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349A -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349A
KR20020011349A KR1020010046559A KR20010046559A KR20020011349A KR 20020011349 A KR20020011349 A KR 20020011349A KR 1020010046559 A KR1020010046559 A KR 1020010046559A KR 20010046559 A KR20010046559 A KR 20010046559A KR 20020011349 A KR20020011349 A KR 20020011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switching
contact point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855B1 (ko
Inventor
히데유키 오타니
요스케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나가토시 다쯔미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토시 다쯔미,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가토시 다쯔미
Publication of KR2002001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3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elastic extensions of the terminal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절연부(41)가 제1 및 제2 전도형 접촉부(21,31)를 고정하여 서로 접촉 및 분리되는 커넥터에서, 제1 전도형 접촉부는 주 스프링부(22) 또는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시소동작을 하도록 절연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시소부를 포함한다. 작동부 또는 접촉부(26)는 주 스프링부의 한 단부에서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메이팅 접촉부(53)에 의해 작동되도록 형성된다. 접촉점(28)은 주 스프링부의 다른 단부에서 형성되고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제2 전도성 접촉부에 면한다.

Description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CONNECTOR WITH A SWITCHING FUNCTION}
본 발명은 스위치 기능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스위치 기능을 갖는 종래 커넥터가 기술된 것이다. 커넥터는 참조 번호(105)로 도시되고 전도형 스위칭 접촉부(111)와 전도형 스위칭 접촉부(111)를 고정하는 절연부(141)로 구성된다. 지금 설명되는방식에서는 스위칭 접촉부(111)가 제1 접촉부(121)와 제2 접촉부(131)로 구성된다.
제1 접촉부(121)는 그것의 한 단부에 제1 스위칭 접촉점(129)이 형성된 제1 스프링부(122)와 제1 스프링부(122)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 제1 고정부(128)로 구성된다. 제2 접촉부(131)는 그것의 한 단부에 제2 스위칭 접촉점(139)이 형성된 제2 스프링부(132)와 제2 스프링부(132)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 제2 고정부(138)를 포함한다. 절연부(141)는 스위칭 접촉부(111)를 받아들이고 고정하는 수용부(143), 절연부(141)의 앞면 벽부(141c)에 형성된 삽입 구멍(141a), 절연부의 뒷면에 형성된 접촉 삽입 구멍(141b)을 갖는다.
메이팅 커넥터(151)의 메이팅 접촉부(153)가 스위칭 접촉부(111)와 결합되지 않을 때 제1 스위칭 접촉점(129)은 제2 스위칭 접촉점(139)과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결합 될 때, 메이팅 접촉부(151)는 제1 스위칭 접촉점(129)이 메이팅 접촉부(153)와 접촉되도록 삽입 구멍(141a)을 통해 삽입된다. 이 경우에, 메이팅 접촉부(153)는 제1 및 제2 스위칭 접촉점들(129, 139) 사이에 삽입되어 제1 스프링부(122)를 아래방향으로 밀어 내린다. 결과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공간 또는 접촉점 갭(G2)이 제1 및 제2 접촉부들(121, 131) 사이에 생성된다. 메이팅 접촉부(153)가 제1 접촉부(121)와 접촉 상태에 있을 때, 전기 회로 접속이 스위칭된다.
그러나,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커넥션에 있어서, 접촉점 갭(G2)은 메이팅 접촉부(153)의 두께에 좌우된다. 따라서, 커넥터(105)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에, 접촉점 갭(G2)은 필연적으로 작아진다. 이것은 신뢰성을 감소시킨다. 게다가, 스위칭 접촉부(111)는 캔틸레버 모양을 갖는다. 그 결과, 스프링부들(122, 132)의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에, 삽입력은 커진다. 이것은 제1 및 제2 접촉부들(121, 131)의 심각한 마모를 유발한다.
예컨대, 유사한 형태의 커넥터들이 일본 특허 No. 2757125 와 일본 특허 공개 공보(A) No.H11-185890 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들은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은 유사한 단점들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신뢰도를 갖는 스위칭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해 넓은 접촉점 갭을 보장할 수 있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먼지 또는 그와 비슷한 물질들의 부착으로 인하여 부적당하거나 불충분한 전기 접속들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촉력과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 설명에 따라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스위칭 기능을 갖는 종래 기술의 커넥터 단면도이다.
