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8233A - 미생물 접촉용 오,폐수,하수처리 여재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 접촉용 오,폐수,하수처리 여재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233A
KR20020008233A KR1020000041497A KR20000041497A KR20020008233A KR 20020008233 A KR20020008233 A KR 20020008233A KR 1020000041497 A KR1020000041497 A KR 1020000041497A KR 20000041497 A KR20000041497 A KR 20000041497A KR 20020008233 A KR20020008233 A KR 20020008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extrusion
sewage treatment
molten mold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3623B1 (ko
Inventor
조현국
Original Assignee
조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국 filed Critical 조현국
Priority to KR2020000020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953Y1/ko
Priority to KR10-2000-0041497A priority patent/KR100373623B1/ko
Publication of KR2002000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72Roughness, e.g.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14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이 거칠고 내면에는 수많은 공극이 형성되어 오, 폐수 및 하수처리에 필요한 미생물들이 잘 달라붙어 자랄수있는 여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통상적인 압출장치에 있어서, 압출금형(6)과 가열장치(4)사이에 압출기본체(5)의 둘레를 따라 공기실 (11)이 형성된 압축공기 탱크(10)를 구성하고, 공기실(11)과 접하고있는 압출기 본체(5)의 둘레에는 압출기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분사구멍(12)을 천공 하고 압축 공기탱크(10) 외부에는 압축공기 주입구(13)를 마련하여서, 압출금형(6)쪽으로 이송되는 용융 성형물(20)에 압출기 본체(5)에 형성된 분사구멍(12)을 통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용융성형물에 수많은 기포가 형성되게 하고, 압출금형(6)의 압출구멍(15)을 용융성형물이 압축공기와 함께 압출되게 하여, 성형되는 여재는 엉성하며 수많은 기포가 발생함은 물론 표면이 매우거칠게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미생물 접촉용 오, 폐수, 하수처리 여재의 제조방법 및 장치 {THE MANUFACTURING METHODS AND DEVICES OF DIRTY WATER, WASTE WATER AND SEWAGE TREATMENT FILTER FOR MICROBE CONTACT}
본 발명은 표면이 거칠고 내면에는 수많은 공극이 형성되어 오, 폐수 및 하수처리에 필요한 미생물들이 잘 달라붙어 자랄수있는 여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생물의 생존공간을 제공하여 각종 유기물을 분해하여 정화하는 미생물 접촉 여재로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95-2547호가 있다. 이 선행기술은 폐합성수지를 주원료로하고 여기에 석분, 활성탄, 여과사등의 부재료를 혼합 분쇄하고, 이를 고온에서 용융하면서 불순물을 탄화시킨후 곧바로 압출냉각시켜 미생물 접촉 여과제를 성형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기술은 주재료가 폐비닐이고 고온에서 용융한후 바로 압출하기 때문에 용융물이 덩어리를 형성하게되어 최종압출시 조직 내부까지 기공이 생기지 않으며 표면 역시 미생물이 쉽게 달라붙어 층을 형성하기에는 너무 매끄럽게 형성되므로 미생물이 성장할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고 또 미생물이 쉽게 탈리되는 문제가 있으며, 석분이나 활성탄의 과다 사용으로 인하여 쉽게 깨지고 또한 여러가지 부재를 사용하여 제조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연속적인 압출성형시 성형속도가 늦어 여과제의 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또다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 제0182656호 가 있다. 