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890A -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 - Google Patents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890A
KR20020018890A KR1020000052189A KR20000052189A KR20020018890A KR 20020018890 A KR20020018890 A KR 20020018890A KR 1020000052189 A KR1020000052189 A KR 1020000052189A KR 20000052189 A KR20000052189 A KR 20000052189A KR 20020018890 A KR20020018890 A KR 20020018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information
call
user
text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6328B1 (ko
Inventor
오양근
Original Assignee
오양근
에오싸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양근, 에오싸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양근
Priority to KR10-2000-0052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328B1/ko
Publication of KR20020018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3Telephone terminals interfacing a personal computer, e.g. us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화기의 신호선을 컴퓨터에 접속하여 통화중의 음성신호가 신호검출부에 검출되도록 하고,
상기의 검출된 음성신호를 음성-문자 변환부에서 문자의 파일정보로 변환하여 메모리의 제 1 영역에 통화일시와 함께 일시 저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요구가 있으면, 콘트롤러에서 상기의 제 1 영역에 저장된 문자의 파일정보를 읽어내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여 읽어낸 문자의 파일정보에 대해 일부를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작업을 하면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는 문자편집부에서 이를 인식하여 통화내용이 메모의 형식으로 편집하도록 하고,
상기의 편집이 완료된 파일정보를 다시 메모리의 제 2 영역에 저장하여 필요한 때 읽어내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화시에 주고받는 주요한 약속이나 정보가 메모가 안되어 낭패를 겪게 되는 불편을 없앨 수 있으며 전화통화시 별도의 메모를 위한 준비를 갖추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Saving device and method through the dialing}
본 발명은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에 연결된 전화로 통화하는 중에 음성신호를 문자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여 나중에 통화내용을 다시 읽어내어 정리하면서 메모리에 정리된 문자파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화통화시에 주고받는 주요한 약속이나 정보가 메모가 안되어 낭패를 겪게 되는 불편을 없앨 수 있으며 통화시별도의 메모를 위한 준비를 갖추지 않도록 한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거의 모든 사람들이 전화를 이용하여 안부를 전하거나 또는 중요한 약속이나 안내를 전달하면서 일일이 문서를 송달하는 데에 따르는 불편을 줄이고 있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전화는 간단한 다이얼링에 의해 통화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통화가 가능하므로 부고나 청첩은 물론 모임을 위한 약속까지 전화를 이용하여 전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한국특허 제236930호(통화중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에 의하여 알려주는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이동통신 기지국, 이동통신 교환기 및 통화내용 녹음장치들로 구성하되,
이동단말기는 일반적인 단말기를 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 교환기는 호처리 기능이 일부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통화내용 녹음장치는 상기의 이동통신 교환기에 연동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통화내용의 녹음을 요청하거나 정지를 요청함에 따른 명령을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하여 전달받아 녹음과 정지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사용자가 통화도중에 통화내용을 녹음하기를 원하여 특수키이를 온시키면 통화내용 녹음장치는 이동통신 교환기의 명령에 의해 녹음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에는 녹음의 시작에 따른 신호음을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한다.
