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3657A -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 - Google Patents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3657A
KR20020013657A KR1020000046959A KR20000046959A KR20020013657A KR 20020013657 A KR20020013657 A KR 20020013657A KR 1020000046959 A KR1020000046959 A KR 1020000046959A KR 20000046959 A KR20000046959 A KR 20000046959A KR 20020013657 A KR20020013657 A KR 20020013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packaging material
lid
packag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철
Original Assignee
현용욱
주식회사 비원씨엔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용욱, 주식회사 비원씨엔알 filed Critical 현용욱
Priority to KR102000004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3657A/ko
Publication of KR20020013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65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 B65B35/38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B41/04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 B65B41/06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B41/10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08Forming three-dimensional containers from sheet material
    • B65B43/10Forming three-dimensional containers from sheet material by folding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42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 B65B7/2864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by adhesive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재를 자동으로 포장하기 위한 자동포장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재를 수백매 단위로 저장하였다가 1매씩 작업대에 공급하는 카트리지 형의 골판지 포장재 공급장치, 골판지 포장재 공급장치로부터 작업대에 공급된 1매씩의 포장재를 쉽게 절곡하기 위해 포장재 중의 선택된 접힘선에 압력날로 압력을 가하는 장치, 순서대로 포장재의 접힘선을 따라 포장재를 접어서 포장물을 담는 대를 형성하고 고정하는 장치, 공급된 포장물을 담는 대의 형태와 담기는 포장물의 수와 일치하여 자동으로 담는 장치, 포장재의 뚜껑부를 결속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골판지 포장재의 접힘선을 따른 순차적 절곡을 통해 포장물을 담는 대를 형성하고 고정하는 공정과 포장물을 담는 대에 공급된 포장물을 담는 공정과 포장재의 뚜껑부의 접힘선을 따른 순차적인 절곡과 뚜껑의 결속공정을 모두 자동화함으로써 사람의 수작업에 따른 낮은 생산성에 따른 높은 생산비용과 대량생산에의 부적합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 보완하여 낮은 생산비용으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골판지 포장재로 포장물을 포장하는 자동포장기계장치이다.

Description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 {Automatic Packing Machine of Corrugated Packing Paperboard}
