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557A -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557A
KR20020014557A KR1020000047899A KR20000047899A KR20020014557A KR 20020014557 A KR20020014557 A KR 20020014557A KR 1020000047899 A KR1020000047899 A KR 1020000047899A KR 20000047899 A KR20000047899 A KR 20000047899A KR 20020014557 A KR20020014557 A KR 20020014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nsumer
kitchen
service system
sales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3403B1 (ko
Inventor
류철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47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403B1/ko
Publication of KR2002001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403B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분류에 해당되는 제품(특히, 주방 가구와 주방에 주로 설치되는 각종 가전 제품)의 전자 상거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기 서로 다른 분류에 해당되는 제품에 대한 정보 취득이 동일 웹페이지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웹페이지 상에서 서로 다른 분류의 제품에 대한 정보 취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호간의 어울림 여부를 가상 현실을 통해 확인하도록 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종 주방 가구에 대한 3차원 이미지의 견본이 저장됨과 더불어 주방에 적용되는 각종 제품에 대한 3차원 이미지의 견본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DB;Data Base); 상기 DB에 연계된 상태로써 소비자가 원할 경우 상기 소비자가 직접 웹페이지 상에서 주방 가구와 상기 각 제품의 이미지에 대한 설치를 가상 현실로써 설치가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이 입력된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축된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하여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한 소비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웹페이지상에 서로 다른 분류의 제품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비자가 웹페이지 상에서 상기 각 제품의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을 통한 설치 상태를 구현함과 더불어 이 구현된 상태의 어울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소비자가 상기 각 제품에 대한 구매를 희망할 경우 해당 제품의 구매를 위한 결제 수행을 진행하는 웹페이지로 연결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된다.

Description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marketing service system for a product and operation method for this system}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소비자가 자신의 주방 내부 구조를 고려하여 가상적인 시뮬레이션을 통해 상기 주방에 설치되는 제품의 선택을 수행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 상의 제품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여 제품의 판매를 수행하는 업체는 각각 자신이 운영하는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소비자(개인, 기업, 정부 등)가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업체를 홍보하고 있다.
도시한 도 1은 통상적인 전자 상거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통상적인 전자 상거래의 구성은 각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 업체가 가지는네트워크와, 상기 판매 업체로부터 제품을 구매하는 구매자가 가지는 네트워크가 상호간의 소정 관계를 가지면서 온라인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호간의 네트워크는 인터넷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전자 상거래가 가능하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 외에도 통상적으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결재를 위한 금융권의 네트워크 및 제품 등의 배송을 위한 배송업체의 네트워크가 추가로 연계되어 구성된다.
이하, 전술한 종래 전자 상거래의 운영 과정 중 소비자가 주방 가구 및 주방 설치용 제품을 온라인 상으로 구매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소비자가 주방 가구를 인터넷 상으로 구입하고자 할 경우 해당 주방 가구를 판매하는 업체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필요로 하는 주방 가구를 적용 평수(坪數)에 맞춰 선택한다.
이 때, 상기 주방 가구는 사진 등의 이미지 혹은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당 웹페이지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소비자는 이 제공되는 주방 가구의 형상 및 자신이 거주하는 실내의 평수 등을 고려하여 제품의 선택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구매자가 제품의 구입을 확정하게 되면 판매 업체는 상기 선택된 제품에 따른 대금 결제를 제시하고, 구매자가 상기 제시된 대금 결제를 수행하면 상기 서비스 업체는 해당 제품을 구매자가 원하는 위치로 배송한다.
이 때, 상기 구매자의 대금 지불은 서비스 업체와 연계된 각 금융기관을 통해 수행되고, 상기 제품의 배송은 서비스 업체와 연계된 배송 업체 등을 통해 수행된다.