상기의 사용자가 녹음의 정지를 위한 특수키이를 온시키면 통화내용 녹음장치는 이동통신 교환기의 명령에 의하여 통화의 내용을 녹음하던 상태를 중지하는 동시에 녹음의 정지에 따른 신호음을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통화중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은 일반적인 녹음장치를 이용하여 통화중의 녹음 내용을 녹음하였다가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많은 통화내용중 원하는 내용만 녹음할 수 없어 전체의 통화내용을 모두 녹음하였다가 재생할 때 골라서 들어야 하거나,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가 녹음의 상태를 일일이 조절하여야 원하는 내용만 녹음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녹음된 내용을 자신만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파일로 저장할 수가 없어 통화내용에 의한 약속으로 스케줄을 관리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 연결된 전화로 통화하는 중에 음성신호를 문자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여 나중에 통화내용을 다시 읽어내어 정리하면서 메모리에 정리된 문자파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화시에 주고받는 주요한 약속이나 정보가 메모가 안되어 낭패를 겪게 되는 불편을 없앨 수 있으며 전화통화시 별도의 메모를 위한 준비를 갖추지 않도록 한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기의 신호선이 컴퓨터를경유하도록 하여 통화중의 음성신호가 컴퓨터의 신호검출부에 검출되도록 하고,
상기의 검출된 음성신호인 아날로그신호를 음성-문자 변환부에서 문자의 파일정보로 변환하도록 하고,
상기 문자의 파일정보를 메모리의 제 1 영역에 통화일시와 함께 일시 저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요구가 있으면, 이를 인식한 콘트롤러에서 상기의 제 1 영역에 저장된 문자의 파일정보를 읽어내도록 하고,
읽어낸 문자의 파일정보에 대해 일부를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작업을 하면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는 문자편집부에서 이를 인식하여 통화내용이 메모의 형식으로 편집하도록 하고,
상기의 편집이 진행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통하여 모니터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면서 편집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편집이 완료된 파일정보를 다시 메모리의 제 2 영역에 저장하여 필요한 때 읽어내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화시에 주고받는 주요한 약속이나 정보가 메모가 안되어 낭패를 겪게 되는 불편을 없앨 수 있으며 전화통화시 별도의 메모를 위한 준비를 갖추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작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화기 3 : 컴퓨터
4 : 신호 검출부 5 : 음성-문자 변환부
6 : 메모리 9 : 콘트롤러
10 : 문자편집부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전화기(1)의 신호선(2)이 컴퓨터(3)를 경유하도록 하여 통화중의 음성신호가컴퓨터(3)의 신호검출부(4)에 검출되도록 하고,
상기의 검출된 음성신호인 아날로그신호를 음성-문자 변환부(5)에서 문자의 파일정보로 변환하도록 하고,
상기 문자의 파일정보를 메모리(6)의 제 1 영역(6a)에 통화일시와 함께 일시 저장하도록 하고,
키보드(7)나 마우스(8)의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요구가 있으면, 이를 인식한 콘트롤러(9)에서 상기의 제 1 영역(6a)에 저장된 문자의 파일정보를 읽어내도록 하고,
읽어낸 문자의 파일정보에 대해 키보드(7)의 입력키를 사용하면서 내용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작업을 하면 콘트롤러(9)의 제어를 받는 문자편집부(10)에서 문자의 파일정보를 수정하면서 통화내용을 메모의 형식으로 편집하도록 하고,
상기의 편집이 진행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 구동부(11)를 통하여 모니터(12)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면서 편집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편집이 완료된 파일정보를 다시 메모리(6)의 제 2 영역(6b)에 저장하여 필요한 때 읽어내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은 통화하는 음성신호를 문자의 데이터로 메모리에 저장하여 나중에 통화내용을 읽어서 정리하면서 문자파일로 저장함으로써 주요한 약속이나 정보를 별도로 메모하지 않도록 한 것으로서,
전화기(1)의 신호선(2)이 컴퓨터(3)를 경유하도록 하면서 음성신호가 신호검출부(4)에 검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화기(1)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걸려온 전화를 받고자 하면(단계 21) 전화기(1)의 송수화기를 들고 형성된 통화로를 통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하도록 한다(단계 22).
상기의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음성신호와 함께 상대방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음성신호가 컴퓨터(3)의 신호검출부(4)에 검출되도록 한다(단계 23).
상기의 신호검출부(4)에서 검출된 음성신호는 아날로그신호이므로 이를 전달받은 음성-문자 변환부(5)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다시 디지털의 음성신호를 문자의 파일정보로 변환하도록 한다(단계 24).
상기 문자의 파일정보를 통화일시, 통화를 한 순번 등의 정보와 함께 메모리(6)의 제 1 영역(6a)에 일시 저장하도록 한다(단계 25).
사용자가 상기의 파일정보를 편집하기 위하여 키보드(7)나 마우스(8)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편집의 모드를 선택하면(단계 26), 이를 인식한 콘트롤러(9)에서 메모리(6)의 제 1 영역(6a)에 저장된 문자의 파일정보를 읽은 후(단계 27) 디스플레이 구동부(11)를 통하여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단계 28).
