18)에 공급된다. 양자화회로(18)의 출력은 가산회로(15)에 공급된다.
양자화회로(18)의 출력과 랜덤화 회로(13)의 출력은 가산회로(15)에 의해 가산된다. 가산회로(15)의 출력은 출력단자(21)로부터 출력되어 감산회로(17)에 공급된다. 감산회로(16)의 출력은 감산회로(17)에 의해 가산회로(15)의 출력으로부터 감산된다.
감산회로(17)의 출력은 잡음형성필터(20)에 공급된다. 잡음형성필터(20)의 출력은 감산회로(16)에 공급된다. 잡음형성필터(20)의 출력은 감산회로(16)에 의해 입력단자(11)의 출력으로부터 감산된다.
도 7에 도시된 워터마크 인코더는 콘텐츠 데이터의 저차비트내에 워터마크의 데이터를 삽입한다. 워터마크의 삽입에 의해 발생되는 영향이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 작용하여 청각적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 콘텐츠 데이터의 주파수 밴드내에 잡음성분들이 삽입되어진다.
즉, 도 7에서는, 입력단자(11)의 데이터가 양자화회로(18)에 의해 양자화된다. 랜덤화 회로(13)의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양자화회로(18)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의 저차비트내에 삽입된다.
감산회로(14)는 양자화회로(18)의 제 1의 단(first stage)에 제공된다.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감산회로(14)에 의해 입력단자(11)의 데이터로부터 감산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양자화회로(18)의 앞단(front stage)에서 입력단자(11)의 데이터로부터 감산된다. 그러므로, 워터마크의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함으로써 발생되는 영향은 양자화회로(18)의 후방부에서 가산회로(15)에 의해 제거된다.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가산되어진 데이터는 가산회로(15)로부터 출력된다. 가산회로(15)의 출력은 출력단자(21)로부터 출력된다. 게다가, 감산회로(16)의 출력 데이터와 가산회로(15)의 출력 데이터 사이의 감산은 감산회로(17)에 의해 수행된다. 양자화회로(18)의 출력 데이터와 양자화회로(18)에 대한 입력 데이터 사이의 감산은 감산회로(17)에 의해 수행되므로 양자화 과정에 의해 수반되는 잡음성분들은 추출되어진다. 잡음성분들은 청각적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위치로잡음형성필터(20)에 의해 전달되어 감산회로(16)에 공급된다.
도 8은 상술한 바와같이 삽입된 워터마크의 정보를 해독하기 위한 워터마크의 디코더의 보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서는, 워터마크가 상술한 바와같이 다중화되어진 콘텐츠 데이터가 입력단자(31)에 공급된다. 입력단자(31)의 데이터는 양자화회로(32)에 공급된다. 양자화회로(32)의 출력은 출력단자(33)로부터 출력되어 저차비트 추출회로(34)로 공급된다.
콘텐츠 데이터에 삽입된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저차비트 추출회로(34)에 의해 추출된다.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역랜덤화 회로(inverse randomizer circuit : 35)에 공급된다.
역랜덤화 회로(35)는 상술한 도 7의 인코더내에서 랜덤화 회로(13)의 처리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랜덤화된 워터마크의 정보는 역랜덤화 회로(35)에 의해 초기 상태로 돌아간다. 워터마크의 정보는 역랜덤화 회로(35)로부터 얻어진다. 워터마크의 정보는 출력단자(36)로부터 출력된다.
도 9는 재생장치의 보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서는, 광디스크(41)의 기록 데이터가 광픽업(42)에 의해 독출된다. 광픽업(42)의 출력은 재생증폭기(43)를 통해 복조회로(44)로 공급된다. 복조회로(44)의 출력은 에러정정회로(45)에 공급되며 에러정정처리는 에러정정회로(45)에 의해 수행된다.
에러정정회로(45)의 출력은 D/A 변환기(49)에 공급된다. 에러정정회로(45)으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는 D/A 변환기(49)에 의해 아나로그신호로 변환된다. D/A 변환기(49)의 출력은 출력단자(50)로부터 출력된다.
에러정정회로(45)의 출력은 워터마크 검출회로(46)와 워터마크 가산회로(51)에 공급된다.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워터마크 검출회로(46)에 의해 에러정정회로(45)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검출된다.
