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6809A - 키워드 검색 기준의 자동 발생 및 인간 환경 공학의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키워드 검색 기준의 자동 발생 및 인간 환경 공학의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6809A
KR20020016809A KR1020017015340A KR20017015340A KR20020016809A KR 20020016809 A KR20020016809 A KR 20020016809A KR 1020017015340 A KR1020017015340 A KR 1020017015340A KR 20017015340 A KR20017015340 A KR 20017015340A KR 20020016809 A KR20020016809 A KR 20020016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s
search
controller
programmed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9307B1 (ko
Inventor
니코로브스카리라
에프. 캄플린알리손
피이 리궉
아. 마르티노제큘린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20016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2Query formulation
    • G06F16/7335Graphical querying, e.g. query-by-region, query-by-sketch, query-by-trajectory, GUIs for designating a person/face/object as a query predic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06F16/90324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 G06F16/90328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using search space presentation or visualization, e.g. category or range presentation and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3Query processing, i.e. sear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3Query processing, i.e. searching
    • Y10S707/99934Query formulation, input preparation, or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레코드들을 질의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질의들을 구성하며 결과들을 관찰하는 처리를 위한 물리적 은유를 이용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기준은 3차원 화면에서 스트링들 및 비드들(beads)로서 도시되며, 각각의 비드는 기준을 나타내며, 각각의 스트링은 다른 카테고리를 나타낸다. 예컨대, 기준, 드라마, 액션, 서스펜스, 및 호러는 장르의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다. 기준은 질의 스트링에 대응하는 비드들을 조작함으로써 질의를 형성하도록 선택된다. 사용자 선호도 프로파일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잇다. 그러한 인터페이스에서 가능한 키워드들의 입력을 위해, 키워드들은 검색으로부터 탐색된 레코드들 내의 출현 빈도(frequency of appearance)에 기초하여 또는 그들이 승인되는 빈도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로부터 발췌된다.

Description

키워드 검색 기준의 자동 발생 및 인간 환경 공학의 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providing automatic generation and ergonomic presentation of key word search criteria}
CD-ROM, 인터넷,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 제안된 국제 정보 하부구조 등에서 이용가능한 광대한 양의 정보는 많은 대형 정보 매체 소스로의 쉬운 액세스에 대한 바램을 자극한다. 이와 같은 정보의 증가된 액세스는 사용하기 쉽지만, 이러한 많은 양의 정보에 대한 기대는 정보 액세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계에 새로운 도전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사용자는 때로 검색 질의를 구성하고 질의의 결과를 시각화하는데 어려워 포기하거나 정보 소스를 찾는데 고생을 한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에 의해 제공되는 직접적인 텍스트 리스트, 인터넷 검색 엔진, 및 Folio와 같은 텍스트 검색 툴은 다소 단순한 외형과 오랜 시간 동안 바라보기 피곤하기 때문에 작업하기 지겹고 때로는 작업하기는데 어려움이 있다.
검색 데이터베이스에는 2가지 주요 구성성분이 있다: 관계없는 정보가 제외되는 필터링(filtering), 및 일부 우선순위의 구조로 필터링된 결과를 분류하는것(sorting). 예를 들어, Google과 같은 인터넷 검색 엔진은 World-Wide-Web에서 엔트리(entry) 점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내의 레코드들을 필터링하고 분류하는데 텍스트 질의를 사용한다. 이는 질의에 의해 탐색되는 후보들에 링크되는 페이지로 투표 의결과 같은 특정한 기준을 사용한다(즉, 더 다른 페이지로 링크되는 페이지가 더 많은 "득표"를 갖는다). Google은 또한 투표를 의결한 페이지를 분석하고 다른 페이지에 의해 더 많은 득표를 수신한 페이지에 더 큰 가중치를 제공한다.
Google과 같은 툴 및 대부분의 다른 데이터베이스 탐색 툴은 커넥터로 텍스트 형태의 검색 질의를 수용하고, 그 결과는 다수의 기준을 포함하는 작동자가 될 수 있는 특정한 럼프(lump) 기준으로 분리된 리스트의 형태로 주어진다(A, 이어서 B 등으로 분리된 것과 같은).
검색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요구된 연습(training)을 최소화하도록 요구하는 응용들에서, 인터페이스의 직관성 및 사용의 용이성은 중요한 설계 요구들이다. 그러나, 간략화 및 사용의 용이성은 탄력성을 제공하기를 요구하는 계수기를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그들이 좀 더 특정한 그들의 검색을 할 수 있을 때 더 빠른 바람직한 결과를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전형적인 검색 엔진들에서, 키워드들을 명시하여 타이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키워드들은 텔레비전과 같은 몇몇 환경들에서는 방해가 되며 지능적으로 요구된다. 시청자들은 일반적으로 시청 또는 녹화할 새로운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기대할 때 키워드를 보유하거나 편리하기를 바란다. 키보드들과 같은 복잡하고 성가신 입력 디바이스들이 필요 없이 이용 가능한 키워드 검색과 같은 높은 탄력성을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발명의 요약>
간략하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레코드들을 질의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질의들을 구성하며 결과들을 관찰하는 처리를 위한 물리적 은유를 이용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기준은 3차원 화면에서 스트링들 및 비드들(beads)로서 도시되며, 각각의 비드는 기준을 나타내며, 각각의 스트링은 다른 카테고리를 나타낸다. 예컨대, 기준, 드라마, 액션, 서스펜스, 및 호러는 장르의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다. 기준은 질의 스트링에 대응하는 비드들을 조작함으로써 질의를 형성하도록 선택된다. 사용자 선호도 프로파일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잇다. 그러한 인터페이스에서 가능한 키워드들의 입력을 위해, 키워드들은 검색으로부터 탐색된 레코드들 내의 출현 빈도(frequency of appearance)에 기초하여 또는 그들이 승인되는 빈도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로부터 발췌된다.
UI 설계는 "린-백(lean-back)"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 검색 장치들과의 사용자 상호작용으로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처리한다.("상체를 뒤로 젖힌(lean back)"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텔레비전을 볼 때와 같이 휴식을 취하면서 쉬고 있고, "상체를 구부린(lean-forward)"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데스크탑 컴퓨터를 사용할 때와 같이 활동적이고 몰두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방송 텔레비전으로 사용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들과 상호작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응용에서는 UI가 레코드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상단에 직접 한 층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자체 화면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UI는 간단한 휴대용(handheld) 제어기를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다. 바람직일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수직 및 수평 스크롤 버튼과, 다양한 동작 모드들을 직접 액세스하기 위한 몇가지 특수 버튼들만을 갖는다.
UI 설계는 3가지 환경들 또는 월드(world)들: 검색 월드, 프로파일링 월드, 및 개요 월드를 생성한다. EPG 환경이라 가정하여, 검색 월드에서는 사용자가 필터링 및 분류 기준(날짜의 시간(time of day), 주의 날짜(day of week), 장르 등)을 입력, 저장, 및 편집한다. 명백한 프로파일들은 사용자가 명확한(그리고 일부 함축적인 형태들의) 사용자 프로파일들을 생성 및 변경한다. 명확한 프로파일들은 사용자가 그들의 선호도들을 나타내도록 입력한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의 집합이다. 각각은 장르(영화들, 게임쇼들, 교육적인 것, 등), 채널(ABC, MTV, CSPAN 등), 배우(Jodie Foster, Tom Cruise, Ricardo Bernini, 등) 등과 같은 기준 리스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개요 월드에서는 사용자가 분류, 필터링, 및 프로파일 정보의 결과인 검색 결과들을 보고 그 중에서 선택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검색 기능들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PG들에 대해 설계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제공되는 3가지의 기본적인 검색 기능들: (1) 필터링, (2) 명확한 프로파일에 의한 필터링 및/또는 분류, 및 (3) 함축적인 프로파일에 의한 분류가 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 필터링 - 디스플레이될 결과들의 집합을 정의하는 기준 세트. 이들 기준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무슨 레코드들이 선택될 것인가와 개요 월드 디스플레이에서 어느 것이 배제될 것인가를 정확하게 선택한다.
(2) 명확한 프로파일에 의한 필터링 및/또는 분류 - 사용자가 다양한 카테고리들로부터 선택함으로서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지정하도록 허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드라마들 및 액션 영화들을 좋아하고, 임의의 배우들을 싫어하는 것으로 표시된다. 이어서, 이들 기준은 필터링 처리에 의해 복귀된 레코드들을 분리하도록 적용된다. 기준의 중요도는 또한 이 층을 부가하는 복잡성이 방대한 사용자에 대해 덜 가치 있는 시스템에 부가되더라도 지정될 수 있다.
제 2 형태의 시스템에 대한 예로, 하나의 EP 출원(EP0854645A2)은 사용자가 바람직한 프로그램 카테고리, 예를 들면 시트콤, 드라마 시리즈들, 오래된 영화들 등과 같이 장르 선호도를 입력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그 출원은 또한 선호도 프로파일들이 선택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어린이 나이 10-12세용, 10대 소녀용, 항공기 취미자용 등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는 선호도 템플레이트(template)를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입력 방법은 사용자가 그 자신에 대해 일반화시킬 역량을 갖고 이들이 그 선호도에 대해 진정한 화상일 것을 요구한다. 또한, 일반적인 사람에게는 "당신은 드라마들 또는 액션 영화들을 좋아합니까?" 및 "당신에게는 '드라마' 기준이 얼마나 중요합니까?"와 같은 추상적인 질문에 응답하는 것이 어려운 작업이 될 수 있다.
