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153A - 컨텐츠 판매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 판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153A
KR20020005153A KR1020000039142A KR20000039142A KR20020005153A KR 20020005153 A KR20020005153 A KR 20020005153A KR 1020000039142 A KR1020000039142 A KR 1020000039142A KR 20000039142 A KR20000039142 A KR 20000039142A KR 20020005153 A KR20020005153 A KR 20020005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module
personal
web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9095B1 (ko
Inventor
김재형
김지한
홍종철
Original Assignee
김재형
김지한
홍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형, 김지한, 홍종철 filed Critical 김재형
Priority to KR10-2000-0039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095B1/ko
Publication of KR2002000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095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떤 사용자가 자신이 직접 창안한 컨텐츠를 상기한 시스템에 자신이 합당하다고 생각하는 컨텐츠 제공료를 함께 제시하여 올리면 상기한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다른 사용자가 직접 소정의 대가를 지불하거나 상기한 시스템과 광고 실시 계약을 맺은 광고 스폰서가 제공하는 광고가 상기한 컨텐츠에 삽입되어 다른 사용자에게 광고가 실시됨으로써 발생하는 광고 수익의 일부를 컨텐츠를 창안한 사용자에게 컨텐츠 제공 대가를 지불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하며 아울러 컨텐츠 제공 사용자에게 대가를 지급함으로써 창안한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의 보호를 꾀할 수 있는 컨텐츠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컨텐츠 제공 사용자는 자신의 온갖 노력의 산물인 컨텐츠를 제공하여 이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급받음으로써 자신의 컨텐츠에 대한 고부가가치화를 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암호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컨텐츠의 불법적인 이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저작권의 보호도 아울러 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판매 시스템{System for selling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떤 사용자가 자신이 직접 창안한 컨텐츠를 상기한 시스템에 자신이 합당하다고 생각하는 컨텐츠 제공료를 함께 제시하여 올리면 상기한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다른 사용자가 직접 소정의 대가를 지불하거나 상기한 시스템과 광고 실시 계약을 맺은 광고 스폰서가 제공하는 광고가 상기한 컨텐츠에 삽입되어 다른 사용자에게 광고가실시됨으로써 발생하는 광고 수익의 일부를 컨텐츠를 창안한 사용자에게 컨텐츠 제공 대가를 지불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하며 아울러 컨텐츠 제공 사용자에게 대가를 지급함으로써 창안한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의 보호를 꾀할 수 있는 컨텐츠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컨텐츠란 원래 서적, 논문 등의 내용이나 목차를 일컫는 말이었지만 현재는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정보를 통칭하는 말로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PC통신 등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정보 내용물, CD-ROM 등에 담긴 영화나 음악, 게임 소프트웨어 등이 모두 이에 속하며 통상 이러한 컨텐츠에는 창안한 사람의 온갖 노력의 산물이 배어 있다.
이러한 컨텐츠의 배포에 문제가 되는 점은 컨텐츠의 불법적인 변형, 도용, 무단 복제 등으로 인한 창안자의 창작 의욕 저하를 들 수 있는데 창작물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을 수 있으며 현재와 같이 인터넷망이 발달한 상황에 있어서는 컨텐츠의 불법적 이용이 더욱 활개 칠 수 있는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현상에 착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떤 사용자가 자신이 직접 창안한 컨텐츠를 상기한 시스템에 자신이 합당하다고 생각하는 컨텐츠 제공료를 함께 제시하여 올리면 상기한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다른 사용자가 직접 소정의 대가를 지불하거나 상기한 시스템과 광고 실시 계약을 맺은 광고 스폰서가 제공하는 광고가 상기한 컨텐츠에 삽입되어 다른 사용자에게 광고가 실시됨으로써 발생하는 광고 수익의 일부를 컨텐츠를 창안한 사용자에게 컨텐츠 제공 대가를 지불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하며 아울러 컨텐츠 제공 사용자에게 대가를 지급함으로써 컨텐츠의 고부가가치화를 추구하고 창안한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의 보호를 꾀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이용한 실시 모델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컨텐츠 판매 시스템(웹폴더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을 이용한 실시 양태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웹폴더 서버에 제공된 컨텐츠에 대한 제공 대가를 컨텐츠 제공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상에 광고가 실시되는 예시도이다.