이는 전술한 선행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표면과 내면이 얼기 설기한 섬유상 재질로 많은 공극이 형성되므로서 부재의 내부를 포함한 양측 표면으로 혐기성 및 호기성 미생물이 잘 달라붙고 탈리되지 아니하며 성장할수 있는 미생물접촉 여과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 선행기술의 핵심내용은 곡물용 마대등의 폴리프로필렌 폐기물을 180℃ 내지 300℃ 에서 용융시켜 덩어리로 형성하여 냉각시키는 공정과, 용융된 폐폴리프로필렌 덩어리를 직경 2-15mm로 파쇄하는 공정과, 파쇄물을 스크류 압출기에 넣어 가열장치로 열을 가해 초기온도를 200℃ 내지 300℃ 로 가열하여 밀어내면서 출구온도가 45℃ 내지 55℃ 로 유지하도록 압출하는 공정과, 상기 출구온도 조건의 압출물을 성형금형을 통과시켜 원하는 단면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는 공정과, 통상의 인출공정 및 절단공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서 가장 핵심기술에 해당하는 것은, 압출출구에 수냉 또는 공냉에 의한 강제냉각장치 를 설치하여초기단계에서 가열장치를 통해 200℃ 내지 300℃ 로 서서히 압출하며 압출출구 단계에서는 성형물의 온도가 45℃ 내지 55℃ 가 유지되게하는 것인데, 실제 압출출구의 온도를 45℃ 내지 55℃ 가 되게할 경우 성형물은 이미 거의 완전하게 굳은 상태이므로 압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어 실제로 이용이 되지를 않고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압출출구의 온도를 낯추지 않고, 압출출구를 통과하는 용융 성형물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지속적으로 불어넣어 공기와 용융 성형물이 뒤섞여서 압축노즐을 통과하면서 압출성형물의 전체에 미세한 공극이 형성되고 또한 표면이 거칠게 형성되도록하여 미생물이 잘 달라붙고 탈리되지 아니하는 여재를 제조 할수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발명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발명 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압축공기탱크 부분의 단면도.
도 4는 본발명에 의해 제조된 여재의 단면도.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 : 호퍼
3 : 이송스크류
4 : 가열장치
5 : 본체
6 : 압출금형
7 : 냉각부
8 : 인발기
10 : 압축공기탱크
11 : 공기실
12 : 분사구멍
13 : 주입구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제1도와같이 구성된다. 즉, 이송스크류(3)와 모터(2) 및 호퍼(1)등으로 구성되고 가열장치(4)와 압출금형(6)이 장착되었으며, 이와 일직선상으로는 냉각부(7)와 인발기(8) 그리고 컷팅기(9)가 설치된 통상적인 압출기에 있어서, 압출금형(6)과 가열장치(4)사이에 압출기본체(5)의 둘레를 따라 공기실 (11)이 형성된 압축공기 탱크(10)를 구성하고, 공기실(11)과 접하고있는 압출기 본체(5)의 둘레에는 압출기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분사구멍(12)을 천공하고 압축 공기탱크(10) 외부에는 압축공기 주입구(13)를 마련하였다.
상기와같은 장치로서 여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발명에서는 분쇄된 폴리에탄 및 폴리에틸렌계의 폐자재(4:6 비율)와 미생물 활성화의 촉진에 효과가 있는 소량의 플라이애쉬 및 숫가루, 흙, 왕겨, 종균제 등 (약5%이하)을 사용한다.
상기 원재료를 장치의 호퍼(1)에 투입하면 이송스크류(3)의 회전에 의하여 원재료는 전방으로 압출되며 가열장치(4)에서 가열되어 용융된다. 이때 가열장치의 입구에서의 용융 성형물의 온도는 200℃ - 250℃ 정도이고 중간부분 에서는 250℃-300℃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출구 즉, 압출금형(6)쪽으로 이송되는 용융성형물 (20)에는 분사구멍(12)을 통하여 압축공기탱크(10)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용융성형물에는 수많은 기포가 발생됨은 물론 압출금형(6)의 압출 구멍(15) 을 통해 압출될때에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용융성형물이 매우 불규칙하게 압출되고, 압출되는 순간에는 압축공기가 빠저나가면서 성형물을 부풀리어 주므로 자연히 압출구멍을 통과하며 성형되는 여재는 엉성하며 수많은 기포가 발생함은 물론 표면이 매우거칠게 형성된다. 이때 압출금형을 통과하기 직전의 용융성형물의 온도는 약 200-250℃ 정도이다.
