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849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849B1
KR100684849B1 KR1020050083139A KR20050083139A KR100684849B1 KR 100684849 B1 KR100684849 B1 KR 100684849B1 KR 1020050083139 A KR1020050083139 A KR 1020050083139A KR 20050083139 A KR20050083139 A KR 20050083139A KR 100684849 B1 KR100684849 B1 KR 100684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address
discharg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민
정주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6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inside or on the side face of the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6Addres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6Address electrodes
    • H01J2211/26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01J2211/323Mutual disposition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01J2211/326Disposition of electrodes with respect to cell parameters, e.g. electrodes within the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제1 기판과, 제1 기판과의 사이에 다수의 방전셀을 갖도록 대향 배치되는 제2 기판과, 제2 기판에 제1 방향을 따라 벋어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 및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을 따라 벋어 형성되어 제1 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방전셀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여 배치되는 라인부와, 이 라인부로부터 각 방전셀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들과 수직하는 제3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방전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대향방전, 유지 방전 전극, 어드레스 전극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하여 Ⅱ-Ⅱ선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과 방전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잘라서 본 부분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향방전 구조를 적용하여 어드레스 방전 전압과 유지 방전 전압을 낮추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함)에 관하여, 3전극 면방전형 PDP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이 3전극 면방전형 PDP는 전면기판과 배면기판을 구비하고, 이 두 기판 사이에 방전가스를 충전한 상태로 전면기판과 배면기판을 서로 봉입하여 형성된다.
이 전면기판은 이의 내 표면에 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유지 전극 및 주사 전극을 구비한다. 배면기판은 전면기판의 내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고 유지 전극 및 주사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어드레스 전극을 포함한다.
이 PDP에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주사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에 의한 어드레스 방전이 방전 유무를 결정한다. 이어서, 전면기판의 내 표면에 위치하는 유지 전극과 주사 전극에 의한 유지 방전이 화상을 구현한다.
PDP는 글로우 방전(glow discharge)을 이용하여 가시광을 발생시킨다. 이 글로우 방전이 발생한 후, 사람의 눈에 가시광이 도달하기까지 몇 단계가 진행된다.
즉, 글로우 방전이 발생하면, 전자와 기체들의 충돌에 의해 여기된 기체가 생성된다. 이렇게 여기된 기체로부터 진공자외선이 발생된다. 이 진공자외선이 방 전셀 내의 형광체에 충돌되므로 가시광이 생성된다. 이 가시광이 투명한 전면기판을 통하여 사람의 눈에 도달된다.
이와 같은 단계들을 거치면서 음극과 양극에 인가된 입력 에너지(input power)는 상당히 손실된다. 이 글로우 방전은 방전개시전압 이상의 높은 전압을 두 전극 사이에 인가함으로 일어난다. 즉 글로우 방전이 개시되기 위해서는 상당히 높은 전압이 필요하다.
일단, 방전이 일어나면 음극과 양극 주변의 각 유전층에 형성되는 공간 전하 효과(space charge effect)에 의해서, 음극과 양극 사이의 전압 분포는 왜곡된 형태로 나타난다.
즉, 두 전극 사이에는, 캐소드 쉬스(cathode sheath) 영역과, 애노드 쉬스(anode sheath) 영역, 및 파지티브 칼럼(positive column) 영역이 형성된다.
이 캐소드 쉬스 영역은 방전을 위하여 두 전극에 인가된 전압의 대부분을 소비하는 음극 주변의 영역이다. 애노드 쉬스 영역은 전압의 일부를 소비하는 양극 주변의 영역이다. 파지티브 칼럼 영역은 상기 두 영역 사이에서 전압을 거의 소비하지 않는 영역이다.
캐소드 쉬스 영역에서 전자가열효율(electron heating efficiency)은 유전층의 표면에 형성된 MgO 보호막의 이차전자계수(secondary electron coefficient)에 의존한다. 파지티브 칼럼 영역에서 입력 에너지의 대부분은 전자 가열(electron heating)에 소비된다.
형광체에 충돌되어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진공자외선은 여기 상태(excitation state)의 제논(Xe) 기체가 안정 상태(ground state)로 전이될 때 발생하며, 제논(Xe)의 여기 상태는 제논(Xe) 기체와 전자 사이의 충돌에 의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입력 에너지에 대한 가시광을 생성하는 비율(즉,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논(Xe) 기체와 전자의 충돌 횟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전자가열효율(electron heating efficiency)이 높아질수록 발광효율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캐소드 쉬스 영역에서는 입력 에너지의 대부분이 소비되지만 전자가열효율이 낮고, 파지티브 칼럼 영역에서는 입력 에너지의 소비가 적으면서도 전자가열효율이 매우 높다. 따라서 파지티브 칼럼 영역을 증가시킴으로써 높은 발광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방전 갭의 거리를 크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논(Xe) 분압이 높아질수록 발광효율이 증가한다.
