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609A -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 - Google Patents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609A
KR20020015609A KR1020000048772A KR20000048772A KR20020015609A KR 20020015609 A KR20020015609 A KR 20020015609A KR 1020000048772 A KR1020000048772 A KR 1020000048772A KR 20000048772 A KR20000048772 A KR 20000048772A KR 20020015609 A KR20020015609 A KR 20020015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otonin
acetyltransferase
activity
inhibitor
myrice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399B1 (ko
Inventor
김경태
최보화
Original Assignee
김경태
주식회사 뉴로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주식회사 뉴로넥스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00-0048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399B1/ko
Priority to PCT/KR2001/001416 priority patent/WO2002015901A1/en
Priority to AU2001280234A priority patent/AU2001280234A1/en
Publication of KR2002001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의 억제를 통해 세로토닌 양을 조절하고, 신경전달자로 작용하는 N-아세틸세로토닌과 멜라토닌 합성을 감소시키며, 이를 통해 불면증, 시차로 인한 피로(Jet-lag), 야간 근무(night-shift work), 수면지체(delayed-sleep-phase) 증후군을 지닌 환자들, 우울증과 계절성 정동 장애(seasonal affective disorder)를 보이는 환자들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미리세틴(myricetin, 5, 7, 3', 4', 5'-pentahydroxyflavonol)은,

Description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 { Use of myricetin as an inhibitor for serotonin N-acetyltransferase }
본 발명은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AA-NAT)의 활성 억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의 억제를 통해 세로토닌 양을 조절하고, 신경전달자로 작용하는 N-아세틸세로토닌과 멜라토닌 합성을 감소시키며, 이를 통해 불면증, 시차로 인한 피로(Jet-lag), 야간 근무(night-shift work), 수면지체(delayed-sleep-phase) 증후군을 지닌 환자들, 우울증과 계절성 정동장애(seasonal affective disorder)를 보이는 환자들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이용 될 수 있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리세틴(myricetin, 5, 7, 3', 4', 5'-pentahydroxyflavonol)은 세 개의 환을 가진 폴리 페놀류로 플라보놀류에 속하는데, 미리세틴은 바이칼린의 배합에 의해 바이러스나 암의 DNA, RNA 합성을 차단시켜 바이러스나 암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종양, 항염증성 치료제, 신장 및 심장 기능을 항진시켜 강력한 이뇨작용을 나타내는 이뇨제로 이용되고, 배당체인 미리시트린은 항혈관 침투작용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미리세틴은 한약재인 양매피 즉, 소귀나무 수피의 주요 성분인데, 한방에서 양매피는 구내염, 혈압강하약, 이뇨약, 수렴지사약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미리세틴이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저해제로 작용함으로써 세로토닌이나 멜라토닌과 관련된 각종 질환의 치료제, 즉 불면증, 시차로 인한 피로(Jet-lag), 야간 근무(night-shift work), 수면지체(delayed-sleep-phase), 월경전 증후군 등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은 밝혀진 바가 없다.
스트레스성 수면장애나 교대근무 등 시차적응에 따른 수면장애, 여행자들이 겪는 수면장애 즉, 시차로 인한 피로를 치료하는 데 멜라토닌을 투여하고 있으며, 병원 수련의, 장거리 운전자 등을 포함한 야간 교대 근무자들에게서 보이는 수면장애와 피로, 소화장애, 심장순환기 장애 등을 경감시키고 수면리듬을 조절하는데 멜라토닌이 이용되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멜라토닌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단기간 수면장애의 완화 및 수면리듬 조절을 도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노인에게서 보여지는 만성적인 수면장애나 기타 정신 질환적 원인으로 인한 원발성 수면장애와 같은 경우에는 매일 일정기간에 다량의 멜라토닌을 복용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치료에 응용되고 있지 않다.(Kayumov L, Zhdanova IV, Shapiro CM, 2000, Seminars in Clinical Neuropsychiatry, 5(1) : 44-55). 이 같은 경우에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을 증가시켜 멜라토닌 합성 활성화를 유도하는 물질이 있다면 적절히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생체 내 멜라토닌의 양이 정상범위를 벗어나 높은 수준이 지속되면 계절성 정동장애(seasonal affective disorder)와 같은 우울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낮의 길이가 짧아짐으로서 사람이 어두운데서 활동하는 시간이 증가하고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신호가 줄어들게 되므로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효소 활성이 전반적으로 높게 유지되어 멜라토닌의 체내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현상으로 미루어 보아 멜라토닌이 감정의 조절, 특히 우울증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Leibenluft E, 1998, Scientific American, 9: 31-35)