그리고 디스플레이된 문자의 파일정보에 대해 사용자가 수정의 모드로 전환하면(단계 29),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된 파일정보에 대해 키보드(7)의 입력키를 사용하여 내용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단계 30).
사용자가 삭제키이로 파일정보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수정/삽입키이를 선택적으로 온시키면서 내용을 수정하면(단계 31), 콘트롤러(9)에서 삭제나 수정에 대한 정보를 인식한 상태에서 문자편집부(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문자의 파일정보가 수정되어 통화내용이 메모의 형식으로 편집되도록 하고(단계 32) 그 상태가 모니터(12)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단계 33).
상기 파일정보의 편집을 완료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저장키이를 온시키면(단계 34), 사용자가 파일명의 정정을 원하는 가를 묻는 디스플레이를 하고(단계 34),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선택한 파일명으로 정정할 수 있도록한 후(단계 35), 다시 메모리(6)의 제 2 영역(6b)에 저장하도록 한다(단계 36).
그러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때 비밀번호를 입력시키면서(단계 37), 파일정보의 출력을 요구하면(단계 38) 이를 인식한 콘트롤러(9)에서 상기 메모리(6)의 제 2 영역(6b)에 저장된 파일정보를 읽어내어(단계 39) 디스플레이 구동부(11)를 통해 모니터(12)에 표시함으로서 사용자가 확인하거나 삭제 또는 정정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40).
따라서 본 발명의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에 의하여서는 전화기의 신호선을 컴퓨터에 접속하여 통화중의 음성신호가 신호검출부에 검출되도록 하고,
상기의 검출된 음성신호를 음성-문자 변환부에서 문자의 파일정보로 변환하여 메모리의 제 1 영역에 통화일시와 함께 일시 저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요구가 있으면, 콘트롤러에서 상기의 제 1 영역에 저장된 문자의파일정보를 읽어내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여 읽어낸 문자의 파일정보에 대해 일부를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작업을 하면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는 문자편집부에서 이를 인식하여 통화내용이 메모의 형식으로 편집하도록 하고,
상기의 편집이 완료된 파일정보를 다시 메모리의 제 2 영역에 저장하여 필요한 때 읽어내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화시에 주고받는 주요한 약속이나 정보가 메모가 안되어 낭패를 겪게 되는 불편을 없앨 수 있으며 전화통화시 별도의 메모를 위한 준비를 갖추지 않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컴퓨터(3)를 경유한 전화기(1)의 신호선(2)을 통하여 전달되는 음성신호가 신호검출부(4)에 검출되도록 하고,
    상기의 검출된 음성신호인 아날로그신호를 음성-문자 변환부(5)에서 문자의 파일정보로 변환하도록 하고,
    상기 문자의 파일정보를 메모리(6)의 제 1 영역(6a)에 통화일시 및 순번의 정보와 일시 저장하도록 하고,
    키보드(7)나 마우스(8)의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을 정달받는 콘트롤러(9)에서 저장된 문자의 파일정보를 읽어내어 디스플레이 구동부(11)를 통하여 모니터(12)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문자의 파일정보에 대해 키보드(7)를 사용하면서 내용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작업을 하면 콘트롤러(9)의 제어를 받는 문자편집부(10)에서 문자의 파일정보를 수정하도록 하고,
    편집이 완료된 파일정보를 다시 메모리(6)의 제 2 영역(6b)에 저장하여 필요한 때 읽어내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2. 사용자가 전화기(1)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받고자 하면 통화로를 통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의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음성신호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음성신호가 컴퓨터(3)의 신호검출부(4)에 검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의 신호검출부(4)에서 검출된 음성신호를 음성-문자 변환부(5)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문자의 파일정보로 변환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의 파일정보를 통화일시, 순번의 정보와 함께 메모리(6)의 제 1 영역(6a)에 일시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편집의 모드를 선택하면, 콘트롤러(9)에서 메모리(6)의 제 1 영역(6a)에 저장된 문자의 파일정보를 읽은 후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된 문자의 파일정보에 대해 수정의 모드로 전환하면 상기의 파일정보에 대해 내용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파일정보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수정하면, 콘트롤러(9)에서 삭제나 수정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문자편집부(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내용이 메모의 형식으로 편집되면서 모니터(12)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파일정보의 편집을 완료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명으로 정정할 수 있도록한 후 다시 메모리(6)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파일정보의 출력을 요구하면 상기 메모리(6)의 제 2 영역(6b)에 저장된 파일정보를 읽어내어 디스플레이 구동부(11)를 통해 모니터(12)에 표시함으로서 사용자가 확인하거나 삭제 또는 정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들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방법.