환산(換算) 전기장(reduced electric field), 즉 기체밀도(n)에 대한 방전 갭 사이에 걸린 전기장(E)의 비(E/n)가 변화함에 따라 전체 전자 중에서 제논 여기(Xe*, Xe excitation), 제논 이온(Xe+, Xe ionization), 네온 여기(Ne*, Ne excitation), 네온 이온(Ne+, Ne ionization)에 소비되는 전자의 비율이 달라진다.
동일한 환산 전기장(E/n)에서, 제논(Xe) 분압이 증가할수록 전자 에너지(electron energy)가 감소하며, 이 전자 에너지가 감소하면, 제논(Xe)의 여기에 소비되는 전자 비율이 커진다. 가시광을 만드는 진공자외선은 여기 상태(excitation state)에 있는 제논(Xe) 기체가 바닥 상태(ground state)로 전이할 때 발생하므로 제논(Xe)의 여기에 소비되는 전자 비율이 커짐에 따라 발광효율이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지티브 칼럼 영역의 증가는 전자가열효율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제논(Xe) 분압의 증가는 전자 중 제논 여기(Xe*)를 위하여 소비되는 전자 가열 비율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양자 모두 전자가열효율을 증가시켜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파지티브 칼럼 영역의 증가 또는 제논(Xe) 분압의 증가는 모두 방전개시전압(discharge firing voltage)을 증가시키고, PDP의 제작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파지티브 칼럼 영역의 증가 및 제논(Xe) 분압의 증가를 낮은 방전개시전압 하에서 구현하고 아울러 발광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방전 갭의 거리 및 제논의 분압이 동일한 경우, 대향방전 구조에 필요한 방전개시전압은 면방전 구조에 필요한 방전개시전압 보다 낮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향방전 구조를 적용하여 어드레스 방전 전압과 유지 방전 전압을 낮추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기판과, 제1 기판과의 사이에 다수의 방전셀을 갖도록 대향 배치되는 제2 기판과, 제2 기판에 제1 방향을 따라 벋어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 및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을 따라 벋어 형성되어 제1 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제1 전극 및 제2 전 극은 방전셀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여 배치되는 라인부와, 이 라인부로부터 각 방전셀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들과 수직하는 제3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방전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돌출부는 라인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돌출부는 라인부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거나, 돌출부는 라인부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는 다수의 방전셀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을 더 포함한다. 격벽은 제1 기판면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격벽 위에서 상기 격벽과 동일 패턴을 가지고 상기 방전셀들을 연장 구획하며,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감싸는 유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층은 격벽과 같은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유전체층은 격벽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어드레스 전극은 격벽을 따라 형성되는 어드레스 버스 전극과, 어드레스 버스 전극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방전셀 내부로 돌출되는 어드레스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어드레스 돌출부는 제2 전극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드레스 돌출부는 투명 ITO(Indium Tin Oxide)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드레스 전극은 제1 기판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제1 기판면에 각각 형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본적으로 제1 기판(10; 이하 '배면기판'이라 함)과 제2 기판(20; 이하 '전면기판'이라 함)이 기설정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며,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 사이의 공간에는 격벽(13)에 의해 다수의 방전셀(18)들이 구획된다.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 사이에서 각 방전셀(18)들에 대응하도록 제1 방향(도면에서 y방향)을 따라 어드레스 전극(50)들이 배치되며, 어드레스 전극(50)들과 교차하는 제2 방향(도면에서 x방향)을 따라 제1 전극(30; 이하, '유지 전극'이라함) 및 제2 전극(40; 이하, '주사 전극'이라 함)이 방전셀(18)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각 방전셀(18)들 내에는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킬 수 있도록 방전가스 (일례로 제논(Xe), 네온(Ne) 등을 포함하는 혼합가스)가 채워지며, 플라즈마 가스 방전을 통해 얻어진 진공 자외선을 흡수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는 형광층(15)이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하여 Ⅱ-Ⅱ선을 따라 잘라서 본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 사이에서 복수 방전셀(18)들은 구획하는 격벽(13)은 배면기판(10)의 위에서 방전셀(18)의 모양으로 패터닝(patterning)되고, 이에 따라서 배면기판(10)의 일부가 전면 기판(20)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격벽(13)은 도면의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로격벽(13a)과,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세로격벽(13b)을 포함한다. 따라서, 방전셀(18)은 이 가로격벽(13a)과 세로격벽(13b)에 의해서 '메트릭스' 형태로 구획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트라이프' 또는 '델타' 형태 등 보다 다양한 형태로 구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격벽(13)은 배면기판(10) 위로 유전체를 도포하고 이를 패터닝한 후 소성시켜 배면기판(10)과는 별도로 형성한 것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이 격벽(13) 위에는 제2 방향을 따라 방전셀(18)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며 배치되는 주사 전극(40) 및 유지 전극(30)을 감싸는 유전체층(24)이 구비된다.