본 발명은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골판지 포장재의 접힘선을 따른 순차적 절곡을 통해 포장물을 담는 대를 형성하고 고정하는 공정과 포장물을 담는 대에 공급되는 포장물을 담는 공정과 포장재의 뚜껑부의 접힘선을 따른 순차적인 절곡과 뚜껑의 결속공정을 모두 자동화함으로써 사람의 수작업에 따른 낮은 생산성에 따른 높은 생산비용과 대량생산에의 부적합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보완하여 낮은 생산비용으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골판지 포장재로 포장물을 포장하는 자동포장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안된 이러한 자동포장기계장치는 골판지 포장재로서 계란을 비롯한 각종 란과 키위를 비롯한 각종 과일 등의 골판지 포장재를 이용한 식품포장용기의 자동포장에 응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골판지 포장재를 포장용기로 사용할 경우 안전한 포장물의 보관, 환경오염 문제의 해결 및 뛰어난 광고효과 등 매우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자동 포장기계장치를 이용한 반자동 또는 완전 자동의 포장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계란을 비롯한 란의 포장용기는 일정갯수의 란을 담는 수납공간 또는 란을 담는 대(란좌라 불림)를 골판지 포장재의 접힘선을 따른 순차적인 절곡공정과 끼움 및 결합공정을 통하여 란을 담는 대(란좌)를 형성하고, 이 대에 란을 담고, 마지막으로 골판지 포장재의 뚜껑부를 역시 접힘선을 따른 순차적인 절곡공정과 결합공정을 통하여 결속시켜 란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면 완전한 포장이 끝나게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포장의 모든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을 통하여 이 일련의 모든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수작업에 기인한 낮은 생산성에 따른 높은 생산비용과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골판지 포장재를 자동포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판지 포장재 카트리지로부터 골판지 포장재를 1매씩 작업대의 작업위치에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골판지 포장재가 쉽게 절곡되도록 포장재의 접힘선을 따라 균등한 압력을 가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포장재의 접힘선을 따른 순차적인 절곡과 끼움돌기를 끼움홀에 결합시켜 포장물을 담을 수 있는 대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실시예로서, 계란을 비롯한 란들을 담을 수 있는 대(란좌)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결합돌기를 결합홈에 결합시켜 포장물을 담는 대를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포장물을 담고 뚜껑을 쉽게 결속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 포장물을 담는 정확한 위치 까지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실시예로서, 계란을 비롯한 란을 담고 쉽게 뚜껑을 결속할 수 있는 형태로 하여 란을 담는 정확한 위치 까지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여섯째, 포장을 위해 공급되어온 포장물을 담고 있는 대로부터 골판지 포장재의 포장물을 담는 대로 포장물을 이송시킬 수 있어야 한다. 실시예로서 포장을 위해 30개 단위의 계란을 담을 수 있는 표준 란좌에 담겨 공급되어온 계란을 란좌의 포장단위로 골판지 포장재의 란좌까지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곱째, 포장물의 보호를 위해 골판지 포장재의 뚜껑부를 강하게 결속시킬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 모든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포장물을 골판지 포장재로 포장함에 있어 수작업을 배제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하여 생산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전체기계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이고,
