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7566A -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7566A
KR20020007566A KR1020000040917A KR20000040917A KR20020007566A KR 20020007566 A KR20020007566 A KR 20020007566A KR 1020000040917 A KR1020000040917 A KR 1020000040917A KR 20000040917 A KR20000040917 A KR 20000040917A KR 20020007566 A KR20020007566 A KR 20020007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amine
acetaminophen
weight
parts
cyste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9155B1 (ko
Inventor
조의환
정순간
천경호
박시경
김현태
박근영
Original Assignee
최승주
삼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주, 삼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승주
Priority to KR10-2000-0040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155B1/ko
Publication of KR20020007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카페인 또는 이들의 성분중 2종 이상의 혼합물과, 엘-글루타민 또는 엘-시스테인, 또는 그 산부가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부형제를 함유하고, 통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방법으로 통상의 약제학적인 제형으로 제제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통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카페인 등의 약물로 처방된 제제에 있어서 아스피린, 카페인, 이소프로필안티피린 등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위장장애를 크게 경감시키고 아세트아미노펜이 함유된 제제에서 일으킬 수 있는 간 손상을 예방할 수 있어서 시판되고 있는 진통제보다 부작용이 크게 감소되고 안전성이 보다 높아진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New analgesic composition}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이소프로필안티피린 및 카페인등과 같은 진통제는 현재 널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은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으며, 특히 아세트아미노펜 등은 고용량 및 연용투여시 또는 투약중에 알콜을 섭취시에 간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현재 널리 사용중인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카페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진통제조성물에 있어서, 진통제 제제의 효능 효과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임상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위장장애와 아세트아미노펜 함유 제제의 경우 아세트아미노펜 고용량 및 연용 투여시 또는 알코올 등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자 등의 복용시 일어날 수 있는 급성 간 독성을 경감시킬 수 있는 진통제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카페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진통제 조성물에 있어서, 그 효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위장장애 및 간기능장애를 없애거나 또는 획기적으로 경감시킨 진통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카페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과, 여기에 엘-시스테인, 엘-글루타민 또는 그들의 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진통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보조성분으로서 카페인을 함유할 수 있다.
의약품의 제제화에 통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해열 진통제로 널리 알려져 있는 아스피린과 피라졸론계열의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인 이소프로필안티피린은 모두 아라키돈산의 대사효소인 싸이클로옥시제나제를 억제함으로써 통증유발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 E, F등의 생성을 저해하여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데, 이때 위내부 방어인자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싸이클로옥시게나제 I 의 생성을 함께 억제시킴으로써 방어인자의 생합성을 억제하여 속쓰림과 위궤양등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또한 카페인은 메칠크산틴계 알카로이드로서 중추신경 흥분작용이 있고 다른 진통제와 함께 사용하면 시너지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 약물은 위산 분비를 촉진시켜 속쓰림과 위궤양을 유발시킨다. 한편 현재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해열 진통제 중의 하나인 아세트아미노펜은 과량 투여서 생화학적 대사산물인 엔-아세틸파라벤조퀴논이민(NAPQI)을 생성시켜 간 상해를 일으킨다.
상기 처방 약물들이 이상적으로 배합되어 임상에서 좋은 효능효과를 나타내고있으나 복용하는 환자나 방법에 따라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개선시켜 보다 안전한 제제로서 환자의 제품 선택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카페인 또는 이들의 2종이상의 혼합물등의 약물로 처방된 기존 제제에 있어서 아세트아미노펜 간 독성 유발과 아스피린,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카페인 등의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을 크게 경감시킬 목적으로 엘-시스테인과 엘-글루타민, 또는 그들의 염을 각각 추가한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 제제에 있어서 아스피린,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카페인 등으로 유발되는 위장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엘-글루타민을 추가하였고 아세트아미노펜의 간독성 유발억제를 위하여 엘-시스테인과 엘-글루타민을 추가 처방하였다. 엘-글루타민은 위산의 백디퓨젼(back diffusion)억제에 의한 점막관문방어 작용과 위점막성분의 생성 촉진작용 및 육아 형성 촉진 작용 등으로 위궤양 형성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아미노산이다. 한편 엘-시스테인은 생체내 대사계에 있어서 SH 효소의 부활제 작용을 하는 데 특히 체내 글루타치온의 전구체로서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해 형성된 생화학적 대사 산물인 엔-아세틸파라벤조퀴논이민 (NAPQI)을 제거하기 위하여 급격히 소모되는 글루타치온을 재생 공급하여 간독성 유발을 억제하며 또한 엘-글루타민과 함께 복용시 글루타치온의 생합성을 크게 증가시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엘-글루타민과 엘-시스테인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무기산 및 유기산과의 산부가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현재까지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카페인 또는 이들의2종 이상의 혼합물과 엘-시스테인 및/또는 엘-글루타민을 함께 함유하는 진통제조성물은 개발된 바 없다.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의 각 성분들의 유효량 중량비는 아세트아미노펜 10-50중량부, 이소프로필안티피린 5-30중량부, 카페인이 2-10중량부, 아스피린이 10-50중량부의 비율로 적절하게 복합되거나 단독 처방시 이들 제제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엘-글루타민은 5-30, 엘-시스테인은 0.5-10 정도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은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카페인 등을 함유한 제제와 비교해서 위궤양 유발억제 효과가 크게 개선되었고 매우 우수한 간 독성 유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성분의 양은 mg단위이다.)
