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1774A - 패킷-스위칭된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멀티미디어-관련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패킷-스위칭된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멀티미디어-관련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1774A
KR20020001774A KR1020017011762A KR20017011762A KR20020001774A KR 20020001774 A KR20020001774 A KR 20020001774A KR 1020017011762 A KR1020017011762 A KR 1020017011762A KR 20017011762 A KR20017011762 A KR 20017011762A KR 20020001774 A KR20020001774 A KR 20020001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layer
multimedia
network
rela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반토자르코
푸우스카리미코
Original Assignee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라이조 캐르키, 모링 헬레나
노키아 모빌 폰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라이조 캐르키, 모링 헬레나, 노키아 모빌 폰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라이조 캐르키, 모링 헬레나
Publication of KR20020001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77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6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transport layer [OSI layer 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Abstract

패킷-스위칭된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장치 및 제2 장치간에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1 프로토콜 스택(201, 202, 203, 204, 205, 206, 207)은 상기 제1 장치를 위해 정의되고 제2 프로토콜 스택(251, 252, 253, 254, 255, 256)은 상기 제2 장치를 위해 정의된다. 상기 프로토콜 스택들은 계층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장치 및 제2 장치간에 정보의 상호교환의 배열을 제공한다. 옥텟(octet)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206, 255)은 상기 제1 프로토콜 스택의 어떤 계층 및 상기 제2 프로토콜 스택의 어떤 계층으로서 구조화되지 않은 옥텟 스트림들의 전송을 위해 정의된다.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207, 256)도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프로토콜 스택의 상기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206, 255) 위에 어떤 계층으로서 정의된다.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프로토콜 스택의 다른 하위 계층들뿐만 아니라 상기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206, 255)의 사용을 통해 상기 제1 장치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207) 및 상기 제2 장치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256)간에 교환된다.

Description

패킷-스위칭된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미디어-관련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multimedia-related information in a packet-switched cellular radio network}
멀티미디어는 일반적으로 시청각 객체들의 동기화된 표현으로서 사용자에게 이해된다. 전형적으로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는 텍스트, 정지 화상, 단순 그래픽 요소들, 비디오 및 사운드와 같은 매우 상이한 성질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는 하나의 원격통신장치로부터 다른 하나의 원격통신장치로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들을 배달하도록 배열하기 위하여 제안된 방식이다.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가지고, 우리는 표현할 수 있는 객체들을 나타내는 실제 페이로드(payload) 데이터 및 그 페이로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표현장치에게 알려주는 제어정보 둘 다를 의미한다. 제안에 의하면, MMS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GeneralPacket Radio Service)와 같은 패킷-스위칭된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의 단말기들에 및 단말기들로부터 그러한 메시지들을 전달하도록 응용될 수 있어야 하고, 단문서비스(SMS, Short Messaging Service) 텍스트 메시지와 같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패킷-스위칭된 부분들은 축적-및-송출(store-and-forward) 방식으로 제2 세대 디지털 셀룰러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에서 전달된다.
도 1은 2개의 이동 단말기들(101 및 102)간에 MMS 메시지들의 전송을 배열하기 위해 제안된 몇몇 공지된 시스템 태양을 도시한다. 도 1에 있어서, 각 단말기는 자신의 셀룰러 전화 시스템에서 동작하고 있다: 단말기(101)는 UMTS 네트워크(103)에서 동작하는 UMTS 단말기이고 단말기(102)는 향상된 GSM 네트워크(104)에서 동작하는 향상된 GSM 단말기이다. 양 네트워크로부터 GPRS 네트워크(105)로 접속되어있다. UMTS 네트워크(103)는 코어 네트워크(107, CN, Core Network)뿐만 아니라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06, 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를 포함한다. 향상된 GSM 네트워크(104)에는 기지국 서브시스템(108, BSS, Base Station Subsystem) 및 이동 스위칭 센터(109, MSC, Mobile Switching Centre)가 도시된다. 네트워크 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UTRAN은 수많은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들로 구성되고,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 각각은 또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및 대략 기지국에 해당하는 수많은 노드(B)를 포함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BSS도 또한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Controller) 및 기지국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수많은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tations)를 포함한다. 다양한 혼합-모드 셀룰러 전화 시스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BSS(108)가 UTRAN(106)과 같은 CN 아래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단말기들도 또한 단일 셀에서 서로에게 근접하게 동작하는 아주 유사한 단말기들일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UTRAN(106)으로부터 및 BSS(108)로부터 대응하는 서빙 GPRS 지원 노드(110 및 111, SGSN, Serving GRPS Support Node)에 접속된다. 2개의 SGSN은 다음에 GPRS 본선(trunk lines)을 통해,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112,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되고, 여기서 또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센터(MMSC,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Center)로서 동작한다. 공지된 SMS 장치와 유사한 장치에서 단말기(101)는 의도되는 수신 단말기(102) 및 메시지가 전송될 MMSC 둘 다를 식별함에 의해 MM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각 단말기에 디폴트 MMSC가 있는 경우 실제로 MMSC 식별은 생략될 수 있다). 패킷 제어부 또는 UTRAN(106)내의 대응하는 기능은 MMS 전송을 가지고 현재 SGSN(110)을 통해 MMS 메시지를 저장하는 MMSC(112)에 라우팅시키며 의도되는 수신부에 전달을 시도하기 시작한다. 수신 단말기(102)에 현존하는 접속이 있는 경우, MMSC는 해당 SGSN(111) 및 BSS(108)를 통해 단말기(102)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102)가 일시적으로 전원이 끊어지거나(shut off), 범위를 벗어나거나 그렇지 않으면 도달할 수 없는 경우,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전달되거나 메시지가 구식(obsolete)이 되어 전달되지 않은 채로 삭제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타임아웃이 경과될 때까지MMSC는 어떤 시간 간격으로 전달을 재시도한다. 필요한 경우 전달의 성공 여부에 따라 긍정적인 인식(acknowledgement) 또는 부정적인 인식이 송신 단말기(101)에 리턴될 수 있다.