도 2a는 접혀지지 않은 최초상태의 골판지 포장재의 공급장치로 수백매의 포장재를 저장하고 1매씩 피딩롤러에 의해 작업대에 공급하는 장치(이하 피딩롤러식 포장재 공급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
도 2b는 접혀지지 않은 최초상태의 골판지 포장재의 공급장치로 수백매의 포장재를 저장하고 1매씩 진공흡입장치에 의해 작업대에 공급하는 장치(이하 진공흡입식 포장재 공급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
도 3은 골판지 포장재가 접힘선을 따라 잘 절곡되도록 선택된 접힘선에 압력날을 이용하여 균등한 압력을 주는 장치(이하 접힘선 압력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4a와 도 4b는 각각 골판지 포장재를 순차적으로 접힘선을 따라 절곡하고 선택된 접힘면을 압력판으로 누름으로써 포장물을 담는 대를 형성하는 장치(이하 포장물을 담는 대 형성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4c는 크랭크로 구현한 클램프의 90˚회전장치도,
도 4d는 로터리 액츄에이터로 구현한 90˚회전장치도,
도 5a는 형성된 포장물을 담는 대에 공급된 포장물을 대의 형상과 대에 담기는 포장물의 수만큼을 취하여 대에 자동으로 담는 장치(이하 포장물을 담는 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
도 5b는 포장물의 대의 형상과 담을 수 있는 포장물의 수에 일치한 진공흡입식 포장물 흡입기와 진공 포장재 흡입기의 예시도,
도 6a는 포장재의 뚜껑부에 설치된 결합돌기와 결합홀에 맞추어 압력을 가하여 포장재의 뚜껑을 결속시키는 장치(이하 압력식 뚜껑 결속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
도 6b는 테이핑장치를 이용하여 뚜껑을 결속시키는 장치(이하 테이핑방식 뚜껑 결속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
도 7은 골판지 포장재 자동포장기계장치의 동작의 설명을 위해 압력식 뚜껑결속장치를 적용한 포장재의 예시도,
도 8은 고안된 골판지 포장재 자동포장기계장치의 동작의 설명을 위해 테이핑 방식의 뚜껑결속장치를 적용한 포장재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포장재 공급장치, 1-2: 접힘선 압력장치, 1-3: 포장물을 담는 대를 형성하는 장치, 1-4: 포장물을 담는 장치, 1-5: 뚜껑 결속장치, 1-6: 포장될 포장물의 공급장치, 1a1-1: 포장재 저장 카트리지, 1a1-2: 포장재 피딩롤러, 1a2-1: 포장재 저장 카트리지, 1a2-2: 포장재 진공흡입기, 1b-1: 포장재 피딩 상하롤러, 1b-2: 압력날, 1b-3: 상하병진운동 실린더, 1c-1: 포장재 피딩 상하롤러, 1c-2: 제 1클램프 1, 1c-3: 제 2클램프 2, 1c-4: 제 3클램프, 1c-5: 절곡도움 압력판, 1c-6: 절곡도움 압력고무판, 1c-7: 45˚압력판, 1c-8: 수직 압력판, 1c-9: 제 4클램프 4, 1c-10: 클램프이동용 직선병진운동 실린더, 1c-11: 크랭크 90°회전실린더, 1c-12: 로터리 액츄에이터, 1c-13: 크랭크, 1d-1: 컨베이어 벨트 1, 1d-2: 뚜껑들림 가이드, 1d-3: 컨베이어벨트 2, 1d-4: 진공 포장물흡입기, 1d-5: 공급되는 포장물을 담은 대, 1d-6: 진공펌프, 1d-7: 진공튜브, 1e1-1: 상부 압력판, 1e1-2: 전면 압력판, 1e1-3: 결합돌기 상부 압력판, 1e1-4: 결합홀 압력롤러, 1e2-1: 상부 압력판, 1e2-2: 전면 압력판, 1e2-3: 포장재 테이핑롤러, 1e2-4: 포장재 테이핑 누름장치, 2-1: 접힘선 a, 2-2: 접힘선 b, 2-3: 접힘선 c, 2-4: 접힘선 d, 2-5: 접힘선 e, 2-6: 접힘선 f, 2-7: 접힘선 g, 2-8: 접힘선 h, 2-9: 접힘면 A, 2-10: 접힘면 B, 2-11: 접힘면 C, 2-12: 접힘면 D, 2-13: 접힘면 E, 2-14: 접힘면 F, 2-15: 접힘면 G, 2-16: 접힘면 H, 2-17: 끼움돌기, 2-18: 끼움홀, 2-19: 결합돌기 1, 2-20: 결합홀 1, 2-21: 결합돌기 2, 2-22: 결합홀 2, 3-1: 접힘선 a, 3-2: 접힘선 b, 3-3: 접힘선 c, 3-4: 접힘선 d, 3-5: 접힘선 e, 3-6: 접힘선 f, 3-7: 접힘선 g, 3-8: 접힘선 h, 3-9: 접힘면 A, 3-10: 접힘면 B, 3-11: 접힘면 C, 3-12: 접힘면 D, 3-13: 접힘면 E, 3-14: 접힘면 F, 3-15: 접힘면 G, 