제제 실시예 1
(정제, 캅셀제)
아세트아미노펜 300
이소프로필안티피린 150
카페인 50
엘-글루타민 100
엘-시스테인 10
상기의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여기에 정제 또는 캅셀제의 제조에 통상으로 사용하는 부형제를 통상의 상용량을 첨가하여 통상의 정제, 캅셀제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정제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고, 캅셀에 충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제 실시예 2
(정제, 캅셀제)
아세트아미노펜 200
아스피린 150
이소프로필안티피린 100
카페인 50
엘-글루타민 150
엘-시스테인 10
상기의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여기에 정제 또는 캅셀제의 제조에 통상으로 사용하는 부형제를 통상의 상용량을 첨가하여 통상의 정제, 캅셀제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정제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고, 캅셀에 충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제 실시예 3
(정제, 캅셀제)
아세트아미노펜 200
아스피린 250
카페인 50
엘-글루타민 100
엘-시스테인 10
상기의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여기에 정제 또는 캅셀제의 제조에 통상으로 사용하는 부형제를 통상의 상용량을 첨가하여 통상의 정제, 캅셀제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정제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고, 캅셀에 충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제 실시예 4
(정제, 캅셀제)
아스피린 300
카페인 50
엘-글루타민 100
상기의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여기에 정제 또는 캅셀제의 제조에 통상으로 사용하는 부형제를 통상의 상용량을 첨가하여 통상의 정제, 캅셀제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정제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고, 캅셀에 충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제 실시예 5
(정제, 캅셀제)
아세트아미노펜 500
엘-시스테인 100
상기의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여기에 정제 또는 캅셀제의 제조에 통상으로 사용하는 부형제를 통상의 상용량을 첨가하여 통상의 정제, 캅셀제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정제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고, 캅셀에 충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제 실시예 6
(액제, 30ml)
아세트아미노펜 300
카페인 50
이소프로필안티피린 150
엘-시스테인 염산염 10
엘-글루타민 100
정제수 적량
상기의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전체를 30ml로 하여 통상의 액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제제 실시예 7
(시럽제, 1ml)
아세트아미노펜 30
엘-시스테인 염산염 3
정제수 적량
상기의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통상의 시럽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100ml 시럽제로 제조하였다.