도 2는 메이팅 커넥터(mating connector)가 커넥터에 결합될 때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커넥터 단면도이다.
도 3은 메이팅 커넥터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에서 제1 및 제2의 전도형 접촉부들의 투시도이다.
도 5는 메이팅 커넥터가 커넥터에 결합될 때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서로 접촉 및 분리되는 제1 및 제2 전도형 접촉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전도형 접촉부를 고정하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1 전도형 접촉부는 미리 결정된 방향에서 시소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절연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시소부,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에서 메이팅 접촉부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시소부의 한 단부에서 형성되는 작동부, 및 상기 시소부의 다른 단부에서 형성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에서 상기 제2 전도형 접촉부와 대면하는 접촉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로 하면, 커넥터는 참조 번호(5)로 도시되고 스위칭 기능을 갖는 스위칭 접촉부(11)와 절연부(41)로 구성된다. 스위칭 접촉부(11)는 제1 전도형 접촉부(21)와 제2 전도형 접촉부(31)를 포함한다.
제1 접촉부(21)는 주 스프링부 또는 1차 스프링부(22), 보조 스프링부 또는 2차 스프링 부(23), 주 스프링부(22)의 한 단부와 보조 스프링부(23)의 한 단부를 연결하는 굴곡부(24), 보조 스프링부(23)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 제1 고정부(29), 및 제1 고정부(29)에서 절연부(41)까지 연장되는 제1 단자부(30)를 포함한다. 제1 접촉부(21)는 전도성 단일판을 펀칭하고 구부림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주 스프링부(22), 보조 스프링부(23) 및 굴곡부(24)의 결합은 측면에서 볼 때 일반적으로 U자 형태의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굴곡부(24)에는 개방부(25)가 제공된다. 주 스프링부(22)는 그것의 한 단부에서 개방부(25)로 돌출하는 작동부 또는 접촉부(26), 주 스프링부(22)의 중간 위치에 형성된 받침부(27), 및 받침부(27)에서 주 스프링부의 다른 한 단부로 확장되어 후면부에 형성된 제1 스위칭 접촉점(28)을 포함한다. 받침부(27)에서 제1 스위칭 접촉점(28)까지의 길이는 받침부(27)에서 접촉부(26)까지의 길이보다 길다.
절연부(41)는 스위칭 접촉부(11)를 수용하고 고정하는 수용부(43), 개방부(25)의 앞면 벽부(41c)에 형성된 삽입 구멍(41a), 및 후면에 형성된 접촉 삽입 구멍(41b)을 포함한다. 주 스프링부(22)는 수용부(43)의 하나의 벽부(43a)와 대면해 있다. 보조 스프링부(23)는 하나의 벽부(43a)의 맞은편에 위치한 수용부(43)의 다른 벽부(43b)와 대면하고 있다. 제1 스위칭 접촉점(28)은 제1 고정부(29)와 대면하고 있다. 제1 고정부(29)는 다른 벽부(43b)에 의해 고정된다.
메이팅 커넥터(51)가 커넥터(5)에 결합할 때 개방부(25)는 메이팅 커넥터(51)의 메이팅 접촉부(53)가 굴곡부(24)의 외부로부터 주 스프링부(22) 및 보조 스프링부(23)사이의 영역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개방부(25)는 보조 스프링부(23) 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메이팅 커넥터(51)가 커넥터(5)에 결합될 때 접촉부(26)는 메이팅 접촉부(53)와 접촉 상태에 있게 된다. 그 결과, 한 벽부(43a)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메이팅 접촉부(53)에 의해 주 스프링부(22)와 보조 스프링부(23)는 공동으로 동시적으로 힘을 받는다.
