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318B1 -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318B1
KR102381318B1 KR1020200085511A KR20200085511A KR102381318B1 KR 102381318 B1 KR102381318 B1 KR 102381318B1 KR 1020200085511 A KR1020200085511 A KR 1020200085511A KR 20200085511 A KR20200085511 A KR 20200085511A KR 102381318 B1 KR102381318 B1 KR 102381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pping
user
product
products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7376A (ko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이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준 filed Critical 이용준
Priority to KR1020200085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3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Abstract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다품목을 동시에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각각의 상품 키워드별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들을 검색하며,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모든 상품 키워드에 대한 상품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품목 검색 서비스부, 및 상품 검색 결과로 제공된 상품들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품들을 주문 예정 상품들로 관리하되 주문 예정 상품들을 동일 온라인 쇼핑몰마다 그룹화하여 관리하며, 사용자로부터 주문 예정 상품들에 대한 주문 확정이 이루어지면 각 그룹의 상품 정보를 주문자 정보와 함께 해당 온라인 쇼핑몰로 전달하면서 배송 요청하는 다품목 주문 서비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Cross-store shopping platform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품목을 반복 구매하는 사용자들의 구매 편의를 위한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36151호에는 온라인 쇼핑몰의 관심품목 정보를 수집하여 가격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온라인 쇼핑몰에 저장된 구매자의 관심품목 정보를 수집한 다음에 그 관심품목에 대한 가격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구매자는 평소에 관심이 있던 상품에 대해 가격비교 사이트에서 재검색하지 않고서도 가격비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같은 선행문헌에 따른 온라인 쇼핑은 종래의 온라인 쇼핑몰들이 소수의 아이템을 구매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UX가 구성되어 있어 다품목 반복구매가 특징인 장보기에 이용하기에는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상당한 불편이 따른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방식을 통한 온라인 장보기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 원하는 상품 선택 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하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참기름을 검색하거나 상품 카테고리에서 선택하면 네이버 쇼핑의 경우 90,363개, G마켓의 경우 13,926개, 이마트의 경우 517개 등이 검색 결과로 제시된다. 이는 모든 온라인 쇼핑몰의 검색 알고리즘이 사용자가 제시한 검색어는 물론 연관검색어 혹은 유사한 키워드를 포함한 모든 상품들을 최대한 많이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인데, 최소한 장보기에 있어서 이는 소비자가 원하는 바가 결코 아니다. 대체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익숙하고 많은 경우 이미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비자는 빠르고 손쉽게 원하는 상품을 고를 수 있기를 바라지 얼마나 다양한 선택의 여지가 있는지를 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현재의 쇼핑몰 서비스 방식에서는 소비자는 운이 좋지 않은 한 검색 첫 화면에서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고를 확률이 아주 낮고, 최소한 몇 차례의 클릭과 화면 로딩을 거쳐야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찾아 카트에 담을 수 있다.
두 번째, 다품목 구매를 위해서는 반복작업을 행해야 한다. 온라인 쇼핑의 절차는 ① 검색 → ② 상품선택 → ③ 카드에 담기 → ④ 결제의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 구매하고자 하는 품목 수가 적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 수가 많아지면 ①부터 ③까지의 절차를 상품 수만큼 반복해야 한다. 여기에 위의 첫 번째 문제점까지 고려하면 매 상품마다 ②의 과정, 즉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여러 차례의 클릭과 화면 로딩을 감안하면 이는 시간 소비가 매우 크고 불편한 일일 수밖에 없다.
