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1597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1597A
KR20020001597A KR1020010036485A KR20010036485A KR20020001597A KR 20020001597 A KR20020001597 A KR 20020001597A KR 1020010036485 A KR1020010036485 A KR 1020010036485A KR 20010036485 A KR20010036485 A KR 20010036485A KR 20020001597 A KR20020001597 A KR 20020001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openings
discharge
region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키가와아키후미
오카지마테츠지
Original Assignee
니시가키 코지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가키 코지,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가키 코지
Publication of KR20020001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5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향상된 발광 효율, 작은 전력 소모, 및 높은 휘도를 갖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마련하기 위해,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지 전극(14a 및 14b)은 복수개의 개구부(13)를 갖는 메시 전극(mesh electrode)의 형태를 취한다. 각 개구부(13)는 어느 한 변이 30㎛ 미만인 직사각형에 포함되는 크기이거나 30㎛ 미만의 폭을 갖는 띠 형상의 개구부이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AC형 과 DC형으로 분류되고,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표면 방전형과 대향 방전형으로 더 분류된다.
종래의 표면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의 A-A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기판(1) 및 배면 기판(2)은 방전 공간(10)을 형성하도록 대향 관계로 배치된다. 전면 및 배면 기판(1 및 2)은 2mm 내지 5mm의 두께의 소다 석회 유리(soda lime glass)로 형성된다. 인듐 주석 산화물의 투명 유지 전극(3a 및 3b)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전극쌍(3)은 전면 기판(1)상에 형성된다. 유지 전극(3a 및 3b)의 전기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각각의 유지 전극(3a 및 3b)상에 은이나 알루미늄의 금속 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전극쌍(3)상에서, 저융점 유리의 투명 유전체층(5)은 10㎛ 내지 40㎛의 두께로 형성되고, 0.5㎛ 내지 2㎛두께의 Mg0 보호막(8)에 의해 피복된다.
복수개의 데이터 전극(4)은 배면 기판(2)상에 형성되고, 백색 유전체층(6)은 데이터 전극(4)상에 피복된다. 백색 유전체층(6)상에 형광층(7)이 형성된다.
전극쌍(3)과 데이터 전극(4)이 서로 직교하도록 전면 기판(1) 및 배면 기판(2)을 서로 대향 관계로 배치하여, 다수의 셀(12)을 형성한다. 이하, 데이터 전극(4)이 연장되는 방향을 열방향이라고 하고, 전극쌍(3)이 연장되는 방향을 행방향이라고 한다.
20kPa 내지 80kPa의 기압에서 각 셀(12)의 방전 공간(10)은 Xe 가스를 포함한 혼합 희유 가스로 채워진다. 셀(12)은 열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11)에 의해 분할된다. 각 셀이 1.05mm의 세로 길이(열방향)와 0.35mm의 가로 길이(행방향)를 갖는 경우, 예를 들어, 각각 300㎛ 내지 450㎛의 폭 및 0.1㎛ 내지 2㎛의 두께의 유지 전극(3a 및 3b)은 그 사이에 50㎛ 내지 300㎛의 방전 갭(9)으로 배치된다.
방전 공간(10)에서 유지 전압은 유지 전극(3a 및 3b) 사이에 인가되어 유지 방전을 발생한다. 상기 방전에 의해 발생된 전자는 Xe 원자와 충돌하여, Xe 원자는 여기 또는 전리된다. 여기된 Xe 원자는 진공 자외선 영역에서 147nm 및 150nm 내지 190nm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고, 자외선에 조사된 형광층(7)은 가시광을 방사한다. 가시광은 직접 또는 백색 유전체층(6)에 의해 반사된 후, MgO 보호막(8), 투명 유전체층(5) 유지 전극(3a 및 3b) 및 전면 기판(1)을 통해 유도된다.