본 특허의 출원시점에는 MMS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말기 및 고정 네트워크장치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Packet Data Protocol) 문맥(Contexts) 및 하위-레벨 프로토콜 계층을 사용하는 명확하게 정의된 방식이 존재하지 않는다. 단말기 및 MMSC 둘 다의 프로토콜 스택내의 상대적으로 상위 레벨 어딘가에, 먼저 전송장치에서 MMSC로, 그 다음 수신장치로 MMS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하위 레벨 프로토콜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수송 프로토콜(MMS-TP, Multimedia Messaging Service-Transport Protocol) 실체가 있음에 틀림없다. 부가적으로 MMS 메시지들은 어떤 유형의 PDP 문맥에 매핑되어짐에 틀림없다; 그 매핑은 MMS-TP 실체아래의 하위 프로토콜 계층들의 선택에 밀접하게 관련될 것이다. MMS 서비스를 위한 부과 계획(charging scheme)을 세우기 위하여 네트워크 운영자(operators)는 MMS 메시징을 패킷-스위칭된 데이터 전송의 다른 형태들로부터 구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MMS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2개의 선행기술 해결책이 제안되어왔다. 그 해결책 중 하나는 MMS를 위해 정의된 것과 별개의 PDP 유형을 갖는 것이고, MMS 메시지가 둘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전달되어져야 할 때마다 단말기 및 MMSC간에 그 유형의 PDP 문맥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상당한 양의 완전히 새로운 사양 및 표준화 작업을 요구한다는 단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신규 PDP 유형들은 이미 고정된 표준에 단지 매우 마지못해 받아들여진다. 나머지 하나의 제안된 선행기술 접근은 공지된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PDP 유형의 위에 MMS 메시징을 세우는 것이다. 후자의 접근은 이동 사용자들에게 동적인 IP 어드레스들을 유보하고 할당하기 위하여 GGSN을 요구할 것이다. 동적인 어드레스의 사용은 MMS 서비스에 효과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MMS 메시징을 위한 IP PDP 유형을 사용하는 경우 불충분한 IP 어드레스를 소비할 것이고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거나 유지하며 동적으로 호스트를 구성하는 데 매우 복잡하게 관여할 것이다. 다른 하나의 네트워크에 단말기 로우밍(roaming)을 하는 것은 실제로 항상 단말기의 홈 네트워크의 MMSC를 사용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 단말기에 다른 MMSC의 IP 어드레스를 동적으로 알리는 것은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상이한 노드들간에 어떤 유형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어떤 프로토콜 및 서비스들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의 단말기 및 고정 패킷-스위칭된 네트워크의 노드 컴퓨터간에 멀티미디어-관련 정보의 전송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패킷-스위칭된 데이터 전송의 몇몇 공지된 시스템 태양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스택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연관되어 사용되는 활성 PDP 문맥 요청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떤 프로토콜 계층들의 몇몇 태양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및 MMSC간에 MMS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실현가능한 방법 및 해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제안된 방법이 기존 표준 및 제안의 구조(framework)의 완전한 재사양화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 및 MMSC간에 MMS 트래픽에서 요구되는 프로토콜 오버헤드(overhead)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킷-스위칭된 정보 전달의 다른 유형으로부터 MMS 트래픽을 구별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요구되는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운반하기 위하여, 그 자체로서 공지된,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OSP, OctetStream Protocol)을 사용함으로써 충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어떤 제1 및 제2 프로토콜 스택의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 위에 어떤 계층으로서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을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로토콜 스택의 다른 하위 계층들뿐만 아니라 상기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의 사용을 통해 제1 장치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 및 제2 장치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간에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의 제어부가 프로토콜 스택내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을 수행하고, 프로토콜 스택내의 다른 하위 계층들뿐만 아니라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의 사용을 통해 프로토콜 스택내의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 및 네트워크 장치간에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교환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 적용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부가 프로토콜 스택내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을 수행하고, 프로토콜 스택내의 다른 하위 계층들뿐만 아니라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의 사용을 통해 프로토콜 스택내의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 및 단말기간에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교환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된다.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OSP)은 이동 단말기 및 GGSN간에 옥텟 스트림의 형태로 비교적 구조화되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GPRS에서 미리 정의된 방식이다. 옥텟(octet)은 8개의 연속되는 비트들의 그룹이다. OSP를 위한 미리 명시된PDP 유형이 존재하고, GPRS에 관련된 공지된 프로토콜 스택에서 OSP 실체는 단말기내의 서브네트워크 종속 수렴 프로토콜(SNDCP, Subnetwork Dependent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바로 위에 있고, GGSN내의 GPRS 터널링 프로토콜(GTP, GPRS Tunneling Protocol)의 바로 위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MMS-TP 프로토콜 실체는 단말기 및 MMSC의 각 OSP 실체의 위에 놓여질 것이다.