세 번째, 가격비교가 어렵다는 점이다. 온라인 쇼핑의 장점 가운데 하나가 저렴한 가격에 있다. 가격비교 기능을 이용하여 동일 상품에 대한 판매자간 가격비교를 통해 구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품목 장보기의 경우, 사실상 가격비교 서비스를 이용하기가 어렵다. 품목별로 가격비교를 하여 품목별로 각기 다른 쇼핑몰에서 쇼핑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현실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품목수가 많아질수록 소비자 입장에서는 판매자간 가격비교를 포기할 수밖에 없고, 그만큼 가격정보의 비대칭성은 증가할 수 밖에 없다. 그 결과 여전히 많은 소비자들이 장보기에 있어서는 온라인 쇼핑보다는 오프라인 마켓을 찾는 성향이 존재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36151호 (2013년 12월 3일 공고)
코로나 사태 이후 언택트를 통한 문제해결에 대한 니즈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이는 장보기의 급격한 온라인화를 유발시키고 있는데 반해 온라인 쇼핑의 사용자경험(user experience, UX)은 이러한 변화하는 소비자 니즈를 전혀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소비자가 요구하는 기대치를 수용할 수 있는 온라인 장보기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면서도 경제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다품목을 동시에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각각의 상품 키워드별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들을 검색하며,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모든 상품 키워드에 대한 상품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품목 검색 서비스부, 및 상품 검색 결과로 제공된 상품들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품들을 주문 예정 상품들로 관리하되 주문 예정 상품들을 동일 온라인 쇼핑몰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하며, 사용자로부터 주문 예정 상품들에 대한 주문 확정이 이루어지면 각 그룹의 상품 정보를 주문자 정보와 함께 해당 온라인 쇼핑몰로 전달하면서 배송 요청하는 다품목 주문 서비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양상에 따른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다품목을 동시에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복수의 각각의 상품 키워드별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들을 검색하는 단계, 상품 검색 결과가 담긴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품들을 주문 예정 상품들로 관리하되 주문 예정 상품들을 동일 온라인 쇼핑몰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주문 예정 상품들에 대한 주문 확정이 이루어지면 각 그룹의 상품 정보를 배송 정보와 함께 해당 온라인 쇼핑몰로 전달하면서 배송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품목 반복구매의 특징을 가진 온라인 장보기에 특화된 최적화 방안을 제시하여 빠르고 간편하며 경제적 소비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격정보 비대칭성을 완벽하게 극복할 수 있게 하는데,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에 국한하지 않고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동시에 이용하는 것과 같은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로 하여금 총 소비액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기존에 온라인 쇼핑을 해온 소비자들의 경우 자신이 주로 이용하는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적립금 등 각종 혜택을 갖고 있어 무조건 가격만이 쇼핑몰 선택이 기준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소비자로 하여금 상품선택이나 가격비교 과정에서 자신의 판매자 선호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게 하면서도 더 나은 선택의 옵션에 대해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하는 바탕을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온라인 장보기를 위한 웹 화면 인터페이스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온라인 장보기를 위한 모바일앱 화면 인터페이스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6은 앱 화면 인터페이스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장보기용 다품목 크로스 스토어 쇼핑 방법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 블록도이다. 설명에 앞서,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은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만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들 중에서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와 이와 연동하는 장보기 애플리케이션(200)만을 포함한다.
통신 단말(100)은 온라인 쇼핑을 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팅 가능한 통신 단말로서,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 등일 수도 있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모바일 단말일 수도 있다. 통신 단말(100)에는 사용자에게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에서 웹 서버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게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인 브라우저 및/또는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와 연동하는 장보기 앱(200)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이 같은 통신 단말(10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와 데이터 통신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플랫폼 서비스는 사용자가 회원인 경우에 한하여 제공될 수 있다.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는 사용자들에게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을 서비스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서버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버 시스템이다.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는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나 MacOS, 자바, 유닉스(UNIX) 또는 리눅스(LINUX)를 포함하거나 이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체제 하에서 운영될 수 있다. 이 같은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는 웹이나 웹앱을 통해 또는 통신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장보기 앱(200)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는 다품목 검색 서비스부(310)와 다품목 주문 서비스부(320)를 포함하며, 관심리스트 서비스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가능한 기능적 구성들로서,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에 속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품목 검색 서비스부(310)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수의 품목을 동시에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화면 제공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는 장보기 목록 섹션(10)을 포함한다. 장보기 목록 섹션(10)에는 복수의 키워드 입력란이 마련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다수 품목을 동시에 검색하기 위한 복수의 상품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추가로,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는 관심품목 섹션(20)도 포함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의 장보기 목록 섹션(10) 상에서 복수의 상품 키워드를 입력한 후에 ‘쇼핑하기’버튼을 클릭하면, 다품목 검색 서비스부(310)는 상품 키워드별 상품들을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다품목 검색 서비스부(310)는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에 참여하는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상품 키워드별 상품 검색을 실시한다. 다시 말해, 입력된 복수의 상품 키워드에 대해 동시에 복수의 상품 검색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때, 다품목 검색 서비스부(310)는 온라인 쇼핑몰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연결 또는 웹크롤링 등을 통해 상품 검색(상품 수집)을 할 수 있다. 아니면, 다품목 검색 서비스부(310)는 각각의 온라인 쇼핑몰과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연결 또는 웹크롤링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각 쇼핑몰에 대한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운영하며, 이를 대상으로 상품 키워드별 상품 검색을 실시할 수 있다.