발생된 유지 방전은 유전체층의 표면상에 전하가 축적된 후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예를 들어, 양의 펄스 전압이 유지 전극(3a)으로 인가되고, 음의 펄스 전압이 유지 전극(3b)으로 인가되는 경우, 전하에 의해 발생된 전자는 유지 전극(3a)으로 이동하고, Xe+와 같은 양의 이온은 유지 전극(3b)으로 이동하여, 유지 전극(3a)상의 투명 유전체층의 표면이 음으로 충전되고, 유지 전극(3b)상의 투명 유전체층의 표면이 양으로 충전된 후 방전이 종료된다.
AC형 표면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발광 효율을 향상시켜 방전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감소를 줄일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방전 전류 밀도가 낮을수록,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 효율은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유지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하고 방전 전류를 감소하면 방전 전류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유지 전압이 낮으면, 방전은 불안정하게되어, 안정적인 디스플레이 동작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유지 전극의 폭을 작게 하여 각 유지 전극의 면적을 축소하면 투명 유전체층 표면 및 유지 전극 사이의 정전기 용량을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동일한 유지 전압이 폭이 축소된 유지 전극에 인가되는 경우에는 투명 유전체층의 표면상에 축적된 전하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방전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유지 전극의 면적이 축소되기 때문에, 방전 전류 밀도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발광 효율도 거의 변하지 않는다. 유지 전극의 면적이 축소되면, 방전은 셀 전체로 확산되지 않으므로, 형광층의 일부만이 광을 방사하게 된다. 그 결과, 휘도는 낮아지고, 충분한 화질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일본 특개평 제 08-22772A호는 행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고 협소부를 갖는 돌출부를 각각 포함하는 유지 전극을 사용하여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협소부에 의해 각 셀의 방전 전류가 감소되어 전력 소비가 줄어든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방전이 협소부 부근에 집중되고, 셀 전체에 확산되지 않기 때문에 휘도가 감소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제 2734405호는 복수개의 열을 따라 배치된 각각의 유지 전극에 개구부를 마련함으로써 방전 전류가 복수개의 피크를 포함하도록 하여 방전 전류의 피크 값을 감소하기 위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방전 전류의 피크가 분리되는 종래 기술에서, 비교적 큰 개구부가 각 유지 전극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전 전류 밀도는 종래 구조와 거의 같다. 따라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발광 효율, 높은 휘도, 및 작은 전력 소비를 갖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판상에 형성된 전극 및 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층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각 전극은 복수개의 개구부를 갖는 메시 전극(mesh electrode)이고, 각 개구부는 어느 한 변이 5㎛ 이상 30㎛이하인 직사각형 영역에 포함되는 크기이거나 5㎛ 이상 30㎛ 이하의 폭을 갖는 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지 방전을 위한 전압 신호는 메시 전극에 인가되고, 방전 공간에서 방전이 발생한다. 복수개의 개구부를 갖는 각각의 메시 유지 전극을 사용함으로 인해, 종래의 구성에 비해 유지 전극의 면적이 작게 되고, 방전 전류는 감소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구부의 크기는 방전 플라즈마의 디바이 길이만큼작기 때문에, 전자 밀도, 전리 비율(ionization rate), 여기 비율(excitation rate) 등의 방전 구조를 특징짓는 각종 물리량은 급격히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개구부의 형태에 관계없이 방전 전류 밀도를 공간적으로 일정하게 감소할 수 있다.