워터마크 검출회로(46)의 출력은 판별회로(47)에 공급된다. 스위칭회로(48)는 판별회로(47)의 출력에 근거하여 제어되며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동작이 제어된다.
에러정정회로(45)의 출력은 워터마크 가산회로(51)에 공급된다. 워터마크는 판별회로(47)의 출력에 근거하여 워터마크 발생회로(52)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워터마크는 워터마크 발생회로(52)에서 워터마크 가산회로(51)로 공급된다. 워터마크를 재입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워터마크의 재입력 처리가 워터마크 가산회로(51)에 의해 실행된다.
예를 들면, 만약 검출회로(46)에 의해 검출된 워터마크가 "1세대의 복사가 가능"을 나타낸다면, "복사금지"를 나타내는 워터마크가 워터마크 발생회로(52)에 의해 형성되어 워터마크 가산회로(51)에 의해 에러정정회로(45)의 출력신호내에 삽입된다.
워터마크 가산회로(51)의 출력은 스위칭회로(48)를 통해 데이터 출력단자(53)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외부의 기록장치가 데이터 출력단자(53)에 접속되어 있다면,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동작은 발생회로(52)에 의해 가산된 워터마크에 의해 제어된다.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광디스크(51)상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되어 있다.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워터마크 검출회로(46)에 의해 검출된다. 도 8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는 회로는 워터마크 검출회로(46)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워터마크는 48 비트를 한 개의 패킷으로 설정함으로써 처리된다.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은 예를 들면, 2450 패킷마다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패킷들 사이의 패킷들은 페이로드의 패킷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패킷들(ID = 1의 패킷)이다.
판별회로(47)에서는, 48 비트로 구성된 한 개의 패킷의 데이터가 독출되며, 식별자 ID는 워터마크의 데이터로부터 검출된다. 그리고 패킷의 종류가 판별된다. 만약 검출된 식별자 ID가 (ID=0)이라면, 이러한 패킷은 페이로드를 기술하기 위한 패킷이 되므로, 복사제한처리가 패킷의 페이로드의 기술에 근거하여 수행된다. 만약 검출된 식별자 ID가 (ID=1)이라면,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가 독출되며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페이로드의 패킷이 독출된다. 광디스크(41)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제한처리(copy restricting process)는 이러한 패킷의 페이로드의 기술에 근거하여 수행된다.
즉, 도 10은 판별회로(47)내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에서는,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얻어진다면(단계 S1), 한 개의 패킷(48비트)에 대응하는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수집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2)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수집되었다면, 식별자 ID가 검출된다(단계 S3).식별자 ID가 (ID=0) 또는 (ID=1)과 동일한지에 대한 것이 판별된다(단계 S4). 식별자 ID가 (ID=0)이라면, 이러한 패킷은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이므로, 이러한 페이로드가 검출된다(단계 S5). 복사관리등의 동작은 이러한 페이로드에 근거하여 제어된다(단계 S6).
단계(S4)에서 식별자 ID가 (ID=1)이라면, 이러한 패킷은 페이로드의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이므로,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가 독출된다(단계 S7).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패킷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얻어진다(단계 S8).
처리루틴은 단계(S2)로 돌아간다. 그리고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수집되었는지가 판별된다. 만약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수집되었다면, 식별자 ID가 검출된다(단계 S3).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패킷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단계(S7)에서 얻어진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에 근거하여 얻어진다면, 이러한 패킷은 페이로드의 패킷이 되며 식별자 ID는 (ID=0)으로 된다.
식별자 ID가 (ID=0) 또는 (ID=1)과 동일한지에 대한 것이 판별된다(단계 S4). 식별자 ID가 (ID=0)이라면, 페이로드가 검출된다(단계 S5). 복사관리등의 동작은 이러한 페이로드에 근거하여 제어된다(단계 S6).
단계(S4)에서 식별자 ID가 (ID=1)이라면,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가 독출된다(단계 S7). 오프세트 정보(Offset_Info)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에존재하는 패킷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얻어진다(단계 S8).
처리루틴은 단계(S2)로 돌아간다.
