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768A -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768A
KR20020019768A KR1020000052965A KR20000052965A KR20020019768A KR 20020019768 A KR20020019768 A KR 20020019768A KR 1020000052965 A KR1020000052965 A KR 1020000052965A KR 20000052965 A KR20000052965 A KR 20000052965A KR 20020019768 A KR20020019768 A KR 20020019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guide
frame
guide member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한
박순복
김봉조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52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9768A/ko
Publication of KR20020019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7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소의 조질압연 설비에서 냉연강판 코일의 불량부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냉연강판의 제조시 코일 불량부분들을 개별적인 시트형상으로 처리하지 않고 롤형태로 감아서 많은 양의 코일 불량부를 한번에 처리토록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으로 코일 불량부(2)가 인입되는 가이드테이블(14)이 설치되는 프레임(16)을 구비하는 베이스부 (10)와, 상기 가이드 테이블(14)을 통한 코일 불량부(2)를 벤딩토록 설치되는 다수의 벤딩롤(22)을 갖는 코일 벤딩부(20)와, 상기 수직벽(12)에 회전 가능토록 횡설된 고정아암(40)을 중심으로 대향하여 호형으로 신장하며 서로 간격 조정토록 설치되는 제 1,2 가이드부재 (32)(34)를 갖추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4)의 내측에는 코일 불량부(2)를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판(38)이 모터 구동토록 설치되는 코일권선부(30) 및, 상기 프레임(10)의 수직벽사이에 제 1 가이드부재 (32) 양측으로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롤(42)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롤 (44)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4)의 슬라이딩판(38)에 설치되는 제 3 가이드롤(46)을 갖춘 코일 가이드부(40)로서 구성되는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BAD PORTIONS OF COIL STRIP}
본 발명은 제철소의 조질압연 설비에서 냉연강판 코일의 불량부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냉연강판의 제조시 코일 불량부분들을 개별적인 시트형상으로 처리하지 않고 롤형태로 감아서 많은 양의 코일 불량부를 한번에 처리토록 함으로써, 코일 불량부의 처리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코일 불량부의 재투입 및 운반등의 작업도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 즉, 코일의 제조공정시에는 많은 공정을 거치면서 코일제품으로 제조되는데, 특히 특수한 자동차, 전기 및 기타특정분야에서 사용되는 스테인레스 코일제품의 제조시에는 수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또는 특정규격을 만족하는 조질압연작업중에 제조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코일 불량부가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코일 불량부는 정상적인 코일제품이 제조된다 해도 코일의 선단 및 말단부분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코일 불량부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처리장치를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데, 페이오프릴(P.O.R)(110)에서 풀리는 코일(C) 강판(112)이 장치의 바디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코일 필러(114)와 테이블(116)을 거치면서 그 전방에 설치된 상,하측 핀치롤(118)을 통하여 이송되다가 가이드테이블(120)을 통하여 코일불량부분 (122)이 지나가면 상기 가이드 테이블(120)의 전방으로 설치된 커터부(124)로서코일 불량부가 일정길이로 절단되어 적재함에 절단된 시트형상의 코일 불량부 (112)가 모여지면 이를 처리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페이오프릴(110)에서 풀린 강판(112)중에 코일 불량부(112')가 발생되면 커터부(124)에서 절단하여 시트 형상의 코일 불량부(112')를 모아서 처리하고, 코일불량부가 발생되지 않으면 페이오프릴(110)에 의한 코일 제조공정 즉, 압연 및 표면처리등의 공정등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불량부를 적정한 길이 예를 들어, 1-1.5m 정도의 길이로 절단하여 시트형상으로 처리한후, 이를 모아서 처리하는 작업으로 인하여, 코일 불량부의 처리작업이 지연되고 절단된 시트형상의 코일 불량부의 운반 및 재투입작업등이 어렵게 되며, 커터부의 작은 작동으로 부품파손 또는 교체시기가 단축되어 장치의 유지보수 비용도 상승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냉연강판의 제조시 코일 불량부분들을 개별적인 시트형상으로 처리하지 않고 롤형태로 감아서 많은 양의 코일 불량부를 한번에 처리토록 함으로써, 코일 불량부의 처리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코일 불량부의 재투입 및 운반등의 작업도 간편하게 수행토록 한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2.... 코일 불량부