또한, 소비자가 주방에 주로 설치되는 제품 예를 들어 냉장고, 가스 레인지, 가스 오븐 레인지, 전자 레인지, 세탁기(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 등과 같은 제품을 인터넷 상으로 구입하고자 할 경우 상기 각 제품을 판매하는 업체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기 전술한 주방 가구의 구매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 구매를 수행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주방 설치 제품의 구매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첫째, 주방 가구 및 주방에 설치되는 각 가전 제품은 서로 다른 제품의 분류에 해당됨에 따라 이의 광고/판매를 위한 웹사이트가 각각 구분되어 운영되고, 또한 이 웹사이트의 운영자 역시 서로 다름에 따라 상기 각 웹사이트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승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됨과 더불어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두 분류의 제품을 동시에 구매하고자 할 경우 상기 각 웹사이트에 각각 접속하여 해당 제품의 구매를 수행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상기 주방 설체 제품의 구매시 주방 가구와의 어울림 여부가 소비자의 생각으로만 판단됨에 따라 제품의 구매후 반품 발생율이 상승된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는, 상기 제품의 특성상 각 제품의 제조업체(혹은 판매업체) 상호간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상호간의 제품에 대한 어울림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셋째, 전술한 문제점에 의한 소비자의 신뢰성 저하가 유발된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넷째, 각 제품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이 단순히 사진등의 이미지임을 고려할 때 소비자가 해당 제품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의 판매 매장으로 방문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다섯째, 구매자가 기업체(특히, 건축업자) 등과 같이 다수 제품의 구입을 위한 대상일 경우에는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운영이 미처 준비되지 못함에 따라 상기 구매자의 신뢰성 저하가 유발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서로 다른 분류에 해당되는 제품의 구매를 위해 소비자가 상기 각 제품을 판매하는 해당 웹사이트에 각각 접속하지 않더라도 동일 웹페이지 상에서 상기 서로 다른 분류의 제품에 대한 정보 취득이 가능하도록 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웹페이지 상에서 서로 다른 분류의 제품에 대한 정보 취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호간의 어울림 여부를 가상 현실을 통해 확인하도록 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통상적인 전자 상거래의 유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구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운영과정에 따른 순서도
도 4 는 가상 구현 작업의 수행을 위해 진행되는 과정에 따른 보다 상세한 순서도
도 5a 내지 도 5d 는 본 발명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가상 현실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 중 주방 가구가 선택되는 과정에 따른 각 웹페이지를 나타낸 상태도
도 6a 내지 도 6f 는 본 발명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가상 현실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 중 주방에 설치되는 각 제품이 선택되는 과정에 따른 웹페이지를 나타낸 상태도
도 7a 내지 도 7c 는 각 선택된 제품이 주방에 적용된 상태의 어울림을 확인하는 과정에 따른 웹페이지를 나타낸 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 시스템의 운영 과정 중 소비자(구매자)가 각종 자료를 추가로 요청할 경우 수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9 는 본 발명 시스템의 운영 과정 중 소비자(구매자)가 제품의 구매를 요청할 경우 수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
111. DB(Data base)
112. 웹서버
120. 주방 가구 제조/판매 업체의 네트워크
130. 각 제품 제조/판매 업체의 네트워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서로 다른 분류에 해당되는 각 제품에 대한 3차원 이미지의 견본이 각각 저장된 데이타 베이스(DB;Data Base); 상기 DB와 연계된 상태로써 소비자가 상기 DB에 저장된 서로 다른 각 제품간의 어울림에 대한 확인을 원할 경우 웹페이지 상에서 가상 현실을 통해 상기 각 제품의 이미지에 대한 설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축된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축된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그리고, 전술한 본 발명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본 발명 운영 방법에 따르면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한 소비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웹페이지상에 서로 다른 분류의 제품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비자가 웹페이지 상에서 상기 각 제품의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을 통한 설치 상태를 구현함과 더불어 이 구현된 상태의 어울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소비자가 상기 각 제품에 대한 구매를 희망할 경우 해당 제품의 구매를 위한 결제 수행을 진행하는 웹페이지로 연결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된다.