도 11은 페이로드에 근거하는 동작제어(도 10의 단계 S6)시에 SCMS의 데이터를 이용하는 복사관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SCMS의 데이터는 세대에 걸치는 복사의 관리정보이다. SCMS의 데이터가 "00"이라면, 이것은 기록매체인 광디스크(41)가 최초의 매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1세대의 복사가 가능하다"가 설정된다. 광디스크(41)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를 복사하는 경우에, SCMS의 데이터느 "00"으로부터 "01"로 재입력된다. SCMS의 데이터가 "01"이라면, 이것은 기록매체인 광디스크(41)가 복사된 기록매체이며 콘텐츠 데이터의 추가복사가 금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SCMS의 데이터가 "11"이라면, 콘텐츠 데이터는 "복사 자유(copy free)"로 설정된다.
도 11에서는, SCMS의 데이터가 (ID=0)의 패킷의 페이로드의 부분으로부터 추출된다(단계 S21).
SCMS의 데이터가 (SCMS=00)과 동일한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22). 만약 SCMS의 데이터가 (SCMS=00)과 동일하다면, 기록매체인 광디스크(41)가 최초의 기록매체이므로, 도 9의 스위칭회로(48)가 동작하며, 광디스크(41)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 가능"상태가 설정된다(단계 S23). (ID=0)의 패킷은 재입력되어 워터마크 발생회로(52)의 워터마크의 데이터에 의해 SCMS의 데이터가 "00"에서 "01"로 변화된다. 그러므로, 기록매체인 광디스크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는 "1세대의 복사가 가능하다"로 설정되도록 제어된다.
단계(S22)에서 만약 SCMS의 데이터가 (SCMS=00)과 동일하지 않다고 판정되면, SCMS의 데이터가 (SCMS=01)과 동일한지의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25). 만약 SCMS의 데이터가 (SCMS=01)과 동일하다면, 기록매체인 광디스크(41)가 복사된 기록매체이므로, 스위칭회로(48)가 동작하지 않으며, "복사 불가능"상태가 설정된다(단계 S26).
단계(S25)에서 SCMS의 데이터가 (SCMS=01)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SCMS의 데이터가 (SCMS=11)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27). 만약 SCMS의 데이터가 (SCMS=11)이라면, 이것은 콘텐츠 데이터가 "복사자유"가 되므로, 스위칭회로(48)는 동작하며 "복사가능"상태가 설정된다(단계 S28).
만약 단계(S27)에서 SCMS의 데이터가 (SCMS=11)이 아니라면, 이것은 SCMS의 데이터가 SCMS의 불가능한 데이터가 되므로, 판별결과는 NG로 간주되며 처리가 수행된다. 이 경우에는, SCMS의 데이터를 무시하거나 또는 복사를 금지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발명에서는,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이 펌웨어에 의해 충분히 수행될 수 있는 각 구간에 배열된다. 이러한 패킷들 사이의 패킷은 페이로드의 패킷(ID=1)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패킷들이다. 페이로드를 각각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사이의 패킷들은 페이로드의 패킷(ID=1의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들이다. 그러므로, 페이로드를 각각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이 검출되며 처리는 바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48비트를 한 개의 패킷으로 설정함으로써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된다고 가정하면, 48비트로된 한 개의 패킷은 콘텐츠 데이터의 24샘플(96 바이트)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페이로드를 각각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이 2450 패킷마다 제공되며 다른 패킷들은 페이로드의 패킷(ID=1의 패킷)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패킷으로 설정된다. 재입력이 되어야하는 패킷은 페이로드를 각각 기술하는 패킷(ID=0의 패킷)이다. 페이로드의 패킷(ID=1의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의 경우에는, 재입력이 불필요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재입력이 되어야하는 패킷들은 2450 패킷마다 한 개의 패킷 비율로 발생된다. 100 섹터당 한 개의 패킷(48비트)의 처리가 실행된다면 충분하다. 펌웨어에 의해 이러한 처리를 충분히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98)

  1. 기록매체의 재생장치에 있어서,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복수의 정보단위에 분배되어 있고 콘텐츠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주사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복조처리부와,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검출회로부와,
    상기 검출회로의 검출결과가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정보단위에 분배되어 기록된 상기 관리정보를 판별하며, 상기 판별된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최소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관리정보가 재입력되는지 안되는지를 제어하는 판별회로부로 구성되는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내에 상기 관리정보를 재입력하는 재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재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부는,
    상기 판별회로부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새로운 관리정보를 발생시키는 발생회로부와,
    상기 발생회로부에 의해 새롭게 발생된 상기 관리정보를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에 가산하는 가산회로를 가지는 재생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재입력부에 의해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부에 의해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입력이 가능한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이 불가능한 정보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상기 정보부의 각각에 부가되어 있으며, 그후에,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복수의 정보단위에 분배되어 있는 재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회로부는 상기 검출회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인지 아니면 상기 재입력이 불가능한 정보부인지를 판별하며, 상기 판별의 결과로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라고 판단된다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출력동작은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관리조건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재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관리조건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허용하며, 상기 판별회로부는 상기 복조처리부의 상기 출력신호의 출력을 허용하며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가 상기 재입력부에 의해 재입력이 되는 재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회로부는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가 상기 재입력부에 의해 재입력되어지도록 허용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급지하는 재생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관리조건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금지하며, 상기 판별회로부는 상기 복조처리부의 상기 출력신호의 출력을 금지하는 재생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에 근거하는 상기 판별의 결과로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일 때에는, 상기 판별회로부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기록매체상의 한 위치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부가정보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되도록 허용하며, 상기 독출된 관리정보에 의해 제공된 관리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출력동작을 제어하는 재생장치.