(3) 함축적인 프로파일에 의한 분류 - 이는 시스템이 사용자 행위를 "관찰"하게 함으로서 수동적으로 발생되는 프로파일이다. 사용자는 단순하게 정상적인 형태로 관찰(레코드, 다운로드, 또는 다른 방법으로 "사용"하는)을 선택하고, 시스템은 점차적으로 그 선택들로부터 사용자의 행위 모델을 추출함으로써 개인적인 선호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 처리는 사용자가 내용물의 랭킹(예를 들어, 1개내지 5개의 별표시 스케일)을 정하도록 허용함으로서 증진될 수 있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미래에 보길 원하게 될 것에 대해 예측하는데 이 모델을 사용한다. 관찰 내력 또는 바라는 정도로부터 예측들을 추출하는 처리는 똑같은 항목에 대해 반복되게 요구한 이후에 명확한 취향을 표시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알고리즘에 따를 수 있다. 이는 많은 수의 입력들(자유도들)을 갖는 결정-트리(decision-tree) 기술과 같은 복잡한 기계-학습 처리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여, 이러한 모델은 사용자의 상호작용(선택을 위한 UI와의 상호작용)에서 패턴을 찾는다.
이러한 종류의 프로파일 정보에 대한 한가지 예는 MbTV로, 이는 시청 패턴을 모니터링함으로서 시청자의 텔레비전 시청 선호도를 알 수 있는 시스템이다. MbTV는 시청자 취향의 프로파일을 명확하게 동작시켜 설립한다. 이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시청자가 즐겨 시청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MbTV는 각 시청자 취향을 알아내고, 알아낸 것을 다음 프로그램을 추천하는데 사용한다. MbTV는 원하는 다음 프로그램을 경보하여 시청자들이 텔레비전 시청 시간의 스케쥴을 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저장 장치와 부가되어 시청자가 없을 때 이 프로그램들을 자동적으로 레코드할 수 있다.
MbTV는 선호도 결정 엔진 및 저장 관리 엔진을 갖는다. 이들은 시간-쉬프트 텔레비전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MbTV는 원하는 프로그램을 간단히 제안하기 보다 자동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MbTV의 저장 관리 엔진은 저장 장치가 최적 내용들을 확실히 가질 수 있도록 시도한다. 이 처리는 어느 레코드 프로그램이 시청되고(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어느 것이 무시되는가를 추적하는 것을 포함한다. 시청자들은 삭제를 방지하기 위해 더 시청하기 위한 레코드 프로그램을 "고정(lock)"시킬 수 있다. 시청자들이 프로그램 제안들 또는 레코드된 내용을 처리하는 방법은 미래의 결정들을 정제하는데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MbTV의 선호도 엔진에 추가 피드백을 제공한다.
MbTV는 각 "관심 내용"을 나타내기 위한 레코드 공간 일부를 예정하게 된다. 이들 "관심사"는 다른 집단 멤버로 해석되거나 다른 취향의 카테고리를 나타낼 수 있다. 비록 MbTV가 사용자 간섭을 요구하지 않지만, 그 기능을 미세 조정하길 원하는 자에 의해 익숙해질 수 있다. 시청자는 다른 종류의 프로그램에 대한 "저장 예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는 아이들이 가정에서 많은 텔레비전을 시청하지만, 레코드 공간의 25% 이하만이 어린이 프로그램으로 소비되어야 함을 나타낼 수 있다.
검색 기준 및 함축적이고 명확한 프로파일들은 데이터베이스의 각 후보 레코드에 대해 단순한 "yes" 및 "no" 결과들보다는 검색 데이터베이스에 각 제안 레코드에 대한 확실성 또는 랭킹 평가들을 만들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검색 질의는 각각이 검색 결과에 의해 만족되어야 하는 기준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질의가 특정한 채널 및 특정한 시간 범위를 포함하면, 두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레코드만이 복귀된다. 똑같은 검색 질의는 두 기준 모두를 만족하지 않는 레코드가 복귀될 수 있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처리될 수 있고, 필터링 대신 기준에 얼마나 양호하게 정합되는가에 따라 레코드들이 분류된다. 그래서, 두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레코드는 가장 높은 랭킹이 정해지고, 하나의 기준만을 만족시키는 레코드는 두 번째로 높은 랭킹이 정해지고,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레코드는 가장 최하 랭킹이 정해진다. 중간 랭킹은 질의 또는 프로파일 기준에 레코드 기준을 근접시킴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예에서, 레코드가 특정한 시간 범위에 더 근접하면, 이는 특정한 시간 범위로부터 더 멀리 있는 레코드 보다 더 높은 랭킹이 정해진다.
함축적인 프로파일의 경우에서는 예를 들어, 각 장르의 랭킹이 얼마나 높은가를 나타내는 데에서 어떠한 기준들도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경 네트워크-근거의 예측 엔진이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들을 분류하는데 사용되면, 적어도 사용하기 쉬운 시스템에 대해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준 가중치를 노출시킬 명확한 방법이 없다. 그러나, 함축적인 프로파일들을 만들어 실시하는데 일부 더 간단한 기계 학습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레코드들(또는 원하는 만큼 높게 랭킹이 정해진 레코드)에서 나타나는 기준은 기준 히트 회수를 근거로 스코어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EPG에서, 시청하도록 선택된 모든 프로그램들이 낮시간 드라마(daytime soap)들이면, 그 드라마 장르와 낮시간 범위는 높은 회수의 카운트를 갖고, 과학 다큐멘터리 장르는 0회의 히트들을 갖게 된다. 이들은 시청자가 이를 볼 수 있도록 노출될 수 있다. 프로파일들이 편집되는 상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각 기준에 적용된 특정 가중치를 근거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함축적인 프로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로파일에서 기준을 제거하고, 가중치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 후자는 단지 사용자가 이를 수정하는 명확한 방법을 제공하는 함축적인 프로파일 메카니즘의 한 예이다. 다른 메카니즘도 이러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은 사용자 선택들의 히트 회수만을 근거로 할 필요는 없다.
필터링 및 선호도 응용에 대한 질의의 구성은 정보의 조직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가 데이터 레코드, 검색, 및 분류 기준 등을 나타내는 화면 소자("토큰(token)들")를 조작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3차원의 시각적 그래픽들로 행해진다. 바람직한 UI에서, 토큰들은 비드들의 형태를 취한다. 카테고리들은 비드들의 루프들 또는 스트링들로 표시된다. 선호도 필터가 구성될 때, 특정한 선택들(비드들)은 카테고리 스트링으로부터 취해지고 검색 스트링이나 빈(bin)에 부가된다. 비드(bead)들, 스트링(string)들, 및 빈(bin)들은 3차원 객체로 나타내지고, 이는 3차원이 제공하는 추가 의미에 대한 단서로 동작한다는 점에서 외형 이상의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대한 객체의 근접성은 특정한 내용에서 상대적인 랭킹을 나타낸다.
검색 질의들을 생성하는 환경에서, 검색 기준의 랭킹은 이 기준들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단지 임의의 청구항들이 임의의 빈도로 사용된다면, 그 채널 카테고리는 전경 내의 그 채널들 및 배경 내의 다른 것들 또는 심지어는 시야에서 사라진 것을 도시할 수 있다. 물론, 모든 기준이 수용가능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여분의 단계들은 배경 대상들을 전경으로 가져오는 것과 같은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것은 그 화면이 시각적으로 복잡하지 않게 잔존하도록 한다. 또 다른 예에서, 만약 사용자의 검색들이 항상 낮시간의 시간 범위를 포함한다면, 이러한 시간 범위에 대응하는 비드 및 비드들은 높게 랭킹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들은 실제로 사용자 질의들에 의해 복귀되는 히트의 큰 비율 또는 선택된 프로그램의 큰 비율로 나타나는 단어들, 예를 들면 키워드(keyword)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키워드 카테고리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키워드를 포함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의미를 갖는다. 발생 회수 또는 변화를 근거로 질의에 의해 복귀되는 레코드들로부터 또한/또는 선택된 레코드의 설명으로부터 의미있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은 다수의 가능한 키워드가 보다 쉽게 다루어지고 보다 쉽게 선택되게 한다. 바람직하게, 키워드 리스트는 명세서에서 프로파일의 편집에 대해 상세히 설명된 바와 똑같은 형태로 사용자에 의해 편집가능해진다. 사용 데이터의 회수를 근거로 키워드 리스트를 구성하기 위해, 시스템은 키워드가 전혀 없이 시작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질의를 입력할 때마다, 복귀된 결과는 공통 항목에 대해 주사될 수 있다. 제목, 설명, 또는 임의의 다른 데이터가 주사될 수 있고, 일정 회수로 일어나는 항목은 키워드 리스트에 저장될 수 있다. 리스트의 키워드는 각각 키워드가 나타난 문맥에 의해 가중화된 회수를 근거로 랭킹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목의 키워드는 설명에서의 키워드 또는 간접적인 목적어보다 더 높은 랭킹을 수신하는 설명 내의 문장의 문법적인 분석에서의 직접적인 목적어 또는 주어인 키워드보다 더 낮은 랭킹을 수신하게 된다. 복귀된 검색 레코드들로부터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대신에, 키워드들은 사용을 위해 선택된 레코드들로부터만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청 또는 레코드를 위해 선택된 프로그램만이 실제로 기재된 방식으로 키워드 리스트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방법으로, 질의들의 선택들 및 복귀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지만, 선택된 레코드들에서의 키워드들은 다른 복귀 레코드들에서의 키워드들보다 더 강하게 가중화될 수 있다.