단말기 및 MMSC간의 PDP 문맥 활성화 과정은 OSP 구조에서 MMS 메시지들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데 요구된다. 활성화 과정을 초기화하는 장치는 요구되는 PDP 문맥을 식별하고 정의하는 데 요구되는 파라미터의 세트를 포함하는 활성 PDP 문맥 요청(Activate PDP Context Request)를 전송한다. 단말기-초기화된 PDP 문맥 활성화의 경우, SGSN은 활성화 요구 내에 포함된 파라미터에 근거하고 또한 단말기의 홈 위치에 대해 미리 저장된 정보를 가능한 사용하여 적합한 GGSN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MMSC 기능이 GGSN 내에서 수행되지 않는 경우, 그 사이의 정보의 전송을 정의하기 위해 특정 인터페이스가 필요할 수 있다.
PDP 문맥 셋업이 수행된 이후에, MMS 메시지는 OSP 프로토콜 실체가 패킷 어셈블리/디스어셈블리 기능을 적용하는 옥텟 모드(octet mode)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개별적인 패킷 어셈블링 또는 디스어셈블링이 수행되지 않는 블록 모드(block mode)를 사용함으로써 옥텟 스트림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은 몇 가지 유리한 특징들을 갖는다. MMS를 위한 전달자(bearer)로서 OSP를 사용하는 것은 프로토콜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왜냐하면, OSP는 많은 양의 관련 제어 정보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MMS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PDP 문맥은 신규 PDP 유형을 정의하지 않고도 모든 다른 PDP 문맥들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고, 이것은 MMS를 위한 별도의 부과 계획(charging scheme)을 용이하게 정의하게 한다. 외부 네트워크의 IP 어드레스 또는 다른 어드레스들이 MMS 메시지들의 전송을 위해 요구되지 않는데, 이것이 구성 노력을 감소시키고, 동적인 어드레스 할당 과정들을 바이패스시키며, 운영자들로(operators) 하여금 MMS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모든 사용자들에게 정적인 외부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을 면하게 한다. 단지 단말기 및 MMSC 또는 GGSN은 한편으로는 단말기 및 SGSN간에 및 다른 한편으로는 SGSN 및 GGSN간에 "투명한 터널"을 통해 전해지는 데이터를 해석해야 한다.
단말기 및 MMSC 또는 GGSN간에 구조화되지 않은 옥텟 스트림을 이용하는 것은 운영자들로 하여금 원하는 사용자의 MMS-전달 PDP 문맥들을 항상 예를 들어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에 있는 특정 MMSC/GGSN에 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운영자는 또한 어떤 MMSC들이 사용되도록 허용할 수 있지만, 이것은 서비스를 이동-근원의(mobile-originated) 대안만으로 제한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 제어 가능성은 IP-기반 선행기술 해결에서 보다 훨씬 더 융통성이 있다. 단말기는 활성 PDP 문맥 요청(Activate PDP Context Request)에서 어떤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요구되는 MMSC/GGSN을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고려되는 새로운 특징들은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부가적인 목적 및 장점과 함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 방법은 첨부한 도면과 결합하여 읽혀지는 경우 다음의 특정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가장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선행기술을 설명한 부분에서 이미 상술되었다.
도 2는 단말기 또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 기지국 서브시스템(BSS, Base Station Subsystem),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및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센터(MMSC,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Center)에서의 프로토콜 스택의 바람직한 배열을 도시한다. 상기 표기는 향상된 GSM 네트워크와 연관된 본 발명의 응용을 언급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응용성에 함축적인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UMTS의 문맥에 있어서, 예를 들어, 단말기는 사용자 장치(UE, User Equipment)로 명시될 것이고, BSS는 UTRAN에 속하는 네트워크 장치 중 하나, 예를 들어 노드(B)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대체될 것이다. BSS 또는 UTRAN내에 셀룰러 전화 시스템과 스위칭 설비(코어 네트워크)를 공유하지 않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 및 네트워크로부터 모든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하는 특정 인터페이스 유닛이 있을 수 있다.
MS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응용에 관련된 프로토콜 계층들은 아래에서 위로, 계층 1(201, Layer 1), 매체 액세스 제어(202, Medium Access Control), 무선 링크 제어(203, Radio Link Control), 논리 링크 제어(204, Logical Link Control), 서브네트워크 종속 수렴 프로토콜(205, Subnetwork Dependent Convergence Protocol),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206, Octet Stream Protocol) 및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수송 프로토콜(207,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Transport Protocol)이다. 몇몇 소스들은 서브계층으로서 이 계층들의 몇몇을 참조하지만, 본 발명에 실제적인 중요성을 갖지 않는다. "MS"는 단말기 끝단에서 동작하는 장치 또는 장치들의 배열의 일반적인 표기이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하나의 가능한 "MS" 장치는 랩탑 컴퓨터에 접속된 이동 전화 또는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 단말기이다. 예를 들어, OSP 프로토콜 계층(206)은 이동 전화에 있을 수 있고 MMS-TP 프로토콜 계층(207)은 랩탑 컴퓨터에 있을 수 있다.