  10. 기록매체의 재생장치에 있어서,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 길이를 가지는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고 콘텐츠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주사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복조처리부와,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검출회로부와,
    상기 검출회로의 검출결과가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고 한 개의 패킷과 동일한 양의 상기 관리정보가 수집된 상태에서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판별된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최소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관리정보가 재입력되는지 안되는지를 제어하는 판별회로부로 구성되는 재생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내에 상기 관리정보를 재입력하는 재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재생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부는,
    상기 판별회로부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새로운 관리정보를 발생시키는 발생회로부와,
    상기 발생회로부에 의해 새롭게 발생된 상기 관리정보를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에 가산하는 가산회로를 가지는 재생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재입력부에 의해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부에 의해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입력이 가능한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이 불가능한 정보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상기 정보부들의 각각에 부가되어 있으며, 그후에,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는 재생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회로부는 상기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회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인지 아니면 상기 재입력이 불가능한 정보부인지를 판별하며, 상기 판별의 결과로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라고 판단된다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출력동작은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관리조건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재생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관리조건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허용하며, 상기 판별회로부는 상기 복조처리부의 상기 출력신호의 출력을 허용하며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가 상기 재입력부에 의해 재입력이 되는 재생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회로부는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가 상기 재입력부에 의해 재입력되어지도록 허용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급지하는 재생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관리조건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금지하며, 상기 판별회로부는 상기 복조처리부의 상기 출력신호의 출력을 금지하는 재생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에 근거하는 상기 판별의 결과로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일 때에는, 상기 판별회로부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기록매체상의 한 위치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부가정보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되도록 허용하며, 상기 독출된 관리정보에 의해 제공된 관리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출력동작을 제어하는 재생장치.
  19. 기록매체의 재생장치에 있어서,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 길이를 가지는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부가정보가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는 상태에서 삽입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주사하는 헤드부로서, 상기 관리정보는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정보부와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입력이 가능한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상기 정보부들의 각각에 제공되어 있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복조처리부와,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검출회로부와,
    상기 검출회로의 검출결과가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고 한 개의 패킷과 동일한 양의 상기 관리정보가 수집된 상태에서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판별된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최소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관리정보가 재입력되는지 안되는지를 제어하는 판별회로부로 구성되는 재생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내에 상기 관리정보를 재입력하는 재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재생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부는,
    상기 판별회로부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새로운 관리정보를 발생시키는 발생회로부와,
    상기 발생회로부에 의해 새롭게 발생된 상기 관리정보를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에 가산하는 가산회로를 가지는 재생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회로부는 상기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회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인지 아니면 상기 재입력이 불가능한 정보부인지를 판별하며, 상기 판별의 결과로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라고 판단된다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출력동작은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관리조건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재생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관리조건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허용하며, 상기 판별회로부는 상기 복조처리부의 상기 출력신호의 출력을 허용하며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가 상기 재입력부에 의해 재입력이 되는 재생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회로부는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가 상기 재입력부에 의해 재입력되어지도록 허용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금지하는 재생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관리조건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금지하며, 상기 판별회로부는 상기 복조처리부의 상기 출력신호의 출력을 금지하는 재생장치.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에 근거하는 상기 판별의 결과로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일 때에는, 상기 판별회로부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기록매체상의 한 위치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부가정보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되도록 허용하며, 상기 독출된 관리정보에 의해 제공된 관리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출력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재입력부에 의해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부에 의해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입력이 가능한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이 불가능한 정보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상기 정보부들의 각각에 부가되어 있으며, 그후에,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는 재생장치.