불안, 우울, 수면장애, 복부의 통증, 분노, 발작, 현기증, 졸도, 자살충동,유방의 불편감, 조직 내 수분의 증가, 약간의 체중증가, 두통 등의 증상을 보이는 월경전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은 가임기 여성(20-30대)의 약 40-60%에서 발견될 정도로 발생빈도가 높다. 특히, 모든 여성의 3-5%정도에서 매달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심각한 정신적, 감정적 문제들로 고통을 받고 있다. 현재 삼환계 항우울제(Tricyclic antidepressants) 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등의 약물을 투여함으로 일부 효과를 보인 경우가 보고되었다.(Sundblad C, Hedberg MA, Eriksson E. 1993, Neuropsychopharmacology, 9: 133-145). 또한, 월경전 증후군을 지닌 여성 중에서 월경 주기동안 특히 여포기에 비해 황체기에 멜라토닌 분비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hinohara K, Uchiyama M, Okawa M, Saito K, Kawaguchi M, Funabashi T, Kimura F, 2000, Neuroscience Letters, 281: 159-162). 이러한 현상으로 미루어 보아 세로토닌과 멜라토닌이 월경전 증후군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세로토닌과 멜라토닌은 우울증의 병리기작에 중요한 신경전달 물질이다. 시냅스 내에 세로토닌 농도가 적을 경우 우울증이 유도되며 실제로 자살로 죽은 환자의 뇌에는 세로토닌과 그 대사물의 농도가 현저히 떨어져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고, 뇌척수액에 세로토닌의 대사물이 적은 환자의 경우에 자살의 빈도가 높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이 있다면 멜라토닌에 의한 우울효과를 감소시키고, 시냅스에서 세로토닌의 농도를 증가시켜 항우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송과선은 신경내분비 조직으로 두 개의 대뇌 반구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트립토판으로부터 만들어진 세로토닌이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에 의해 N-아세틸세로토닌이 되고 이것은 하이드록시인돌-O-메틸트란드퍼라제에 의해 멜라토닌이 형성된다. 송과선에서는 밤에 세로토닌의 양이 낮보다 낮은 반면, 멜라토닌 분비양과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이 100배 이상 높게 나타난다. 멜라토닌 분비와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 증가는 노르에피네프린이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결합함으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를 활성화시키고, cAMP의 양이 증가함으로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유전자의 전사와 번역을 활성화시키고, 효소의 활성을 유지시킴으로 나타나게 된다.(Klein DC, Coon SL, Roseboom PH, Weller JL, Bernard M, Gastel JA, Zatz M, Iuvone PM, Rodriguez IR, Begay V, Falcon J, Cahill GM, Cassone VM, Baler R, 1997, Recent Prog Horm Res. 52: 307-357). 이처럼 송과선에서 세로토닌과 멜라토닌의 생성 정도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에 의해 조절을 받으며, 이들 신경전달 물질들을 통해 중추 및 말초 신경계의 여러 기능들, 즉 세로토닌은 우울, 불안, 식욕, 강박 관념, 망상, 기분, 각성, 공격적인 성향, 고통, 수면, 학습, 기억, 두려움 및 식욕 등 조절작용에, 멜라토닌은 수면, 기분, 생식, 암의 성장, 노화 등의 조절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신경전달 물질 또는 홀몬에 작용하는 물질들을 통해 각종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물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지속되어 왔으며 이러한 예로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과 같은 신경전달물질계의 장애로 나타나는 우울증의 경우, 단가아민의 선택적 재흡수 차단제인 이미프라민, 플루오세틴, 데시프라민 등이 항우울제로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그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토닌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과 관련된 질환, 특히 우울증의 치료제로 사용 될 수 있으며, 부작용이 적고, 안정성이 뛰어난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이 미리세틴의 농도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b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이 미리세틴 처리 시간에 따라 억제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a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기질인 트립타민에 대해 미리세틴이 비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b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기질인 아세틸-CoA에 대해 미리세틴이 비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a는 백서의 강제수영검사를 통해 미리세틴이 대조군에 비해 부동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b는 백서의 강제수영검사를 통해 미리세틴이 대조군에 비해 수영 능력이 증가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하기의 화학식 으로 표시되는 미리세틴(5,7,3',4',5'-pentahydroxyflavonol)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의 억제를 통해세로토닌양을 조절하고, 신경전달자로 작용하는 N-아세틸세로토닌과 멜라토닌 합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수면 및 우울증 관련 질병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면 관련 질병은 불면증, 다면증(hypersomnia), 시차로 인한 피로(Jet-lag), 야간 근무(night-shift work), 수면지체(delayed-sleep-phase), 수면조발(advanced-sleep-phase) 증후군을 포함하고, 상기 우울증 관련 질병은 계절성 정동 장애 (seasonl affective disorder), 월경전 증후군, 단극성 우울증, 조울 정신병(manic-depressive psychosis), 비전형적 우울(atypical depression)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미리세틴의 50% 저해농도(50% inhibition concentration, IC50)는 약 2.2 μM 이고,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미리세틴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0.01 μM 내지 1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자들은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새로운 화합물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항종양, 항염증성 치료제, 이뇨제 성분으로만 알려져 있던 미리세틴이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과 관련된 질병 특히 우울증에 대한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때, 실시예에서는 한약재를 대상으로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탐색하였다.