이와같이 압출 되어지는 여재는 계속하여 냉각부(7)를 통과하며 냉각되어지고 인발기(8)에서 늘려지며 컷팅기(9)에서 필요한 길이로 절단되어 여재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에따라 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여재는 전체적으로 그 조직이 엉성하여 기공성이 높고, 내 외부 표면이 매우 거칠어 미생물이 잘 달라붙고 탈리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같은 본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여재는, 전체적으로 그 조직이 엉성하여 기공성이 높고, 내 외부 표면이 매우 거칠기 때문에 미생물이 잘 달라붙고 탈리되지 않는 특징이있어 오, 폐수중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산화시키는 기능이 탁월하고, 오니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재질로서 농촌에서 쉽게 구할수있는 폐자재를 사용하므로서 환경오염도 예방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이송스크류(3)와 모터(2) 및 호퍼(1)등으로 구성되고 가열장치(4)와 압출금형(6)이 장착 되었으며, 이와 일직선상으로는 냉각부(7)와 인발기(8) 그리고 컷팅기 (9)가 설치된 통상적인 압출장치에 있어서,
    압출금형(6)과 가열장치(4)사이에 압출기본체(5)의 둘레를 따라 공기실 (11)이 형성된 압축공기 탱크(10)를 구성하고, 공기실(11)과 접하고있는 압출기 본체(5)의 둘레에는 압출기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분사구멍(12)을 천공 하고 압축 공기탱크(10) 외부에는 압축공기 주입구(13)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미생물 접촉용 오, 폐수, 하수처리 여재의 제조 장치.
  2. 분쇄된 폴리에탄 및 폴리에틸렌계의 폐자재와 미생물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높은 소량의 플라이애쉬 및 숫가루, 흙, 왕겨 ,종균재로 구성된 원재료를 압출기에 투입하여 가열장치에서 200℃ - 300℃로 가열하여 용융 성형물(20) 상태로 만들고, 이어서 압출금형(6)쪽으로 이송되는 용융 성형물(20)에 압출기본체(5)에 형성된 분사구멍(12)을 통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용융성형물에 수많은 기포가 형성되게 하고, 압출금형(6)의 압출구멍(15)을 용융성형물이 압축공기와 함께 압출되게 하여, 성형되는 여재는 엉성하며 수많은 기포가 발생함은 물론 표면이 매우거칠게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미생물 접촉용 오, 폐수, 하수처리 여재의 제조방법.
KR10-2000-0041497A 2000-07-20 2000-07-20 미생물 접촉용 오, 폐수, 하수처리 여재의 제조장치 KR100373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702U KR200205953Y1 (ko) 2000-07-20 2000-07-20 미생물 접촉용 오,폐수,하수처리 여재의 제조장치
KR10-2000-0041497A KR100373623B1 (ko) 2000-07-20 2000-07-20 미생물 접촉용 오, 폐수, 하수처리 여재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497A KR100373623B1 (ko) 2000-07-20 2000-07-20 미생물 접촉용 오, 폐수, 하수처리 여재의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702U Division KR200205953Y1 (ko) 2000-07-20 2000-07-20 미생물 접촉용 오,폐수,하수처리 여재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233A true KR20020008233A (ko) 2002-01-30
KR100373623B1 KR100373623B1 (ko) 2003-03-04

Family

ID=196788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702U KR200205953Y1 (ko) 2000-07-20 2000-07-20 미생물 접촉용 오,폐수,하수처리 여재의 제조장치
KR10-2000-0041497A KR100373623B1 (ko) 2000-07-20 2000-07-20 미생물 접촉용 오, 폐수, 하수처리 여재의 제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702U KR200205953Y1 (ko) 2000-07-20 2000-07-20 미생물 접촉용 오,폐수,하수처리 여재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595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284A (ko) * 2000-08-29 2002-03-07 김창준 박테리아 배양체 생산장치
KR100367007B1 (ko) * 2000-07-27 2003-01-09 채범석 오ㆍ폐수 정화 처리용 미생물 접촉 여과제의 제조방법