BSS의 좌측에는 MS의 최하위 계층과 동일한 3개의 최하위 계층(211, 212 및 213)이 있고, 그 위에는 BSS의 좌측 및 우측간에 필요한 변환을 수행하는 LLC 릴레이 계층(214, LLC Relay layer)이 있다. BSS의 우측 3개 계층은 아래에서 위로, 계층 1(221, Layer 1), 프레임 릴레이 계층(222, Frame Relay layer) 및 BSS GPRS 프로토콜 계층(223, BSS GPRS Protocol layer)이 있다. SGSN의 좌측에는 BSS의 우측에 있는 것과 동일한 3개의 최하위 계층(231, 232, 233)이 있고, 그 위에 MS의 동일한 명칭의 계층의 피어 실체(peer entity)인 논리 링크 제어 계층(234, LogicalLink Control layer)이 있다. SGSN의 우측에는 계층 1(241, Layer 1), 계층 2(242, Layer 2) 및 인터넷 프로토콜(243, Internet Protocol) 계층이 있다. SGSN 프로토콜 스택 위에는 SNDCP 절반(235, SNDCP half) 및 GPRS 터널링 프로토콜 절반(244, GPRS Tunneling Protocol half)으로 구성된 변환 실체가 있다. MMSC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아래에서 위로, 계층 1(251), 계층 2(252), 인터넷 프로토콜(253), GPRS 터널링 프로토콜(254),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255) 및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 수송 프로토콜(256)이다.
또한, GGSN/MMSC 단에서 실제의 GGSN(예, 계층 251에서 계층 255)내에서 수행되는 계층들 및 개별적인 MMSC 실체(예, 계층 256)내에서 수행되는 계층들로 프로토콜 계층들을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된 프로토콜 계층들의 사용은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예로서 우리는 MS 및 MMSC간에 MMS 메시지들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근원의 과정을 사용할 것이다. 단계 301에서 MS는 그 자체로서 기본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활성 PDP 문맥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OSP를 사용하는 MMS 전송에 적합한 PDP 문맥을 셋업하는데 상기 메시지를 사용하기 위하여, MS는 그 메시지에 파라미터의 어떤 세트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다음의 의미를 갖는다:
* 네트워크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401, NSAPI, Network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는 MS에 의해 선택된다. NSAPI는 GPRS/UMTS 네트워크내에서 활성화될 PDP 문맥을 식별한다.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그 메시지는 또한임시 논리 링크 식별(TLLI, Temporary Logical Link Identity) 및 국제 이동 가입자 식별(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정보 요소들을 포함한다(도 4에 미도시).
* PDP 유형(402, PDP Type)은 2개-부분 값을 가질 것이다. 제1 부분(402a)은 그 프로토콜을 OSP로 인식할 것이고, 제2 부분(402b)은 사용될 서비스를 식별하여 SGSN으로 하여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GGSN(즉, 이 경우에는 MMSC)을 선택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PDP 유형 필드의 2개-부분 값은 OSP:MMS로 표현될 수 있다. 이것은 본 특허 출원의 우선일에 표준에 존재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 의해 도입된 신규 OSP 유형이다.
* PDP 어드레스 필드(403, PDP Address field)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어있다.
* 액세스 포인트 명칭(404, APN, Access Point Name)은 MS에 의해 선택된다. 선택된 APN은 MS가 이 문맥을 위해 사용하기를 원하는 GGSN 및 MMSC를 식별한다. 사용될 실제 APN(즉, 사용될 GGSN 및 MMSC)은 운영자의 신청(subscription)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멀티미디어 메시징 문맥을 위한 각 사용자의 홈 위치 레지스터(HLR, Home Location Register) 기록은 MMS 문맥들을 위해 항상 사용되는 APN을 포함한다. APN이 HLR내에 구성된 경우 MS는 활성 PDP 문맥 요청 메시지로부터 APN을 생략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가 메시지내에 APN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내에 APN이 없고 APN이 HLR내에 구성되어있지 않은 경우, SGSN은 멀티미디어 메시징 문맥을 위해 어떤 GGSN/MMSC를 자유롭게 선택한다(방문 네트워크에서 동적 할당이 HLR 기록에 의해 허용되는 경우).
* QoS 요청(405, QoS Requested)(QoS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로부터 발생)은 MS에 의해 선택된다. 요청된 서비스 품질은 많은 요소들을 포함하고, 그 선택은 전형적으로 MMS-TP의 요구되는 특성에 의존한다. 공지된 신뢰성있는 클래스들 중에, 클래스 2는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보여지며, GPRS 백본(backbone)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User Datagram Protocol)의 사용뿐 아니라 RLC&LLC 재전송을 의미한다. 비트율은 협상을 제한하는 발명이 없이 어떤 것이 되도록 협상될 수 있다. MMS 메시지 전송은 일반적으로 시간에 민감하지 않다. 따라서 지연 클래스는 장시간 지연이 허용되는 것을 반영해야 한다. 서비스 우선(precedence)은 거의 패킷 손실이 없는 낙하(dropping) 우선을 나타내는 경우 가장 바람직하다.
