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3775A -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3775A
KR20020013775A KR1020010048250A KR20010048250A KR20020013775A KR 20020013775 A KR20020013775 A KR 20020013775A KR 1020010048250 A KR1020010048250 A KR 1020010048250A KR 20010048250 A KR20010048250 A KR 20010048250A KR 20020013775 A KR20020013775 A KR 20020013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ductor
conductor forming
dielectric
forming hole
dielectric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1961B1 (ko
Inventor
구로다가츠히토
이시하라진세이
가토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20020013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6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comb or interdigital filters; using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전체 필터는, 실질적으로 직사각 평행육면체 형상의 유전체 블럭; 상기 유전체 블럭과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내면에 각각 내부도체가 형성된 다수의 내부도체 형성구멍; 상기 유전체 블럭의 외면 위에 형성된 외부도체; 및 상기 유전체 블럭의 외면 위에 형성된 입/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이 유전체 필터에서, 입/출력 전극은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평행방향인 유전체 블럭의 끝면인 측면으로부터, 실장판에 접한 유전체 블럭의 실장면인 바닥면까지 형성되고; 커패시턴스는 제 1내부도체 형성구멍에 이웃한 제 2도체구멍의 내부도체와, 끝단에 가장 근접한 제 1내부도체 형성구멍의 사이에서 발생하고; 적어도 제 1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단면은 측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비원형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전체 블럭의 내부와 외부에 전도막을 형성하여 얻어진 유전체 필터와 유전체 듀플렉서,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전체 블럭의 내부와 외부에 전도막을 형성하여 얻어진 다수의 공진 전송선로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유전체 필터는 핸드폰과 같은 통신장치에 사용된다.
종래에, 유전체 블럭을 사용하고 감쇄극(attenuation pole)이 통과대역 근방에서 발생하는 유전체 필터가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5-14530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허출원에 개시된 유전체 필터는, 유전체 블럭안에서 2개의 내부도체를 복수개의 내부도체 형성구멍(internal-conductor-formed holes)이 형성하고, 이 2개의 내부도체는 각각 공진 전송선로를 구성하며, 유전체 블록의 외면에 형성된 입/출력 전극과 용량성 결합하는 다수통로(multipath)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다수통로 구성은 통과대역의 저주파수대 혹은 고주파수대에서 감쇄극을 발생시킨다. 이 감쇄극을 통과대역에 근접하게 배치하기 위해서는, 유전체 블럭에 배열된 다수의 내부도체 형성구멍들 중에 맨끝의 구멍으로부터의 제 2공진 전송선로와입/출력 전극사이의 리프(leap) 결합이 증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맨 끝의 내부도체 형성구멍으로부터 제 2공진 전송선로와 입/출력 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가 증가할 때에, 맨 끝의 내부도체 형성구멍으로부터 제 1 공진 전송선로와 입/출력 전극사이의 커패시턴스(외부결합량)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통과대역의 특성, 특히 반사 특성이 나빠지게 된다.
제 1공진 전송선로와 입/출력 전극이 그들 사이의 외부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었을 때, 전계강도가 증가되어 삽입손실(insertion loss)이 더욱 나빠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과대역의 특성의 저화나 삽입손실의 증가없이, 감쇄극이 통과대역에 가까이 위치하는 유전체 필터와 유전체 듀플렉서를 제공하고, 그것을 이용한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투시도이다;
도 2는 유전체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3a∼3d는 유전체 필터의 투영도이다;
도 4는 유전체 필터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5는 유전체 필터의 통과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6d는 제 2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투영도이다;
도 7은 유전체 필터의 통과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제 3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투시도이다;
도 9는 제 4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투시도이다;
도 10a와 10b는 유전체 듀플렉서의 단면도와 비교 실시예이다;
도 11은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성 단위인 수신필터의 통과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제 4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전체 필터
2: 내부도체 형성구멍
3: 내부도체
4: 외부도체
5: 입/출력 전극
상기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른 유전체 필터는, 실질적으로 직사각 평행육면체 형상의 유전체 블럭; 상기 유전체 블럭과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내면에 각각 내부도체가 형성된 다수의 내부도체 형성구멍; 상기 유전체 블럭의 외면 위에 형성된 외부도체; 및 상기 유전체 블럭의 외면 위에 형성된 입/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유전체 필터에서,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배열방향으로 유전체 블럭의 끝면인 측면으로부터, 실장판과 접한 유전체 블럭의 실장면인 바닥면까지 입/출력 전극이 형성되고; 커패시터는 끝면과 가장 가까운 제 1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내부도체와 제 1내부도체 형성구멍과 이웃한 제 2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내부도체 사이에서 발생되며; 적어도 제 1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단면은 측면을 따라 연장된 비원형 형상이다.