개요 월드는 시각적으로 명확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기준을 필터링하고 분류한 결과들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3차원 토큰들이 각 레코드들을 나타내어 3차원 애니메이션이 도시된다. 다시, 사용자에 대한 토큰의(명확한) 근사함은 활동적인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레코드에 의해 식별된 항목을 얼마나 선호하는가의 예측을 나타낸다. 즉, 근접성은 먼저 적합성(fit)의 양호함을 나타낸다. 이에 대한 한가지 예로, 각각이 레코드를 나타내는 비드 스트링은 최상의 적합성이 사용자에 가장 가깝게 배열되고 다른 것이 적합성 정도에 따라 배경으로 쳐저 스트링과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도시된다. 사용자는 터널을 통과하는 것과 같이 결과를 통해 검색하도록 축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포인터는 이들을 선택하도록 비드들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각각에 대한 추가 정보가 노출되게 한다.
함축적이고 명확한 사용자 프로파일은 이들을 다른 선택으로 행해진 것과 같이 검색 질의(빈 또는 스트링)에 부가함으로서 발동된다. 프로파일을 부가하는 효과는 선호도에 따라 분류된 결과를 갖는 것이다. 명확한 사용자 프로파일은 똑같은 방법으로 발생된다.
본 발명은 보다 전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도록 다음의 도시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임의의 바람직일실시예에 관해 기재될 것이다. 도면을 참고로, 도시된 특정한 내용은 한 예로,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것이 가장 유용한 것으로 믿어지도록 제공되고 본 발명의 원리 및 개념적 특성이 용이하게 이해되도록 설명된 것으로 강조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이해를 위해 필요한 것 보다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의 구조적인 상세 내용을 도시하도록 시도되지 않고, 도면과 취해진 설명은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본 발명의 몇가지 형태가 실제로 실현될 수 있는 방법을 명확하게 제시한다.
본 발명은 CD ROM의 내용(contents),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인터넷 등과 같은 대형 데이터 공간으로부터의 데이터 검색, 탐색, 및 조직에 관련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실시예와 사용될 수 있는 원격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에 의해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 4는 검색 질의를 형성 및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 및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검색 기준으로 명확하고 함축적인 프로파일(profile)을 디스플레이하는 검색 질의를 형성 및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이 수용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 및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도 4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도 4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도 4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도 4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일부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으로부터 복귀된 레코드를 관찰 및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일부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으로부터 복귀된 레코드를 관찰 및 선택하기 위한 또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일부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으로부터 복귀된 레코드를 관찰 및 선택하기 위한 또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일부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으로부터 복귀된 레코드를 관찰 및 선택하기 위한 또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a는 도 16b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평면 정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b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3-D 화면에서 객체들을 나타내는데 텍스트가 사용되는 검색 질의 및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 및 편집하기 위한 또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3-D 화면에서 객체로 또한 텍스트를 사용하는 텍스트-근거의 검색 결과 관찰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키워드(keyword) 카테고리 발생 및 분류를 위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 1을 참고로, 본 발명은 데이터 검색 및 탐색에 관련되고, 이는 특히 트레이닝의 이용가능성이 제한된 경우, 또는 제한되길 원하는 경우, 상체를 뒤로 젖힌 환경들 또는 응용들에 적절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들과 관련된 검색 및 시각화 작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텔레비전들의 내용에서, EPG는 프로그램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전달될 수 있는 다양한 특성들에 대충 적용된다. 프로그램 정보는 이야기 요약, 내용을 분류하는 다양한 키워드(keyword)들 등과 같은 다양한 설명 정보 및 제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컴퓨터는 프로그램 정보를 텔레비전(230)에 전달한다. 컴퓨터(240)는 비디오 신호(270)를 수신하고 채널-변화 기능을 제어하도록 갖추어지고, 사용자가 텔레비전 튜너(tuner)(230)보다는 컴퓨터(240)에 링크된 튜너(245)를 통해 채널을 선택하도록 허용한다. 사용자는 이어서 컴퓨터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기(210)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된 프로그램 스케쥴로부터 원하는 선택을 두드러지게 표시함으로서 관찰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컴퓨터(240)는 업데이트된 프로그램 스케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링크(260)를 갖는다. 이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또는 일부 다른 적절한 데이터 연결에 연결될 수 있는 전화선이 될 수 있다. 컴퓨터(240)는 프로그램 스케쥴 정보, 프로그램 응용들 및 업그레이드들, 및 다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량 저장 장치(235)를 갖는다. 사용자의 선호도들 및 다른 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 카드 또는 디스크(220)와 같이 제거가능한 매체를 통해 컴퓨터(240)에 업로드(upload)될 수 있다. 적절하게 컴퓨터(240)를 프로그램함으로서 많은 흥미로운 특성들이 인에이블된다.
상기 예의 하드웨어 환경에서는 많은 대치(substitution)들이 가능하고 이들은 모두 본 발명과 연관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대량 저장 매체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로 대치될 수 있다. 데이터는 국부적으로 또는 원격으로 저장될 수 있다. 사실상, 전체적인 컴퓨터(240)는 링크를 통해 서버 운영 오프사이트(offsite)와 대치될 수 있다. 적외선 포트(215)를 통해 컴퓨터(240)에 명령을 전달하는데 원격 제어를 사용하기 보다, 제어기는 비디오를 운반하는 물리적 채널과 동시에 또는 분리된 형태가 될 수 있는 데이터 채널(260)을 통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비디오(270) 또는 다른 내용은 케이블, RF, 또는 다른 광대역 물리적 채널에 의해 운반되거나, 대량 저장 매체 또는 제거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 이는 전화선과 같은 스위치 물리적 채널 또는 ATM이나 동기화 데이터 통신에 적절한 다른 네트워크와 같이 가상적으로 교환되는 채널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내용은 현재 IP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있도록 비동기화되고 드롭아웃(dropout)에 관대해질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내용이 수신되는 라인의 내용은 오디오, 채팅 대화 데이터, 웹 사이트들, 또는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다른 종류의 내용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는 분리된 데이터 링크(260) 이외의 채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는 비디오 또는 다른 내용과 똑같은 물리적 채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는 메모리 카드 또는 디스크(220)와 같이 제거가능한 데이터 저장 매체를 통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원격 제어(210)는 키보드, 음성 명령 인터페이스, 3D-마우스, 조이스틱, 또는 다른 적절한 입력 장치로 대치될 수 있다. 선택은 두드러지게 강조된 표시자를 이동시키거나, 선택을 기호적으로 식별하거나(예를 들면, 이름이나 번호에 의해), 또는 데이터 전송이나 제거가능한 매체를 통해 배치(batch) 형태로 선택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하나 이상의 선택은 디스플레이(170)를 함께 통과함으로서 일부 형태로 저장되어 컴퓨터(240)에 전송된다. 예를 들어, 배치 데이터는 휴대용 저장 매체(예를 들면,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메모리 카드, 또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로부터 주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사용되는 컴퓨터 장비에 맞추어지도록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기 위해 저장된 다수의 선호도를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의 EPG 실시예와 사용될 수 있는 원격 제어기는 수직 및 수평 커서키(232, 212)를 각각 포함하는 간단한 키들의 세트를 갖는다. 선택 "GO" 버튼(214)은 눌려진 내용에 따라 작용들을 트리거(trigger)하는데 사용된다. 검색키(216)는 이후 설명되는 검색 UI 소자를 발동시키는데 사용된다. 프로파일 키는 이후 설명되는 프로파일 UI 소자를 발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시작, 저장, 재설정, 및 삭제키들(229, 222, 226, 224)는 각각 이후 설명되는 내용에 따라 특정한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이제 도 3을 참고로, 검색, 프로파일, 및 개요 월드(world)들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UI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가 단계(S10)에서 명확한 프로파일의 구성으로 시작된다. 또한, 도 4를 참고로, 예를 들어 검색/프로파일 툴(90)을 사용하여, 장르 "Movies"를 나타내는 토큰(105)(typ.)(여기서는 비드(bead)로 나타내지는)을 선택하고, 이들을 선택 빈(bin)(140)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옮김으로서 선택된다. 이들이 선택되기 이전에, 각 기준은 비드 스트링 시각적 요소, 예를 들어 장르 스트링(155)을 사용하여 그룹화되고, 여기서 각 기준 그룹은 특정한 스트링에 놓인다. 기준이 선택될 때, 대응하는 토큰(105)은 굵어지거나 칼라를 변화시키는 등과 같은 일부 방법으로 두드러지게 강조된다. 부가하여, 선택된 기준 토큰과 관련된 또 다른 정보가 드러날 수 있다. 예를 들면, Movies 비트(165)가 선택되었다. 선택된 토큰은 3차원 화면의 전면에 도시되어, 보다 많은 정보가 화면상에 명확히 도시되도록 허용한다. 본 예의 Movies 비드(165)는 장르 스트링(155)에서 선택 빈(140)으로 이동된다. Movies 비트(165)가 차지하는 위치는 선택 빈(140)으로 전달된 이후 가상 비드(115)로 표시된다. UI에서는 비드들 중 임의의 것이 선택되어 선택 빈(140)에 전달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검색/프로파일 툴은 다음과 같이 네비게이트(navigate)된다. 사용자가 검색 영역에 있을 때, 사용자는 모든 카테고리 라벨들(130)(typ.)을 볼 수 있다. 카테고리들은 커서 키들(212, 232)를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면에서, 장르 스트링(155)은 적절하게 두드러져 강조된 것(150)으로 표시되는 수평 커서 키(212), 또는 선택된 스트링의 칼라를 변화시키거나, 장르 라벨(155)의 문자를 굵게 하거나, 두드러지게 강조하거나, 문제 크기를 증가시키는 등과 같이 다른 적절한 장치를 사용하여 선택된다. 원하는 스트링이 선택될 때, GO 키를 눌러 선택된 스트링에서 비드들의 선택을 허용한다.
