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2403A - 실 공급장치 및 실 제동 몸체 - Google Patents

실 공급장치 및 실 제동 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2403A
KR20020002403A KR1020017011727A KR20017011727A KR20020002403A KR 20020002403 A KR20020002403 A KR 20020002403A KR 1020017011727 A KR1020017011727 A KR 1020017011727A KR 20017011727 A KR20017011727 A KR 20017011727A KR 20020002403 A KR20020002403 A KR 20020002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holding
braking band
membrane
wall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7304B1 (ko
Inventor
야콥슨쿠르트아르네군나르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아이알오 패턴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아이알오 패턴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2000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20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filamentary material during forwarding, e.g. for buffer storage
    • B65H51/22Reels or cages, e.g. cylindrical, with storing and forwarding surfaces provided by rollers or ba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4Yarn braking means acting on the drum
    • D03D47/366Conical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된 저장 몸체를 구비하는 실 공급장치와 제동 요소를 가지는 실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제동 요소는 저장 몸체에 축방향으로 접촉되며 원뿔대모양의 얇은 벽으로 된 제동 밴드(S)를 구비한다.제동 밴드는 플라스틱 또는 탄성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지며 제동 밴드(S)와 동심인 캐리어 링(R)에 결합되는 탄성을 가진 원형의 홀딩 멤브레인(M) 내에 그 외측이 지지된다.본 발명에 따르면 홀딩 멤브레인 내에는 제동 밴드(S)를 위한 홀딩 영역의 적어도 외측에 감소된 벽 두께(S1)를 가진 다수의 부분 구역들(D)이 마련된다.

Description

실 공급장치 및 실 제동 몸체{Yarn feeder and yarn brake body}
유럽특허 EP-A-06 86 128호로부터 알려진 실 공급장치의 실 제동장치의 제동 몸체는 시장에서 "플렉스브레이크(flexbrake)"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고리모양의 멤브레인을 구비하고 그 홀딩 멤브레인은 원주방향에서 일정한 벽 두께를 가진다. 몇몇의 원호 형태의 단면으로 굴곡된 구역들이 제동 밴드의 홀딩 영역과 캐리어 링 사이에 마련된다. 홀딩 멤브레인은 고리모양의 스커트(skirt)를 가지며, 스커트는 여기에 접착된 제동 밴드의 후방 측면을 붙잡고 있다. 실 공급장치에 설치되었을 때, 실 제동 몸체는 금속 합금으로 만들어진 제동 밴드에 의해 저장 몸체의 둥근 회수 림(withdrawal rim)에 가해지는 축방향 예비 인장력에 의해 지지된다. 회수될 때 실은 회수 림 위로 그리고 제동 밴드 아래로 이동하며, 제동 밴드는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제동면을 한정하고 대략 회수 림에 직선 형태로 접촉 면을 가진다. 실 통로의 위치에서 제동 밴드는 회수 림으로부터 상승되며 낫 형태의 중간 공간을 형성한다. 회수되는 동안 실이 회수 림 둘레를 궤도 이동함에 따라 낫 형태의 중간 공간도 실과 함께 이동한다. 회수 동작에 기인하여 실은 부가적으로 실 통로의 위치에서 제동 밴드를 약간 국부적으로 변형시키는 마찰력에 의해 제동 밴드를 작동시켜서 기본적으로 연장되지 않으나 탄성적으로 굽혀질 수 있는 제동 밴드는 그 변형된 장소에 인접한 기복을 형성한다. 홀딩 멤브레인이 제동 밴드 상으로 축방향 예비 인장력을 이동시켜야 하며 제동 밴드를 회수 림의 중심에 맞추어야 하므로, 홀딩 멤브레인은 제동 밴드의 작동 움직임을 뒤따르게 된다. 실 통로의 위치의 부근에서의 제동 벤드의 국부적 변형으로부터 저장 몸체의 회수 림에서의 접촉 압력은 실을 회수할 때 실의 장력이 불규칙하게 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효과는 실 제동장치의 기본적으로 바람직한 자기-보상(self-compensation) 거동을 악화시킨다. 자기-보상 거동은 가능한 한 균일한 실의 장력 프로파일을 유지하기 위해, 회수 방향에서 실의 강한 가속에 의해 실의 인장이 이미 증가된 경우에는 제동 밴드가 자동적으로 제동 능력을 감소시키고, 반대로 실의 강한 감속에 기인하여 실의 장력이 자동적으로 감소된 경우에는 제동 밴드가 자동적으로 제동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 공급장치와 청구항 17의 전제부에 따른 실 제동 몸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구현예가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실 제동장치를 가진 실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실 제동장치에 사용된 실 제동 몸체의 축방향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 제동 몸체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단면도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로부터 더 확대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작동 중에 실의 회수에 있어서 가능한 한 균일한 장력 프로파일을 성취할 수 있으며, 실이 제동 밴드와 저장 몸체의 회수 림 사이를 통과하는 중에 제동 밴드와 제동 밴드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국소 부분에 있어서의 한정되지 않은 변형 과정이 최소화되도록 실 공급장치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과 청구항 17의 특징들 각각에 의해 해결된다.
