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055A -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055A
KR20020011055A KR1020000044444A KR20000044444A KR20020011055A KR 20020011055 A KR20020011055 A KR 20020011055A KR 1020000044444 A KR1020000044444 A KR 1020000044444A KR 20000044444 A KR20000044444 A KR 20000044444A KR 20020011055 A KR20020011055 A KR 20020011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ding
internet
sale
securities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독고준
정승국
Original Assignee
독고준
주식회사 예스스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고준, 주식회사 예스스탁 filed Critical 독고준
Priority to KR102000004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1055A/ko
Publication of KR20020011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055A/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인터넷을 통해 증권을 매매하기 위한 방법의 발명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사용자가 임의로 변수와 지표들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또한 잘 알려진 지표들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으로 실시간 정보에 바탕을 둔 증권 매매 시점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자동으로 매매할 수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인터넷의 중계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증권 정보를 수신하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증권 매매 지표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임의로 데이터 변수들과 함수들 및 연산자의 조합을 통해 증권의 매매 시점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증권 정보를 상기 생성된 지표에 따라 매매의 시점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수는 데이터 변수이며, 상기 함수는 수학 함수와 제어 함수와 지표 함수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획득된 매매 시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계좌번호와 물량 값을 상기 인터넷을 통해 증권 거래소의 매매 서버로 전송하여 자동으로 매매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획득된 매매 시점을 알리는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표시된 알람 정보에 사용자의 매매 요구 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에 따른 매매 신호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입력된 매매 정보를 전송하여 매매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증권의 매매와, 매매 시점을 파악하기 위한 경우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 방법{METHOD FOR AUTOMATIC BUYING AND SELLING A STOCK BY USE OF INTERNET NETWORK}
본 발명은 증권 매매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이 매매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증권을 매매하는 방법은 개인이 직접 증권사를 찾아가서 증권 객장에 있는 중개인들을 통해 증권 매매를 위탁하거나 또는 소정의 중개 역할을 수행하는 증권사에 통장을 개설한 후 전화 등을 통해서 증권의 매매를 위탁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면서 일반인들의 증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문은 물론이고, 텔레비전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서 실시간의 증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현재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증권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도 있으며,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상의 증권 정보를 제공하는 각종 사이트에 접속하여 증권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필요한 특정의 종목에 대한 금액의 변동을 수신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방법들을 통해 증권사 등에서 추천하는 종목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방법을 이용할 경우라 할지라도 사용자가 매매를 하고자 하는경우에는 직접 증권사를 찾아가서 중개인을 통해 매매를 위탁하거나 또는 증권사를 통해 위탁을 해야만 증권의 매매가 이루어졌다. 또한 개인들은 증권에 대하여 잘 모르는 경우가 많으며, 증권의 시세의 변동에 대하여 매도 시점과 매수 시점을 알기 어려운 문제 있다. 이는 증권의 매도 및 매수를 알기 위한 많은 지표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전문가나 이에 대한 충분한 공부를 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매우 어려운 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인 투자가들은 증권사에서 추천하는 종목에 대하여 투자를 하거나 또는 자신이 잘 알고 있는 증권의 종목에 대하여 투자를 행하여 왔다.
하지만 상기한 경우라도 개인 투자가들은 매수 및 매도 시점을 결정하지 못하여 큰 손해를 보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이에 따라 커다란 자본금으로 움직이는 기관 투자가들이란 전문가들을 통해 증권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들은 현재의 증권 가격을 정확히 파악하고, 현재의 시점이 매수 시점인지 아니면 매도 시점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기를 원하게 되었으며, 이를 손쉽게 알아봄은 물론이고, 전문 투자가들이 계산하는 많은 지표들을 직접 확인할 수 있기를 원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시기 적절한 투자를 하기를 원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개인 투자가들에게 증권의 자동 매매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확한 투자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시기 적절한 매매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투자자들에게 투자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시기 적절한 투자를 수행하며, 이를 수행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넷의 중계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증권 정보를 수신하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증권 매매 지표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임의로 데이터 변수들과 함수들 및 연산자의 조합을 통해 증권의 매매 시점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증권 정보를 상기 생성된 지표에 따라 매매의 시점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수는 데이터 변수이며, 상기 함수는 수학 함수와 제어 함수와 지표 함수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획득된 매매 시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계좌번호와 물량 값을 상기 인터넷을 통해 증권 거래소의 매매 서버로 전송하여 자동으로 매매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획득된 매매 시점을 알리는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알람 정보에 사용자의 매매 요구 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에 따른 매매 신호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입력된 매매 정보를 전송하여 매매를 수행하는 과정을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 구성된 개인 컴퓨터와 중계 시스템 및 증권 거래소에 위치한 매매 시스템간의 연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인용 컴퓨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시스템의 필수적인 내부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에서 트레이딩 시스템의 각종 설정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트레이딩 시스템의 구동 시 도시되는 초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제어 흐름도 중에서 관심 종목 변경을 수행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심 종목의 창이 생성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트레이딩 시스템 구동의 데이터 설정 시에 주문/체결 변경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식의 주문/체결 시에 활성화되는 영역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선물/옵션에 따른 주문/체결 시에 활성화되는 영역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새로운 지표를 설정하거나 또는 지표의 속성을 변경시의 제어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식 관리자 창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공식 관리자에서 새로운 지표 생성시 지표명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창을 도시한 도면,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지표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창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권 자동 매매를 설정하는 트레이딩 변경 시의 제어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트레이딩의 매매 설정을 위한 창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증권의 자동 매매 또는 경보 알람 등의 트레이딩 시스템 구동 시의 제어 흐름도,