KR10-2000-0052189A 2000-09-04 2000-09-04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 KR100396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189A KR100396328B1 (ko) 2000-09-04 2000-09-04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189A KR100396328B1 (ko) 2000-09-04 2000-09-04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890A true KR20020018890A (ko) 2002-03-09
KR100396328B1 KR100396328B1 (ko) 2003-09-02

Family

ID=1968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189A KR100396328B1 (ko) 2000-09-04 2000-09-04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3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314A (ko) * 2001-06-23 2003-01-06 박인표 음성인식을 이용한 전화통화내용 메모 시스템
KR20040023003A (ko) * 2002-09-10 2004-03-18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컴퓨터를 이용한 유무선전화기의 통화정보관리 장치 및 방법
CN105979058A (zh) * 2016-04-29 2016-09-28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语音内容记录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2358A (ja) * 1983-11-22 1985-06-18 Tamura Electric Works Ltd 公衆電話機のデ−タ設定方法
KR0142947B1 (ko) * 1995-08-10 1998-08-01 김광호 무선호출수신기에서 삭제된 호출메세지 복구방법
KR970056628A (ko) * 1995-12-08 1997-07-31 김광호 메모리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00040307A (ko) * 1998-12-17 2000-07-05 윤종용 대용량 전화번호부 저장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314A (ko) * 2001-06-23 2003-01-06 박인표 음성인식을 이용한 전화통화내용 메모 시스템
KR20040023003A (ko) * 2002-09-10 2004-03-18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컴퓨터를 이용한 유무선전화기의 통화정보관리 장치 및 방법
CN105979058A (zh) * 2016-04-29 2016-09-28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语音内容记录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6328B1 (ko)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1508B2 (en) Method an apparatus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a remote telephone to a text signal
US6708152B2 (en) User interface for text to speech conversion
US7050573B2 (en) Method of generating ring tones using melody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100396328B1 (ko)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
KR960032462A (ko) 전화기능을 갖는 비데오플레이어
JP2003198716A (ja) 携帯電話機
KR100395321B1 (ko) 이동통신단말기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문장편집 방법
KR19990011394A (ko) 특정인에게 특정 메시지 송출 자동응답전화기 및 그 방법
JPS62248356A (ja) 通信システム
KR20060096686A (ko) 휴대폰을 이용한 녹음방법
JPH05103076A (ja) 留守番電話装置
KR20030018950A (ko) 이동전화 단말기를 녹음기로 사용하는 방법
KR100238704B1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특정 음성 메시지 보존 방법
JP3307171B2 (ja) 音声蓄積装置
JP2653548B2 (ja) 留守番電話機
KR100218701B1 (ko) 자동응답기의 특정인을 위한 응답메세지 전송방법
JPS6218858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4165850A (ja) 留守番電話
KR970000673B1 (ko) 자동응답전화기의 메시지입력 및 송출제어방법
KR19990051181A (ko) 휴대단말기의 간단한 음성메모 녹음 및 재생방법
JP2001069199A (ja) 着信音出力機能付き携帯端末機
KR200295464Y1 (ko) 휴대전화용 이어폰형 핸즈프리용 녹음 모듈
KR20020078519A (ko) 통화내용 자동녹음장치 및 그 방법
JP2000138742A (ja) 電話機能を有する端末装置
KR970068401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녹음 메세지 비밀보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