받침부(27)는 하나의 벽부(43a)에 의해 지지된다. 받침부(27)에서 접촉부(26)까지 연장된 주 스프링부(22)의 앞부분은 한 벽부(43a)로부터 접촉부(26)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떨어지도록 기울어진다. 받침부(27)에서 다른 단부까지의 주 스프링부(22)의 후면 부분은 하나의 벽부(43a)를 따라 연장된다. 굴곡부(24)는 제1 방향(도 3에서, 받침부(27)에 대하여 시계반대 방향)으로 주 스프링부(22)에 압력을 가하여 제1 스위치 접촉부(28)가 이하에서 기술 될 제2 스위치 접촉부(38)와 접촉 상태에 있도록 한다. 주 스프링부(22)의 대부분은 받침부(27)에 대하여 미리 계산된 방향, 즉 제1 방향과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시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시소부로써 고려될 수도 있다.
제2 접촉부(31)는 평평한 모양의 제2 고정부(32), 고정 부재(33), 제2 스위칭 접촉점(38) 및 제2 단자부(39)를 포함한다. 제2 고정부(32)는 절연부(41)의 접촉 삽입 구멍(41b)을 통해 앞 벽부(41c) 방향으로 삽입되어 절연부(41)내에 부분적으로 끼워 맞추고 그로 인해 절연부(41)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 부재(33)는 제2 고정부(32)의 평판에서 수직으로 세워지고 절연부(41)에 의해 고정된다. 제2 스위칭 접촉점(38)은 미리 결정된 방향에서 제1 스위칭 접촉점(28)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 단자부(39)는 제2 스위칭 접촉점(38)으로부터 절연부(41)의 외부로 연장된다.
제2 스위칭 접촉점(38)은 한 벽부(43a)의 부근에 위치한다. 커넥터(5)가 메이팅 커넥터(51)에 결합되지 않을 때, 제1 스위칭 접촉점(28)과 제2 스위칭 접촉점(38)은 서로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언급된 구조의 스위칭 접촉부(11)는 커넥터(5)가 메이팅 커넥터(51)에부터 결합되고 분리될 때 턴온되고 턴오프된다.
다음에, 커넥터(5)와 메이팅 커넥터(51)의 결합 동작과 결합시 스위칭 접촉부(1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메이팅 커넥터(51)가 커넥터(5)에 결합되지 않을 때,제1 스위칭 접촉점(28)과 제2 스위칭 접촉점(38)은 서로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결합의 초기 단계에서, 메이팅 접촉부(53)는 삽입 구멍(41a)을 통과하여 개방부(25)에 삽입된다. 이 때, 메이팅 접촉부(53)는 제1 접촉부(21)의 접촉부(26)와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메이팅 접촉부(53)는 접촉부(26)에 대해 압력을 가해 상방향(도 5에서 화살표 A로 도시됨)으로 접촉부(26)를 재배치한다. 특히, 메이팅 접촉부(51)는 제2 방향(도 3에서 받침부(27)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접촉부(26)에 대해 압력을 가하여 주 스프링부(22)가 제2 방향에서 시소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주 스프링부(22)와 보조 스프링부(23)는 상방향으로 재배치된다. 그 결과, 제1 스위칭 접촉점(28)은 제2 스위칭 접촉점(38)에서 분리되도록 받침부(27) 주위의 레버 작용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도 5에서 화살표 B로 도시됨) 재배치된다.
결국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부(27)에서 접촉부(26)까지의 앞부분은 한 벽부(43a)를 따라 연장되도록 위치되는 반면에, 받침부(27)로부터 다른 단부까지의 후면 부분을 하나의 벽부(43a)에서 다른 단부로 점차 떨어지도록 기울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공간 또는 접촉점 갭(G1)이 제1 스위칭 접촉점(28)과 제2 스위칭 접촉점(38)사이에서 형성된다. 반면에, 메이팅 접촉부(53)는 제1 접촉부(21)의 접촉부(26)와 접촉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전기 회로 접촉은 초기 상태에서 스위칭 상태로 스위칭된다. 개방부(25)가 굴곡부(24)에서 보조 스프링부(23)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결합시 개방부(25)는 메이팅 접촉부(53)가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메이팅 접촉부(53)가 스위칭 접촉부(11)에서 떨어질 때, 주 스프링부(22)는 제1 방향에서 시소동작을 수행하여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스위칭 접촉점(28)이 제2 스위칭 접촉점(38)과 접촉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기 회로 접촉은 초기 상태로 회복된다.