도 18은 시스템 트레이딩 설정이 신호 발생 시 알람으로 설정된 경우에 매매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표시창,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동 매매 또는 알람 표시에 의한 매매 수행 시 수익률의 결과를 표시하는 창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부분은 비록 다른 도면에 도시되더라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표란 의미는 증권 분석을 위한 기술적 분석 방법, 일반 수식에 의한 범위를 설정하는 것 및 사용자 임의의 수식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 구성된 개인 컴퓨터와 중계 시스템 및 증권 거래소에 위치한 매매 시스템간의 연결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들의 동작 및 망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개인용 컴퓨터(100)는 인터넷망(10)을 통해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내장 또는 보조 기억장치 등에 설치하여 구동한다. 보조 기억장치(도 1에 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증권의 자동 매매 또는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내용은 후술되는 제어 흐름도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중계 시스템(20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데이터를 제공하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매수 또는 매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고, 매도 및 매수 신호에 따른 매매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증권 거래소에 위치하는 매매 시스템(300)으로 전달한다. 이때 개인용 컴퓨터(100)와는 인터넷망(10)을 통해 연결되며, 증권 거래소의 매매 시스템(300)과는 인터넷망(10) 또는 전용선을 통해 연결된다. 증권 거래소의 매매 시스템(300)은 중계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된 매도 또는 매수 신호에 따라 등록된 개인용 통장 등의 금융 결재 수단을 통해 요구된 주식의 매매를 수행한 후 이에 따른 금액을 정산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인용 컴퓨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인용 컴퓨터의 각 블록들의 동작 및 그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11)는 개인용 컴퓨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트레이딩 데이터의 갱신 및 설정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설정된 데이터에 따른 매매를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12)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여질 그래픽을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며, 이를 수신한 모니터(113)는 수신된 데이터를 그래픽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진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4)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 등의 사용자 입력수단과 연결되며,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부(111)로 제공한다. 램(115)는 제어부(111)에서 제어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거나 또는 제어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롬(116)은 제어부(111)에서 초기 동작 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초기 전원 투입 시에 데이터를 제어부(111)로 제공한다. 보조 기억장치(117)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및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딩(Trading)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와 트레이딩을 위해 설정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통신부(118)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인터넷망(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랜(LAN) 카드 또는 모뎀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매 시스템의 필수적인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매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내부 구성 및 그 구성들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3에서는 중계 시스템(200)과 증권 거래소의 매매 시스템(300)의 연결이 전용선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제어부(211)는 인터넷상에서 홈페이지 등의 데이터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100)로 트레이딩 데이터를 제공하며, 동시에 실시간으로 증권 정보의 제공 및 매매 신호 수신시에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인터넷 접속부(212)는 인터넷망(10)과 접속되며, 시스템 제어부(211)의 제어에 의해 인터넷망(10)의 해당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매매 관리부(213)는 시스템 제어부(211)로부터 매매 신호 수신시 상기 수신된 매매신호를 증권 거래소의 매매 시스템(300)으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의 제어를 수행하며, 동시에 매매 수행 요구 데이터와 그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전용선 연결부(214)는 증권 거래소의 매매 시스템(300)과 중계 시스템(200)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소정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공 데이터 베이스(215)는 시스템 제어부(211)에서 홈페이지 형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게시판 데이터 증권 현황 데이터 등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딩 프로그램의 설치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등록자 데이터 베이스(216)는 증권 거래소의 매매 시스템(300)을 통해 증권의 매매가 가능한 사용자들과 그렇지 않은 사용자들을 구분하여 저장하며, 각 사용자마다의 로그인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고 있다. 매매 기록 데이터 베이스(217)는 매매 관리부(214)의 제어에 의해 매매 수행 요구 데이터와 그에 따른 결과 데이터 및 매매를 요구한 사용자의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100)는 상기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중계 시스템(200)에서 프로그램을 로딩 받거나 또는 개별의 플로피 디스크 또는 CD-ROM 등을 사용하여 트레이딩 데이터를 세팅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가 세팅되는 과정은 일반적인 과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에서 트레이딩 시스템의 각종 설정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에서 트레이딩 시스템을 설정하는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11)는 4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대기상태는 사용자의 키 입력 등을 대기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14)로부터 소정의 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1)는 402단계로 진행하여 트레이딩 시스템인 자동 매매 시스템의 구동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자동 매매 시스템의 구동이 요구된 경우 4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404단계로 진행하여 해당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406단계로 진행하면 보조기억장치(117)에 저장된 트레이딩 프로그램을 읽어와 램(115)에 구동을 위한 데이터를 로딩하며, 이를 통해 트레이딩 타스크의 구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딩 시스템의 초기 화면을 상기 그래픽 처리부(112)를 제어하여 모니터(113) 상에 표시한다. 이때 표시되는 바를일 예로서 도시하면 도 5와 같이 도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트레이딩 시스템의 구동 시 도시되는 초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초기 화면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표시되는 내용은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표시되며, 윈도우용으로 구현한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현된 각 부분에 대하여 살펴본다.
기본 메뉴(21)에는 파일의 메뉴가 있다. 상기 파일의 메뉴는 챠트, 주문 창의 생성과 작업공간 관리(생성, 삭제 등), 프린트와 관련된 메뉴가 있다. 기본 메뉴(21)에 있는 보기에는 각종 툴바의 생성과 삭제를 설정한다. 또한 적용에는 선택 창 또는 특정 개체를 선택하여 차트 창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포맷은 활성화된 차트 창의 정보와 바탕을 변경할 수 있으며, 도구에는 각종 수식관리 및 관심종목 관리한다. 또한 창에는 현재 그룹 창들의 정렬 및 활성화를 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도움말은 도움말이나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딩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다.
