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292A - 건축용 판넬 - Google Patents

건축용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292A
KR20020020292A KR1020000053329A KR20000053329A KR20020020292A KR 20020020292 A KR20020020292 A KR 20020020292A KR 1020000053329 A KR1020000053329 A KR 1020000053329A KR 20000053329 A KR20000053329 A KR 20000053329A KR 20020020292 A KR20020020292 A KR 20020020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wool
outer plate
grain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윤득
Original Assignee
김정기
(주)경동판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기, (주)경동판넬 filed Critical 김정기
Priority to KR102000005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0292A/ko
Publication of KR2002002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42Laminating of sheets, panels or inserts, e.g. stiffeners, by wrapping in at least one outer layer, or inserting into a preformed pock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04C2/32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with parallel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판넬은, 금속판재로 성형되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외측판(22) 및 내측판(28); 그리고 상기 외측판과 내측판 사이에 고정되고, 일정한 방향의 결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며, 상기 결이 외측판 및 내측판과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되는 내부충진재(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판 및 내측판의 적어도 일측에는, 길이방향의 보강리브가 성형되어 있으며, 내부충진재로서는 일정한 방향의 결을 가지는 그라스울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그라스울 재질의 내부충진재 자체가, 내화 및 단열성 이외에, 외력에 대하여 일정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Description

건축용 판넬{Panel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용 외장재로 사용되고, 내화 및 단열 기능을 가지는 내부충진재가 두개의 금속판 사이에 충진되는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건축용판넬은, 공장건물과 같은 건축물의 외장재로 주로 사용되는 것이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한쌍의 금속판재와 그 내부에 충진되는 내부충진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판넬에 사용되는 금속판재는 표면이 아연 도금처리된 아연도금강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내부충진재로서는, 내화성 및 단열성이 충분히 구비되어 있는 것을 선택하는데, 일반적으로 그라스울(glass wool)이 많이 사용된다.
상술한 판넬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판넬(10)은, 금속판재(예를 들면 아연도금한 아연도금강판)로 만들어지는 외측판(12) 및 내측판(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판(12)의 표면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보강리브(11)가 성형되어 있는데, 이러한 보강리브(11)는, 판넬이 외력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강리브(11)는, 일반적으로 평판상의 금속판재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내측판(18)에도, 상대적으로 작은 보강홈부분(17)이 성형되는데, 이러한 보강홈부분(17)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은 외측판(12)의 보강리브(1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판(12) 및 내측판(18)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내부충진재(14)로서 그라스울이 내장된다. 일반적으로 그라스울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형상으로 제조되는데, 그 개략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내부충진재(14)로서 사용되는 그라스울은, 일정한 방향의 결을 가지도록 제조되는데, 이러한 결의 방향성은 평면상태와 동일한 것으로, 도 1에서는 그라스울의 결을 층층이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라스울은, 복수개의 층과 같은 결을 가지고 제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그라스울이 외측판(12)과 내측판(18)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결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충진재(14)로서의 그라스울은, 그 결이 외측판(12) 및 내측판(18)과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즉,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그라스울을 상기 내측판(18)과 외측판(12) 사이에 그대로 삽입하기 때문에, 완성된 상태의 판넬(10)에 있어서, 내부충진재(14)의 결은 내측판(18) 및 외측판(12)과 평행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판상의 평면 그라스울을 사용할 때, 상기 보강리브(11)의 내부에는 그라스울이 채워지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패드(16)를 사용하여 그 내부를 채우게 된다. 상기 내부충진재(16)와 내외측판(12,18), 그리고 패드(16)를 서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판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외측판(12) 등에 보강리브(11)를 성형하는 것은 판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나, 외측판(12) 및 내측판(18)의 내부의 그라스울은 강도적인 측면에서는 거의 역할을 해내지 못하고 있다. 즉 종래의 내부충진재(14)로 사용되는 그라스울은, 내화 및 단열을 위한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고, 내외측판(12,18)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측면에서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별도의 패드를 가공하고 이를 내부충진재 및 외측판(12)에 부착하여야 하는 공정상의 번거로움도 하나의 단점으로 내타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력에 대하여 보다 강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건축용판넬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내부충진재가, 원래의 기능인 내화 및 단열성 이외에, 강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내측판 및 외측판이 내부충진재에 의하여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착안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판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그라스울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판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 외측판 24 ..... 내부충진재