즉,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분류에 해당되는 각 제품을 동일 웹페이지 상에서 가상 현실을 통한 상호간의 설치 상태에 따른 어울림 여부의 확인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대하여 제시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구성 및 그 운영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주방 가구와 주방에 주로 설치되는 제품을 그 일예로하여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시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 판매 시스템의 유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110)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분류에 해당되는 각 제품에 대한 3차원 이미지의 견본이 각각 저장된 데이타 베이스(DB;Data Base)와(111), 상기 DB와 연계된 상태로써 소비자가 상기 DB(111)에 저장된 서로 다른 각 제품간의 어울림에 대한 확인을 원할 경우 웹페이지 상에서 가상 현실을 통해 상기 각 제품의 이미지에 대한 설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축된 웹서버(Webserver)(112)가 포함되어 구축된 것을 제시한다.
이 때, 상기 DB(111)는 주방용 가구의 이미지 견본과, 주방에 적용되는 제품의 이미지 견본과, 소비자의 정보를 관리하도록 상기 소비자의 정보가 저장된다.
그러나, 굳이 전술한 하나의 DB를 구축한 것으로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각 저장되는 분류에 따라 다수의 DB로 구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웹서버(112)는 주방 가구를 판매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가지는 최소 하나 이상의 주방 가구 판매 업체용 네트워크(120)와, 주방에 적용되는 각종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가지는 최소 하나 이상의 제품 판매 업체용 네트워크(130)와 연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은 소비자로부터 요청된 자료를 상기 소비자에게 전자 메일로써 제공할 수 있도록 메일 서버(113)가 더 포함되어 구축된다.
이와 같이 구축된 시스템의 일반적인 운영 과정은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한 소비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웹페이지상에 서로 다른 분류의 제품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소비자가 웹페이지 상에서 상기 각 제품의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을 통한 설치 상태를 구현함과 더불어 이 구현된 상태의 어울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비자가 상기 각 제품에 대한 구매를 희망할 경우 해당 제품의 구매를 위한 결제 수행을 진행하는 웹페이지로 연결하는 단계로 크게 분류되어 진행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이 운영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 3 및 도 4의 순서도에 입각하여 각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수행하기로 한다.
이 때, 상기 도 3은 본 발명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운영과정에 따른 순서도이고, 도 4는 가상 구현 작업의 수행을 위해 진행되는 과정에 따른 보다 상세한 순서도이다.
우선, 소비자의 접속이 이루어질 경우 웹서버는 해당 웹페이지 상에 주방 내부에 제품이 설치된 상태의 견본을 디스플레이한다.(S110)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견본은 도시한 도 5a와 같이 소비자의 1차원적 시점을 이용한 가상 공간 내에서의 이동을 수행하면서 그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해당 주방의 가상 현실로 구축된 화면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조작하여 시점의 변경, 화면의 확대 및 축소하는 등의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인터랙티브한 탐사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제품의 어울림 여부를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소비자가 직접 주방 가구 혹은 상기 주방에 설치되는 각종 제품의 가상 현실을 실현하고자 이를 요청할 경우 웹서버는 주방의 구조에 따른 선택을 요청한다.(S120)
이 때, 상기 웹서버가 요청하는 내역은 소비자가 원하는(혹은, 거주하고 있는) 거주지의 평형, 상기 평형별 주방의 형태, 보조 주방 등에 따른 사항이다.
상기 거주지의 평형별 주방 형태는 일반적으로 제조되고 있고 납품되고 있는 형태를 그 기본 값으로 설정하며, 이와 같은 형태는 일반적으로 “ㅡ”자 형태, “ㄱ”자 형태, “ㄷ”자 형태 등이 있다.
이 때, 상기 “ㅡ”자 형태의 주방은 주로 20평형에 사용되고, 상기 “ㄱ”자 형태의 주방은 주로 40평형에 사용되며, 상기 “ㄷ”자 형태의 주방은 주로 50평형에 사용된다.