3-16: 접힘면 H, 3-17: 끼움돌기, 3-18: 끼움홀, 3-19: 결합돌기, 3-20: 결합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대한 예시도면에 의거 구조와 작용을 상세히 살펴본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의 예시도로 정면도와 평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1a와 도 1b의 포장기계장치는 포장재공급장치(1-1:도 2a와 도 2b 참조), 접힘선 압력장치(1-2:도 3 참조), 포장물을 담는 대를 형성하는 장치(도 4a, 도 4b, 도 4c, 도 4d 참조), 포장물을 담는 장치(도 5a와 도 5b 참조) 및 뚜껑결속장치(1-5: 도 6a와 도 6b 참조)로 구성되며 포장물을 담고 있는 공급장치(1-6)에서 공급되는 포장물을 골판지 포장재로 자동포장하는 기계장치이다. 도 2a는 절곡되지 않은 최초상태의 골판지 포장재의 공급장치(도 1a의 1-1)로 수백매의 포장재를 저장하는 카트리지(1a1-1)로부터 1매씩 포장재 피딩 롤러(1a1-2) 또는 포장재 공급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진공흡입기(1a2-2)에 의해 도 3의 접힘선 압력장치의 포장재 피딩 상하롤러(1b-1)에 공급한다. 이 피딩 상하롤러(1b-1)와 도 4a의 포장재 피딩 상하롤러(1c-1)의 회전작용에 의해 포장재를 도 3의 접힘선 압력장치(도 1의 1-2)와 도 4a의 포장물을 담는 대 형성장치(도 1a의 1-3)의 작업대상의 정확한 위치에 골판지 포장재를 공급하게 된다. 공급된 포장재는 선택된 접힘선을 따라 도 3의 압력날(1b-2)이 내려와 압력을 가하여 쉽게 절곡되도록 한다. 실시예로서, 도 7의 계란을 비롯한 란 포장용기로 사용된 골판지 포장재의 적용을 보면 선택된 접힘선은 뚜껑부의 접힘선 a, b, c(2-1, 2-2, 2-3)에 정확하게 도 3의 접힘선 압력장치의 압력날(1b-2)이 일치하여 포장재가 위치한 후 압력날이 내려와 선택된 접힘선에 압력을 가하여 쉽게 절곡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원위치로 복귀한다. 압력날의 동작과 동시에 도 4a의 포장물을 담는 대 형성장치에 위치한 포장재의 선택된 접힘선의 바로 우측부에는 포장재 측면에서 접힘선 절곡을 위한 클램프가 들어와 위치하게 된다. 실시예로서, 도 7의 포장재의 예시도에서 접힘선 e, f, g(2-5, 2-6, 2-7)의 바로 우측을 제 3클램프(1c-4), 제 2클램프(1c-3) 및 제 1클램프(1c-2)가 들어와 클램핑하게 된다. 클램핑과 동시에 접힘면 H면(2-16)의 상부에 설치된 접힘선 절곡도움 압력고무판(1c-5)이 내려와 접힘면 H면(2-16)의 우반부를 눌러주고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접힘선 h선(2-8)이 쉽게 접어지도록 한다. 다음은, 접힘선 우측을 클램핑하고 있는 클램프들이 90˚회전하여 순차적으로 절곡함으로써 포장물을 담는 대를 형성해가는 공정이다. 실시예로서, 도 7의 포장재의 예시도에서 접힘선 g(2-7)의 바로 우측을 클램핑하고 있는 제 3클램프(1c-4)가 좌측으로 90˚회전하여 절곡한 후 클램핑을 해제하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접힘선 f(2-6)의 바로 우측을 클램핑하고 있는 제 2클램프(1c-3)가 좌측으로 90˚회전하여 절곡한 후 클램핑을 해제하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도 4a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접힘선 절곡도움 압력판(1c-6)이 내려와 미리 압력을 받아 쉽게 접어지도록 되어 있는 접힘선 h(2-8)를 따라 위치해 있다가 접힘선 e(2-5)의 바로 우측을 클램핑하고 있는 제 1클램프(1c-2)가 좌측으로 90˚회전하여 절곡할 때 접힘선 h(2-8)에 압력을 가하면서 자연스럽게 끼움돌기(2-17)가 끼움홀(2-18)에 끼이도록 하면서 클램프는 클램핑하기 전의 위치로 원위치된다. 이처럼 포장재를 원하는 모양으로 포장해감에 있어 순차적인 절곡과 절곡의 형태를 보존하기 위한 끼움동작을 자동화하는 것이다. 실시예로서, 도 4a의포장재 피딩 상하롤러(1c-1)에 의해 포장재는 접힘선 d(2-4)의 바로 우측부가 제 4클램프(1c-9)의 위치까지 정확하게 피딩된다. 다음은 제 4클램프(1c-9)가 접힘선 d(2-4)의 바로 우측부를 클램핑하여 좌측으로 90˚회전한다. 회전 직후 도 4a의 포장물을 담는 대 형성장치의 상부에 위치한 45˚압력판(1c-7)과 수직압력판(1c-8)이 내려와 각각 도 7의 접힘면 G(2-15)의 배면의 중앙부와 접힘면 F(2-14)의 배면의 좌측부를 따라 압력을 가하여 도 7의 결합돌기 1(2-19)이 결합홀 1(2-20)에 자연스럽게 결속되도록 된다. 