다른 방법으로, 비선택 스트링의 비드가 감추어지고 카테고리의 존재를 나타내는 흔적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또한, 선택된 카테고리가 화면의 가장 우측 또는 가장 좌측에 이를 때, 스트링은 더 많은 스트링을 드러내도록 반대 방향으로 스크롤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선택된 카테고리는 화면의 중심에 남아 있고, 수평 스크롤 키(212)를 누를 때마다, 스트링 세트가 반대 방향으로 스크롤 되어 새로운 스트링을 보여줄 수 있다.
선택된 스트링을 네비게이트하기 위해, 사용자는 수직 커서 키들(232)을 간단히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중심이 항상 선택된 것에 있도록 전체 스트링을 회전시켜 선택된 비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서든, 비드 스트링은 임의적인 길이가 될 수 있고, 커서를 상하로 계속하여 이동시켜 보다 많은 비드들을 드러내도록 적절한 방향으로 스트링을 공급하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다수의 스트링이 오픈되고 수직 및 수평 커서 키(212, 232)가 임의의 스트링을 재선택하지 않고 이들 사이에서 네비게이트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비드가 선택될 때, 이는 GO 버튼(214)을 눌러 선택 빈(14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Movies 비드가 선택되고, GO 버튼(214)을 눌러 점선 화살표(142)로 표시되는 검색/프로파일 빈(140)으로 이동되었다. 검색/프로파일 빈(140)으로부터 비드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선택기를 검색/프로파일 빈(140)에 이동시키는 일부 동작을 실행하여 제거되는 비드를 선택한다. 이어서, GO 버튼(214)을 눌러, 선택된 비트가 전해진 스트링으로 재처리되게 한다. 검색 빈(140)으로부터 모든 비드를 클리어하는 빠른 방법은 재설정 버튼(226)을 사용하는 것이다.
도 4에서는 검색/프로파일 빈(140)이 "Search"라 칭하여짐을 주목한다. 이는 사용자가 현재 들어와 있는 모드를 나타낸다. 또한, 프로파일 모드일 때 UI의 작업 및 기본 외형은 검색 모드에서와 똑같다. 그러나, 프로파일 모드에서, 사용자에게는 기준이 좋은가 또는 싫은가 여부를 나타내는 옵션이 주어진다. 또한, 검색 모드에서는 특정한 카테고리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한가지는 저장된 검색들이고, 또 다른 것은 프로파일들이다. 이들은 추후 설명된다.
이제 도 5를 참고로, 검색 스트링(157)이 검색 모드 UI 또는 특정화된 화면에서 카테고리로 제공된다. 전자의 이점은 사용자에게 저장 검색들의 이용가능성을 상기시킨다는 것이다. 저장 검색은 검색/프로파일 빈(140)에 인접한 스트링에 도시될 수 있다. 검색 모드에서 주어질 수 있고, 또한 바람직하게 주어지는 또 다른 특수 카테고리는 프로파일 카테고리이다. 이는 비트 스트링으로 또한 도시될 수 있다.
검색이 생성된 이후에는 검색 결과를 보도록 시작 버튼(228)을 사용하여 실행되거나,(140A)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저장 버튼(222)을 눌러 이름이 주어져 저장될 수 있다. 검색을 명명하는 것은 Tivoⓡ 개인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장치들에 제공된 것과 같이 커서-키 네비게이션 가능 화면상 키보드와 같은 공지된 UI 소자들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요일 저녁 피자 파티를 위해 적용될 검색을 식별하기 위해 이름 "Pizza"가 주어질 수 있다.
앞서 저장된 검색은 다음과 같이 액세스되거나 편집될 수 있다. 스트링을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자는 검색 모드 동안 검색 버튼(216)을 눌러 아래에 유지시키거나 다른 수단으로 커서 키(212, 214)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검색 스트링(157)을 두드러지게 강조하게 된다. 이어서, 검색 비드(170)는 원하는 것이 두드러지게 강조될 때까지(또는 동일하게 전면으로 스크롤될 때까지)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트될 수 있다. 원하는 검색 비드가 두드러지게 강조될 때, 선택된 검색 비드를 정의하는 기준을 구성하는 비드들이 검색/프로파일 빈(140)에 나타난다. 선택된 검색 비드에 정의된 기준을 적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시작 버튼(228)을 바로 누르거나, 검색 빈(140)으로 이동되어 검색의 구성시와 같이 새로운 것을 부가하거나 이들을 삭제함으로서 검색 기준을 편집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내용에서 저장 버튼(222)을 누를 때, 사용자는 이를 원래 저장 검색 비트 또는 새로운 것으로 다시 저장하도록 허용되어, 저장된 검색들이 새로운 검색을 위한 템플레이트(template)로 사용되도록 한다.
다른 기준 비드와 같이 새로운 검색의 구성시 시작 버튼(228)을 사용하여 발동되기 이전에 새로운 기준으로 검색 비드가 검색 빈(140)에 부가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이는 사실상 저장된 검색을 템플레이트나 검색을 위한 시작점으로 만들어, 특정한 사용자가 검색을 실행할 때마다 똑같은 데이터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검색 모드에서, 사용자는 또한 검색에 부가하도록 프로파일 스트링(156)으로부터 비드들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파일 스트링(156)의 각 비드는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프로파일은 함축적인 프로파일, 명확한 프로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비드들은 검색에 부가되어 결과가 구체화된 선호도에 의해 분류되게 한다. 이제 도 6을 참고로, 함축적이고(158) 명확한(159) 프로파일들이 디스플레이되어 따로 액세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비드들은 독립적으로 사용되지만, 다른 기준 비드들과 같이 검색 빈(140)에 부가된다.
이제는 도 7을 참고로, 프로파일을 편집 또는 생성하기 위해, 프로파일 버튼(218)이 임의의 시간에 프로파일 모드를 발동시키도록 눌려질 수 있다. 이는 프로파일 모드 UI 소자를 불러온다. 프로파일 모드 UI는 프로파일 빈(140)이 지지되는 기준에 대한 비드가 위치하는 "좋아하는" 부분(164)과, 지지되지 않는 기준에 대한 비드들이 위치하는 "좋아하지 않는" 부분(165)을 포함하는 분할 포함기인 점을 제외하고, 검색 모드 UI가 작업되는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작업된다. 각 부분에서 비드들의 위치는 비드들에 대하여 프로파일로 생성된 작용을 나타낸다. 즉, 좋아하지 않는 부분(165)에서 영화와 같은 기준은 프로파일이 기준과 정합되는 레코드를 음적으로 가중화하게 한다. 유사하게, 좋아하는 부분(164)에서의 기준은 프로파일이 기준과 정합되는 레코드를 양적으로 가중화하게 한다. 프로파일 명칭은 사용자가 프로파일 모드임을 나타내는 라벨과 함께(169)에서 나타남을 주목한다. 또한, 비드에는 대화 박스를 통해, 또는 항목에 랭킹을 주는 특수 별표 키를 여러번 누름으로서 스코어가 주어질 수 있음을 주목한다. 예를 들어, 5개의 별표들은 매우 지지되는 항목을 나타내고, 1개의 별표는 가장 지지되지 않는 항목을 나타낸다. 비율을 관찰하기 위해, 비드들이 별표 아이콘으로 태그(tag) 처리되거나, 그 칼라가 랭킹을 나타내도록 변화되거나, 빈에서의 위치가 지지되거나 지지되지 않는 비율의 정보를 나타내거나, 또는 그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 그래서, 프로파일 빈(140)을 관찰하는 사용자는 프로파일에서 각 비드의 효과를 바로 알게 된다. 프로파일은 저장 버튼(222)을 누를 때 저장될 수 있다. 편집을 위해 기존 프로파일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단지 적절한 비트를 선택하여 GO 버튼(214)을 누른다. 프로파일의 삭제를 위해서는 프로파일 비드를 선택하고 삭제 버튼(224)을 누른다.