* PDP 구성 선택 필드(406, PDP Configuration Options field)는 예를 들어 지원되는 내용-유형 등과 같이, MS의 어떤 능력에 대해 MMSC에게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MS-MMSC 구성 정보가 MMS-TP 프로토콜내에서 수행되지 않는 경우 MS-MMSC 구성 정보는 이 정보 요소에 포함될 수 있다. MMS-TP 프로토콜을 위해 많은 선택이 있는 경우(전적으로 별개의 프로토콜들 또는 동일한 프로토콜의 상이한 버전들 중의 하나), PDP 구성 선택이 MMSC에게 MS가 OSP위에 어떤 프로토콜을 지원하는지를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302에서, BSS는 관련 패킷-스위칭된 서비스로서 활성 PDP 문맥 요청 메시지를 인식하고 그 결과로서 공지된 방식으로 현재 SGSN에 라우팅(route)시킨다.단계 303에서, SGSN은 HLR 기록 및/또는 MS-제공된 APN 스트링에 근거하여 GGSN을 선택한다. 단계 304에서, GGSN은 그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문맥 유형으로부터 신규 문맥이 MMS를 위한 것이라는 것을 인식한다. MMSC 기능이 GGSN 자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GGSN은 부가적으로 단계 304에서 활성화된 문맥내의 APN에 근거하여 외부 MMSC 요소를 선택한다. 소유의(proprietary) 인터페이스 또는 어떤 표준(예를 들어 TCP/UDP 소켓 인터페이스)은 이러한 경우 GGSN 및 MMSC간에 제공될 수 있다. GGSN/MMSC는 서비스 속성 및 설정된 터널(사용자의 IMSI 및 PDP 문맥의 NSAPI 값으로 구성된 TID에 의해 식별된)과의 연관성을 생성한다.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가능하게는 몇몇 MMS-관련 파라미터들을 구성한 후에(예를 들어 프로토콜 구성 선택 정보 요소에서 전달된 정보에 따라), GGSN/MMSC는 단계 305에서 SGSN을 경유하여 MS로 PDP 문맥 활성화 응답 메시지(PDP Context Activation Response message)를 전송한다. MS에서 이 메시지의 수신(306)은 문맥 활성화를 끝낸다. PDP 어드레스 할당이 본 발명에 의해 제외되지는 않더라도 PDP 어드레스가 문맥을 위해 할당될 필요가 없다. 그 다음에, MS 및 GGSN 사이에 논리 터널이 있고, 블록 307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MMS-TP 프로토콜 메시지들은 투명하게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MSC와 활동적인 PDP 문맥을 현재 갖지 않는 MS에 전달을 위해 MMS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MMS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한 PDP 문맥들의 활성화는 또한 MMSC의 시작을 발생할 수 있다. GPRS내에 채택된 관례(practice)에 따라, MS는 항상 초기 활성 PDP 문맥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측이 되지만, MMSC가단순 신호화 메시지를 통해 전달을 기다리는 저장된 MMS 메시지가 있다는 것을 MS에게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므로, 도 3에 도시된 과정을 시작함으로써 PDP 문맥을 활성화하는 순간을 선택하는 MS의 결정만이 남는다. 다른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MMSC-근원(MMSC-originating) PDP 문맥 활성화(비록 관여하는 장치 및 관련 메시지들에 대해 상이한 명칭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지만)는 초기 활성화 메시지 및 그에 대한 응답이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전달될 것이라는 것을 제외하고, 상술한 MS-근원 PDP 문맥 활성화와 거의 동일할 수 있다. 먼저의 식별 정보는 이제 SGSN-GGSN/MMSC 결합 대신에 특정 MS를 식별하도록 제공될 것이고, 메시지의 라우팅은 MS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레지스터에 공지된 조회를 수반할 수 있다.
OSP:MMS 유형의 PDP 문맥을 식별하기 위해 고정 NSAPI를 할당하는 가능성조차 존재하므로, MS 및 MMSC간의 명시적인(explicit) PDP 문맥 활성화는 완전하게 회피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패킷내에 상기 고정 NSAPI의 발생은 즉시 통신에 참여하는 모든 장치들에 그 패킷이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운반하고 있다는 것을 가리킬 것이고, 따라서 특히 BSS 및 SGSN은 그 라우팅을 배열할 수 있다. 패킷의 가능한 다른 식별 정보를 가지고 뿐 아니라, IMSI 및 NSAPI가 함께 그러한 패킷이 속하는 MS을 식별하도록 제공한다. SGSN이 각 사용자들을 위해 올바른 GGSN/MMSC를 찾도록, 특정 APN 엔트리(entry)가 아마 각 사용자의 HLR 기록들내에서 요구될 것이다.