홀딩 멤브레인(holding membrane) 내에서의 제동 밴드의 지지는 감소된 벽 두께를 가진 부분 구역들에 의해 예기치 못할 정도로 개선될 수 있다. 홀딩 멤브레인의 정상적인 벽 두께와 홀딩 멤브레인의 경도는 각각 알려진 홀딩 멤브레인보다 크게 될 수 있어서 제동 밴드의 홀딩 능력의 확고함이 향상되어 제동 밴드를 회수 림(withdrawal rim)의 중심에 맞추는 것이 개선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부분 구역들에 의해 실이 회수되는 동안 특히 홀딩 영역과 캐리어 링 사이에서 홀딩 멤브레인의 제어된 변형이 성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된 변형에 의해 제동 밴드의 한정되지 않은 변형들이 보상 또는 일소되며, 그렇지 않으면 실의 장력이 불규칙하게 된다. 제동 밴드의 내측을 따라 실이 궤도 이동(orbiting motion)을 하는 중에 회수점(withdrawal point)에 가까운 각각의 부분 구역들은 감소된 벽 두께에 의해 힘을 흡수하고 변형되어(예를 들면 휘거나 움푹 들어가서) 제동 밴드의 한정되지 않은 변형을 피하는데 기여하기 때문에, 상기 효과는 가시적으로 나타난다. 실의 회수에 있어서 비교적 균일한 실의 장력 거동이 성취된다. 감소된 벽 두께를 가지는 부분 구역들에 기인하여 홀딩 멤브레인이 느린 반응 거동을 가지기 때문에 제동 밴드는 바람직한 비반응성(deadness)을 보여준다. 중요한 자기 보상 효과(self-compensation effect)는 심지어 가장 높은 실의 회수 속도까지 그리고 민감한 성질을 가진 실에서도 각각 일어난다. 부분 구역들 내의 감소된 벽 두께의 잇점과 그 덕분에 보풀이 붙을 수 있거나 또는 특히 실 제동장치 내에 실을 꿰는 과정 중에 실이 걸릴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다. 홀딩 멤브레인의 제조는 간단하며, 예를 들면 사출 기구는 구조적으로 간단할 수 있다. 홀딩 영역과 캐리어 링 사이에 예정된 변형이 수행되는 점에 비추어 변형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 구역들은 감소된 벽 두께를 가지나 열려 있지 않도록 닫혀져 형성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부분 구역들은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캐리어 링으로부터 제동 밴드 내부로 주된 힘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링 스포크(spring spoke)들을 한정한다. 상기 스포크들은 바람직하게는 홀딩 멤브레인의 정상적인 벽 두께를 가진다. 부분 구역들의 벽 두께는 홀딩 멤브레인의 정상적인 벽 두께보다 현저하게 작다.