  27.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에 있어서,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 길이를 각각 가지는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에 대해서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복조처리단계로서, 상기 관리정보는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정보부와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입력이 가능한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상기 정보부들의 각각에 제공되어 있는 상기 복조처리단계와,
    상기 복조처리가 된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건출단계와,
    상기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으며 한 개의 패킷 만큼의 상기 관리정보가 수집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록되어 있는 상기 관리정보를 판별하는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된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조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출력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관리정보가 재입력되는지 안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구비하는 재생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관리정보는 상기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인지 아니면 상기 재입력이 불가능한 정보부인지가 상기 식별자에 근거하여 판별되며, 상기 판별의 결과로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라고 판단된다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출력동작은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관리조건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재생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관리조건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허용하며, 상기 판별회로부는 상기 복조처리부의 상기 출력신호의 출력을 허용하며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가 상기 재입력부에 의해 재입력이 되는 재생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회로부는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가 상기 재입력부에 의해 재입력되어지도록 허용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금지하는 재생장치.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관리조건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금지하며, 상기 복조처리된 출력신호의 출력이 금지되는 재생방법.
  32.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에 근거하는 상기 판별의 결과로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일 때에는,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기록매체상의 한 부분에 삽입된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되며, 상기 독출된 관리정보에 의해 제공된 관리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출력동작이 제어되는 재생방법.
  33.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에 있어서,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 길이를 가지는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부가정보가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고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되어 있는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복조처리를 수행하는 복조처리단계와,
    상기 복조처리가 된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으며 한 개의 패킷 만큼의 상기 관리정보가 수집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록되어 있는 상기 관리정보를 판별하는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된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최소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복조처리된 출력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관리정보가 재입력되는지 안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구비하는 재생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정보부와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등을 포함하며, 상기 재입력이 가능한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이 불가능한 정보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상기 정보부의 각각에 부가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는 재생방법.
  35. 제 34항에 있어서,
    검출회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인지 아니면 상기 재입력이 되지 않는 정보부인지를 판별하며, 상기 판별의 결과로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라고 판단된다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출력동작은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관리조건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재생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관리조건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허용하며, 판별회로부는 상기 복조처리된 출력신호의 출력을 허용하며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를 재입력하는 재생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는 재입력되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금지하는 재생방법.
  38.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관리조건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금지하며, 상기 복조처리된 출력신호의 출력이 금지되는 재생방법.
  39.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에 근거하는 상기 판별의 결과로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일 때에는,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기록매체상의 한 부분에 삽입된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되며, 상기 독출된 관리정보에 의해 제공된 관리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출력동작이 제어되는 재생방법.
  40.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에 있어서,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복수의 정보단위에 분배되고 콘테츠 데이터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에 대해서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복조처리단계와,
    상기 복조처리된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단위에 분배되고 기록되어 있는 상기 관리정보를 판별하는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된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최소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조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출력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관리정보가 재입력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구비하는 재생방법.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정보부와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등을 포함하며, 상기 재입력이 가능한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이 불가능한 정보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상기 정보부의 각각에 부가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정보단위에 분배되어 있는 재생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검출회로에 의해 검출된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인지 아니면 상기 재입력이 불가능한 정보부인지가 판별되며, 상기 판별의 결과로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라고 판단된다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출력동작은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관리조건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재생방법.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관리조건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허용하며, 상기 복조처리된 출력신호의 출력이 허용되며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는 재입력되는 재생방법.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가 재입력되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금지하는 재생방법.
  45.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가능한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관리조건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금지하며, 상기 복조처리된 출력신호의 출력이 금지되는 재생방법.
  46.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에 근거하는 상기 판별의 결과로서,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일 때에는,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기록매체상의 한 부분에 삽입된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되며, 상기 독출된 관리정보에 의해 제공된 관리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출력동작이 제어되는 재생방법.