10.... 베이스부 12.... 수직벽
14.... 가이드 테이블 16.... 프레임
20.... 벤딩부 22.... 벤딩롤
24,32a,36.... 실린더 30.... 코일 권선부
32,34.... 제 1,2 가이드부재 38.... 슬라이딩판
40.... 코일 가이드부 42,44,46.... 가이드롤
50.... 페이오프릴 58.... 절단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에 있어서, 양측 수직벽을 갖추고 내측에는 코일 불량부가 인입되는 가이드테일블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베이스부 와,
상기 프레임의 하측으로 상기 가이드 테이블을 통한 코일 불량부를 벤딩토록 설치되는 다수의 벤딩롤을 갖는 코일 벤딩부 와,
상기 프레임의 수직벽에 회전 가능토록 횡설된 고정아암을 중심으로 대향하여 호형으로 신장하며 서로 간격 조정토록 설치되는 제 1,2 가이드부재를 갖추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재의 내측에는 코일 불량부를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판이 모터 구동토록 설치되는 코일 권선부 및,
상기 프레임의 수직벽사이에 제 1 가이드부재 양측으로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롤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롤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재의 슬라이딩판에 설치되는 제 3 가이드롤을 갖춘 코일 가이드부로서 구성되는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1)를 도시하고 있는데,이와 같은 장치(1)는 크게 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부(10)와, 이를 통하여 인입되는 코일 불량부(2)를 차후에 권선토록 벤딩하는 벤딩부(20)와, 벤딩된 코일 불량부(2)를 롤형태로 권선하는 권선부(30) 및, 권선되는 코일 불량부(2)를 가이드하는 코일 가이드부(40)로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들 구성을 각각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 에서는 상기 베이스부(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상기 베이스부(10)는, 양측 수직벽(12)을 갖추고 내측에는 코일 불량부(2)가 인입되는 가이드테일블(14)이 설치되는 프레임(16)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의 프레임(16)은 양측으로 수직벽(12)일체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정면에서 볼때 U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6)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테이블(14)은 내측으로 코일 불량부(2)가 인입되고 단부에서 인출되는 2단의 가이드테이블(14a)(14b)로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6)의 중앙에는 벤딩롤(22)을 통한 코일 불량부(2)가 권선부(30)측으로 인출되는 개구(16a)가 형성된다.
다음, 도 2 및 도 3 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벤딩부(20)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벤딩부(20)는 상기 프레임(16)의 하측으로 상기 가이드 테이블(14)을 통한 코일 불량부(2)를 벤딩토록 설치되는 다수의 벤딩롤(22)을 구비하는데, 상기 벤딩롤(22)은 상기 프레임(16)의 하측으로 수직 설치된 제 1 실린더(24)로서 승,하강하는 이동블록 (26)상에 이동식으로 설치된 다수의 하부 벤딩롤(22a)과, 그 상측으로 프레임(16)에 고정식으로 설치된 하나의 상부 벤딩롤(22b)로서 구성된다.
한편, 중요한 것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벤딩롤(22)의 코일 불량부(2) 배출부분은 프레임(16)의 개구(16a)와 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 도 2 및 도 3에서는 벤딩부(20)에서 벤딩된 코일 불량부를 롤형태로 권선하는 코일 권선부(3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권선부(30)는 상기 프레임(16)의 수직벽(12)에 회전 가능토록 횡설된 고정아암(40)을 중심으로 대향하여 호형으로 신장하며 서로 간격 조정토록 설치되는 제 1,2 가이드부재 (32)(34)를 갖추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4)의 내측에는 코일 불량부(2)를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판(38)이 모터 구동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 권선부(30)의 고정아암(40)은 상기 수직벽(12)에 설치된 고정대(12a)에 일단부에 연결된 제 2 실린더(32a)로서 회전 가능토록 횡설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재(32)는 상기 고정아암(40)에 단부가 용접 결합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재(32)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4)와 연결되어 가이드부재의 간격을 조정토록 하는 제 3 실린더(36)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4)에는 상기 슬리이딩판(38)이 삽입되는 단면이 T자 형상인 가이드홈(34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4)의 가이드홈(34a)을 통하여 삽입된 슬라이딩판(38)는, 그 상부에 상기 가이드부재(34)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39a)의 구동기어(39b)가 맞물리는 랙기어(38a)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 작동시 제 2 가이드부재(34)를 따라 승,하강토록 설치된다.
