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292A -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292A
KR20020018292A KR1020000051541A KR20000051541A KR20020018292A KR 20020018292 A KR20020018292 A KR 20020018292A KR 1020000051541 A KR1020000051541 A KR 1020000051541A KR 20000051541 A KR20000051541 A KR 20000051541A KR 20020018292 A KR20020018292 A KR 20020018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irror
cable
condensing
ref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경
박두숙
Original Assignee
조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경 filed Critical 조재경
Priority to KR1020000051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8292A/ko
Publication of KR20020018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2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llecting or concentrating the sunlight, e.g. parabolic reflectors or Fresnel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7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transmitting light into the interior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사된 광을 수렴되게 반사할 수 있도록 반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집광거울과; 가요성을 가지며 내부에 광이 전달될 수 있도록 광경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광을 조사하고자 하는 대상영역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대상영역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광전달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중량이 적고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 및 설치를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간편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PORTABLE SUNBEAM GUIDANCE IRRADI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중량이 적고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 및 설치를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간편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광이 조사되지 않은 건물의 지하실, 건물 및 가옥의 내부중 북측 공간 등을 비롯한 응달과, 이불 및 의류 등이 수용보관되는 장롱속, 가구의 저부영역 등에는 주변영역에 비해 습기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곰팡이를 비롯한 각종 세균 등이 서식하게 되어 비위생적으로 되기 쉽다. 특히, 외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고온다습한 여름철 등에 있어서는 호흡기질환 등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일광에 노출된 영역으로부터 채광하여 응달영역으로 일광을 전달 및 조사할 수 있도록 한 소위 “히마와리”라고 하는 일광유도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일광유도조사장치는, 채광을 위한 다수의 렌즈로 구성되는 집광기와, 집광기로부터의 광을 대상영역에 전달하는 광섬유로 된 광전달케이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일광유도조사장치는, 집광기가 다수의 광학렌즈로 구성되어 있어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울 뿐만 아니라,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가격이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설치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중량이 적고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 및 설치를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간편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의 광전달경로에 따른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광전달케이블의 유입부영역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1의 광확산거울영역의 확대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광확산거울영역의 조립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1의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의 도 2에 대응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집광거울 21 : 집광거울하우징
28 : 광전달케이블지지부 31 : 집광거울커버
41 : 광전달케이블 43 : 집속렌즈
48 : 광확산거울 51 : 광확산거울하우징
52 : 원추구간부 53 : 소구경부
54 : 대구경부 57 : 광확산거울커버
62 : 광확산렌즈 64 : 필터부재
65 : 스탠드 71 : 반사거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사된 광을 수렴되게 반사할 수 있도록 반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집광거울과; 가요성을 가지며 내부에 광이 전달될 수 있도록 광경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광을 조사하고자 하는 대상영역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대상영역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광전달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집광거울의 적어도 일영역을 수용지지하는 집광거울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광거울의 반사면을 외부에 대해 차단하도록 상기 집광거울의 상측에 배치되는 투명강성부재로 된 집광거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경로에 대해 상기 집광거울과 상기광전달케이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유입측으로 반사하는 반사거울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거울은 상기 집광거울에 대해 상대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집광거울하우징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집광거울에 대해 상향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광전달케이블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전달케이블지지부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일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광전달케이블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전달케이블지지부는 