도 5는 단말기 또는 MS(또는 UE)(501), BSS 또는 UTRAN(502), SGSN(503) 및 결합된 GGSN/MMSC(504)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다. 단말기의 하드웨어는 무선 송수신기부(512), 디코딩/디멀티플렉싱부(513), 인코딩/멀티플렉싱부(514), 제어부(515) 및 사용자 데이터부(516)를 포함한다. 디코딩/디멀티플렉싱부(513)는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로부터 수신된 신호화 정보를 분리하여 제어부(515)에 인도하도록 배열된다; 유사하게 인코딩/멀티플렉싱부(514)는 제어부(515)로부터 신호화 정보를 취하고 전송을 위해 사용자 데이터부(516)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와 상기 신호화 정보를 멀티플렉싱하도록 배열된다. 모든 다른 블록들은 제어부의 제어하에 동작한다. 제어 접속은 사용자 데이터 및 신호화 정보 접속보다 더 가는 선으로 도시된다. 도 2에 더 상세하게 도시된 MS 프로토콜 스택은 기계-독출가능 처리 명령의 형태로 대응하는 동작을 메모리내에 프로그래밍함으로써 제어부(515)내에서 수행된다. 단말장치가 많은 개별 기능 실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는 개별 장치의 물리적 제어 실체내에 할당된 제어 기능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MMSC는 기본적으로 접속을 설정하고, 유지하며 해체(tearing down)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23) 뿐만 아니라 GPRS 네트워크(또는 해당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의 본선(trunk line)에 접속하도록 배열된 전송부(522)를 가진 대-용량 데이터 저장부(521)이다. 도 2에 더 상세하게 도시된 MMSC 프로토콜 스택은 기계-독출가능 처리 명령의 형태로 대응하는 동작을 메모리내에 프로그래밍함으로써 제어부(523)내에서 수행된다.
도 6은 MMS-TP 및 OSP 계층들이 위치한 그러한 모든 프로토콜 스택에서 MMS-TP, OSP 및 하위 프로토콜 계층들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MMS-TP 프로토콜계층(601)은 제1 원선(primitive)(603)을 가지고 OSP:MMS 유형 PDP 문맥을 셋업할 필요성을 OSP 계층(602)에 지시하기 위해 배열된다; 이 원선은 적어도 위에서 언급한 APN, QoS 요청 및 PDP 구성 선택 정보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OSP 계층(602)은 일반적으로 PDP 문맥을 셋업할 필요성을 하위 계층에 지시할 수 있고, 특히 셋업 요구 원선(604)을 가지고 OSP:MMS 유형 PDP 문맥이 요구되어져야 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원선(604)은 적어도 위에서 언급한 PDP 유형, APN, QoS 요청 및 PDP 구성 선택 정보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하위 계층들은 일반적으로 제3 원선(605)을 가지고 PDP 문맥의 완전 활성화에 대해 OSP 계층(602)에 알릴 수 있고, OSP 계층(602)은 다음에 제4 원선(606)에서 동일한 정보를 MMS-TP 계층(6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하는 동안 MMS-TP 계층(601)은 화살표(607)에 따라 OSP 계층과 사용자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배열되고, OSP 계층은 화살표(608)에 따라 옥텟 모드에서 또는 블록 모드에서 프로토콜 스택내의 더 아래로 전송되어질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배열된다. 옥텟 모드는 하부(underlying) 프로토콜에 의해 보다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단일 패킷으로/으로부터 많은 옥텟을 어셈블/디스어셈블하는 패킷 어셈블리/디스어셈블리(PAD, Packet Assembly/Disassembly) 기능의 공지된 사용을 언급한다. 블록 모드는 PAD 기능의 바이패스를 언급하고, MMS-TP 계층(601)은 메시지 데이터를 옥텟의 블록으로 OSP 계층(602)에 제공하며, 옥텟 블록 각각은 단일 OSP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으로서 하부 계층에 전달된다. 블록 모드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왜냐하면,각 MMS 메시지는 MMS-TP 계층(601) 및 OSP 계층(602)간에 옥텟들의 독립 블록으로서 처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OSP:MMS 유형 PDP 문맥의 해체(tearing down)는 PDP 문맥을 해체하는 공지 과정을 따른다.

Claims (8)

  1.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장치간에 정보의 상호교환을 배열하기 위해 계층들로 구성되는 프로토콜 스택들에서, 상기 단말장치를 위한 제1 프로토콜 스택(201, 202, 203, 204, 205, 206, 207)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장치를 위한 제2 프로토콜 스택(251, 252, 253, 254, 255, 256)을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로토콜 스택의 어떤 계층 및 상기 제2 프로토콜 스택의 어떤 계층으로서 구조화되지 않은 옥텟(octet) 스트림들의 전송을 위한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206, 255)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킷-스위칭된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장치간에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토콜 스택의 상기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206, 255) 위에 어떤 계층으로서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207, 256)을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로토콜 스택의 다른 하위 계층들뿐만 아니라 상기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206, 255)의 사용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207)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장치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256)간에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관련 정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장치간에 디폴트 PDP 문맥(Context)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PDP 문맥은 멀티미디어-관련 정보의 교환을 위해 정의된 특정 유형이고 명시적인(explicit) PDP 문맥 활성화(activation)없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관련 정보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장치간에 PDP 문맥(301, 305)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DP 문맥은 멀티미디어-관련 정보의 교환을 위해 정의된 특정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관련 정보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DP 문맥의 활성화는 활성 PDP 문맥 메시지(301, Activate PDP Context message)의 전송에 관여하고, 상기 활성 PDP 문맥 메시지(301)는 활성화될 PDP 문맥을 식별하기 위한 네트워크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401, Network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프로토콜을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로 식별하고 멀티미디어-관련 정보의 전송으로 사용될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PDP 유형 값(402, PDP Type value);
    상기 활성 PDP 문맥 메시지의 의도되는 수신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명칭(404, Access Point Name);
    활성화될 PDP 문맥을 위한 서비스의 요청되는 품질을 나타내는 QoS 요청 필드(405, QoS Requested field); 및
    활성화될 PDP 문맥과 관련된 다른 정보를 운반하기 위한 PDP 구성 선택 필드(406, PDP Configuration Options fiel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관련 정보 전송 방법.
