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0566A - 미러회전장치 - Google Patents

미러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0566A
KR20020010566A KR1020017008653A KR20017008653A KR20020010566A KR 20020010566 A KR20020010566 A KR 20020010566A KR 1020017008653 A KR1020017008653 A KR 1020017008653A KR 20017008653 A KR20017008653 A KR 20017008653A KR 20020010566 A KR20020010566 A KR 20020010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inserting portion
mirror
mounting bracket
mirro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밴드루폴
Original Assignee
쉐페낙커 비젼 시스템즈 오스트레일리아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쉐페낙커 비젼 시스템즈 오스트레일리아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쉐페낙커 비젼 시스템즈 오스트레일리아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1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56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미러를 위한 회전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전개되어 사용할 수 있는 위치로부터 가능한 한 차체에 근접하게 접혀지는 위치로 구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마운팅브라켓(11), 마운팅브라켓(11)상에 회전가능케 고정된 미러헤드, 상기 미러헤드내에서 회전되게 결합된 리드스크류(36), 리드스크류(36)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35) 및, 마운팅브라켓(11)에 대하여 파지되는 리드스크류(36)에 체결되어서 구동수단(35)이 리드스크류(3)를 회전시키면 미러헤드를 마운팅브라켓(11)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너트부재(43)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웜드라이브기어 및 스퍼기어와 비교하여 미러헤드를 구동하는 더욱더 강력한 구동수단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미러헤드를 구동하기 위하여 보다 높은 하중이 요구되는 응용분야에는 적합하지 않다.

Description

미러회전장치 {A MIRROR ROTATION MECHANISM}
본 발명을 차량에서 사용되는 윙 혹은 사이드 미러의 적용하는 것에 관련하여 기술한다. 그러나, 본 미러회전장치는 반드시 미러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미러헤드는 실질적으로 수직선회축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회전하게 설계되어 있다. 미러헤드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각도 선회되게 규제하는 멈춤쇠에 의해 구동위치내에 파지되어 통과차량에 의해 추돌되거나 장애물과 충돌한 결과로 편향되거나 혹은 접힌 위치로 미러하우징의 수동움직임을 허락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미러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미러헤드는 차량의 측면과 기본적으로 수평을 이룬다. 그래서, 통과하는 보행자나 차량으로부터의 충격이나 간섭의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이것은 특히 차량이 좁거나 혼잡한 길을 따라서 주차되거나 여행할 때 유용하다.
보편적으로, 알려진 자동주차장치들은 미러헤드멈춤쇠의 파지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충분한 토크나 구동력을 공급함으로써 통상의 전개된 위치로부터 미러헤드를 구동하게 설계되어 있다. 게다가, 특수멈춤쇠들은 미러헤드가 타격된다면 미러 및 그와 연결된 구동수단들의 수동해제를 행하기 위한 초기치보다 더 큰 해제력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그런 조작메카니즘의 하나가 본 출원인의 오스트레일리아 특허출원번호 68997/98에 발명의 명칭이 "미러조작메카니즘"으로 개시되어 있다.
비록 상기 오스트레일리아 특허에서 개시된 조작메카니즘이 웡미러들의 움직임에 이상적으로 적용될지라도, 그것은 사용될 수 있는 미러의 크기에 있어 제약과, 구성요소들에 의해 지탱될 수 있는 부하에 관하여 제약이 따랐다. 예를 들어, 해제력은 이상적으로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어진 몇몇 기어구성요소들에 의해 흡수된다. 그러나, 이 구성요소들에 의해 지탱될 수 있는 맞물림부하는 제한되고, 특히 파인 투쓰드 스퍼기어 휠(fine toothed spur gear wheel)과 웜드라이브(worm drive) 사이에 초과된 힘이 적용된다면 스퍼기어의 마모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트럭이나 가벼운 트럭에 사용되는 더 큰 거울들과 같이, 응용품들에서는 초과되는 하중들이 위에 언급한 오스트레일리아 특허에서 보여준 것들과 유사한 기어들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특수한 문제를 극복하고 유효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동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직면할 지도 모르는 다른 문제는 백래쉬나, 구동수단들내에서의 헛동, 혹은 구동수단내에서 사용되는 구동편이다. 헛동이 존재한다면, 그 결과 미러헤드가 헛동의 한계까지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명백히 바람직하지 않으며, 특히 미러헤드가 조작중에 있거나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보다 더 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특수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러를 회전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구동 혹은 전개된 위치로부터 중간 혹은 접혀진 위치와 같은 제 2위치로 미러를 구동할 수 있는 미러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러회전장치는 마운팅브라켓; 상기 마운팅브라켓상에 회전가능케 지지된 미러헤드; 상기 미러헤드내에 회전가능케 결합된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너트부재에서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킬 때 상기 마운팅브라켓에서 상기 미러헤드가 회전되도록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대하여 파지되는 상기 리드스크류가 관통하게 결합된 너트부재를 포함한다.