개구부가 어느 한 변의 길이가 플라즈마의 디바이 길이 정도인 직사각형 영역에 포함된 크기를 갖거나 또는, 디바이 길이 정도의 폭을 갖는 띠 형상의 형태를 가질 때 이러한 효과가 얻어진다. 그 결과, 방전 전류 밀도는 감소되고, 발광 효율은 향상된다. 또한, 방전은 메시 전극을 따라 확산되어 전체 셀을 피복하기 때문에, 충분한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향상된 발광 효율, 높은 휘도 및 낮은 전력 소비를 갖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 전극의 개구부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휘도 및 발광 효율의 개구부의 폭에 대한 의존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3은 휘도 및 발광 효율의 개구율에 대한 의존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 전극의 개구부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 전극의 개구부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 전극의 개구부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 전극의 개구부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 전극의 개구부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 전극의 개구부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 전극의 개구부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 전극의 개구부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표면 방전형의 종래의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유지 전극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A-A 선을 따라 취해지는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면 기판 2 : 배면 기판
3 : 전극쌍 3a, 3b : 유지 전극
4 : 데이터 전극 5 : 투명 유전체층
6 : 백색 유전체층 7 : 형광체
8 : MgO 보호막 9 : 방전 갭
10 : 방전 공간 11 : 격벽
12 : 셀 13 : 개구부
14a, 14b : 메시 전극 15a, 15b : 제 1의 영역
16a, 16b : 제 2의 영역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 전극의 개구부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3에 도시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한다. 도 1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영역은 각각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제 1의 실시예는 다수의 미세한 개구부(13)를 갖는 각각의 메시 유지 전극(14a 및 14b)이 도 13에 도시된 투명 전극 대신 사용된다는 점에서 도 13에 도시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와 차이가 있다.
방전을 유지하기 위한 전압 신호는 유지 전극으로서의 메시 전극(14a 및 14b)에 인가되어, 방전 공간(10)에서 플라즈마가 발생된다.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메시 전극을 사용하면, 종래의 구조의 전극 면적에 비해 유지 전극의 면적을 축소되므로 방전 전류는 감소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구부의 크기는 플라즈마의 디바이 길이 정도로 작다. 디바이 길이는 전하 분리의 척도이고, 전자 온도 및 전자 밀도에 좌우된다. 전자 온도가 1eV 내지 3eV이고, 전자 밀도가 1011cm-3내지 1012cm-3이면 디바이 길이는 7㎛ 내지 41㎛이다. 개구부의 크기가 디바이 길이 정도이므로, 개구부상의 전자 밀도는 개구부를 둘러싼 투명 전극상의 전자 밀도와 달라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각 투명 전극에 이러한 개구부를 형성함으로 인해, 개구부의 형태에 상관없이 개구부 및 개구부를 둘러싼 영역 상에 방전 전류 밀도를 균일하게 감소할 수 있다. 방전 전류 밀도가 감소된 결과,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방전이 메시 전극(14a 및 14b)을 따라 확산되어 전체 셀이 피복되므로, 자외선은 셀의 형광체를 여기하게 되어,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향상된 발광 효율, 높은 휘도 및 작은 전력 소비를 갖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얻을 수 있다.
도 2는 유지 전압이 160V이고 개구율이 60%인 상태에서 휘도, 발광 효율 및 개구부의 폭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에 있어서, 개구부의 폭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최소 직사각형의 단변이나 장변의 길이 또는 띠 형상의 개구부의 폭으로서 정의된다. 개구부의 폭이 5㎛ 이상 30㎛ 이하이면, 발광 효율은 개구부의 폭이 0㎛인 부분의 종래 구조의 발광 효율보다 높고, 휘도는 종래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 개구부의 폭이 30㎛ 이상이면, 발광 효율은 종래 구조보다 약간 높지만, 휘도는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개구부의 폭이 5㎛ 이상 30㎛ 미만, 특히, 10㎛ 내지 25㎛ 사이의 범위이면, 휘도는 높고, 발광 효율의 향상 효과도 높다. 또한, 개구부의 폭이 투명 유전체층의 두께의 0.2 내지 1.8배일 때, 발광 효율의 향상이 현저하였다.
도 3은 유지 전극이 160V이고 개구부의 폭이 20㎛인 조건에서의 개구율, 발광 효율 및 휘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에 있어서, 개구율은 개구부의 총 면적 및 유지 전극의 총 면적의 합에 대한 개구부의 총 면적의 비율을 나타낸다. 개구율이 10% 이상이면, 발광 효율은 개구율이 0%인 부분의 종래 구조보다 높아지고, 개구율이 70% 이하이면, 휘도는 감소하지 않는다. 따라서, 개구율은 1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휘도 및 발광 효율 모두 향상되는, 30% 내지 60%의 범위의 개구율이 더욱 바람직하다.