전계강화가 유전체 블럭의 측면에 가장 근접한 내부도체 형성구멍을 사용하는 공진 전송선로와 입/출력 전극사이의 외부 결합부에서 감소되고, 유전체 블럭의 측면에 가장 근접한 상기 내부도체 형성구멍을 사용하는 2개의 공진 전송선로와 상기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바로 옆의 내부도체 형성구멍 사이의 상호결합이 증가되기 때문에, 감쇄극이 통과대역에 더욱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에 따르면, 유전체 듀플렉스는 상기 첫 번째 특징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포함한다. 유전체 듀플렉스에서, 유전체 필터의 입/출력 전극은 전송신호 입력전극, 수신신호 출력전극, 안테나 연결전극 중 하나로써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은 유전체 듀플렉스가 전송 주파수 영역과 수신 주파수영영 사이에서 충분한 감쇄량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 첫 번째 특징에 따른 유전체 필터 또는 상기 두 번째 특징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좁은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주파수특성과 통과대역의 근처에서 충분한 감쇄량을 가지고, 우수한 통신능력을 가진 소형으로 제작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들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5에서는 제 1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유전체 필터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내부도체 형성구멍(2a, 2b, 2c, 2d)의 축에 수직한 면을 따라본 단면도이고; 도 3a, 3b, 3c, 3d는 투영도이다. 도 1에서, 실장판에의 실장면을 윗면이라고 기술하였다. 서로 평행하게 뻗은 4개의 내부도체 형성구멍(2a, 2b, 2c, 2d)은 실질적으로 직사각 평행육면체형상의 유전체 블럭(1)의 내부에 배열된다. 이러한 내부도체 형성구멍(2a, 2b, 2c, 2d)의 단면은 타원형이다. 내부도체들은 각각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내면 위에 공진 전송선로로써 형성된다. 외부도체(4)는 유전체 블럭(1)의 외면(6면)을 형성한다. 내부도체 형성구멍(2a∼2d)의 개구부 근처에는 내부도체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 "g"가 형성되고, 이 부분 "g"가 공진 전송선로의 개방단으로서 작용한다. 입/출력 전극(5a, 5b)는 내부도체 형성구멍(2a∼2d)의 배열방향의 끝면인 측면으로부터, 실장판을 향한 실장면인 바닥면까지(도 1의 윗면) 내부도체의 개방단 가까이 형성된다.
도 2는 커패시턴스가 내부도체와 입/출력 전극사이에서 발생됨을 나타낸다. 커패시턴스(C3)은 입/출력 전극(5a)와 유전체 블럭(1)의 측면에 가장 근접한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내부도체(3a) 사이에서 발생되고, 커패시턴스(C1)은 입/출력 전극(5a)와 상기 내부도체 형성구멍 옆의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내부도체(3b) 사이에서 발생한다. 커패시턴스(C2)는 내부도체(3a, 3b) 사이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내부도체 형성구멍들의 단면을 유전체 블럭의 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타원형처럼 형성함으로써, 커패시턴스(C3)를 증가시키면서 커패시턴스(C3) 부분의 전계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부결합량을 확보하면서 리프 결합의 커패시턴스도 증가하여, 통과대역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계강도에 의한 삽입손실도 줄일 수 있다.
각 내부도체 형성구멍을 측면에 평행한 방향으로(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배열방향의 수직방향) 완전히 평평하게 함으로, 이웃한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은 평평하게된다(곡률이 감소된다). 따라서,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배열 피치(pitch)가 좁더라도, 전계강화는 억제된다. 이에 의해,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배열 방향의 유전체 블럭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유전체 필터를 전체적으로 소형화 할 수 있다.