KR100475171B1 (ko) * 2003-02-17 2005-03-14 디에치인터내셔날주식회사 소재의 표면을 따라 요철이 부채의 살 모양으로 일정간격으로 번갈아 형성된 나선형 형태의 여과재 및 이를위한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20160097491A (ko) 2015-02-09 2016-08-18 (주)아이디알 약제 희석기능을 갖는 휴대용 분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742B1 (ko) * 2021-04-14 2021-11-17 김순연 담체 제조방법 및 그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0536A (en) * 1978-03-13 1979-12-25 Celanese Corporation Process for extruding plasticized open cell foamed cellulose acetate filters
JPH05286048A (ja) * 1992-04-16 1993-11-02 Idemitsu Petrochem Co Ltd 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5336094A (en) * 1993-06-30 1994-08-09 Johnstech International Corporation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electrical contacts
JP2000119432A (ja) * 1998-10-12 2000-04-25 Sekisui Chem Co Ltd オレフィン系多孔質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0171798Y1 (ko) * 1999-09-13 2000-03-15 윤상진 미생물 접촉 여재용 자유 파일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007B1 (ko) * 2000-07-27 2003-01-09 채범석 오ㆍ폐수 정화 처리용 미생물 접촉 여과제의 제조방법
KR20020017284A (ko) * 2000-08-29 2002-03-07 김창준 박테리아 배양체 생산장치
KR100475171B1 (ko) * 2003-02-17 2005-03-14 디에치인터내셔날주식회사 소재의 표면을 따라 요철이 부채의 살 모양으로 일정간격으로 번갈아 형성된 나선형 형태의 여과재 및 이를위한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20160097491A (ko) 2015-02-09 2016-08-18 (주)아이디알 약제 희석기능을 갖는 휴대용 분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953Y1 (ko) 2000-12-01
KR100373623B1 (ko) 200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734C (zh) 非热塑的烃类弹性体的无溶剂配炼和涂布方法
RU2519157C2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пластиков
KR870001013A (ko) 열가소성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그로부터 생성된 제품.
JP4563190B2 (ja) アルミニウム箔入り多層フィルムの再生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再生品の製造方法
ATE419965T1 (de) Vorrichtung zum mischen und zum extrudieren von kunststoffmaterialien auf kautschukbasis und auf siliconbasis und deren herstellungsverfahren
CA1220917A (en) Process for plasticization and pumping of low bulk density plastics
KR100373623B1 (ko) 미생물 접촉용 오, 폐수, 하수처리 여재의 제조장치
US6383424B1 (en) Method for producing foams made of polymers or polymer mixtures and moulded articles made from said foams
WO2022166078A1 (zh) 一种造粒机的进料熔融机构
JP5048638B2 (ja) 圧縮押出成形装置
KR19980067694A (ko) 오.폐수 정화처리를 위한 미생물 접촉여과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0182656B1 (ko) 오,폐수 정화처리용 미생물 접촉여과제의 제조방법
KR100783523B1 (ko) 다공질 오픈셀을 갖는 합성수지 성형물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장치
KR100367352B1 (ko) 혐기성 여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171798Y1 (ko) 미생물 접촉 여재용 자유 파일 제조장치
KR100331511B1 (ko) 압출 공정에 의한 오염물질 처리용 담체의 제조방법
KR100918587B1 (ko) 황토를 함유한 다공성 생물막 미생물 담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담체
KR19980074344A (ko) 미생물 착생대 및 그 제조방법
KR100367007B1 (ko) 오ㆍ폐수 정화 처리용 미생물 접촉 여과제의 제조방법
KR100628524B1 (ko) 미생물 담지 능력이 향상된 과립담체 및 그 제조방법과장치
KR100431542B1 (ko) 오염처리용 담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제조된 담체
KR100512251B1 (ko) 오·폐수 고도 처리용 판접촉재의 제조방법
KR200184692Y1 (ko) 복합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정화조용 여재
CN108164791A (zh) 一种ldpe混合料的生产方法
KR100464112B1 (ko) 고정상 접촉여재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