우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이 컨텐츠 제공 사용자가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일반 사용자의 컨텐츠 취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컨텐츠 제공/취득 서비스라 칭하고 이하 설명을 진행하며 본 발명의 컨텐츠 판매 시스템은 웹폴더를 이용하여 상기의 서비스를 실시하므로 웹폴더 서버와 그 의미가 동격임을 미리 밝혀둔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컨텐츠 판매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 사용자 또는 일반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취득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시스템에 접속함을 인식하는 접속 인식 모듈, 두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속시 입력한 ID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ID와 패스워드가 기 등록된 것인지 판단하는 사용자 식별 모듈, ID와 패스워드가 사용자 식별 모듈로부터 기 등록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두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신규회원 가입의 절차를 수행하는 사용자 등록 모듈, 개인정보에 암호화 과정을 거쳐 암호키를 부여하는 암호화 모듈, 두 사용자에게 시스템의 공유 웹폴더 공간과 개인 웹폴더 공간을 제공하는 공간 제공 모듈, 컨텐츠 제공 사용자가 자신이 창안한 컨텐츠를 공유 웹폴더 공간에 업로드 의뢰하거나 두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컨텐츠를 상기 개인 웹폴더 공간에 업로드 의뢰하는 컨텐츠 업로드 의뢰 모듈, 컨텐츠를 공유 웹폴더 공간에 업로드하거나 개인 컨텐츠를 개인 웹폴더 공간에 업로드하는 컨텐츠 업로드 모듈, 일반 사용자가 공유 웹폴더 공간에 저장된 여러 컨텐츠 중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의 취득을 요청하거나 두 사용자가 개인 웹폴더 공간에 저장된 개인 컨텐츠의 취득을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모듈, 두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에 대하여 CD로 제작을 요청한 경우 CD를 제작하는 CD 제작 모듈, 두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에 대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한 경우 컨텐츠를 인스톨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두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하는 컨텐츠 다운로드 모듈, 일반 사용자가 취득한 공유 웹폴더 공간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하여 소정의 수수료 납입 방식에 따라 수수료 납입의 절차를 수행한 후 수수료의 일부를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제공 대가를 지불하는 지불 모듈, 두 사용자에게 소정의 사항을 통보하는 통보 모듈, 각 모듈로부터 산출되거나, 각 모듈의 구동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소정의 저장 데이터베이스(DB), 각 모듈간 정보의 전송 및 정보의 적정 처리를 담당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한 CD 또는 인스톨 파일에는 광고 정보가 추가될 수 있으며 상기한 광고 정보는 컨텐츠 판매 시스템과 광고 실시 계약을 맺은 광고 스폰서가 제공하며 이 경우 시스템은 광고 스폰서로부터 광고 실시에 대한 소정의 수수료 납입의 절차를 수행하는 광고 실시료 납입 모듈을 더 포함하며 광고 스폰서의 제반 사항, 광고 스폰서가 제작한 광고, 광고 실시료에 관련된 정보 등을 저장하는 광고 스폰서 DB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수수료 납입 방식은 일반 사용자 본인이 부담하는 납입 방식과 상기한 광고를 이용한 납입 방식으로 대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을 이용한 실시 모델의 개념도이다.
웹폴더 서버(200)는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와 일반 사용자(400)에게 공유 웹폴더 공간과 개인 웹폴더 공간을 제공한다(E100). 공유 웹폴더 공간과 개인 웹폴더 공간을 제공받은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와 일반 사용자(400)는 자신의 컨텐츠 파일 또는 개인용 파일을 서버(200)에 업로드시켜 개인 웹폴더 공간에 저장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는 공유 웹폴더 공간에 자신이 직접 창안한 컨텐츠 파일을 업로드하여 이 파일에 합당한 가격을 제시할 수 있다(E110).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와 일반 사용자(400)가 다른 여러 공유 웹폴더 공간에 있는 여러 자료중 원하는 것과 자신의 개인 웹폴더 공간에 저장하였던 개인 컨텐츠에 대해 서버(200)에 CD 제작을 의뢰하면 웹폴더 서버(200)는 CD를 제작하여 이를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와 일반 사용자(400)에게 배송하거나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와 일반 사용자(400)는 상기한 자료들을 웹폴더 서버(200)에 직접 접속하여 다운로드를 받을 수도 있다(E120).
