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554A -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구현방법 - Google Patents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554A
KR20020005554A KR1020010076620A KR20010076620A KR20020005554A KR 20020005554 A KR20020005554 A KR 20020005554A KR 1020010076620 A KR1020010076620 A KR 1020010076620A KR 20010076620 A KR20010076620 A KR 20010076620A KR 20020005554 A KR20020005554 A KR 20020005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telephone
dialing
call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호상
Original Assignee
안명훈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명훈,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filed Critical 안명훈
Priority to KR1020010076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5554A/ko
Publication of KR20020005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5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라인에 연결되는 일반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 혹은 유/무선 일반 전화기에서 다이얼링이 음성인식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고, 아울러 통화로가 형성되면 스피커폰 통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일반 전화기에서 다이얼링서부터 통화에 이르기까지의 전처리를 핸즈프리로 수행할 수 있는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다이얼 기능과 스피커폰 통화 기능과 음성 다이얼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을 구비하는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구현방법은: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이 음성 다이얼로 등록된 음성과 일치하면 해당 음성 다이얼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로부터 독출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제1단계; 상기 음성 다이얼이 수행되어 착신측과 통화로가 형성되면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는 스피커폰을 구동하여 스피커폰 통화를 구현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구현 방법{HANDSFREE CURRENCY EMBODIMENT METHOD THROUGH VOICE DIAL IN TELEPHONE}
본 발명은 전화라인에 연결되는 일반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 혹은 유/무선 일반 전화기에서 다이얼링이 음성 인식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고, 아울러 통화로가 형성되면 스피커폰 통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일반 전화기에서 다이얼링서부터 통화에 이르기까지의 전처리를 핸즈프리로 수행할 수 있는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화기는 전기통신의 하나로서, 말의 음파를 전기신호로 바꾸어서 멀리 떨어진 곳에 전달하고 이것을 다시 음성으로 바꾸어서 통화할 수 있게 한 통신수단이다. 전류에 의하여 음성을 전하는 현재의 전화방식은 1837년 미국의 페이지가 그원리를 발견하였고, 이 원리에 의거하여 프랑스의 C.부르쇨이 1854년 음성에 의한 가요진동판(可撓振動板)의 진동을 이용하는 착상을 발표하였다. 독일의 P.라이스는 이 착상에 의한 실험을 하여 전화의 발명을 한 걸음 진전시켰다. 전화의 영어인 ‘telephone’은 그리스어의 원격(遠隔:tele)과 음성(音聲:phone)을 뜻하며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도 라이스였다. 그러나 실용전화기는 미국의 A.G.벨에 의해서 처음으로 발명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전화가 사용되기 시작된 것은 1898년 당시 궁내부(宮內部) 주관으로 궁중에서 각 아문(衙門)과 연락을 위해 덕수궁에 전화시설을 마련하여 각 아문은 물론 인천에 있는 감리소(監理所)에까지 전화를 개통하면서부터이다. 전화기의 발명은 통신분야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통신혁명이었으며, 현재까지 눈부시게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이제는 단순히 원격지에 위치한 사람과 통화를 위한 본연의 기능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모닝콜 기능이나, 메모 녹음 기능, 통화 녹음 기능, 외출 설정 기능 등이 사용의 편의를 위해 전화기에 부가되고 있다. 모든 기술 개발과 발명의 종착점은 '보다 편리하게, 보다 유용하게, 보다 간편하게'일 것이다. 인간에게 편리함과 유용함과 간편함을 가져다 줄 수 있도록 노력해온 결과가 바로 오늘날 보여지는 무수한 기술 산물들일 것이다. 지금도 무수한 사람들이 그 종착점에 다다르기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발명하고 있을 것이다.