내부도체(3a, 3b) 사이의 마주하는 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도 2에 나타낸 상호 커패시턴스(C2)는 쉽게 증가될 수 있다. 감쇄극은 커패시턴스(C2)의 증가에 따라 통과대역에 더욱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통과대역의 근접한 곳에 존재하는 원치 않는 신호의 충분한 감쇄량을 보장할 수 있다.
도 3a는 유전체 필터가 있고, 이것의 실장면이 앞쪽을 향해 있는 유전체 필터의 위쪽 모습이다; 도 3b는 앞쪽 모습이다; 도 3c는 좌측 모습이다; 그리고 도 3d는 아래쪽 모습이다. 따라서, 유전체 필터는, 내부도체 형성구멍(2a∼2d)의 내부지름이 개방단에서는 커지고 단락 단측에서는 작아지는 스텝(step) 구조로 형성된다. 내부도체 형성구멍(2a, 2b)의 단락 단측 구멍의 중심은 서로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편심(decenter)되고, 이러한 2개의 내부도체 형성구멍을 사용하여 공진기들이용량성 결합을 한다. 유사하게, 내부도체 형성구멍(2c, 2d)를 사용하는 두 공진기도 용량성 결합한다. 내부도체 형성구멍(2b, 2c)를 사용하는 공진기는, 개방단측의 편심에 의해 단락 단측의 홀의 중심이 서로 상대적으로 근접해 있음으로써 용량성 결합을 한다.
도 4는 상기 유전체 필터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4에서 (Ra∼Rd)는 도 3a∼3d에 나타낸 내부도체 형성구멍(2a∼2d)를 사용하는 공진기이다. Ca, Cb는 각각 입/출력 전극(5a)와 내부도체 형성구멍(2a, 2b)의 개방단 근방의 내부도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이다. Cd는 내부도체 형성구멍(2d)의 개방단 근처의 내부도체와 입/출력 전극(5b)사이에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이다.
도 5는 상기 유전체 필터의 통과특성을 보여준다. 도 5에서, 실선은 도 3a∼도 3d에 나타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특성을 나타내고, 점선은개방단측의 내부도체 형성구멍이 단락단 측과 동일한 원형 단면인 경우의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단면을 유전체 블럭의 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타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Ca는 전계강화의 증가없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감쇄극은 통과대역에 근접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공진기(Ra, Rb)간의 결합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감쇄극을 통과대역측에 보다 근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6a∼6d 및 7을 참조하여, 제 2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 구조를 기술한다.
도 6a, 6b, 6c, 6d는 유전체 필터의 투영도이다; 도 6a는 유전체 필터가 있고, 이것의 실장면이 앞쪽을 향해 있는 유전체 필터의 윗쪽 모습이다; 도 6b는 앞쪽 모습이다; 도 6c는 좌측 모습이다; 그리고 도 6d는 아래쪽 모습이다. 도 3a∼3d와의 비교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 2실시형태의 유전체 필터에서는 내부도체 형성구멍(2a, 2b)의 단락단 측 구멍을 상대적으로 서로 근접하게 함으로써, 이런 두개의 내부도체 형성구멍을 사용하는 공진기들 사이에서 용량성 결합이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2개의 내부도체 형성구멍(2c, 2d)를 사용하는 공진기 사이에 서로 용량성 결합이 발생한다. 내부도체 형성구멍(2b, 2c)의 구멍의 중심을 개방단에 상대적으로 서로 근접하게 함으로써, 내부도체 형성구멍(2b, 2c)를 사용하는 공진기들이 용량성 결합한다.
유전체 필터의 등가회로는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다. 리프 커패시턴스 (Cb)는 용량성 결합된 두개의 공진기 사이에서 발생한다.
도 7은 유전체 필터의 통과특성을 보여준다. 그래서, 리프 커패시턴스가 발생함으로써 용량 결합된 두개의 공진기 사이에서, 감쇄극이 통과대역의 고주파수 측에서 발생한다. 도 7에서, 실선은 도 6a∼도 6d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제 1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특성을 나타내고, 점선은 개방단 측의 내부도체 형성 구멍이 단락단 측과 동일한 원형 단면인 경우의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제 1실시형태와 같이, 개방단 측의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단면을 유전체 블럭의 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타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감쇄극은 통과대역 근접할 수 있다.