개구부의 형태는 정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삼각형의 개구부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띠 형상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지그재그 띠 형상의 개구부의 폭이 5㎛ 이상 30㎛ 미만이면, 휘도는 높고, 발광 효율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의 형태는 5㎛ 이상 30㎛ 미만의 값을 갖는 각각의 복수개의 정사각형 개구부를 조합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방전형의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각 유지 전극쌍은 방전 갭(9)의 측의 제 1의 띠 형상 영역(15a 및 15b) 및 비방전 갭의 측의 제 2의 띠 형상 영역(16a및 16b)으로 구성된다. 제 1의 영역(15a 및 15b)은 개구부가 없는 투명 전극이고, 제 2의 영역(16a 및 16b)은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투명 메시 전극이다. 방전 갭에 가까운 유지전극의 부분에 다수의 개구부를 형성하면, 방전 전압이 증가되거나 방전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과 같이, 방전 갭 측에 개구부가 없는 영역을 마련함으로써, 방전 전압의 상승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방전을 발생할 수 있다. 방전 전압의 상승을 막고, 안정적인 방전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방전 갭 측의 제 1의 영역의 폭은 25㎛ 내지 1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부의 폭이 5㎛ 이상 30㎛ 미만, 특히, 10㎛ 내지 25㎛의 범위이면, 휘도는 높고, 발광 효율의 향상은 현저하다. 개구부의 폭은 투명 유전체층의 두께의 0.2 내지 1.8배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율은 10% 내지 7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전의 안정성을 높이고, 동시에, 휘도 및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제 5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방전형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유지 전극쌍은 방전 갭(9) 측의 제 1의 띠 형상 영역(15a 및 15b) 및 비방전 갭 측의 제 2의 띠 형상 영역(16a 및 16b)으로 구성된다. 제 1의 영역(15a 및 15b)은 성기게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투명 전극이고, 제 2의 영역(16a 및 16b)은 조밀하게 배치된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투명 메시 전극이다. 유지 전극의 개구부의 수를 증가함으로써, 유지 전극의 일부가 방전 갭에 가까울수록 유지 전극의 총 면적에 대해 상기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의 총면적의 비율은 작게 되어, 방전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고,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제 6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방전형의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유지 전극쌍은 방전 갭(9) 측의 제 1의 띠 형상 영역(15a 및 15b) 및 비방전 갭 측의 제 2의 띠 형상 영역(16a 및 16b)으로 구성된다. 제 1의 영역(15a 및 15b)은 개구부가 없는 투명 전극이고, 제 2의 영역(16a 및 16b)은 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긴 세로축을 갖는 다수의 직사각형 개구부(17)를 갖는 메시 투명 전극이다. 일반적으로, 고 해상도 디스플레이의 경우에서, 셀 피치(cell pitch)가 작게 되는 경향이 있어, 인접한 셀 사이의 방전의 간섭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방전이 개구부의 가로로 확산되면, 방전의 확산 속도는 낮아진다. 따라서, 열 방향으로 연장된 개구부를 마련함으로써, 방전은 행방향으로 확산되기 어렵게 되어, 행방향에 인접한 셀에 대한 방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와 동시에, 휘도 및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제 7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방전형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유지 전극쌍은 방전 갭(9) 측의 제 1의 띠 형상 영역(15a 및 15b) 및 비방전 갭 측의 제 2의 띠 형상 영역(16a 및 16b)으로 구성된다. 제 1의 영역(15a 및 15b)은 개구부가 없는 투명 전극이고, 제 2의 영역(16a 및 16b)은 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긴 세로축을 갖는 다수의 직사각형 개구부(17)를 갖는 투명 메시 전극이다. 또한, 각 개구부(18)의 대향 단부는 격벽(11) 상에 위치된다. 상술한 형태의 개구부(18)를 사용하면, 열방향의 방전의확산이 어렵게 되어, 열방향에 인접한 셀에의 방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방전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제 8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방전형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유지 전극쌍은 복수의 만곡한 개구부(19)를 갖는 띠 형상 메시 전극(14a 및 14b)으로 구성된다. 개구부의 만곡은 방전 갭(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열 및 행방향에서 방전이 거의 확산되지 않고, 인접한 셀에의 방전의 간섭을 막을 수 있게 되고, 그와 동시에, 휘도 및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제 9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방전형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유지 전극쌍은 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개구부(17)를 갖는 제 1의 영역(15a) 및 행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개구부(18)를 갖는 제 2의 영역(16a)으로 구성된다. 열방향으로 연장된 개구부(17) 및 행방향으로 연장된 개구부(18)는 인접한 셀에의 방전의 간섭을 막기위해 조합된다. 방전은 방전 갭 부근에서 셀의 중앙 위치에서 가장 강하다. 따라서, 셀의 중앙으로부터 외부로의 방전의 확산이 어렵게 되어, 인접한 셀에의 방전의 간섭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높은 발광 효율 및 고휘도를 갖는 표면 방전형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1의 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층을 갖는 제 1의 기판과;