약 300여종의 한약재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은 후,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분석법을 이용해 백서의 송과선에서 합성되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을 찾은 결과, 소귀나무 수피의 구성 성분 중 미리세틴이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을 가장 강력하게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 정도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를 함유하는 송과선 추출물에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기질인 [3H]-아세틸 CoA와 트립타민을 첨가하고 여기에 미리세틴을 처리하여 반응산물인 [3H]-아세틸트립타민의 양을 조사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상기 미리세틴이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2.2 μM에서 50% 억제효과를 그리고 30 μM에서 98% 이상 억제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1>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미리세틴 처리 농도에 따른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의 억제효과를 설명한다.
웅성 백서(Sprague Dawley, 200-250 gm)를 일정한 환경(실내온도 23±1℃, 비교습도 60±10%)에서 일주일 이상 하루 12시간씩 밤-낮 주기에 적응시킨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밤 12시경 붉은 빛 아래에서 백서의 뇌로부터 송과선을 적출해낸 다음 50mM 인산완충액(pH 6.8)에 담궈 고주파음에 의한 분쇄법을 이용해 조직을 분쇄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상층액을 수거하여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를 얻어내었다. 여기에 기질인 트립타민, 아세틸 CoA, [3H]-아세틸 CoA와 미리세틴을 첨가시켜 37℃에서 30분간 처리한 다음, 액상 폭광 계수기 (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방사능을 측정함으로써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정도를 측정하였다.
도 1a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이 미리세틴의 농도에 따라서 억제되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인데, 미리세틴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미리세틴의 농도가 2.2μM 일 때 약 50%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30μM 일 때 98% 이상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도 1b는 미리세틴을 처리했을 때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이 처리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인데,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이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처리 시간이 3분 경과했을 때 30% 정도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15분 경과했을 때 50% 정도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2>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기질인 트립타민과 아세틸 CoA에 대한 미리세틴의 억제 기작을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도 2a는 아세틸 CoA의 농도를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트립타민의 농도를 0.05 mM에서 1 mM까지 다양하게 처리하였을 때 미리세틴의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의 억제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트립타민에 대해 미리세틴이 비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도 2b는 트립타민의 농도를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아세틸 CoA의 농도를 1.8μM에서 29μM까지 다양하게 처리하였을 때 미리세틴의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의 억제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아세틸 CoA에 대해 미리세틴이 비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강제수영검사를 통한 미리세틴 처치시 항우울 효과를 설명한다.
이때, 절망행동검사(behavioral despair test)라고 하는 표준화된 검사법인 강제수영검사(forced swimming test)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약물개발시의 항우울효과를 검색하는 기본적인 실험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실험은 높이 40 cm, 지름 18 cm의 투명한 아크릴 원통형 수조에 25℃의 물을 채우고 백서를 빠뜨린 다음 15분간 강제로 수영을 시킨다. 물깊이는 백서가 수영을 하거나 물에 떠있을 때 뒷발이 바닥에 닿을 수 없을 정도로 한다.