리드스크류와 너트의 사용은 스퍼기어와 치합된 전형적인 웜기어와 비교하여더욱더 강력한 미러헤드를 구동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리드스크류와 너트는 스퍼기어와 웜드라이브와 비교해서 더 큰 접촉면적을 가진다. 그래서, 이 구성요소들의 응력은 같은 부하일 때 더 낮으며, 그들은 보다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그 조정은 리드스크류에 곧바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미러헤드에 적용될 지도 모르는 상당한 힘에 저항할 뿐만 아니라 중요한 운동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너트부재와 마운팅브라켓에 대하여 파지되는 결합부위를 결합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스크류는 웜 및 스퍼기어드라이드와 같은 전형적인 감속기어를 통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미러헤드에 작용된 힘은 직접적으로 리드스크류에 전달되고, 그럼으로써 유효적절한 힘이 리드스크류상에 있는 웜드라이드에 작용되지 않는다.
마운팅브라켓에서 미러헤드의 이동범위는 미러헤드의 운동범위를 결정하는 스토퍼들에 의해 제어된다. 이 스토퍼들은 미러헤드의 보다 큰 이동을 저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모터에 의한 전류흐름이 증가되게 된다. 회로는 이 현재증가상태를 감지하여 모터조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충격을 받거나 힘을 받을 때 미러헤드의 해제운동을 허락하는 해제편들을 제공한다. 이 해제편은 그 힘이 제거될 때 정지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드스크류는 또한 마운팅브라켓내에 회전가능케 축설된다. 이 경우에, 구동수단은 브라켓내에 위치된다. 그러나, 너트부재는 미러헤드에 파지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장치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제 1경사면과, 제 1경사면과 대향하여 접촉하고 있는 상기 미러헤드의 제 2경사면을 더 포함한다. 이 경사면들은 미러헤드가 전개된 위치로 구동될 때 리드스크류에 하중을 가하게 된다. 이 하중의 범위는 삽지부와 미러헤드 사이의 연결수단들 및 다른 연결부재들처럼 리드스크류, 너트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서의 헛동을 방지하는 데 충분하며, 그렇지 않다면 미러헤드가 움직이거나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구동수단은 경사면들이 맞물렸다가 미러헤드와 마운팅브라켓이 스프링수단의 탄성력하에서 쉽게 분리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마운팅브라켓은 기본적으로 미러헤드가 회전가능케 고정되는 수직삽지부를 갖는다. 또한, 스프링수단은 그 일단이 미러헤드에 지지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삽지부의 상단에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면들의 접촉 및 미러헤드와 마운팅브라켓의 약간의 분리는 결과적으로구동수단이 정지할 때 경사면들이 리드스크류에 하중을 작용시키는 원인이 되며, 그래서 구동수단내의 헛동은 억제되게 된다. 이것은 분명히 미러헤드가 운동의 종착지에 도달할 때 미러헤드가 마운팅브라켓에 단단히 정지고정되게 한다. 이것은 미러헤드가 전개위치에 있을 때에 특히 유용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설명할 장치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로 한정되거나 제한받지 않는다.
본 장치는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도 2의 1-1선에 따른 전개된 위치에서의 오른쪽 미러회전장치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2-2선에 따른 전개된 위치에서의 오른쪽 미러회전장치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에 개시된 미러회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들이다.