  47. 상기 부가정보가 복수의 패킷에 분배되어 있는 상태에서 한 개의 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 길이를 각각 가지는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삽입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져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정보부와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입력이 가능한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상기 정보부들의 각각에 제공되어 있는 기록매체.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상기 정보부내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49.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패킷은 정보가 재입력되는 상기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패킷과 정보가 재입력되는 상기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다음의 패킷 사이에 존재하는 기록매체.
  50. 제 49항에 있어서,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상기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패킷과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상기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다음의 패킷은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상기 정보부를 재입력시키기 위해 충분히 기다란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는 기록매체.
  51.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확산 스펙트럼으로 확산되며 상기 콘텐츠 데이터로 다중화되는 기록매체.
  52.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저차비트(lower bits)내에 삽입되는 기록매체.
  53.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압축될 때에 고차계수(high order coefficient)에 삽입되는 기록매체.
  54. 제 47항에 있어서,
    마스킹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부가정보가 삽입되는 기록매체.
  55.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소정의 범위내의 제 1의 피크 또는 제 2의 피크 또는 상기 제 1의 피크 또는 제 2의 피크의 인접한 위치에 삽입되는 기록매체.
  56.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관리를 위해 최소한 복사관리정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57.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정보부와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가지는 부가정보가 상기 부가정보가 복수의 정보단위에 분배되어 있는 상태에서 삽입되어 있는 기록매체.
  58. 제 57항에 있어서,
    재입력이 가능한 상기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상기 정보부들의 각각에 추가로 제공되어 있는 기록매체.
  59.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단위의 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상기 정보부내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60.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패킷은 정보가 재입력되는 상기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정보단위와 정보가 재입력되는 상기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다음의 정보단위 사이에 존재하는 기록매체.
  61. 제 60항에 있어서,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상기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정보단위와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상기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다음의 정보단위는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상기 정보부를 재입력시키기 위해 충분히 기다란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는 기록매체.
  62. 제 5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확산 스펙트럼으로 확산되며 상기 콘텐츠 데이터로 다중화되는 기록매체.
  63.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저차비트(lower bits)내에 삽입되는 기록매체.
  64.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압축될 때에 고차계수(high order coefficient)에 삽입되는 기록매체.
  65. 제 57항에 있어서,
    마스킹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부가정보가 삽입되는 기록매체.
  66.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소정의 범위내의 제 1의 피크 또는 제 2의 피크 또는 상기 제 1의 피크 또는 제 2의 피크의 인접한 위치에 삽입되는 기록매체.
  67.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관리를 위해 최소한 복사관리정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68. 콘텐츠 데이터에 있어서,
    한 개의 정보단위에 대응하는 데이터 길이를 가지는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복수의 정보단위에 분배되어 있고 콘텐츠 데이터내에 삽입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69.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정보부와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포함하며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상기 정보부와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상기 정보부를 식별하는 식별부가 상기 정보부들의 각각에 대해서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
  70.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단위의 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상기 정보부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71.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가 각각 삽입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정보단위는정보가 재입력되는 상기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정보단위와 정보가 재입력되는 상기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다음의 정보단위 사이에 존재하는 콘텐츠 데이터.
  72. 제 71항에 있어서,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상기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정보단위와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상기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다음의 정보단위는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상기 정보부를 재입력시키기 위해 충분히 기다란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73.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확산 스펙트럼으로 확산되며 상기 콘텐츠 데이터로 다중화되는 콘텐츠 데이터.
  74.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저차비트(lower bits)내에 삽입되는 콘텐츠 데이터.
  75.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압축될 때에 고차계수(high order coefficient)에 삽입되는 콘텐츠 데이터.
  76. 제 68항에 있어서,
    마스킹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부가정보가 삽입되는 콘텐츠 데이터.
  77.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소정의 범위내의 제 1의 피크 또는 제 2의 피크 또는 상기 제 1의 피크 또는 제 2의 피크의 인접한 위치에 삽입되는 콘텐츠 데이터.
  78.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관리를 위해 최소한 복사관리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79. 기록매체의 기록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부가정보를 생성시키는 생성회로부와,
    상기 생성회로부의 상기 부가정보를 입력된 콘텐츠 데이터에 가산하여 복수의 정보단위로 분배되도록하는 가산회로부와,
    상기 가산회로부의 출력에 대해서 기록을 하기위해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기록매체내에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을 기록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기록장치.