홀딩 멤브레인의 부드럽고 비교적 감쇠된 스프링 특성을 성취하기 위해 홀딩 멤브레인은 홀딩 영역과 캐리어 링(carrier ring)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굴곡부 내에서 스프링 스포크들은 제동 밴드 상에 힘을 전달하는 굴곡된 스프링과 같이 작용한다.
감소된 벽 두께를 가진 부분 구역들은 실제로 스프링 스포크들 사이에 중간 공간들을 형성한다. 상기 중간 공간들은 적어도 홀딩 영역에 인접한 부위가 부유하는 피막과 같은 멤브레인 층에 의해 메워진다. 상기 부분 구역들은 어떠한 형태로도 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면적 중 선택된 부분을 점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분 구역들의 원주방향 폭은 스프링 스포크들의 원주방향 폭과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부분 구역들의 원주방향 폭은 스프링 스포크들의 폭보다 작다. 그러나, 부분 구역들과 스프링 스포크들의 원주방향 폭이 대략 같도록 된 것도 가능하다.
부분 구역들 내의 벽 두께와 스프링 스포크들의 벽 두께 사이의 비율은 대략 1:5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을 벗어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부분 구역들과 스프링 스포크들은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을 향한다. 상기 방향은 저장 몸체로부터의 실의 회수 방향에 관계없이 각각의 회수 방향에 있어서 실 제동 몸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방향은 실 회수 방향에 관계없이 저장 몸체 상에 저장 밴드의 중심을 효율적으로 맞출 수 있게 한다.
부분 구역들은 실질적으로 타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또한 제동 몸체의 제조를 위해 유리하다.
부분 구역들과 스프링 스포크들은 굴곡부의 볼록면에서 본질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한정하여야 한다. 실이 들어오는 방향을 향한 상기 표면은 보풀이 쌓이지 않도록 보장하며 실이 그 표면에 접촉될 때, 예를 들면 실을 꿰는 과정 중에 실이 걸리지 않도록 보장한다. 감소된 벽 두께를 가진 부분 구역들은 그 표면 내에서 예비 인장된 상태 하에 있을 수 있다. 즉, 중간 공간을 메우는 얇은 멤브레인 층은 말하자면 하나 또는 몇몇의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있다.
바람직하게는 굴곡부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원뿔모양 스커트에 의해 안쪽으로 연장된다. 스커트는 제동 밴드를 그 후방에서 지지하며 제동 밴드의 너무 과민하고 강렬한 스프링 거동을 감쇠한다.
내밀어진 립이 홀딩 영역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립은 스커트와 함께 제동 밴드가 삽입되는 열려진 삽입 포켓을 한정한다. 제동 밴드는 스커트에 접착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단지 제동 밴드를 삽입 포켓 내부로 삽입시켜 형상 맞춤에 의해 배타적으로 작동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작동 중에 제동 밴드의 위치는 어쨌든 제동 몸체 상의 접촉 압력과 제동 밴드와 스커트 사이의 접촉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립은 제동 밴드의 폭의 대략 10% 내지 25%의 길이만큼 내밀어져 있다. 상기 치수는 제동 밴드의 설치 또는 삽입 또는 제거를 손쉽게 하며 그렇지만 심지어 제동 몸체의 이동 중에도 제동 밴드의 적정한 위치잡기를 보장한다.
대략 실 제동 몸체의 동일한 반경방향 평면 내에 삽입 포켓과 홀딩 멤브레인으로부터 캐리어 링으로의 전이부를 가지는 것은 운동학적 관계에 있어서 유익하다. 감소된 벽 두께를 가진 부분 구역은 제동 밴드가 그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삽입 포켓의 외측과 약간 거리를 두고 시작된다.
스커트의 벽 두께는 스프링 스포크들의 벽 두께 보다 작으나 부분 구역들 내의 벽 두께 보다는 크다.