도 8은 제 3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투시도이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 외부도체가 외면(6면)에 형성되고, 개방단은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내부에위치 하였지만,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개구부(openings)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단 면으로써 형성된다.
도 9∼도 11에서는 제 4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9는 유전체 듀플렉서의 투시도이다. 실장판에 대한 유전체 듀플렉서의 실장면이 윗면으로써 보여진다. 도 10a는 내부도체 형성구멍 축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면에서의 유전체 듀플렉서의 주요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10b는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단면부분이 원형인 비교실시예이다. 도 11은 유전체 듀플렉서의 안테나 단자와 수신신호 출력단자 사이에서의 전송 특성을 나타낸다.
도 9에서 처럼, 서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내부도체 형성구멍(2a∼2h)는 직사각 평행 육면체형상의 유전체 블럭(1)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내부도체 형성구멍 안에 각각 내부도체가 형성된다. 도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내부에 도체가 형성 안 된 부분(도시하지 않음)은 도 9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내부도체 형성구멍 (2a, 2c, 2d, 2f, 2g, 2h)의 오른쪽 뒷쪽 부근에 위치하고, 이런 조합들은 내부도체의 개방단으로써 배치된다. 내부도체는 내부도체 형성구멍(2b, 2e)의 내면 전체에 형성된다. 유전체 블럭(1)의 외면(6면)에는, 내부도체 형성구멍(2g, 2h)의 개방단 근방에서 용량 결합하는 입/출력 전극(5rx), 내부도체 형성구멍(2b, 2e)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속적인 입/출력 전극(5tx, 5ant)및 외부 도체(4)가 형성된다.
내부도체 형성구멍(2a)를 사용하는 공진기는 내부도체 형성구멍(2b)를 사용하는 공진기와 인터디지탈적으로(interdigitally) 결합하여 트랩필터로써 작용한다. 내부도체 형성구멍(2c, 2d)을 사용하는 두개의 공진기는 콤선로(comb-line)결합을 하고, 내부도체 형성구멍(2c)를 사용하는 공진기와 여기선로(excitation line)로써 작용하는 내부도체 형성구멍(2b, 2c)의 내부도체는 인터디지탈적으로 결합한다. 유사하게, 내부도체 형성구멍(2d)를 사용하는 공진기도 내부도체 형성구멍(2e)의 내부도체와 인터디지탈적으로 결합한다. 내부도체 형성구멍(2f, 2g, 2h)를 사용하는 공진기들은 콤선로 결합한다. 내부도체 형성구멍(2f)를 이용한 공진기와 내부도체 형성구멍(2e)를 이용한 내부도체는 인터디지탈적으로 결합한다.
내부도체 형성구멍(2a, 2c, 2d)를 사용하는 공진기는 송신필터로써 작용하고, 내부도체 형성구멍(2f, 2g, 2h)을 사용하는 공진기는 수신필터로써 작용한다. 입/출력 전극(5tx, 5ant, 5rx)는 각각 송신신호 입력단자, 안테나 단자, 수신신호출력단자로써 작용을 한다.
수신신호 출력단자인 입/출력 전극(5rx)는 용량성 결합을 하는 두개의 내부도체 형성구멍(2g, 2h)의 내부도체의 개방단과 근접하게 각각 용량성 결합이기 때문에, 감쇄극은 도 11과 같이 통과대역의 저주파수측에 위치한다.
도 10b에서 각각의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개방단의 단면이 1.0mm이고, 유전체 블럭의 전체 폭은 12.8mm이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개방단의 내부영역들이 일치하여,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배열 순서에 직각으로 개방단 부분에서 타원형으로 펼쳐지는 단면의 내부가 생기고, 타원의 작은축의 폭은 0.8mm, 전체 유전체 블럭의 폭은 11.6mm까지 소형화 할 수 있다.