일반 사용자(400)가 공유 웹폴더 공간에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요청하여(E130) 웹폴더 서버(200)로 CD 제작을 의뢰하면 웹폴더 서버(200)는 CD를 제작하여 이를 일반 사용자에게 배송하며(E140), 일반 사용자(400)가 만일 선택/요청한 자료나 정보를 CD 로 아닌 서버(200)로부터 직접 다운로드 받기를 원할 때에는 서버(200)가 상기한 자료나 정보를 인스톨 파일로 변환시킨 후 이 인스톨 파일을 일반 사용자(400)에게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하며(E140) 일반 사용자는 이 인스톨 파일을 실행시켜 자신이 선택한 컨텐츠를 확인하거나 이용한다. 서버(200)는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에게 컨텐츠 제공 대가를 지급하게 되는데(E170) 일반 사용자(400)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제공 대가를 일반 사용자(300) 본인이 직접 부담하거나(E150) 서버(200)와 광고 실시 계약을 맺은 광고 스폰서(500)가 제공하는 광고를 상기한 CD의 여유 공간이나 인스톨 파일에 삽입하여 일반 사용자(400)에게 광고를 실시하여 광고 스폰서(500)로부터 광고 실시에 대한 광고 실시료를 지급받아(E160) 이 중 일정 비율을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에게 지급함으로써 컨텐츠 제공 대가에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CD의 여유 공간이나 인스톨 파일에는 사용자(300, 400) 본인의 개인 컨텐츠도 아울러 첨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양태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컨텐츠 판매 시스템(웹폴더 서버)의 구성도이다.
사용자(300,400)가 웹폴더 서버(200, 이하 서버)에 접속하면 인터넷(180)과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170)을 통해 중앙처리부(10)로 소정의 데이터(이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의 전송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TCP/IP 프로토콜 형태의 데이터가 될 것이며 그 데이터의 내용은 컨텐츠를 제공/취득 서비스를 이용하겠다는 내용이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가 포함되어 있다)가 전송되며 중앙처리부(10)는 접속 인식 모듈(20)로 상기한 데이터를 전달한다. 접속 인식 모듈(20)은 위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서버(200)에 접속 요청이 왔음을 인지하고 소정의 데이터로 코딩된 사용자의 ID 데이터 및 패스워드 데이터를 사용자 식별 모듈(30)에 전송하게 된다.
사용자의 ID 데이터 및 패스워드 데이터를 입력받은 사용자 식별 모듈(30)은 해당하는 ID 및 패스워드가 있는지의 확인을 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 식별 모듈(30)이 사용자의 ID 데이터 및 패스워드 데이터를 입력받았음을 중앙처리부(10)로 통지하며 중앙처리부(10)는 사용자 DB(190)에 독출 신호를 인가하여 사용자 DB(190)의 데이터를 독출해내어 이를 사용자 식별 모듈(30)에 전송한다. 사용자 식별 모듈(30)은 사용자 DB(190)로부터 받은 데이터와 입력받은 사용자의 ID 데이터 및 패스워드 데이터를 비교하여 입력된 ID 데이터 및 패스워드 데이터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1) 기 등록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이럴 경우 사용자 식별 모듈(30)은 서버(200)에 접속한 사용자(300,400)가 신규 회원이라 판단하며 사용자 등록 모듈(40)로 신규 회원 가입 요청이 왔음을 통지한다.
