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9890A -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 - Google Patents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09890A KR20020009890A KR1020000043442A KR20000043442A KR20020009890A KR 20020009890 A KR20020009890 A KR 20020009890A KR 1020000043442 A KR1020000043442 A KR 1020000043442A KR 20000043442 A KR20000043442 A KR 20000043442A KR 20020009890 A KR20020009890 A KR 200200098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infant
- seat belt
- shoulder
- wais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0—Coupling devices other than buckles, including length-adjusting fittings or anti-slip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60R22/024—Adaptations for use by small passengers, e.g.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성인용 시트벨트를 유아의 체형에 맞게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어깨에서 골반에 걸쳐 착용되는 어깨벨트와 허리와 하복부에 걸쳐 착용되는 허리벨트 사이의 폭을 유아의 체형에 맞게 연결밴드를 사용하여 좁게 만들어줌으로써, 유아의 체형에 성인용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성인용 시트벨트를 유아의 체형에 맞게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시트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유아의 체형에 맞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유아용 시트를 구입하여 리어시트상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시트벨트의 일측단은 시트벨트가 감겨져 저장되어 있는 리트랙터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플로어 패널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텅(Tougue)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첨부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상기 텅을 잡고 시트벨트(10)를 어깨에서 하체 골반쪽으로 대각을 이루도록 당겨서 어깨벨트(18)가 걸쳐지게 하는 동시에 허리와 하복부에 걸쳐 허리벨트(20)가 걸쳐지게 한 후, 텅을 버클에 삽입함으로써, 시트벨트의 착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첨부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성인 기준으로 설치된 시트벨트를 유아가 착용한 경우, 시트벨트(10)의 어깨벨트(18)가 목부위를 지나가고 허리벨트(20)의 착용이 느슨하게 되는 등의 안전상 문제점이 있다.
물론, 시트벨트의 높이조절장치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도 성인의 체형을기준으로 설치된 것이기 때문에 유아의 체형에 맞게 조절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어깨에서 골반에 걸쳐 착용되는 어깨벨트와 허리와 하복부에 걸쳐 착용되는 허리벨트 사이의 폭을 유아의 체형에 맞게 연결밴드를 사용하여 좁게 만들어줌으로써, 유아의 체형에 성인용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에 포함되는 연결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3b는 통상의 시트벨트를 성인과 유아가 착용하였을 때를 비교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벨트 12 : 연결밴드
14 : 체결홀 16 : 체결돌기
18 : 어깨벨트 20 : 허리벨트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버클에 체결되는 텅을 기준으로 각각 위쪽과 아래쪽으로 나누어진 어깨벨트(18)와 허리벨트(20)의 일정부위에 한쪽은 작고 다른쪽은 보다 큰 직경의 체결홀(14)을 형성하고, 이 체결홀(14)에 체결돌기(16)를 갖는 연결밴드(12)를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에 적용되는 연결밴드(1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연결밴드(12)는 길다란 띠편의 형상으로서, 일면 상하에는 가운데 둘레가 "V"자 형태로 오목한 체결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 시트벨트(10)에는 버클에 체결되는 텅이 끼워져 있는 바, 이 텅을 기준으로 각각 위쪽과 아래쪽은 어깨벨트(18)와 허리벨트(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어깨벨트(18)와 허리벨트(20)의 일정부위에 한쪽은 작고 다른쪽은 보다 큰 직경의 체결홀(14)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홀(14)의 큰 직경부는 상기 연결밴드(12)의 체결돌기(16)의 외곽부위가 삽입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고, 또 상기 체결홀(14)의 작은 직경부분은 상기 체결돌기(16)의 가운데 "V"자 부분이 삽입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시트벨트(10)를 유아에 착용시킬 경우, 연결밴드(12)의 체결돌기(16)를 상기 체결홀(14)의 큰직경 부분으로 삽입하는 동시에 작은 직경부분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연결밴드(12)가 상기 어깨벨트(18)와 허리벨트(20)간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밴드(12)에 의하여 어깨벨트(18)와 허리벨트(20)가 서로 당겨져 그 폭이 본래의 폭보다 줄어들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유아의 목을 경유하는 어깨벨트(18)가 유아의 어깨부위까지 하부로 당겨져 유아의 체형에 맞게 시트벨트(10)의 착용상태가 조절된다.