도면에서 보여주는 메카니즘과 함께 장치의 다음설명은 웡미러의 오른편을 예로 들고 있다. 본 발명은 약간의 구성요소들에 있어서 명확한 변화를 요구하는 왼쪽용 윙미러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본 미러회전장치(10)는 마운팅브라켓(11)과 마운팅브라켓(11)에 선회가능케 부착된 케이싱(12)을 포함한다. 이 마운팅브라켓(11)은 케이싱(12)이 회전가능케 지지되는 삽지부(13)를 가지고 있다. 코일스프링(14)은 삽지부(13)에 위치하여, 그 일단은 케이싱(12)에 압착지지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파지판(15)에 탄성지지되어 있다.
마운팅브라켓(11)은 차량의 측면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 마운팅브라켓은 차량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운팅브라켓(11)이 다른 브라켓에 고정되게 제작되어 그 다음에 차량의 측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도 있다.
케이싱(12)은 삽지부(13)에 대하여 회전가능케 설계되며, 케이싱에 부착되는 미러헤드하우징(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링(18)은 삽지부(13)에 대하여 회전되게 삽입된다. 이 링(18)은 마운팅브라켓(11)상에 위치된 안내돌기들(20)상에 각각 안착되는 3개의 궁형안내홈(19)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링(18)은 궁형안내홈(19)의 종단에 걸리는 안내돌기들(20)에 의해 통제되는 제한된 범위에서만 결국 회전할 수 있다.
링(18)의 상부면은 3개의 홈들(22)을 구비하고 있는 데, 그 각단부에는 수평에서 10˚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24)과 45˚로 기울어진 경사단(23)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12)에는 삽지부(13)가 관통하는 삽지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케이싱(12)이 삽지부(13)에서 회전가능케 한다. 삽지공(25)의 주위에는 방사상으로 3개의 돌기들(26)이 있으며, 이 돌기들(26)은 홈(22)내에 위치한다. 각각의 돌기(26)는 대응하는 경사면(24)과 접촉하는 경사면(27)과, 경사면(23)과 접촉하는 경사단(28)들을 구비하고 있다.
해제정지수단은 삽지부상에 위치하는 한쌍의 링(29,30)을 포함한다. 하부링(29)은 케이싱(12)의 기변상에 위치한다. 또한, 그것은 삽지부(13)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케 위치된다. 상부링(30)은 삽지부(13)의 수직요홈(32)내에 위치되는 한쌍의 스플라인(31)을 가지고 있다. 그에 따라서, 상부링(30)은 삽지부(13)에서 회전하지 못하고, 삽지부(13)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만 있게 된다.
각 링(29,30)은 대응되는 부위에 일련의 헬리컬면(33,34)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부링(29,30) 사이의 상대회전은 삽지부(13)에서 하부링(29)과 상부링(30)의 길이방향으로의 분리를 가져온다.
코일스프링(14)은 링(30)의 상부면을 압착하며, 삽지부(13)의 단부에 관통하여 견고히 고정된 파지판(15) 및 리테이너(16)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파지된다.
구동수단은 또한 하우징(12)내부에 위치된다. 본 장치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웜드라이브(60)와 스퍼기어(61)를 경유하여 리드스크류(36)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5)를 포함한다. 이 리드스크류(36)는 샤프트(37)를 개재하여 하우징(12)에 축설되어 하우징(12)에서 회전된다. 샤프트(37)는 그 일단이 베어링지지판(38)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타단이 베어링지지편(39)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지지판(38)은 한쌍의 다리부(40)와 돌출부(4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출부(41)는 리드스크류(36)의 축방향으로의 베어링지지판(38)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2)내부의 홈들내에 위치한다. 너트부재는 리드스크류(36)가 관통되며 나합되는 관통공(44)을 갖는 이송편(43)을 포함한다. 이 이송편(43)은 리드스크류(36)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이 이송편(43)은 이송편(43)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리부들(40) 사이에 위치하는 표면판부(45)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재(47)는 이송편(43)과 하부링(29)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송편(43)은 연결부재(47)의 결합공(49)에 결합되는 결합돌기(48)를 제공하고 있다. 하부링(29)은 연결부재(47)의 결합공(51)에 결합된 결합돌기를 이송하는 레버아암(50)을 구비하고 있다.