다품목 검색 서비스부(310)는 검색이 완료된 상품 정보를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검색 상품(수집 상품)들을 품목별로 분류하여 출력하는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화면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보기 인터페이스에는 검색 상품들이 품목(종류)별로 분류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품 키워드별로 검색 상품들을 분류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화면 사이즈는 제한되므로, 장보기 인터페이스는 품목당 일정 개수의 검색 상품만을 표시하여 모든 품목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특정 품목의 전체 검색 결과를 원할 경우에는 장보기 인터페이스에 마련된 품목별 ‘더보기’버튼을 클릭하며, 다품목 검색 서비스부(310)는 별도 페이지를 통해 해당 상품의 전체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장보기 인터페이스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품별로 ‘선택’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선택’버튼을 클릭하여 사용자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참고로, 클릭이 이루어진 ‘선택’버튼은 다른 ‘선택’버튼과 구분되도록 색상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한 번 더 클릭이 되면 원래 색상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추가로, 장보기 인터페이스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품목별로 검색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검색 필터는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필터링 기준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검색 상품들을 재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품목별로 설정 가능한 필터링 기준은 상이할 수 있는데, 가격, 제조사, 브랜드, 원산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3에서는 가격을 조건으로 하는 가격 필터가 예시되어 있는데, 검색 결과로 얻어진 얻어진 모든 상품들 가운데 가장 낮은 가격과 가장 높은 가격의 상품을 기준으로 슬라이더 양단의 최저가와 최고가가 표시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최저가와 최고가 사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필터링 가격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가격 필터(가격필터링 슬라이더)가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최저가와 최고가 범위 이내에서 슬라이더 버튼을 움직여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가격을 설정하면, 그 설정에 따라 상품들이 다이내믹하게 필터링되어 그 결과가 즉각적으로 장보기 인터페이스에 반영되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검색 필터를 이용하여 품목별 검색 상품 수를 줄여 상품 선택의 폭을 좁힐 수 있어 한 화면에서 모든 품목들에 대한 검색 상품을 확인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되는 바, 끝없는 클릭과 새 화면 로딩의 불편함에서 해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검색 필터는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에도 키워드 입력란별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최초 검색시부터 품목별로 필터링 기준을 설정한 후에 검색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품목 주문 서비스부(320)는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들을 주문 예정 상품(구매 예정 상품)들로 관리하는데, 주문 예정 상품들을 동일 온라인 쇼핑몰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한다. 즉, 온라인 판매처가 동일한 주문 예정 상품들끼리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이후, 다품목 주문 서비스부(320)는 사용자로부터 주문 예정 상품들에 대한 주문 확정이 이루어지면 각 그룹에 속한 주문 확정된 상품 정보를 배송 정보와 해당 온라인 쇼핑몰로 전달하면서 배송을 요청한다. 