다시 전화기로 환원하여 기술하면, 기존에 국선이나 사설의 전화라인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는 일반 전화기의 경우를 보면,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경우나 전화기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위치한 경우나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 있는 경우에 있어 전화를 걸기 위해서는 어떤 경우이건 전화기의 다이얼 버튼을 눌러 다이얼링을 수행하고, 핸드셋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여야 하였다. 어떤 경우이든 최소한 1회의 버튼 입력을 이루어야만 다이얼링이 수행되며,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하지만, 위에 예를 든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처한 환경에서 때로는 반드시 전화를 걸어야 하는 상황에서 부득이 하게 전화기의 다이얼 버튼 입력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전화기는 단축 다이얼 기능이나 원터치 기능 등에 의해 최소 1회의 버튼입력이 있어야만 원하는 곳으로의 다이얼링이 수행되어 통화를 수행할 수 있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화를 걸고 싶어도 자신이 처한 상황 때문에 전화를 걸지 못하는 상황이 된다. 이는 상술하였듯이 기술 개발과 발명의 종착점이 '보다 편리하게, 보다 유용하게, 보다 간편하게' 라는 명제로 보면 분명코 개선되어야할 과제일 것이다. 인간에게 편리함과 유용함과 간편함을 가져다 줄 수 있도록 기술 개발의 노력을 경주하는 이때에 상술한 전화기의 문제는 그 기능을 사용하는 단 한사람의 사용자를 위해서라도 개발되어야할 과제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경우나 전화기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위치한 경우나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 있는 경우에도 일반 전화기에서 다이얼링과 통화를 핸즈프리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구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궁극적 목적은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보다 유용하게, 보다 간편하게' 라는 명제를 실현시킬 수 있는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구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일반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의 음성인식 처리를 위한 구성부들의 처리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의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구현을 위한 처리 절차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해 핸즈프리 통화를 구현하기 위한 처리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 멜로디 회로부 212: 핸드셋
213: 아날로그 스위치 214: 마이크 증폭부
215: 마이크 216: 스피커 증폭부
217: 스피커 218: 통화회로부
219: 전화라인 스위치 220: 링거
221: 링 검출부 223: 제어부
224: 메모리 225: 표시부
226: 키패드 227: CID 검출부
230: 자동응답기능부 231: 코덱
232: 음성메모리 233: 음성제어부
240: 음성검출부 250: 음성인식부
260: 데이터베이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른 음성 다이얼 기능과 스피커폰 통화 기능과 음성 다이얼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을 구비하는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구현방법은: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이 음성 다이얼로 등록된 음성과 일치하면 해당 음성 다이얼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로부터 독출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제1단계;
상기 음성 다이얼이 수행되어 착신측과 통화로가 형성되면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는 스피커폰을 구동하여 스피커폰 통화를 구현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른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구현방법은 상기 음성 다이얼 수행후 소정 시간동안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음성 재입력을 요구하는 제3단계와,
상기 음성 재입력에 의거 음성이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제1 및 제2단계를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제4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른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구현방법은 상기 음성 다이얼 수행후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재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일반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일반 전화기의 각 구성부가 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전화기는 핸드셋(212), 아날로그 스위치(213), 마이크 증폭부(214), 마이크(215), 스피커 증폭부(216), 스피커(217), 통화회로부(218), 전화라인 스위치(219), 링거(220), 링검출부(221), 멜로디 회로부(222), 제어부(223), 메모리(224), 표시부(225), 키패드(226), CID(Caller Identification) 검출부(227), 음성검출부(240), 음성인식부(250), 데이터베이스(260) 및 자동응답기능부(230)를 구비하며, 상기 자동응답기능부(230)는 다시 코덱(231), 음성메모리(232) 및 음성제어부(233)를 구비한다.
상기 핸드셋(212)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송화부와 수화부로 구성된 송수화기이며, 상기 송화부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213)를 통해 통화회로부(218)에 전달하며, 상기 통화회로부(218)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상기 수화부에서 출력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213)는 상기 핸드셋(212), 마이크 증폭부(214), 스피커 증폭부(217), 통화회로부(218), 멜로디 회로부(222) 및 자동응답기능부(230)와 연결되어 각 구성부의 동작에 따른 회로 스위칭을 담당한다.
상기 마이크 증폭부(214)는 상기 마이크(MIC: 215)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스피커 증폭부(216)는 상기 통화회로부(218)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217)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215), 마이크 증폭부(214), 스피커(217) 및 스피커 증폭부(216)는 통화시에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여 핸즈프리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화회로부(218)는 음성 송수신 회로(Speech Network)로서,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213)와 전화라인 스위치(219) 사이에 연결되어 각종 톤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전화라인 스위치(219)는 후크 스위치(Hook Switch)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 하에 상기 전화라인(TEL LINE)과의 통화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링거(220)는 상기 전화라인과 스피커(217) 및 링검출부(221)에 연결되며, 톤 링거(Tone Ringer)이다.