다음은 기본 도구모음(22)을 살펴본다. 기본 도구 모음(22)에는 아이콘 형식으로 상기 기본 메뉴에 존재하는 데이터 또는 그 밖의 데이터들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관심 종목 창(23)에는 사용자기 미리 설정한 관심 종목에 대한 매도, 매수, 고가, 저가, 거래량 등의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표시한다. 보조 도구 모음(29)영역에는 상기 기본 도구 모음(22)에 구비되어 있지 않는 다른 값들을 변경하기 위한 아이콘을 구비하고 있으며, 현재가 창(28)에는 선택된 종목의 현재가를 표시한다. 그리고 차트 창(24)에는 선택된 종목에 대한 매도, 매수 신용 등의 데이터를 그래프로 도시하며, 이를 구비하는 창은 주문 체결 창(27)이 된다. 또한 티커 창(28)에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시장이 표시되며, 상태 표시 줄(25)에는 윈도우에서 제공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그 외의 더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흐름도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5는 이미 데이터가 어느 정도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최초 구동 시에는 상기한 모든 창에 데이터들이 기록되지 않는 상태로 구동된다.
그러면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제어 흐름도를 계속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406단계에서 트레이딩 타스크를 구동하여 표시한 후 4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4)를 통해서 상기 기본 메뉴(21) 또는 기본 도구 모음(22) 등의 소정 영역들 중 관심종목 변경의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관심 종목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41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4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410단계로 진행하면 관심 종목의 변경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관심 종목의 변경 과정은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412단계로 진행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14)를 통해서 상기 기본 메뉴(21) 또는 기본 도구 모음(22) 등의 소정 영역들 중 주문/체결 변경을 요구하는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주문/체결 변경을 요구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414단계로 진행하여 주문 체결 변경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주문/체결 변경에 따른 제어의 과정은 후술되는 도 8 내지 도 10을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와 달리 상기 412단계에서 416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제어부(1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4)를 통해서 상기 기본 메뉴(21) 또는 기본 도구 모음(22) 등의 소정 영역들 중 지표 속성의 변경을 요구하는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지표 속성의 변경을 요구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41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4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418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지표 속성의 변경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지표 속성을 변경하는 과정은 후술되는 도 11 내지 도 14e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416단계에서 420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제어부(1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4)를 통해서 상기 기본 메뉴(21) 또는 기본 도구 모음(22) 등의 소정 영역들 중 시스템 트레이딩 변경의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트레이딩 변경을 요구하는 경우 422단계로 진행하여 트레이딩의 값들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트레이딩의 변경에 따른 제어 과정은 후술되는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살피기로 한다.
도 6은 상기 도 4의 제어 흐름도 중에서 관심 종목 변경을 수행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100)에서 설정되는 관심종목 데이터의 변경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410a단계에서 관심 종목의 창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창의 생성은 상기 보조 기억장치(117)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며, 이때 데이터는 램(115)으로 로딩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데이터는 그래픽처리부(112)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되며, 상기 변환된 데이터는 모니터(113)를 이용하여 도 7의 실시 예와 같이 도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심 종목의 창이 생성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관심종목에 대한 내용을 설명한다. 관심 종목의 창은 '관심 종목 관리자' 타스크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생성된 창에는 관심그룹(35), 종목 종류(36), 선택 종목(37), 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코드 및 종목 창(38)과 검색 창(39)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종목 종류(36)에는 주식, 선물, 옵션, 지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 종목(37)의 창에서는 전체, KOSPI, KOSDAQ, 제3시장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종목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상기 코드 및 종목 창(38)에 도시된다. 그리고 그 옆에 도시된 추가 삽입 등의 선택을 통해 이를 추가하거나 삽입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7과 같은 창이 도시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1)는 보조 기억장치(117)에 저장되어 있는 선택 종목 및 그룹의 데이터를 이용하며, 종목에 대한 종목 및 그에 따른 코드의 데이터 또한 보조 기억장치(117)에 저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다른 방법으로 통신부(118)를 통해 인터넷망(10)을 통해 중계 시스템(200)으로부터 로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6에서는 상기한 데이터가 인터넷망(10)을 통해 중계 시스템(200)으로부터 로딩되는 바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111)는 이와 같이 로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창을 표시한 이후에 410c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키입력을 수신하며 선택신호를 대기한다. 이와 같은 대기는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입력되는 데이터는 계속적으로 입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선택은 종목 종류의 선택이 될 수도 있으며, 검색 창을 통한 종목의 검색이 될 수도 있고, 코드를 선택하거나 종목의 이름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410d단계의 검사결과 선택이 이루어지면, 해당 종목의 등록이 요구되는 경우 410e단계에서 해당 종목을 등록하고, 410f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0f단계에서는 관심 종목 변경이 종료 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이러한 키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14)로부터 상기 제어부(111)로 수신된다. 만일 관심 종목 변경 종료 키가 입력되는 경우 410g단계로 진행하여 신규 데이터로 갱신을 수행하고, 이를 표시한 후 상기한 루틴을 종료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트레이딩 시스템 구동의 데이터 설정 시에 주문/체결 변경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문/체결 변경 시의 제어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주문/체결의 구동이 요구되면 이에 따른 데이터를 보조 기억장치(117)로부터 읽어와 로딩하고, 상기 로딩한 데이터를 램(115)에 임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로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문/체결 창을 활성화시킨다. 이와 같이 활성화된 상태를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식의 주문/체결 시에 활성화되는 영역의 일부를 도시하였고, 도 10은 선물/옵션에 따른 주문/체결 시에 활성화되는 영역의 일부를 도시하였다. 그러면 먼저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이에 대한 부분을 설명한다.