  5. 무선 송수신기 블록(512, radio transceiver block);
    제어부(515, control entity);
    사용자 데이터부(516, user data part);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로부터 수신된 신호화(signalling) 정보를 분리하여 상기 제어부(515)에 인도하도록 배열된 디코딩/디멀티플렉싱 블록(513, decoding/demultiplexing block); 및
    상기 제어부(515)로부터 신호화 정보를 취하고 전송을 위해 상기 사용자 데이터부(516)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와 상기 신호화 정보를 멀티플렉싱하도록 배열된 인코딩/멀티플렉싱 블록(514, encoding/multiplexing block)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장치간에 정보의 상호교환을 배열하기 위해, 프로토콜 스택 및 상기 프로토콜 스택내에 어떤 계층으로서 구조화되지 않은 옥텟 스트림들의 전송을 위한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206)을 수행하도록 배열되며, 패킷-스위칭된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장치와 교환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토콜 스택내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207)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토콜 스택내의 다른 하위 계층들뿐만 아니라 상기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206)의 사용을 통해 상기 프로토콜 스택내의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207)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장치간에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교환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통신장치(communication device) 및 상기 통신장치에 접속된 표현장치(presentation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장치 및 상기 표현장치에 할당된 부분들로 구성되며, 상기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206)은 상기 통신장치내에서 수행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207)은 상기 표현장치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송신부(522, transmission unit);
    제어부(523, control entity); 및
    데이터 저장부(521, data storage)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간에 정보의 상호교환을 배열하기 위해, 프로토콜 스택 및 상기 프로토콜 스택내에 어떤 계층으로서 구조화되지 않은 옥텟 스트림들의 전송을 위한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255)을 수행하도록 배열되며, 패킷-스위칭된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단말장치와 교환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토콜 스택내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256)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토콜 스택내의 다른 하위 계층들뿐만 아니라 상기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255)의 사용을 통해 상기 프로토콜 스택내의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256) 및 상기 단말장치간에 멀티미디어-관련 정보를 교환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장치는 상기 패킷-스위칭된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의 노드장치(node device) 및 상기 노드장치에 접속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장치(multimedia messaging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드장치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장치에 할당된 부분들로 구성되며, 상기 옥텟 스트림 프로토콜 계층(255)은 상기 노드장치내에서 수행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수송 프로토콜 계층(256)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장치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장치.
KR1020017011762A 1999-03-16 2000-03-15 패킷-스위칭된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멀티미디어-관련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200017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90586A FI107425B (fi) 1999-03-16 1999-03-16 Menetelmä ja järjestelmä multimediaan liittyvän informaation välittämiseksi pakettikytkentäisessä solukkoradioverkossa
FI990586 1999-03-16
PCT/FI2000/000206 WO2000056088A1 (en) 1999-03-16 2000-03-15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multimedia-related information in a packet-switched cellular radio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774A true KR20020001774A (ko) 2002-01-09

Family

ID=8554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762A KR20020001774A (ko) 1999-03-16 2000-03-15 패킷-스위칭된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멀티미디어-관련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00732B1 (ko)
EP (1) EP1159837A1 (ko)
JP (1) JP2002539728A (ko)
KR (1) KR20020001774A (ko)
CN (1) CN1350753A (ko)
AU (1) AU3435400A (ko)
BR (1) BR0009056A (ko)
FI (1) FI107425B (ko)
WO (1) WO20000560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6088B (fi) * 1997-09-12 2000-11-15 Nokia Networks Oy Datansiirtomenetelmä yleisen pakettiradiopalvelun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verkko-osan ja tilaajapäätelaitteen välillä
FI108834B (fi) * 1999-03-29 2002-03-28 Nokia Corp IP-liikkuvuudenhallinta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FI108603B (fi) * 1999-04-19 2002-02-15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multimediaan liittyvän informaation välittämiseksi pakettikytkentäisessä solukkoradioverkossa, jossa on ulkoinen liitäntä
KR100694026B1 (ko) * 1999-11-01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전송방법 및 장치
FI108501B (fi) 1999-11-05 2002-01-31 Sonera Oyj Multimediaviestien võlittõminen
FI111314B (fi) * 1999-11-05 2003-06-30 Nokia Corp Multimediasanomanvälityspalvelu
FI111780B (fi) * 1999-12-23 2003-09-15 Nokia Corp Sanomanvälityspalvelu
AU2000238123B2 (en) * 2000-03-16 2004-12-1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a packet data subscriber context for packet data
KR100362867B1 (ko) * 2000-04-26 2002-1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E10027872B4 (de) * 2000-06-06 2005-10-13 Siemens Ag Mobilfunk-Kommunikationssystem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FI20001544A (fi) 2000-06-29 2001-12-30 Nokia Networks Oy Poikkeavan päätelaitteen tukeminen verkossa
FI112307B (fi) * 2000-08-02 2003-11-14 Nokia Corp Viestintäpalvelu
US7039025B1 (en) * 2000-09-29 2006-05-02 Siemens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eneral packet radio services in a private wireless network