상기 링검출부(221)는 상기 전화라인과 연결되며, 후크-온(Hook-On) 상태에서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223)에 착신 상태임을 통보한다.
상기 멜로디 회로부(123)는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 하에 다양한 멜로디를 선택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224)는 전화기의 제반 기능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각종 데이터 및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인식한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테이블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메모리(224)는 일 예로,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25)는 다수의 LED(발광다이오드) 및/또는 LCD(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 하에 전화기의 현재 상태도 및 제반 상황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표시부(225)의 화면상에는 걸려온 발신자 번호 및 학습 정보 등이 표시된다.
상기 키패드(226)는 다수의 기능 키 및 다이얼 3*4키를 구비하여 각종 기능 설정 및 동작이나 다이얼 입력을 수행한다. 상기 키패드(226)상의 키 조작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CID(Caller Identification: 발신자 식별) 검출부(227)는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링 신호 중에서 발신자 식별을 위한 데이터(CID)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223)에 인가한다. 상기 CID 상에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외 시간 정보, 이름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동응답기능부(230)는 자동 응답을 위한 안내 메시지인 아웃 고잉 메시지(Out Going Message)와 녹음된 메시지인 인커밍 메시지(Incoming Message)를출력 및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213)를 통해 상기 통화회로부(218)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 하에 상기 통화회로부(218)에서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거나, 녹음한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재생하여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213), 스피커 증폭부(216)를 통해 스피커(217)로 출력하거나 상기 통화회로부(218)에 출력한다.
상기 자동응답기능부(230)의 코덱(231)은 녹음모드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재생모드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217) 또는 상기 통화회로부(218)에 출력한다.
상기 음성메모리(232)는 녹음 모드시 상기 음성제어부(233)의 제어 하에 음성 메시지를 지정된 영역에 녹음하고, 재생모드시 상기 음성제어부(233)의 제어 하에 지정된 영역에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음성 메모리(232)는 내부에 각종 아웃 고잉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음성제어부(233)는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 하에 녹음모드시 상기 코덱(231)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녹음할 수 있도록 압축 부호화하여 출력하며, 재생모드시 출력할 음성 데이터를 억세스 한 후 신장 복호화 하여 상기 코덱(231)에 출력한다. 상기 음성제어부(233)는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녹음된 메시지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녹음 테이블을 구비한다.
상기 음성검출부(240)는 음성인식 기능 설정 중에 상기 마이크(215)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이를 증폭 및 필터링 함으로써 상기 마이크(215)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잡음을 제거하고 순수 음성신호만을 추출한다.
상기 음성인식부(250)는 상기 음성검출부(240)에서 검출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특징 추출 및 패턴 인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패턴과 비교 판단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60)는 음성인식 데이터베이스로서, 사용자가 등록한 음성인식에 의한 음성 다이얼링시의 음성, 예를 들어 '일일구(119)', '경찰서', '홍길동' 등의 음성이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음성인식부(25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패턴 데이터 및 특징 추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223)는 전화기의 기능에 따른 제반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상기 제어부(223)는 음성 다이얼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215)를 통해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검출부(240), 음성인식부(250) 및 데이터베이스(260)를 통해 등록된 음성인가를 인식하도록 제어하고, 등록된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의 자동 다이얼링을 제어하고, 스피커(217)와 마이크(215) 및 통화회로부(218) 등을 제어하여 스피커폰 통화가 구현되도록 하여 손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도 핸즈프리 통화가 구현될 수 있도록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의 음성인식 처리를 위한 구성부들의 처리 순서도로서, 상기 음성검출부(240)는 내부에 전압검출부(241), 제1증폭부(242),제2증폭부(243), 고역통과 필터(244) 및 저역통과 필터(245)를 구비하며, 상기 음성인식부(250)는 내부에 A/D 변환부(251), 특징 추출부(252) 및 패턴 인식부(253)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223)에 연결된다.