상기한 부분들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영역들 중에서 기본 메뉴(21) 또는 기본 도구 모음(22)에 해당하는 영역이 선택되면 생성된다. 상기 도 9와 같이 주문 창이 이미 생성이 되어 있으면 기존의 주문 창이 상위 화면으로 보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식이 선택된 경우에 매도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주문/체결의 창은 주식과 선물/옵션을 선택하기 위한 상위 선택 영역(31)과 매도, 매수, 신용, 정정, 취소 등의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하위 선택 영역(32)과 상기 하위 선택 영역에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창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른 종목의 코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종목 코드를 도시하기 위한 조회 영역(33)이 구비된다. 이를 더 상술하면 상기 하위 영역에는 사용자에 ID에 연관된 계좌번호가 도시되는 영역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영역, 그리고 조회가 요구되는 경우에 계좌의 조회를 수행하여 이를 표시하는 조회 영역(33)이 구성된다. 이때 조회되는 사항은 잔고의 내역이 된다. 이를 통해 소정의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창에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1)는 이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신부(118)을 통해 중계 시스템(200)으로 전달한다. 이때 전달되는 사항은 사용자 코드와 비밀번호 계좌번호 및 매매 종목과 거래량의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 후에 보여지는 정보는 하기와 같다.
매도 : 잔고 내역
매수 : 예 수 금
신용 : 신용 잔고 내역
정정/취소 : 주문/체결 내역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사항을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사항 또한 상기 도 9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단지 거래의 대상이 선물/옵션이라는 점만 다를 뿐이다. 따라서 동일한 영역에서는 모두 동일한 내용을 도시하게 된다. 또한 각 주문이 이루어진 후에 하단에 도시되는 정보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매도/매수 : 예탁금, 주문 가능금액
환매/전매 : 미결제 약정 내역
정정/취소 : 주문/체결 내역
다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문 체결의 창이 활성화되면 상기 도 9의 창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이후에 매도가 선택되는가를 검사한다. 다른 영역들 또한 동일하므로 도 8에서는 주식의 매도의 관점에서만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매도가 선택되면 414d단계로 진행하여 매도 페이지를 활성화한다. 그리고 414e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통해 데이터를 변경한다. 그리고 414f단계로 진행하여 설정 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설정 키가 입력되는 경우 414g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매도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변환되는 데이터의 형식은 사용자 아이디, 비밀번호, 매도 종목 및 거래량에 따른 데이터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매도를 수행하고 상기 주문/체결 변경의 루틴을 종료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새로운 지표를 설정하거나 또는 지표의 속성을 변경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공식 관리자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보조 기억장치(117)로부터 로딩하고, 이를 창의 형식으로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창은 도 12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식 관리자 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러면 도 12를 참조하여 공식 관리자 창을 먼저 설명한다.
먼저 공식 관리자의 수행은 상술된 도 4의 흐름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기본 메뉴(21) 또는 기본 도구 모음(22)에서 해당하는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공식 관리자는 수행된다. 그리고 지표를 추가할 경우
①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눌러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표 명을 생성하게 된다.
② 편집 버튼을 이용하여 선택된 지표를 편집할 수 있다.
③ 복사 버튼을 이용하여 선택된 지표를 다른 이름으로 복사할 수 있다.
④ 이름 바꾸기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지표를 이름만 변경할 수도 있다.
⑤ 삭제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되어 있는 지표를 삭제한다.
이때 사용되는 지표는 사용자가 임의로 생성한 지표가 될 수도 있으며, 이미 잘 알려진 지표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잘 알려진 지표 몇 가지를 예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 지수 이동평균 : 기술적 지표 중 이동평균선은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단순히 과거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를 평균함으로써 후행성(Time Lag)이라는 큰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동평균 시 최근 주가 움직임에 보다 큰 가중치를 두는 방법이 지수이동평균이다. 지수 이동평균선을 해석하는 방법은 이동평균선을 해석하는 방법과 동일하며, 이 지표를 발전시킨 지표로는 MACD, TRIX 등이 있다.
2. CCI(Commodity Channel Index) : CCI는 주가 평균과 주가 사이의 편차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CCI 값이 높으면 현재 주가가 주가 평균과 비교하여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값이 낮으면 현재 주가가 주가 평균과 비교하여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피면 0선을 기준으로 CCI가 상향 돌파하면 강세 신호로 인식하여 매수 시점으로 판단하고 하향 돌파하면 약세 신호로 인식하여 매도 시점으로 판단한다. CCI는 보통 ±1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100 이상인 경우에는 과도 매수 상태로 판단하며, -100 이하인 경우에는 과도 매도 상태로 볼 수 있다. CCI 값이 추세와 주가 추세를 서로 비교하여 만약에 Divergence가 발생하면 주가는 CCI 값의 추세대로 움직인다고 판단한다.
3. TRIX : 종가에 대하여 지수 이동평균을 세 번 구한 후 이 값의 상승률을 이용하여 매매 시점을 포착하는 지표이다. TRIX가 방향을 바꿀 때, 즉 상승 반전될 때 매수 신호, 하락 반전될 때 매도 신호를 의미한다. TRIX의 이동 평균(Signal)을 구하여 TRIX가 signal 선을 상향 돌파하는 순간이 매수 시점, 하향 돌파하는 순간이 매도 시점이 된다. TRIX와 주가 추세 사이에서 Divergence가 발생하면 곧 주가 추세의 변환이 일어난다.