상기 집광거울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집광거울의 중앙영역에는 상기 반사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광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의 경로에 대해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유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이 수렴하도록 통과시킴으로써 통과된 광이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광집속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광의 경로에 대해 후방영역으로 향할수록 확장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반사면을 가지고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유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전달케이블를 경유한 광이 확산되도록 하는 광확산거울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광확산거울은 상기 광전달케이블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광확산거울은 상기 광의 경로에 대해 후방영역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대되는 절두된 원추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의 경로에 대해 상기 광확산거울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전달케이블로부터의 광이 확산되도록 통과시키는 광확산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경로중에 배치되어 일부 대역의 파장의 광을 차단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의 광전달경로에 따른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광전달케이블의 유입부영역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광확산거울영역의 확대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광확산거울영역의 조립상태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는, 일광이 수렴되게 반사할 수 있도록 중앙영역이 하향만곡된 반사면(12)을 가지는 집광거울(11)과, 집광거울(11)의 하부영역을 수용지지하는 집광거울하우징(21)과, 일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강성부재로 거의 절단된 구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집광거울(11)을 둘러싸도록 집광거울하우징(21)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집광거울커버(31)와, 내부에 일광을 전달할 수 있도록 광전달경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이 집광거울(11)의 일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일광을 조사하려는 대상영역에 배치되는 광전달케이블(41)과, 광경로에 대해 집광거울(11)과 광전달케이블(41)사이에 배치되어 집광거울(11)로부터 반사된 일광을 광전달케이블(41)로 반사하는 반사거울(7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집광거울하우징(21)은 집광거울(11)의 하부영역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하향만곡된 집광거울안착부(22)가 형성된 사각통형상을 가지며, 집광거울안착부(22)의 둘레영역에는 집광거울커버(31)의 하단을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면으로부터 하향함몰된 원형고리형상의 커버수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수용부(24)의 둘레영역에는 긴 판상으로 형성된 광전달케이블지지부(28)의 하부영역을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용지지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집광거울커버(31)의 내부 중앙영역에는 반사거울(71)이 하향연장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반사거울(71)의 배후에는 상대운동가능하게 지지로드(34)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다. 지지로드(34)의 타단에는 결합부(32)에 스크류(37)에 의해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브래킷(36)이 형성되어 있다.
광전달케이블(41)은 가요성부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광을 반사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광반사면(42)이 형성되어 있으며, 광경로에 대해 유입측에는 반사거울(71)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렴되게 통과시킴으로써 광을 집속시키는 집속렌즈(43)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집속렌즈(43)는 내부에 광전달케이블(41)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관상부재로 형성되어 집속렌즈(43)를 광전달케이블(41)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하는 집속렌즈하우징(44)의 타단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집속렌즈하우징(44)의 내부에는광전달케이블(41)의 삽입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내경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톱퍼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집속렌즈하우징(44)는 광전달케이블지지부(28)의 상부영역에 관통형성된 수용부(29)의 내부에 수용결합됨으로써 반사거울(71)로부터 반사된 일광을 광전달케이블(4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광전달케이블(41)의 타단에는 유출되는 일광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절두된 원추형상을 가지는 광확산거울(50)을 구비한 광확산거울조립체(48)이 배치되어 있다. 광확산거울조립체(48)는, 광확산거울(50)과, 광확산거울(50)의 둘레영역에는 광확산거울(50)을 수용지지하는 광확산거울하우징(51)을 가진다. 광확산거울하우징(51)은 내부에 광확산거울(5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절두된 원추형상을 가지는 원추구간부(52)와, 원추구간부(52)의 일측에 형성되는 소구경부(53)와, 소구경부(53)의 대향측에 형성되는 대구경부(54)로 이루어져 있다.
대구경부(54)측 단부에는 내부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광확산거울커버(57)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광확산거울커버(57)의 일단에는 유리 등의 투명강성부재(59)가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의 내경면에는 소정의 암나사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광확산거울하우징(51)의 대구경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55)가 형성되어 있다.