상기 음성검출부(240)에 구비되는 각 구성부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마이크(215)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전압검출부(241)에서 전압으로 변환하며, 이 변환된 신호는 다시 상기 제1 및 제2증폭부(242, 243)를 경유시켜 증폭한다. 그리고, 증폭된 신호는 다시 상기 고역통과 필터(244)와 저역통과 필터(245)를 경유시켜 사람의 음성 이외의 잡음을 제거하여 사람의 음성신호만을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음성검출부(240)에서 증폭 및 필터링된 음성신호는 다시 상기 음성인식부(250)의 상기 A/D 변환부(251)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며, 상기 특징 추출부(252)를 통해 음성신호의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패턴 인식부(253)를 통해 패턴을 인식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223)에 인가한다.
상기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는 음성인식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음성인식 처리가 이루어지면, 이후 전화기에서는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 하에 자동 다이얼링 및 스피커폰 통화가 이루어지는데 이를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의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구현을 위한 처리 절차도로서, 310단계에서 음성인식 기능(또는, 음성 다이얼 기능) 설정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215)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상기 음성검출부(240)를 통해 음성신호만 검출되어 추출되고, 320단계에서 상기 음성인식부(250)에서 특징 추출 및 패턴 인식과정을 통해 음성을 인식하고, 330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등록 음성을 상기 음성인식부(250)를 통해 인식되는 음성과 비교 판단하여 입력된 음성이 등록된 음성과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 그래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60)에 등록된 음성과 일치하는 음성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340단계로 진행하여 등록된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메모리(224)의 전화번호 테이블(224a)에서 독출하여 상기 제어부(223)는 통화회로부(218) 및 전화라인 스위치(219)를 통해 국선으로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착신측과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면 35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23)는 상기 스피커(217)와 마이크(215)와 통화회로부(218) 등을 제어하여 스피커폰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해 핸즈프리 통화를 구현하기 위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1의 구성부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4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23)는 음성 다이얼 기능 또는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기능이 설정되면 413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12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4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23)는 상기 마이크(215), 음성검출부(240) 및 음성인식부(250)를 구동하여 음성인식 동작을 준비한다. 이후, 41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23)는 상기 마이크(415)를 통해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여 오디오 신호가 상기 마이크(415)를 통해 입력되면 4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23)는 상기 도 2와 같은 음성 검출 및 음성인식 동작에 의거 상기 음성검출부(240)와 상기 음성인식부(250)를 구동하여 상기 마이크(215)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 중에서 음성 신호만을 추출하여 특징 추출 및 패턴 인식을 통해 음성을 판단하고, 이렇게 판단된 음성을 상기 데이터베이스(260)에 음성 다이얼로 등록된 음성 중에서 일치하는 음성이 있는가를 판단한다.
그래서, 상기 제어부(223)는 416단계에서 상기 판단 결과 음성 다이얼로 등록된 음성의 입력이 있음을 판단하면 417단계로 진행하고, 등록된 음성의 입력이 없다면 상기 414단계로 리턴한다.
상기 41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23)는 상기 메모리(224)를 제어하여 해당 음성 다이얼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저장된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로부터 해당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418단계에서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상기 다이얼링 수행에 의거 4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23)는 다이얼링을 수행한 착신측과 통화로가 형성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착신측과 통화로가 형성되면 상기 제어부(223)는 420단계로 진행하고,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착신측에서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 등과 같이 소정 시간동안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23)는 상기 자동응답기능부(230)을 제어하여 음성 재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출하여 상기 마이크(215)를 통해 음성 입력을 대기하고, 상기 마이크(215)를 음성 재입력이 이루어지면 입력된 음성을 판단하여 등록된 음성 다이얼 정보 중에서 등록된 음성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동작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상기 음성 다이얼수행후 통화중 등으로 인해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일정 시간 간격으로 통화로가 형성될 때까지 설정된 횟수만큼 재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동작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419단계에서 다이얼링한 착신측과 통화로가 형성되면 상기 제어(223)는 420단계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위한 마이크(215), 스피커(217) 및 통화회로부(218) 등의 구성부를 제어하여 스피커폰을 구동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23)는 421단계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구현하도록 각 구성부를 제어하고, 422단계에서 통화 종료가 감지되면 423단계로 진행하여 대기모드(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기능이 설정된 대기모드)를 구동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체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음성 다이얼링에 의해 스피커폰 통화를 구현할 수 있어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경우나 전화기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위치한 경우나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 있는 경우에도 일반 전화기에서 핸즈프리 통화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보다 광의의 효과는 '보다 편리하게', '보다 유용하게', '보다 간편하게'라는 기술이나 발명의 궁극적 목적지를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일상생활에 유용한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Claims (3)

  1. 음성 다이얼 기능과 스피커폰 통화 기능과 음성 다이얼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을 구비하는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구현방법에 있어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이 음성 다이얼로 등록된 음성과 일치하면 해당 음성 다이얼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로부터 독출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제1단계;
    상기 음성 다이얼이 수행되어 착신측과 통화로가 형성되면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는 스피커폰을 구동하여 스피커폰 통화를 구현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구현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이얼 수행후 소정 시간동안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음성 재입력을 요구하는 제3단계와,
    상기 음성 재입력에 의거 음성이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제1 및 제2단계를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제4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구현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이얼 수행후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재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구현방법.