이 유전체층(24)은 격벽과 동일한 패턴으로 이루어져 격벽 위에서 방전셀을 연장 구획하며, 그 표면에는 방전셀(18) 내에서 일어나는 플라즈마 방전에 노출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26)을 구비될 수 있다.
이 보호막(26)은 유전체층(24)을 보호하고 높은 이차전자 방출계수(secondary electron emission coefficient)를 요구하지만 가시광의 투과성을 가질 필요 없기 때문에 가시광 투과성 MgO에 비하여 훨씬 높은 이차전자 방출계수 값을 가지는 가시광 비투과성 MgO로 형성하여 방전개시전압을 좀더 낮출 수 있다.
또한, 유전체층(24)은 전면기판(20)을 덮는 상부유전층(22)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 상부유전층(22)은 전면기판(20)에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50)을 덮어 어드레스 전극(50)과 주사 전극(40) 및 유지 전극(30)을 전기적으로 분리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형광층(15)은 격벽(13)면과 그 격벽(13)에 의해 구획되는 배면기판(10)면에 도포되어 플라즈마 방전시 여기된 진공자외선의 충돌에 의해 가시광을 발현시킨다. 여기서, 형광층(15)은 발현된 가시광이 배면기판(10)을 통해 투과되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반사형 형광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과 방전셀(18)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지 전극(30)과 주사 전극(40)은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각 방전셀(18)들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대응하고, y축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방전셀(18)들의 경계에 번갈아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유지 전극(30)과 주사 전극(40) 각각은 y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방전셀(18)들에 공유된다.
유지 전극(30) 및 주사 전극(40)은 각각 방전셀(18)들을 사이에 두고 제2 방향의 격벽(13)을 따라 배치되는 라인부(31, 41)와, 라인부(31, 41)로부터 방전셀(18)의 중심부 대응하며 서로 마주하도록 기판들(10, 20)에 수직하는 제3 방향(도면에서 z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32, 42)를 포함한다.
돌출부(32, 42)는 어드레스 방전 이후 선택된 방전셀(18)에서 유지 전극(30) 과 주사 전극(40) 사이에 일어나는 유지방전을 대향방전 형태로 일으키고, 각 방전셀(18)에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유지 전극(30)과 주사 전극(40)의 방전 면적을 확대시켜 방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돌출부(32, 42)는 특히 각 방전셀(18)의 중심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적이 확대되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방전셀(18)의 중심 영역에서 전자 밀도를 집중시켜 유지 전극(30) 및 주사 전극(40)을 포함하지 않는 방전셀(18)의 에지(edge)부근의 유전체 벽면을 통해 손실되는 전자들을 줄여 발광효율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어드레스 전극(50)은 전면기판(20)에서 제1 방향(도면의 y방향)의 격벽(13)을 따라 어드레스 라인부(51)가 배치되고, 주사 전극(40)과의 어드레스 방전을 통해 켜질 방전셀(18)을 선택할 수 있도록 어드레스 라인부(31, 41)(51)로부터 연장되며 방전셀(18) 내부로 돌출되는 어드레스 돌출부(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어드레스 전극(50)은 전면기판(20)면에 형성됨에 따라 전면기판(20)을 통과하는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높여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어드레스 돌출부(52)는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은 투명 ITO(Indium Tin Oxide)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드레스 돌출부(52)가 전기 전도율이 낮은 투명 ITO막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드레스 돌출부(52)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어드레스 전압을 인가하는 어드레스 라인부(51)는 전기 전도율이 높은 도체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어드레스 라인부(51)는 어두운 색의 불투명 금속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어드레스 라인부가 블랙 스트라이프(black stripe)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외광반사에 의한 콘트라스(Contrast)의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어드레스 돌출부(52)는 주사 전극(40)과의 어드레스 방전이 용이하도록 유지 전극(30)과의 거리(C2)보다 주사 전극(40)과의 거리(C1)가 더 작게(C1<C2) 형성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드레스 전극(50)이 전면기판(20)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면기판(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격벽(13)을 위를 따라 형성하는 것 이외에도 주사 전극(40)과 어드레스 방전을 통해 켜질 방전셀(18)을 선택할 수 있는 한 모든 위치 및 보다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지 전극(30) 및 주사 전극(40)은 라인부(31, 41)와, 라인부(31, 41)로부터 각 방전셀(18)의 중심부에 대응하며 제3 방향(도면의 z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부(32, 4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돌출부(32, 42)는 방전셀(18)의 중심부에서 보다 많은 전하를 집중시킬 수 있도록 라인부(31, 41)보다 더 두껍게(C1<C2)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및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지 전극(130) 및 주사 전극(140)은 라인부(131, 141)와, 라인부(131, 141)로부터 각 방전셀(18)의 중심부에 대응하며 수직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부(132, 14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지 전극(130) 및 주사 전극(140)의 라인부(131, 141)와 돌출부(132, 142)는 동일한 두께(C1=C2)로 형성된다.
