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0345A - 안구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안구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0345A
KR20020010345A KR1020000044022A KR20000044022A KR20020010345A KR 20020010345 A KR20020010345 A KR 20020010345A KR 1020000044022 A KR1020000044022 A KR 1020000044022A KR 20000044022 A KR20000044022 A KR 20000044022A KR 20020010345 A KR20020010345 A KR 20020010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user
panel
signa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준
Original Assignee
조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준 filed Critical 조용준
Priority to KR102000004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0345A/ko
Publication of KR20020010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3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5Details of bases or housing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end cap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bases or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61N2005/0648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the light being directed to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구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LED가 설치된 LED 패널과;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LED 패널에 설치된 복수의 LED중 임의의 LED를 순차적으로 점등시키는 LED 구동부와;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LED 구동부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조작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조작 패널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패널로 상기 외부 조작 신호를 발생하여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에 복수의 LED를 설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LED를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안구의 물리 운동을 시킴으로써, 누구나 쉽게 따라 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안구 운동을 할 수 있게 하여 시력을 보호하며, 근시를 회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구 운동 장치{APPARATUS FOR MOVING THE EYE BALL}
본 발명은 안구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에 복수의 LED를 설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LED를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안구가 LED의 점멸에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구를 운동시키도록 하는 안구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구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장기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안구는 안축의 길이가 24mm이고, 용적이 6.5cc이며, 굴절률이 58.64Diopter이다.
안구의 질환중 근시, 원시, 난시가 있는데, 근시는 먼 곳에서 오는 평행광선이 망막앞에서 초점을 이루는 상태를 말하며, 원시는 굴절기능이 약화되었을 때 먼 곳으로부터 들어온 평행광선이 망막 뒤에서 초점을 이루는 상태를 말하며, 난시는 광선이 각막에 도달했을 때 각막이나 안구의 굴절력이 일정하지 않아 초점이 한곳에 맺히지 못하고 희미하게 보이거나 중복되어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여기에서 근시는 안구의 조절기능이 악화되어 일어날 수 있는 질환으로서 장시간의 학습과 독서, 장시간의 TV시청, 독서, 컴퓨터 작업 등이 그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근시는 사물이 안구 내에 있는 수정체를 통하여 초점이 망막 앞에서 초점을 이루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눈의 가까운 것을 볼 때에는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먼 곳을 볼 때에는 얇아지는데 이러한 것은 수정체가 탄력성이 있고 그 주위에 모양근(내안근)이 있어 이 모양근이 밖으로 잡아당기면 모양근이 수축되는 현상에 의해 수정체가 엷어져서 먼 곳까지 볼 수 있으며 반대로 모양근이 늦추어지면 수정체가 두꺼워져서 가까운 곳이 잘 보이게 된다.
또한 안구외부에 있는 외안근(4개의 직근, 상직근, 하직근, 외직근, 내직근, 2개의 사근, 상사근, 하사근)도 눈의 조절작용을 도와 먼 곳을 볼 때에는 4개의 직근이 수축되어 안구의 안축이 짧아짐과 동시에 안구의 직경이 길어져서 모양근을밖으로 잡아당기기 쉽도록 도와주며, 가까운 곳을 볼 때에는 2개의 사근이 수축되어 안구의 안축이 길어짐과 동시에 안구의 직경이 짧아져서 모양근이 늦추어지기 쉽도록 도와주게 된다.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여 근시는 내안근(모양근)과 외안근(4개의 직근과 2개의 사근)의 근력이 정상에 비해 약화되어 있어 규칙적인 안구운동을 계속하면 근시예방은 물론 근시회복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따라서 시력을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물리 운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눈의 건강을 위하여 마사지, 휴식 및 안구 운동 등 많은 운동요법과 휴식을 의학적으로 권고하고 있으며 눈의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이러한 물리적 운동을 정기적으로 반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에 복수의 LED를 설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LED를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안구의 물리 운동을 시킴으로써, 누구나 쉽게 따라 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안구 운동을 할 수 있게 하여 시력을 보호하며, 근시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운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운동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구 운동 장치 110 : LED 패널
111 : LED 113 : 차광판
120 : LED 구동부 130 : 제어부
131 : 타이머 133 : 메모리
140 : 조작 패널 150 : 리모트 컨트롤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복수의 LED가 설치된 LED 패널과,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LED 패널에 설치된 복수의 LED중 임의의 LED를 순차적으로 점등시키는 LED 구동부와,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LED 구동부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조작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조작 패널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패널로 상기 외부 조작 신호를 발생하여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와,
사용자가 선택한 점멸 단계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상기 LED의 점멸 순서가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LED의 점멸 범위를 가변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안구 운동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운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안구 운동 장치(100)는 LED 패널(110)과, LED 구동부(120)와, 제어부(130)와, 조작 패널(140)과, 리모트 컨트롤러(150)로 구성된다.
LED 패널(110)은 복수의 LED(111)가 전방에 수납되며, 측면에는 LED 패널(110)의 전면으로 외부의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113)이 부착된다. 여기에서 각 LED(111)는 LED 패널(110)에 독자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LED(111)가 군을 이뤄 설치될 수도 있다.
LED 구동부(120)는 LED 패널(110)에 수납되는 복수의 LED(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임의의 LED를 점등시킨다. 여기에서 LED(111)와 LED 구동부(120)는 인쇄회로기판(도시 생략)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 패널(14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15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LED 구동부(12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제어부(130)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131)와, 시스템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고, 특히 사용자가 선택한 점멸 단계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LED(111)의 점멸 순서가 프로그램화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133)를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성인과 유아 모두가 안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LED(111)의 점멸 범위를 가변시킨다.
조작 패널(14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종 조작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하도록 복수의 기능 키(145)와 안구 운동 장치(100)의 현재 상황(점멸 단계, 속도, 범위, 시간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41)를 구비하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조작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하도록 무선 송수신부(143)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조작 패널(140)은 사용자의 조작 편의와 리모트 컨트롤러(15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을 위하여 LED 패널(110)의 전방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모트 컨트롤러(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 패널(140)로 외부 조작 신호를 발생하도록 복수의 기능 키(153)와 안구 운동 장치(100)의 현재 상황(점멸 단계, 속도, 범위, 시간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51)를 구비하며, 조작 신호를 조작 패널(140) 측으로 송신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운동 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운동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조작 패널(14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150)를 이용하여 안구 운동 장치(100)의 전원을 온시킨 상태에서 LED(111)의 점멸 단계, 속도, 범위, 시간 등을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입력된 조작 신호에 따라 LED 구동부(120)로 해당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LED 구동부(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LED(111)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운동 장치에 의하면, 패널에 복수의 LED를 설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LED를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안구의 물리 운동을 시킴으로써, 누구나 쉽게 따라 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안구 운동을 할 수 있게 하여 시력을 보호하며, 근시를 회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복수의 LED가 설치된 LED 패널과,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LED 패널에 설치된 복수의 LED중 임의의 LED를 순차적으로 점등시키는 LED 구동부와,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LED 구동부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조작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조작 패널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패널로 상기 외부 조작 신호를 발생하여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운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와,
    사용자가 선택한 점멸 단계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상기 LED의 점멸 순서가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운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LED의 점멸 범위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운동 장치.
KR1020000044022A 2000-07-29 2000-07-29 안구 운동 장치 KR20020010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022A KR20020010345A (ko) 2000-07-29 2000-07-29 안구 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022A KR20020010345A (ko) 2000-07-29 2000-07-29 안구 운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345A true KR20020010345A (ko) 2002-02-04