광확산거울하우징(51)의 소구경부(53)의 내부에는 광전달케이블(41)의 유출측 단부가 소정 삽입결합되며, 광경로에 대해 광전달케이블(41)의 후방영역에는 광전달케이블(41)로부터 전달된 일광이 확산될 수 있도록 광확산렌즈(62)가 수용결합되어 있다. 광전달케이블(41)의 유출측 단부와 광확산렌즈(62)사이에는 광전달케이블(41)로부터 전달된 일광중의 자외선 등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64)가 수용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필터부재(64)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여러 개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 또는 대상영역을 자외선 등을 이용하여 살균/소독하고자 하는 경우는 필터부재(64)를 광확산거울하우징(51)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소구경부(53)의 외부에는 광확산거울하우징(51)을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스탠드(65)가 결합되어 있으며, 스탠드(65)는 높이조절 및 방향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먼저 이들을 결합하고자 할 때는, 집광거울(11)의 하부영역이 수용지지될 수 있도록 집광거울하우징(21)의 집광거울안착부(22)에 안착지지되도록하고, 집광거울커버(31)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부(32)에 반사거울(71)을 결합한다. 다음, 광전달케이블(41)지지부의 유입측 단부에 집속렌즈(43)를 결합하고, 타단에는 내부에 광확산렌즈(62) 및 필터부재(64)가 각각 수용결합된 광확산거울하우징(51)의 소구경부(53)를 결합한다. 이 때, 광확산거울하우징(51)의 원추구간부(52)의 내부에는 광확산거울(50)이 수용되며 대구경부(54)에는 광확산거울커버(57)가 결합되어 있다.
광전달케이블(41)의 결합이 완료되면 유입측 단부에 결합된 집속렌즈하우징(44)를 광전달케이블지지부(28)의 상부영역에 관통형성된 수용부(29)내에 삽입결합하고, 반사거울(71)의 반사면이 집속렌즈(43)를 향하도록 조절한다.
다음, 본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대상물에 일광을 조사하고자 할 때는, 집광거울(11)을 일광에 노출되는 영역에 설치하고 광전달케이블(41)의 유출측 단부를 침대 등의 대상물(67)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 광확산거울하우징(51)의 소구경부(53)를 스탠드(65)에 고정결합하고, 광축선이 일광을 조사하려는 대상물(67)에 위치될 수 있도록 스탠드(65)의 높이 및 방향을 조절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의 도 2에 대응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광이 수렴하도록 반사면(12)이 형성되어 있는 집광거울(11)과, 집광거울(11)을 수용지지하는 집광거울하우징(21)과, 투명강성부재로 형성되는 거의 절단된 구체형상의 집광거울커버(31)와, 내부에 광전달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광전달케이블(41)과, 집광거울(11)과 광전달케이블(41)사이에 개재되어 집광거울(11)로부터 반사된 일광을 광전달케이블(41)의 유입측으로 반사하는 반사거울(8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집광거울(11)의 중앙영역에는 반사거울(81)로부터 반사된 일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광통과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집광거울안착부(22)의 중앙영역에는 광전달케이블(41)의 유입측 단부가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27)이 형성되어 있다.
반사거울(81)은 집광거울커버(31)의 내부에 중앙영역에 형성된 결합부(32)에반사면(82)이 집광거울(11)의 중앙영역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반사거울(81)은 일광이 수렴되게 반사할 수 있도록 반사면(82)은 오목하게 상향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광전달케이블(41)의 유입측 단부에 결합되는 집속렌즈하우징(44)의 둘레영역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스크류(47)에 의해 집광거울안착부(22)의 하단에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46)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집광거울(11)의 반사면(12)으로부터 수렴되도록 반사된 일광은 반사거울(81)의 오목한 반사면(82)에 의해 다시 수렴되게 집광거울(11)의 중앙영역으로 반사되어 광통과공(13)을 통과하여 광전달케이블(41)의 유입측 단부에 배치된 집속렌즈(43)를 통과하면서 집속되어 광전달케이블(41)의 내부로 유입된다. 