KR1020010076620A 2001-12-05 2001-12-05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구현방법 KR20020005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620A KR20020005554A (ko) 2001-12-05 2001-12-05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620A KR20020005554A (ko) 2001-12-05 2001-12-05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구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554A true KR20020005554A (ko) 2002-01-17

Family

ID=1971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620A KR20020005554A (ko) 2001-12-05 2001-12-05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55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515A (ko) * 2002-10-22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의 제어 방법
KR20080026691A (ko) * 2006-09-21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에서 음성 다이얼링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095A (ko) * 1996-02-05 1997-09-12 구자홍 음성인식 전화기의 데이타 저장 및 자동 다이얼링 제어방법
KR19980065571A (ko) * 1997-01-13 1998-10-15 김광호 음성인식에 의해 통화수행 가능한 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JPH1117796A (ja) * 1997-06-19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認識電話装置
KR20000073412A (ko) * 1999-05-10 2000-12-05 유명호 휴대용단말기에서의 음성자동다이얼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095A (ko) * 1996-02-05 1997-09-12 구자홍 음성인식 전화기의 데이타 저장 및 자동 다이얼링 제어방법
KR19980065571A (ko) * 1997-01-13 1998-10-15 김광호 음성인식에 의해 통화수행 가능한 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JPH1117796A (ja) * 1997-06-19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認識電話装置
KR20000073412A (ko) * 1999-05-10 2000-12-05 유명호 휴대용단말기에서의 음성자동다이얼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515A (ko) * 2002-10-22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의 제어 방법
KR20080026691A (ko) * 2006-09-21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에서 음성 다이얼링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0932B1 (en) Audible identification of caller and calle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968300A (zh) 利用蓝牙耳机实现自动拨号的方法
KR20020005554A (ko) 일반 전화기에서 음성 다이얼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구현방법
JP2937968B2 (ja) 音声応答電話機
KR200267203Y1 (ko) 음성인식에 의한 자동 메시지 송출 기능을 제공하는 전화기
JP4863837B2 (ja) 電話装置
KR200189400Y1 (ko) 인터넷 전화 및 국선 전화 겸용 전화기
KR100362526B1 (ko) 간접음성 응답기능을 갖는 통신기기용 단말기
KR200367433Y1 (ko) 스피커 폰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433027B1 (ko) 컴퓨터와 전화기 유도 결합장치
KR100207819B1 (ko) 난청자용 전화기
KR100732962B1 (ko) 발신자정보를 이용한 음성벨 출력 방법
KR200254224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유무선 전화기의 발신자 번호 음성안내 장치
KR100245624B1 (ko) 사용자설정 우선 메모기능을 갖는 전화기
JPH11194795A (ja) 音声認識作動装置
KR20030039039A (ko) 음성 인식에 의한 전화 발신자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010049024A (ko) 전화기의 비밀 번호 자동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송출 방법
KR20050008251A (ko)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방법
JP2006180442A (ja) 携帯電話音声認識中継装置
JPH02134050A (ja) 音声モニタ付電話装置
KR20010090058A (ko) 발신자 번호 표시 유무선 전화기의 발신자 번호 음성 안내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23001A (ko) 컴퓨터를 이용한 유무선전화기의 데이터 자동변환방법
KR20020052004A (ko) 음성인식 전화기
JPS62232241A (ja) 自動応答電話器
JPH02270452A (ja) 音声発信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