제제 실시예 8
(좌제)
아세트아미노펜 125
엘-시스테인 6.25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200
상기의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가열 용융하고 통상의 좌제의 틀에 넣고 응고시키는 통상의 좌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한편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카페인 등의 약물로 처방된 제제의 위장장애와 간 독성등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추가로 처방할 엘-글루타민과 엘-시스테인의 효과를 각각의 약물별로 또는 처방제제에 대하여 비교 실험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 험 예 1 - 1
아스피린 100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한 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고 여기에 엘-글루타민을 50, 100, 2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한 군과의 위궤양 유발 억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24시간 절식시킨 6주령 수컷 에스 디 랫트 8마리를 한 군으로 하고 1% 카르복실메칠 셀룰로오즈에 현탁시킨 아스피린 100mg/kg투여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여기에 엘-글루타민 50, 100, 200mg/kg등을 각각 경구 투여한 후 5시간 방치한 다음 에테르 마취하에 개복하여 유문부를 실로 고정시킨 다음 위를 적출하고 5ml의 3% 포르말린 액을 넣은 후 식도 하부를 실로 고정시킨 후 3% 포르말린액을 담은 비이커에 1시간 이상 방치시켜 위의 내, 외부를 고정시켰다. 대만부를 따라 절개하여 물로 씻은 후 궤양의 길이를 자로 측정하였다. (표 1-1)
표 1-1. 엘-글루타민의 아스피린 유도 위궤양 발생 억제 효과
처치군 용량(mg/kg) 궤양길이(mm) 억제율(%)
음성대조군(아스피린) 100 10.3±0.8 -
엘-글루타민 100+ 50 8.3±0.4* 19.4
엘-글루타민 100+100 7.4±0.4** 28.2
엘-글루타민 100+200 6.4±0.7** 37.9
* P〈 0.05, ** P〈 0.01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있게 차이가 있음
표 1-1의 결과로부터 아스피린만을 투여한 군에 비하여 엘-글루타민이 추가된 투여군에서는 엘-글루타민의 용량이 증가하면서 궤양 발생 정도도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 험 예 1 - 2
카페인 100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한 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고 여기에 엘-글루타민을 50, 100, 2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한 군과의 위궤양 유발 억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24시간 절식시킨 6주령 수컷 에스 디 랫트 8마리를 한 군으로하고 1% 카르복실메칠 셀룰로오즈에 현탁시킨 카페인 100mg/kg투여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여기에 엘-글루타민 50, 100, 200mg/kg등을 각각 경구 투여한 후 5시간 방치한 다음 에테르 마취하에 개복하여 유문부를 실로 고정시킨 다음 위를 적출하고 5ml의 3% 포르말린 액을 넣은 후 식도 하부를 실로 고정시킨 후 3% 포르말린액을 담은 비이커에 1시간 이상 방치시켜 위의 내, 외부를 고정시켰다. 대만부를 따라 절개하여 물로 씻은 후 궤양의 길이를 자로 측정하였다.(표 1-2)
표 1-2. 엘-글루타민의 카페인 유도 위궤양 발생 억제 효과
처치군 용량(mg/kg) 궤양길이(mm) 억제율(%)
음성대조군(카페인) 100 8.6±0.7 -
엘-글루타민 100+ 50 7.2±0.8* 16.3
엘-글루타민 100+100 6.3±0.2** 26.7
엘-글루타민 100+200 5.1±0.7** 40.7
* P〈 0.05, ** P〈 0.01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있게 차이가 있음
표 1-2의 결과로부터 카페인 투여군에 비하여 엘-글루타민이 추가된 투여군에서는 엘-글루타민의 용량이 증가하면서 궤양 발생 정도도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 험 예 1 - 3