또한 새로운 지표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 즉 새로 만들기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 13과 같이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할 지표의 명칭을 입력하는 창을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공식 관리자에서 새로운 지표 생성시 지표명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러면 다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서는 새로 만들기를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도시된 제어 흐름도이다. 따라서 도 12와 같이 공식 관리자가 생성된 경우 상기 공식 관리자의 창이 도시되는 경우에 418b단계에서 새로 만들기가 생성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새로 만들기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즉 편집, 복사, 이름바꾸기 등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1)는 418c단계로 진행하여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새로 만들기가 선택되면, 418d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지표명을 입력하는 입력창을 표시한다. 상기 입력창은 도 13의 설명과 같이 명칭을 입력하기 위한 창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1)는 입력창에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키 신호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14)로부터 수신하여 명칭을 수신하면서 418e단계로 진행하여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418f단계로 진행하여 지표 편집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지표 편집에 따른 제어는 도 14a 내지 도 14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지표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창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럼 도 14a 내지 도 14e를 참조하여 지표를 편집하는 과정 및 그에 따른 식의 생성 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지표 식을 입력하는 경우부터 살펴본다. 지표 식에는 차트 이름을 입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지표 식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지표 식은 기존의 식들을 참조하여 변형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작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되는 식을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수식을 작성하는 데는 특화된 함수들을 이용하여 수식을 만든다. 우선 함수의 종류에는 데이터 변수를 얻기 위한 함수, 수학함수, 연산자 함수, 제어함수, 지표함수가 있다. 그러면 이를 10일 이동 평균 수식을 예로 설명한다.
이동 평균을 표시하는 수식은 지표 함수의 ma(value, period) 함수이다. 적용하는 값(value)을 종가로 할 경우 종가의 표현은 데이터 변수의 close 또는 C가 된다. 이를 구현할 경우 대소 문자를 구분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대소문자는 구분하지 않도록 설명한다. 또한 period는 10이 된다. 결과적으로 10일 이동 평균은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
ma(close,10), ma(C,10)
그러면 다시 ATR(Average True Range) 수식을 예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럼 일반적인 ATR 공식은 하기와 같이 표기된다.
A = (금일의 고가 - 금일의 저가)
B = (전일의 종가 - 금일의 고가)의 절대값
C = (전일의 종가 - 금일의 저가)의 절대값
True Range = A,B,C중 가장 큰 값
ATR = True Range의 N일간의 이동평균
상기한 공식을 본 발명에 따른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우선 A를 구하는 수식 표현은 금일의 고가는 high, 또는 H로 표기하고 금일의 저가는 low 또는 L로 표기한다. 그럼 A의 수식 표현은, A = (high-low) 또는 (H-L)로 표현된다.
그리고 B의 표현은 전일의 종가 close(1) 또는 C(1)로 표기하며, 여기서 가로 안의 숫자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데이터와 현재까지의 차를 의미한다. 그리고 절대값의 표현은 abs(n)이 된다. 이를 적용하면 B의 수식 표현은, B = abs(close(1)-high) 또는 abs(C(1)-H)로 표현되며, C의 수식 표현은, C = abs(close(1)-low), abs(C(1)-L)가 된다. 따라서 True Range는 A, B, C중 가장 큰 값이 되므로 표현은 max(A,B,C)로 표현된다. 또한 이동평균 함수는 ma()이므로 ATR의 표현은 다음과 같다.
ATR = ma(max( H-L, abs(C(1)-H), abs(C(1)-L)), N)
마지막으로 양봉 n일 연속에 대하여 더 살펴본다. 양봉이란 종가가 시가보다 큰 종목을 의미한다. 수식에서 종가는 close 또는 C이고, 시가는 open 또는 O로 표시한다. 따라서 오늘 양봉 발생 종목을 찾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이 수식을 입력하면 된다.
if( C > O, 1, 0)
상기 식을 풀어보면 종가(C)가 시가(O)보다 크면 참(1), 그렇지 않으면 거짓(0)이 되는 것이다. 참과 거짓의 정의는 0이면 거짓이고, 그 이외의 값이면 모두 참으로 처리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더 부연하여 상기 조건식에 한가지 조건을 더 첨부하여 다시 조건식에 한가지 조건을 첨부하여, 오늘과 어제 모두 양봉인 종목을 찾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if( C > O && C(1) > O(1), 1, 0)
즉, 최종일의 종가(C)가 시가(O)보다 크고, 전일종가(C(1))도 전일시가(O(1))보다 큰 종목을 찾는 식이 된다. 여기서 C 또는 C(0)는 최종일 종가가 되고, C(1)은 전일 종가, C(2)는 2일전 종가를 뜻합니다. 그리고 조건식 두개를 연결할 때 "&&" 표시는 집합으로 말하면 교집합, 즉 모두를 만족하는 조건이고, "||" 표시는 합집합, 즉 양쪽 조건 중 하나만 만족하면 되는 조건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임의의 식을 작성할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의 변수에 대하여 이를 표로 도시하면 하기 <표 1>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변수명 의미 사용 예 단축 이름
Open 시가 open(n) : n일전 시가 O, O(n)
High 고가 High(n) : n일전 고가 H, H(n)
Low 저가 low(n) : n일전 저가 L, L(n)
Close 종가 close(n) : n일전 종가 C, C(n)
Volume 거래량 volume(n) : n일전 거래량 V, V(n)
Money 거래대금 money(n) : n일전 거래대금 M, M(n)
openinterest 미결제약정 openintreset(n) : n일전 미결제약정
이하 상기 표 1의 변수들을 데이터 변수라 칭한다. 그리고 수학 함수를 표로 도시하면 하기 <표 2>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함수명 의미 사용 예
abs 절대치 abs(n) : n의 절대치
avg 평균 avg(n1, n2,...) : n1, n2, ...의 평균
cos cosine cos(n) : n의 cosine (n은 radian)
sin sine sin(n) : n의 sine (n은 radian)
tan tangent tan(n) : n의 tangent (n은 radian)
log 자연로그 log(n) : n의 자연로그
log10 상용로그 log10(n) : n의 상용로그
max 최대값 max(n1, n2,...) : n1, n2,...의 최대값
min 최소값 min(n1, n2,...) : n1, n2,...의 최소값
pie π 3.141592
pow 누승 pow(n,m) :n의 m승
sqrt 제곱근 sqrt(n) : n의 제곱근
std 표준편차 std(n) : n개의 표준편차
stdP 이전 표준편차 stdP(n,m) : m개 이전 n개의 표준편차
이하에서 상기 <표 2>의 함수들을 수학 함수라 칭한다. 그리고 다음으로 연산자를 표로 도시하면 하기 표 3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연산자 표시 의미
add + 더하기
subt - 빼기
mult * 곱하기
div / 나눈 몫
mod % 나눈 나머지
not ! 부정
and && 논리곱
or | | 논리합
pow ^ 누승
eq = 같음
neq != 같지 않다
gt > 크다
lt < 작다
geq >= 크거나 같다
leq <= 작거나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표 3>을 연산자들이라 칭한다. 그러면 다음으로 지표 함수에 대하여 하기 <표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함수명 의미 사용 예
accum 누적값 accum(close) : 종가를 누적한다.