홀딩 멤브레인(M)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과 같은 강인한 탄소성 재료(elastic plastic material)로 만들어진 단일의 사출 몰딩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공간들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스프링 스포크들은 하나씩 차례로 작용하며 홀딩 멤브레인의 기능을 위해 중요하다. 만약 그들 사이의 중간 공간들이 홀딩 멤브레인의 얇은 층에 의해 메워진다면 그들은 간단한 도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자인은 사출 몰딩에 의해 홀딩 멤브레인의 제조 공정을 현저히 단순화하며 부유하는 피막 덕분에 중간 공간들이 에너지 분배, 에너지 소실의 감쇠, 제동 밴드의 지지에 관여하는 잇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 공급장치(F)는 실패(도 1에서 좌측에 있으나 도시되지는 않았음)로부터 실(Y)을 끌어당기고, 고정된 저장 몸체(4) 상에 번갈아 실을 중간 저장하며, 그리고 직물 제조기, 예컨대 직기(weaving machine)가 본질적으로 일정한 실의 장력을 가지고 실 제동장치(B)를 통하여 상기 실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실 제동장치(B)는 구조적으로 상기 실 공급장치(F) 내에 합체된다. 실 감는 요소(2a)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2)는 하우징(1) 내에 마련된다. 회전 구동장치(2)와 실 감는 요소(2a)는 실을 저장 몸체 상에 직물 제조기의 시시 각각의 소비에 대처하기 위하여 실 공급량이 항상 충분하도록 중간 저장한다. 하우징 브라켓(8)은 회수 아일릿(eyelet, 5)을 이동시킨다. 슬레이(sley, 7)는 상기 하우징 브라켓(8)을 따라서 조정 가능하다. 상기 슬레이(7)의 조정은 제동 능력을 변화시킨다. 슬레이(7)는 링 형태의 실 제동 몸체(A)를 지지하는 캐리어(carrier, 6)를 이동시켜서 실 제동 몸체(A)가 저장 몸체(4)의 둥근 회수 림에 대해 원뿔대 모양의 제동 밴드(S)로써 가압되도록 한다(도 2 참조). 실(Y)의 회수 중에 실(Y)은 회수 림과 제동 밴드(S)의 내면 사이를 통해 당겨지며, 실 회수점(withdrawal point)은 회수 림 둘레를 궤도를 그리며 돌게 된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다른 상세도로 도시된 실 제동 몸체(A)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진 고리모양의 홀딩 멤브레인(M)을 가진다. 홀딩 멤브레인(M)은 투명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홀딩 멤브레인(M)은 일체로 사출 몰딩된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뿔대 형태의 무한 제동 밴드(S)는 상기 홀딩 멤브레인(M)의 내측부 내에 위치된다. 제동 밴드(S)는 금속 합금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택일적으로 홀딩 멤브레인(M)은 합성물 재료, 예컨대 케블라(Kevlar)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홀딩 멤브레인(M) 내에는 원형의 홀딩 영역(11)에 인접하여 원뿔 모양의 스커트(skirt, 10)가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스커트는 제동 밴드(S)의 배면에 기대어져 있으며 거의 상기 제동 밴드(S)의 내측 가장자리 구역까지 연장된다. 홀딩 영역(11)의 외측에서 홀딩 멤브레인(M)은 본질적으로 90°전이에 의하여 외측 캐리어 링(R) 내부로 연장된 대략 C형태의 굴곡부(L)로 형성된다. 캐리어 링(R)은 제동 밴드(S)와 동심을 이룬다. 선택적으로 캐리어 링(R)은 독자적인 구성 부품으로 만들어져서 홀딩 멤브레인(M)과 연결될 수 있다.