다음, 도 2 및 도 3 에서는 상기 가이드부(4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가이드부(40)는 상기 프레임(10)의 수직벽사이에 제 1 가이드부재(32) 양측으로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롤(42)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롤(46)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4)의 슬라이딩판(38)에 설치되는 제 3 가이드롤(48)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연강판의 제조시 표면결함등으로 불량 제조된 코일 불량부(2)를 시트형상으로 여러게를 절단하여 처리하지 않고 롤형태로 권선하여 많은 양의 코일 불량부(2)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운반 및 재투입작업을 용이하게 한 본 발명인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오프릴(50)에서 코일(C)의 강판(2')이 풀리면 코일 필러(52)와 테이블(54)을 통하여 가이드 테이블(56)사이에 인입되어 코일불량부(2)를 고정하면, 다음에 설명하듯이 코일 불량부(2)의 권선이 완료되어 일정 중량으로 감긴 롤형태의 코일 불량부(2)가 형성되면, 절단부(58)를 작동시키어 코일 불량부(2)를 절단한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은 경로를 통하여 이송되는 코일 불량부(2)의 선단부는 장치(1)의 베이스부 프레임(16)에 설치된 2단 가이드테이블(14a)(14b) 사이에 인입되어 상기 프레임(16)의 중앙부분 하측으로 설치된 벤딩롤(22)사이에 진입한다.
또한,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벤딩롤(22) 즉, 2개의 하부벤딩롤(22a)과 하나의 상부 벤딩롤(22b)을 통하여 코일 불량부(2)는 계속적으로 이송되면서 벤딩되는데, 이때 중요한 것은 상기 하부 벤딩롤(22a)은 제 1 실린더(24)와 연결되어 있고, 결국 상기 실린더(24)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상,하부 벤딩롤(22a)(22b)의 가압력이 조정될 수 있는 것인데, 이는 코일 강판(2)의 두께에따라 적정한 벤딩력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 상기 벤딩롤(22)을 통하여 벤딩된 코일 불량부(2)의 선단부는 상기 프레임(16)에 형성된 개구(16a)를 통하여 상승하는데, 상기 프레임(16)의 수직벽(12)상의 고정대(12a)사이에 횡설된 고정아암(40)은 그 일단부에 설치된 제 2 실린더(32a)로서 회전하면서 이에 단부가 용접 결합된 제 1 가이드부재(32)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 1 가이드부재(32)의 전방으로 단부가 상기 고정아암(40)에 고정된 제 2 가이드부재(34)는 제 3 실린더(36)로 연결된다.
따라서, 코일 불량부(2)가 프레임 개구(16a)인출되기 전에 상기 제 2 ,3 실린더(32a)(36)가 작동하여 호형으로 형성되어 고정아암(4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신장된 제 1,2 가이드부재(32)(34)는 하강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결국, 상기 제 1,2 가이드부재(32)(34)는 하나의 원을 이루면서 그 내측으로 프레임(16)의 개구(16a)를 통하여 벤딩롤(22)로서 벤딩된 코일 불량부(2)는 상기 제 1,2 가이드부재(32)(34)의 내측에서 계속적으로 권선되어 롤형태의 코일 불량부(2)를 만드는 것이다.