만일, 주방이 30평형 등과 같은 경우에는 20평형과 40평형의 사이값인 “ㄱ”자 형태, “ㅡ”자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음으로써 그 설정값은 상기 “ㄱ”자 형태 및 “ㅡ”등 두 형태를 동시에 채택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가 주방의 선택시 각 평형 및 보조 주방 여부에 대한 선택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의 선택이 이루어졌을 경우 각 평형에 따른 주방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제시하며, 이의 과정은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웹페이지의 상태와 같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주방 가구에 대한 선택이 완료될 경우 웹서버는 상기 주방 가구가 적용된 주방의 3차원 가상 구현 상태를 웹페이지상에 디스플레이한다.(S121)
이후, 상기 웹서버는 주방의 색상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도시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색상에 대한 샘플을 웹페이지상에 제시한다.(S122)
이 때, 상기 샘플은 굳이 색상에 대하여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각각의 색상별, 무늬별, 재질별로 각각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방 가구에 대한 색상 선택의 수행은 단순히 상기 샘플을 클릭함으로써 수행되도록 하고, 이의 경우 주방 가구는 도시한 도 6a와 같이 상기 소비자가 선택한 색상 혹은 재질로 변형된 상태로써 웹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된다.(S123)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주방에 설치되는 각종 제품의 선택을 수행하게 된다.(S130)
이 때, 상기 제품이라 하면 냉장고, 전자 레인지, 가스 오븐레인지, 식기 세척기, 드럼 세탁기, 정수기 등과 같이 주로 주방에 설치되는 전자 제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굳이 전술한 종류로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그 이외의 다양한 제품이 있을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각종 제품중 냉장에 대한 선택 및 가상 구성을 통한 어울림 확인의 수행을 그 실시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품의 선택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웹페이지 상에는 도시한 도 6a와같이 해당 제품에 대한 대분류가 디스플레이된다.(131)
이 때, 소비자가 각 분류된 제품중 냉장고를 선택할 경우 도시한 도 6b와 같이 상기 세탁기의 선택 버튼 측부에는 초절전 인버터 냉장고, 싱싱 냉장고, 디오스 냉장고, 미니 냉장고 등과 같은 소분류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
물론, 상기 각 냉장고는 그 용량에 따른 상세 분류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더 이상의 세부적인 분류로의 선택 과정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내용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구성이 목록으로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도시한 도 6c와 같이 각 분류에 따른 다수의 상세 분류가 이미지로써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132)
이 때, 상기 제품의 이미지는 단순한 사진 등으로 구성하여도 상관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시한 도 6d와 같이 소비자가 상기 제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상세 상태, 동작 상태, 내부 구조 등)를 원할 경우 컬트(CULT) 3D, 플래쉬(flash)와 같은 툴(tool)을 이용하여 제품을 3차원적으로 구현(S133)함과 더불어 제품의 기능과 특징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한 것을 제시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소비자가 디스플레이된 냉장고의 각 소분류 중 어느 한 냉장고를 선택하였을 경우 이 선택된 냉장고는 웹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됨과 더불어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입력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된다.
즉, 소비자가 마우스 혹은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그 위치를 변경할 경우 해당 드럼 세탁기의 이미지는 상기 소비자의 조작 여부에 따라 주방의 각 위치로 이동되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의 기술을 이용하여 가상 설치가 이루어지며, 이 때, 상기 냉장고는 반 투명 상태로써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전술한 과정에 의해 소비자는 자신이 선택한 드럼 세탁기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였을 경우 해당 제품을 해당 위치에 떨어뜨림(drop)으로써 상기 드럼 세탁기의 가상 설치가 완료된다.
이 때, 도시한 도 6e 및 도 6f는 전술한 냉장고의 적용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전자 레인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예이다.