따라서, 유지 전극(130) 및 주사 전극(140)의 라인부(131, 141)와 돌출부(132, 142)의 두께 차를 제거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라인부(131, 141)와 돌출부(132, 142)의 두께 차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전압 강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지 전극(230) 및 주사 전극(240)의 돌출부(232, 242)는 라인부(231, 241)로부터 상기 기판(10, 20)들과 수직하는 제3 방향(도면의 z방향)으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며 단면적이 작아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돌출부(32, 42)의 상측 단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압 강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잘라서 본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는 격벽(13) 위에서 방전셀(18)들을 연장 구획하며 주사 전극(40)과 유지 전극(30)을 감싸는 유전체층(24)의 폭(D2)은 상기 격벽(13)의 상부 폭(D1)과 같거나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2≤D1).
배면기판(10)에 형성된 격벽(13)의 상부 폭이 전면기판(20)에 형성된 유전체층(24)의 폭보다 작을 경우, 진공자외선(VUV)이 형광체와 충돌 후 방출되는 가시광이 격벽(13)으로부터 돌출된 유전체층(24)의 밑부분에 의해 차폐되는 가시광 손실 영역인 사각지역(dead zone)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유전체층(24)의 폭(D2)을 격벽(13)의 상측 폭(D1)보다 같거나, 더 작게 형성하여 전술된 사각지역을 제거함으로써 가시광의 차단을 방지하여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지 전극 및 주사 전극의 각 돌출부가 방전셀을 중심부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방전셀의 중심부에 전자를 집중시켜 전자의 손실을 방지하고, 유지방전시 대향방전을 통해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격벽 위에서 방전셀을 구획하며 유지 전극과 주사 전극을 감싸는 유전체층의 폭을 격벽의 폭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하여 가시광의 차단하는 사각지역을 제거함으로써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4)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 배치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다수의 방전셀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
    상기 제2 기판면 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벋어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을 따라 벋어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기판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기 방전셀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여 배치되는 라인부와, 상기 라인부로부터 상기 각 방전셀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들과 수직하는 제3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방전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감싸며, 상기 격벽과 동일 패턴을 가지고 상기 방전셀들을 연장 구획하는 유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격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라인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라인부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라인부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은,
    상기 격벽의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어드레스 라인부, 및
    상기 어드레스 라인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방전셀 내부로 돌출되는 어드레스 돌출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돌출부는,
    상기 제2 전극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은,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돌출부는,
    투명 ITO(Indium Tin Oxide)막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격벽 면에 각각 형광층이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50083139A 2005-09-07 2005-09-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4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139A KR100684849B1 (ko) 2005-09-07 2005-09-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139A KR100684849B1 (ko) 2005-09-07 2005-09-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849B1 true KR100684849B1 (ko) 2007-02-20

Family

ID=3810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139A KR100684849B1 (ko) 2005-09-07 2005-09-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8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393A (ko) * 1998-04-22 1999-11-25 가네코 히사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JP2003151449A (ja) * 2001-11-19 2003-05-23 Fujitsu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393A (ko) * 1998-04-22 1999-11-25 가네코 히사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JP2003151449A (ja) * 2001-11-19 2003-05-23 Fujitsu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1347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848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73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598673B2 (en) Plasma display panel with enhanced luminous efficiency at a reduced discharge firing voltage
KR10059008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8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421417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8471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37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794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87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49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239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3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3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475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4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92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47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59962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41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73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88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7841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96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