도 12는 제 4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조를 기술한다. 도 9의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수신신호 출력단자(5rx)에 의해 수신대역 저주파수측에 감쇄극이 발생한다. 도 12에서, 송신신호 단자(5tx)와 2개의 내부도체 형성구멍(2a, 2b)에 형성된 내부도체의 개방단 부분에 근접하게 발생하는 각각의 커패시턴스에 의해, 감쇄극이 송신대역의 고주파수측에 발생한다. 즉, 내부도체 형성구멍(2g, 2h)를 사용하는 공진기 사이에서의 용량성 결합에 의해 제 1실시형태와 같이 감쇄극이 통과대역의 저주파수측에 발생한다. 또한, 내부도체 형성구멍(2a, 2b)를 사용하는 공진기들 사이의 용량성결합에 의해, 제 2실시형태와 같이 통과대역의 고주파수측에 감쇄극이 발생한다.
이러한 송신필터와 수신필터의 두 감쇄극은 송신신호가 수신회로 측으로부터 간섭받는 것을 막아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계강화가 유전체 블럭의 측면에 가장 근접한 내부도체 형성구멍을 사용하는 공진 전송선로와 입/출력 전극사이의 외부 결합부에서 감소되고, 유전체 블럭의 측면에 가장 근접한 상기 내부도체 형성구멍을 사용하는 2개의 공진 전송선로와 상기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바로 옆의 내부도체 형성구멍 사이의 상호결합이 증가되기 때문에, 감쇄극이 통과대역에 더욱 가깝게 배치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전체 듀플렉스가 전송 주파수 영역과 수신 주파수 영역사이에서 충분한 감쇄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좁은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주파수 특성과 통과대역의 근처에서 충분한 감쇄량을 가지고, 우수한 통신능력을 가진 통신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이제까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하기에 청구되는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술된 요지를 실시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Claims (9)

  1. 실질적으로 직사각 평행육면체 형상의 유전체 블럭;
    상기 유전체 블럭과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내면에 각각 내부도체가 형성된 다수의 내부도체 형성구멍;
    상기 유전체 블럭의 외면 위에 형성된 외부도체; 및
    상기 유전체 블럭의 외면 위에 형성된 입/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유전체 필터로서,
    상기 입/출력전극은 상기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유전체 블럭의 끝면인 측면에서, 실장판과 마주하는 상기 유전체 블럭의 실장면인 바닥면까지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 블록의 끝면과 가장 근접한 제 1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내부도체와, 상기 제 1내부도체 형성구멍에 이웃한 제 2내부도체 형성구멍의 내부도체 사이에서 커패시턴스가 발생하며,
    상기 제 1내부도체 형성구멍 중 적어도 일부 단면이 상기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비원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내부도체 형성구멍은 상기 유전체 블럭의 정면으로부터 후면까지 연장하며; 상기 정면과 후면중의 한 쪽 면에서는 상기 제 1내부도체 형성구멍의 적어도 일부 단면이 비원형 형상이고, 다른쪽 면에서는 남은 단면이 원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내부도체 형성구멍은 정면과 후면중의 한 쪽에서는 비원형 형상이고, 다른쪽에서는 원형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형 형상은 타원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해 있는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원형 단면의 중심사이의 거리는 상기 이웃해 있는 내부도체 형성구멍의 타원형 단면의 중심사이의 거리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전체 필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체 형성구멍에 이웃한 원형단면의 중심은 내부도체 형성구멍에 이웃한 타원형상의 중심사이의 거리보다 더 멀리 위치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전체 필터.