광전달케이블(41)의 내부로 유입된 빛은 반사면(42)에 의해 반사되어 유출측 단부에 배치된 확산거울(50)을 통해 확산되어 대상물에 조사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는, 하향함몰되어 오목한 반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집광거울(11)과, 집광거울(11)의 상측 반사영역에 배치되어 집광거울(11)로부터 반사된 일광을 소정의 각도로 반사하는 반사거울(71)과, 집광거울(11)의 일측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은 일광 조사 대상영역에 배치되어 집광거울(11)로부터 반사되고 반사거울(71)을 경유한 일광을 대상영역에 전달하여 조사하는 광전달케이블(4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집광거울(11)의 하부에는 설치바닥면에 대해 집광거울(11)을 회동지지할 수 있도록 회동지지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영역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플랜지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집광거울(11)의 상측에는 반사면(12)을 외부에 대해 차단할 수 있도록 집광거울커버(31)가 결합되어 있으며, 집광거울커버(31)의 외측에는 복수의 지지부재(17)가 상향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17)는 상단이 상호 수렴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부재(17)의 상단에는 집광거울(11)로부터 반사된 일광을 소정 각도로 반사할 수 있도록 반사거울(71)이 하향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반사거울(71)은 일광의 반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17)의 상부영역에 상대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플랜지부(14)에는 광전달케이블(41)의 유입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광전달케이블지지부재(38)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광전달케이블지지부재(38)는 플랜지부(14)를 수용하여 고정되는 클램프(39a)와, 클램프(39a)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상하 및 좌우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가요성부재로 형성되는 가변부(39b)와, 가변부(39b)의 상단에 형성되어 광전달케이블(41)의 유입측 단부를 착탈가능하게 수용지지하는 케이블결합부(39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클램프(39a)는 거의 “ㄷ”단면형상을 가지며 저부에는 선단이 플랜지부(14)의 저부면에 접촉되어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클램프(39c)의 저부면을 관통하여 조임나사(39d)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광전달케이블(41)의 유입측 단부에는 광집속렌즈(미도시)가 결합되어 있으며, 유출측 단부에는 일광을 조사 대상영역에 확산/조사할 수 있도록 광확산거울조립체(48)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집광거울(11)을 일광에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집광거울(11)의 플랜지부(14)에 광전달케이블지지부재(38)를 결합한다. 광전달케이블지지부재(38)에 광전달케이블(41)의 유입측 단부를 결합하고, 집광거울(11)로부터 반사된 일광이 광전달케이블(41)의 유입측 단부를 향해 반사될 수 있도록 반사거울(71)의 반사각도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집광거울(11)로부터 반사된 일광은 반사거울(71)에 의해 광전달케이블(41)의 유입측 단부로 반사되어 내부로 유입되고, 유출측 단부에 결합된 광확산거울조립체(48)에 의해 확산되어 대상영역으로 조사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는, 하향함몰된 오목한 반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집광거울(11)과, 일단이 집광거울(11)의 상측에 배치되고 타단은 일광의 조사 대상영역에 배치되어 집광거울(11)로부터 반사된 빛을 대상영역으로 전달/조사하는 광전달케이블(4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집광거울(11)은 금속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영역에는 집광거울(11)을 설치바닥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집광거울(11)의 상부영역에는 광전달케이블(41)의 유입측 단부가 집광거울(11)의 중앙영역을 향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집광거울(11)의 상측에는 반사면을 외부에 대해 차단할 수 있도록 절두된 구체형상을 가지도록 투명강성부재로 형성된 집광거울커버(31)가 결합되어 있다.