    상기 제 1의 기판과 대향 관계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방전 공간을 형성하는 제 2의 기판;
    상기 방전 공간에 채워지는 방전가스;
    상기 제 2의 기판상에 형성되고, 두 변 중 하나의 길이가 5㎛ 이상 30㎛ 미만인 직사각형 영역에 포함되는 크기의 복수개의 개구부를 각각 구비하는 제 2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개구부는 5㎛ 이상 30㎛ 미만의 범위의 폭을 갖고, 띠 형상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개구부는 다른 형태의 복수의 개구부의 조합을 포함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개구부의 두변 중 어느 하나의 길이는 상기 유전체층의 두께의 0.2배 내지 1.8배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의 개구부의 폭은 상기 유전체층의 두께의 0.2배 내지 1.8배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단변의 길이는 상기 유전체층의 두께의 0.2배 내지 1.8배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2의 전극은 표면 방전을 발생하는 한 쌍의 평행 전극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평행 전극쌍은 상기 평행 전극쌍 사이에 형성된 방전 갭을 따른 제 1의 영역 및 상기 제 1의 영역 이외의 제 2의 영역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1의 영역은 25㎛ 내지 100㎛의 폭이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2의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2의 전극은 표면 방전을 발생하는 한 쌍의 평행 전극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평행 전극쌍은 상기 평행 전극쌍 사이에 형성된 방전 갭을 따른 제 1의 영역 및 상기 제 1의 영역 이외의 제 2의 영역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1의 영역의 면적에 대한 상기 제 1의 영역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의 총 면적의 비율은 상기 제 2의 영역의 면적에 대한 상기 제 2의 영역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의 총 면적의 비율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2의 전극은 표면 방전을 발생하는 한 쌍의 평행 전극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 2의 전극은 복수개의 띠 형상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띠 형상 영역의 면적에 대한 상기 띠 형상 영역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의 총 면적의 비율이 작을수록, 상기 띠 형상 영역은 방전 갭에 더 근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2의 영역에서 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2의 영역에서 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2의 전극은 표면 방전을 발생하는 한 쌍의 평행 전극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평행 전극쌍은 방전 갭을 따른 제 1의 영역 및 상기 제 1의 영역 이외의 제 2의 영역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1의 영역에서 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2의 영역에서 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전극의 면적 및 상기 개구부의 총 면적의 합에 대한 상기 제 2의 영역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의 총 면적의 비율이 10% 내지 70% 이내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10036485A 2000-06-27 2001-06-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200015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3052? 2000-06-27
JP2000193052A JP2002008549A (ja) 2000-06-27 2000-06-27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597A true KR20020001597A (ko) 2002-01-09

Family

ID=1869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485A KR20020001597A (ko) 2000-06-27 2001-06-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44202B2 (ko)
JP (1) JP2002008549A (ko)
KR (1) KR20020001597A (ko)
FR (1) FR2810787A1 (ko)
TW (1) TW5034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403B1 (ko) * 2005-05-31 2007-02-1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7118B2 (ja) * 2000-02-24 2004-11-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7022910B2 (en) * 2002-03-29 2006-04-04 Konarka Technologies, Inc. Photovoltaic cells utilizing mesh electrodes
SE0103740D0 (sv) * 2001-11-08 2001-11-08 Forskarpatent I Vaest Ab Photovoltaic element and production methods
US6940224B2 (en) * 2002-01-10 2005-09-06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having specifically spaced holes formed in the electrodes
US20070251570A1 (en) * 2002-03-29 2007-11-01 Konarka Technologies, Inc. Photovoltaic cells utilizing mesh electrodes
KR100487000B1 (ko) * 2002-06-26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4055489A (ja) 2002-07-24 2004-02-19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4079524A (ja) * 2002-08-02 2004-03-11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537612B1 (ko) * 2002-12-05 2005-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857B1 (ko) 2002-12-17 2006-05-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메쉬형 전극을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TWI317965B (en) * 2003-03-07 2009-12-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EP1606846B1 (en) * 2003-03-24 2010-10-27 Konarka Technologies, Inc. Photovoltaic cell with mesh electrode