  7. 제 1항 내지 제 6항에 기재된 유전체 필터를 포함하는 유전체 듀플렉서로서,
    상기 유전체 필터의 입/출력 전극은 송신신호 입력전극, 수신신호 출력전극 및 안테나 연결전극 중 하나로써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8. 제 1항 내지 제 6항에 기재된 유전체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9. 제 7항에 기재된 유전체 듀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2001-0048250A 2000-08-10 2001-08-10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 KR100401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43301A JP2002057508A (ja) 2000-08-10 2000-08-10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JP-P-2000-00243301 2000-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775A true KR20020013775A (ko) 2002-02-21
KR100401961B1 KR100401961B1 (ko) 2003-10-17

Family

ID=1873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250A KR100401961B1 (ko) 2000-08-10 2001-08-10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35082B2 (ko)
EP (1) EP1184929A3 (ko)
JP (1) JP2002057508A (ko)
KR (1) KR100401961B1 (ko)
CN (1) CN120356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6805A (ja) * 2001-02-14 2002-08-30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3788384B2 (ja) * 2001-05-30 2006-06-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3570397B2 (ja) * 2001-06-20 2004-09-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3788402B2 (ja) * 2001-09-14 2006-06-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WO2006137470A1 (ja) * 2005-06-23 2009-01-22 宇部興産株式会社 基地局通信装置用誘電体フィルタ
CN108023148B (zh) * 2016-10-31 2022-02-18 康普公司意大利有限责任公司 悬浮微带滤波装置和微带滤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2562A (en) * 1984-09-27 1988-05-03 Motorola, Inc. Single-block dual-passband ceramic filter useable with a transceiver
US5344695A (en) * 1991-03-29 1994-09-06 Ngk Insulators, Ltd. Dielectric filter having coupling electrodes for connecting resonator electrodes, and method of adjusting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filter
JP3071528B2 (ja) 1991-11-19 2000-07-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
US5278527A (en) * 1992-07-17 1994-01-11 Motorola, Inc. Dielectric filter and shield therefor
US5499004A (en) * 1993-03-12 1996-03-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electric filter having interstage coupling using adjacent electrodes
JP3067575B2 (ja) * 1995-03-08 2000-07-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
KR100198944B1 (ko) * 1996-11-05 1999-06-15 이계철 이중 결합 선로 특성을 갖는 듀플렉서
US6052040A (en) * 1997-03-03 2000-04-18 Ngk Spark Plug Co., Ltd. Dielectric duplexer with different capacitive coupling between antenna pad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ctions
US6154951A (en) * 1997-12-11 2000-12-05 Sanyo Electric Co., Ltd. Dielectric filte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3348658B2 (ja) * 1998-09-11 2002-11-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複合誘電体フィルタ、アンテナ共用器および通信装置
JP3395675B2 (ja) * 1998-12-03 2003-04-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帯域通過フィルタ、アンテナ共用器および通信装置
JP3412546B2 (ja) * 1999-02-22 2003-06-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及び通信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1961B1 (ko) 2003-10-17
EP1184929A3 (en) 2003-06-04
US6535082B2 (en) 2003-03-18
JP2002057508A (ja) 2002-02-22
EP1184929A2 (en) 2002-03-06
CN1338792A (zh) 2002-03-06
CN1203568C (zh) 2005-05-25
US20020021189A1 (en) 200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7921B2 (ja) 誘電体フィルタ及び誘電体デュプレクサ
US6313797B1 (en) Dielectric antenna including filter, dielectric antenna including duplexer, and radio apparatus
US5812036A (en) Dielectric filter having intrinsic inter-resonator coupling
KR100397758B1 (ko) 듀플렉서
KR100312588B1 (ko) 유전체필터,유전체듀플렉서및이들을이용한통신장치
KR100401963B1 (ko) 유전체 공진기,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들을사용한 통신장치
KR100401961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
KR100337617B1 (ko) 안테나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EP1025608A1 (en) Duplexer with stepped impedance resonators
KR100550878B1 (ko) 적층형 유전체 필터
KR100411202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기기 시스템
JPH08111604A (ja) 誘電体フィルタ
KR100258788B1 (ko) 동축선 공진기의 절반구조를 이용한 대역 통과 여파기
KR100314626B1 (ko) 일체형유전체필터
KR100316481B1 (ko) 일체형유전체필터
KR20010047698A (ko) 감쇠극을 갖는 일체형 유전체 필터
JP2002164708A (ja) 誘電体フィルタ、送受共用器及びマルチプレクサ
KR20020067431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JPH09232808A (ja) 誘電体フィルタ
JPH09307390A (ja) 集中定数型フィルタ
KR20020024598A (ko) 일체형 유전체 필터의 구조 및 제조방법
JP2001185904A (ja) 誘電体フィルタとその特性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