상기 언급된 커넥터에서, 제1 스위칭 접촉점(28)과 제2 스위칭 접촉점(38)은 제1 접촉부(21)의 접촉부(26)와 메이팅 접촉부(51)의 접촉 위치에서 충분히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먼지나 그와 같은 물질의 부착으로 기인한 제1 스위칭 접촉점(28)과 제2 스위칭 접촉점(38) 사이의 부적절하거나 불충분한 접촉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개방부(25)는 결합시 메이팅 접촉부(21)가 팽창되도록 하기 때문에, 주 스프링부(22)와 보조 스프링부(23)사이에 큰 공통의 거리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1 접촉부(21)의 높이는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접촉점 갭(G1)은 받침부(27) 위치의 선택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접촉점 갭(G1)은 메이팅 접촉부(51)의 크기에 상관없이 결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스위칭 기능을 갖는 높은 신뢰도의 커넥터가 실현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메이팅 커넥터(51)가 커넥터(5)와 결합하지 않을 때 제1 스위칭 접촉점(28)과 제2 스위칭 접촉점(38)이 서로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었다. 메이팅 커넥터(51)가 커넥터(5)와 결합하지 않을 때 제1 스위칭 접촉점과 제2 스위칭 접촉점이 서로 접촉 상태를 유지하지 않도록 대안적인 스위칭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다.
주 스프링부(22)의 수직 방향으로 임의의 주어진 위치에서 받침부(27)의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접촉점 갭(G1)은 원하는 대로 조절될 수 있다. 제2 접촉부(31)는 전도형 얇은 판을 제1 접촉부(21)와 유사한 방법으로 펀칭하고 구부림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절연부(41)는 접지로 사용될 수 있는 얇은 금속박으로 덮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넓은 접촉점 갭을 보장하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여 높은 신뢰도를 갖는 스위칭 메커니즘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들은 먼지 또는 그와 비슷한 물질들의 부착으로 인하여 부적절하거나 불충분한 전기 접속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들은 접촉력과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8)

  1. 서로 접촉 및 분리되는 제1 및 제2 전도형 접촉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전도형 접촉부를 고정하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1 전도형 접촉부는
    미리 결정된 방향에서 시소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절연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시소부;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에서 메이팅 접촉부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시소부의 한 단부에서 형성되는 작동부; 및
    상기 시소부의 다른 단부에서 형성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에서 상기 제2 전도형 접촉부와 대면하는 접촉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부는 상기 접촉점이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의 제1 방향에서 상기 전도형 접촉부와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팅 접촉부는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에서 상기 작동부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팅 접촉부는 전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전도형 접촉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형 접촉부는 상기 시소부로서 역할을 하고 상기 수용부의 한 벽부와 대면하는 주 스프링부, 상기 한 벽부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수용부의 다른 벽부와 대면하는 보조 스프링부, 및 상기 주 스프링부의 한 단부와 보조 스프링부의 한 단부를 연결시키는 상기 굴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굴곡부는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부는 상기 굴곡부의 외부에서부터 상기 주 스프링부 및 상기 보조 스프링부 사이의 영역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메이팅 접촉부를 받아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 스프링부는 상기 작동부로서 작동하고 상기 주 스프링부의 한 단부에서부터 상기 개방부로 돌출하는 접촉부,
    상기 주 스프링부의 중간 위치에서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벽부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부, 및
    상기 접촉점으로써 작용을 하고 상기 받침부에서부터 다른 단부쪽으로 연장되는 제1 스위칭 접촉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도형 접촉부는 상기 제1 스위칭 접촉점과 대면하는 위치에서 형성된 제2 스위칭 접촉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형 접촉부는 상기 보조 스프링부의 다른 단부에 결합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다른 벽부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제1 스위칭 접촉점은 상기 고정부와 대면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접촉점은 상기 한 벽부 부근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접촉점은 상기 메이팅 접촉부가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지 않을 때 서로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보조 스프링부에서 상기 고정부쪽으로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