굴곡부(L)는 홀딩 멤브레인(M)의 외부 고리모양 영역(9)을 한정한다. 상기외부 고리모양 영역(9)은 정상적인 멤브레인 벽 두께(S2)보다 작은 감소된 벽 두께(S1)를 가진 부분 구역들(D)(도 4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부분 구역들(D)은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부분 구역들(D)은 각각 예를 들면 벽 두께(S2)를 가진 스프링 스포크들(E) 사이에 예를 들면 타원형의 중간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스프링 스포크들은 본질적으로 빔과 같이 배열되어 있으며 홀딩 멤브레인(M)의 고리모양 영역(9)에 합체되어 있다. 벽 두께(S2)와 벽 두께(S1) 사이의 비율은 대략 5:1일 수 있다. 벽 두께(S2)가 대략 1.0mm인 경우에는, 벽 두께(S1)은 대략 0.2mm일 수 있다. 실(Y)이 제동 밴드(S)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측면에서 고리모양 영역 부분(9)은 본질적으로 매끄러운 표면(12)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고리모양 영역 부분(9) 내의 후방 측면에는 감소된 벽 두께(S1)에 기인하여 그루브(groove) 형태의 구렁이 형성된다. 부분 구역들(D)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 제동 몸체(A)의 축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스프링 스포크들(E)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구현예에서 부분 구역들(D)은 스프링 스포크들(E)과 같이 원주방향에서 동일한 폭을 가진다. 그러나, 부분 구역들(D)의 폭은 스프링 스포크들(E)의 폭과 다르게, 예컨대 보다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부분 구역들(D)은 통상 제동 밴드(S)를 위한 홀딩 영역(11)으로부터 얼마간 떨어져서 시작된다. 홀딩 영역(11)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립(lip, 13)(도 5 참조)이 안쪽으로 자유롭게 연장된다. 립(13)과 스커트(10)는 제동 밴드(S)의 외측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삽입포켓(T)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포켓은 안쪽으로 열려 있으며 원주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있다. 립(13)의 자유로운 길이는 예를 들면 제동 밴드(S)의 폭(W)의 다섯배에 해당된다. 삽입포켓(T)은 본질적으로 고리모양 영역(9)으로부터 캐리어 링(R) 내부로의 전이부와 같은 반경방향 평면 내에 위치된다.
택일적으로, 립(13)은 제외될 수 있다. 그러면 제동 밴드(S)는 스커트(10)에 접착에 의해 고정된다.
홀딩 멤브레인(M)의 고리모양 영역(9)의 반경방향 연장은 본질적으로 제동 밴드(S)의 반경방향 연장과 상응한다. 스커트(10)의 벽 두께는 스프링 스포크들(E)의 벽 두께(S2)보다 작을 수 있으나 부분 구역들(D) 내에서 스프링 스포크들(E) 사이의 중간 공간들을 메우는 멤브레인 층(G)의 벽 두께(S1)보다 커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은 구현예에서 부분 구역들(D)은 상기 멤브레인 층(G)에 의해 연속적으로 덮여진다. 택일적으로, 부분 구역들(D)의 단지 내측만을 멤브레인 층(G)에 의해 메우고 외측은 열려진 통로로 남겨두는 것도 가능하다.
감소된 벽 두께(S1)을 가지는 부분 구역들(D)의 기하학적 형상은 또한 홀딩 멤브레인(M)의 고리모양 영역(9) 내에서의 부분 구역들(D)의 배치와 방향에 따라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스포크들(E)과 부분 구역들(D)은 원주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된다.