AccumN 특정기간 중의 누적값 accumN(close, 10) : 10일간의종가를 누적
ema 지수(exponential) 이동평균값 ema(close, 10) : 10일간 종가의지수이동평균
emaP n일전 지수 이동평균값 emaP(close,7,5) : 5일전의 7일간종가의 지수이동평균
highest 특정기간 중의 가장 높은가격 highest(close,10) : 10일간 가장높은 종가
lowest 특정기간 중의 가장 낮은가격 lowest(low,10) : 10일간 가장낮은 저가
ma 특정기간 중의 단순이동평균 ma(close,15) : 15일간 종가의단순이동평균
maP n일전 몇일 간의 단순이동평균 maP(close,5,7) : 7일전의 5일간 종가의 단순이동평균
NVI() Negative Volume Index NVI()
PVI() Positive Volume Index PVI()
이하에서 상기 <표 4>에 도시된 함수들을 지표 함수라 칭한다. 이와 같은 함수들과 변수 및 연산자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수학식을 생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함수들을 조건들을 사용하기 위한 함수들이 사용되며 이러한 함수를 표로 도시하면 하기 <표 5>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표시 의미
IF(조건식, trueRet, falseRet) 조건식이 참이면 treuRet 값을조건식이 거짓이면 falseRet 값을 리턴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표 5>를 제어 함수라 칭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 함수가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if(close>close(1), max(close(10, high), min(close(10, low))
상기한 제어 함수는 전일 종가보다 당일 종가가 크면 전일 종가와 당일고가 중에서 큰 값을 리턴하고, 그 반대이면 전일 종가와 당일 저가 중에서 작은 값을 리턴하도록 구성된 제어 함수의 식이 된다.
다음으로 기준선 이름을 입력한다. 이는 지표에서 사용할 기준선의 이름을 기입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빈 공간으로 두고 값을 입력하면 기본으로 이름을 기입하도록 구성하였다. 기준선 우측의 기본값은 기준선의 값을 기입하는 칸이 된다. 또한 보안설정은 사용자가 만든 지표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며, 보안이 설정된 지표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만 편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함수 붙여 넣기는 기본으로 제공하는 함수 예를 들어 데이터 변수, 수학함수, 연산자 등을 보여 준다. 상기한 과정을 마치면 지표식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지표식와 완료되면 다음 변수를 입력해야 한다. 변수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 1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변수에는 변수 이름을 입력하고, 지표식에서 사용한 변수의 이름을 기입하는 것이다. 지표식과 변수의 명은 항상 일치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변수 이름의 우측에 칸은 기본 값을 입력하는 칸으로 변수의 이름에 대입할 값들을 적용하는 부분이다. 이를 통해 변수를 모두 입력하면, 차트를 표시하는 분으로 이동한다.
도 14c를 참조하여 차트를 표시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차트를 표시하는 부분에서는 차트를 선택한다. 즉, 지표식에서 입력한 차트 이름과 기준선 이름이 여기에 보여지며, 각 차트의 이름과 기준선을 선택하면 표시형식을 보여주게 된다. 그리고 표시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종류에 따라 선, 막대, 점 색상 등으로 표시된다. 이를 수행한 후 Y축 표시를 입력한다.