KR10-2001-0046559A 2000-08-01 2001-08-01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 KR100427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33434A JP3427377B2 (ja) 2000-08-01 2000-08-01 スイッチ機能付きコネクタ
JPJP-P-2000-00233434 2000-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349A true KR20020011349A (ko) 2002-02-08
KR100427855B1 KR100427855B1 (ko) 2004-04-27

Family

ID=1872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559A KR100427855B1 (ko) 2000-08-01 2001-08-01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78575B1 (ko)
JP (1) JP3427377B2 (ko)
KR (1) KR100427855B1 (ko)
CN (1) CN1149720C (ko)
AU (1) AU783927B2 (ko)
DE (1) DE6011050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30996A1 (en) * 2006-12-08 2008-06-1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safety device for household ovens
US9583898B2 (en) * 2014-12-30 2017-02-28 Gibson Brands, Inc. Multiple contact jack
DE102016111565B4 (de) * 2016-06-23 2020-02-06 HARTING Electronics GmbH Elektrisches Leiteranschluss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4385U (ja) * 1983-02-28 1984-09-08 株式会社ジヤルコ ジヤツク
JPS61186183U (ko) * 1985-05-13 1986-11-20
JPH024460Y2 (ko) * 1986-12-27 1990-02-01
FR2681733B1 (fr) * 1991-09-19 1993-12-10 Souriau Cie Contact femelle a palette elastique et palette pour un tel contact.
US5338215A (en) * 1993-03-19 1994-08-16 Molex Incorporated Jack assembly including a contact switching system
US5562486A (en) * 1993-04-21 1996-10-0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ock detection connector
JP3264311B2 (ja) * 1995-09-25 2002-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US5914846A (en) * 1997-05-06 1999-06-22 Tii Industries, Inc. Cable interconnection apparatus for network interface device
FR2766977B1 (fr) * 1997-08-04 1999-10-15 Seb Sa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appareil portatif
US6062885A (en) * 1999-04-23 2000-05-1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switch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83927B2 (en) 2005-12-22
DE60110507T2 (de) 2006-02-23
AU5429301A (en) 2002-02-07
EP1178575B1 (en) 2005-05-04
CN1149720C (zh) 2004-05-12
EP1178575A1 (en) 2002-02-06
DE60110507D1 (de) 2005-06-09
CN1335655A (zh) 2002-02-13
JP2002050439A (ja) 2002-02-15
KR100427855B1 (ko) 2004-04-27
JP3427377B2 (ja) 200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4349B2 (en) Connection terminal having at least two spring-force clamping connections
US3501599A (en) Electrical slide switch with prewired terminals
EP1507316B1 (en) Connection terminal
US7306494B2 (en) Connector
KR100846886B1 (ko) 스프링식 플러그 단자
US6558207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tamped electrical contacts with deformed sections for increased stiffness
JP2014207231A (ja) 導体接続端子
US3415962A (en) Miniature precision snap action switch with one-piece stressed blade construction
US10651571B2 (en) Metal leaf spring protection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KR20020045557A (ko) 이방향 변위를 나타내는 스위치
US6843688B2 (en)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KR100427855B1 (ko) 스위칭 기능을 갖는 커넥터
EP1014405B1 (en) Push switch
US6364717B1 (en) Audio jack with a controlled normal force for retaining a mating plug
JP3008650B2 (ja) 端子装置
KR100578673B1 (ko) 접촉력이 장기간 유지되는 커넥터
EP1363301A1 (en) Power-supply switch device with detection switch
JP6870662B2 (ja) 電線用接続器具及び電気機器
US20040238341A1 (en) Tact switch
CN1179385C (zh) 按钮开关
JP2020181716A (ja) 接続機器
CN217062591U (zh) 电气连接装置及相应连接器套件
JP7403924B2 (ja) 端子構造
JPH0720855Y2 (ja) 端子装置
KR200414489Y1 (ko) 안전장치를 갖춘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