Family

ID=19680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022A KR20020010345A (ko) 2000-07-29 2000-07-29 안구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03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786B1 (ko) * 2010-02-17 2012-04-06 유제형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을 이용한 속독훈련 및 안구인지훈련 방법 및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을 이용한 속독훈련 및 인지훈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726A (ko) * 1910-07-21 1995-02-16 노리오 미쓰이 시력회복 훈련장치
JPH07275286A (ja) * 1994-04-13 1995-10-24 Sharp Corp 視力回復装置
KR960010746A (ko) * 1994-09-16 1996-04-20 하워드 에프. 반덴버그 개선된 용융 압출 방법
KR0129979Y1 (ko) * 1994-06-07 1998-12-15 정인화 시력회복 증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726A (ko) * 1910-07-21 1995-02-16 노리오 미쓰이 시력회복 훈련장치
JPH07275286A (ja) * 1994-04-13 1995-10-24 Sharp Corp 視力回復装置
KR0129979Y1 (ko) * 1994-06-07 1998-12-15 정인화 시력회복 증진기
KR960010746A (ko) * 1994-09-16 1996-04-20 하워드 에프. 반덴버그 개선된 용융 압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786B1 (ko) * 2010-02-17 2012-04-06 유제형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을 이용한 속독훈련 및 안구인지훈련 방법 및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을 이용한 속독훈련 및 인지훈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3153B2 (ja) 近視制御、焦点深度の増大、及び老視矯正のためのパルス化したプラスレンズ設計
EP2428836B1 (en) Zone switched sports training eyewear
US8985765B2 (en) Adjustable spectral transmittance eyewear
US9405135B2 (en) Shutter eyewear
JP2023021980A (ja) 視力改善装置および方法
US20130072828A1 (en) Shutter glasses
US8622544B2 (en) Adjustable spectral transmittance curved lens eyewear
US10806659B2 (en) Eye exercise device
CN107174495A (zh) 一种有助于弱视康复的眼镜及其使用方法
US4726672A (en) Acuity therapy unit
CN205649486U (zh) 双眼融合功能的检测训练系统
CN206453898U (zh) 一种智能光电治疗近视、弱视视力调节装置
KR20020010345A (ko) 안구 운동 장치
JP3236041U (ja) 眼球運動トレーニング装置、眼球運動トレーニング機器
US20230296895A1 (en)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to enhance brain function via presentation of visual effects in far and/or ultra-far peripheral field
KR20150056907A (ko) 안구 훈련 장치
CN213553498U (zh) 一种视力训练装置
KR200159302Y1 (ko) 안구운동장치
CN110812144A (zh) 一种视力矫正仪器
KR102560412B1 (ko) 컨텐츠 이미지에 의한 시력 훈련장치
JPH0612766Y2 (ja) 眼球運動訓練装置
CN218045799U (zh) 护眼仪
CN114099267A (zh) 护眼仪
KR20020010344A (ko) 컴퓨터를 이용한 안구 운동 방법
KR100975987B1 (ko) 휴대용 시기능 훈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719

Effective date: 200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