다음으로 제 4클램프(1c-9)는 클램핑 전의 위치로 복귀한다. 클램프의 90°회전은 도 4c와 도 4d와 같이 크랭크와 실린더의 조합 및 로터리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계란을 비롯한 란을 담는 란좌를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포장물을 담는 대가 완성되면 도 5a의 포장물을 담는 장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1매의 새 포장지가 도 3의 접힘선 압력장치와 도 4a의 포장물을 담는 대 형성장치의 작업대의 정확한 위치에 공급되어 포장물을 담는 대를 형성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실시예로서, 도 7에서 란좌가 형성되어도 뚜껑부가 세워져 있지 않으므로 포장물을 대에 담게 되면 포장물의 보호를 위해 뚜껑을 결속시키게 되는데 이를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해 뚜껑을 적당히 세워야 하는데, 이는 컨베이어 벨트 1(1d-1)에 실려 란좌가 형성된 포장재가 컨베이어 벨트 2(1d-3)로 이동한다. 컨베이어 벨트 2에 설치된 뚜껑들림 가이드(1d-2)에 의해 뚜껑이 적당히 세워져서 포장물을 담는 위치에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표준 포장물을 담은 대(1d-5)로부터 상부에 설치된 진공 포장물 흡입기(1d-4)가 내려와 포장물을 흡입하고 골판지 포장재의 포장물을 담는 대의 상부로 이동하여 포장물 흡입기(1d-4)의 포장물이 대에 내려오면 진공이 해제되어 포장물이 자동으로 담기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로서, 도 7의 계란을 담는 골판지 포장재의 경우에는 30개들이 표준 란좌로부터 진공흡입기가 10개의 계란을 진공흡입하여 이동하여 골판지포장재로 형성된 10개들이 란좌에 내려놓고 진공을 해제하면 계란이 란좌에 담기게 되는 것이다. 골판지 포장재의 포장물을 담는 대에 포장물이 담기면 도 6a의 압력식 뚜껑결속장치나 도 6b의 테이핑방식 뚜껑 결속장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포장을 담는 대가 만들어진 포장재가 도 4a의 대 형성장치로부터 도 5a의 포장물을 담는 위치로 컨베이어 벨트 1(1d-1)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실시예로서, 도 7의 골판지 포장재를 이용한 계란의 포장에서 란좌에 계란이 담기면 컨베이어 벨트 2(1d-3)에 실려 뚜껑결속 동작이 일어나는 곳에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단계의 포장물을 담는 대가 형성된 포장재는 포장물을 담는 곳에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압력식 뚜껑결속은 도 7과 같이 결합돌기 2(2-21)와 결합홀 2(2-22)를 압력을 주어 결속시키는 방식으로 포장물이 담긴 대가 먼저 상부압력판(1e1-1)을 통과하고 다음으로 전면 압력판(1e1-2)을 통과하게 되면 결합돌기 2(2-21)가 결합홀 2(2-22)의 바로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결합홀 압력롤러(1e1-4)가 결합홀 2(2-22)에 압력을 줌과 동시에 상부에서 결합돌기 상부 압력판이 내려와 접힘면 B(2-10)의 우측단을 따라 압력을 주어 결합돌기 2(2-21)가 결합홀 2(2-22)에 결속되게 된다. 다른 방식으로 테이핑방식의 뚜껑의 결속은 테이핑 처리를 위하여 도 7에서 결합돌기 2(2-21)와 결합홀 2가 제거된 도 8과 같은 골판지 포장재의 뚜껑의 결속은 포장물이 담긴 대가 먼저 상부압력판(1e1-1)을 통과하고 다음으로 전면 압력판(1e1-2)을 통과하게 되면 접힘면 A(3-9)의 배면의 끝단이 접힘면 E면(3-13)의 배면의 반이 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측면에 위치한 테이핑 장치(1e2-4)가 도 8의 접힘면 A(3-9)의 배면의 하단부와 도 8의 접힘면 E(3-13)의 배면의 하단부를 지나가면서 테이핑하게 되면 뚜껑부의 결속이 완성된다. 이 뚜껑결속 동작의 완료와 동시에 전 단계의 포장물을 담는 동작도 완료되어 다시 도 4a의 포장물을 담는 대 형성장치로부터 대가 완성된 포장재가 도 5a의 포장물을 담는 장치로 이동되며, 동시에 대에 포장물이 담긴 포장재는 도 6a나 도 6b의 뚜껑 결속장치로 보내어지게 되는 것이다.