이에따라, 성인용 시트벨트(10)를 유아가 착용하더라도, 유아의 체형에 맞게 연결밴드(12)를 사용하여 조절하여줌으로써, 안전한 시트벨트의 착용감을 유아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구조에 의하면, 유아의 체형에 맞도록 성인용 시트벨트의 어깨벨트와 허리벨트간의 간격을 연결밴드를 사용하여 줄여줌으로써, 유아에게 안전한 시트벨트의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 버클에 체결되는 텅을 기준으로 각각 위쪽과 아래쪽으로 나누어진 어깨벨트(18)와 허리벨트(20)의 일정부위에 한쪽은 작고 다른쪽은 보다 큰 직경의 체결홀(14)을 형성하고, 이 체결홀(14)에 체결돌기(16)를 갖는 연결밴드(12)를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43442A KR100345780B1 (ko) | 2000-07-27 | 2000-07-27 |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43442A KR100345780B1 (ko) | 2000-07-27 | 2000-07-27 |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09890A true KR20020009890A (ko) | 2002-02-02 |
KR100345780B1 KR100345780B1 (ko) | 2002-07-24 |
Family
ID=1968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43442A KR100345780B1 (ko) | 2000-07-27 | 2000-07-27 |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4578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0073A (ko) * | 2016-09-01 | 2019-04-16 | 마체이 루크작 | 차량 안전 벨트와 연동하는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72458U (ko) * | 1984-10-19 | 1986-05-16 | ||
US4946198A (en) * | 1989-01-09 | 1990-08-07 | Pittore Joseph P | Child safety strap |
US5080396A (en) * | 1990-12-17 | 1992-01-14 | Vacanti Sam D | Clip device for seat belts |
JPH0546616U (ja) * | 1991-11-29 | 1993-06-22 | 浩紀 伊藤 | 自動車の子供用シ−トベルト |
JPH0633761U (ja) * | 1992-10-08 | 1994-05-06 | 喜和 小谷 | シートベルトのロック機構 |
KR0127819Y1 (ko) * | 1996-05-27 | 1998-12-15 | 백성곤 | 안전밸트에 장착되는 어린이용 보조구 |
-
2000
- 2000-07-27 KR KR1020000043442A patent/KR10034578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0073A (ko) * | 2016-09-01 | 2019-04-16 | 마체이 루크작 | 차량 안전 벨트와 연동하는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345780B1 (ko) | 2002-07-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94031B2 (en) | Nursery band | |
US5361952A (en) | Baby carrier | |
US20030193223A1 (en) | Car seat support member | |
KR0127819Y1 (ko) | 안전밸트에 장착되는 어린이용 보조구 | |
JP3780484B2 (ja) | ヘルメットのヘッドバンド | |
JP3235458U (ja) | チャイルド安全シート | |
CN116138591A (zh) | 婴幼儿抱持具及其臀部高度调节构件 | |
KR100345780B1 (ko) | 유아용 시트벨트 착용 구조 | |
US5683138A (en) | Adjustable shield for infant car seat safety belts | |
JP2001328471A (ja) | 年少者座席 | |
KR200214480Y1 (ko) | 어린이용 안전벨트 | |
JP3227217U (ja) | 密着型抱っこ紐よだれパッド | |
JP2004098954A (ja) | 自動車用子供座席 | |
US8079996B2 (en) | Cloth diaper the size of which is adjustable | |
CN201062034Y (zh) | 多段式车用安全带定位机构 | |
KR19980087270A (ko) | 아동용 안전 좌석 | |
KR200309173Y1 (ko) | 차량용 보조의자 | |
JPH08322685A (ja) | 子守帯 | |
CN217864030U (zh) | 安全带连接结构和儿童安全座椅 | |
KR100323094B1 (ko) | 시트 벨트의 복부 조임 방지 고리를 가지는 자동차 시트 | |
KR20100008498U (ko) | 어린이용 가이드 패드 | |
JP2001112588A (ja) | 子守帯 | |
JPH0339089Y2 (ko) | ||
JP2587779Y2 (ja) | 自動車用子供安全シート | |
JP2003034228A (ja) | 着用式年少者用ベル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