신규 회원 가입 요청 통지를 받은 사용자 등록 모듈(40)은 중앙처리부(10)로 신규 회원이 접속하였음을 통지하며, 중앙처리부(10)는 통보 모듈(140)을 통해 사용자(300,400)의 웹브라우저상에 신규 회원 가입 페이지를 띄우게 되며, 최초 접속 사용자는 회원 가입 페이지상에 제시된 개인정보에 관련된 여러 항목을 입력한다. 개인정보에 관련된 여러 항목은 암호화 모듈(110)에 의해 소정의 암호화 과정을 거쳐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암호키가 부여되며 암호키는 암호키 DB(191)에 기록된다. 이 때 상기한 소정의 암호화 과정은 비밀키 방식과 공개키 방식 등 여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떤 방식을 쓸 것인가는 서버(200) 설계자의 소관 사항이다. 암호화의 주된 이유는 컨텐츠의 불법적인 변형을 막고 각 사용자의 데이터에 대한 보안 유지 등의 이유이다. 사용자(300,400)가 '저장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상기한 항목들은 소정의 데이터로 코딩된 뒤 인터넷(180),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170)을 거쳐 중앙처리부(10)에 도달하며, 중앙처리부(10)가 사용자 DB(190)에 기록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한 항목 데이터를 저장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한 항목 데이터의 예로는 이름, 주민등록번호, 사용 희망 ID, 패스워드, 이메일 주소,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 나이, 생일, 취미, 관심사항, 직업, 결혼 여부, 자가용 소유 여부 등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 관리자가 그 항목을 정하기 나름이다. 또한 사용자는 신규 가입일 경우에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로서 인지 일반 사용자(400)로서인지를 선택하여 가입이 가능하다.
사용자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중앙처리부(10)는 공간 제공 모듈(50)을 통해 신규 등록한 사용자에게 공유 웹폴더 공간(90), 개인 웹폴더 공간(160)을 제공하게 된다.
2) 기 등록된 것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이 경우에는 사용자 식별 모듈(30)에 의하여 서버(200)에 접속한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인지 일반 사용자(400)인지 판별되며 두 사용자는 자신에게 기 제공된 공유 웹폴더 공간(90), 개인 웹폴더 공간(160)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하는 등의 제반 과정이 진행된다. 이하 상기한 제반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을 이용한 실시 양태의 흐름도이다.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와 일반 사용자(400)는 서버(200)에 접속하여(S301) 컨텐츠 업로드 의뢰 모듈(60)을 통해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는 자신이 창안한 컨텐츠를 공유 웹폴더 공간(90)에 업로드 의뢰하거나 두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컨텐츠를 개인 웹폴더 공간(160)에의 업로드를 의뢰한다(S302). 이 때 업로드 의뢰하는 컨텐츠의 개수는 복수개가 될 수 있다. 중앙처리부(10)는 통보 모듈(140)을 통하여 컨텐츠 업로드폼(폼:form)을 보여주며(S303) 두 사용자는 업로드폼에 맞추어 자신의 컨텐츠를 컨텐츠 업로드 모듈(70)을 통해 업로드하게 되며 이와 함께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는 공유 웹폴더 공간(90)에 업로드 의뢰한 컨텐츠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대가를 제시한다(S304). 이 때 업로드폼은 서버(200)의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업로드 화면에 제시된 특정 양식이 될 것이며 파일의 업로드는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FTP(File Transfer Protocol) 등 다양한 데이터 전송 방식에 의해서 가능할 것이다. 중앙처리부(10)는 업로드한 사실을 인지하여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공유 웹폴더 공간(90)에 기록하거나 두 사용자가 업로드한 개인 컨텐츠를 개인 웹폴더 공간(160)에 기록하는데 개인 컨텐츠에는 중앙처리부(10)가 암호키 DB(191)로부터 개인 컨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에 해당하는 암호키를 독출하여 상기한 개인 컨텐츠에 암호키를 삽입하며(S505) 개인 웹폴더 공간(160)에 기록신호를 인가하여 암호키가 삽입된 개인 컨텐츠를 기록시킨다(S305). 중앙처리부(10)는 또한 통보 모듈(140)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업로드된 컨텐츠 목록 및 공유 웹폴더 공간(9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료를 제시한다.