Claims (17)

  1. 고정된 저장 몸체(4)와 상기 저장 몸체(4)에 기대어 축방향으로 지지된 링 형태의 제동 몸체(A)를 포함하는 실 제동장치(B)를 구비하며, 상기 제동 몸체(A)는 플라스틱 재료, 고무 또는 합성물 재료로 만들어진 탄성을 가진 고리모양 홀딩 멤브레인 내에 적어도 그 외측 가장자리 영역이 지지된 원뿔대모양의 얇은 벽으로 된 제동 밴드(S)를 구비하며, 상기 홀딩 멤브레인(M)은 상기 제동 밴드(S)와 동심인 외측 캐리어 링(R)과 함께 상기 제동 밴드(S)의 상기 홀딩 영역(11)의 외측에 연결되는 실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딩 멤브레인(M)은 적어도 상기 캐리어 링(R)과 상기 제동 밴드(S)를 위한 홀딩 영역(11) 사이에 감소된 벽 두께(S1)을 가지는 다수의 부분 구역들(D)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부분 구역들(D)은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구역들(D)은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며 그들 사이에 상기 홀딩 멤브레인(M) 내에 합체된 스프링 스포크들(E)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멤브레인(M)의 단면은 상기 홀딩 영역과 상기 캐리어 링(R)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대략 C형태의 굴곡부(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구역들(D)은, 적어도 상기 홀딩 영역(11)의 부근에서, 스프링 스포크들(E) 사이의 중간 공간들이며, 각각의 중간 공간은 부유하는 피막과 유사한 멤브레인 층(G)에 의해 메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원주 방향에서, 상기 부분 구역들(D)의 폭은 상기 스프링 스포크들(E)의 폭과 다르거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분 구역들(D)의 상기 폭은 상기 스프링 스포크들(E)의 폭보다 작거나 또는 각각의 폭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스포크들(E)의 벽 두께(S2)와 상기 멤브레인 층(G) 내의 벽 두께(S1)의 비율은 대략 5:1, 예를 들면 1.0mm 대 0.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밴드(S)의 원뿔대의 축을 따라 바라보는 방향에서 상기 스프링 스포크들(E)과 상기 부분 구역들(D)은 본질적으로 반경방향을 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구역들(D)은 대략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스포크들(E)과 상기 부분 구역들(D)은 상기 굴곡부(L)의 볼록면에서 본질적으로 매끄러운 표면(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L)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원뿔모양 스커트(10)에 의해 연장되며, 상기 스커트는 상기 제동 밴드(S)의 내측 가장자리 구역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영역(11)에 립(13)이 형성되고, 상기 립(13)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안쪽으로 자유롭게 내밀어져 있으며, 상기 립(13)과 상기 스커트(10)는 상기제동 밴드(S)가 삽입되는 원형의 삽입 포켓(T)을 한정하고, 상기 삽입 포켓(T)은 안쪽으로 열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립(13)의 자유로운 길이는 상기 제동 밴드(S)의 폭(W)의 대략 10%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포켓(T)과 상기 홀딩 멤브레인(M)으로부터 상기 캐리어 링(R)으로의 전이부는 본질적으로 실 제동 몸체(A)의 동일한 반경방향 평면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부분 구역(D)은 상기 삽입 포켓(T)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시작되며, 그 거리는 상기 립(13)의 자유로운 연장 길이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10)의 벽 두께는 상기 스프링 스포크들(E)의 벽 두께 보다 작으나 상기 멤버레인 층(G)의 벽 두께 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멤브레인(M)은 플라스틱 재료, 고무 또는 합성물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로 만들어진 단일의 사출 몰딩 부품이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반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17. 고정된 저장 몸체를 가진 실 공급장치를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재료, 고무 또는 합성물 재료로 만들어진 탄성을 가진 고리모양 홀딩 멤브레인(M) 내에 적어도 그 외측 가장자리 영역이 지지된 원뿔대모양의 얇은 벽으로 된 제동 밴드(S)를 구비하며, 상기 홀딩 멤브레인(M)은 상기 제동 밴드(S)에 대해 동심적으로 배열된 외측 캐리어 링(R)과 함께 상기 제동 밴드(S)의 상기 홀딩 영역(11)의 외측에 연결되는 실 제동 몸체(A)에 있어서,
    상기 홀딩 멤브레인(M)은, 적어도 상기 캐리어 링(R)과 상기 제동 밴드(S)를 위한 홀딩 영역(11) 사이에, 감소된 벽 두께(S1)을 가지는 다수의 부분 구역들(D)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 몸체.