이소프로필안티피린 300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한 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고 여기에 엘-글루타민을 50, 100, 2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한 군과의 위궤양 유발 억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24시간 절식시킨 6주령 수컷 에스 디 랫트 8마리를 한 군으로하고 1% 카르복실메칠 셀룰로오즈에 현탁시킨 이소프로필안티피린 300mg/kg 투여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여기에 엘-글루타민 50, 100, 200mg/kg등을 각각 경구 투여한 후 5시간방치한 다음 에테르 마취하에 개복하여 유문부를 실로 고정시킨 다음 위를 적출하고 5ml의 3% 포르말린 액을 넣은 후 식도 하부를 실로 고정시킨 후 3% 포르말린액을 담은 비이커에 1시간 이상 방치시켜 위의 내, 외부를 고정시켰다. 대만부를 따라 절개하여 물로 씻은 후 궤양의 길이를 자로 측정하였다. (표 1-3)
표 1-3. 엘-글루타민의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유도 위궤양 발생 억제 효과
처치군 용량(mg/kg) 궤양길이(mm) 억제율(%)
음성대조군(이소프로필안티피린) 300 12.2±0.8 -
엘-글루타민 300+ 50 9.9±0.7* 18.9
엘-글루타민 300+100 8.6±0.6** 29.5
엘-글루타민 300+200 7.0±0.5** 42.6
* P〈 0.05, ** P〈 0.01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있게 차이가 있음
표 1-3의 결과로부터 이소프로필안티피린 투여군에 비하여 엘-글루타민이 추가된 투여군에서는 엘-글루타민의 용량이 증가하면서 궤양 발생 정도도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 험 예 1 - 4
아세트아미노펜 함유제제 (아세트아미노펜 300mg + 이소프로필안티피린 150mg + 카페인50mg / 1정)를 500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한 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고 여기에 엘-글루타민을 50, 100, 2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한 군과의 위궤양 유발 억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24시간 절식시킨 6주령 수컷 에스 디 랫트 8마리를 한군으로하고 1% 카르복실메칠 셀룰로오즈에 현탁시킨 아세트아미노펜 함유제제 500mg/kg 투여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여기에 엘-글루타민 25, 50, 100, 200mg/kg등을 각각 경구 투여한 후5시간 방치한 다음 에테르 마취하에 개복하여 유문부를 실로 고정시킨 다음 위를 적출하고 5ml의 3% 포르말린 액을 넣은 후 식도 하부를 실로 고정시킨 후 3% 포르말린액을 담은 비이커에 1시간 이상 방치시켜 위의 내, 외부를 고정시켰다. 대만부를 따라 절개하여 물로 씻은 후 궤양의 길이를 자로 측정하였다.(표 1-4)
표 1-4. 엘-글루타민의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유도 위궤양 발생 억제 효과
처치군 용량(mg/kg) 궤양길이(mm) 억제율(%)
음성대조군(아세트아미노펜 함유제제) 500 18.0±0.6 -
엘-글루타민 500+ 25 16.2±0.8 10.0
엘-글루타민 500+ 50 14.5±0.6* 19.4
엘-글루타민 500+100 12.6±0.2** 30.0
엘-글루타민 500+200 8.0±0.5** 55.6
* P〈 0.05, ** P〈 0.01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있게 차이가 있음
표 1-4의 결과로부터 아세트아미노펜 함유제제 투여군에서는 랫트 10마리에서 모두 궤양이 형성되었으며 (궤양 길이 18.0mm) 엘-글루타민이 추가된 투여군에서는 엘-글루타민의 용량이 증가하면서 궤양 발생 정도도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 험 예 2 - 1
아세트아미노펜 투여군과 여기에 엘-시스테인을 10, 20, 40, 80mg/kg의 용량으로 투여한 군과의 간독성 유발 억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24시간 절식시킨 4주령 수컷 아이 씨 알계 마우스 10마리를 한 군으로하고 엘-시스테인을 10, 20, 40, 80mg/kg의 용량으로 각각 경구투여하였다. 한 시간 후에 아세트아미노펜 300mg/kg을 경구투여 하고 24시간 경과 후 심장에서 채혈하고 이것을 윈심 분리하여 얻은 혈장으로부터 SGPT 활성을 측정하였다. (표 2-1)
표 2-1. 엘-시스테인의 아세트아미노펜 유도 간 독성 유발억제 효과
처치군 용량(mg/kg) SGPT(U/I) 억제율(%)
음성대조군(아세트아미노펜) 300 2070.0±143.8 -
엘-시스테인 300+10 1621.3±162.9* 22.1
엘-시스테인 300+20 1375.1±184.6* 34.2
엘-시스테인 300+40 1153.8±109.5** 45.1
엘-시스테인 300+80 532.4±69.3** 75.6
* P〈 0.05, ** P〈 0.01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있게 차이가 있음
표 2-1의 결과로부터 엘-시스테인은 아세트아미노펜으로 유도된 간 독성을 용량 의존적으로 강력하게 억제시켰다.