일반 사용자(400)는 컨텐츠 요청 모듈(80)을 통하여 공유 웹폴더 공간(90)에 저장된 여러 컨텐츠 중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단수개 혹은 복수개를 선별/요청한 후(S306)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수수료의 납입 방식을 결정하고(S307), 선별/요청한 컨텐츠에 대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하거나 CD제작을 요청하며(S308) 이 요청을 인지한 중앙처리부(10)는 일반 사용자(400)가 다운로드를 요청시에는 선택된 컨텐츠를 일반 사용자(400)의 단말기에 전송하라는 명령을 컨텐츠 다운로드 모듈(100)에 내리며(S311) 컨텐츠 다운로드 모듈(100)은 암호키 DB(191)로부터 컨텐츠를 선택한일반 사용자(400)와 해당 컨텐츠를 제공한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에 해당하는 암호키를 독출, 복호화한 후(S312) 공유 웹폴더 공간(90)에서 복호화된 암호키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독출하여 이를 인스톨 파일로 변형하며(S313) 이 인스톨 파일을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170)과 인터넷(180)을 통하여 전송한다(S314). 이 때 만일 일반 사용자(400)가 자신의 개인 웹폴더 공간(160)에 저장된 개인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한 인스톨 파일에는 개인 컨텐츠가 더 삽입될 수 있다.
일반 사용자(400)는 인스톨 파일을 다운받아 자신의 단말기상에 설치한 뒤 컨텐츠를 이용하게 되며 일반 사용자(400)가 결정된 납입 방식에 의해 요청한 컨텐츠에 대한 수수료가 서버(200)에 납부된다(S321).
일반 사용자(400)가 CD제작을 요청시에는 CD 제작 모듈(120)에 CD제작 명령을 하달하게 되며(S316) CD 제작 모듈(120)은 암호키 DB(191)로부터 컨텐츠를 선택한 일반 사용자(400)와 해당 컨텐츠를 제공한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에 해당하는 암호키를 독출, 복호화(S317)한 후 공유 웹폴더 공간(90)에서 복호화된 암호키에 해당되는 컨텐츠를 독출하여 CD를 제작하게 되며(S318) 제작된 CD에 대한 키 값을 생성하여 이를 CD키 DB(192)에 저장하며(S319) 제작된 CD를 일반 사용자(400)에게 배송한다(S320). 이 때 만일 일반 사용자(400)가 자신의 개인 웹폴더 공간(160)에 저장된 개인 컨텐츠를 CD로 배송받기 원할 경우는 상기한 CD의 여유 공간에 개인 컨텐츠가 삽입될 수 있다. 일반 사용자(400)는 CD를 배송받아 자신의 단말기상에서 CD를 구동시켜 컨텐츠를 이용하게 되며 일반 사용자(400)가 결정된 납입 방식에 의해 요청한 컨텐츠에 대한 수수료가 서버(200)에 납부된다(S321). 배송이 완료되면중앙처리부(10)는 배송 상황 DB(192)에 CD 제작시간, 배송시간, 일반 사용자 주소, 배송한 CD의 용량 정보 등의 배송 관련 정보를 기록한다.
이 때 상기한 수수료 납입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도 4참조),
(1) 일반 사용자(400)가 납입 방식을 본인이 부담하는 납입 방식으로 결정하면 지불 모듈(130)을 통하여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소정의 수수료를 납입하게되는데 현금 결제, 은행 계좌 번호, 신용 카드 계좌 번호 등 자신이 원하는 수수료 납입 방식을 서버(200)에 전송하면 서버(200)는 지불 모듈(130)을 통해 일반 사용자(400)가 선택한 납입의 방식으로 수수료를 수납하게된다. 일반 사용자의 수수료 납입에 관한 제반 사항(예를 들어 결재 형태, 정보 이용료, 납입 일시 등)은 대금 결재 DB(194)에 저장된다.