프로파일을 통해 현재 채널을 필터 처리하기 위해, 프로파일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프로파일을 선택하고 시작 버튼(228)을 누른다. 이 방법으로, 프로파일 모드는 또한 어드바이저(advisor)로 동작하여 프로파일/어드바이저 모드라 칭하여질 수 있다. 함축적이고 명확한 프로파일은 재설정 키(226)를 사용하여 재설정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함축적인 프로파일은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에 따라 편집가능하거나 편집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되는 기계 학습 장치가 기준-근거의 추론을 저장하면, 이들은 명확한 프로파일에 대해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정확하게 편집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함축적인 프로파일은 개성 비드로 나타내지는 개성 템플레이트에 따라 다른 프로그램을 가중화하는 개성 비드의 사용을 통해 편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및 영화 관련 내용물을 강조하는 "movie nut", 내용물의 액션/공포 종류를 역강조하는 "quiet-type", 또는 지적으로 덜 요구되는 내용물을 강조하는 "overworked"와 같은 비드가 함축적인 프로파일을 한 방형 또는 또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제공될 수 있다. 검색 모드에서는 검색하는 동안에만 작용이 유효하도록, 또는 저장 검색에 포함되도록, 또는 함축적인 프로파일에도 포함되도록 똑같은 개성 비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로, 검색/프로파일 모드가 다음 아이디어에 따라 다수의 다른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3차원 화상의 사용은 클러터(clutter)를 감소시키고 관련 정보 및 제어를 손쉽게 만드는 방식으로 정보를 조직한다(예를 들면, 스크롤될 수 있는 많은 정보가 배경에 부분적으로 감추어져 도시되지만, 예를 들어 비드의 첫 번째 열 뒤에 있는 스트링상의 비드에 대해 그 존재를 제안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볼 수 있다);
내용에 따라 더 관련된 정보는 전면에 도시된다(예를 들면, 현재 선택된 항목은 전면에 도시된다); 또한
임시로 감추어진 정보(하지만, 이용가능한)는 배경으로 다루어진다(예를 들면, 스트링상의 추가 비드가 배경에 감추어질 수 있는 방법).
예를 들면, 도 8의 실시예는 똑같은 설계 원리로부터 분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비드 스트링이 직선에서 좌우로 스크롤되는 대신에(실린더와 같이), 캐로셀(carousel)과 같이 수직축에 대해 스크롤된다. 이 방법에서는 항상 중심에있고 3-공간 화면에서 관찰자에 가장 가까운 하나의 스트링이 있다. 여기서, 키워드 스트링은 화면에서 카메라(사용자)의 유리한 위치에 가장 가까운 지점이므로 선택된다. 또한, 검색 빈(140)은 스트링(140C)으로 대치된다.
정보를 분할 또는 조직하기 위한 운반체로 3차원 화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차원이 독립적인 방식으로 주어져야 함을 주목한다. 독립적으로 축을 따라 변화를 주는 것은 화면을 비대칭적으로 만든다. 대칭적인 3-D는 한 축에 따른 외형 변화가 또 다른 축에 따른 외형 변화와 똑같도록 제한함으로서 변화에 독립성을 없앤다. 그래서, 대칭성은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조직하기 위한 장치로 3차원 화면을 사용하는 것에 부적절하다. 물론, 대칭적인 특성이 언제나 3차원 화면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조직하는 기능을 손상시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비트 토큰 그 자체는 대칭적이다. 또한, 연속적인 일련의 비드 스트링이 똑같이 보이더라도, 진동 대칭의 예에서는 각 연속적인 비드 스트링이 다른 카테고리를 나타낸다. 그래서, 일부 레벨에서는 시각적 편의를 제공하도록 대칭성이 존재하지만, 또 다른 레벨에서는(시각적으로) 대칭적인 차원을 따라 차별을 제공하는 변화가 있다.
이제는 도 9를 참고로, 캐로셀 개념을 사용하여, 비드 스트링이 본 예에서 보다 양식화된다. 각 스트링의 전면에는 몇가지 비드만이 보여지지만, 각 스트링에서 지배적인 비드는 보다 많이 발음된다. 다시, 중앙 스트링(180)이 선택된다. 여기서는 키워드 스트링의 선택이 크기 및 굵은 선으로 나타내진다. 검색 빈(140)은 스트링(140B)으로 대치된다. 이 화면의 기하형은 클러터되지 않고 방송 영상에 이중인화되어 보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이 기하형이 논의된 다른 내용에도 적용될수 있는 방법은 명백하다.
도 10을 참고로, 또 다른 예에서는 비드가 쉘프(shelf)(420)상에 있는 박스(410)로 대치된다. 선택된 쉘프(430)는 사용자 쪽으로 확장된다. 검색 빈(140)은 선택된 박스(330)가 삽입되는 홀(hole)(460)로 대치된다. 여기서, 쉘프는 페이지의 평면상에 있고 수평적인 축에 대해 회전된다. 전면 선택 위치(430에서)로부터 더 멀리 있는 쉘프 및 박스들은 예를 들어,(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으로 다루어진다. 선택된 쉘프상의 특정한 박스는 적절하게 강조되거나, 박스를 키우거나, 굵게 만듬으로서 선택된 것으로 도시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로, 또 다른 예에서는 이용가능한 카테고리, 프로파일 등의 세트를 나타내는데 표시판이 사용된다. 각 표지는 카테고리 또는 프로파일의 세트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표지(480, 485, 450)는 선택된 것(460, 475)을 제외하고 시점에 대해 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표지가 선택될 때, 카테고리내에서 이용가능한 선택은 표지의 좌측에 태그(tag)(470, 472)로 드러난다. 검색 일부(프로파일에 대해 선택된 기준)를 형성하도록 선택된 이들 기준 또는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460, 4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의 우측에 도시된다. 구성되는 현재 검색의 명칭은 이것이 구성 중인 프로파일의 명칭 또는 검색인 경우, 예를 들어, (4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표시된다. 그래서, 표지판의 우측에 선택된 기준의 어레이는 상기에 논의된 비드 실시예에서 검색 빈(140)의 내용에 대응한다. 도 10 및 도 11 실시예의 네비게이션은 비드 실시예에서의 네비게이션과 유사하다. 수직 커서 키(232)를 누르면, 현재 선택된 표시는 도 11의 표지(490)와 같이 "오픈" 위치로진동된다. 수평 커서 키(212)를 누르면, 태그(460/470)는 굵은 글씨, 칼라 변화, 크기 변화 등에 의해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두드러지게 강조된다. 태그(471)는 크기 및 굵기 변화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 도시된다. 태그는 이들을 선택함으로서 표지판의 우측으로부터 제거 및 부가될 수 있다. 태그를 선택하는 것은 표지판 측면 사이에서 위치를 토글(toggle)시킨다. 일단 기준이 검색으로 저장되면, 이들은 자체 "검색" 표지(도시되지 않은)로부터 이들을 선택함으로서 이용가능해질 수 있다. 표지판에서 볼 수 없는 임의의 기준은 수직으로 스크롤함으로서 불러올 수 있다. 새로운 표지는 바닥 및 상단에 각각 나타난다. 새로운 태그는 좌우측 끝부분에 나타난다.
상기 모든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키워드 리스트는 일반 템플레이트로부터 보다는 동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키워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다. 그러나, 키워드 리스트는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또는 질의를 설립할 때 사용자의 카테고리 선택을 반영하도록 일반 항목으로부터 발췌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로, 일단 검색이 발동되면, 사용자는 개요 월드를 보게 된다. 이 관찰은 검색 모드에서 시작 버튼(228)를 누름으로서 발동된다. 다른 방법으로, 개요 버튼은 원격 제어(210)에 제공될 수 있다. 개요 모드는 계층 구조에 대한 일부 은유에 의해 각 복귀 레코드의 관계를 도시적으로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도시한다. 검색에 의해 복귀된 각 레코드는 도 12에서 8각형 타일로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자에 관련된 결과의 명확한 근사치는 검색 기준과 레코드 사이의 적합성에 대한 양호함에 대응한다. 또한, 레코드(510)은 레코드(535)과 비교해 굵은선, 큰 전체 차원, 및 굵은 텍스트로 도시된다. 보다 관련된 결과는 디스플레이의 중심 쪽에 위치한다. 현재 결과 디스플레이가 (530)에 발생된 기준을 나타내는 소자가 있다. 결과 타일(510, 525 등)은 커서 키(212, 232)를 사용하여 네비게이트될 수 있다. 타일을 선택하면, 선택된 항목에 대해 또 다른 정보를 드러내도록 오픈된다.(510)에는 프로그램 "Here's Kitty"을 나타내는 타일이 도시된다. 그래서, 이 선택에 대해 추가 정보가 도시된다.
커서 키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기준 소자(510)를 네비게이트할 수 있다. 도 12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수직 및 수평 커서 키(212, 232)는 2개의 이동축을 사용하여 임의의 아이콘이 액세스될 수 있도록 X-Y 투사면(화면의 평면, 여기서 Z축은 전면으로부터 배경에 이르는 그림축이다)에 대해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다른 방법의 실시예에서, 커서 키(212, 232)는 배경 타일이 사용자에 더 가까워지고, 그럴 때 더 많은 정보가 시각화될 수 있도록 Z축을 따라 이동되는데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Z축 제어는 on 및 off로 토글되거나, 한 세트의 커서 키, 즉 수직 커서 키(214)가 Z-축을 따라 전면 및 후면으로 이동하고, 다른 세트가 현재 전면 타일 세트 사이에서 이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면에서 배경 방향으로 이동될 때, 현재 전면 타일 세트는 관찰자 뒤로 이동된 것처럼 없어진다.
GO 버튼(214)을 눌러 기준 소자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가 다시 검색 모드로 변화되어, 현재 검색(기준 소자로 나타내지는 것)이 검색 빈(140)(또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대응하는 소자)으로 로드된다. 이는 검색이 쉽게 편집되도록 허용한다.