이때, 도 2 및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4)에 T자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34a)에는 슬라이딩판(38)이 삽입되는데, 상기 가이드홈(34a)과 슬라이딩판(38) 모두는 호형인 가이드부재(34)에 맞추어 호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4)의 가이드홈(34a)을 통하여 삽입된 슬라이딩판(38)은 상기 가이드부재(34)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39a)의 구동기어(39b)가 맞물리는 랙기어(38a)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모터 작동시 상기 슬라이딩판 (38)은 제 2 가이드부재(34)를 따라 승,하강토록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불량부(2)가 롤형태로 권선되는 중에는 상기 슬라이딩판(38)은 모터 구동으로 하강하여 프레임(16)의 내부 바닥부분까지 신장되어 코일의 권선작동을 가이드하고, 반대로 코일 불량부(2)의 권선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제 1 가이드부재(32)의 실린더(36)가 작동하여 제 2 가이드부재(34)는 상승됨과 동시에, 슬라이딩판(38)도 상승하여 롤형태의 코일 불량부(2)가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코일 불량부(2)의 권선작업은 벤딩되는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이송되면서 권선되는데, 이와 같은 권선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수직벽(12) 사이로 제 1 가이드부재(32) 양측에는 제 1 가이드롤(42)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중앙부분에는 제 2 가이드롤(46)을 장착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4)의 슬라이딩판(38)에는 제 3 가이드롤(48)을 설치한다.
결국, 상기 3개의 가이드롤(42)(44)(46)로서 코일 불량부(2)는 보다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권선되고, 이는 종래 시트형상으로 코일 불량부를 처리하는 것에 비하여, 한번에 많은 양의 코일 불량부(2)를 처리할 수 있어 보다 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한편, 도면에서는 별도의 부호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프레임(16)의 후방에는 권선된 롤 형태의 코일 불량부(2)를 배출시키도록 실린더로서 이동하는 가이드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에 의하면, 냉연강판의 제조시 코일 불량부분들을 개별적인 시트형상으로 처리하지 않고 롤형태로 감아서 많은 양의 코일 불량부를 한번에 처리토록 함으로써, 코일 불량부의 처리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코일 불량부의 재투입 및 운반등의 작업도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코일 불량부(2) 처리장치(1)에 있어서,
    양측 수직벽(12)을 갖추고 내측에는 코일 불량부(2)가 인입되는 가이드테일블(14)이 설치되는 프레임(16)을 구비하는 베이스부(10); 와,
    상기 프레임(16)의 하측으로 상기 가이드 테이블(14)을 통한 코일 불량부(2)를 벤딩토록 설치되는 다수의 벤딩롤(22)을 갖는 코일 벤딩부(20); 와,
    상기 프레임(16)의 수직벽(12)에 회전 가능토록 횡설된 고정아암(40)을 중심으로 대향하여 호형으로 신장하며 서로 간격 조정토록 설치되는 제 1,2 가이드부재 (32)(34)를 갖추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4)의 내측에는 코일 불량부(2)를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판(38)이 모터 구동토록 설치되는 코일 권선부 (30); 및,
    상기 프레임(10)의 수직벽사이에 제 1 가이드부재(32) 양측으로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롤(42)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롤 (46)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4)의 슬라이딩판(38)에 설치되는 제 3 가이드롤 (48)을 갖춘 코일 가이드부(40); 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의 프레임(16)은 양측으로 수직벽(12)일체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정면에서 볼때 U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6)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테이블(14)은 내측으로 코일 불량부(2)가 인입되고 단부에서 인출되는 2단의 가이드테이블(14a)(14b)로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6)의 중앙에는 벤딩롤(22)을 통한 코일 불량부(2)가 권선부(30)측으로 인출되는 개구(16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벤딩부(20)의 벤딩롤(22)은, 상기 프레임(16)의 하측으로 수직 설치된 제 1 실린더(24)로서 승,하강하는 이동블록 (26)상에 이동식으로 설치된 다수의 하부 벤딩롤(22a)과, 그 상측으로 프레임(16)에 고정식으로 설치된 하나의 상부 벤딩롤(22b)로서 구성되고,