Y축 입력은 도 14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Y축 표시에서 전체, 화면 및 가격의 표시를 함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사용자가 최대 값과, 최소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설명에서는 도 1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의 지표식에 대한 설명을 사용자가 임의로 작성하여 기입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권 자동 매매를 설정하는 트레이딩 변경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권 자동 매매를 설정하기 위한 트레이딩 변경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시스템 트레이딩 창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보조기억장치(117)로부터 읽어와 창을 활성화시킨다. 이때 활성화되는 창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트레이딩 시스템에서 매매를 위한 수량을 기입하는 칸과, 매매가격을 결정하는 칸이 있다. 그리고 매매 신호가 발생할 경우 처리하는 칸은 시험 적용을 수행하는 칸과 신호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칸 그리고 자동 주문을 수행하는 칸으로 구분된다. 시험적용은 단지 시험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매매 신호가 발생할 경우 가상 매매를 수행한 후 이에 대한 계산만을 수행하는 것만을 의미하며, 신호 발생시 경보가 설정되면 매매 신호가 발생할 경우마다 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한다. 즉, 상기 도 11과 같은 과정을 통해 지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지표에 따른 매매의 신호가 발생할 경우 이에 따른 매매 신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된다. 그리고 자동 주문의 경우는 사용자가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를 미리 입력하여 저장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매매 신호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주문을 수행한다. 즉, 경보를 알리지 않고 즉시 매매를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트레이딩 포지션은 매도, 매도 청산만 또는 매수, 매수 청산만 또는 매도, 매도 청산과 매수, 매수청산을 모두 수행하는 것으로 매매 방식을 설정하는 것이며, 강제청산의 경우는 손실 또는 수익이 미리 설정된 일정 범위에 도달할 경우에 강제로 청산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그러면 다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창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111)는 422b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입력에 따른 변경을 수행한다. 그러면서 상기 제어부(111)는 422c단계로 진행하여 확인에 따른 키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확인에 따른 키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422d단계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의 내용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한 루틴을 종료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증권의 자동 매매 또는 경보 알람 등의 트레이딩 시스템 구동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트레이딩이 수행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11)는 전원이 투입되면 500단계에서 롬(116)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와 시스템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이때 시스템의 초기화는 상기 제어부(111)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의 연결을 확인하며, 동시에 보조 기억장치(117)에 저장되어 있는 운용시스템을 구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초기화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11)는 트레이딩 시스템을 구동한다. 즉, 상기한 트레이딩 시스템은 운용시스템의 시작 프로그램에 기록하여 시스템이 초기화될 경우에 구동되도록 설정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가 시스템의 초기화이후에 매번 구동을 해야만 트레이딩 시스템이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11)는 502단계에서 트레이딩 시스템을 구동한 후 50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통신부(118)를 통해 인터넷상의 증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해주는 중계 시스템(200)으로부터 가격 변동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가격 변동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도 11에서 설정된 바와 같이 구성된 지표에 의해 매도/매수 신호가 발생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매도/매수 신호가 발생한 경우 50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504단계를 계속 수행하여 가격의 변동 상태를 계속적으로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508단계로 진행하면 즉, 매도/매수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도 15의 과정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가 자동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가를 검사한다. 즉, 상기 도 16을 참조하여 보면 시스템 트레이딩 설정이 자동 주문으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자동 상태인 경우 51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5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510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트레이딩 포지션의 설정 값과 발생된 신호가 매도 신호인지 아니면 매수 신호인지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상술하면 매수 포지션만 허용한 상태에서 매도 신호가 발생하면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그러나 매수 포지션만 허용한 경우에 매수 신호가 발생하면 매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신호를 상기 통신부(118)를 제어하여 중계 시스템(200)으로 전달한다. 이는 매도 신호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그리고 만일 매도와 매수가 모두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어떠한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수행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제 정산이 설정된 경우에도 결제 정산에 해당하는경우에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전송함으로써 매매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1)는 512단계로 진행하여 매매에 따른 손익을 계산한다.
이와 달리 상기 508단계에서 51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제어부(111)는 알람 창을 생성한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시스템 트레이딩 정보를 신호 발생 시 경보로 설정한 경우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를 예로써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51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그래픽 처리부(112)를 제어하여 신스템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시스템 신호는 매도 또는 매수 신호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신호가 되며, 이러한 신호가 계산되면 계좌번호에 대한 데이터와 종목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읽어와 표시하며, 매도 또는 매수의 상태가 어떠한 지표에 의해 발생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메시지와 함께 도시된다. 이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8은 시스템 트레이딩 설정이 신호 발생 시 알람으로 설정된 경우에 매매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표시창이다. 상기 표시창을 보면 매도 또는 매수에 대한 데이터와 함께 지표를 표시하며, 상기 신호를 생성한 지표를 함께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미리 입력해 놓은 계좌번호를 표시한다. 그리고 수량을 설정하기 위한 칸과, 가격을 설정하기 위한 칸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칸에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주문을 선택하면 즉, 516단계에서 매도 또는 매수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518단계로 진행하여 해당하는 신호 즉, 매도 또는 매수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취소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504단계로 진행하여 가격 변동을 검사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거래가 수행되면 상기 트레이딩 시스템은 거래 결과에 따른 내역을 창으로 표시한다. 이때 표시되는 창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동 매매 또는 알람 표시에 의한 매매 수행 시 수익률의 결과를 표시하는 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표시된 내용에는 어떠한 지표에 의해 거래가 이루어졌으며, 현재의 상태와 총 거래 횟수 및 손익 계산 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중계 시스템으로 거래를 요구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중계 시스템은 증권 거래소에 위치한 매매 시스템을 통해 매매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매매의 수행이 사용자기 임의로 설정한 지표 등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은 자신이 지표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임의로 지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근거하여 매매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매매를 자동으로 또는 알람을 통해 알리는 신호를 인지하여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거래가 이루어진 직후에 그에 따른 수익률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매매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매매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Claims (8)

  1. 인터넷의 중계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증권 정보를 수신하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증권 매매 지표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임의로 데이터 변수들과 함수들 및 연산자의 조합을 통해 증권의 매매 시점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증권 정보를 상기 생성된 지표에 따라 매매의 시점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는 수학 함수와 제어 함수와 지표 함수로 이루어지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상기 획득된 매매 시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계좌번호와 물량 값을 상기 인터넷을 통해 증권 거래소의 매매 서버로 전송하여 자동으로 매매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획득된 매매 시점을 알리는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알람 정보에 사용자의 매매 요구 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에 따른 매매 신호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입력된 매매 정보를 전송하여 매매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 방법.