광전달케이블(41)은 가요성을 가지며 내부에는 유입된 빛이 반사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반사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광전달케이블(41)의 유입측에는 집광거울(11)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렴되게 통과하여 광전달케이블(4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광집속렌즈(미도시)가 결합되어 있으며, 광전달케이블(41)의 유출측에는 원추형상을 가지고 광전달케이블(41)을 경유하여 유출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거울조립체(48)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집광거울(11)을 일광에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집광거울(11)의 중심이 태양을 향하도록 집광거울(11)을 조절한다. 집광거울(11)로부터 수렴되게 반사된 일광은 광집속렌즈를 통과하면서 수렴되어 광전달케이블(41)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출측 단부에 결합된 광확산거울조립체(48)를 통과하여 확산되어 대상영역에 조사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광전달케이블의 유입측에 배치되는 집속렌즈의 직경이 광전달케이블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하고 유입측 단부에 거의 근접되게 배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집속렌즈의 직경이 광전달케이블의 직경에 비해 확장되도록 구성하고 광전달케이블의 유입측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필터부재를 광전달케이블의 유출측 단부영역에 하나만 배치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광전달케이블의 유입측 단부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 수는 필요에 따라 달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전달케이블을 관상부재로 형성하고 내부에 반사면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광전달케이블을 내부에 광화이버(Fiber)로 된 심선을 가지는 광화이버케이블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집광거울이 일광을 수렴되게 반사할 수 있도록 오목한 반사면을 가지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집광거울은 유리거울 또는 금속거울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부재로 반사면에 대응된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표면에 일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반사면을 형성할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반사면이 구면 또는 비구면을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지만, 미세한 평면거울편을 형성하고 상기 각 평면거울편의 반사 광 축선이 수렴되도록 상기 평면거울편을 배치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도 8 및 도 9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집광거울의 하측에 집광거울을 설치바닥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를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지만, 집광거울의 저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집광거울을 지지하는복수의 지지다리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광전달케이블이 집광거울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도 7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반사거울을 오목한 반사면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집광거울의 중앙영역에 광전달케이블의 유입측 단부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광을 모을 수 있도록 다수의 비구면렌즈 등의 광학렌즈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부품수가 증가되고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등 제작 및 설치가 곤란하고 이동이 곤란하던 종래와는 달리, 오목한 반사면을 가지는 집광거울과, 광전달케이블을 마련함으로써,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중량이 적고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는, 렌즈를 사용하던 종래의 일광 유도 조사장치에 비해, 동일한 중량일 경우 대형화가 용이하여 채광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입사된 광을 수렴되게 반사할 수 있도록 반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집광거울과; 가요성을 가지며 내부에 광이 전달될 수 있도록 광경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광을 조사하고자 하는 대상영역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대상영역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광전달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거울의 적어도 일영역을 수용지지하는 집광거울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거울의 반사면을 외부에 대해 차단하도록 상기 집광거울의 상측에 배치되는 투명강성부재로 된 집광거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조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경로에 대해 상기 집광거울과 상기 광전달케이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유입측으로 반사하는 반사거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조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거울은 상기 집광거울에 대해 상대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거울하우징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집광거울에 대해 상향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광전달케이블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전달케이블지지부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일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광전달케이블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케이블지지부는 상기 집광거울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거울의 중앙영역에는 상기 반사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이 통과할 수있도록 광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경로에 대해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유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이 수렴하도록 통과시킴으로써 통과된 광이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광집속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경로에 대해 후방영역으로 향할수록 확장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반사면을 가지고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유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전달케이블를 경유한 광이 확산되도록 하는 광확산거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거울은 상기 광전달케이블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거울은 상기 광의 경로에 대해 후방영역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대되는 절두된 원추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경로에 대해 상기 광확산거울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전달케이블로부터의 광이 확산되도록 통과시키는 광확산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14.