여기서, 배송 정보에는 배송지 주소와 주문자인 사용자 이름 및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다품목 주문 서비스부(320)는 주문 예정 상품들에 대한 주문 확정을 위해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상품 선택이 완료되면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품목 주문 서비스부(320)는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의 그룹에 해당하는 온라인 쇼핑몰별로 총 상품 가격과 배송비를 포함하는 주문 안내 정보를 제공하며, 주문 예정 상품별로 온라인 쇼핑몰을 변경할 수 있는 선택 기능을 구비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변경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주문 예정 상품에 대해 온라인 쇼핑몰 변경 선택이 이루어지면, 다품목 주문 서비스부(320)는 주문 안내 정보를 갱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다품목 주문 서비스부(320)에 따르면, 사용자는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매 품목별로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들을 선택한 후에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에서 각 상품별로 가격비교를 통해 경제적 소비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최종 선택한 각각의 상품에 대해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쇼핑몰별로 가격 및 배송조건들을 나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눈에 판매조건을 비교하고 그 중 가장 좋은 조건의 판매처 상품으로 교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이 과정에서 판매처 교체가 일어나면 그에 따른 장바구니 내용도 갱신되어 총 상품 가격과 배송비를 포함하는 주문 안내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격비교 섹션(30)과 장바구니 섹션(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품목 주문 서비스부(320)는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의 가격비교 섹션(30)을 통해 주문 예정 상품별로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판매 가격과 하나 이상의 다른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판매 가격을 안내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주문 예정 상품별로 안내된 다른 온라인 쇼핑몰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 변경 선택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다품목 주문 서비스부(320)는 장바구니 섹션(40)을 통해 각각의 그룹에 해당하는 온라인 쇼핑몰별로 총 상품 가격과 배송비를 안내하며, 추가로 온라인 쇼핑몰별 배송비 무료를 위한 최소 주문금액 정보도 함께 안내할 수 있다.
도 4에서 장바구니 섹션(40)을 보면 주문 예정 상품들이 동원몰, 쿠팡, 롯데마트 그리고 CJ더몰로 그룹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장바구니 섹션(40)에서는 사용자로 하여금 각 온라인 쇼핑몰(판매자 또는 판매처라 할 수 있다)별로 발생 금액을 바로 파악할 수 이게 한다. 다시 말해, 온라인 쇼핑몰별로 장바구니(또는 ‘카트’라 할 수 있다)가 각각 생성되어 표시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장바구니별로 구분하여 발생 금액을 알 수 있게 한다. 특히, 장바구니별로 배송비 무료를 위한 최소 주문금액 정보도 함께 안내되는 바, 사용자는 이를 참조하여 최종 주문 전에 일부 구매 예정 상품의 판매자를 변경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 4의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에서 ‘주문하기’버튼을 클릭하면, 다품목 주문 서비스부(320)는 장바구니 섹션에 속한 각각의 온라인 쇼핑몰로 배송 정보와 해당 상품 정보를 전달하면서 배송을 요청한다.
판매자 변경 선택에 대해 도 4a과 도 4b를 가지고 부연 설명한다. 먼저, 장보기 인터페이스에서는 일차적으로 가격보다는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각각의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이어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에서는 각각의 개별 상품별로 당 상품을 판매중인 타 쇼핑몰의 가격 및 배송비 등 조건을 동시에 비교하면서 보다 좋은 조건의 판매자로 교체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카놀라유와 부대찌개 두 품목의 경우 더 좋은 조건의 판매자를 발견하여 해당 ‘선택’버튼을 클립함으로써 손쉽게 판매자를 교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총액이 판매자 교체 전 44,900원에서 교체 후 43,400원으로 1,460원이 줄어들었음을 장바구니가 갱신됨과 동시에 그 차액을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이 가져오는 구매총액의 변화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서 11번가의 경우 배송료 2,500원 지불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롯데마트의 경우 5,100원 이상의 구매만 추가하면 배송비가 무료로 되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비록 카놀라유의 롯데마트 가격이 11번가보다는 다소 비싸지만 배송료 2,500원 보다는 적기 때문에, 도 4b에서 보여주듯이 사용자는 다시 한 번 카놀라유의 