  5. 인터넷의 중계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증권 정보를 수신하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증권 매매 지표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임의로 데이터 변수들과 함수들 및 연산자의 조합을 통해 증권의 매매 시점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증권 정보를 상기 생성된 각 지표들마다의 매매의 시점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매매 시점 정보를 상기 매매 시점이 발생한 지표와 함께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는 수학 함수와 제어 함수와 지표 함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상기 획득된 매매 시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계좌번호와 물량 값을 상기 인터넷을 통해 증권 거래소의 매매 서버로 전송하여 자동으로 매매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획득된 매매 시점을 알리는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알람 정보에 사용자의 매매 요구 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에 따른 매매 신호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입력된 매매 정보를 전송하여 매매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 방법.
KR1020000044444A 2000-07-31 2000-07-31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 방법 KR20020011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444A KR20020011055A (ko) 2000-07-31 2000-07-31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444A KR20020011055A (ko) 2000-07-31 2000-07-31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055A true KR20020011055A (ko) 2002-02-07

Family

ID=1968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444A KR20020011055A (ko) 2000-07-31 2000-07-31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10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779B1 (ko) * 2000-08-03 2004-04-13 우찬구 투자자의 주식 거래를 위한 증권 정보 서비스 지원 시스템및 방법
KR102271396B1 (ko) * 2020-02-17 2021-06-29 전석 세력의 매집 원가 주식 종목 검출 및 알림 시스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26005A1 (en) * 1994-03-23 1995-09-28 Belzberg Sydney H Computerized stock exchange trading system
JPH09282376A (ja) * 1996-04-17 1997-10-31 Sharp Corp 移動通信を用いた取引システム
JPH103465A (ja) * 1996-06-17 1998-01-06 Syst Gijutsu Kenkyusho:Kk 株価予測装置
KR20000009030A (ko) * 1998-07-21 2000-02-15 이향우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증권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00024635A (ko) * 2000-02-25 2000-05-06 조문증 로직에 기반한 증권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24297A (ko) * 2000-02-03 2000-05-06 심성식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정보 제공시스템
KR20000037238A (ko) * 2000-04-14 2000-07-05 김철균 주식 정보의 최적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62553A (ko) * 1999-02-24 2000-10-25 차민호 데이터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주식, 채권, 물건, 선물,옵션, 지수, 외환 등의 자동매매주문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48792A (ko) * 1999-11-29 2001-06-15 이강민 사이버 증권시스템에서 희망주가 알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091621A (ko) * 2000-03-16 2001-10-23 김귀만 인터넷 주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주가 분석 서비스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010112532A (ko) * 2000-06-07 2001-12-20 이은희 유가증권매매의 자동화 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26005A1 (en) * 1994-03-23 1995-09-28 Belzberg Sydney H Computerized stock exchange trading system
JPH09282376A (ja) * 1996-04-17 1997-10-31 Sharp Corp 移動通信を用いた取引システム
JPH103465A (ja) * 1996-06-17 1998-01-06 Syst Gijutsu Kenkyusho:Kk 株価予測装置
KR20000009030A (ko) * 1998-07-21 2000-02-15 이향우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증권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00062553A (ko) * 1999-02-24 2000-10-25 차민호 데이터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주식, 채권, 물건, 선물,옵션, 지수, 외환 등의 자동매매주문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48792A (ko) * 1999-11-29 2001-06-15 이강민 사이버 증권시스템에서 희망주가 알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00024297A (ko) * 2000-02-03 2000-05-06 심성식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정보 제공시스템
KR20000024635A (ko) * 2000-02-25 2000-05-06 조문증 로직에 기반한 증권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1621A (ko) * 2000-03-16 2001-10-23 김귀만 인터넷 주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주가 분석 서비스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000037238A (ko) * 2000-04-14 2000-07-05 김철균 주식 정보의 최적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010112532A (ko) * 2000-06-07 2001-12-20 이은희 유가증권매매의 자동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779B1 (ko) * 2000-08-03 2004-04-13 우찬구 투자자의 주식 거래를 위한 증권 정보 서비스 지원 시스템및 방법
KR102271396B1 (ko) * 2020-02-17 2021-06-29 전석 세력의 매집 원가 주식 종목 검출 및 알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2135B1 (en) Computerized stock exchange trading system
US11004150B2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high density financial asset information display
JP5049967B2 (ja) 金融市場情報を管理するための強化された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101074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High Density Financial Asset Information Display
WO2007106753A2 (en) A graphical user interface trading widget for trading financial instruments
US20030061149A1 (en) Conversational dealing system
WO2002059815A1 (en) Trading data visualisation system and method
US20020091628A1 (en) Credit granting system and credit applying method using the system
JP2002041804A (ja) 投資アドバイスシステム及び投資アドバイスの表示方法
JP2007183796A (ja) 企業評価値算出システム
JP2002230300A (ja) 証券取引システム
US2014010821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rading
KR20020011055A (ko)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자동 매매 방법
KR20170014397A (ko) 오픈 api용 리얼타임 자동주식거래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JP3188241B2 (ja) ネットワーク利用の知的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3016282A (ja) 市場取引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40105013A (ko) 주식종목 자동 검색시스템과 검색서비스 제공방법, 및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6403360B1 (ja) 財務諸表解釈支援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10009718A (ko) 3차원 증권 투자 검색 시스템의 표시 방법
KR100451426B1 (ko) 주식매매의 자동모사를 이용한 주식투자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2124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기업신용정보 및 경영분석정보제공방법
JP6750080B1 (ja) 運用支援装置及び運用支援プログラム
KR20190092817A (ko) 실적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16184A (ja) 運用支援方法、運用支援システム、および運用支援プログラム
JP2002056185A (ja) デリバティブ商品販売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