포장물의 안전한 보관이 가능하고 환경문제가 전혀 없고 재활용이 가능하고 광고효과도 뛰어난 골판지 포장재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나, 특히 골판지 포장재를 이용하여 계란을 비롯한 란을 포장하는 모든 공정은 오직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낮아서 생산비용이 많이 들고 대량생산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나 본 발명에서 제안한 골판지 포장재를 위한 자동포장기계장치는 이러한 문제를 단숨에 해결하여 생산비를 낮출 뿐만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영세한 란 또는 과일 생산업체에서도 본 발명을 이용하여 란 또는 과일의 생산 및 포장공정의 자동화를 통하여 상품성이 있는 제품을 생산하여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발명은 국내는 물론이고 세계최초이므로 본 발명의 자동포장 기계장치를 수출하여 외화를 벌어들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7)

  1. 도 2a의 절곡되지 않은 최초상태의 골판지 포장재의 공급장치, 도 3의 골판지 포장재가 접힘선을 따라 잘 절곡되도록 선택된 접힘선에 압력날을 이용하여 균등한 압력을 주는 장치, 도 4a의 골판지 포장재를 순차적인 접힘선을 따른 절곡과 포장물을 담는 대를 형성하는 면에 압력을 주어 포장물을 담는 대를 형성하는 장치, 도 5a의 형성된 포장물을 담는 대에 공급되어온 포장물을 대의 형상과 대에 담기는 포장물의 수 만큼을 취하여 대에 자동으로 담는 장치, 도 6a와 도 6b의 압력식 또는 테이핑방식의 뚜껑을 완전히 결속시켜 포장을 완성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골판지 포장재를 이용하여 포장물을 완전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는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
  2. 도 2a의 절곡되지 않은 최초상태의 골판지 포장재의 공급장치에서 포장재를 1매씩 진공 흡입기로 들어올려 도 3의 상하 피딩롤러에 공급하거나, 공급장치에 장착된 카트리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 피딩롤러에 의해 포장재를 1매씩 밀어내어 도 3의 피딩 상하롤러에 공급하며, 도 3의 피딩 상하롤러와 도 4a의 피딩상하롤러에 의해 골판재 포장재의 접힘선과 접힘면이 도 3과 도 4a의 작업대 상의 정확한 위치에 공급되어, 선택된 접힘선이 쉽게 절곡되도록 압력이 가해지고 동시에 포장물을 담는 대가 형성되도록 접힘선을 기준으로 선정된 위치를 절곡을 위해 클램핑하고 동시에 쉽게 절곡되도록 선택된 접힘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도 3과 도 4a의 정확한 위치에 골판지 포장재가, 도 3의 압력날이 내려와 선택된 접힘선에 압력을 가하여 절곡을 용이하게 하고 원위치하며, 동시에 도 4a에서 선택된 접힘선을 기준으로 선정된 위치를 클램핑하고 있는 클램프가 순차적인 절곡과 끼움돌기의 끼움홀에의 끼움동작과 결합돌기의 결합홀에의 결속동작을 통하여 포장물을 담는 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포장물을 담는 대가 형성되면 도 4a의 피딩롤러에 의해 도 5a의 포장물을 담는 장치로의 이동에 있어 뚜껑들림 가이드가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하여 적당하게 뚜껑부가 세워져서 포장물을 담는 정확한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도 2a의 골판지 포장재의 공급장치로부터 도 3의 피딩 상하롤러로 포장재 1매가 다시 피딩된다. 도 5a의 포장물을 담는 위치로 이송된 포장재의 포장물을 담는 대에 수작업으로 포장물을 담는 대의 모양과 포장물 수와 일치한 포장물 진공흡입기로 포장물을 흡입하여 대에 담고 포장재의 뚜껑을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포장물을 담는 곳에 포장재가 정확하게 위치하면 도 5a의 상부에 위치한 포장물을 담는 대의 형상과 포장물의 수와 일치한 포장물 진공흡입기가 공급되어온 포장물을 담는 대로 내려와 포장물을 취하여 다시 상부로 올라가 포장물을 담는 대의 위치로 이동하여 내려와 포장물을 대에 위치시키고 진공을 해제하여 포장물을 포장물을 담는 대에 정확하게 담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하며, 뚜껑을 결속시키는 과정만을 수작업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도 7의 포장재를 이용하여 포장물을 포장할 