일차 강제수영 후 이차 강제수영은 24시간이 지난 후에 시행한다. 이차 강제수영은 일차 강제수영과 같은 조건에서 5분간만 수조에 있게 하였고 이때 나타나는백서의 행동양상을 부동상태, 수영상태, 기어오르는 상태로 구분하여 계산하였다. 부동상태는 총부동시간을 계산하였고, 수영상태와 기어오르는 상태는 5분을 5초로 나누어 전체 60 단위로 구분지은 후, 5초내에 적어도 한번의 운동양상이 나오면 기록을 하였다. 미리세틴은 첫째날 15분 강제수영후 20 mg/kg의 농도로 복강주사하고, 둘째날 실시하는 5분 수영의 5시간전 그리고 1시간전에 20 mg/kg의 농도로 복강내에 투여를 하였다.
이차 강제수영시 백서는 학습된 절망의 결과 대부분이 이차 시행시보다 더 많은 시간동안 부동상태를 보이게 되며, 부동상태의 증가는 항우울제의 처치에 의해 다소 감소되기 때문에 이러한 부동상태의 감소가 항우울제들의 작용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도 3a는 강제수영검사를 통하여 총부동시간이 미리세틴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미리세틴이 우울증이 유발된 백서에서 항우울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도 3b는 강제수영검사를 통하여 수영상태가 미리세틴에 의해 증가되나 기어오르는 상태는 대조군과 유사하게 나타난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미리세틴이 수영상태를 증가시킴으로 항우울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은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을 억제시킨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과 관련된 중추신경관련 질환의 치료제, 불면증 치료제, 시차로 인한 피로(Jet-lag) 치료제, 야간 근무 종사자들(night-shift workers)과 수면지체(delayed-sleep-phase)증후군을 지닌 환자들의 치료제, 우울증과 계절성 정동 장애 (seasonal affective disorder), 월경전 증후군을 보이는 환자들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질병에 대한 치료제로서 상기 화합물은 일반적인 공지의 화학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한약재인 소귀나무(Myrica rubra Siebold et Zuccarini)의 수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소귀나무 수피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 안정성 및 비용면에서 화학합성에 의한 경우보다 유리하다.
본 발명은 비독성, 불활성, 제약상 적합한 부형제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제약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실제 임상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 활성제 등의 회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약 단위의 제형들을 포함한다. 제형은 개별 투약형태, 예를 들면 정제, 피복 정제, 캡슐제, 환제, 좌약 및 앰플제로 존재하고 약제 중 유효 화합물의 함량은 개별 투약량의 분율 또는 배수에 해당한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로,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유효 화합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비독성이고 불활성인 제약상 적합한 부형제는 고상, 준고상 또는 액상 희석제, 충전제 및 모든 유형의 제형 보조물이다. 바람직한 제형으로는 정제, 피복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좌약, 액제, 현탁액제 및 에멀전제, 페이스트제, 연고제, 겔제, 크림제, 로션제, 산제 및 분무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세틴의 50% 저해농도(50% inhibition concentration, IC50)는 약 2.2μM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0.01μM에서 1M 까지 이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리세틴은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을 억제하므로,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부산물인 멜라토닌과 전구물질인 세로토닌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불면증, 시차로 인한 피로(Jet-lag), 야간 근무 (night-shift work), 수면지체(delayed-sleep-phase) 증후군, 우울증과 계절성 정동 장애(seasonal affective disorder) 등의 치료제 등으로 사용시 부작용이 적고, 안정성이 뛰어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하기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미리세틴(5,7,3',4',5'-pentahydroxyflavonol)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 활성의 억제를 통해 세로토닌 양을 조절하고, 신경전달자로 작용하는 N-아세틸세로토닌과 멜라토닌 합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수면 및 우울증 관련 질병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
    화학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관련 질병은 불면증, 다면증(hypersomnia), 시차로 인한 피로(Jet-lag), 야간 근무(night-shift work), 수면지체(delayed-sleep-phase), 수면조발(advanced-sleep-phase) 증후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울증 관련 질병은 계절성 정동 장애 (seasonl affective disorder), 월경전 증후군, 단극성 우울증, 조울 정신병(manic-depressive psychosis), 비전형적 우울(atypical depression)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세틴의 50% 저해농도(50% inhibition concentration, IC50)는 약 2.2 μ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미리세틴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0.01 μM 내지 1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
KR10-2000-0048772A 2000-08-22 2000-08-22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 KR100407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772A KR100407399B1 (ko) 2000-08-22 2000-08-22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
PCT/KR2001/001416 WO2002015901A1 (en) 2000-08-22 2001-08-22 Myricetin as an inhibitor of serotonin n-acetyltransferase