덮개(53)는 내부에 이송편(43)과 베어링지지판(38)이 수용된 하우징(12)을 폐쇄하게 된다. 게다가, 연결부재(47)는 한쌍의 플라스틱 씰링패드들(54) 사이에 위치되어 하우징(12)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제부터는 본 미러회전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거울을 접어보관하는 조작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모터(35)의 구동은 리드스크류(36)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송편(43)은 연결부재(47)에 의해서 삽지부(13)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스크류는 관통공(44)을 통하여 이동하게 되고, 그 다음에 삽지부(13)의 축으로부터 레버아암(50)상의 돌기가 이격함에 따라 하우징(12)은 회전되게 된다. 본 미러회전장치는 하우징(12)이 전개된 상태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리드스크류(36)의 회전은 베어링지지판(38)에서 이송편(43)이 이동하는 원인이 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통공(44)은 리드스크류(36)를 따라서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이동한다.
하부링(29)은 상부링(30)에 의해서 삽지부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다음 상부링(30)도 삽지부(13)에 결합된 스플라인(31)을 통하여 삽지부(13)에서 회전되는 것이 억제된다. 위에 설명된 방법에서 리드스크류(36)의 동작은 케이싱(12)이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회전하게 한다.
이 회전은 케이싱(12)이 물리적 스토퍼와 부딪힐 때까지 후방으로 계속될 것이다. 이것은 파지판(15)의 돌출부(59)와 접촉하는 미러헤드(미도시)내의 어떤 형상적인 것을 포함할 지도 모른다. 이러한 미러헤드의 이동중지는 구동모터(35)내부의 전류흐름의 이상원인이 되며, 그는 감지되어 결과적으로 구동모터에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차체에 접촉하는 미러헤드와 같은 물리적 스토퍼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케이싱(12)의 이동이 안내홈(19)의 단부에 접촉하는 안내돌기(20)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링(18)이 더 크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 다음으로 케이싱(12)의 이동을 정지시킬 것이다. 리드스크류(36)의 일단에 도달한 이송편(43)도 케이싱(12)의 이동을 제한할 것이다.
역방향으로의 구동모터의 구동은 케이싱(12)을 외부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 구동모터(35)는 반대방향으로 리드스크류(36)를 구동할 것이다. 그러면, 이송편(43)이 리드스크류(36)와 함께 회전되는 것이 억제되면서, 도 1에 볼 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이송편(43)은 연결부재(47)에 의해서 삽지부(13)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미러헤드(12)는 전개되는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그 전개된 위치는 모터전류의 상승에 의해 감지되며, 그에 따라 케이싱(12)의 더 큰 회전이동은 제한되게 된다.
리드스크류(36)의 사용상 단점중의 하나는 리드스크류(36)와 관통공(44) 및 이송편(43)과 연결부재(47)와 같은 구동연결부에서의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의 백래쉬나 헛동이다. 백래쉬나 헛동을 유발하는 리드스크류(36)와 관통공(44)의 결합구들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유격이 있다. 억제되지 않는다면, 전개되는 위치에 도착하면 미러헤드는 약간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바람직하지 않을 뿐더러 분명히 통상의 사용상에 있어 미러헤드의 요동을 일으킬 것이다.
이러한 백래쉬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구동모터(35)가 구동될 때 대응하는 경사면들(24,27)이 서로 결합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 수평에서 10˚기울어진 경사면들(24,27)의 각은 케이싱(12)이 전개된 위치로 이동하고 있을 때 구동모터(35)가 코일스프링(14)의 압축을 가능하게 하는 충분한 토크(torque)를 갖게 한다. 그 결과 케이싱(12)이 마운팅브라켓(11)과 링(18)으로부터 약간 분리되게 된다. 이 전개된 위치에서, 안내돌기(20)는 안내홈(19)의 단부에 접촉한다. 이것은 링(18)의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한다. 케이싱(12)은 모터전류의 상승으로 구동모터(35)가 정지될 때까지 경사면들(24,27) 사이의 상대운동이 계속되면서 구동되게 된다. 경사면들(24,27) 사이의 운동은 스프링(14)에 의하여 저항을 받는다. 경사면들(24,27)의 각은 코일스프링(14)에 의해 제공되는 힘으로 이 경사면들(24,27)이 서로 접촉하면서 미끄럼 유동하기에 충분하다. 이것은 케이싱(12)이 전개된 위치에 도달할 때 전개위치로 케이싱(12)을 구동할 때 요구되는 하중과 같은 방향에 있는 하중이 리드스크류(36)에도 작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구동수단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백래쉬에 기인한 미러케이싱(12)의 어떤 운동도 방지하게 한다.