실 험 예 2 - 2
아세트아미노펜 투여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고 여기에 엘-시스테인 투여군 그리고 엘-글루타민 투여군 그리고 엘-시스테인 & 엘-글루타민 동시 투여군등과 간독성 유발 억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24시간 절식시킨 4주령 수컷 아이 씨 알계 마우스 10마리를 한 군으로하고 엘-시스테인을 10mg/kg 투여군, 엘-굴루타민 100mg/kg 투여군 그리고 엘-시스테인 10mg/kg과 엘-글루타민 100mg/kg을 동시에 경구투여한 군에 대하여 한 시간 후에 각 군마다 아세트아미노펜 함유제제 300mg/kg을 각각 경구투여 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심장에서 채혈하고 이것을 윈심 분리하여 얻은 혈장으로부터 SGPT 활성을 측정하였다. (표 2-2)
표 2-2. 엘-시스테인과 엘-글루타민의 아세트아미노펜 함유제제로 유도된 간 독성 유발 억제 효과
처치군 용량(mg/kg) SGPT(U/I) 억제율(%)
음성대조군(아세트아미노펜) 300 1833.3±281.0 -
엘-시스테인 300+10 1330.4±184.4* 28.0
엘-글루타민 300+100 1117.1±106.2* 40.0
엘-시스테인+엘-글루타민 300+10+100 877.1±76.9** 53.3
* P〈 0.05, ** P〈 0.01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있게 차이가 있음
표 2-2의 결과로부터 엘-시스테인과 엘-글루타민은 아세트아미노펜의 간 독성 유발에 대한 억제 효과가 우수하며 특히 함께 사용시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 험 예 2 - 3
아세트아미노펜 함유제제(아세트아미노펜 300mg + 이소프로필안티피린 150mg + 카페인 50mg/1정) 투여군과 여기에 엘-글루타민을 10, 20, 40, 80mg/kg의 용량으로 투여한 군과의 간독성 유발 억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24시간 절식시킨 4주령 수컷 아이 씨 알계 마우스 10마리를 한 군으로하고 엘-시스테인을 10, 20, 40, 80mg/kg의 용량으로 각각 경구투여하였다. 한 시간 후에 아세트아미노펜 함유제제 500mg/kg을 각각 경구투여 하고 24시간 경과 후 심장에서 채혈하고 이것을 윈심 분리하여 얻은 혈장으로부터 SGPT 활성을 측정하였다. (표 2-3)
표 2-3. 엘-시스테인의 간 독성 유발억제 효과
처치군 용량(mg/kg) SGPT(U/I) 억제율(%)
음성대조군(아세트아미노펜함유제제) 500 3049.7±568.5 -
엘-시스테인 500+10 2027.4±253.9* 33.5
엘-시스테인 500+20 1687.2±184.6* 44.7
엘-시스테인 500+40 338.5±58.8** 88.9
엘-시스테인 500+80 28.3±1.8** 99.1
* P〈 0.05, ** P〈 0.01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있게 차이가 있음
표 2-3의 결과로부터 엘-시스테인은 용량 의존적으로 강력한 간 보호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엘-시스테인은 아세트아미노펜 제제에서의 간독성 유발을 확실하게 억제시켰다.
실 험 예 3
아세트아미노펜 함유제제(아세트아미노펜 300mg + 이소프로필안티피린 150mg + 카페인 50mg/1정)와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인 처방 실시예1과 진통효과에 대하여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24시간 절식시킨 5주령 수컷 아이 씨 알계 마우스 10마리를 한 군으로하고 아세트아미노펜 함유제제 250mg/kg과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인 처방 실시예 1을 300mg/kg 용량으로 각각 경구투여하고 30분 경과 후 0.02% 파라벤조퀴논액을 10ml/kg 용량으로 복강주사 하였다. 5분 후 5분간 마우스의 라이징 횟수를 계산하였다. (표 3)
표 3.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의 진통효과
처치군 용량(mg/kg) 라이징 횟수 억제율(%)
대조군 - 12.9±1.2 -
아세트아미노펜 함유제제 250 5.7±0.7** 55.8
처방실시예 1 300 5.8±0.5** 55.0
** P〈 0.01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있게 차이가 있음
표 3의 결과로부터 처방 실시예 1과 아세트아미노펜 함유제제의 진통효과 비교 평가에서 모두 55% 정도의 진통효과를 나타냄으로서 진통효과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 2, 3의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인 처방 실시예 1인 경우 엘-글루타민과 엘-시스테인이 포함되지 않은 제제에 비하여 위장장애와 간 손상을 크게 감소시키면서도 진통효과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엘-글루타민과 엘-시스테인 또는 엘-글루타민이나 엘-시스테인이 각각 처방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카페인등의 약물로 처방된 제제에 있어서 아스피린, 카페인, 이소프로필안티피린 등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위장장애를 크게 경감시키고 아세트아미노펜이 함유된 제제에서 일으킬 수 있는 간 손상을 예방할 수 있어서 시판되고 있는 진통제 보다 부작용이 크게 감소되고 안전성이 보다 높아진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임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카페인 또는 이들의 성분중 2종이상의 혼합물과, 엘-글루타민, 엘-시스테인, 또는 그 산부가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부형제를 함유하고, 통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방법으로 통상의 약제학적인 제형으로 제제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통효과는 그대로 유지하며, 위장장애와 간독성을 감소시킨 진통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아세트아미노펜 0 ∼ 50중량부, 아스피린 0 ∼ 50중량부, 이소프로필안티피린 0 ∼ 30중량부, 카페인 0 ∼ 10중량부(단 주성분으로서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이소프로필안티피린 및 카페인의 합은 30중량부 ∼ 90중량부이하이다.)를 함유하고, 엘-글루타민 0 ∼ 30중량부 및 일-글루타민 0 ∼ 10중량부(단 엘-글루타민 과 엘-시스테인의 합은 10중량부 ∼ 30중량부이하이다.)을 함유하고, 여기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부형제를 함유하고, 통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방법으로 통상의 약제학적인 제형으로 제제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통효과는 그대로 유지하며, 위장장애와 간독성을 감소시킨 진통제 조성물.