KR10-2001-7011727A 1999-03-17 2000-03-16 실 공급장치 및 실 제동 몸체 KR100457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11943A DE19911943A1 (de) 1999-03-17 1999-03-17 Fadenliefergerät und Fadenbremskörper
DE19911943.0 1999-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403A true KR20020002403A (ko) 2002-01-09
KR100457304B1 KR100457304B1 (ko) 2004-11-16

Family

ID=790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727A KR100457304B1 (ko) 1999-03-17 2000-03-16 실 공급장치 및 실 제동 몸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37692B1 (ko)
EP (1) EP1163180B1 (ko)
KR (1) KR100457304B1 (ko)
CN (1) CN1201990C (ko)
AT (1) ATE241558T1 (ko)
DE (2) DE19911943A1 (ko)
WO (1) WO2000055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10260A1 (it) * 2001-03-20 2002-09-20 Lgl Electronics Spa Dispositivo di frenatura autoregolante per apparecchi alimentatori ditrama.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33900B (it) * 1980-10-15 1986-07-24 Roy Electrotex Spa Mezzi per effettuare la frenatura del filato in uscita in dispositivi alimentatori di filato a tensione costante e regolabile,particolarmente per macchine tessili
DE69130254T2 (de) * 1990-03-12 1999-02-11 Iro Ab Ausgang fadenbremse
DE69223575T2 (de) * 1991-09-20 1998-04-16 Lgl Electronics Spa Selbstregulierende Fadenbremse für eine Schussfadenliefervorrichtung
IT1256329B (it) * 1992-11-23 1995-11-30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i filo
IT1263623B (it) * 1993-02-23 1996-08-27 Roj Electrotex Nuova Srl Alimentatore di filo
IT1264844B1 (it) 1993-06-17 1996-10-17 Roj Electrotex Nuova Srl Alimentatore di filo
SE9303266L (sv) * 1993-09-15 1995-03-16 Iro Ab Vävmaskin med projektil-eller griparanordning samt mataranordning för inslagstråden
US5546994A (en) * 1994-10-14 1996-08-20 Sobrevin Societe De Brevets Industriels-Etablissement Thread storage drum with frustoconical brake strip
DE19613055A1 (de) * 1996-04-01 1997-10-02 Iro Ab Axiale Scheibenbremse und Fadenliefergerät mit axialer Scheibenbremse
DE19634972A1 (de) * 1996-08-29 1998-03-05 Iro Ab Vorrichtung zum Bremsen eines Fadens und Fadenliefergerät
SE9700666D0 (sv) * 1997-02-24 1997-02-24 Iro Ab Fadenliefergerät und fadenbremse
ITMI981313A1 (it) 1998-06-10 1999-12-10 Roj Electrotex Nuova Srl Freno per filati specialmente per alimentatori di tram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63180B1 (de) 2003-05-28
US6637692B1 (en) 2003-10-28
WO2000055081A1 (de) 2000-09-21
DE19911943A1 (de) 2000-09-21
CN1201990C (zh) 2005-05-18
DE50002363D1 (de) 2003-07-03
CN1352617A (zh) 2002-06-05
KR100457304B1 (ko) 2004-11-16
ATE241558T1 (de) 2003-06-15
EP1163180A1 (de) 200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365B1 (ko) 실 공급장치 및 실 브레이크
US5409043A (en) Annular thread braking band for weft feeder
USRE33034E (en) Press roll for web material with clamped press jacket
JP3476461B2 (ja) 横糸供給機
KR970702209A (ko) 실 취출 브레이크를 갖는 실저장기(Thread store with thread draw-off brake)
KR100457304B1 (ko) 실 공급장치 및 실 제동 몸체
EP1027274B1 (en) Yarn braking device in yarn feeders for looms and brake element for said device
EP0670810B1 (en) Yarn feeding device
US6752177B2 (en) Self-adjusting braking device for weft feeders
US6125892A (en) Yarn feeding apparatus and braking device including an elastic annular membrane
EP0951436B1 (en) Brake for loom weft yarn feeders
KR20010072599A (ko) 직기의 얀 공급기용 얀 브레이크
EP1724384B1 (en) Yarn-braking device in weft feeders for textile machines
EP1164103B1 (en) Braking means of self-adjusting thread braking devices for weft feeders
EP0884263B1 (en) Self-adjusted modulated thread braking devices for a weft feeder
EP1796993A1 (en) Yarn braking body
EP2213776B1 (en) Braking body and yarn feeder
EP1526102B1 (en) Braking device of weft feeders for textile machines
EP0867390B1 (en) Improvement to self-adjusting thread braking devices for weft feeders
WO2021038388A1 (en) A shuttle pad assembly, a shuttle and a circular l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