26 ..... 보강리브 28 ..... 내측판
F ..... 외력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판넬은, 금속판재로 성형되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외측판 및 내측판; 그리고 상기 외측판과 내측판 사이에 고정되고, 일정한 방향의 결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며, 상기 결이 외측판 및 내측판과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되는 내부충진재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판 및 내측판의 적어도 일측에는, 길이방향의 보강리브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리브는, 외측판 또는 내측판 자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부충진재는 그라스울을 사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충진재로 사용되는 그라스울의 결을 내측판 및 외측판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에 의하여, 외력에 대하여 일정한 강도보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판넬의 내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판넬은 외측판(22)과 내측판(28), 그리고 그 사이에 충진되는 내부충진재(24)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충진재(24)는 그라스울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그라스울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방향성 결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충진재(24)인 그라스울의 결이 외측판(22) 및 내측판(28)과 수직이 되도록 구성하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충진재(24)의 결이 외측판(22) 및 내측판(28)과 수직이 되도록 외측판 및 내측판의 내부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내부충진재(24) 자체도 외력에 대하여 일정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즉, 외측판(22) 및 내측판(28) 자체에 기인하는 외력에 대한 강도는 제외하고, 내부충진재(24)로 사용되는 그라스울의 결과 관련된 외력에 대한 강도에 대하여 살펴본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종래의 그라스울은 외력이 결에 대하여 수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그라스울은 외력에 대하여 쉽게 휘어지게 되어, 강도적인 측면에서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내부충진재(24)인 그라스울의 결은, 외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력(F)에 대하여 일정한 힘까지는 충분하게 견딜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내부충진재(24)로 사용되는 재질(예를 들면 그라스울)의 결은, 평면상의 결 또는 선형의 결을 가지는 어떠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판(22)과 내측판(28)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라스울 내부충진재(24)의 결을 외측판(22) 및 내측판(28)에 수직으로 되도록, 양자의 내부에 결합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방향의 결을 가지는 그라스울 원단을 일정한 폭(W)을 가지도록 절단한다. 실제로 상기 폭(W)은, 판넬의 외측판(22)과 내측판(28)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일정한 폭을 가지고 절단된 그라스울에서, 도 2에 도시한 점선을 따라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점선을 따라는 절단은, 외측판(22)의 보강리브(26)의 내측 형상과 같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내부충진재(24)로서 사용되는 그라스울은, 그 평면상의 결이 외측판 및 내측판과 수직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보강리브(26)의 내측면에 부합하는 절단작업을 하는 경우, 그라스울의 평면상의 결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보강리브(26)에 형합할 수 있는 절단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외측판(22)과 내측판(28) 사이에서, 그라스울 내부충진재(24)를 이용하여 내측 및 외측에 전체로서 밀착되는 판넬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구성에서의 패드(16)가 필요없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는 일정한 방향으로 절단된 복수개의 그라스울 내부충진재(24)가 설치되나, 수평방향으로는 일정한 폭으로 절단된 하나의 그라스울에 의하여 외측판와 내측판 사이의 공간이 충진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렇게 절단된 복수개의 그라스울을, 그 평면상의 결이 내측판(28)과 외측판(22)와 수직이 되도록 넣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판넬이 완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그라스울 내부충진재(24)와 외측판(22) 및 내측판(28)은 서로 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느 일측에 예를 들면 우레탄본드로 만들어지는 접착제가 도포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그라스울 내부충진재(24)의 양측면 또는 내측판(28) 또는 외측판(22)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내부충진재(24)의 양측면에 내측판(28) 및 외측판(22)을 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판넬이 완성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충진재로 사용되는 그라스울의 평면상의 결이 외측판 및 내측판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내용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내부충진재로서 그라스울을 사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그라스울에 한정될 수는 없는 것이다. 