(2) 일반 사용자(400)가 납입 방식을 광고를 이용한 납입 방식으로 결정하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는데
?? 일반 사용자(400)가 CD제작을 요청시에는 CD 제작 모듈(120)이 광고 스폰서 DB(195)에 저장된 특정 광고를 독출하여(S401) 제작된 CD의 여분의 공간에 광고를 삽입시켜(S402) 일반 사용자(400)가 CD를 배송받아 CD를 실행시키는 중에 상기한 광고를 실시한다(S404). 이 경우에 일반 사용자(400)는 CD의 저장 용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광고가 삽입될 수 있는 최소한의 여분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을 때까지만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광고 실시에 대한 수수료는 광고 실시료 납입 모듈(150)을 통해 광고 스폰서(500)로부터 받음으로써(S406) 일반 사용자(400)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소정의 수수료를 대체하며 중앙처리부(10)는 상기한 광고 스폰서(500)의 제반 사항, 광고 스폰서(500)가 제작한 광고, 일반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따른 광고수수료 정보 등을 광고 스폰서 DB(195)에 저장시킨다.
?? 일반 사용자(400)가 다운로드를 요청시에는 컨텐츠 다운로드 모듈(100)이 광고 스폰서 DB(195)에 저장된 특정 광고를 독출하여(S401) 상기에서 언급한 인스톨 파일에 광고를 삽입하여(S403) 일반 사용자(400)가 인스톨 파일을 설치하는 과정 중에 일반 사용자(400)의 단말기 화면에 광고가 실시되게 하며(S405) 광고 실시에 대한 광고 실시료를 광고 실시료 납입 모듈(150)을 통해 광고 스폰서(500)로부터 받음으로써(S406) 일반 사용자(400)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소정의 수수료를 대체하며 중앙처리부(10)는 상기한 광고 스폰서(500)의 제반 사항, 광고 스폰서(500)가 제작한 광고, 일반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따른 광고수수료 정보 등을 광고 스폰서 DB(195)에 저장시킨다. 이 때 상기한 인스톨 파일에 광고를 삽입하는 과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일반 사용자(400)가 원하는 컨텐츠를 선별하면 선별된 컨텐츠는 서버(200)의 임시 공간(미도시)에 저장되며 저장된 컨텐츠는 인스톨 쉘드 프로그램에 삽입된다. 일반 사용자(400)의 단말기에 인스톨이 진행되는 동안 단말기의 화면에 제시될 광고가 광고 스폰서 DB(195)에서 독출되어 인스톨 쉘드 프로그램에 삽입되며 컨텐츠 다운로드 모듈(100)은 상기한 인스톨 쉘드 프로그램에 삽입된 컨텐츠 및 광고를 하나의 인스톨 파일로 제작한다.
??와 ?? 경우의 광고 실시의 예시도가 도 5에 제시되어 있다.
a는 인스톨 파일에 삽입된 스폰서 광고이며 b는 인스톨 파일이 실행되어 사용자가 선별한 컨텐츠가 형성되는 진행 과정을 나타내며 c는 형성 중인 파일명이제시되는 창이다.
컨텐츠에 대한 수수료 정산이 종료되면 중앙처리부(10)는 수수료의 일부를 지불 모듈(130)을 통해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에게 소정의 컨텐츠 제공 대가를 지불하게 되며(S322) 지불된 사항에 대한 정보는 대금 결재 DB(194)에 저장된다.
컨텐츠 제공 사용자(300)가 자신의 개인 컨텐츠를 서버(200)로부터 받아 이용, 확인하는 경우는 일반 사용자(400)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 설명은 약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 실시예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컨텐츠 제공 사용자는 자신의 온갖 노력의 산물인 컨텐츠를 제공하여 이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급받음으로써 자신의 컨텐츠에 대한 고부가가치화를 꾀할 수있으며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암호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컨텐츠의 불법적인 이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저작권의 보호도 아울러 꾀할 수 있다.