경사단(23,28)은 접은 위치로 이동할 때 케이싱(12)과 함께 링(18)이 회전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케이싱(12)이 링(18)에서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얕은 깊이를 갖는다. 이것은 돌출부(26)가 불량한 요입부(22)와 결합되었을 경우 필요할 지도 모른다.
본 미러회전장치의 두 번째와 세 번째 조작모드는 전/후진해제이다. 해제는 통과차량이나 장애물과 충돌하여 충격을 받을 때 미러헤드의 움직임을 허락한다. 후방해제는 미러헤드가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움직일 때로 정의된다.
미러헤드가 통상의 전개위치에서 후방으로 움직일 정도로 충격을 받는다면, 그 힘은 삽지부(13)에 대한 토크로서 케이싱(12)에 의해 전달된다. 이 힘은 리드스크류(36)에서 움직일 수 없는 이송편(43)을 통하여 전달된다. 이것은 연결부재(47)가 레버아암(50)에 힘을 작용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 다음으로, 이것은 삽지부(13)에서 하부링(29)의 회전움직임의 원인이 된다.
하부링(29)의 회전은 스플라인(31)을 통하여 삽지부(13)에서 회전이 억제되는 상부링(30)에 의해 저지되어 있다. 이것은 상/하부링들(29,30)들의 경사면(33) 사이의 초기미끄럼운동의 원인이 되며, 삽지부(13)를 따라서 상부링(30)을 슬라이딩하게 하고 스프링(14)이 압축하는 원인이 된다. 하부링(29)에 계속적으로 작용되는 힘은 그것이 상부링(30)에서 회전하는 원인이 된다. 그 다음으로 이것은 상/하부링들(29,30)의 경사면들(33) 사이의 미끄럼운동의 초기원인을 제공한다. 힘이 계속적으로 작용된다고 가정하면, 경사면들(33)은 분리되고 상/하부링들(29,30)의 경사면들(34)이 결합되게 한다.
경사면들(33)의 헬리컬각은 경사면들(34)의 헬리컬각과 비교하여 더 크다. 그러므로, 경사면들(34)이 결합된 때, 미러헤드의 회전을 계속하는 데 더 적은 힘이 요구된다.
상/하부링(29,30)의 분리는 케이싱(12) 및 부착된 미러헤드가 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동력이 제거되면, 압축된 코일스프링(14)의 결합으로 인해 경사면(34)의 각은 미러헤드가 조작된 위치로 다시 회전하게 하는 충분한 토크를 제공한다. 그 힘이 작용될 때 미러헤드의 회전범위는 파지판(15)의 돌출부(59)에 접촉하는 미러헤드(미도시)내의 형상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
해제메카니즘의 조작은 전방으로도 후방향으로의 조작과 동일하다. 부연하면, 전방으로의 회전범위는 파지판(15)의 돌출부(59)와 접촉되는 미도시한 미러헤드내의 형상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
그러나, 미러헤드에 작용된 힘은 후방해제에서와 마찬가지로 상/하부링들(29,30)에 전달된다. 그 경사면들(33,34)은 미러헤드에 전방회전을 허락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하고, 그 경사면들(34)은 그것의 조작위치로 미러헤드가 복귀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잇점은 미러헤드의 단부에 아랫방향으로 하중이 작용될 때 발생될지도 모를 굽힘모우멘트에 견딜 수 있는 미러회전장치의 능력이다. 삽지부(13)가 그런 높은 하중들에 견디게 하기 위하여 미러회전장치(10)는 힘이 삽지부(13)에 굽힘모우멘트로서 작용되는 것보다 오히려 인장력에 놓이게 하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수직력이 삽지부(13)로부터 떨어져 미러헤드에 작용될 때, 그 힘은 삽지부(13)의 수직축에 수직한 법선축을 가진 모우멘트로서 케이싱(12)에 전달된다. 케이싱(12)은 이 힘 때문에 약간 회전하고, 이것은 결과적으로 링(18)으로부터 케이싱(12)의 부분적인 이탈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이 회전은 케이싱(12)의 일부분인 실린더벽부(58)의 상단이 파지판(15)에 접촉하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굽힘모우멘트는 리테이너(160)에 의해 파지된 파지판(15)에게 전달된다. 그 다음, 굽힘모우멘트력은 인장력으로서 삽지부(13)에 전달된다. 이 삽지부(13)는 굽힘에서보다 인장에서 보다 큰 내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삽지부(13)와 마운팅브라켓(11)이 플라스틱재질처럼 보다 약한 내구력의 재질로서도 제작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련의 스퍼기어들과 웜드라이브들이 사용될 때 발생하는 본래의 높은 기어하중문제를 제거한 잇점을 가지고 있다. 그에 따라서, 장치의 비용을 상승시키는 금속기어와 같은 강한 내성재료의 필요성을 극복할 수 있다. 게다가, 경사면들(24,27)의 사용은 백래쉬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중요한 요동문제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2)

  1. 마운팅브라켓;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회전가능케 지지된 미러헤드;