내부충진재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일정한 결을 가지는 것이면, 그라스울 대신에 다른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내부충진재로서 사용되는 그라스울과 같은 재질의 것의 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상의 결을 가지거나, 직선상의 결을 가지는 어떠한 것도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그라스울의 평면상의 결이 내측판 및 외측판과 수직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내측판 또는 외측판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그라스울 자체로 일정한 정도의 지지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은, 종래의 그라스울은 내화 및 단열성을 가지는 고유의 기능 밖에 수행하지 못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그라스울은 내화 및 단열성과 같은 고유 기능에 더하여, 외력에 대한 지지력을 일정한 범위 내에서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그라스울을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절단한 후, 외측판의 보강리브의 내측형상에 대응하도록 다시 한번 커팅을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그라스울 자체가 내측판 및 외측판 사이의 공간에 꽉차게 되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종래와 같이 패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제조공정 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금속판재로 성형되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외측판 및 내측판;
    그리고 상기 외측판과 내측판 사이에 고정되고, 일정한 방향의 결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며, 상기 결이 외측판 및 내측판과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되는 내부충진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판 및 내측판의 적어도 일측에는, 길이방향의 보강리브가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충진재는 그라스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스울은, 보강리브의 내측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적어도 수평방향으로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KR1020000053329A 2000-09-08 2000-09-08 건축용 판넬 KR20020020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329A KR20020020292A (ko) 2000-09-08 2000-09-08 건축용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329A KR20020020292A (ko) 2000-09-08 2000-09-08 건축용 판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619U Division KR200215018Y1 (ko) 2000-09-08 2000-09-08 건축용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292A true KR20020020292A (ko) 2002-03-15

Family

ID=1968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329A KR20020020292A (ko) 2000-09-08 2000-09-08 건축용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02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352B1 (ko) * 2020-08-20 2020-12-22 강지숙 단열성과 내화성 및 방수성을 갖는 그라스울 판넬 제조방법
KR20220152730A (ko) *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한산패널 건축용 루프패널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건축용 루프패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850A (ja) * 1992-04-20 1993-11-09 Mitsubishi Petrochem Eng Co Ltd パネル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340073A (ja) * 1992-06-05 1993-12-21 Ube Boeki Kk 住宅用床パネル
JPH0642069A (ja) * 1992-04-14 1994-02-15 Misawa Homes Co Ltd 建築用パネル
KR19990008074U (ko) * 1998-11-18 1999-02-25 박기성 판넬
KR19990011636U (ko) * 1998-02-26 1999-03-25 이연세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20000030803A (ko) * 2000-03-17 2000-06-05 윤석봉 광물성 섬유보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069A (ja) * 1992-04-14 1994-02-15 Misawa Homes Co Ltd 建築用パネル
JPH05295850A (ja) * 1992-04-20 1993-11-09 Mitsubishi Petrochem Eng Co Ltd パネル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340073A (ja) * 1992-06-05 1993-12-21 Ube Boeki Kk 住宅用床パネル
KR19990011636U (ko) * 1998-02-26 1999-03-25 이연세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19990008074U (ko) * 1998-11-18 1999-02-25 박기성 판넬
KR20000030803A (ko) * 2000-03-17 2000-06-05 윤석봉 광물성 섬유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352B1 (ko) * 2020-08-20 2020-12-22 강지숙 단열성과 내화성 및 방수성을 갖는 그라스울 판넬 제조방법
KR20220152730A (ko) *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한산패널 건축용 루프패널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건축용 루프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7645B1 (en) A composite thermally insulating material
JP5453907B2 (ja) 建物の施工方法
JP2012026260A (ja) 内装・外装用板材
JP2010138662A (ja) 断熱パネル
KR20020020292A (ko) 건축용 판넬
KR200215018Y1 (ko) 건축용 판넬
JP5300351B2 (ja) 建築用真空断熱ボード
KR100750862B1 (ko) 건축용 복합 단열재
KR101529257B1 (ko) 지붕판넬용 마감부재
JP7369042B2 (ja) ジョイナ、及び壁構造
JP5393958B2 (ja) 外壁材の接続構造
JP4936360B2 (ja) 断熱パネルおよび屋根裏の断熱構造
KR200375818Y1 (ko) 샌드위치패널
CN114991339B (zh) 一种拼装件、墙体模块、墙体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JP2007009655A (ja) 断熱瓦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屋根構造
CN218758373U (zh) 被动式建筑挑檐热桥处理结构
KR200325331Y1 (ko) 난방배관용 판넬 조립체
KR102495353B1 (ko) 샌드위치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패널
KR20000012704U (ko) 휨강도를 증대시킨 샌드위치 패널 조립체
JP3850592B2 (ja) 壁パネルの接合構造
KR200282379Y1 (ko) 건축용 복합패널
KR200368375Y1 (ko) 복합 샌드위치 패널
JPH0613927Y2 (ja) 複合パネル
JP3598949B2 (ja) 天井支持構造
JP5378665B2 (ja) 冷凍倉庫用の複合断熱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