경우, 포장물이 포장물을 담는 대에 자동으로 담겨진후 도 6a와 같이 압력식으로 뚜껑을 결속시키는 장치로 이동하면서 상부 및 전면 압력판에 의해 뚜껑이 거의 닫힌 상태가 되어 뚜껑을 결속시키는 곳에 위치하면 후면, 전면의 결합홀을 결합홀 압력롤러로 누르고 상부의 포장재의 접힘면에 압력을 가하여 결합돌기를 결합홀에 결합되도록 하여 자동으로 뚜껑을 결속시켜 포장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도 8의 포장재를 이용하여 포장물을 포장할 경우, 포장물이 포장물을 담는대에 자동으로 담겨진 후 도 6b와 같이 테이핑방식으로 뚜껑을 결속시키는 장치로 이동하면서 상부 및 전면 압력판에 의해 뚜껑이 거의 닫힌 상태가 되어 뚜껑을 결속시키는 곳에 위치하면 측면의 테이핑 장치의 동작에 의해 뚜껑을 결속시켜 포장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
KR1020000046959A 2000-08-14 2000-08-14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 KR20020013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959A KR20020013657A (ko) 2000-08-14 2000-08-14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959A KR20020013657A (ko) 2000-08-14 2000-08-14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657A true KR20020013657A (ko) 2002-02-21

Family

ID=1968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959A KR20020013657A (ko) 2000-08-14 2000-08-14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36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98B1 (ko) * 2013-04-16 2014-01-06 (주)라이스코리아 자동포장장치
KR102050570B1 (ko) 2018-06-20 2020-01-08 유창수 달걀 포장용기 포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98B1 (ko) * 2013-04-16 2014-01-06 (주)라이스코리아 자동포장장치
KR102050570B1 (ko) 2018-06-20 2020-01-08 유창수 달걀 포장용기 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205730B (en) Method and machine for forming boxes of polygon cross section from plate material
KR101631097B1 (ko) 자동 박스 제함기
JPH08268408A (ja) 寸法の異なる物品の包装装置および包装方法
CN112339335A (zh) 一种包装纸盒成型设备
KR102211493B1 (ko) 포장상자용 골판지의 압착 장치
FI81540C (fi) Anordning foer inslagning och foerslutning av en bokfoerpackning.
JP2682501B2 (ja) 8角形の内筒で補強された包装箱の製函機
KR102212178B1 (ko) 포장상자용 골판지의 접착제 도포 장치
KR20020013657A (ko) 골판지 포장재의 자동포장기계장치
KR20090100128A (ko) 장류의 박스형 포장을 위한 비닐 실링 공급장치
CN211917849U (zh) 一种纸盒成型装置中的第一侧压机构
KR100231004B1 (ko)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
KR20070095284A (ko) 부착되는 내용물 유지 웨브를 갖는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블랭크 형성 장치 및 방법
US3507088A (en) Cartoner
KR101530542B1 (ko) 용기를 복수로 포장하는 멀티 포장기
JPH07223613A (ja) 箱製函装置
CN210102151U (zh) 一种适用于盒装饮料封装流水线的自动装箱装置
KR101352822B1 (ko) 티슈 포장장치
CN112777053B (zh) 一种用于缝纫机台板的自动封装打包捆扎系统
CN213533977U (zh) 一种成型机
CN219154872U (zh) 开槽纸盒打包装置
KR102500268B1 (ko) 자동 인라인 케이스 슬리브 포장시스템
CN210971718U (zh) 一种捆包机的进料装置
KR102135969B1 (ko) 제품포장장치
KR100418354B1 (ko) 부분적으로 포장이 형성된 골판지 포장재의자동포장기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