  80. 제 7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정보부와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입력이 가능한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상기 정보부들의 각각에 제공되어 있는 기록장치.
  81.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단위의 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상기 정보부내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장치.
  82.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되는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정보단위와 정보가 재입력되는 상기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다음의 정보단위가 정보가 재입력되는 상기 정보부를 재입력시키기 위해 충분히 기다란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는 기록장치.
  83. 제 7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확산 스펙트럼으로 확산되며 상기 콘텐츠 데이터로 다중화되는 기록장치.
  84. 제 7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기록매체의 저차비트(lower bits)내에 삽입되는 기록장치.
  85. 제 7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기록매체가 압축될 때에 고차계수(high order coefficient)에 삽입되는 기록장치.
  86. 제 79항에 있어서,
    마스킹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대한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부가정보가 삽입되는 기록장치.
  87. 제 7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기록매체의 소정의 범위내의 제 1의 피크 또는 제 2의 피크 또는 상기 제 1의 피크 또는 제 2의 피크의 인접한 위치에 삽입되는 기록장치.
  88. 제 7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기록매체의 복사관리를 위해 최소한 복사관리정보를포함하는 기록장치.
  89. 기록매체의 기록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부가정보를 생성시키는 생성단계와,
    상기 생성된 부가정보를 상기 입력된 콘텐츠 데이터에 가산하여 복수의 정보단위로 분배되도록하는 가산단계와,
    상기 부가정보가 가산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기록을 위해서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단계와,
    상기 신호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기록매테내에 기록하는 기록단계를 구비하는 기록방법.
  90. 제 8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정보가 재입력이 되는 정보부와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입력이 가능한 정보부와 상기 재입력되지 않는 정보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상기 정보부들의 각각에 제공되어 있는 기록방법.
  91. 제 9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단위의 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재입력되지 않는 상기 정보부내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방법 .
  92. 제 90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되는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정보단위와 정보가 재입력되는 상기 정보부가 삽입되어 있는 다음의 정보단위가 정보가 재입력되는 상기 정보부를 재입력시키기 위해 충분히 기다란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는 기록방법 .
  93. 제 8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확산 스펙트럼으로 확산되며 상기 콘텐츠 데이터로 다중화되는 기록방법 .
  94. 제 8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저차비트(lower bits)내에 삽입되는 기록방법.
  95. 제 8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압축될 때에 고차계수(high order coefficient)에 삽입되는 기록방법 .
  96. 제 89항에 있어서,
    마스킹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부가정보가 삽입되는 기록방법 .
  97. 제 8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소정의 범위내의 제 1의 피크 또는 제 2의 피크 또는 상기 제 1의 피크 또는 제 2의 피크의 인접한 위치에 삽입되는 기록방법.
  98. 제 8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관리를 위해 최소한 복사관리정보를 포함하는 기록방법 .
KR1020027001430A 2000-06-13 2001-06-13 데이터 기록매체, 콘텐츠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방법과 장치, 및 데이터 재생방법과 장치 KR100780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76593A JP2001357622A (ja) 2000-06-13 2000-06-13 コンテンツデータ、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及び装置、データ再生方法及び装置
JPJP-P-2000-00176593 2000-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952A true KR20020020952A (ko) 2002-03-16
KR100780847B1 KR100780847B1 (ko) 2007-11-29

Family

ID=1867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430A KR100780847B1 (ko) 2000-06-13 2001-06-13 데이터 기록매체, 콘텐츠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방법과 장치, 및 데이터 재생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67018B2 (ko)
EP (1) EP1296327B1 (ko)
JP (1) JP2001357622A (ko)
KR (1) KR100780847B1 (ko)
CN (1) CN1199176C (ko)
AT (1) ATE411603T1 (ko)
AU (1) AU777954B2 (ko)
DE (1) DE60136180D1 (ko)
WO (1) WO2001097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448A (ja) * 1999-07-30 2001-02-16 Nec Corp ディジタルtv放送における映像データ同期方式
JP4300705B2 (ja) * 2000-12-05 2009-07-2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方法、記録媒体
US6696989B2 (en) * 2001-09-17 2004-02-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update apparatus, reproduction apparatus, data-addition apparatus, data-detection apparatus and data-removal apparatus