    상기 벤딩롤(22)의 코일 불량부(2) 배출부분은 프레임(16)의 개구(16a)와 통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권선부(30)의 고정아암(40)은 상기 수직벽(12)에 설치된 고정대(12a)에 일단부에 연결된 제 2 실린더(32a)로서 회전 가능토록 횡설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재(32)는 상기 고정아암(40)에 단부가 용접 결합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재(32)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4)와 연결되어 가이드부재의 간격을 조정토록 하는 제 3 실린더(36)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4)에는 상기 슬리이딩판(38)이 삽입되는 단면이 T자 형상인 가이드홈(3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2)의 가이드홈(32a)을 통하여 삽입된 슬라이딩판(38)는, 그 상부에 상기 가이드부재(32)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39a)의 구동기어(39b)가 맞물리는 랙기어(38a)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 작동시 제 2 가이드부재(34)를 따라 승,하강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KR1020000052965A 2000-09-07 2000-09-07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KR200200197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965A KR20020019768A (ko) 2000-09-07 2000-09-07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965A KR20020019768A (ko) 2000-09-07 2000-09-07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768A true KR20020019768A (ko) 2002-03-13

Family

ID=1968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965A KR20020019768A (ko) 2000-09-07 2000-09-07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976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867B1 (ko) * 2001-07-20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박물열연코일 선단부의 불량부 제거 장치
KR100748130B1 (ko) * 2001-10-31 2007-08-10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인출장치
KR100752922B1 (ko) * 2006-06-05 2007-08-28 주식회사 포스코 미니밀 열연 압연코일의 말단부 불량 교정장치
KR100862776B1 (ko) * 2002-07-23 2008-10-13 주식회사 포스코 텐션릴상의 불량코일 인출장치
KR101010617B1 (ko) * 2003-08-21 2011-01-24 주식회사 포스코 좌우유동과 회전이 가능한 브러쉬가 취부된 산화마그네슘파우더 흡입장치
KR101419397B1 (ko) * 2012-12-27 2014-07-1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박스의 벤딩롤 갭 제어방법
KR102025690B1 (ko) * 2018-08-09 2019-09-2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권취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867B1 (ko) * 2001-07-20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박물열연코일 선단부의 불량부 제거 장치
KR100748130B1 (ko) * 2001-10-31 2007-08-10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인출장치
KR100862776B1 (ko) * 2002-07-23 2008-10-13 주식회사 포스코 텐션릴상의 불량코일 인출장치
KR101010617B1 (ko) * 2003-08-21 2011-01-24 주식회사 포스코 좌우유동과 회전이 가능한 브러쉬가 취부된 산화마그네슘파우더 흡입장치
KR100752922B1 (ko) * 2006-06-05 2007-08-28 주식회사 포스코 미니밀 열연 압연코일의 말단부 불량 교정장치
KR101419397B1 (ko) * 2012-12-27 2014-07-1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박스의 벤딩롤 갭 제어방법
KR102025690B1 (ko) * 2018-08-09 2019-09-2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권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27103A (en) Means for processing strip metal
US4632326A (en) Coil handling apparatus
KR20020019768A (ko)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KR20210115952A (ko) 철판 슬릿팅 절단장비
US2775151A (en) Metal working apparatus
US6959578B2 (en) Multi-row rolling mills, methods of operating these mills, and rolling equipment using the mills
US3700157A (en) Apparatus for feeding strip-like material to a processing apparatus
KR102309248B1 (ko) 철판 슬릿팅 절단장비의 사이드 가이드
KR20090065653A (ko) Sts 냉연코일의 선단 안내장치
JPS62275507A (ja) アルミ箔用母材の製造装置
JP2013006187A (ja) 短尺材の圧延装置及び短尺材の圧延方法
RU2330741C2 (ru) Профилегибочный агрегат
JPH0747417A (ja) ユニバ−サル圧延機用ガイド装置
JPH03234318A (ja) 熱延板先端曲がりの矯正方法および装置
CN218191785U (zh) 一种卷材开卷辅助平整装置
CN216151168U (zh) 一种不锈钢卷板加工用车床
CN210876829U (zh) 多辊轧机不锈钢带自动对中上卷装置
CN215902462U (zh) 一种推拉及连续两用的带钢表面清理生产线
WO2023286486A1 (ja) デフレクターロール及びそのデフレクターロールを用いた鋼板の製造方法
JP2833956B2 (ja) コイル払い出し装置
KR100752922B1 (ko) 미니밀 열연 압연코일의 말단부 불량 교정장치
CN215920597U (zh) 一种铜箔分切机防断箔装置
JPH01181912A (ja) 難加工金属箔帯の圧延設備
JP6825599B2 (ja) 金属帯先端部の通板方法および装置
KR0114096Y1 (ko) 디플렉터 롤의 스토퍼 삽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