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경로에 대해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유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이 수렴하도록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광집속렌즈와; 상기 광의 경로에 대해 후방영역으로 향할수록 확장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반사면을 가지고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유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전달케이블를 경유한 광이 확산되도록 하는 광확산거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15.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경로에 대해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유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이 수렴하도록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광집속렌즈와; 상기 광의 경로에 대해 후방영역으로 향할수록 확장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반사면을 가지고 상기 광전달케이블의 유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전달케이블를 경유한 광이 확산되도록 하는 광확산거울과; 상기 광의 경로에 대해 상기 광확산거울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전달케이블로부터의 광이 확산되도록 통과시키는 광확산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16.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거울로부터 반사된 광경로중에 배치되어 일부 대역의 파장의 광을 차단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KR1020000051541A 2000-09-01 2000-09-01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KR20020018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541A KR20020018292A (ko) 2000-09-01 2000-09-01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541A KR20020018292A (ko) 2000-09-01 2000-09-01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292A true KR20020018292A (ko) 2002-03-08

Family

ID=19686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541A KR20020018292A (ko) 2000-09-01 2000-09-01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82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6984A (zh) * 2022-04-19 2022-06-07 黄梦婷 一种防断芯的智能充电桩用电缆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9443A (ko) * 1982-02-17 1983-12-21 게이 모리 태양광 수집장치(太陽光 收集裝置)
JPS5997461A (ja) * 1982-11-26 1984-06-05 Shinenerugii Sogo Kaihatsu Kiko 太陽光集光装置
KR850000551Y1 (en) * 1983-06-28 1985-04-03 Kim Kap Su A toy gun
KR940003799Y1 (ko) * 1992-01-27 1994-06-11 정석현 배관용 밸브 부속장치의 고정구
KR940020035A (ko) * 1993-02-12 1994-09-15 안희수 태양광 조명방법 및 반사장치
JPH07169080A (ja) * 1993-12-13 1995-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用ビーム偏向装置
JPH087618A (ja) * 1994-06-25 1996-01-12 Satoshi Kurihara 太陽光を利用した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9443A (ko) * 1982-02-17 1983-12-21 게이 모리 태양광 수집장치(太陽光 收集裝置)
JPS5997461A (ja) * 1982-11-26 1984-06-05 Shinenerugii Sogo Kaihatsu Kiko 太陽光集光装置
KR850000551Y1 (en) * 1983-06-28 1985-04-03 Kim Kap Su A toy gun
KR940003799Y1 (ko) * 1992-01-27 1994-06-11 정석현 배관용 밸브 부속장치의 고정구
KR940020035A (ko) * 1993-02-12 1994-09-15 안희수 태양광 조명방법 및 반사장치
JPH07169080A (ja) * 1993-12-13 1995-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用ビーム偏向装置
JPH087618A (ja) * 1994-06-25 1996-01-12 Satoshi Kurihara 太陽光を利用した照明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6984A (zh) * 2022-04-19 2022-06-07 黄梦婷 一种防断芯的智能充电桩用电缆
CN114596984B (zh) * 2022-04-19 2023-12-15 新疆胡杨线缆制造有限公司 一种防断芯的智能充电桩用电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8707B1 (en) Small skylight with non-tracking solar collector
US6123436A (en) Optical device for modifying the angular and spatial distribution of illuminating energy
US5430620A (en) Compact surgical illumination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adjusting the resulting field of illumination
US20040118447A1 (en) Hybrid solar lighting systems and components
CN101375112A (zh) 用于光学聚光器的混合式主光学部件
WO2002075225A3 (en) Nonimaging solar concentrator with uniform irradiance
US5071241A (en) Camera attachment system and illuminating system for a microscope
US5087112A (en) Optical magnifier apparatus
JP4482728B2 (ja) 光拡散素子
KR100986252B1 (ko) 자연채광을 위한 태양광 집광장치
KR20020018292A (ko) 이동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US5168405A (en) Optical magnifier apparatus
CA2009481A1 (en) Solar ray collecting device
KR20020044298A (ko) 평판식 일광 유도 조사장치
JPS637643B2 (ko)
JPH11182940A (ja) 集光送光した太陽光を用いる光熱器具
RU223665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вещения солнечным светом помещений многоэтажного жилого дома
CN113124329A (zh) 一种聚光散光两用灯具
JPS6296914A (ja) 太陽光線の照明装置
CN210294663U (zh) 一种带有导光晾晒功能的鞋架
JP2019185944A (ja) 集光ユニット及び太陽光受光装置
RU184527U1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4890806A (en) Stand for a solar ray collecting device
KR200459001Y1 (ko) 태양광 조명장치
WO1990012335A2 (en) Camera attachment system and illuminating system for micr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