US20060257001A1 (en) * 2003-09-12 2006-11-16 Minne Van Der Ve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amper detection in watermarking systems
EP1621958A3 (en) * 2004-07-19 2006-05-17 SONY DEUTSCHLAND GmbH Method for providing protected audio/video content
JP2009245471A (ja) * 2008-03-28 2009-10-2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CN106250729B (zh) * 2016-08-01 2020-05-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歌曲数据处理方法及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4636A (ja) * 1996-02-07 1997-08-15 Tateba Syst Kk データ埋め込み音声通信方法及び装置
US6209096B1 (en) * 1996-07-02 2001-03-27 Yamah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main information with associated additional information incorporated therein
US5960398A (en) * 1996-07-31 1999-09-28 Wictor Company Of Japan, Ltd. Copyright information embedding apparatus
WO1998033324A2 (en) * 1997-01-27 1998-07-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mbedding supplemental data in an encoded signal
JPH11296976A (ja) * 1998-04-13 1999-10-29 Hitachi Ltd データ再生装置
JP3991178B2 (ja) 1998-11-11 2007-10-17 ソニー株式会社 複製世代管理方法、情報信号記録装置、情報信号出力装置および情報信号再生装置
US6137428A (en) * 1999-04-27 2000-10-24 Unisys Corporation Data compress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embedded run-length encoding using mathematical run processing
US6483446B1 (en) * 2001-11-02 2002-11-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Variable-length message formats and methods of assembling and communicating variable-length mess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96327A4 (en) 2005-12-21
JP2001357622A (ja) 2001-12-26
ATE411603T1 (de) 2008-10-15
EP1296327B1 (en) 2008-10-15
CN1199176C (zh) 2005-04-27
US20020113722A1 (en) 2002-08-22
AU777954B2 (en) 2004-11-04
KR100780847B1 (ko) 2007-11-29
DE60136180D1 (de) 2008-11-27
EP1296327A1 (en) 2003-03-26
AU6426201A (en) 2001-12-24
WO2001097220A1 (fr) 2001-12-20
US6567018B2 (en) 2003-05-20
CN1386276A (zh)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7553B1 (en) Recorder for recording copy of production on the basis of copy attribute embedded as electronic watermark in the production, reproducing device for reproducing recorded copy, recorded medium, recording method, and reproducing method
KR100829177B1 (ko) 콘텐츠 데이터, 기록매체, 기록방법, 기록장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100405844B1 (ko) 기록매체,기록재생장치및기록재생방법
KR100898132B1 (ko) 기록매체, 기록방법, 기록장치, 정보신호를 위한 출력제어방법, 기록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신호전송방법과 콘텐츠 데이터
US20010017828A1 (en) Multimedia copy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data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disc reproducing apparatus
KR20010104658A (ko) 저작권 보호 방법, 기록 방법,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재생 장치
US6278836B1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video signals and program information which are recorded in information recording media
KR20000052380A (ko) 정보 신호 저작권 보호 방법, 정보 신호 기록 방법과장치, 및 정보 신호 출력 방법과 장치
KR100895045B1 (ko) 데이터출력 방법 및 장치, 데이터재생 방법 및 장치,데이터기록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데이터 기록 및 재생방법 및 장치
US7000171B2 (en) Recorded medium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data output controlling method, data outputting method, error detecting method, and data outputting reproducing method
KR100780847B1 (ko) 데이터 기록매체, 콘텐츠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방법과 장치, 및 데이터 재생방법과 장치
KR20040053280A (ko) 디지털 정보의 인증되지 않은 카피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KR20010110348A (ko) 저작권 보호 방법, 재생 방법, 재생 장치, 기록 방법 및기록 장치
KR100275870B1 (ko) 복사제한이 가능한 디스크 및 복사제한방법
KR20020015391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기록매체의 기록 및/또는재생방법과 데이터복제 제어방법
KR100536563B1 (ko) 복제 관리 방법, 복제 관리 장치, 기록 매체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구현된 복제 관리 프로그램
JP3978559B2 (ja) デジタル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装置
US6490113B2 (en)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copyrighted digital data
JP2005523545A (ja) 規格外のtoc入力を利用した複製検出及び保護方法
JP4007396B2 (ja) 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2000311437A (ja) 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2002050120A (ja)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テンツデ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