판매자를 11번가에서 롯데마트로 교체함에 따라 쿠팡과 롯데마트 두 군데 모두 무료배송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이전 단계 대비 2,080원을 더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관심리스트 서비스부(33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다품목 검색시 사용 가능한 관심품목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하는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품목명(상품 키워드)을 입력받아 관심품목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 아니면 관심리스트 서비스부(330)는 통신 단말(100)로부터 상품에 부착된 시각적 코드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시각적 코드에 매핑된 품목명을 관심품목 리스트에 등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시각적 코드를 통신 단말(100)의 온라인 장보기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스캔하여 관심품목 리스트에 등록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시각적 코드는 QR 코드나 바코드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다품목 검색 서비스부(31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의 관심품목 섹션(20)을 통해 사용자의 관심품목 리스트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관심품목 섹션(20) 내 품목추가 버튼(‘+’기호로 예시되어 있음)를 클릭함으로써 장보기 목록에 간편하게 추가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로, 관심리스트 서비스부(330)는 관심품목 리스트에 등록된 상품별로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를 통한 최근 구매일자 정보를 도 2에서와 같이 관심품목 리스트에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웹 화면 인터페이스를 예시하였는데, 이하에서는 모바일앱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 관점에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온라인 장보기를 위한 모바일앱 화면 인터페이스 예시도이며, 도 9 내지 도 16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모바일앱 화면 인터페이스를 확대한 도면으로 보다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도 5의 (a)와 같은 장보기 앱(200)의 초기 화면에서 앱 초기 화면에서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5의 (b)와 같이 목록 메뉴(ⅰ)와 쇼핑 메뉴(ⅱ) 그리고 계정 메뉴(ⅲ)가 표시된다. 계정 메뉴(ⅲ)는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것이고, 목록 메뉴(ⅰ)는 관심품목 리스트와 관련된 것이며, 쇼핑 메뉴(ⅱ)는 장보기 개시와 관련된 것이다. 사용자가 목록 메뉴를 선택하면, 도 5의 (c)와 같은 관심품목 리스트 화면으로 이동한다. 사용자는 도 5의 (c), (d)를 통해 품목명을 입력하여 도 5의 (e)와 같이 관심품목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점선으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관심품목 리스트에서 품목추가 아이콘을 클릭하여 장보기 목록(쇼핑 목록)에 상품 키워드를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5의 (a)에서 쇼핑 메뉴(ⅱ)를 선택하거나 도 5의 (e)에서 ‘쇼핑 목록으로 가기’버튼을 선택하면 도 5의 (f)에 예시된 바와 같은 쇼핑 목록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쇼핑 목록 화면 상에서 원하는 상품 키워드를 입력하여 쇼핑 목록을 만들 수 있으며, ‘내 관심품목 리스트 보기’버튼을 클릭하여 도 5의 (e)로 이동한 후에 관심품목 리스트에서 품목추가 아이콘을 클릭하여 쇼핑 목록에 상품 키워드를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 5의 (f)에서 필터링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도 5의 (e)에서 필터링 아이콘을 클릭하면 도 5의 (g), (h)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 기준 설정을 위한 필터링 레이어가 슬라이드 업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필터링 기준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부연하면, 선택 품목이 가진 필터의 종류에 따라 해당 숫자 만큼의 필터링 레이어가 슬라이드업 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제시된 필터 요소들 가운데 단수 혹은 복수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통한 필터링 기준에는 제조사, 브랜드, 원산지, 상품 타입 등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포함 가능하지만, 가격은 제외된다.