Claims (6)

  1. 컨텐츠 판매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사용자 또는 일반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취득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시스템에 접속함을 인식하는 접속 인식 모듈;
    상기 두 사용자가 상기 시스템에 접속시 입력한 ID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ID와 패스워드가 기 등록된 것인지 판단하는 사용자 식별 모듈;
    상기 ID와 패스워드가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로부터 기 등록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두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신규회원 가입의 절차를 수행하는 사용자 등록 모듈;
    상기 개인정보에 암호화 과정을 거쳐 암호키를 부여하는 암호화 모듈;
    상기 두 사용자에게 상기 시스템의 공유 웹폴더 공간과 개인 웹폴더 공간을 제공하는 공간 제공 모듈;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가 자신이 창안한 컨텐츠를 상기 공유 웹폴더 공간에 업로드 의뢰하거나 상기 두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컨텐츠를 상기 개인 웹폴더 공간에 업로드 의뢰하는 컨텐츠 업로드 의뢰 모듈;
    상기 창안된 컨텐츠를 상기 공유 웹폴더 공간에 업로드하거나 상기 개인 컨텐츠를 상기 개인 웹폴더 공간에 업로드하는 컨텐츠 업로드 모듈;
    상기 일반 사용자가 상기 공유 웹폴더 공간에 저장된 여러 컨텐츠 중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의 취득을 요청하거나 상기 두 사용자가 상기 개인 웹폴더 공간에 저장된 상기 개인 컨텐츠의 취득을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모듈;
    상기 두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에 대하여 CD로 제작을 요청한 경우 상기 CD를 제작하는 CD 제작 모듈;
    상기 두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에 대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한 경우 상기 요청 컨텐츠를 인스톨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두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하는 컨텐츠 다운로드 모듈;
    상기 공유 웹폴더 공간으로부터 상기 일반 사용자가 취득한 컨텐츠에 대하여 소정의 수수료 납입 방식에 따라 수수료 납입의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수수료의 일부를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제공 대가를 지불하는 지불 모듈;
    상기 두 사용자에게 소정의 사항을 통보하는 통보 모듈;
    상기 각 모듈로부터 산출되거나, 상기 각 모듈의 구동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소정의 저장 데이터베이스(DB);
    상기 각 모듈간 정보의 전송 및 상기 정보의 적정 처리를 담당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판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저장 DB는
    상기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DB;
    상기 암호화 모듈이 암호화 과정을 통해 상기 개인 정보에 부여하는 고유한 암호키를 저장하는 암호키 DB;
    상기 CD가 상기 일반 사용자에게 배송된 후 배송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배송 상황 DB;
    상기 CD 제작 모듈이 상기 CD를 제작시 상기 CD에 부여하는 고유키 정보를 저장하는 CD 키 DB; 및
    상기 수수료 납입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 제공 대가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대금 결재 D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판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수수료 납입 방식은 상기 일반 사용자 본인이 부담하여 납입하는 제1 방식과 상기 시스템과 광고 실시 계약을 맺은 광고 스폰서에 의해 제공된 광고가 상기 CD의 여유 공간 또는 인스톨 파일에 첨부되어 상기 일반 사용자에게 상기 광고가 실시됨으로써 상기 광고의 실시료를 상기 광고 스폰서가 상기 시스템에 납입하는 제2 방식 중 상기 일반 사용자가 택일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판매 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사용자가 상기 수수료 납입 방식을 상기 제2 방식으로 선택할 경우에 상기 시스템은 상기 광고 실시료 납입의 절차를 수행하는 광고 실시료 납입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저장 DB에는 상기 광고 스폰서 관련 정보, 상기 광고 스폰서가 제작한 광고, 상기 광고 실시료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 스폰서 DB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판매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컨텐츠는 상기 CD의 여유 공간 또는 상기 인스톨 파일에 첨부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판매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 모듈은
    상기 두 사용자가 상기 시스템에 최초 접속시 상기 사용자의 웹브라우저에 신규 회원 가입 페이지를 제시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업로드 의뢰 모듈을 통해 자신의 컨텐츠의 업로드를 의뢰하면 관련된 업로드폼(폼:form)을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의 웹브라우저에 제시하며;
    상기 두 사용자에게 상기 공유 웹폴더 공간에 업로드된 컨텐츠 목록 및 상기 각 컨텐츠에 대한 정보료를 제시하며;
    상기 두 사용자가 상기 개인 웹폴더 공간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업로드 모듈을 통하여 업로드하고자 하는 경우 관련된 업로드폼을 상기 두 사용자의 웹브라우저에 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판매 시스템.