이의 상태에서 소비자가 설치 완료된 상태를 상세히 보고자 할 경우에는 도시한 도 7a 및 도 7b와 같이 보기 버튼(혹은 링크)를 선택한 후 키보드 혹은 마우스를 조작하여 각각의 시점으로부터 확대/축소하여 제품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거나, 혹은 도 7c와 같이 파노라마 기법을 이용한 가상 현실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통해 제품의 설치 상태를 확인한다.(S134)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 중 소비자가 추가적인 정보의 요청이 있을 수 있다.
즉, 소비자가 찾고자 하는 제품이 없을 경우이거나 혹은 각 제품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알고 싶을 경우 이의 요청이 이루어지는데, 이 때에는 해당 웹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 혹은, 상기 웹서버가 해당 요청 내역을 확인한 후 이에 따른 정보 제공을 수행한다.(S200)
이 과정은 도시한 도 8의 순서도와 같이 요청된 자료에 대한 제공이 어려울 경우(해당 정보가 없거나, 이의 확인이 어려울 경우) 상기 요청 내역과 유사한 자료의 사례를 제공(S201)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만일 상기 요청 내역에 따른 정보 제공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해당 제품을 제조하거나 이와 관련된 업체에 상기 요청 내역을 통보(S202)하여 해당 정보의 취득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취득된 내용을 소비자에게 전달/디스플레이(S203) 함으로써 상기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취득된 내용은 DB에 저장하여 추후 동일 요청이 있거나 자료의 업데이트(update)시 사용한다.
결국, 전술한 각 과정이 완료되어 소비자가 해당 제품의 구매를 요청할 경우 웹서버는 구매 제품의 대상이 주방 가구인지 혹은 상기 주방에 설치되는 제품인지를 확인하여 해당 사이트로의 연결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해당 사이트라 함은 본 발명의 제품 판매 서비스를 수행하는 웹사이트이거나, 혹은 각 제품을 판매하는 관련 사이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사이트로의 연결이 이루어질 경우 제품에 대한 판매가 진행된다.
이와 같은 제품의 판매는 일반적인 제품의 판매를 위한 웹사이트의 운영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구매 대상에 따른 분류를 수행하여 상기 분류된 대상에 따라 각기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제품의 판매가 진행되도록 한 운영 과정을 추가적으로 제시한다.
즉, 구매 대상이 일반적인 개인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 웹사이트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특성상 건축업자 등과 같은 업체 및 단체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각 구매자(소비자)의 분류에 따라 기업간 거래(B to B) 혹은 기업데 개인의 거래(B to C)를 위한 운영 과정을 각각 수행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시한 도 9의 순서도는 제품의 판매시 운영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구매 대상의 확인은 소비자가 각 제품의 구매를 선택하였을 경우 해당 웹사이트에서 상기 구매 대상의 정보를 요청하거나 혹은, 상기 구매자가 구매하는 제품의 수량을 확인한다.(S141)
이는, 상기 구매 대상이 개인인지 혹은 단체/기업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과정이며, 구매자가 구매하는 제품의 수량을 확인하는 방법은 해당 구매자가 기 설정된 개수보다 많은 양의 제품을 구매하고자 한다면 이는 단체 혹은 기업으로 간주하여 이에 적절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구매 대상이 기업일 경우에는 구매자가 선택한 제품에 대한 업체간 물품 납품 업무의 상담을 수행하는 상담원으로 연결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납품 방법, 납품 일자, 납품 위치 등의 내역을 상담하도록 한다.(S142)
만일, 구매 대상이 개인이지만 다수의 제품을 구매할 경우에는 상기 제품이 셋트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확인한 후 해당 구매의 상담을 위한 상담원으로 연결(S143)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할인율 적용 등과 같은 이득을 제공함과 더불어 일반적인 단체 주문일 경우 해당 구매 제품의 판매를 위한 웹사이트중 결제 진행을 위한 웹페이지로 연결한다.(S144)
그리고, 전술한 각 과정이후 모든 결제가 완료될 경우 주방 가구 판매 업체 혹은 각 제품 판매 업체는 배송 업체를 통해 구매자에게 해당 제품의 배송을 수행하고, 상기 판매된 제품에 대한 비용은 각 금융기관을 이용하여 전달받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운영 과정은 굳이 전술한 과정의 순서대로만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즉, 주방 가구는 반드시 선택하여야하는 필수 조건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특정 형태의 제품을 각 실내의 형태에 따라 기준치로 설정할 수 있고, 제품의 구매 시기가 가상 현실의 완료 후가 아닌 각 제품의 검색 과정 중에도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의해 하기와 같은 각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서로 다른 분류의 제품(특히, 주방 가구와 주방 설치용 제품) 상호간의 어울림 여부를 가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이는, 상기 제품의 특성상 각 제품의 제조업체(혹은 판매업체) 상호간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상호간의 제품에 대한 어울림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 효과가 있다.