도 6은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도 5의 (f)에서 ‘쇼핑 시작’버튼을 누르면 상품 키워드별로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 검색이 이루어진 다음에 그에 따른 검색 결과가 도 6의 (i)와 같이 화면 표시된다. 사용자는 도 6의 (i)상의 필터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검색결과 단계에서도 상품별로 도 6의 (j)와 (k)같이 필터링을 통해 상품 검색의 폭을 자신이 원하는 범위 내로 압축하여 검색결과가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장보기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품목별로 가격대를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가격 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의 (i)에 가격필터링 슬라이더가 예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가격필터링 슬라이더로 원하는 가격대를 설정하여 가격 필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6의 (i)와 같은 화면을 통해 상품 키워드별로 검색 상품들을 확인하고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의 (i) 화면을 통해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화면 상단에 표시된 상품 키워드(품목)를 선택하고 그에 따라 표시되는 상품들 중에서 희망하는 상품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품목마다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화면 상단에 표시된 상품 키워드(품목)는 사용자가 주문 예정 상품을 선택했는지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색상만으로도 사용자는 해당 품목의 상품 선택을 했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상품들은 주문 예정 상품들로 관리되는데, 주문 예정 상품들은 온라인 쇼핑몰별로 그룹화되어 관리된다. 즉, 주문 예정 상품들의 판매처에 따라 그룹화되어 관리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는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는 가격비교 인터페이스와 장바구니 인터페이스로 나뉠 수 있는데, 가격비교 인터페이스는 주문 예정 상품별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판매 가격과 하나 이상의 다른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판매 가격을 비교 안내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주문 예정 상품별 온라인 쇼핑몰의 변경 선택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장바구니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그룹에 해당하는 온라인 쇼핑몰별로 총 상품 가격과 배송비 및 배송비 무료를 위한 최소 주문금액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장바구니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온라인 쇼핑몰에 속한 주문 예정 상품 목록을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주문 예정 상품이 특정되면 그 주문 예정 상품에 대한 온라인 쇼핑몰의 변경 선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검색된 품목별로 구매 예정 상품들의 선택을 완료한 후에 도 7의 화면 (i) 하단의 ‘가격비교하러 가기’버튼을 클릭하면 앞에서 선택한 각각의 구매 예정 상품들에 대한 쇼핑몰별 가격 및 배송조건 등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가격비교를 통해 나은 조건의 판매자로 교체 선택할 수 있다. 상품별 가격비교 과정을 마친 후 화면 (l) 하단의 ‘장바구니 보기’버튼을 클릭하면 그동안 선택한 각각의 상품들이 판매자 단위로 그룹화되어 판매자별 장바구니가 화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화면 (m)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판매자 로고를 클릭함으로써 해당 쇼핑몰에 주문 예정인 상품들의 목록 및 상품 가격과 배송비를 포함하는 주문 안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바구니가 형성된 각 쇼핑몰별로 무료배송을 위한 최소 주문금액의 안내도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전체 장보기 쇼핑의 구매총액(상품가 총액 및 배송비 총액) 역시 일목요연하게 확인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화면 (m)에서 확인한 쇼핑몰별 상품 구매 예정 현황 및 각 배송조건 등을 감안하여 최종적으로 장바구니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다. 부연하면, 화면 (m)에서 보면 쿠팡과 홈플러스 그리고 동원몰 모두 무료배송을 위한 최소구매금액이 3만원이고, 쿠팡과 홈플러스는 현재 구매예정금액 중 상품가 총액이 각각 23,100원과 18,000원인데 반해 동원몰의 경우 10,400원에 불과하므로 동원몰 장바구니의 상품을 쿠팡이나 홈플러스로 옮겨 최소 하나의 판매자로부터 무료배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화면 (m), (n), (o)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동원몰의 로고를 클릭하여 장바구니를 연 뒤, 상품을 클릭하면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는 타 판매자들의 가격조건을 담은 레이어가 슬라이드업 되고, 여기서 사용자는 판매자를 교체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쿠팡으로 판매자를 교체함으로써 구매총액 기준 6,200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되며, 화면 (p)에서와 같이 사용자 행위의 결과가 즉각적으로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화면 (p)에서 ‘주문하기’버튼을 누르면 결제 절차가 진행되고 결제가 완료된 후에는 각각의 판매처로 배송 정보와 주문 확정된 해당 상품 정보가 전달되어 배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장보기용 다품목 크로스 스토어 쇼핑 방법 흐름도이다.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는 웹이나 웹앱 기반으로 또는 통신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장보기 앱(200)가 연동하여 도 17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품목을 동시에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100). 이에 사용자는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서로 다른 종류의 상품을 동시에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들을 입력하거나 관심품목 리스트에 등록된 상품 키워드들을 선택 입력하여 장보기 목록에 등록하며, 장보기 목록으로 상품 검색을 요청한다. 