US7372204B2 (en) * 2003-08-07 2008-05-13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igniter electrodes
KR100612384B1 (ko) * 2003-11-29 2006-08-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델타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050264233A1 (en) * 2004-05-25 2005-12-01 Kyu-Hang Lee Plasma display panel (PDP)
JP2006120356A (ja) * 2004-10-19 2006-05-11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73328A (ko) * 2004-12-24 200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WO2007066381A1 (ja) * 2005-12-05 2009-05-14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28116B1 (ko) 2006-02-17 200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WO2008122027A2 (en) 2007-04-02 2008-10-09 Konarka Technologies, Inc. Novel electrode
WO2009005198A1 (en) * 2007-07-04 2009-01-08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TWI526889B (zh) * 2012-02-15 2016-03-21 富士通電子零件有限公司 觸控面板及位置檢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2821B2 (ja) 1994-07-08 2002-12-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0166009B1 (ko) 1994-09-30 1998-12-15 엄길용 플라즈마 표시소자
JP2734405B2 (ja) 1995-05-12 1998-03-30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209925B2 (ja) * 1996-07-11 2001-09-17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隔壁形成方法
JP3698856B2 (ja) * 1997-05-15 2005-09-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11212515A (ja) * 1998-01-21 1999-08-06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5986391A (en) * 1998-03-09 1999-11-16 Feldman Technology Corporation Transparent electrodes
US6111357A (en) * 1998-07-09 2000-08-29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having a cover with radiation-cured perimeter seal
KR100300407B1 (ko) * 1998-10-14 2001-09-06 김순택 플라즈마표시장치
JP2000156167A (ja) * 1998-11-19 2000-06-06 Pioneer Electronic Corp Ac駆動方式の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6118214A (en) * 1999-05-12 2000-09-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C plasma display with apertured electrode patterns
KR20000074094A (ko) * 1999-05-18 2000-12-05 구자홍 플라즈마 표시패널의 방전전극
JP3587118B2 (ja) * 2000-02-24 2004-11-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403B1 (ko) * 2005-05-31 2007-02-1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08549A (ja) 2002-01-11
FR2810787A1 (fr) 2001-12-28
US6744202B2 (en) 2004-06-01
TW503423B (en) 2002-09-21
US20010054872A1 (en) 200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0159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6819046B2 (en) Plasma display panel having an improved plane electrode structure
US20020021090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JP369885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00061879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그의 전계집중부를 가진 유전체층 제조방법
US6252353B1 (en) Color plasma display panel
US6479934B2 (en) AC-driven surface discharge plasma display panel having transparent electrodes with minute openings
KR10062527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22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14753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1176405A (ja)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59008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P1717839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263771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격벽구조
KR1005422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803434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9990070344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523860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694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737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3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406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48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282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5320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