둘째, 다양한 제품중 소비자가 요청하는 제품별로의 동작상태 구현 등으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필요 제품의 구입을 위해 각 제품을 판매하는 매장에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품의 상세한 형상 등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 제품이 주방가구에 적용된 상태를 3차원 가상 현실을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필요 제품의 선택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넷째, 구매자가 기업체(특히, 건축업자) 등과 같이 다수 제품의 구입을 위한 대상일 경우에도 구입하기 위한 제품이 주방에 적용된 상태를 시뮬레이션화하여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별도 구성을 위한 노력의 저감 및 제품의 선택이 편리하게 이루어진 효과가 있다.
다섯째, 서로 다른 분야인 주방 가구 및 각 가전 제품에 대한 광고가 하나의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에 따라 각각의 웹사이트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서로 다른 분류에 해당되는 각 제품에 대한 3차원 이미지의 견본이 각각 저장된 데이타 베이스(DB;Data Base);
    상기 DB와 연계된 상태로써 소비자가 상기 DB에 저장된 서로 다른 각 제품간의 어울림에 대한 확인을 원할 경우 웹페이지 상에서 가상 현실을 통해 상기 각 제품의 이미지에 대한 설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축된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축된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
  2. 각종 주방 가구에 대한 3차원 이미지의 견본이 저장됨과 더불어 주방에 적용되는 각종 제품에 대한 3차원 이미지의 견본이 저장된 데이타 베이스(DB;Data Base);
    상기 DB에 연계된 상태로써 소비자가 원할 경우 상기 소비자가 직접 웹페이지 상에서 가상 현실을 통해 주방 가구와 상기 각 제품의 이미지에 대한 설치 및 이 설치된 상태의 확인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입력된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축된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B는 주방용 가구의 이미지 견본 저장을 위한 DB와, 주방에 적용되는 제품의 이미지 견본 저장을 위한 DB와, 소비자의 정보를 관리하도록 상기 소비자의정보 저장을 위한 DB 중 최소 하나 이상의 DB가 포함되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웹서버는
    주방 가구를 판매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가지는 최소 하나 이상의 주방 가구 판매 업체용 네트워크와,
    주방에 적용되는 각종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가지는 최소 하나 이상의 제품 판매 업체용 네트워크와 연계된 상태로써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소비자로부터 요청된 자료를 상기 소비자에게 전자 메일로써 제공할 수 있도록 메일 서버가 더 포함되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
  6.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한 소비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웹페이지상에 서로 다른 분류의 제품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비자가 웹페이지 상에서 상기 각 제품의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을 통한 설치 상태를 구현함과 더불어 이 구현된 상태의 어울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소비자가 상기 각 제품에 대한 구매를 희망할 경우 해당 제품의 구매를 위한 결제 수행을 진행하는 웹페이지로 연결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7.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한 소비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각종 주방의 정보 및 이 주방에 적용되는 각종 제품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비자가 주방 가구에 대한 정보와 주방에 적용되는 제품의 정보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직접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을 통한 구현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주방 가구 및 주방에 적용되는 제품 상호간의 어울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소비자가 주방 가구 혹은 주방에 적용되는 제품의 구매를 희망할 경우 해당 가구/제품의 구매를 수행할 수 있는 해당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소비자가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할 경우 기본적인 제품의 설치 사례를 해당 웹페이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소비자의 접속이 이루어졌을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기본적인 제품의 설치 사례는
    소비자의 시점을 이용한 가상 공간 내에서의 이동을 수행하면서 그 확인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하여 소비자가 해당 주방의 구축 상태를 가상 현실로서 체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각종 주방의 정보는
    해당 주방을 가지는 실내의 내부 평형에 따라 구축되는 주방의 구조 혹은 보조 주방의 실현 구조, 주방의 색상 및 재질 등에 따른 각각의 모델링 정보 중 최소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각종 제품의 정보는