사용자의 상품 검색 요청에 따라 장보기 목록에 포함된 상품 키워드별로 상품 검색을 실시하는데,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에 참여하는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상품 검색을 실시한다(S200).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는 상품 검색을 완료한 후에 상품 검색 결과가 반영된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300). 이에 사용자는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품목별로 상품 정보를 확인한 후에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참고로, 상품 정보에는 상품 판매처(온라인 쇼핑몰)와 판매 가격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를 확인한 후에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장보기 인터페이스에는 품목별 필터 기능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필터링 기준을 설정하여 검색 상품들을 필터링할 수 있게 한다.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들을 주문 예정 상품들로 관리한다(S400). 이때,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는 주문 예정 상품들을 동일 판매처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한다. 이후,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품 선택이 완료되면,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는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주문 예정 상품들을 주문 확정할 수 있도록 한다(S5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는 도 4와 같이 가격비교 섹션과 장바구니 섹션이 한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는 도 8과 같이 가격비교 인터페이스와 마무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과 같은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주문 예정 상품별로 판매처를 변경한 후에 주문을 최종 확정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장보기 플랫폼 서버(300)는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문 확정이 이루어지면 총 금액을 결제한 후에 각각의 온라인 쇼핑몰로 해당 그룹에 속하는 주문 확정된 상품 정보와 배송 정보를 전달하면서 배송 요청한다(S60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통신 단말 200 : 장보기 앱
300 : 장보기 플랫폼 서버

Claims (10)

  1. 다품목을 동시에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키워드 입력란이 마련된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품 키워드별로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들을 대상으로 상품 검색을 실시하고, 상품 검색 실시에 따라 검색된 상품들을 동일 품목별로 분류하여 출력하는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품목 검색 서비스부; 및
    사용자로부터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들을 주문 예정 상품들로 관리하되 주문 예정 상품들을 동일 온라인 쇼핑몰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하고, 주문 예정 상품들에 대한 주문 확정을 위한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문 예정 상품들에 대한 주문 확정이 이루어지면 각 그룹의 상품 정보를 주문자 정보와 함께 해당 온라인 쇼핑몰로 전달하면서 배송 요청하는 다품목 주문 서비스부;를 포함하되,
    장보기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필터링 기준에 따라 상품들을 필터링하여 재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품목별 필터 기능이 구비되고,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에는 주문 예정 상품별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판매 가격과 하나 이상의 다른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판매 가격을 비교 안내하며 주문 예정 상품별로 온라인 쇼핑몰의 변경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가격비교 섹션과, 주문 예정 상품들이 그룹화된 온라인 쇼핑몰별로 총 상품 가격과 배송비 및 배송비 무료를 위한 최소 주문금액 정보를 안내하는 장바구니 섹션이 포함되고, 가격비교 섹션에서의 주문 예정 상품의 온라인 쇼핑몰이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선택되면 장바구니 섹션의 안내 정보가 자동 갱신되는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다품목 검색시 사용 가능한 사용자의 관심품목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하되,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물 상품에 부착된 시각적 코드가 스캔되어 수신되면 그 코드에 해당하는 상품 키워드를 사용자의 관심품목 리스트에 반영하는 관심리스트 서비스부;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링 기준에 따라 필터링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키워드 입력란별 필터 기능이 구비된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
  4. 다품목을 동시에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키워드 입력란이 마련된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장보기 개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품 키워드별로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들을 대상으로 상품 검색을 실시하고, 상품 검색 실시에 따라 검색된 상품들을 동일 품목별로 분류하여 출력하는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장보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들을 주문 예정 상품들로 관리하되 주문 예정 상품들을 동일 온라인 쇼핑몰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하고, 주문 예정 상품들에 대한 주문 확정을 위한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문 예정 상품들에 대한 주문 확정이 이루어지면 각 그룹의 상품 정보를 주문자 정보와 함께 해당 온라인 쇼핑몰로 전달하면서 배송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장보기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필터링 기준에 따라 검색 상품들을 필터링하기 위한 품목별 필터 기능이 구비되고,