KR10-2000-0040917A 2000-07-18 2000-07-18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 KR100379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917A KR100379155B1 (ko) 2000-07-18 2000-07-18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917A KR100379155B1 (ko) 2000-07-18 2000-07-18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566A true KR20020007566A (ko) 2002-01-29
KR100379155B1 KR100379155B1 (ko) 2003-04-08

Family

ID=1967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917A KR100379155B1 (ko) 2000-07-18 2000-07-18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1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1852A4 (en) * 2007-10-18 2013-10-16 Univ Ya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HEPATOTOXICITY ASSOCIATED WITH DRUG ADMINISTRATION
US9415046B2 (en) 2009-09-29 2016-08-16 Yale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inflammation from and rejection of biomaterials and other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8466A (en) * 1973-06-01 1976-10-26 Kyowa Hakko Kogyo Co., Ltd. Prevention of gastric lesions
GB1463505A (en) * 1973-11-21 1977-02-02 Nat Res Dev Pharmaceutical compositions
GB9305058D0 (en) * 1993-03-12 1993-04-28 Penn Pharm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O1998032434A1 (en) * 1997-01-29 1998-07-30 Chong Kun Dang Corp. New analgesic composition
KR101463505B1 (ko) * 2012-02-06 2014-11-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Ubap2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진단 및 치료효과 평가용 바이오 마커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1852A4 (en) * 2007-10-18 2013-10-16 Univ Ya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HEPATOTOXICITY ASSOCIATED WITH DRUG ADMINISTRATION
US9149424B2 (en) 2007-10-18 2015-10-06 Yale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hepatotoxicity associated with drug administration
US9415046B2 (en) 2009-09-29 2016-08-16 Yale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inflammation from and rejection of biomaterials and other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9155B1 (ko)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2768B2 (ja) レボドパメチルエステルを有効成分とするパ−キンソン病治療剤
JPS60208913A (ja) 高めた無痛覚を与える製薬製品
RU2262933C2 (ru) Медицин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аспирин
HU178867B (en) Process for preparing synergetic analgetic composition containing nalbuphine and acetaminophene
KR19980064024A (ko) 약학 조성물
JPH01268633A (ja) L−ドーパの直腸被吸収性形態
NO309454B1 (no) Anvendelse av et derivat av spirooksatiolankinuklidin for fremstilling av et farmasöytisk preparat for behandling av xerostomi som ikke er forårsaket av Sjögrens syndrom
PL204075B1 (pl) Zastosowanie kompozycji farmaceutycznej zawierającej metoklopramid oraz tramadol do wytwarzania leku
KR20210105343A (ko) 폐동맥 고혈압 및 관련 폐동맥 고혈압의 치료 방법
RU2003122061A (ru) Антиатеросклеро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каротиноиды, и способ ингибирования окисления липопротеина низкой плотности (ldl)
CA2576385C (en) Novel formulation for l-tryptophane comprising carbidopa/benserazide
JPS61129129A (ja) 抗腫瘍剤
JPS62298530A (ja) 坐薬用医薬組成物
US2011011707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eadache
EP2830605B1 (en) A combination medicament comprising phenylephrine and paracetamol
KR100379155B1 (ko) 새로운 진통제 조성물
KR100294329B1 (ko)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의약 조성물
RU2003100081A (ru) Способы и композиции, в которых используется сулодексид, для лечения диабетической нефропатии
US2019038103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acute on chronic liver failure and related liver diseases
JP5376785B2 (ja) 医薬組成物
JPH01132522A (ja) 消化管疾患治療剤
CA2514022A1 (en) Reduced dose of tolterodine and other antimuscarinic agents for treating urinary disorders
EP0551180A1 (en) Use of bucillamine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cystinuria
US6337322B1 (en) Preventives and remedies for intestinal mucosal disorder
US4663345A (en) Etodolac for treatment of g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