    사용 목적에 따른 해당 제품군(製品群), 각 제품의 제조업체별 해당 제품군, 크기에 따른 해당 제품군 중 최소 어느 하나의 제품군을 포함하는 다수 분류의 제품임에 대한 내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주방 가구와 주방에 적용되는 제품간의 어울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운영되는 과정은
    소비자가 주방의 구조에 따른 어느 하나의 주방 가구를 선택할 경우 이 선택된 주방 가구가 실내에 적용된 3차원적인 가상 모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소비자가 3차원적인 가상 모형 상태로 디스플레이된 주방 가구의 디자인을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주방 가구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이 완료될 경우 주방에 설치되는 각종 제품 내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소비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각 제품중 어느 하나의 제품을 선택하여 상기 3차원적인 가상 모형 상태의 주방 가구에 대입할 경우 이의 상태를 가상 시뮬레이션화하여 해당 웹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주방 가구의 디자인에 따른 선택 분류는
    상기 주방 가구의 실현 구조, 색상, 재질 중 어느 하나의 분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주방 가구의 색상 및 재질 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각 색상 및 재질별 목록 혹은 색상 및 재질의 견본 선택을 위한 아이콘(icon)을 해당 웹페이지 상에 활성화시키고, 상기 색상별 목록 및 아이콘은 해당 제품의 동작 상태에 따른 3D 시뮬레이션을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시키도록 하이퍼링크(hyperlink) 시킴으로써 소비자가 상기 각 색상별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웹페이지상에 디스플레이된 주방 가구의 색상이 상기 소비자의 요구와 같이 변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주방에 설치되는 제품을 3차원적인 가상 모형 상태의 주방 가구에 대입하는 방법은
    해당 제품을 선택하여 끌기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부위에 대입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의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주방에 설치된 제품을 주방 가구에 대입한 상태를 시뮬레이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가상 현실로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17. 제 7 항에 있어서,
    소비자로부터 자료의 추가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요청된 자료가 해당 DB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의 자료가 없을 경우 유사한 사례를 제시하고, 이의 자료가 있을 경우 상기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18. 제 7 항에 있어서,
    소비자로부터 자료의 추가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요청된 자료가 해당 DB에 있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DB에 요청 자료가 없을 경우 상기 요청 정보를 해당 주방 가구 업체 혹은 주방에 적용되는 제품의 제조업체에 상기 요청 정보를 전달하여 해당 정보의 취득함과 더불어 이 취득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DB에 요청 자료가 있을 경우 상기 DB에 저장된 자료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19. 제 7 항에 있어서,
    소비자가 각종 주방 가구 혹은 주방에 적용되는 제품 중 어느 하나의 물품에 대한 구매를 원할 경우 상기 각 물품의 판매를 위한 웹사이트로 연결함을 특징으로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20. 제 7 항에 있어서,
    소비자가 다수의 물품을 구입하고자 할 경우 전문적인 상담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상담을 위한 웹페이지로 연결하고, 소비자가 단품 혹은 소수의 제품을 구입하고자 할 경우 해당 물품의 판매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웹페이지로 직접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21. 제 7 항에 있어서,
    제품의 판매를 위한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소비자가 어느 한 물품에 대한 추천을 원할 경우 데이타 베이스에 기 저장된 각종 제품의 설치 사례를 제공하여 소비자가 제품 구매에 따른 선택에 참고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판매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KR1020000047899A 2000-08-18 2000-08-18 제품 판매 시스템 운영 방법 KR100763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899A KR100763403B1 (ko) 2000-08-18 2000-08-18 제품 판매 시스템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899A KR100763403B1 (ko) 2000-08-18 2000-08-18 제품 판매 시스템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557A true KR20020014557A (ko) 2002-02-25
KR100763403B1 KR100763403B1 (ko) 2007-10-05

Family

ID=1968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899A KR100763403B1 (ko) 2000-08-18 2000-08-18 제품 판매 시스템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4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134B1 (ko) * 2002-09-28 2005-03-10 라제건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텐트 판매관리 시스템