이제 도 13을 참고로, 그 결과는 제3 차원 변위 소자가 적용되지 않는 점을제외하고, 도 12와 유사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즉, 덜 관련된 레코드는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있고 덜 굵지만, 이들은 도 1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경으로부터 물러나지 않는다. 다른 특성들은 기본적으로 도 12의 실시예와 똑같다.
이제 도 14를 참고로, 검색 결과는 실질적으로 같은 중심의 고리(605) 주변에 조직된다. 각 레코드는 비드 또는 토큰(610, 620, 630)으로 나타난다. 고리(605)는 관찰자로부터 멀어지는 터널형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수평 커서 키(232)는 현재 선택된 토큰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토큰(605)은 도 14에서 선택된 토큰이다). 수직 커서 키(212)는 Z축을 따라 이동하는데, 즉 터널을 통과하여 배경 고리를 전면으로 가져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고리(605)가 전방으로 이동하므로(관찰자가 Z축을 따라 진행되므로), 토큰(610, 620, 630)은 관찰자에게 더 가까워지고 더 커진다. 커짐에 따라, 더 많은 정보가 드러나므로, 예를 들어 제목이 상세한 설명으로 가는 길을 제공하는 요약부에 길을 제공하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 오디오, 비디오, 화면 캡(cap)(소형 화상(thumbnail)) 등과 같이 다른 매체 종류가 발동될 수 있다. 이들은 여기서 설명된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실시예들과 같이, 선택 소자(554)가 현재 결과 디스플레이 및 기준을 편집하기 위해 관련된 검색 모드로 되돌아가기 위한 메카니즘을 만든 선택 기준의 시각적 상기 내용을 제공한다. 다시, 이들 특성으로의 고속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적절한 네비게이션 키가 제공될 수 있다. 각 고리는 (566)에서 화면에 도시될 수 있는 정합질 레벨과 연관된다.
도 15를 참고로, 개요 월드 화면의 본 실시예는 토큰이 고리 보다나선형(666) 주변에 도시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4와 유사하다. 이 배열은 기본적으로 단 하나의 커서 키 세트가 이를 네비게이트하는데 사용될 필요가 있도록 기본적으로 1차원이다. 네비게이트는 선호하는 바에 따라 Z축을 따른 이동으로 참여되거나 참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6a를 참고로, 순수한 텍스트 실시예는 다른 디스플레이 부분을 분리하도록 3차원-공간 시각화를 사용한다. 도면은 3차원 평면 및 축의 정의를 도시한다. 또한, 도 16b를 참고로, UI에서는 Y축을 따라 분포된 카테고리(703)와 X축을 따라 분포되고 X-Y 평면에서 펼쳐진 카테고리 선택(701)이 나타난다. 시간(702)은 Z축을 따라 도시된다. 사용자 프로파일(706)은 Y-Z 평면에 도시된다. 검색 제목(705)과 그 소자(704)는 X-Z 평면에 도시된다. 선택된 항목은 괄호안에 도시된다. 검색 빈(140)의 역할은 (704) 및 (7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z 평면으로 운행된다. 도 17을 참고로, 검색 결과는 3차원 배경 화면에서 텍스트 아이콘으로 나타내질 수 있다. 전면 제목은 Y-Z 평면에서 관련 스케일(814)로 나타내진 바와 같이 가장 관련된다. 덜 관련된 결과(802, 803)는 Z축을 따라 관찰자로부터 떨어져 관련 순서로 진행되어 나타난다. 가장 관련된 레코드 주위의 괄호(817)는 이 레코드가 현재 선택되어 있음을 나타난다. 선택된 레코드는 예를 들어, (8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코드에 대해 상세한 정보를 드러낼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소형 화상 또는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확대된 상태를 드러내는 것은 선택이 반드시 선택된 항목에 대한 추가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일으키지 않도록 분리된 동작에 의해 발동될 수 있다. 이는 모든 실시예에 적용된다. 커서 키는 덜 관련된 레코드 쪽으로 스크롤하고 각 레코드를 차례대로 두드러지게 강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는 실제로 단어나 다른 심볼들, 예를 들면 상술된 키워드 카테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 키워드는 사전에서 인지될 수 있는 모든 단어가 될 수 있고, 키보드(물리적인 키보드나 화면상의 동일한 것) 없이 다른 키워드를 선택한다. 키보드는 지루하므로, 키워드가 간단히 예를 들어, 상술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스트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키워드 카테고리는 방대한 대안으로부터 발췌하는데 다양한 소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들 단어는 키워드 선택 리스트에서 유용하다. 단어는 선택된 레코드의 설명 및/또는 그 변화나 발생 회수를 근거로 질의에 의해 복귀된 레코드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도 18을 참고로, 사용자는 검색에 의해, 또는 직접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를 액세스한다. 데이터베이스의 직접적인 액세스 방법은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레코드 선택 및 브라우징(browsing)에 대응한다. 검색은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나 또는 다른 것을 행하고, 경로는 단계(S150)에서 선택된다. 검색이 실행되면(단계 S100), 레코드는 단계(S115)에서 검색 결과로부터 구성된 단어 리스트가 될 수 있다. 제목, 설명, 레코드 내용 등으로부터의 일부 또는 모든 단어들은 시스템의 용량 및 설계자의 바램에 따라 검색 결과로부터 발췌될 수 있다. 덜 관련된 단어는 문법적인 분석을 근거로 리스트 중에서 필터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는 설명 및 제목 단어들의 문장에서 하나의 직접적인 목적어와 주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단 리스트가 형성되면, 리스트에서 대부분의 공통 단어들은 식별되고(S120), 발생 회수 및 중요도를 근거로 랭킹이 정해진다(S125)(예를 들면, 단어 제목들은 레코드 자체의 내용이나 설명으로부터의 단어 보다 더 중요하다). 예를 들어, 검색 기준과 탐색 레코드 사이의 적합성에 대한 양호도와 같이, 다른 기준이 리스트에 부가된 단어들을 선택하여 랭킹을 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는 단순한 제안이다. 사용되는 기준은 액세스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일부 레코드는 중요 정보를 명확하게 제공하는 레코드를 특징지워 주는 양수인, 발명자, 특허 출원 날짜와 같이 다른 많은 특수화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중요도 및 회수에 대해 리스트의 상단에 남아있는 일반 단어들은 각 랭킹 데이터와 함께 리스트의 일부가 되고, 그 처리는 검색이 이루어질 때마다 반복된다. 반복된 검색은 리스트를 설립하지만, 리스트는 항상 상단에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분류되어 남아있다. 상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를 사용하여,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언제나 화면상에 나타나고, 가장 덜 중요한 것들은 비드 스트링(또는 다른 대응하는 소자)을 스크롤함으로서 이용가능해진다. 이 방법으로, 인터페이스는 많은 키워드 저장소에 액세스를 제공하면서 클러터 처리되지 않고 유지된다.
사용자가 검색하지 않고 레코드를 간단히 선택하는 것을 선택하면, 단어 리스트는 검색에 대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 리스트에서 발췌된 공통 단어 및 다수의 선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계(S110)에서는 하나 이상의 레코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 단계(S110)는 검색하지 않고 직접, 또는 단계(S100 - S130)를 먼저 통과하고 이어서 단계(S150)를 통과하여 다시 검색 결과로부터 하나 이상의 레코드를 선택하도록 (S110)에 이르러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S135)에서, 사용자는 선택된 레코드으로부터의 단어나 레코드를 단어 리스트에 부가한다. 설명자에서 히트 데이터의 회수를 식별하기 위해, 다수의 레코드를 가지고, 각 선택이 단일 리스트 및 다수의 선택 반복을 포함하는 조합된 리스트로부터 유도된 회수 데이터에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 많은 수의 레코드가 한번 선택되면, 빈도 데이터는 이들 선택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리스트에 단어들을 부가하는 것은 검색 결과로부터 발췌된 단어들에 대해 상기에 논의된 것과 똑같은 필터링 및 분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40)에서, 낮은 히트 회수를 갖는 단어들은 리스트에서 필터 처리된다. 단계(S145)에서, 모든 항목은 상기에 논의된 다양한 기준에 따라 랭킹이 정해진다. 검색에서 탐색된 레코드으로부터 유도된 단일 리스트 및 검색 레코드으로부터 유도된 단어 리스트는 단일 리스트로 조합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바람직하게, 키워드 리스트는 명세서에서 프로파일의 편집에 대해 상세히 설명된 것과 똑같은 형태로 사용자에 의해 편집가능하여야 한다. 데이터 사용 회수를 근거로 키워드 리스트를 구성하기 위해, 시스템은 키워드를 전혀 갖지 않고 시작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질의를 입력할 때마다, 복귀된 결과가 공통 항목에 대해 주사될 수 있다. 제목, 설명, 및 임의의 다른 데이터가 주사될 수 있고, 일부 회수 정도로 발생되는 항목들은 키워드로 저장될 수 있다. 리스트의 키워드는 각각 키워드가 나타나는 문맥에 의해 가중화된 회수를 근거로 랭킹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목의 키워드는 설명에 있는 키워드 보다 더 낮은 랭킹을 갖거나, 설명에서 한 문자의 문법적인 분석에서 직접적인 목적어 또는 주어인 키워드가 간접적인 목적어 보다 더 높은 랭킹을 갖는다. 검색의 복귀 레코드으로부터 키워드를추출하는 대신에, 키워드는 사용되도록 선택된 레코드으로부터만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찰 및 레코드하도록 선택된 프로그램만이 실제로 설명된 방식으로 키워드 리스트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방법으로, 질의의 복귀 및 선택이 모두 사용될 수 있지만, 선택된 레코드의 키워드는 다른 복귀 레코드의 키워드 보다 더 큰 가중치가 주어질 수 있다. 이러한 더 짧은 리스트는 곤란했던 것으로 사용된 것과 똑같은, 또는 유사한 방법을 사용해 랭킹이 정해질 수 있다.