    장보기 마무리 인터페이스는 주문 예정 상품별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판매 가격과 하나 이상의 다른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판매 가격을 비교 안내하며 주문 예정 상품별로 온라인 쇼핑몰의 변경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가격비교 인터페이스와, 주문 예정 상품들이 그룹화된 온라인 쇼핑몰별로 총 상품 가격과 배송비 및 배송비 무료를 위한 최소 주문금액 정보를 안내하는 장바구니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장바구니 인터페이스는 주문 예정 상품들이 그룹화된 온라인 쇼핑몰들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온라인 쇼핑몰에 속한 주문 예정 상품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주문 예정 상품이 특정되면 그 주문 예정 상품에 대한 온라인 쇼핑몰의 변경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85511A 2020-07-10 2020-07-10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 KR102381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511A KR102381318B1 (ko) 2020-07-10 2020-07-10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511A KR102381318B1 (ko) 2020-07-10 2020-07-10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376A KR20220007376A (ko) 2022-01-18
KR102381318B1 true KR102381318B1 (ko) 2022-03-31

Family

ID=8005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511A KR102381318B1 (ko) 2020-07-10 2020-07-10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3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5940A (ko) 2022-05-26 2023-12-06 장동진 쇼핑 결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0647A (ko) * 2010-09-20 2012-03-29 (주) 다이퀘스트 총액 한도 내의 다수 항목 일괄 검색 방법
KR101476613B1 (ko) * 2011-10-31 2014-12-29 양동훈 유비쿼터스 스마트 쇼핑 시스템
KR101336151B1 (ko) 2011-12-30 2013-12-03 주식회사 다나와 온라인 쇼핑몰의 관심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가격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44787A (ko) * 2015-06-09 2016-12-19 주식회사 케이티 위시 리스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70067976A (ko) * 2015-12-09 2017-06-19 오드컨셉 주식회사 쇼핑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5940A (ko) 2022-05-26 2023-12-06 장동진 쇼핑 결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376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62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items
US85603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tem recommendations
US6628307B1 (en) User interface for internet application
US10515140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tems
US9361640B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order placement
US20020099562A1 (en) System and method of data exchange for electronic transactions with multiple sources
US201603217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tomated customer order cross referencing
KR20070105252A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US201101848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products and materials using an electronic sku finder
US7447647B1 (en) Techniques and definition logic embodi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stored and performed on a computerized device for providing a singular graphical user interface configured to enable a user to create/manage/transact/report and view all full granular reference product data in a configurable transactable aggregate form
KR102381318B1 (ko) 온라인 크로스 스토어 장보기 플랫폼 시스템
KR102249527B1 (ko) 온라인 쇼핑몰 통합 결제 플랫폼
KR20000073435A (ko) 웹카탈로그 및 관리자 메뉴를 이용한 네트웍크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20040021682A1 (en) Intelligent product selector
KR20080030202A (ko) 블로그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 홍보 방법 및 상품 판매 시스템
KR100780923B1 (ko) 유무선 인터넷에서 상품정보의 공유를 통한 쇼핑몰 운영장치 및 방법
JP4881602B2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KR20220135661A (ko) 트렌드 분석 서비스 프로그램
KR100357890B1 (ko) 비교 광고 및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2197298A (ja) 購買支援方法
KR100763403B1 (ko) 제품 판매 시스템 운영 방법
JP2001331715A (ja) 商品の受注方法及びサーバ
JP2003099643A (ja) 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及び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方法
JP2002304554A (ja) webショップ上における製品購買システムと製品購買方法及びwebショップ上における製品購買プログラム
WO2001061548A2 (en) Electronic commerce m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