    상기 미러헤드에 회전가능케 축설된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대하여 파지된 상기 리드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면 상기 마운팅브라켓에서 상기 미러헤드를 회전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너트부재가 고정되고 타단이 연장되어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미러헤드가 회전가능케 축지지되는 삽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회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삽지부의 축과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삽지부에 고정되는 레버아암을 더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아암은 상기 삽지부에 회전가능케 삽입된 제 1링에 고정되며, 상기 제 1링과 상기 삽지부 사이의 상대회전을 저지하지만 기설정된 힘이 상기 레버아암에 작용되면 상기 삽지부에서 상기 제 1링이 회전되게 하는 해제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제 1링의 상부면에 홈들이 형성된 복수의 벽부 및,
    상기 제 1링의 홈들내에 위치되는 다수의 돌기들을 구비하고서 상기 삽지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링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 1,제 2링 사이에서 연관회전이 저지되며, 상기 삽지부에서 회전이 저지되어 상기 삽지부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는 제 2링을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삽지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대응되는 상기 요홈내에 위치되어 상기 삽지부에서 회전이 억제되면서 그를따라 미끄럼 이동되게 하는 상기 제 2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 및,
    상기 제 2링과 상기 삽지부의 단부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제 1,제 2링을 동시에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홈들이 형성된 상기 제 1링의 벽부에는 홈의 어느 일측에 헬리컬면이 포함되는 한편, 상기 돌출부들에는 상기 제 1링의 헬리컬면과 접촉되는 헬리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회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두쌍의 헬리컬면들은 각각의 상기 홈과 돌출부에 제공되고, 내측쌍의 홈들은 외측쌍에 대하여 보다 급격한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회전장치.
  10. 마운팅브라켓;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형성된 삽지부;
    상기 삽지부에 회전가능케 축지지된 미러헤드;
    상기 미러헤드내에 회전가능케 축지지된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삽지부에 대하여 파지되는 상기 리드스크류에 관통되면서 결합되어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면 상기 마운팅브라켓에서 상기 미러헤드를 회전시키는 너트부재; 및
    상기 미러헤드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없이 상기 삽지부에서 회전되게 하는 해제클러치를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너트부재가 고정되며 타단이 연장되어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삽지부의 축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삽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레버아암을 더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아암은 상기 삽지부에 회전가능케 삽입된 제 1링에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회전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클러치는 상기 제 1링의 상부면에 홈들이 형성된 다수의 벽부들과,
    상기 제 1링의 홈들내에 위치되는 다수의 돌출부들을 구비하고서 상기 삽지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링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 1,제 2링 사이에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며, 상기 삽지부에서 회전이 저지되어 상기 삽지부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는 제 2링을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삽지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대응되는 상기 요홈내에 위치되어 상기 삽지부에서 회전이 억제되면서 상기 삽지부를 따라 미끄럼 이동되게 하는 상기 제 2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 및,
    상기 제 2링과 상기 삽지부의 단부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제 1,제 2링을 동시에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홈들이 형성된 상기 제 1링의 벽부에는 홈의 어느 일측에 헬리컬면이 포함되는 한편, 상기 돌출부들에는 상기 제 1링의 헬리컬면과 접촉되는 헬리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회전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두쌍의 헬리컬면들은 각각의 상기 홈과 돌출부에 제공되고, 내측쌍의 홈들은 외측쌍에 대하여 보다 급격한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회전장치.