AU2001280234A AU2001280234A1 (en) 2000-08-22 2001-08-22 Myricetin as an inhibitor of serotonin n-acetyltransfer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772A KR100407399B1 (ko) 2000-08-22 2000-08-22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609A true KR20020015609A (ko) 2002-02-28
KR100407399B1 KR100407399B1 (ko) 2003-11-28

Family

ID=1968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772A KR100407399B1 (ko) 2000-08-22 2000-08-22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07399B1 (ko)
AU (1) AU2001280234A1 (ko)
WO (1) WO20020159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399B1 (ko) * 2000-08-22 2003-11-28 주식회사 뉴로넥스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
WO2002066032A1 (en) * 2001-02-20 2002-08-29 Randy Ziegler Treatment of schizophrenia
EP1750808B1 (en) * 2004-05-18 2011-02-09 Bright Future Pharmaceutical Laboratories Limited Myricitrin compounds for treating sleeping disorders
CN100337661C (zh) * 2004-06-04 2007-09-19 澳美制药厂有限公司 蛇葡萄属植物及其提取物在制备药物和保健品中的应用
AU2006206274A1 (en) * 2005-01-20 2006-07-27 Sirtris Pharmaceuticals, Inc. Use of sirtuin-activating compounds for treating flushing and drug induced weight gain
KR101454425B1 (ko) * 2012-10-11 2014-11-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리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조성물
CN104127404A (zh) * 2014-07-08 2014-11-05 华侨大学 一种抗抑郁药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6977A1 (de) * 1995-09-29 1998-01-15 Schwabe Willmar Gmbh & Co Stabiler Extrakt aus Hypericum perforatum 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pharmazeutische Zubereitungen
EP1094825A2 (en) * 1997-10-23 2001-05-02 Pharmaprint, Inc. Pharmaceutical grade st. john's wort
KR100407399B1 (ko) * 2000-08-22 2003-11-28 주식회사 뉴로넥스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80234A1 (en) 2002-03-04
WO2002015901A1 (en) 2002-02-28
KR100407399B1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4007225T2 (de) Methode zur behandlung von erkrankungen der unteren harnwege
US9700548B2 (en) Antihistamines combined with dietary supplements for improved health
KR20100014392A (ko) 섬유근통 치료용 드록시도파 및 약학 조성물
HU217833B (hu) Eljárás difenil-butil-piperazin-karboxamidokat tartalmazó, mértéktelen szerfogyasztásból eredő betegségek kezelésére alkalmas gyógyszerkészítmények előállítására
CN110785170B (zh) 脂肪细胞的治疗
US20100016440A1 (en) Alpha-aminoamide derivatives useful as anti-inflammatory agents
CN101018546A (zh) 作为钠和/或钙通道选择性调节剂的(卤代苄氨基)苄氧基-丙酰胺类
US20070066597A1 (en) Thiazolidinone, oxazolidinone, and imidazolone derivatives for treating lower urinary tract and related disorders
CA2167999A1 (en) Venlafaxine in the treatment of hypothalamic amenorrhea in non-depressed women
EA019935B1 (ru)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алкогольной абстиненции
TWI250872B (en) Carbamate compounds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bipolar disorder
KR100407399B1 (ko) 세로토닌 n-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활성 억제제
CN103889408A (zh) S1p受体调节剂或激动剂的剂量方案
TW544311B (en) Therapeutic or preventive agent for intractable epilepsies
BG65735B1 (bg) Приложение на алфа-липоева киселина или нейни прозводни за лечение на мигрена
CA2380381A1 (en) Combination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ms) other demyelinating conditions and peripheral neuropathy, especially painful neuropathies and diabetic neuropathy
RU2465906C2 (ru) Новое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и/или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против диабетической невропатии
CA1312825C (en) Prevention or interruption of panic states with an imidazobenzodiazepine
Riemersma et al. Melatonin rhythms, melatonin supplementation and sleep in old age
US20210015779A1 (en) Therapeutic compositions and methods
Nishino Anticataplectic medications
BR112020011401A2 (pt) combinação de moduladores de receptor nmda (rapastinel) para uso em tratamento combinado (distúrbio do sono e do snc)
CN108635411A (zh) 金铃子散在制备防治神经病理性疼痛疾病药物中的应用
Birkmayer et al. The clinical pathology of Parkinson’s disease
CN110314156A (zh) 百可利在制备防治中枢神经递质紊乱及震颤产品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