스트링이 기준을 나타내는 경우, 각 카테고리에서 기준의 랭킹은 질의를 구성할 때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기준의 회수에 대응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검색이 항상 낮시간 시간 범위를 포함하면, 이 시간 범위에 대응하는 비드 또는 비드들은 더 높은 랭킹이 정해진다. 다른 방법으로, 검색에 의해 복귀되는 모든 레코드(또는 적어도 가장 높이 랭킹이 정해진 것들)에 의하기 보다는, 선택된 레코드에 따라 랭킹이 정해질 수 있다.
상기 기술 중 많은 부분은 다른 종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일실시예인 상기 설계에 제한되지 않음을 주목한다. 그래서, 예를 들어, 키워드 리스트가 순수한 텍스처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발된 설계 철학에 맞추어, 작은 수의 고관련 기준만이 소정의 시간에 화면상에 보여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카테고리에 걸쳐, 사용자가 소정의 기준을 선택한 회수는 바람직하게 중요도의 순서로 기준의 랭킹을 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래서, 비록 텔레비전 데이터베이스가 100개 이상의 채널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더라도, 이들 채널 중 5개만이 검색 질의에 주기적으로 입력되면, 이들 5개 채널은 디폴트(default)로 디스플레이상에서 가장 전면 또는 두드러진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되어야 한다. 다른 기준도 액세스가능하지만, 인터페이스는 순수하게 사용자에게 모두에 동일한 액세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각 기준 카테고리의 우선화는 또한 사용자에 의해 편집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음을 주목한다. 예를 들어, 채널이 일시적으로 올림픽 경기 동안의 사용 회수에 의해 판단되어 싫어하는 것으로 떨어지면, 사용자는 이를 탐색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선택된 카테고리 소자의 랭킹을 나타내는 리스트를 재분류하는 메뉴 옵션을 발동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기술 중 임의의 것이 될 수 있지만, 상세히 설명될 필요는 없다.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는 본 발명이 상기 설명 실시예의 상세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이 그의 의도 또는 기본적인 특성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로 실현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설명적인 것으로 생각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 보다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나타내지고, 청구항과 동일한 것의 범위 및 의미내에 드는 모든 변화는 그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230),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10)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지시들(instructions)을 수신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제어기(240)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며, 워드들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필드들을 포함하는 레코드들을 갖는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결과를 생성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제 1 검색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결과의 어떤 레코드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워드들 중에 키워드들을 식별하여 상기 키워드들을 저장하는 식별 및 저장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키워드들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응답하는 검색 질의에서 상기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명령들(commands)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및 수용 단계와;
    제 2 결과를 생성하도록 상기 검색 질의에 기초하여 제 2 검색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 실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과 및 상기 저장된 것들에 응답하여 상기 키워드들 중 상기 저장된 것들을 랭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검색 실행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랭크 단계는 주어진 키워드가 상기 제 2 결과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 실행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자주 사용된 키워드들이 덜 자주 사용된 키워드들로부터 구별되도록 랭크된 종류(fashion)에서 상기 키워드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 실행 방법.
  5. 워드들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필드들을 포함하는 레코드들을 갖는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을 실행하는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230),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10)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지시들을 수신하도록 연결된 제어기(240)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검색 실행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 1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제 1 검색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명령들에 따라 상기 제 1 결과의 어떤 레코드들을 선택하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워드들 중에 키워드들을 식별하고 데이터 저장 장치에 상기 키워드들을 저장하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키워드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명령들에 응답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검색 질의에 상기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명령들을 수용하도록 프로그래밍되며;
    상기 제어기는 또한, 제 2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검색 질의에 기초하여 제 2 검색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 실행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제 2 결과 및 상기 저장된 것들에 응답하여 상기 키워드들 중 상기 저장된 것들을 랭크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 실행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저장된 것들의 랭킹이 주어진 키워드가 상기 제 2 결과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생성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 실행 디바이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자주 사용된 키워드들이 덜 자주 사용된 키워드들로부터 구별되도록 랭크된 종류에서 상기 키워드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 실행 디바이스.
  9. 검색 질의를 발생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 장치(235, 260)에 랭크되고 저장된 키워드들 중 선택된 것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들을 수용하는 단계;
    디스플레이(230) 상에 상기 키워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나타내는 단계;
    상기 수용하는 단계의 결과에 응답하여 형성된 검색 질의를 제시하고 그에 의해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레코드들에 포함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상기 키워드들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질의 발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키워드들이 상기 결과 및 이전의 검색 결과들에 나타나는 빈도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상기 키워드들의 랭킹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질의 발생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을 수용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로부터 키워드를 제거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검색 질의 발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나타내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엘리먼트(124)를 강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질의 발생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나타내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를 강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질의 발생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중 선택된 것들의 승인을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키워드들이 그렇게 나타내지고 이전의 검색 결과들에 그렇게 나타내졌던 빈도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상기 키워드들의 랭킹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질의 발생 방법.
  15. 검색 질의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230)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10)를 갖는 데이터베이스 저장 장치(235, 260)에 연결 가능한 제어기(240)와;
    키워드들의 랭크된 세트를 포함하는 키워드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검색 질의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그의 랭킹에 응답하여 키워드들의 선택된 것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용하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수용된 명령들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키워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나타내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명령들에 응답하는 검색 질의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그에 의해 검색 결과를 수신하도록 프로그래밍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레코드들에 포함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상기 키워드들을 업데이트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검색 질의 발생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키워드들이 상기 검색 결과 및 이전의 검색 결과들에 출현하는 빈도에 응답하여 키워드들의 상기 랭크된 세트의 랭킹을 수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검색 질의 발생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명령들이 상기 질의로부터 키워드를 제거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검색 질의 발생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키워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를 강조함으로써 상기 선택을 나타내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검색 질의 발생 디바이스.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키워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엘리먼트(124)를 강조함으로써 상기 선택을 나타내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검색 질의 발생 디바이스.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검색 결과 중 선택된 것들의 승인을 나타내는 명령들을 수용하고, 상기 키워드들이 그렇게 나타내지고 이전의 검색 결과들에서 그렇게 나타내졌던 빈도에 응답하여 상기 키워드들의 상기 랭킹을 수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검색 질의 발생 디바이스.