  18. 마운팅브라켓;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회전가능케 지지되는 미러헤드;
    사이회전축을 따라서 상기 미러가 상기 마운팅브라켓으로부터의 분리를 저항하도록 상기 미러마운팅브라켓과 상기 미러헤드 사이에 탄설되는 스프링수단;
    상기 미러헤드에 회전가능케 축지지된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대하여 파지된 상기 리드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면 상기 마운팅브라켓에서 상기 미러헤드를 회전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상에 제 1경사면과 상기 제 1경사면에 인접하여 접촉하는 상기 미러헤드상에 제 2경사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들은 상기 마운팅브라켓과 상기 미러헤드 사이에서 상기 너트부재와 상기 리드스크류 간의 백래쉬로 인해 상기 미러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리드스크류에 하중이 작용하게 하는 전개된 위치에 상기 미러헤드가 도달하면, 상기 경사면들은 상기 마운팅브라켓과 상기 미러헤드 간의 상대회전을 허락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회전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과 미러헤드에 3개의 경사면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회전장치.
  21.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들은 수평면에서 5˚내지 15˚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회전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 2경사면들은 경사져서 상기 미러헤드가 차체에 가장 접근된 절접위치로부터 사용되는 위치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마운팅브라켓과 상기 미러헤드 사이에 상대회전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회전장치.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미러헤드가 회전되게 축지지되는 삽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회전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일단에는 상기 너트부재가 고정되고 타단이 연장되어 상기 삽지부에 대하여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삽지부의 축과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삽지부에 고정되는 레버아암을 더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아암은 상기 삽지부에 회전가능케 삽입된 제 1링에 고정되며, 상기 제 1링과 상기 삽지부 사이의 상대회전을 저지하지만 기설정된 힘이 상기 레버아암에 작용되면 상기 삽지부에서 상기 제 1링이 회전되게 하는 해제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제 1링의 상부면에 홈들이 형성된 복수의 벽부 및,
    상기 제 1링의 홈들내에 위치되는 다수의 돌출부들을 구비하고서 상기 삽지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링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 1,제 2링 사이에서 연관회전이 저지되며, 상기 삽지부에서 회전이 저지되어 상기 삽지부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는 제 2링을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삽지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대응되는 상기 요홈내에 위치되어 상기 삽지부에서 회전이 억제되면서 그를 따라 미끄럼 이동되게 하는 상기 제 2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 및,
    상기 제 2링과 상기 삽지부의 단부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제 1,제 2링을 동시에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29. 제 27항에 있어서, 홈들이 형성된 상기 제 1링의 벽부에는 홈의 어느 일측에 헬리컬면이 포함되는 한편, 상기 돌출부들에는 상기 제 1링의 헬리컬면과 접촉되는 헬리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회전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두쌍의 헬리컬면들은 각각의 상기 홈과 돌출부에 제공되고, 내측쌍의 홈들은 외측쌍에 대하여 보다 급격한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회전장치.
  31. 마운팅브라켓;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형성된 삽지부;
    상기 삽지부에 회전가능케 축설된 미러헤드;
    상기 미러마운팅브라켓과 상기 미러헤드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마운팅브라켓으로부터의 상기 미러헤드의 이탈을 저지하는 스프링수단;
    상기 삽지부의 단부에 구성된 플랜지; 및
    상기 미러헤드에 힘이 작용되면 상기 플랜지를 밀면서 수평축으로 회전시켜 상기 삽지부에 실질적으로 장력이 작용하게 하는 접촉수단을 포함하는 미러.
  32. 마운팅브라켓;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회전가능케 지지된 미러헤드;
    상기 마운팅브라켓내에 회전가능케 축설된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미러헤드에 대하여 파지된 상기 리드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킬 때 상기 마운팅브라켓에서 상기 미러헤드를 회전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미러회전장치.