US20020049062A1 (en) * 2000-10-02 2002-04-25 Robert Petersen Distributed admission control
US7684786B2 (en) * 2003-08-26 2010-03-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network elements
FI111595B (fi) * 2000-12-20 2003-08-15 Nokia Corp Järjestely multimediasanomanvälityksen toteuttamiseksi
US7092381B2 (en) * 2000-12-29 2006-08-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livery of broadcast teleservice messages over packet data networks
US6947738B2 (en) * 2001-01-18 2005-09-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routing system and method
US6950876B2 (en) * 2001-03-19 2005-09-27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protocol home location register and method of use
DE10130538A1 (de) * 2001-06-25 2003-01-09 Siemens Ag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spezifischen Daten, entsprechende Vorrichtungen und Software-Programme
US6996393B2 (en) 2001-08-31 2006-02-07 Nokia Corporation Mobile content delivery system
EP1437020B1 (en) * 2001-09-21 2013-02-27 Nokia Siemens Networks Oy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obile edge services
US8417827B2 (en) * 2001-12-12 2013-04-09 Nokia Corporation Synchronous media playback and messaging system
US6820116B1 (en) 2001-12-21 2004-11-16 Nokia Corporation Mobile browsing booster system
AU2003249115A1 (en) * 2002-07-16 2004-02-02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enabling packet transfer delay compensation in multimedia streaming
CN1274125C (zh) * 2002-11-12 2006-09-06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与增值业务提供商应用之间多媒体消息转发的方法
CN1249965C (zh) * 2002-11-12 2006-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媒体消息在不同多媒体消息中心之间转发的方法
US7826361B2 (en) 2003-04-09 2010-11-02 Nec Corporation Radio network control device and QoS control method used for the same
DE10325889A1 (de) * 2003-06-06 2004-12-23 Siemens Ag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Nachrichten
US7327746B1 (en) * 2003-08-08 2008-02-05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directing traffic in a network environment
US8732239B2 (en) * 2003-10-02 2014-05-20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wireless messages across a broad range and diversity of networks and user terminal display equipment
KR100564528B1 (ko) * 2003-10-17 2006-03-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 패킷망에서 디폴트 접속점명(apn)에 대한서비스 품질 결정방법
US7680484B2 (en) * 2004-02-13 2010-03-16 Edwin A. Kauppila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remote monitoring
US20060150213A1 (en) * 2004-12-16 2006-07-06 Zechary Chang Executing module and method thereof for playing multimedi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80153484A1 (en) * 2006-12-21 2008-06-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Quality of service improvement in mobile networks
JPWO2009013957A1 (ja) * 2007-07-26 2010-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マルチメディア通信装置及び端末
WO2010128165A2 (en) * 2009-05-08 2010-11-11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configured to provide local breakout services with a single apn
US8615016B2 (en) * 2009-09-30 2013-12-24 Unwired Planet, Ll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media messages using a message intermediation module
US9762634B2 (en) * 2012-04-06 2017-09-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to transmit digital broadcast grade video via a cellular dat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4702A (en) * 1992-09-14 1995-08-22 Network Equipment Technologies, Inc. Virtual network using asynchronous transfer mode
JP3614907B2 (ja) * 1994-12-28 2005-01-26 株式会社東芝 データ再送制御方法及びデータ再送制御システム
JPH09275402A (ja) * 1996-04-04 1997-10-21 Sony Corp 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装置並びにデータ送受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SE510664C2 (sv) 1996-10-29 1999-06-14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er och anordning för meddelandehantering i ett kommunikationssystem
SE521479C2 (sv) 1997-06-04 2003-11-04 Telia Ab Ett cellradiokommunikationssystem anpassat att presentera geografiskt relaterad information
FI115747B (fi) 1998-02-12 2005-06-30 Nokia Corp Tiedonsiirtomenetelm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90586A (fi) 2000-09-17
FI107425B (fi) 2001-07-31
WO2000056088A1 (en) 2000-09-21
BR0009056A (pt) 2002-01-02
US6600732B1 (en) 2003-07-29
JP2002539728A (ja) 2002-11-19
EP1159837A1 (en) 2001-12-05
AU3435400A (en) 2000-10-04
CN1350753A (zh) 2002-05-22
FI990586A0 (fi) 199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136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6600732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multimedia-related information in a packet-switched cellular radio network
US6658011B1 (en) Use of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in a packet-switched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JP4230106B2 (ja) Gprs加入者による多数のインタネットサービスプロバイダの選択
US7042855B1 (en) Method for rou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19282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dicating the specific use of a pdp context
EP1172013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multimedia-related information in a packet-switched cellular radio network with external connection
JP2002534923A (ja) パケット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QoSマッピング情報の搬送
EP1777902B1 (en) GPRS System and In-Zone Node Apparatus and Bearer Setting Method Used Therefor
EP2143289A2 (en) Managing data streams in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