KR10-2000-0039142A 2000-07-08 2000-07-08 컨텐츠 판매 시스템 KR100509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142A KR100509095B1 (ko) 2000-07-08 2000-07-08 컨텐츠 판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142A KR100509095B1 (ko) 2000-07-08 2000-07-08 컨텐츠 판매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425A Division KR20030059051A (ko) 2003-06-20 2003-06-20 컨텐츠 판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153A true KR20020005153A (ko) 2002-01-17
KR100509095B1 KR100509095B1 (ko) 2005-08-18

Family

ID=1967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142A KR100509095B1 (ko) 2000-07-08 2000-07-08 컨텐츠 판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3609A (ko) * 2006-11-14 2008-05-19 주식회사 눈비커뮤니케이션 온라인 음악앨범제공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112B1 (ko) * 2009-03-11 2011-10-12 박상호 저작물과 광고를 공개라이센스를 이용하여 결합한 컨텐츠 관리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148A (ja) * 1996-09-27 1998-04-24 Sony Corp ディジタルデータの著作権保護方法および保護システム
JPH11120693A (ja) * 1997-10-08 1999-04-30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通信形音楽選曲販売システム
JP4312287B2 (ja) * 1998-12-28 2009-08-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ジタルコンテンツ流通システム
KR100404897B1 (ko) * 1999-11-17 2003-11-10 주식회사 와우프리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 배포장치 및 배포방법
KR20010073436A (ko) * 2000-01-14 2001-08-01 엄창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광고 결합기법 및 다운로드서비스
KR20000024643A (ko) * 2000-02-25 2000-05-06 최창언 광고삽입 음악파일 전송을 통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광고 방법
KR20010104086A (ko) * 2000-05-12 2001-11-24 김태진 커뮤니티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홍보 및 판매 중개 서비스방법
KR20000058652A (ko) * 2000-06-22 2000-10-05 구자홍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KR20020001217A (ko) * 2000-06-27 2002-01-09 박성준 컨텐츠 거래 중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3609A (ko) * 2006-11-14 2008-05-19 주식회사 눈비커뮤니케이션 온라인 음악앨범제공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9095B1 (ko)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1598B1 (en)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protection method
US8533860B1 (en) Personalized digital media access system—PDMAS part II
TW472183B (en) Software authorization system and method
US7149722B1 (en) Retail transactions involving distributed and super-distributed digital content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JP5133400B2 (ja) 知的所有権によって保護されたデジタルファイルの、データ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オンライン分配方法と、当該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を含む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媒体
US20020077987A1 (en) Contents distribution system
CA2384680A1 (en)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apparatus
US8156567B2 (en) Software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py protection
JPH11507774A (ja) データ記憶媒体に対する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3524264A (ja) デジタル形態の知的財産の記憶、分配およびアクセスを行う方法および装置
JP2010009452A (ja) コンテンツ配信用情報印刷媒体、この情報印刷媒体を利用した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KR101350104B1 (ko) 라이센스 중심의 콘텐츠 소비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230165100A (ko) 메타버스 공간에 적용되는 nft 기반의 음원의 등급을 결정 및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40128293A1 (en) Content delivery server and content delivery system having the same
WO2001079971A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downloading content to users
KR100509095B1 (ko) 컨텐츠 판매 시스템
CN1759363A (zh) 数字内容的分发和权利管理
KR20230165101A (ko) 메타버스 공간에 적용되는 nft 기반의 고유 계정 및 암호화를 이용한 음원 및 nft id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4852550B2 (ja) ライセンスされたコンテンツをレンダリングする方法
KR20030059051A (ko) 컨텐츠 판매 방법
JP2004355657A (ja) 電子コンテンツ取引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4030617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トランザクション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0891492B1 (ko) 회원간 컨텐츠 직거래 시스템
JP2004221682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
KR100775876B1 (ko) 디지털데이터의 거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524

Effective date: 200412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