KR1020017008653A 1999-01-11 2000-01-11 미러회전장치 KR200200105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P8093A AUPP809399A0 (en) 1999-01-11 1999-01-11 A mirror rotation mechanism
AUPP8093 1999-01-11
PCT/AU2000/000009 WO2000041914A1 (en) 1999-01-11 2000-01-11 A mirror rotation mechanis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566A true KR20020010566A (ko) 2002-02-04

Family

ID=381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653A KR20020010566A (ko) 1999-01-11 2000-01-11 미러회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02534320A (ko)
KR (1) KR20020010566A (ko)
AU (1) AUPP809399A0 (ko)
DE (1) DE10083723T1 (ko)
GB (1) GB2361902B (ko)
WO (1) WO200004191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491B1 (ko) * 2002-02-08 2007-11-26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드럼브레이크
KR100963386B1 (ko) * 2008-12-18 2010-06-14 에스엠알 페턴츠 에스.에이.알.엘. 차량용 전동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구동장치
KR20220142586A (ko) * 2021-04-14 2022-10-24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자동차 외부미러용 액츄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57700B1 (en) * 2001-03-08 2006-11-02 Ntn Corporation Reverse input blocking clutch
EP1243472B1 (en) * 2001-03-19 2006-06-28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Mirror device for vehicle
JP4633299B2 (ja) * 2001-07-12 2011-02-16 株式会社村上開明堂 減速機及び該減速機を備える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JP2003127775A (ja) * 2001-10-29 2003-05-08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DE102004024771A1 (de) * 2004-05-17 2005-12-15 Gross, Beatrix, Dipl.-Ing. Beiklappantrieb
JP2011194925A (ja) * 2010-03-17 2011-10-06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RU2725099C1 (ru) * 2019-04-01 2020-06-29 Евген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Оленев Механизм зеркала заднего вид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6333A (en) * 1982-03-15 1984-06-26 Hewitt Delbert C Side view mirror for vehicles
CA2014116A1 (en) * 1990-04-06 1991-10-06 Russell Keast Drive device for truck device
US5268796A (en) * 1992-09-22 1993-12-07 Reg Tomerlin Powered vehicle mirror
NL1003144C2 (nl) * 1996-05-15 1997-11-18 Iku Holding Montfoort Bv Elektrisch bedienbare scharnieractuator, en buitenspiegel met elektrisch bedienbaar scharniermechanisme.
AU728475B2 (en) * 1997-05-29 2001-01-11 Visiocorp Patents S.A.R.L. A mirror operating mechanis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491B1 (ko) * 2002-02-08 2007-11-26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드럼브레이크
KR100963386B1 (ko) * 2008-12-18 2010-06-14 에스엠알 페턴츠 에스.에이.알.엘. 차량용 전동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구동장치
KR20220142586A (ko) * 2021-04-14 2022-10-24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자동차 외부미러용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118092D0 (en) 2001-09-19
AUPP809399A0 (en) 1999-02-04
GB2361902A (en) 2001-11-07
DE10083723T1 (de) 2002-01-24
JP2002534320A (ja) 2002-10-15
GB2361902B (en) 2002-08-28
WO2000041914A1 (en) 200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2298B2 (en) Power fold mechanism for vehicle mirrors
EP0169245B1 (en) Remote-controlled side mirror apparatus for automobile
EP2230131B1 (en) Foldable rear view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CN1061303C (zh) 以动力克服反向弹簧偏压进入向后折叠位置的反光镜组件
US7883224B2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AU775700B2 (en) An extendable and pivotal rearview mirror assembly
KR101761139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EP2543546B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EP0686524B1 (en) Mirror-housing positioning device for car rearview mirror
US20050103971A1 (en) Fastening construction, in particular for a wing mirror of a motor vehicle
EP0764562A2 (en) Positioning device for car sideview mirror
EP1703162B1 (en) Sliding clutch
KR20020010566A (ko) 미러회전장치
EP0713804B1 (en) Exterior rear view mirror for a vehicle
KR101837106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US5226034A (en) Electrically remote-controlled type mirror assembly
US6929372B2 (en) Power fold mechanism for double arm mirrors
US6863407B1 (en) Mirror parking mechanism
EP0798163B1 (en)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EP3630548B1 (en) Drive mechanism and rear view device
EP1795394B1 (en) Retractable door mirror
KR20210047809A (ko) 전자기계식 주차 잠금장치 액추에이터
AU2423600A (en) A mirror rotation mechanism
KR100301403B1 (ko) 자동차의 조향잠금장치
KR940001903Y1 (ko) 전자동 빽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