WO2022191649A1 (ko) * 2021-03-12 2022-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제품의 컬러 추천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
WO2023146199A1 (ko) * 2022-01-28 2023-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78135B2 (en) 2021-03-12 2024-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commending color of home applian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4574A (ja) * 1996-10-16 1998-05-15 Oimatsu Sangyo:Kk コンピュータによる仮想空間商取引方法
KR20000024568A (ko) * 2000-02-21 2000-05-06 박상경 인터넷을 이용한 남여정장 전자상거래 방법
KR20010102785A (ko) * 2000-05-08 2001-11-16 이국헌 맞춤구매가 가능한 전자상거래방법
KR20010105554A (ko) * 2000-05-16 2001-11-29 안용현 인터넷을 이용한 3차원 쇼핑 몰 운영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134B1 (ko) * 2002-09-28 2005-03-10 라제건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텐트 판매관리 시스템
WO2022191649A1 (ko) * 2021-03-12 2022-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제품의 컬러 추천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
US11978135B2 (en) 2021-03-12 2024-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commending color of home applian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23146199A1 (ko) * 2022-01-28 2023-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403B1 (ko) 200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8307B1 (en) User interface for internet application
KR100524382B1 (ko) 주거공간 관련 상품 판매 지원 시스템, 주거공간 관련상품 판매 지원 방법, 주거공간 관련 상품 판매 지원용프로그램 및 주거공간 관련 상품 판매 지원용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6988111B2 (en) Mapping between part numbers that are based on different part numbering schemes
EP2074575A2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cross border procurement
US200901254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Complex Products on a Distributed Network Using Syndicated Services
US77253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real-time pricing quotes based on optional consumer variables
CA28523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joint shopping cart
KR20210007632A (ko) 상품별 등록 스케쥴을 기반으로 온라인 마켓 api 연동을 통해 상품의 등록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이의 동작 방법
Bichler et al. ABSolute: an intelligent decision making framework for e-sourcing
KR101124346B1 (ko) 전자창고를 이용한 오픈마켓형 전자 상거래 방법
KR100763403B1 (ko) 제품 판매 시스템 운영 방법
TWI553579B (zh) 電子交易終端、電子交易方法、記錄媒體
KR20140138387A (ko) 모바일 마켓 플랫폼 제공 서버 및 시스템
KR2002003097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인테리어 모델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81318B1 (ko)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
JP2002259754A (ja) 仮想住宅展示場および住宅展示方法
KR100780923B1 (ko) 유무선 인터넷에서 상품정보의 공유를 통한 쇼핑몰 운영장치 및 방법
KR100720565B1 (ko) 쇼핑몰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및 이 시스템의구축을 위한 운영 방법
KR100546591B1 (ko) 제품 판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10102785A (ko) 맞춤구매가 가능한 전자상거래방법
WO2010021927A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product design,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KR100377516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과 가구를 연계한 전자 상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6903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개별 주택 리모델링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KR101824563B1 (ko) 비투비 오토브릿지 시스템
Azizi Designing A Website-Based Spice and Spice Sales Application using the Prototyp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