KR1020017015340A 2000-03-29 2001-03-21 키워드 검색 기준의 자동 발생 및 인간 환경 공학의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0809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37,497 US6463428B1 (en) 2000-03-29 2000-03-29 User interface providing automatic generation and ergonomic presentation of keyword search criteria
US09/537,497 2000-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809A true KR20020016809A (ko) 2002-03-06
KR100809307B1 KR100809307B1 (ko) 2008-03-04

Family

ID=2414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340A KR100809307B1 (ko) 2000-03-29 2001-03-21 키워드 검색 기준의 자동 발생 및 인간 환경 공학의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63428B1 (ko)
EP (1) EP1384167B1 (ko)
JP (1) JP5632571B2 (ko)
KR (1) KR100809307B1 (ko)
CN (1) CN100481066C (ko)
AT (1) ATE350713T1 (ko)
DE (1) DE60125840T2 (ko)
WO (1) WO200107359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778A1 (ko) * 2016-04-15 2017-10-19 (주)솔루젠 빅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7980A (ja) * 2000-05-29 2001-12-07 Sony Corp 電子番組ガイド検索方法及び電子番組ガイド検索装置
US7464086B2 (en) 2000-08-01 2008-12-09 Yahoo! Inc. Metatag-based datamining
US7702541B2 (en) * 2000-08-01 2010-04-20 Yahoo! Inc. Targeted e-commerce system
US6925650B1 (en) * 2000-08-21 2005-08-02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creation of linking information
US7956865B2 (en) * 2000-10-19 2011-06-07 Jlb Ventures Llc Method and system for modification of EPG object attributes
US7444660B2 (en) * 2000-11-16 2008-10-28 Meevee,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etadata for video programming events
WO2002043353A2 (en) * 2000-11-16 2002-05-30 Mydtv, Inc.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desirability of video programming events
US20020083468A1 (en) * 2000-11-16 2002-06-27 Dudkiewicz Gil Gavriel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etadata for segments of a video program
JP2002320246A (ja) * 2001-01-15 2002-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視聴履歴利用システム及びそれに関する装置
KR20020064821A (ko) * 2001-02-03 2002-08-10 (주)엔퀘스트테크놀러지 문서 장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문서장르 분류시스템 및 그 방법
US6714929B1 (en) 2001-04-13 2004-03-30 Auguri Corporation Weighted preference data search system and method
JP2002351897A (ja) * 2001-05-22 2002-12-06 Fujitsu Ltd 情報利用頻度予測プログラム、情報利用頻度予測装置および情報利用頻度予測方法
JP2003016094A (ja) * 2001-06-28 2003-01-17 Hitachi Ltd 情報フィルタリングに用いるプロファイル管理方法、および、プロ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GB0121170D0 (en) * 2001-08-31 2001-10-24 Nokia Corp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ntent selection
US7836057B1 (en) 2001-09-24 2010-11-16 Auguri Corporation Weighted preference inference system and method
AU2002366072A1 (en) * 2001-11-16 2003-06-10 Mydtv, Inc.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determining the desirability of and recording programming events
KR100444995B1 (ko) * 2002-01-09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US8001567B2 (en) * 2002-05-02 2011-08-16 Microsoft Corporation Media planner
JP4040382B2 (ja) * 2002-07-30 2008-01-30 ソニー株式会社 キーワードの自動抽出装置及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468171B1 (ko) * 2002-12-13 200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 정보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8260874B1 (en) * 2003-01-10 2012-09-04 Northwestern University Request initiated collateral content offering
US20040143644A1 (en) * 2003-01-21 2004-07-22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eta-search engine architecture
JP2005056361A (ja) * 2003-08-07 2005-03-0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7698654B2 (en) * 2004-01-05 2010-04-1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axial navigation of a user interface
KR101017368B1 (ko) * 2004-01-13 2011-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반의 epg 정보 관리 장치
KR100452085B1 (ko) * 2004-01-14 2004-10-12 엔에이치엔(주) 카테고리 별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348055A (ja) * 2004-06-02 2005-12-15 Toshiba Corp ユーザプロファイル編集装置及びユーザプロファイル編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765225B2 (en) 2004-08-03 2010-07-27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Search system
US20060036565A1 (en) * 2004-08-10 2006-02-16 Carl Bruecken Passive monitoring of user interaction with a browser application
WO2006047790A2 (en) * 2004-10-27 2006-05-04 Client Dynamics, Inc. Enhanced client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with a recommendation engine
US8620717B1 (en) 2004-11-04 2013-12-31 Auguri Corporation Analytical tool
US20060112077A1 (en) * 2004-11-19 2006-05-25 Cheng-Tao Li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dynamic selection menu
US9420021B2 (en) 2004-12-13 2016-08-16 Nokia Technologies Oy Media device and method of enhancing use of media device
US7523100B1 (en) * 2005-02-28 2009-04-21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rendered form as a search template
US7613688B2 (en) * 2005-02-28 2009-11-03 Sap Ag Generating business warehouse reports
US8020110B2 (en) * 2005-05-26 2011-09-13 Weisermazars Llp Methods for defining queries, generating query results and displaying same
EP1770882A1 (en) * 2005-09-30 2007-04-04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a broadcast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4536637B2 (ja) * 2005-10-28 2010-09-01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情報散策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7627559B2 (en) * 2005-12-15 2009-12-01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based key phrase discovery and similarity measurement utilizing search engine query logs
US7716229B1 (en) 2006-03-31 2010-05-11 Microsoft Corporation Generating misspells from query log context usage
CN101178737B (zh) * 2006-12-12 2014-11-05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互联网关键字符相关信息的发布方法和系统
KR100784969B1 (ko) * 2006-12-20 200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사용기록 기반 메뉴 표시 방법
US20080215560A1 (en) * 2007-03-01 2008-09-04 Denise Ann Bell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system database for coordinating the inforamtion technology activites for a business enterprise
US20080263009A1 (en) * 2007-04-19 2008-10-23 Buettner Raymond R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of search query information across organizational boundaries
US20080288866A1 (en) * 2007-05-17 2008-11-20 Spencer James H Mobile device carrousel systems and methods
US8549436B1 (en) 2007-06-04 2013-10-01 RedZ, Inc. Visual web search interface
CN101354705B (zh) * 2007-07-23 2012-06-13 夏普株式会社 文档图像处理装置和文档图像处理方法
CN101354703B (zh) * 2007-07-23 2010-11-17 夏普株式会社 文档图像处理装置和文档图像处理方法
CN101354704B (zh) * 2007-07-23 2011-01-12 夏普株式会社 字形特征字典制作装置及具备该装置的文档图像处理装置
US7979321B2 (en) * 2007-07-25 2011-07-12 Ebay Inc. Merchandising items of topical interest
CN101601038A (zh) * 2007-08-03 2009-12-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关联词语提示装置
US8271357B2 (en) 2007-12-11 2012-09-18 Ebay Inc. Presenting items based on activity rates
US20090259620A1 (en) * 2008-04-11 2009-10-15 Ahene Nii A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data searches
US8280902B2 (en) * 2009-09-01 2012-10-0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High precision search system and method
US9886681B2 (en) * 2009-11-24 2018-0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reating an aggregate report of a presence of a user on a network
CN101826102B (zh) * 2010-03-26 2012-07-25 浙江大学 一种图书关键字自动生成的方法
US8700592B2 (en) 2010-04-09 2014-04-15 Microsoft Corporation Shopping search engines
US9785987B2 (en) 2010-04-22 2017-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for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US20110264678A1 (en) * 2010-04-26 2011-10-27 Microsoft Corporation User modification of a model applied to search results
US9043296B2 (en) 2010-07-30 2015-05-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of providing suggestions based on accessible and contextual information
KR101763594B1 (ko) * 2010-10-14 201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tv와 서버 그리고 그 제어방법
US8595651B2 (en) 2011-01-04 2013-1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ngle page multi-tier catalog browser
US8799263B2 (en) * 2011-09-04 2014-08-05 Leigh M Rothschil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dimensional search results
US9348846B2 (en) 2012-07-02 2016-05-24 Google Inc. User-navigable resource representations
US10395276B1 (en) 2012-09-07 2019-08-27 Groupon, Inc. Pull-type searching system
JP6959862B2 (ja) * 2014-09-23 2021-11-05 インターデジタル マディソン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スアーエス 検索クエリ形成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6155756B (zh) * 2016-06-24 2019-06-25 周登祥 一种在计算机上实现跨人类语言编程的方法
US11240057B2 (en) * 2018-03-15 2022-02-01 Lenovo (Singapore) Pte. Ltd. Alternative output response based on contex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30A (en) * 1987-06-24 1989-01-05 Canon Inc File retrieval system
JP3219840B2 (ja) * 1992-05-13 2001-10-1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検索装置
IN187926B (ko) 1992-09-10 2002-07-27 United Syndicate Insurance Ltd
AU5670394A (en) * 1992-11-23 1994-06-22 Paragon Concepts, Inc. Computer filing system with user selected categories to provide file access
US5642502A (en) * 1994-12-06 1997-06-24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for relevant documents from a text database collection, using statistical ranking, relevancy feedback and small pieces of text
US6026388A (en) * 1995-08-16 2000-02-15 Textwise, Llc User interface and other enhancements for natural language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nd method
US5737734A (en) 1995-09-15 1998-04-07 Infonautics Corporation Query word relevance adjustment in a search of 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DE69623238T2 (de) 1995-11-17 2003-04-30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Verfahren für menugesteuerte Ablauffolgeplanung zur Benutzung in einem Fernsehgerät
US5867226A (en) 1995-11-17 1999-02-0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cheduler employing a predictive agent for use in a television receiver
US5913215A (en) * 1996-04-09 1999-06-15 Seymour I. Rubinstein Browse by prompted keyword phrases with an improved method for obtaining an initial document set
AU3294997A (en) 1996-06-13 1998-01-07 Starsight Telecast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 guide using program characteristics
BR9713511A (pt) 1996-11-15 2000-06-06 Hyundai Electronics America Método e aparelho para localizar um programa em um guia eletrônico de programas
US5987457A (en) * 1997-11-25 1999-11-16 Acceleration Software International Corporation Query refinement method for searching documents
JP2000013708A (ja) * 1998-06-26 2000-01-14 Hitachi Ltd 番組選択支援装置
US6327590B1 (en) * 1999-05-05 2001-12-04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ranking of search results employing user and group profiles derived from document collection content analys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778A1 (ko) * 2016-04-15 2017-10-19 (주)솔루젠 빅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84167A2 (en) 2004-01-28
EP1384167B1 (en) 2007-01-03
CN100481066C (zh) 2009-04-22
CN1535430A (zh) 2004-10-06
WO2001073599A3 (en) 2003-12-04
US6463428B1 (en) 2002-10-08
ATE350713T1 (de) 2007-01-15
DE60125840D1 (de) 2007-02-15
WO2001073599A2 (en) 2001-10-04
KR100809307B1 (ko) 2008-03-04
JP5632571B2 (ja) 2014-11-26
JP2003529157A (ja) 2003-09-30
DE60125840T2 (de)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309B1 (ko) 시각적 메타포들에 기초한 강화된 접근가능성 및 사용이용이한 특징들을 가진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0809307B1 (ko) 키워드 검색 기준의 자동 발생 및 인간 환경 공학의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0762724B1 (ko) 자동 조직화를 제공하고 검색 기준들을 필터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EP1384171B1 (en) Data search user interface with ergonomic mechanism for user profile definition and manipulation
US64737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search queries and user profiles and viewing search results
EP1410253B1 (en) Search user interface providing mechanism for manipulation of explicit and implicit criteria
KR100809308B1 (ko) 사용자 프로파일들 및 검색 기준을 구성하고 관리하기위한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